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노동조합과 노동수요탄력성: 노조기업과 비노조기업에 대한 실증분석

        남성일 ( Sung Il Nam ) 한국노동경제학회 2011 勞動經濟論集 Vol.34 No.3

        이 논문은 노조기업의 노동수요탄력성이 비노조기업의 그것보다 작을 것이라는 이론적 예측을 실증적으로 검증한다. 이를 위해 기업정보 TS2000의 1990~2009년 기간의 기업체패널 자료를 이용하여 노동수요함수의 정태모형과 동태모형 그리고 노동비용 비증방정식을 추정한다. 추정결과는 첫째, 노조기업의 노동수요의 임금탄력성은 0.34~0.49로 비노조기업의 절반 수준이하로 나타났다. 둘째, 노조기업은 임금 및 산출 변화에 대한 고용조정에서 비노조기업보다 더 경직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노동과 자본간 대체탄력성에 있어서는 노조기업과 비노조기업 간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paper empirically tests the theory that labor demand elasticity of unionized firms would be smaller than that of nonunionized firms, using the Korean firms` panel data for 1990-2009. The major findings are the following: First, the estimates of labor demand elasticity of unionized firms are in the range of 0.34-0.49, less than a half of those of nonunionized firms, hence supporting the theory. Second, the unionized firms are more rigid in dynamic adjustment of employment than nonunionized firms. Finally, there a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unionized and nonunionized firms in the elasticity of substitution.

      • KCI등재

        IT투자가 노동수요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홍효진,홍필기,이영수 한국정보화진흥원 2010 정보화정책 Vol.17 No.4

        고용 없는 성장이 지속되는 가운데, IT가 고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논란이 지속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03년부터 2008년까지 총 6년간 국내의 매출액 1,000억 원 이상 498개 기업을 대상으로 IT투자가 노동수요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분석 하였다. 본 연구결과, 일부 서비스업을 제외한 대부분의 산업에서 IT투자가 노동수요를 증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조업의 경우 IT투자가 증가할수록 노동수요는 증가하나, IT투자에 따른 노동수요탄력성은 작아 IT투자는 低숙련 노동과는 대체관계에 있고 高숙련 노동과는 보완관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력·가스 및 건설업 역시 IT투자가 증가할수록 노동수요가 증가하며, IT투자에 따른 노동수요탄력성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서비스산업의 경우, 생산자 서비스업에서만 IT투자가 증가할수록 노동수요가 증가하였으며, IT투자에 따른 노동수요탄력성도 큰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유통 서비스업과 사회 서비스업에서는 IT투자와 노동수요 간에 유의한 관계가 발견되지 않았다. Under the continuing economic growth without increase in employment, issues regarding the impact of IT investment on demand for labor have been continuously raised. Under the circumstance, this study carried out an empirical analysis on the impact of IT investment on employment with a sample of 498 businesses whose domestic sales for the period of six years from 2003 to 2008 are KRW 100 billion or above. The result of the analysis found that IT investment increases employment in most of the industries except for some of the service sectors. In the manufacturing industry, more IT investment increased employment but decreased the flexibility in demand for labor; therefore, IT investment has a substitutional relationship with low-skilled labor and a complementary relationship with high-skilled labor. In the areas of electricity, gas and construction, employment increased as IT investment increased, with the greatest flexibility in demand for labor. In the service industry, increase in IT investment led to more employment and higher flexibility in producer services only. On the other hand, there was no meaningful relationship found between IT investment and employment in the areas of distribution services and social services.

      • KCI등재

        우리나라 학력별 임금격차의 요인분해(1974∼2011)

        박강우(Kang-Woo Park) 한국산업경제학회 2014 산업경제연구 Vol.27 No.1

        본고는 Katz and Autor(1999)와 Goldin and Katz(2009)의 노동공급-노동수요-제도 모형(SDI: Supply-Demand-Institutions framework)을 1974∼2011년까지의 우리나라 자료에 적용하여 우리나라 학력별 임금격차의 변동을 수요 및 공급측 요인으로 분해하고 각 요인의 상대적 기여도를 비교하였다. 아울러 노조의 협상력이나 비정규직 비중 등 제도적 요인이 학력별 임금격차에 미친 영향도 함께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다음과 같은 몇 가지 결론을 얻었다. 첫째, 고학력-저학력 노동간 대체탄력성 추정 결과 미국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추정치를 얻었는데, 이는 상대노동공급의 변동폭이 주어진 상황에서 학력별 임금격차의 일정한 변동을 설명하기 위해서는 미국의 경우보다 노동수요가 더 큰 폭으로 변동했어야함을 의미한다. 둘째, 추정 결과를 바탕으로 학력별 임금격차를 요인분해한 결과, 우리나라 학력별 임금격차의 변화는 상대노동공급의 변화보다는 상대노동수요의 변화에 의해 주도(demand-driven)되어 온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성별로 나누어 보면 여성의 경우가 남성에 비해 상대노동공급의 기여도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고 연령별로는 청년층이 외환위기 이후를 중심으로 상대노동수요와 노동공급의 변동성이 함께 커지면서 전체 노동수급의 변동을 주도해 온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제도적 요인으로서 노조의 협상력 증대와 비정규직 비중의 확대는 둘 다 학력별 임금격차를 확대하는 동시에 고학력-저학력 노동 간의 대체탄력성을 낮추는 요인인 것으로 판단된다. Applying the Supply-Demand-Institutions framework of Goldin and Katz(2009) to Korean labor data (1974∼2011), we decompose changes in college premiums into the parts driven by relative supply or demand factor, thereby we compare the relative contributions of each factor. In addition, we investigate the effect of institutional factors, such as bargaining power of union and share of temporary workers on the college premium.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we obtain a relatively larger estimate for the elasticity of substitution between college and high school graduates, compared with those reported in the previous studies on the U.S. labor market. Second, the decomposition results reveal that changes in the college premium in Korea are mainly driven by movements in relative labor demand, rather than those in relative supply. Third, compared by sex, the relative contribution of supply factors is higher in female workers than in male workers. Compared by age, the volatilities of both supply and demand factors are higher in young workers(20-29 years old) than in all workers, implying that the relative supply and demand of young college graduates have mainly driven the changes in the overall composition of labor supply and demand by education level. Finally, both a stronger bargaining power of union and a larger share of temporary workers tend to increase the level of college premiums and reduce the substitutability between college and high school graduates.

      • KCI등재

        Industrial Difference in Employment Effect of Economic Growth

        최창곤(Chang kon Choi) 한국경제통상학회 2011 경제연구 Vol.29 No.4

        본 연구는 경제성장과 고용증가와는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이론적 및 실증적인 분석을 한다. 경제성장에 따른 취업자의 증가를 결정하는 경제구조적인 요인이 있는지를 분석하고자 한다. 분석결과는 고용탄력성은 자본계수와 노동생산성의 노동탄력성(=ϚNN)과는 역의 관계가 있고 노동공급의 임금탄력성과 노동생산성의 자본탄력성과는 정의 관계를 보이고 있다. 특히, 도출된 고용탄력성을 이용하여, 전 산업 및 산업별 자료를 대상으로 추정된 고용탄력성의 값이 변해왔다면 그 변화의 원인을 분석한다. 분석결과 일부 산업은 생산구조의 변화에 그 원인이 있지만 다른 산업에서는 노동공급구조의 변화에 그 원인이 있을 수 있음을 보였다. It is often argued that job creation effect of economic growth is not so large as in the past. Apparently, since the employment does not increase enough while the economy grows, the phenomenon has been called as "Jobless growth". It looks that most empirical papers confirms it based on the empirical estimates of the so called employment elasticity. This paper aims to refine the topics by looking at how employment effect of economic growth is different depending on the industry. First, this paper shows empirically that employment elasticity is not the same, but different for different industry. And it has changed over time: while the value has decreased for some industries like manufacturing and construction, it has increased for others like finance, insurance and education. Second, it is shown that each industry has its own reason for its employment elasticity to have changed differently over time. We try to identify which determinant(s) is (are) responsible for changes in empirically estimated values of employment elasticity in each industry.

      • KCI등재후보

        문화예술수요 결정요인에 대한 국가 간 비교 연구 : 노동시간과 가계지출, 그리고 문화서비스 지출의 상관관계를 중심으로

        이창진,김재범 한국예술경영학회 2013 예술경영연구 Vol.0 No.26

        This article investigates the characteristics of demand for art and culture in the viewpoint of cultural economics, and discusses taste, education, and social relation as determinants of art demand. We reviewed the existing literature in the determinants of art demand, specifically price and income. This article tested the effect of total household expenditure and working hours on art demand using regression model. Different from the other OECD countries, where working hours are not a significant variable of art and culture demand, art demand in Korea is significantly influenced by working hours even though total household expenditure is a more significant determinant. This paper concludes that financial income is a more effective factor on the demand of art than leisure time, but income elasticity tends to decrease when a country reaches a certain level of wealth, meaning that the financial subsidy alone might not be an effective policy for increasing demand for art and culture. 본 논문은 문화예술경제학에서 논의되고 있는 문화예술수요의 특징을 정리하고, 수요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로서 취향, 학습, 사회적 관계를 위한 자원으로서 활용되는 측면 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주요한 수요 결정요소인 가격과 소득에 대해 기존의 문헌들을 고찰하고, 여가시간과 소득이 예술수요에 미치는 영향을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여가시간과 관련된 지표로서 노동시간을 수요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서 분석한 본 논문의 결과에 의하면, 한국의 경우 노동시간 즉, 여가시간이 문화예술의 수요에 미치는 영향보다는 소득이 더 설명력을 가지는 변수로 추정할 수 있었다. 외국의 결과와 비교하면, 노동시간의 경우 상기한 시계열 패턴은 한국에만 특유한 것으로 보이며, OECD 국가를 대상으로 한 비교에서 노동시간의 설명변수로서의 유의성을 찾기 어려웠다. 반면, 총지출은 오락/문화 서비스 지출에 대한 설명변수로서 일관되게 유의하게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문화예술시장에 더 큰 영향력을 가지는 것은 여가시간보다는 소비자가 경제적으로 오락/문화 분야에 지출을 할 여유라고 해석된다. 또한 국가별 자료비교결과, 문화서비스 지출의 소득 탄력성은 어느 정도 소득이 증가하게 되면 다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 경제적 지원만으로는 문화예술 활성화에 한계가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 KCI등재

        가계 소비지출구조의 패널 분석 : 가구주의 노동시장 특성과 근로소득을 중심으로

        임찬영(Chan-Young Lim) 한국자료분석학회 2021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23 No.3

        본 논문은 가구주의 노동시장 특성이 가계 소비지출구조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노동패널 자료에 준이상수요체계(AIDS) 모형을 적용하여 2005~17년까지의 비목별 구성비 함수를 추정하고 지출 탄력성을 계산하였다. 추정 결과 노동시장의 직업지위와 고용상황이 가계 소비에 여실히 반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체적으로 직업지위가 낮은 단순노무직과 비정규직 가계는 식비, 주거비, 보건의료비, 교통비 등 생활필수품의 비중이 높고, 반면 가구주의 직업지위가 높은 가계는 외식비, 피복비, 교양오락비의 비중이 높았다. 지출 탄력성 계산 결과 필수재 성격의 비목에서는 직업지위가 낮거나 비정규직인 경우 지출 변화에 민감하였다. 선택재인 외식비와 교양오락비는 하위 직종일수록 탄력성이 컸고, 기타 지출과 내구재 및 생필품비는 상위 직종일수록 탄력성이 커서 비목별로 직업 간 민감도에 차이가 있었다. 향후 보건의료, 교양오락, 외식비 등에서 소비 증가 가능성이 높다. 하위직 근로자나 비정규직 등 노동시장 취약계층의 소비복지를 위해서는 의식주 관련 재화의 가격안정과 공공 복지확대뿐 아니라 노동시장에서 안정적 소득창출과 고용안정 등의 처우개선이 필요해 보인다. This paper analyzed the effect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labor market on the structure of household consumption expenditure. By applying the almost ideal demand system(AIDS) to the Korean Labor and Income Panel Study(KLIPS), the demand function for 11 item was estimated from 2005 to 17, and expenditure elasticity was calculated.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job and employment status were reflected in household consumption. In general, households with low job status or non-regular workers had a high proportion of daily necessities such as food, housing, health care, and transportation. On the other hand, households with high job status had a high proportion of spending on eating out, clothing, and entertainment expenses. Also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sensitivity of spending between jobs by consumption category.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consumption will increase in health care, cultural entertainment, and eating out in the future. For the consumption welfare of the vulnerable in the labor market, it is necessary to stabilize the prices of goods related to food, clothing and housing, and to expand public welfare, as well as to create stable income and stabilize employment in the labor market.

      • KCI등재

        ICT 자본 투입이 노동 및 에너지 수요에 미치는 영향: 한국, 미국, 영국의 제조업 및 전기,가스,수도사업의 생산구조 비교

        김지효 ( Ji Hyo Kim ),허은녕 ( Eunn Yeong Heo ) 한국환경경제학회·한국자원경제학회(구 한국환경경제학회) 2014 자원·환경경제연구 Vol.23 No.1

        본 논문은 한국, 미국, 영국의 제조업 및 전기·가스·수도사업에서 ICT 확산이 노동 및 에너지 수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연구하였다. 제조업에 대해서는 ICT 자본, 비ICT 자본, 노동, 전기, 연료, 재료를 생산요소로 가정하고, 전기·가스·수도사업에 대해서는 ICT 자본, 비ICT 자본, 노동, 에너지·재료를 생산요소로 가정하여 요소 간 대체관계를 분석하였다. 모리시마 대체탄력성 추정결과 및 요소의 상대적 가격변화를 고려할 때, 3개 국가의 제조업 및 전기·가스·수도사업에서 ICT 자본은 노동을 대체하여 노동 수요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ICT 자본에 비해 전기 및 연료의 가격증가율이 높은 미국과 영국의 제조업에서 ICT 자본은 전기 및 연료를 대체하여 에너지 수요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의 제조업에서 ICT 자본과 전기 및 연료가 대체관계에 있으나, 요소의 상대적 가격변화를 고려하면 ICT 자본이 에너지 수요 감소에 기여했다고 보기 어렵다. 3개 국가의 전기·가스·수도사업에서 ICT 자본은 에너지·재료를 거의 탄력적으로 대체하여 에너지·재료 수요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We investigate the effect of ICT capital on the demands for labor and energy in manufacturing and electricity·gas·water industries of Korea, US, and UK. Assuming ICT capital, non-ICT capital, labor, electricity, fuel, and material as input factors for manufacturing and ICT capital, non-ICT capital, labor and energy·material as input factors for electricity·gas·water industry, we estimate the Morishima elasticities of substitution. Considering the relative price changes of input factors, ICT capital has substituted labor in manufacturing and electricity·water·gas industries of the three countries. ICT capital has substituted both electricity and fuel in US and UK manufacturing. Although ICT capital has substituted electricity and fuel each other in Korean manufacturing, ICT capital is unlikely to decrease the demands for electricity and fuel when considering their relative price changes. ICT capital has substituted energy·material in electricity·gas·water industries of the three countries.

      • KCI등재
      • KCI등재

        서비스 아웃소싱이 노동수요에 미치는 효과 분석

        이영수 ( Young Soo Lee ),서익진 ( Ick Jin Seo ),서환주 ( Hwan Joo Seo ) 한국산업조직학회 2008 産業組織硏究 Vol.16 No.4

        본 연구는 Campa and Goldberg (1997)와 Strauss-Kahn (2003)의 아웃소싱 추정방식을 이용하여 아웃소싱 진전이 노동수요에 어떠한 영향을 끼쳤는지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해외서비스업 및 국내서비스업으로의 아웃소싱은 고숙련노동 및 저숙련 노동 모두를 대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서비스아웃소싱 진전으로 인한 고숙련 및 저숙련 노동의 대체는 생산의 효율성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국내서비스 아웃소싱이 고급기술산업의 생산 효율성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We examine empirically the impact of outsourcing in services on the labor demand in Korean manufacturing industries, using outsourcing index developed by Campa and Goldberg(1997) and Strauss-Kahn(2003). Some of major findings from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ternational and domestic outsourcing in services substitute high-skilled labor and low-skilled labor as well. Second, the increase of outsourcing enhances the efficiency of Korean manufacturing industries by factor substitution. Third, domestic outsourcing in services has negative effect on the efficiency of high-technology manufacturing sectors.

      • KCI등재

        숙련 편향적 기술진보와 학력별 노동자의 임금 격차: 산업 간 패널자료를 이용한 실증분석

        김시원 한국국제경제학회 2022 국제경제연구 Vol.28 No.3

        Using panel data of industries, this study estimates an equation of the skill premium derived from the CES production function. We find that the Korean economy experiences skill-biased technological changes during the 1993-2008 sample period. However, the implied elasticity of substitution between skilled and unskilled workers is pretty large compared to the case of other advanced economies. The large value of the elasticity implies that skilled workerscan be replaced easily by unskilled workers and hence skill-biased technological progress has only limited impacts on the skill premium. The examination on the quantitative importance of skill-biased technological yields the result consistent with this implication: the supply index is a more dominant factor than skill-biased technological progress in shaping the observed trend of skill premium over the past three decades in Korea. Finally, we find no evidencethat skill premium is more concentrated on younger age cohorts. The current result implies that skill-biased technological change developed since 1990s has only limited impact on college premiu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