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실업급여 수급자 특성에 관한 연구: 삶의 기회와 노동 안정성 측면에서

        이준석,정주원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2022 政策分析評價學會報 Vol.32 No.4

        This study trie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unemployment benefit and life chance which can be defined as disparities in condition or chance one could get in accordance with his or her position in hierarchical structure of labour market. In addition, the differences of life chance caused by whether one’s job is regular are also included because it can lead to alienation and exclusion not only in labour market but also in every day life. The analysis results can be summed up as follows. At first, labour instability (non-regular work)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explaining the probability of receiving unemployment benefits. Secondly, the probability appeared to decrease as the total amount of labour income of households increases. At third, we tried to to check whether the probability increases when one’s occupational position decreases in hierarchy of labour market, but the result was not robust. At forth, the low robustness seemed to be caused by interaction which occupational position has with income or labour instability. 본 연구는 실업급여 수급 여부와 개개인의 삶의 기회 간 관계에 대해 분석하였다. 이때 삶의 기회는 포괄적 개념이 아닌, (노동)시장에서의 위계적 위치에 따른 차등적이며 독점적인 조건과 기회의 차이로 정의하였으며, 일터에서는 물론 삶의 전 영역에 걸쳐 소외와 배제 현상을 가져온다고 지적되는 노동 불안정성에 따른 기회 차이 역시 포함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개인의 실업급여 수급 확률을 설명하는 데 있어 노동 불안정성(비정규직 여부)이 가장 핵심적 요인이었다. 둘째, 가구의 노동소득 총액이 증가할수록 수급 확률은 낮아지는 경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노동시장 구조를 직업위치(occupational position)를 중심으로 위계적으로 표현한 후, 개인의 위치가 하향함에 따라 실업급여 수급 확률은 높아지는지 확인해 보고자 하였으나, 그 결과는 그리 견고하지 않았다. 넷째, 이러한 직업위치와 실업급여 수급 간 관계의 낮은 견고성은 직업위치가 불안정성이나 소득과 갖는 상호작용 때문이라고 볼 수 있었다

      • KCI등재

        경력과 조직환경요인이 비서의 정서노동에 미치는 영향

        김정아(Kim Jeong-A),조영아(Cho Young-Ah),유승혜(Yoo Seung Hye) 한국비서학회 2011 비서·사무경영연구 Vol.20 No.1

        본 연구는 비서의 정서노동에 경력, 정서표현규범, 상사의 리더십, 고용불안정성이 어느 정도 영향을 주는지를 규명하여 비서의 정서노동에 대한 이해를 돕고 향후 비서가 정서를 잘 관리하여 업무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고 최상의 성과를 얻을 수 있는 방안을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검증하기 위해 현직 비서를 대상으로 167개의 설문지를 수집하였고 SPSS 15.0 for Windows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경력은 내면적 정서노동에 유의한 차이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소속기관의 정서표현 규범은 내면적 정서노동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상사의 변혁적 리더십은 내면적 정서노동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표면적 정서노동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넷째, 고용불안정성은 표면적 정서노동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서가 마음에서 우러나서 우호적, 긍정적인 정서를 표현하기 위해서는 최소 1년 6개월 이상의 업무경력 기간이 필요하다. 조직환경 변인 중에서 내면적 정서노동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정서표현규범이며 표면적 정서노동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상사의 변혁적 리더십이다. 또한, 연구결과는 조직환경적인 측면에서 비서가 정서를 잘 관리하여 직무수행 성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소속기관은 긍정적인 정서 표현규범을 비서에게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사는 변혁적 리더십을 발휘하고 소속기관은 비서에게 안정적인 고용환경을 제공하여야 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career, emotional display rule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job insecurity on the emotional labor of secretaries. There were two specific objectives. The first was to help understand the emotional labor of secretaries. The second was to provide the implication that a secretary gives the best work by controlling emotional labor. Data was collected from convenient samples of 167 female employees working as secretaries in companies located in Seoul and Kyunggido. All data analysis was accomplished using the SPSS 15.0 statistics package. There were four major results. First, career deeply influences emotional labor. Second, emotional display rules of the institutions to which a secretary belongs greatly influences the deep emotions of a secretary. Third,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bosses influences both surface acts and deep emotions of a secretary. Fourth, job insecurity had a positive influence on the surface actions of a secretary. In order to manage the emotional labor of secretaries and enhance their work performance, positive emotional display rules provided by the institutions,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the boss, and job insecurity were important variabl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