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노인소비자를 고려한 사용성 모형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오은혜(Oh, Eun Hye),최혜경(Choi, Hye Kyung),정순희(Jung, Soon Hee) 한국소비문화학회 2010 소비문화연구 Vol.13 No.3

        고령화로 인해 노인소비자의 비중이 점차 증가하는 상황에서 노인소비자들이 좀 더 이해하기 쉽고, 배우기 쉬우며, 조작하기 편리하고, 사용하기에 즐거운 제품을 개발하는 것은 시대적인 요구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현재까지 노인소비자의 제품, 서비스, 생활환경에 대한 사용성을 탐구하려는 연구가 초기 단계에 머물러 있음에 주목하고, 노인소비자와 사용성을 보다 직접적으로 연결하여 고찰하고 이를 통해 새로운 사용성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문헌고찰을 통해 이루어졌다. 연구의 결과, 사용성은 어떤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도구를 사용할 때 그 도구를 얼마나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가의 개념으로서, 단순한 안전이나 견고성에서 더 나아가 사용자 및 소비자의 관점을 포괄적으로 반영할 수 있다는 점에서 특히 노인소비자를 고려할 때 매우 유용한 개념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사용성은 학습용이성·기억용이성·사용상의 효율성·오류의 최소화·주관적 만족도를 통해 측정할 수 있으며, 각각의 원칙에 노인소비자의 특성을 적용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이러한 사용성의 개념 및 원칙을 반영할 분야를 일반 공용품의 범위로 확대하여 적용할 필요가 있으며,이를 통해 일반인에게 제공하던 효용을 유지 또는 증진시키는 조건 하에서, 제품 및 환경을 사용하는 데 요구되는 능력 수준을 낮추어 노인소비자들도 사용 가능케 하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를 위해서는 사용성 개념 및 원칙, 적용 프로세스에 노인소비자들의 특성을 고려한 가이드라인이 마련될 필요가 있다.본 연구의 의의는 고령화로 인해 주체적인 소비자로 급부상하고 있는 노인소비자들이 보다 안전하고 편리하게 제품, 서비스 및 생활환경을 이용할 수 있도록 사용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참고가 될 수있는 기존의 사용성 관련 개념 및 원칙과 노인소비자 관련 사용성 표준규격 등을 바탕으로 한국 노인소비자를 고려한 새로운 사용성의 모형을 도출하고자 한 데 있다. Under the circumstances of that elderly consumers are beginning to represent an increasing share due to aging, it must be the needs of the times to develop products for the aged consumers being a bit easier to understand and learn, more convenient to operate, more pleasant to use. However, since the study to investigate the usability of products, services and life environment for the aged consumers still remains at the initial stage so far, it is making just at the level to examine limited only to the products of seniorfriendly industry or to approach as an issue of safety rather than of the usability. Hence, it needs to link the aged consumers and the usability together more directly for the consideration and to make efforts to present the direction of a new usability through it. As the result of this study, it was able to confirm that the usability, as the concept of how easily the tool can be used when a tool is used for achievement of a certain purpose, is a very useful concept, especially in consideration of the aged consumers in the aspects of that it can reflect the viewpoint of users and consumers comprehensively further from simple safety or firmness. Such usability can be measured through learnability, memorability, efficiency in use, error minimization and subjectively satisfaction, and it needs to apply the characteristic of the aged consumers to each principle. Also it needs to apply the fields being reflected by such concept and principle of the usability not only to the limited fields such as senior-friendly products, assistive products which had been made for the existing usability studies related to the aged consumers but also to the extended range of general common goods. When the concept of usability in consideration of the aged consumers is reflected to common goods, then it will be able to bring the effect being able to be used by the aged consumers as well as it lowers the level of proficiency required to use the products, environment under the condition to maintain or improve the utility provided to general people. For this, it needs to arrange guidelines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 of the aged consumers in addition to the concept and principle, application process of the usability. The meaning of this study is that it constructed a model of new usability in consideration of the aged consumers in Korea based on the existing concept and principles related to the usability and standard specifications for the usability related to the aged consumers, which can be referred for the presentation of plans to improve the usability being usable to use products, services and life environment more safely and conveniently for the aged consumers who are fast emerging as the subjective consumers due to aging.

      • KCI등재

        노인소비자의 손자녀 돌봄 여부에 따른 경제․신체․심리상태 및 삶의 만족도 연구

        린쉬에,김시월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2019 소비자정책교육연구 Vol.15 No.1

        In this study, the sixth 2015 data from the Korea Retirement and Income Study(KReIS) conducted by the National Pension Research Institute looked at the impact of care for the grandchild of the elderly consumer and the condition of life on th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consumer's lif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fter looking at the difference in the economic․physical․psychological status of the elderly consumers due to their grandchildren's care, the elderly had better daily skills and psychological status than the non-care group. In addition, household annual income and household annual expenditure were high among elderly consumers who took care of their grandchildren, but household debt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atisfaction level of life of elderly consumers, factor I was named the whole of life, factor II as the family relationship, and factor III as the neighbor relationship with a friend. And a two-way ANOVA was conducted to test the main effects and interaction effects on the elderly consumer's satisfaction with life conditions and the presence of grandchildren. Result of analysis, Factor I: Household annual income in psychological, economic conditions, and household annual expenditure were interactive; and Factor II: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was interactive with household annual income and household annual expenditure in psychological and economic conditions. Factor III: The level of satisfaction with friends and neighbors showed interaction between household annual income during physical and economic conditions. Third, the factors affecting the overall satisfaction of the elderly who take care of their grandchildren were age, residential area, psychological state, and the overall satisfaction of the elderly who did not care for their grandchildren was affected by the level of education, housing type, marital status, retirement, household annual total income, physical condition, and psychological status. These studies show that longer life expectancy increases the likelihood of taking care of grandchildren, and that this increases the impact on the satisfaction of elderly consumers' lives. And we can see the need to consider various consumer-oriented measures considering the idle labor force of the elderly consumers and the need for policy alternatives for positive effects. 본 연구는 노인소비자의 손자녀 돌봄 여부에 따라 경제․신체․심리상태 및 노인소비자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았으며, 이러한 연구를 위하여 국민노후보장패널조사(KReIS, Korean Retirement and Income Study)의 6차(2015년) 데이터를 사용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손자녀 돌봄 여부에 따른 노인소비자의 경제․신체․심리상태의 차이는 손자녀를 돌보는 노인이 돌보지 않는 노인보다 일상생활 능력과 심리상태가 더 좋았다. 또한 가계의 연간소득이나 연간지출도 손자녀를 돌보는 노인소비자가 높았으나, 가계부채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노인소비자의 삶의 만족도를 요인분석 한 결과, 요인Ⅰ은 생활전반 만족도, 요인Ⅱ는 가족관계 만족도, 요인Ⅲ은 친구와 이웃관계 만족도로 명명하였으며, 가족관계 만족도의 평균이 가장 높았다. 그리고 노인소비자의 손자녀 돌봄 여부와 경제․신체․심리상태에 따른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주효과와 상호작용 효과를 검증한 결과, 요인I: 생활전반 만족도는 심리, 경제상태 중 가계의 연간소득, 연간지출이 상호작용 효과를 보였고, 그리고 요인II: 가족관계 만족도는 심리, 경제상태 중 가계의 연간소득과 연간지출이 상호작용 효과를 보였다. 요인III: 친구와 이웃관계 만족도는 신체, 경제상태 중 가계의 연간소득이 상호작용 효과를 보였다. 셋째, 손자녀를 돌보는 노인소비자의 삶의 만족도에 대한 영향요인은 연령, 거주지역, 심리상태였고, 손자녀를 돌보지 않는 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대한 영향요인은 교육수준, 주택종류, 혼인상태, 은퇴 여부, 가계소득, 신체상태, 심리상태 등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앞으로 수명연장으로 인하여 노인소비자가 손자녀를 돌볼 가능성이 증가하고, 이것이 노인소비자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력으로 작용함을 시사하며, 이에 경제, 신체, 심리상태가 주요 변수임을 알 수 있다. 이를 토대로 노인소비자의 유휴노동력을 고려한 삶의 만족도 증가를 위하여 다양한 소비자 중심적인 방안을 고려해야 할 필요성과 긍정적인 효과를 위한 대안의 필요성을 알 수 있다.

      • KCI등재후보

        성공적인 노화에 대한 기대를 통한 한국 노인들의 소비자 욕구 탐색

        최혜경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2011 소비자정책교육연구 Vol.7 No.2

        본 연구는 한국 노인소비자들의 욕구의 다양성을 파악하기 위한 기초 연구로서, 노인소비자들의 성공적인 노화 에 대한 기대를 통해 이들의 노후 삶에 대한 욕구 유형을 도출해보는데 목적이 있다. 서울과 수도권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남녀 노인 총 652명으로부터 얻은 자료를 바탕으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의 대 상인 노인들이 기대하는 성공적인 노화의 요소들은 ‘일상적 안녕’, ‘자기효능’, ‘사회통합’으로서 노인소비자들이 자 신의 노후 삶에 대해 안전, 소속감 및 애정, 존경 및 자아실현의 욕구를 지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노 인소비자들을 성공적인 노화에 대한 기대를 바탕으로 군집분석을 한 결과 ‘최선지향형’, ‘내부지향형’, ‘과시지향 형’, ‘안전지향형’의 4개 집단으로 분류되었다. 셋째, 노인소비자들은 모든 욕구 집단에서 공통적으로 안전에 대한 욕구가 높고 상대적으로 사회관계와 활동을 가족범위에서 더 확장하려는 욕구는 부족해서, 안전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제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요구가 큰 반면 사회관계와 활동에 대한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제품이나 서비 스에 대한 요구는 적을 것이라는 사실을 시사한다. 넷째, 현재 한국의 노인소비자들은 자원과 가치관에 따라 소 비자 욕구가 달리 나타나는데, 사회적, 경제적 자원이 풍족하고 자신의 노후 삶에 대한 욕구수준이 더 높은 노인 소비자 집단에서부터 자원이 부족하고 소비자 욕구가 적으며 공공정책이나 사회부조의 대상인 집단에 이르기까지 소비자욕구에서 다양한 모습을 보인다. 이상의 결과들을 종합해보면, 현재 한국사회의 노인소비자들은 사회적 혼 란과 경제적 어려움을 겪으며 살아온 코호트로서 소비보다는 저축을 가치있게 여기고 자녀와 가족위주로 삶을 영 위해왔다는 공통점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들은 사회적, 경제적 자원이 풍족하고 자신의 노후 삶에 대한 욕구수준이 더 높은 노인소비자 집단에서 자원이 부족하고 소비자 욕구가 적으며 공공정책이나 사회부조의 대상인 집단까지 자원과 욕구수준에서 다양하다.

      • KCI등재후보

        고령화 사회 노인소비자 특성 연구

        편석환 ( Seog Hoan Pyun )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2013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35 No.-

        본 연구는 노인소비자의 매체 이용행태와 노인소비자 문제를 연구했는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 결과 노인소비자는 일반적 정보 습득매체와 제품에 대한 정보 습득매체에서 비슷한 결과를 보였으나 일반적 정보 습득 매체에서는 TV의 비중이 높았던 반면 제품정보 습득 매체에서는 지인.가족, 노인관련단체 등이 고르게 높게 나타났다. 일반적인 정보원과 제품에 대한 정보원 모두 비율의 차이는 있었지만 TV, 지인·가족, 라디오, 노인관련단체, 신문, 인터넷, 잡지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신체 및 정신적인 노화로 인해 외출이부자유스런 노인소비자의 경우 집에서 TV와 라디오 등 일반적인 매체에 의존하는 의존도가 크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하겠다. 또한 외출하는 경우도 지인·가족, 노인관련단체 등 관련되어 있는 개인이나 단체에 대한의존도가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노인소비자의 소비자 문제에 대해 교육수준이 낮은 노인소비자가 교육수준이 높은 노인소비자보다 소비자문제가 더 많을 것이라고 연구문제를 제기하였는데 분석해 본 결과 교육수준이 낮은 노인소비자가 교육수준이 높은 노인소비자보다 노인소비자 문제가 더 많은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소득이 불안정한 노인소비자가 소득이 안정한 노인소비자보다 소비자문제가 더 많을 것이라고 연구문제를 제기하였는데 분석해 본 결과 소득이 불안정한 노인소비자가 소득이 안정적인 노인소비자보다 노인소비자 문제가 더 많은 것으로 밝혀졌다. This study derives implications through the study of media use pattern of the elderly consumers and the elderly consumer problems. The study indicates the elderly consumers show the similar results on media for general information acquisition and media for products information acquisition. But acquaintances, family and the elderly men association are evenly of great importance for products information acquisition while TV is of great importance for general information acquisition. As for the source of general information and products information, it shows TV, acquaintances, family, radio, the elderly men association, newspaper, internet and magazine in sequence of importance. This result shows that the elderly consumers have a high level of dependence on general media such as TV, radio as they seldom go out due to body and mind aging. It derives implications on that they highly rely on person or group related to acquaintances, family and the elderly men association. As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ndicates low-educated elderly consumers have more consumer problems than well-educated elderly consumers. It also indicates that the elderly consumers on unstable incomes have more consumer problems than the elderly consumers on stable incomes.

      • KCI등재

        예비노인소비자ㆍ노인소비자의 사회적 참여소비의 유형화 및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김시월,조향숙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2015 소비자정책교육연구 Vol.11 No.3

        의학과 과학기술이 발달하면서 전 세계적으로 고령화 현상이 일어나고 있다. 노인인구가 증가하면서 사람들의 관심은 단순한 수명의 증가보다 노년의 삶의 질에 대한 문제로 옮겨가고 있는데, 이러한 현상은 비단 개인적인 문제가 아니라 사회적인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소비자의 소비행위를 이분화 할 때 집을 중심으로 한 내부적 생활과 집 밖으로의 외부적 생활로 분리할 수 있는데, 집 외부와 연결된 사회적 참여 소비생활은 개인주의적 성향이 강한 현대 생활에서 그 의미가 매우 크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예비노인소비자와 노인소비자의 사회적 참여소비 지출의 현황을 알아보고, 유형화하였으며, 사회적 참여소비 지출이 예비노인소비자와 노인소비자의 삶의 만족도에 어떠한 효과를 보이는지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전체 사회적 참여소비 지출액과 세부 비목인 통신비, 교통비, 문화생활비 모두 예비노인소비자가 노인소비자보다 지출액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적 참여소비 지출 유형을 알아보기 위하여 군집분석을 실시한 결과, 통신/교통비 중심형, 문화생활비 중심형, 통신비 중심형, 교통비 중심형으로 유형화되었다. 셋째, 삶의 만족도를 요인 분석한 결과, 삶의 만족도는 친구/이웃관계, 건강/여가활동, 가족관계, 경제/주거만족도 요인으로 분류되었다. 넷째, 예비노인소비자, 노인소비자를 분류하는 노인소비자 여부, 사회적 참여소비 지출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이원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 노인소비자 여부, 사회적 참여소비 지출은 삶의 만족도에 상호작용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각 요인별로 살펴보면 친구/이웃관계, 가족관계, 경제/주거관계가 노인소비자 여부와 함께 삶의 만족도에 상호작용 효과를 보였고, 건강/여가활동은 삶의 만족도에 주효과는 보였으나 노인소비자 여부와 상호작용 효과는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노인소비자의 삶의 질 향상에 있어서 사회적 참여 활동이 주요한 영향변수이나, 사회적 참여소비 지출액이나 유형에 따라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가 달라 각기 다른 접근 방식으로 관련 정책이나 교육 방안을 모색해야 함을 함의한다. It is evolves medicine and science technology, a rapidly aging population worldwide is taking place in this times. An elderly population increases people's attention is a simple increase in life expectancy than the quality of life in old age had begun to shift problem of this phenomenon, a silk personal problem is not a social problem, emerging on. The consumption of consumer behaviour into two when internal life revolved around the house and externally into life, can be detached from outside the house, which associated with the outside society participation. That the consumer is to individualization as strong a means for modern life is very big. As a result, this study recognize the current state of consumer spending and social participation of the elderly, type of service. Preliminary consumer spending, old man also has social participation and recognized what you see the old man's life satisfaction in any capacity. First, the analysis results of consumer spending, social participation and detailed category preliminary communication costs, transportation, and cultural activities, both the study found that many spending, there are so many old man. Second, social participation by consumer spending to determine the type of Cluster Analysis by Two-way ANOVA, telecommunications and transportation hub, the type, and cultural activities centered, communication service bill centered, transportation. Classification by streamlining its center. Third, life satisfaction score of neighbor relations, health and leisure activities/After analyzing factors, life satisfaction were friends and family relations, economic and were sorted into factors of residential satisfaction. Fourth, social, displaying whether the elderly, social participation for the old life satisfaction the effects on consumer spending into each other to a two-tier a variance analysis conducted by results, whether the elderly, social participation are life satisfaction were shown to interaction causes an effect on consumer spending. Our neighbor relationships with friends and family relations, economic and housing old man/If you take a close friend by individual factors, including whether life satisfaction in the interaction effect and of life, health and leisure activities. Satisfaction with the interaction of whether or not the old man, but when we effect of the main effect is shown to be invisible. These findings, older adults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in social participation is variable or a major impact, depending on the type of social participation of consumer spending, or life satisfaction in the effect different policies being implemented with a different approach or education must not only to seek ways at different times

      • KCI등재후보

        노인소비자와 청년소비자 태도 비교 -광고유형 및 광고모델을 중심으로-

        편석환 ( Seog Hoan Pyun )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2015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40 No.-

        본 연구는 광고유형에 따른 노인과 청년 모델에 대한 노인과 청년소비자의 태도를 비교 연구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광고유형과 광고모델의 유형에 따라 노인소비자와 청년소비자가 광고태도에서 유사성과 차이점이 실증적으로 입증되었다. 연구결과 노인소비자는 제품광고에 청년 모델이 등장하는 광고보다 노인모델이 등장하는 광고를 더 선호하는 결과를 나타냈다. 청년소비자는 제품광고에 청년 모델이 등장하는 광고를 노인 모델이 등장하는 광고보다 더 선호할 것으로 예상했는데 역시 더 선호하는 결과를 나타냈다. 노인소비자는 공익광고에 청년 모델이 등장하는 광고보다 노인 모델이 등장하는 광고를 더 선호하는 결과를 나타냈다. 청년소비자는 공익광고에 청년 모델이 등장하는 광고를 노인 모델이 등장하는 광고보다 더 선호할 것으로 예상했는데 역시 더 선호하는 결과를 나타냈다. 한국사회가 급속도로 고령화사회가 되어가면서 국내 노인 인구가 점점 늘어나고 노인을 대상으로 한 정부나 기업, 공공단체들의 마케팅 활동의 중요성이 제기되는 시점에서 노인소비자와 청년소비자를 비교 연구한 것은 큰 의미를 찾을 수 있겠다. 이번 연구결과는 노인소비자와 청년소비자의 차이점을 보여주면서 비교 연구의 중요성을 확인해 주었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attitude of young and elderly consumers toward to young and elderly ad models based on advertising type. The result shows that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the attitude of young and elderly consumers according to the ad type and model type have been empirically proven. At the result, elderly consumers tends to prefer the advertising appearing elderly model than youngs. The expectations that young consumers tend to prefer the advertising with young model than elderly model, had been came true. The elderly consumers tends to prefer the elderly model in public advertisement rather than young models. The expectations that young consumer tend to prefer the young models in public advertisement rather than elderly model, have been came true. As Korea is going to be aging society, the population of senior citizens is going to be increased and the importance of marketing activities of the government, enterprise and public organization is brought up. At this point, the study of comparison between elderly consumer and young consumer has deep implications. This study confirmed the importance of comparative study in showing the difference between elderly consumer and young consumer.

      • KCI등재

        노인소비자의 대형마트 서비스품질 지각이 만족도 및 노인지향성 지각에 미치는 영향

        이진명 ( Lee Jin-myong ),김민지 ( Kim Minji ),서도연 ( Seo Doyeon ),양소현 ( Yang Sohyeon ),조영인 ( Jo Youngin ),허지윤 ( Huh Ziyoun ) 한국소비자학회 2021 소비자학연구 Vol.32 No.6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소비자 관점에서 대형마트 서비스품질의 차원을 탐색하고, 서비스품질 지각이 노인소비자의 대형마트에 대한 만족도 및 노인지향성 지각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대형마트를 이용하는 노인소비자 7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하여 대형마트 서비스품질의 하위차원을 도출하고,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노인소비자 302명의 응답 자료를 수집하고 SPSS 24.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통계 분석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소비자가 대형마트 이용 시 지각하는 서비스품질의 하위차원은 물리적 환경, 본원적 혜택, 인적 상호작용, 편의적 혜택, 스마트 혜택의 다섯 가지로 도출되었다. 둘째, 노인소비자는 대형마트 서비스에 대해 대체로 만족했으나 노인지향성에 대한 지각은 보통 수준으로 나타났다. 또한, 노인을 위한 휴게공간의 확대를 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다중회귀분석 결과 물리적 환경, 본원적 혜택, 인적 상호작용, 스마트 혜택이 노인소비자의 대형마트에 대한 만족도에 유의한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인적 상호작용, 편의적 혜택, 스마트 혜택은 대형마트의 노인지향성 지각에 유의한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정성적, 정량적 연구방법을 통해 노인소비자 관점에서 대표적 쇼핑공간인 대형마트의 서비스품질 요인을 밝히고, 서비스품질이 대형마트에 대한 노인소비자의 만족도와 노인지향성 지각에 미치는 차별적 영향력을 규명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또한, 노인친화적인 대형마트 마케팅전략 수립에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실무적으로 기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sub-dimensions of service quality perceived by elderly consumers when using hypermarkets, and to analyze the effect of hypermarket service quality on elderly consumers' satisfaction and perceived elderly orientation.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hypermarket users to derive the sub-dimensions of hypermarket service quality, and based on qualitative research results and previous studies, a scale was developed to measure hypermarket service quality from the perspective of elderly consumers. Data from 302 elderly consumers were collected through an online survey, and the research model was verified using the SPSS 24.0 program. The main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five sub-dimensions of service quality perceived by elderly consumers when using hypermarkets were derived from physical environment, intrinsic benefit, human interaction, convenience benefit, and smart benefit. Second, the elderly consumers were generally satisfied with the hypermarket service, but the perception level of the elderly orientation was average. In addition, respondents wanted to expand resting facilities for the elderly in hypermarkets. Third, as a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t was found that physical environment, intrinsic benefits, human interaction, and smart benefits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elderly consumers' satisfaction with hypermarkets. On the other hand, human interaction, convenience benefit, and smart benefit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perception of elderly orientation in hypermarket. This study is differentiated from previous studies in that it revealed the sub-dimensions of service quality at hypermarkets from the perspective of elderly consumers by applying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research methods. In addition, this study contributes practically in that it identifies the differential influence of service quality on elderly consumers' satisfaction with hypermarkets and their perception of elderly orientation, and provides useful implications for establishing elderly-friendly hypermarket marketing strategies.

      • KCI등재

        공유가치로서 노인 일자리 창출의 가능성 탐색 - 국내외 공유가치창출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구혜경,김정은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2015 소비자정책교육연구 Vol.11 No.3

        인구의 고령화가 급속도로 진행되고 있으며, 과거와 달리 노인들의 라이프스타일과 소비패턴이 다변화되고 있다. 향후 노인 소비자를 타겟으로 하는 시장이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나, 시장의 안정적인 형성을 위해서는 노인 소비자들의 경제적 안정뿐만 아니라 사회에 기여할 수 있고,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사회 참여 및 일자리 보급이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노인 일자리 창출 이슈를 민간 기업의 공유가치창출활동과 접목 가능한지의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하였으며, 그것을 위해 국내외의 일자리 창출과 관련된 공유가치창출 사례를 추출하여 사례분석을 실시하였다. 공유가치창출(CSV, Creating Shared Value)이란 Porter and Kramer(2011)가 제안한 개념으로 사회적인 문제나 이슈를 해결하는 것을 통하여 기업의 경제적 가치를 추구, 실현하는 경영전략이다. 이 때 노인의 빈곤 혹은 노인 삶의 질은 사회적 이슈로 볼 수 있으며, 기업들이 노인 이슈에 관심을 기울이고 공유가치창출 전략 수립을 통하여 경제적 가치 실현을 유도할 수 있는 이론적인 접근법으로 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에 근거한 사례분석틀을 도출하고, 사례분석틀에 근거하여 코카콜라, 네슬레, 딜란세이 스트리트, 에울렌, 메트로, CJ제일제당, 유한 킴벌리 등 일곱 개의 국내외 공유가치창출 사례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노인 일자리 창출은 민간 기업의 관점에서는 미래 확대될 신시장의 창출 및 대비의 측면에서 중요한 이슈이며, 이를 위해 공유가치로 선정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뿐만 아니라 노인 일자리 창출을 위해서 각 기업의 핵심적인 역량과 노인의 역량을 접목시켜야 하며 그것을 위해서는 노인의 특성에 대한 정확한 이해, 노인의 라이프스타일 및 특성별 직무 요구, 요구와 부합하는 노인 적합 일자리 직종의 개발 등이 선행되어야 하며 더 나아가 사례분석의 함의와 같이 노인 소비자에 대한 지역 기반의 교육 강화 등이 중요한 이슈로 도출되었다. 이는 소비자학의 관점에서 과거와는 다른 노인의 특성에 대해 보다 심층적인 연구를 요구하며, 노인 소비자의 증가 및 노인 시장의 확대를 대비한 기반 연구가 더욱 활성화되어야 하는 시점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focus on the aged. The society has already been aging nowadays. Unlike in the past, today’s seniors have active lifestyle, and various consumption patterns. It is possible to expect market expansion for senior people so that high quality jobs for senior are important issue to prepare effective demand and stable life of senior. To create high quality jobs for senior, government allocate budget and practice senior job creation policies, however, the senior welfare policy related jobs are not able to guarantee senior’s living because of the low level wage. It is possible to solve these problem through the business part. Corporations have to be involved in the job creation projects for senior and it will be better way to sustain the company in the future by preparing the senior market expansion. This study suggest the concept of CSV(Creating Shared Value) for business part to participate job creation. CSV is the notion to sustain business in the market, being the strategy for management, and also suggests that the business can pursue both economic benefit and profit through solving social issues and problems. Senior’s stable job issue is suitable to be accepted for business to plan CSV strategy and management. Therefore, this study selects seven vdomestic and foreign CSV cases that was related to job creation issues as social problem to be solved. The seven CSV cases are Coca-Cola, Nestle, Delancey Street, Eulen Group, Metro Group, CJ CheilJedang, Yuhan-Kimberly. The major implications of these case studies are as followings. First, the cases related job creation or reviving local economy focus on supply education programs to strengthen recipient competency to be a good workers. Second, in the cases of business part focusing their core ability to manage CSV business, it is possible to meet the economic performance. Third, the clustering based on the local where the business activities are performed to manage CSV is the essential strategy to succeed CSV. Finally, to manage CSV business, the CEO’s leadership and the company’s culture are very important factors. CSV business is concerned with social issues and sometimes the economic benefits are not seen immediately so that the management philosophy of CEO is very important drive to manage CSV.

      • KCI등재후보

        노인복지시설에 대한 노인소비자의 요구도와 이용의도: 울산광역시 노인소비자를 중심으로

        서정희,허은정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2011 소비자정책교육연구 Vol.7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울산광역시 노인소비자들을 대상으로 노인복지시설에 대한 요구도와 이용의도를 살펴보고 관련요인들에 따라 노인복지시설 요구도와 이용의도가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울산광역시에 거주하는 노인소비자 500명을 대상으로 전문조사원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는 Andersen과 Newman (1973)의 모델에 기초하여 독립변수들을 선행요인, 가능성요인, 욕구요인으로 분류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울산광역시 노인소비자들은 노인복지시설에 대한 요구수준보다 실제 이용의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노인복지시설의 5가지 유형 중에서 노인들은 프로그램 수강과 시설만 이용하는 것에 대한 요구수준은 보통 이상이었지만 장기입소(상주)나 밤 시간만 이용하는 것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의향을 나타냈다. 둘째, 노인복지시설에 대한 요구를 유형화 한 결과, 고요구집단과 저요구집단으로 구분되었으며, 가능성요인(동거 가족의 수, 자녀의 수, 월평균 가계소득)에 따라 노인복지시설 요구도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는데, 노인복지시설에 대한 요구가 높은 집단은 낮은 집단에 비해 현재 동거하는 가족수가 적고, 자녀수가 적으며 월평균 가계소득이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노인복지시설에 대한 이용의도를 유형화한 결과 저이용의도집단, 부분이용의도집단, 고이용의도집단으로 구분되었다. 선행요인, 가능성요인, 욕구요인에 따른 이용의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선행요인(성별, 연령), 가능성요인(배우자 여부, 동거 가족수, 자녀수, 월평균 가계소득), 욕구요인(일상생활수행능력)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넷째, 노인복지시설에 대한 요구도와 이용의도 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노인복지시설에 대한 요구가 높다고 해서 반드시 노인복지시설 이용의도가 높은 것은 아니었다. 본 연구결과에 기초해 볼 때, 노인복지시설에 대한 요구도가 높을 뿐만 아니라 실제 이용의도가 높은 노인소비자는 저소득층 독거노인처럼 동거하는 가족수가 적고, 자녀수도 적으며, 가계소득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러한 특성을 가지는 노인들이 우선적으로 노인복지시설을 이용할 수 있도록 노인복지 정책이 수립되고 운영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결과는 울산광역시나 중앙정부에서 노인복지시설과 관련하여 노인복지정책의 수립과 운용시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할 것이다.

      • KCI등재

        노인소비자의 디지털 서비스 활용 유형 연구: 인터넷 이용자를 중심으로

        이진명 ( Lee¸ Jin-myong ),김수연 ( Kim¸ Suyeon ),백지연 ( Baek¸ Jiyeon ),양재민 ( Yang¸ Jaemin ),임정 ( Lim¸ Jeong ),장혜원 ( Jang¸ Hye-won ) 한국소비자학회 2021 소비자학연구 Vol.32 No.2

        본 연구는 디지털 사회를 살아가는 주요 소비자집단으로서 노인의 중요성에 주목하여 사용확산모형을 기반으로 디지털 서비스 활용에 따라 노인소비자 유형을 구분하고 유형별 차이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노인소비자 특성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유형별 맞춤화된 교육적, 실무적 제언을 도출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인터넷 접근성이 확보된 60대 이상의 노인들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구조화된 질문지를 이용한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311명의 유효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는 SPSS 24.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분석, K-평균 군집분석,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 분산분석 등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디지털 서비스에 대한 사용량과 사용다양성을 기준으로 군집분석을 실시한 결과, ‘열성적 활용형(29.9%)’, ‘관계중심 활용형(27.3%)’, ‘기능중심 활용형(25.1%)’, ‘제한적 활용형(17.7%)’의 네 가지 노인소비자 유형이 도출되었다. 사용확산의 선행변수인 정보 자기효능감, 정보 활용의지, 인구통계학적 특성이 노인소비자의 디지털 서비스 활용 유형에 미치는 영향력 및 유형별 사용확산의 결과변수인 삶의 만족도, 디지털소비환경 성숙도, 기술스트레스, 정보기술 소외감의 유의한 차이가 규명되었다. ‘열성적 활용형’은 디지털 서비스를 통해 정보를 능동적으로 탐색하고 이용하는 얼리어답터의 성향이 강하므로 이들의 의견을 반영한 노인특화 서비스의 개발이 요구되며, ‘관계중심 활용형’은 인간관계를 유지하고 확장하기 위해 디지털 서비스를 이용하는 ‘인사이더’ 집단으로서 실질적인 업무를 처리하고 생활편의서비스를 잘 활용할 수 있도록 디지털 역량을 강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기능중심 활용형’은 정보 효능감이 높은 비교적 젊은 노인들로서 정서적, 관계지향적 속성의 디지털 서비스 활용을 촉진하여 삶의 만족이 높아질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제한적 활용형’은 소비자정책과 교육의 측면에서 표적 집단이라고 볼 수 있는데, 이들이 소외감을 느끼지 않도록 정보화 역량과 의지를 높이는 교육을 확대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노인소비자 특성을 고려하여 사용확산모형을 적용함으로써 인터넷에의 접근격차가 해소된 노인소비자들의 다양한 디지털 서비스 활용패턴을 파악하고 그 특징과 맞춤화된 전략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실무적, 학문적 의의를 가진다. This study focused on the importance of the elderly as a major consumer group in the digital society, and classified the types of elderly consumers according to the digital service use pattern based on the use-diffusion model and analyzed the differences by type. Through thi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understanding of the characteristics of elderly consumers and to derive customized educational and practical recommendations for each type of elderly consumers. Elderly consumers over 60 who can access the Internet were selected as a sample, and data of 311 elderly consumers were collected through an online survey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The data were analyzed through descriptive analysis, K-means cluster analysis,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nd ANOVA using the SPSS 26.0 program.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As a result of cluster analysis based on the amount and diversity of digital service use, four types of elderly consumers were derived: enthusiastic use group (29.9%), relationship-oriented use group (27.3%), function-oriented use group (25.1%), limited use group (17.7%). The influence of the preceding variables such as self-efficacy of information, willingness to use information, an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n the types of elderly consumers was identified. In addition, significant differences in life satisfaction, digital consumption environment maturity, technology stress, and information technology alienation, which are the outcome variables for each elderly consumer type, were analyzed. Enthusiastic use group tends to be an early adopter who actively searches and uses information through digital services, so the development of specialized services for the elderly that reflects their opinions is required. Function-oriented use group is a relatively young senior with high information efficacy, and should promote the use of emotional and relationship-oriented digital services to increase their satisfaction in life. For the relationship-oriented use group,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information capabilities so that they can actively use digital services to process practical tasks and increase the convenience of life. Limited use group is a group with low income and education level and high age, and is the group that should focus most in terms of consumer policy and education. The limited use group is the group with low income and education level, high age, and the lowest information efficacy and willingness to use. In addition, it is characterized by low life satisfaction and feeling alienated from information technolog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focus consumer policy and education on this group to raise positive awareness of technology and provide education to enhance practical digital service utilization ability.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categorizes the elderly according to the use of digital services and presents their characteristics and customized strategies, rather than simply viewing the elderly as information vulnerable group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