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동아시아 4개국의 노인부양의식 및 노인부양행위에 관한 비교연구

        조지현(Cho, Ji Hyun),오세근(Oh, Se-Geun),양철호(Yang, Chulho) 한국사회조사연구소 2011 사회연구 Vol.- No.22

        이 연구는 급속한 고령화를 경험하고 있는 동아시아 4개국 한국, 일본, 중국, 대만 의 노인부양의식 및 노인부양행위를 비교하여 동아시아 국가의 노인부양 유형과 각 나라별 특징을 찾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EASS(East Asian Social Survey) 2006 자료와 ISSP(International Social Survey Program) 2001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동아시아 4개국의 노인부양의식은 한국이 가장 전통적이었고, 대만 중국, 일본의 순이었다. 노인부양행위는 대만, 한국, 중국, 일본의 순으로 많이 하고 있었다. 노인부양의식이나 노인부양행위 모두 국가별로 회귀분석을 하였을 경우 유의미한 변수와 방향에 차이를 나타내었다. 부모에 대한 정서적 부양행위정도와 고령화를 나타내는 지표(노인인구비율 노인부양비 고령화지수)를 가지고 동아시아 4개국과 서구 24개국을 대상으로 계층적 군집분석과 다차원 척도법을 실시한 결과 4개의 군집으로 분류되었다. 분류 결과 일본을 제외한 한국, 중국, 대만이 한 군집으로 묶여 있어 서구와는 독립된 동아시아만의 노인부양 특성이 존재하며 동아시아 내에서의 차이 역시 존재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compares the attitudes and behaviors of elderly support among four East Asian countries(Korea, Japan, China and Taiwan)to find characteristics specific to East Asia and to each of the countries. To this end, we analyzed data from East Asian Social Survey(EASS) 2006 and International Social Survey Program (ISSP) 2001. The results are as follows: Regarding attitudes toward supporting the elderly, Korea was found to be most traditional, followed by Taiwan, China and Japan. Behaviors of elderly support were shown most by Taiwan, followed by Korea, China and Japan. Significant variables and their respective directions were different for each country for both attitudes and behaviors. Hierarchical cluster analysis and multidimensional scaling were carried out on the 4 countries of East Asia and 24 countries of the West with levels of emotional parent-support behavior and indicators of aging. The result was classified into four clusters, with Korea, China, and Taiwan(but not Japan), bound up into one cluster, verifying the unique characteristic of East Asia in supporting for the elderly, but demonstrating differences within East Asia as well.

      • KCI등재

        뇌졸증 노인 주부양자의 우울 및 생활만족도 영향요인 분석

        김수영 한국노인복지학회 2008 노인복지연구 Vol.0 No.39

        The major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predictors of depression and life satisfaction among primary caregivers of the elderly with stroke. Total 261 primary caregivers, who reside in 3 metropolitan city, completed self-administrated questionnaire or participated face-to-face interview. Three groups of plausible predictors are considered: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caregivers, caregiving situations, and individual and social resources. The differential effects of the 3 groups were analyzed by employing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First,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primary caregivers were entered in Model I. Variables related with caregiving situations were considered in Model II. Finally, factors associated with individual and social resources were included in Model III. This analytic approach produces the following findings. In Model I, positive past relationship with the elderly reduced depression level of the caregivers. In Model II, the caregiver's depression level increased when they took care of male patient and experienced higher level of patient's problem behavior. However, the quality of past relationship with the patients maintained the same relationship. Higher level of household income, better health status, active applying approach coping strategies were significant predictors in reducing caregiver's depression level in Model III. The effects of patient's gender and problem behavior on depression replicated in Model III. However, the effect of the past relationship was cancelled out. In the first model of life satisfaction, the quality of past relationship with the elderly also showed positive effect on life satisfaction. In the second model, male patients and increasing ADL problems impaired the caregiver's life satisfaction, while the past relationship maintained the same relationship. Constructive uses of coping strategies and more social support contributed to increase life satisfaction in Model III. Significant effects of patient's gender, ADL problems, and the past relationship on life satisfaction also appeared in Model III. The general patterns found in the major findings are consistent with the previous studies dealt with caregivers. However, this study suggests an unique implication from the overall findings. The QOL of the caregivers can substantially decline when older male stroke patients show higher level of behavior problem and dependency of ADL. The findings of this study provide an important clue for policy and practical interventions. 본 연구는 3개 광역시에서 뇌졸중노인 가족부양자를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연구목적은 가족부양자의 우울과 생활만족도 예측요인을 파악하고 기존의 장기요양보호노인 가족부양자에 대한 연구결과와 비교 차원에서 살펴보는 것이었다. 연구대상은 65세 이상 뇌졸중 노인의 주부양자였다. 독립변수는 가족부양자의 특성, 부양상황 특성, 개인적 및 사회적 자원의 세 영역이고, 종속변수는 우울과 생활만족도였다. 자료분석은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주부양자의 우울 예측요인을 보면, 모델 Ⅰ에서는 과거 노인과의 관계가 나쁠수록, 모델 Ⅱ에서는 남성노인을 돌보거나 환자의 문제행동이 증가할 때 우울이 증가하였다. 모델 II에서 과거관계의 질은 여전히 우울과 부정적 관계였다. 모델 Ⅲ의 분석결과, 주부양자의 높은 가구소득, 양호한 건강상태, 적극적 대처의 사용 및 사회적 지지가 우울을 감소시켰다. 모델 Ⅱ에서 유의미했던 피부양자의 성과 문제행동은 여전히 주요변수인 반면, 노인과의 과거관계의 질은 영향력이 상쇄되었다. 생활만족도를 종속변수로 한 예측요인을 보면, 모델 Ⅰ에서는 노인과의 과거관계가 좋을수록 생활만족도는 증가하였다. 모델 Ⅱ에서는 과거 노인과의 관계는 여전히 유의미한 예측요인이고, 피부양 노인이 남성일수록, 노인의 일상생활수행장애가 많을수록 생활만족도는 감소하였다. 모델 Ⅲ에서는 모델 Ⅱ의 유의미한 변수들이 그대로 유지되면서, 적극적인 대처전략의 활용과 사회적 지지의 증가가 생활만족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결과는 장기요양보호노인 또는 치매노인 가족부양자 대상 선행연구에서 나타난 예측요인과 유사한 점이 많다. 그러나 남성 뇌졸중노인을 돌보는 경우, 피부양자의 문제행동이나 일상생활 수행의 의존성이 높을수록 가족부양자의 삶의 질이 떨어질 수 있다는 결과는 뇌졸중노인 가족부양자 대상 정책적, 실천적 개입에 필요한 기초자료로서의 의미가 크다.

      • 치매노인부양가족의 부양부담이 부양부담대처방안을 매개로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최선(Sun, Choi) 한국복지실천학회 2019 한국복지실천학회지 Vol.11 No.2

        본 연구는 치매노인 부양자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긍정적인 프로그램과 정책을 개발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목적이 있고,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시간 의존적 부담, 발달적 부담, 신체적 부담, 사회적 부담, 정서적 부담, 경제적 부담이 회귀계수만큼 영향을 미쳤고, 둘째, 시간 의존적 부담, 발달적 부담, 신체적 부담, 사회적 부담, 정서적 부담, 경제적 부담이 회귀계수만큼 영향을 미쳤으며, 셋째, 치매노인 부양자의 부양부담 대처 방안이 노인치매 부양자의 생활만족도에 회귀계수만큼 영향을 미쳤다. 넷째, 시간 의존적 부담과 치매노인 부양자의 생활만족도의 관계에서 치매노인 부양자의 부양부담대처 방안의 부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다섯째, 발달적 부담과 치매노인 부양자의 생활만족도의 관계에서 치매노인 부양자의 부양부담대처 방안의 부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여섯째, 신체적 부담과 치매노인 부양자의 생활만족도의 관계에서 치매노인 부양자의 부양부담대처 방안의 부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정서적 부담과 치매노인 부양자의 생활만족도의 관계에서 치매노인 부양자의 부양부담대처 방안의 부분 매개효과가 있었고, 여덟째, 경제적 부담과 치매노인 부양자의 생활만족도의 관계에서 치매노인 부양자의 부양부담대처 방안의 부분 매개효과가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necessary basic data for developing positive programs and policies that can affect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dementia care provider, and the following results have been obtained. First, the time-dependent burden, the developmental burden, the physical burden, the social burden, the emotional burden, and the economic burden affected as much as the regression coefficient, and second, the time-dependent burden, the developmental burden, the physical burden, the emotional burden, the economic burden affected as the regression coefficient, and third, the way to cope with the burden of the elderly provider with dementia affected the living satisfaction of the no-in-inch dependant. Fourth, in relation to the time-dependent burden and the life-satisfaction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there was a partial medium effect of the measures to cope with the burden of support for the elderly with dementia, and in the fifth, there was a partial effect of the measures to cope with the burden of support for the elderly with the living satisfaction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and in the sixth and the life-supportive care of the elderly with the elderly. Seventh, the emotional burden and the physical impact on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dementia care provider were partly mediated by the measures to cope with the burden of the support of the elderly dementia care provide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conomic burden and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dementia care provider, and the ninth, the physical burden of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depend only on the development, the burden of the life support, and the burden of the physical burden of the life support of the elderly dependents. In this study, it is meaningful that it can help to lay the groundwork for developing practical guidelines by providing the necessary basic data to develop positive programs and policies that can affect the living satisfaction of the elderly dementia care provider.

      • 노인 부양자의 부양부담감에 관한 연구

        김양이 한국임상사회사업학회 2004 임상사회사업연구 Vol.1 No.2

        사회구조의 산업화, 도시화, 핵가족화에 따라 노인부양에 대한 문제가 피부양자인 노인이나 부양자인 자녀세대에 큰 부담으로 제기되고 있다. 이같은 노인 부양문제는 노인의 경제적 문제나 건강문제, 사회적 소외, 평균수명의 연장 등과 결부되어 부양자나 피부양자에게 부양부담감을 더욱더 가중시키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전라북도에 거주하는 부양자 100명을 유의표집하여 노인부양자의 부양부담감의 정도와 일반적 특성과 부양부담감 수준의 차이 등을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부양자의 일반적 특성에서 부양자의 평균연령은 45세로 매우 낮은 편으로 나타났으며 동거하는 가족수는 5.2명으로 전국수준보다 매우 높게 나타났다. 부양자의 학력은 44%가 고졸이상으로 높았고 피부양자와의 관계는 며느리가 75%를 차지했다. 부양자 가족의 경제상태는 100만원 이상이 56%로 가장 높았고 건강상태는 보통이상이 81%로 양호한 상태라고 응답했다. 부양부담감의 항목에서는 노인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거나 심리적인 부담감항목의 점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적 특성과 부양부담감 간의 차이에서는 정기적으로 수입이 있는 회사원이 부양부담감이 가장 낮았고 학력에 있어서는 대졸이상 부양자의 부담감이 낮고 초졸자의 부양부담감이 높게 나타났다. 주거형태는 전세자가 소유자보다 부양부담감이 높았으며 부양자와의 관계에서는 시부보다 시모 부양자의 부담감이 높았다. 경제상태는 100만원이상 수입자의 부담감이 낮았으며 오히려 300만원 이상 수입자와 99만원 이하 수입자의 부담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는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부양자의 부양부담감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부양지원제도가 필요하다. 즉, 부양자에 대한 세금감면 조치나 노부모의 노후생계비 지원, 부양자에 대한 수당 지급제, 재산의 공동소유권의 인정제도, 재산상속과 부양자의 지분 확대, 부양자가족 유급휴가제도 등의 경제적인 지원제도가 시행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부양부담감 감소를 위한 스트레스 관리훈련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즉, 부양자들의 스트레스를 관리하는 훈련방법으로 자기주장훈련이나 인지적 재구조화, 근육이완훈련, 심상요법 등과 같은 프로그램을 활용하는 것이다. 셋째, 핵가족화로 인하여 경로효친 사상과 가족 부양책임의 약화 현상으로 빚어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부양자 대상의 교육프로그램이 필요하다. 교육대상으로는 미래의 노인부양세대와 현재의 부양자이며 교육내용으로는 노인의 심리적, 사회적, 신체적 특성과 노화, 노인수발방법이나 노인의 질병 및 증상 등이 포함되어야 할 것이다. 넷째, 부양자의 심리적, 사회적 부양부담감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피부양자의 여가프로그램이나 자원봉사활동 프로그램의 활성화가 필요하다. 다섯째, 부양자의 경제적 부양부담감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노인들의 고용촉진정책이 필요하다.이와 같은 노인 부양자들을 위한 부양부담감 감소 방안들은 제도적인 지원뿐만 아니라 실천적인 지원과 학문적인 지원, 재정적인 지원 등이 함께 모색되어야 실천 가능한 사업이 될 것이다. Issues concerning support for the elderly are causing much burden on both the elderly receiving the support and their children providing the support as the society's structure becomes more industrialized and urbanized while more and more families in it are transforming into nuclear families. This elderly support issue, together with financial and health issues of the elderly, social alienation, and extended average life expectancy, is forcing even greater burden on both caregiver and the supported. Consequently, this study chose 100 elderly caregiver residing in the Jeollabuk-do region and concluded the following results gained through identifying the degree of burden felt by caregivers, their general characteristics, the spread between levels of support burden. Average supporter was surveyed to be quite young at 45 years in age, and the average number of accompanying family members was 5.2 persons, a figure quite higher than the national average 44% of the supporters had received high school equivalent education or higher and 57% was daughters-in-law to the elderly. Over 56% of the survey participants reported monthly household income of 1 million KRW or higher, and 81% reported family health states being average or better. Lack of understanding for the elderly and psychological burden ranked high in terms of forms of burden in supporting the elderly. Those with fixed source of income (corporate employees) reported the lowest levels of burden when factoring in general characteristics and the spread between different levels of burden felt, and in terms of education levels, university graduates felt the lowest level of burden with elementary graduates feeling the highest. Renters felt greater burden than homeowners did, and the level of burden was found to be greater with supporters of fathers-in-law than those supporting their mother-in-law. Earners in the income bracket of 1 million KRW/month showed low burden levels, where as those in the income bracket of 3 million KRW/month or higher and 990,000 KRW/month or lower felt, surprisingly, higher levels of burden. Based on the above findings, this research presents the following methods for the facilitation of burdens felt by caregiver : 1.Support systems are needed.In other words, such financial support systems as tax credits for supporters of the elderly, financial support for the elderly, allowance for supporters, recognition of joint ownership of assets, extended inheritance and equity for the supporter, and paid holidays for supporters should be implemented. 2.Stress management training programs to alleviate burdens of support are needed. Hence, programs like self-asserted training or cognitive restructuring, muscle relaxation, imaging therapy, et cetera should be run as training methods aimed at managing stress in supporting the elderly. 3.Educational training for the supporter is needed to resolve issues rising from the society's transformation into nuclear families and the attenuated respect for the elderly and sense of responsibilities for the elderly. Future and current supporters of the elderly are the targets for the training, which will include the elderly's psychological, social, and physical characteristics and aging, caring for the elderly, symptoms of ailments, et cetera.4.Leisure and volunteer services programs for the elderly need to be further activated to reduce psychological and social burdens of caregiver 5.Senior employment policies are needed to help the supporter's financial burden. When recognizing burden, it is important to not only consider the burden felt by those supporting the elderly, but also the psychological burden felt by the elderly as well. Systematic support in addition to practical, academic, and financial forms of support should be sought after in order to realize burden reduction plans for caregiver of the elderly come true.

      • KCI등재후보

        노인장기요양보험 도입에 따른 치매노인 부양자의 부양부담 경감방안 연구

        윤영석 한국자치행정학회 2009 한국자치행정학보 Vol.23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치매노인 부양자의 부양부담을 경감할 수 있는 제도적, 실천적 방안을 도출하고자 하는 것이다. 한국사회는 2008년 7월부터 ‘노인장기요양보험’이 전면적으로 시행됨에 따라 치매노인 부양자의 심리적, 사회경제적 부담이 상당부분 줄어들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그러나 이 제도는 시설보호보다는 재가보호를 우선함에 따라 아직까지 요보호 대상 노인들을 위한 시설인프라가 부족한 상황이기 때문에 지속적인 공적부문의 투자가 있어야 하며, 여전히 높은 경제적 부담을 완화할 수 있는 방안들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기존 치매노인 부양자의 부양부담을 경감하기 위해 제시된 전문적 개입방법인 실천적 지원방안들 역시 노인장기요양보험의 도입으로 인해 상당부분 변화가 필요함을 알 수 있다. 치매노인과 그 가족의 부양부담에 관한 문제의 접근과 해결은 개인과 치매노인이 속한 가족이 아닌 사회적 책임임을 다시 한 번 인식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장기요양서비스 이용 노인 및 노인 부양가족의 스트레스, 생활만족도 및 서비스만족도

        김용희(Yong Hee Kim),안정신(Jeong Shin An) 한국노인복지학회 2012 노인복지연구 Vol.0 No.57

        본 연구의 목적은 장기요양서비스를 이용한 노인 및 노인부양가족의 스트레스, 생활만족도 및 서비스만족도를 파악하는데 있다. 조사는 부산, 대구, 경북에 거주하는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등급판정을 받은 후 장기요양서비스를 이용한 노인 및 노인가족을 임의표집하여 설문조사하였다. 연구대상은 시설 26명, 재가 75명 등 총 101명 노인과 노인부양가족은 131명이 최종자료로 사용되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에 대한 노인 및 노인부양가족들의 영역별 서비스만족도는 요양보호사관련문항, 장기요양보험 서비스, 서비스기관 등 3가지 영역으로 조사되었고, 그 결과 노인 및 부양가족 두 집단의 요양보호사 관련 변인에 유의미하게 나타났으며, 노인들이 부양가족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장기요양보험서비스나 서비스기관 변인에 따른 노인과 부양가족간의 서비스만족도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제도시행 후 노인 및 노인 부양가족이 느끼는 노인부양가족의 스트레스 및 생활만족도 변화는 부양가족보다는 노인이 느끼는 가족의 긍정적 스트레스 변화가 더 크게 나타났고, 노인의 요양등급별 노인 및 부양가족의 생활만족도에서는 장기요양 3등급을 받은 노인이나 부양가족들의 만족도 평균값이 높게 나타났고, 평균점수는 노인이 부양가족보다 조금 높았다. 노인의 가족구성별 생활만족도에서는 독거가족노인들의 생활만족도가 다른 가족구성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제도 이용 후 노인 및 부양가족들의 서비스에 관한 제안점 및 개선안 제시에서는 양측에서 다양한 서비스가 제안되어 앞으로 장기요양서비스 노인 및 부양가족을 위한 서비스 개발에 자료로 활용할 수 있게 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앞으로의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발전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service satisfaction of elderly and elderly family using Long-Term Care Service(LTCS). The study aimed to investigate (1) Elderly & elderly family`s satisfaction on utilization of care service after introducing LTCS. (2) The changing of stresses and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and elderly family after using LTCS. (3) Service program is suggested from elderly family`s as well as elderly for LTCS. As a result, it was revealed that the elderly family`s stresses were decreased and life satisfaction was increased after using LTCS. These results suggest that LTCS play an important role in improving not only elderly but also in reducing elderly family`s burden and stresses.

      • 노인부양정책 개선방안 연구 : 노인부양서비스의 대상 및 서비스내용을 중심으로

        정진경,황정임,김영자,이민영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연구센터 2002 이화사회복지연구 Vol.2 No.-

        우리나라는 '선가정부양 후사회보장'이라는 정책기조 하에 노인부양의 책임을 가족에게 전가함으로써 국가의 책임을 회피해 왔음. 그로 인해 노인부양정책의 대상은 가족에서 부양되지 못하는 저소득중 노인을 중심으로 제공되었으며, 서비스 수준도 미흡하고 제한적이며 잔여적인 수준에 머물고 있음. 그러나 노인인구의 중가, 평균수명 연장 등의 인구사회학적 변화와 핵가족화, 기혼여성의 경제활동 참가 증가 등으로 인한 가족구조의 변화로 노인부양 문제 심각해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노인부양서비스를 중심으로 우리나라 노인부양정책의 현황 및 문제점을 파악하고 향후 개선방안을 모색하고자 함. 노인부양서비스를 분석함에 있어서 노인의 부양욕구에 대한 충족성, 부양자에 있어서의 가족부양과 공적부양의 역할에 대해 초점을 둘 것임. 즉, 첫째, 현행 노인부양서비스의 대상과 서비스내용이 노인의 부양관련 욕구를 충족시키에 충분한지 둘째, 기존의 주부양자였던 가족의 변화하는 추세를 반영하고 있는지, 현행 노인부양서비스틀 통해 가족부양과 공적부양에 대해 어떻게 전제하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함. 이외에도 외국의 사례 분석을 통해 우리나라의 노인부양서비스 개선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 하고자 한다. 연구결과, 우리나라 노인부양정책의 개선방안은 첫째, 노인의 부양욕구를 충족시킬만한 다양한 서비스를 확충해야 하고 둘째, 노인부양 역할을 수행했던 가족의 변화를 고려해 공적부양의 개입을 확대함으로써 가족부양의 노인부양책임을 분담해야 할 것이다. For a long time in Korea, there has been policy ideology of 'family caregiving first, social security next'. So, government has avoided it's responsibility with referring it to family in such that policy ideology. Therefore, the service target has being only focused on the poor elderly and the level of services have been so insufficient, restricted and residual. But elderly caregiving problems become more serious for the reason of elderly demographic change, growth of nuclear family and participation rates of married women in economic activities. This study aims for suggesting the improvement plan of elderly caregiving service policy with analyzing policies and their problems. For this study, we focus on the sufficient for elderly's caregiving needs, and the role of family and public caregiving. And also we obtain lessons from analyzing foreign county's - UK and Japan - policy. As a result, we suggest following improvement plan. First, there must be expanded various services for the fulfillment of elderly's caregiving needs. Second, there must be shared with family and public responsibility with considering family's changes.

      • KCI등재

        부양의식을 통해 본 노인부양 지원정책 방향성 : 기혼여성의 부양경험을 중심으로

        송다영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004 사회복지정책 Vol.19 No.-

        본 연구는 고령화 사회로의 진입과 함께 대두되고 있는 노인부양문제를 기혼여성의 부양의식을 중심으로 재조명하고 이를 바탕으로 노인부양지원정책의 방향성은 제시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기존연구와 달리 가족주의 가치관의 일부로서나 통합된 상태로 측정되었던 부양의식을 독립적인 척도로 구성하여 부양의식의 실재, 부양부담과의 관계, 노인부양지원정책에 대한 복지욕구와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분석에는 총 283명의 노인을 모시고 있는 기혼여성 부양자가 포함되었다. 연구결과, 젊은 연령층, 고학력자, 취업여성일수록 노인을 가족이 책임지고 여성이 수발자 역할을 해야 한다는 부양의식이 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부양의식은 세부적으로 나누어보면 부모와의 동거의식이나 성역할에 기반한 부양의식은 약화만 반면 부모공양의식은 여전히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부양의식은 다론 관련변수를 통제한 이후에도 부양부담에 주요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향후 노후생활 대비 방안, 노인복지서비스 이용의사, 노인부양정책의 필요성 및 복지욕구 둥에 각각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구체적으로 부양의식이 비전통적인 사람일수록 노후생활 대비, 노인복지서비스 이용, 노인부양지원정책 등에 있어 보다 사회의 책임을 강조하고 적극적인 복지서비스 이용의사를 보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에 비추어 볼 때 고령화 사회 노인부양문제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부양의식의 변화를 통합적으로 고려해야 할 필요성과 함께 성인지적 노인부양지원정책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The study was to reveal the importance of the connection of the consciousness of family caregiving among women with the development of eldercare policy in the aging society. The present study developed the index of the consciousness of family caregiving for elderly care, contrary to the prior research in which it has been considered as one of sub-components of familism or treated as same. The study analyzed the association of the consciousness of family support for eldercare with the amount of care burden and the need for eldercare policy. 283 family caregivers were included. Results showed that the change of the consciousness occurred mainly among those with younger age, higher education, and working in the labor market. The consciousness, however, included substantial change in the concept of co-habitance and sex-fixed role in elderly care, but not in the concept of parent-child support. It also had impact on the elderly care burden after controling for other variables. The preference for eldercare service use and the need for eldercare policy were also, respectively, affected by the consciousness. Specifically, those of less traditional way of thinking were more supportive for more intervention of government and less burden from family(women), on the issues of the security of later life and long/short-term elderly care. These findings provide some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the development of gender-sensitive and integrated social policy for elderly care.

      • KCI등재

        여성의 취업실태별 노인부양부담과 역할갈등

        송다영(Song Dayoung),김미경(Kim Mi-kyoung) 한국여성학회 2003 한국여성학 Vol.19 No.2

        고령화 사회의 노인부양문제는 성별분업 사회구조 속에서 여성들이 노인에 대한 일차적인 수발을 담당하게 되고 이에 따라 일상생활은 물론 사회생활 전반에 영향을 받는다는 점에서 여성문제와 밀접히 연결되어 있다. 취업구조 및 가족구조가 변화하는 가운데 여성의 역할이 다중화 되면서 노인부양은 여성들에게 많은 부담과 갈등을 야기한다는 지적이 있어왔으나, 노인부양부담 및 역할갈등을 여성의 취업실태별로 차별성 있게 접근하고 대책을 제시하는 연구 는 거의 이루어지고 있지 않은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여성의 취업실태에 따른 노인부양부담 및 역할갈등을 고찰하고 여성들이 일상적으로 겪는 부양부담을 완화하고, 나아가 여성의 취업을 지속 및 증가시킬 수 있는 성인지적(gender-sensitive) 대책 방안을 제시해보고자 한다. 여성들의 취업실태별 노인부양부담과 역할갈등에 대한 연구결과, 취업여부, 부양자 여성의 건강상태, 피부양노인 수, 일일 평균 부양시간, 부양의 가계부담정도, 수발책임의 정도, 노인과의 갈등, 노인의 부양내용에 대한 만족반응 여부, 노인부양 가족주의 가치관 등이 여성의 노인부양부담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미한 변수로 나타났다. 또한 본 연구에서 초점으로 하고 있는 취업지위에 따른 역할 갈등이 모두 주요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나타났다 취업 여성은 노인을 부양함으로써 발생하는 취업활동 제약으로 인한 역할갈등이, 비취업여성에게는 일일평균부양시간이나 취업의사가 부양부담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결정적인 요인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성역할 고정관념 속에서 여성에게 일방적으로 주어지는 노인부양역할은 취업구조 변화와 함께 수반되는 여성들의 현실 및 의식 변화를 수용하는 차원에서 보다 적극적인 사회적 해결방안이 모색되어져야 하겠다. 노인부양의 사회적 분담 증대와 함께 보호노동의 가치인정, 가족 내 역할분담 중대, 부모-성인자녀간 관계 재정립, 재가복지서비스 및 가족친화적 고용정책의 도입 등이 대안으로 제시되었다. Elderly care in the aging society becomes one of the critical issues in women's lives. Multiple roles due to increasing labor participation and changing family structure have brought burdens and conflicts among the women who care for elderly parents. However, few studies has not been done to analyze which factors influence the burdens of elderly care, focusing on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the caring experiences by working women and housewives. The present study is to explore caregiving burdens and role conflicts by women's work status and provide social counter-measurements. Data were gathered from survey questionnaire of 283 women whose husband work at the City and District Government in Seoul and who care for 65+ aged parents. Statistical method on SAS 6.12 was used to reveal related factors of eldercare burden and role conflict among women. Three analyses were done: the first for all women, the second for working women, and the last for housewives. Results show that caregiving burdens among women are affected by their health conditions, number of the old, daily care hours, perception of economic constrains, amount of primary caregiving responsibility, emotional conflict with the elderly parent, responsive attitude of the old on caregiving, elderly-care related familism. Work-related factors make significant contributions to the eldercare burdens of women. In particular, work-role conflicts for working women and average hours of caregiving work for housewives are determinant variables in the analysis. Gender-sensitive policies and programs are suggested, along with the socialization of caring work.

      • KCI등재

        Old-Age Care in Sweden

        백주희(Ju-Hee Baek),손주희(Ju-Heui Son),Steven H. Zarit, Gerdt Sundströ,m 한국노년학회 2004 한국노년학 Vol.24 No.2

        급변하는 노인부양 행동과 가치관의 변화, 그리고 그에 따른 새로운 노인부양책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는 한국의 현실을 고려해 볼 때, 선진국의 노인부양 시스템을 분석하고 한국에 적용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보는 것은 필요한 일이라 할 수 있겠다. 따라서 본 연구는 여러 선진국들 가운데서도 노인복지가 가장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스웨덴의 노인부양 시스템의 장단점을 분석하여 한국 노인부양책의 지침을 마련하고자 한다. 스웨덴의 공공 노인부양 시스템은 육체적 그리고 정신적으로 도움을 필요로 하는 노인의 다양한 요구를 효과적으로 충족시켜왔다. 다학제적인 기반아래 이루어지는 부양 계획(Multidisciplinary Care Plan), 소규모의 양로시설 환경, 그리고 자가거주 노인들의 독립성과 자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스웨덴의 노인부양 시스템은 한국의 노인부양 정책에 적용 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스웨덴의 노인부양 시스템을 받아들이기에 앞서 급변하는 한국 노인들과 그 부양자들의 가치관과 요구를 충분히 조사하고 이해하는 것이 앞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Swedish public old-age care appears to be highly effective in meeting various needs of physically and cognitively impaired older people. Approaches such as multidisciplinary Care Plans, the small scale of residential care settings, and priority of community care for the elderly at home which promotes independence and autonomy can be adopted for Korean elder care policies. A close watch of what can be learned from weaknesses and strengths of Swedish old-age care can be useful, considering the aging population and ideological or behavioral changes in elderly caregiving in Korea. However, any adoption of foreign lessons must be evaluated in cultural terms: culturally sensitive programs for the Korean elderly and their family members are requir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