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우리는 노년층의 스마트폰 이용에 대해 얼마나 알고 있는가?: 노년층 내에서의 디지털 격차 결정요인

        김지현(Jeehyun Kim) 한국정보사회학회 2020 정보사회와 미디어 Vol.21 No.3

        이 연구의 목적은 노년층을 대상으로 집단을 세분화시켜 그들의 미디어 이용, 구체적으로는 스마트폰과 같은 디지털 기기 활용 현황을 체계적으로 살펴보는데 있다. 이를 위해 정보통신정책연구원의 ‘2019 한국미디어패널조사’ 데이터를 활용해 3가지의 주된 질문에 답하고자 했다. 첫째, 노년층은 스마트폰을 디지털 기기로 활용하고 있는가, 그것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무엇인가? 둘째, 노년층은 스마트폰으로 무엇을 하는가? 스마트폰을 이용하는 목적은 무엇이며, 얼마나 다양하게 활용하는가? 셋째, 노년층 내 스마트폰 이용역량과 그것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무엇인가? 디지털 격차 결정요인은 크게 인구통계학적 변수와 관계적 변수로 나누어 분석했다. 분석 결과, 성별, 학력, 소득, 직업의 유무, 거주지역과 같은 인구통계학적 특성뿐만 아니라 배우자의 유무, 가족 구성원의 형태와 같은 사회적 관계망 역시 노년층의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이용 경험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노년층 내에서도 연령대별로 스마트폰을 다양하게 활용하는 정도에 차이를 보였으며, 인구통계학적 특성 전반과 사회적 관계망 중 가족 구성원의 형태에 따라 스마트폰을 이용하는 목적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혼 여부/배우자의 유무 등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마지막으로 인구통계학적 특성은 노년층의 스마트폰 이용역량에도 영향을 주었으며, 사회적 관계망과 스마트폰의 이용목적에 따라서도 노년층의 스마트폰 이용 역량에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통해 빠르게 변화하는 사회 속에서 1) 노년층에게 의미있는 자원(source)으로써의 스마트폰의 역할을 탐구하려는 연구자들에게 기초자료를 제시하고, 2) 노년층 내 디지털디바이드(digital divide) 문제에 대한 정책적 방향성을 제공하고자 했다. “Aging” and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y” are words that represent the characteristics of modern society. South Korea, a powerhouse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has progressed rapidly in aging and in 1999 it has already become an aging society. The fact that the baby boom generation, who has been in social life in the 1990s and 2000s when the Internet was rapidly developed, is flowing into the elderly from 2020, suggests that an academic approach to the elderly needs to pay attention to the divergence within the elderly. However, media studies so far have been stingy at attempting to subdivide the group by excluding the elderly aged 60 or older from the target of analysis or by assuming it as a single group and analyzing it. It would be too wasteful to repeat the mechanical analysis after setting the group that has flowed into the elderly and the baby boomers as one group without having enough access to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such as the Internet. This study aims to systematically examine the state of the elderly"s use of media, specifically the use of digital devices such as smartphones, while redefining the elderly as active members of society. The current study will try to understand the determinants of the digital divide that is taking place within the elderly by analyzing smarphone use. Based on it, this study attempted to answer three main questions. First, what are the factors that affect whether the elderly use smartphone applications(excluding simple phone calls and text messages)? Second, what do older people do with their smartphones? What are the differences within the elderly? Third, how is the ability to use smartphones among the elderly? What are the factors that influence it? For the analysis, the "Korea Media Panel Survey" of the Korea Information Society Development Institute(KISDI) was used as secondary data. The determinants of digital disparity were largely divided into demographic variables and relational variabl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not only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uch as gender, education, income, and occupation, but also social network such as the presence of a spouse and the type of family members living together also influence the experience of using smartphone applications in the elderly. In addition,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degree of various use of smartphones by age group even within the elderly, and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types of smartphone applications mainly used according to the overall demographic characteristics (including gender, education, income, jod) and the type of family members among the social network(family type). There was no difference according to marital status. And in order to see how variously the smartphone is used, we analyzed how many applications are mainly used. Even among the elderly, the younger the age, the more diversely using smartphones as digital devices, specifically, there was a difference of about twice as much in the degree of various applications in their 60s and 80s. Lastly, demographic characteristics influenced the smartphone use capability of the elderly, and there was a difference in smartphone use capability of the elderly according to the social network and the motivation of using the smartphone. Based on these analysis results, this study intended 1) to present basic data to researchers who want to explore the role of smartphones as a meaningful resource for the elderly in a rapidly changing society, and 2) to provide a policy direction for the problem of digital divide within the elderly.

      • KCI등재후보

        노년층과 잠재 노년층의 주거선택 비교분석

        권연화(Kwon Yeon Hwa),최열(Choi Yeol) 한국부동산학회 2016 不動産學報 Vol.66 No.-

        ‘초고령사회’를 대비해야 하는 시점에서 노년층뿐 아니라 잠재 노년층에 대한 고려도 필요하므로 본 연구에서는 노년층과 잠재 노년층의 비교를 통해 그들의 사회적 네트워크 특성을 살펴보고, 이런 특성들이 그들의 주거선택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개인특성, 가구특성뿐 아니라 가족중심 사회적 네트워크의 구조적 특성과 기능적 특성 및 가족외 사회적 네트워크의 특성까지 고려하여 실증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가족중심 사회적 네트워크의 구조적 요소는 잠재 노년층이 자가아파트에 비해 임차아파트를 선택할 확률에, 노년층이 자가아파트에 비해 임차주택을 선택할 확률에 영향을 주었다. 가족중심 사회적 네트워크의 기능적 요소인 자녀에 대한 만족도가 낮을수록 잠재노년층과 노년층 모두 임차가구(임차주택, 임차아파트)를 선택할 확률이 커졌으나 자녀지원 변수는 노년층에게만 유의미하여 자녀에게 경제적 지원을 받지 않을수록 자가아파트에 비해 임차아파트나 자가주택을 선택할 가능성이 높게 나타났다. 1. CONTENTS (1) RESEARCH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difference in social network characteristics and the major determinants on housing choice through the comparison of the latent-elderly(the middle-aged) and elderly. (2) RESEARCH METHOD It was analyzed using multinomial logit model with KLoSA data. The independent variables are involved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household characteristics, structural and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family-based social network and non-family-based social network characteristics. (3) RESEARCH FINDINGS We found the difference in housing choice between the latent-elderly and the elderly according to social network variables. For the latent-elderly, meeting frequency, satisfaction on children, friendship meeting and religious meeting have impact on the probability of choosing a rent-apartment than the owner-occupied apartment. For the elderly, accessibility, meeting-frequency, contact-frequency, satisfaction on children, friendship meeting and religious meeting have impact on the probability of choosing a rent-housing than the owner-occupied apartment. 2. RESULTS To prepare for the super-aged society and make the desirable elderly housing policies, it is necessary to consider diverse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and latent-elderly.

      • 노년층 대상 교육의 변화를 통해 본 박물관의 역할 모색 : 국립중앙박물관 노년층 대상 교육프로그램을 중심으로

        문정훈 국립중앙박물관 2018 박물관 교육 Vol.2 No.-

        본 연구의 목적은 노년층 대상 교육의 변화를 통해 박물관의 역할을 모색해 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국립중앙박물관 노인 혹은 노년층을 대상으로 한 교육의 흐름과 현황을 확인하고 참여자의 설문 결과를 바탕으로 박물관이 긍정적인 노년기를 위해 중요한 매개체로서 사회발전에 이바지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국립중앙박물관은 1949년 교사 대상 교육, 1970년대 관원을 위한 강좌, 1987년 일반인을 위한 프로그램은 노인 강좌로 시작하는데 이는 ‘노인’을 교육 대상으로 분리·인식하였다는 것에 의미가 있다. 노인 강좌의 개설 후 꾸준히 노년층을 대상으로 교육이 이루어졌으며 강좌와 노인과 건강, 전통문화 이론, 문화영화 관람, 고적답사 등 60세 이상의 참가자들은 다른 기관의 노인대학과는 차별화된 과정과 운영에 만족하였다. 2013년부터는 ‘박물관역사문화교실’이 운영되고 있다. 이전의 노년층 프로그램이 일방적 전달식의 강의 중심이었다면 현재의 프로그램은 참여자 중심의 다양한 교육 방식에 노인을 위한 프로그램과 노인에 의한, 노인에 관한 프로그램 등 참여자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적용하고 있다. 이러한 새로운 관점과 접근은 앞으로 변화하는 노년층에 대비한 박물관의 역할을 더욱 강조하고 있다. 현대의학의 발달과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인간의 평균수명이 늘어나면서 전 세계적으로 고령화 사회의 노인문제가 심각해지고 있다. 현대의 노인들은 보다 건강한 노년기를 맞이하게 되었으며 박물관·미술관은 사회교육과 평생교육을 담당하는 기관으로 노인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을 통해 노인계층에게 자존감 회복과 가족관계 개선 등 삶의 질을 향상 시켜줄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박물관 교육이 가지고 있는 고유의 특징과 노년층과의 접점, 유관기관과의 차별성, 새로운 노년층의 진입경로 개척, 운영 방식의 변화 등의 문제가 있기에 체계적인 준비과정을 거쳐 장기적인 계획을 가지고 준비하는 것이 필요하다.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operates a lecture program every Wednesday that is open to anyone interested in the humanities. This program developed out of the lectures for adults and senior citizens (e.g., Eunha Culture School) which began before the museum relocated to its present site in Yongsan. After a process of evolution over the years, it has been held under the name “History and Culture Lectures” since 2013. It attracts the largest number of attendees per session among all learning programs under the Department of Education of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The History and Culture Lectures are particularly popular among senior citizens, who make up about 76 percent of total attendees. Roughly 68 percent of the senior participants have attended the lecture program for at least two years, including the lectures held prior to the relocation to Yongsan, and about 99 percent of them report an intention to continue attending the program. These survey results indicate that active participation by senior citizens should continue in the future. In that case, what roles should a museum play for these regular audiences? How should museums view senior visitors? How can museums cope with changes in society? All of these questions require research and new approaches from diverse perspectives.

      • KCI등재

        국내 노년층의 스토리텔링 도출을 위한 그림 디자인 연구 : (흥부와 놀부 전래 동화를 중심으로)

        최유미,한지윤,박조이,이수현,최주은,성지은,최수진 한국디자인학회 2022 디자인학연구 Vol.35 No.2

        연구배경 해외에서 노년층의 인지 자극을 위해 스토리텔링 콘텐츠가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 하지만 해외 고 전 스토리는 한국 노년층에게 적합하지 않다. 최근 국내에서도 어르신을 위한 동화책이 출간되었으나 노년층의 특징을 반영한 그림 연구가 되지 않은 채 제작되었다. 국내 노년층을 위해 스토리텔링 콘텐츠를 제작할 때에는 노년층이 익숙하게 느끼는 내용인 전래 동화와 노년층에게 적절한 디자인 요소가 반영된 그림으로 제작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첫째, 문헌 연구를 통한 그림 개발 시 노년층의 특징에 따라 고려되어야 할 디자인 요소를 확인한다. 둘째, 스토리텔링을 도출하는 의미정보단위인 CIU(Correct Information Unit) 개념을 그림에 적용하 여 스토리텔링 콘텐츠에 활용될 수 있는 그림 연구를 진행한다. 마지막으로 설문 평가를 통해 후속연구에 대한 근거를 마련한다. 연구결과 노년층의 인지적, 신체적 특징을 고려하여 그림체, 색상, 형태, 레이아웃 디자인 요소를 반영한 흥부 와 놀부 그림 8개를 완성하였다. 이 그림은 스토리텔링 분류 기준에 따라 8개의 에피소드로 분류되었고, 핵심 정 보를 담은 CIU를 반영하여 제작하였다. 완성된 그림에 대해서는 정상 청년층, 정상 노년층을 대상으로 설문 평 가를 진행하였다. 결론 설문에서 수집된 이야기 전사 자료와 선정된 CIU를 비교 분석한 결과, 두 그룹 모두 높은 일치율을 보였다. 또한, 청년층과 노년층 간의 표준 편차가 낮아 흥부와 놀부 그림을 보고 산출한 발화 내의 정확한 정보를 전달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노년층에게 적절한 디자인 요소와 CIU를 포함하는 그림을 제시 하였으며 향후 스토리텔링 콘텐츠의 그림 제작 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삶을 위한 미술관: 노년층을 위한 노턴 미술관의 역할 연구

        Jungwon Lee 한국조형교육학회 2013 造形敎育 Vol.0 No.46

        이 글의 목적은 노턴 미술관의 박물관 전시들과 교육 프로그램들을 노년층 관람객들이 어떻게 경험하는지를 분석했고, 이러한 박물관 전시와 교육 프로그램, 박물관 구조와 환경들이 박물관의 노년층 관람객들의 의미 만들기(meaning-making)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연구하였다. 이 글에서는 플로리다에 위치한 노턴 미술관(Norton Museum)을 선택하여 연구하였다. 질적인 연구방법(qualitative research)을 선택했고, 현상학적 연구(phenomenological research) 방법론으로 이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 미술관의 상설 전시와 특별 전시회를 중심으로 환경에 대한 묘사와 노년층 관람객들의 행동과 대화를 관찰하여 관찰 자료들을 수집하였고, 미술관을 방문한 노년층 관람객과 심도 깊게 인터뷰(in-depth interview)를 하였다. 자료들을 분석하여 얻어 낸 결과는, 이 미술관이 대부분의 노년층 관람객들이 참여할 수 있는 도슨트와 세미나 등의 교육 프로그램들을 운영하고 있었고, 많은 박물관 직원들과 자원 봉사자들이 노년층이었다. 노년층 관람객들은 특별 전시를 보기 위해서 가족들과 혹은 친구들과 함께 이 미술관을 방문하였다. 게다가 이들의 대부분이 미술관들을 방문하기 전에 이미 미국 문화와 미술에 큰 관심을 가지고 있었다. 노년층 관람객들의 개인적인 연관성(personal connection)과 경험, 과거의 기억이나 추억, 개인적인 취향, 사회적·문화적 배경, 그리고 친숙함(familiarity)이 통합되어 노턴 미술관(Norton Museum)에서 개인적인 의미 만들기(personal meaning-making)가 이루어졌다. 이 미술관을 통해서, 노년층 관람객들이 미술관을 교육적인 공간일 뿐만 아니라 만남의 장소, 쉬는 공간, 그리고 미적인 즐거움을 찾기 위한 공간으로 활용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 연구는 박물관에서 전시와 교육 프로그램을 통해서 노년층 관람객들이 개인적인 의미 만들기(personal meaning-making)를 축적해 나가는 과정을 현상학적으로 접근하는 모델을 제공할 것이다. 그리고 이 연구가 박물관 교육자들, 학예연구사들과 박물관 디자이너들에서 박물관 전시, 박물관 구조와 환경, 그리고 교육 프로그램들이 어떻게 노년층 관람객들에게 의미 만들기 (meaning-making)를 촉진시키는 역할을 하는지 다시 생각해 보게 하는 계기가 되었으면 한다. The reasons visitors go to museums can be organized into three broad categories: (1) social-recreational reasons; (2) educational reasons; and (3) reverential reasons (Graburn, 1977; Falk & Dierking, 1992). Museums, then, serve the public in a wide variety of ways, as exhibition places for art and artifacts and, at the same time, as venues for social and educational events. Nevertheless, as Eisner and Dobbs (1988) have noted, many museums are culturally rich and pedagogically poor, as evidenced by the tendency of most visitors to reject the docent tour, refuse the audio-guide, and leave the catalogue unread at museums.

      • KCI등재

        Utterance-Level Word Class Characteristics in Normal Elderly Women

        김지영(Jiyoung Kim),서상규(Sangkyu Seo),조성래(Sung-Rae Cho),김향희(HyangHee Kim)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4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9 No.3

        배경 및 목적: 자발화에 나타난 품사를 살펴봄으로써 화자의 표현 언어를 문법적으로 분석할 수 있다. 노년층과 청년층의 품사 산출 양상을 비교하여, 노년층의 발화 특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방법: 노년층 35명, 청년층 35명에게 자발화를 수집하였고, 산출한 품사는 형식, 기능, 의미에 따라 나누었다. 이에 따른 품사의 빈도수와 유형수, 어휘다양도의 수치를 나타내었다. 결과: 형식적 분류에서 노년층은 청년층에 비해 빈도수와 유형수 모두 가변어를 적게, 불변어를 많이 사용하였고, 가변어의 어휘다양도는 노년층이 낮았다. 기능적 분류에서 노년층은 체언에서는 빈도수를 많이 사용하였으나, 용언에서는 빈도수와 유형수 모두 적게 사용하였고, 용언의 어휘다양도는 노년층이 낮았다. 수식언은 빈도수를 적게, 독립언은 빈도수를 많이 산출하였다. 의미적 분류의 품사는 노년층이 대명사에서 빈도수와 유형수 모두 많이 산출하였고, 동사에서는 빈도수를 많이 사용하였지만, 동사의 어휘다양도는 낮게 나타났다. 형용사와 부사에서는 노년층이 빈도수와 유형수 모두 적게 산출하였다. 추가분석으로, 용언의 양상을 관형적용법, 서술적용법으로 나누었다. 노년층은 청년층에 비해 서술적용법의 사용 비율이 더 높았다. 논의 및 결론: 노년층은 청년층과 비교하여 품사 산출 양상이 달라지는 것을 밝혔다. 품사의 세 가지 분류방법을 통해 여러 측면에서 특징을 분석하였고, 빈도수, 유형수, 어휘다양도를 측정하여 양적 측면뿐 아니라 질적 측면에서 발화 특성을 살펴보았다. Objectives: Expressive language ability can be analyzed grammatically by examining the production of word classes.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elderly people's utterances by looking at word classes in spontaneous speech. Methods: Spontaneous speech from 35 young females and 35 elderly females was collected. Word classes were divided by three criteria (form, function, and meaning). The real usage frequency of each instance of a word class (token) and the frequency of occurrence of each word class (type), type-token ratio (TTR), were calculated. Results: For the form category, in both type and token count, the use of inflected words was lower among elderly people, while the use of uninflected words was higher. TTR of inflected words was lower in elderly people. For the functional category, the tokens for substantives were higher among elderly people, while both the types and tokens of inflectional words were lower. For the semantic category, the tokens for verbs were higher but TTR of verbs was lower. The tokens and types for adjectives were both lower among elderly people. Additional experiments showed that the predicative use of inflectional words is more frequent than the attributive use among the elderly. Conclusion: This analysis was conducted with three word class criteria to find various speech characteristics. Further study on word class in language production needs to be conducted while considering factors, such as education and gender.

      • KCI등재

        노년층의 명사 정의하기 특성

        김수정(Soo-jung Kim),최현주(Hyunjoo Choi)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2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7 No.1

        배경 및 목적: 노년층에게서 나타나는 언어표현 능력의 저하는 인지 기능의 저하와 관련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노년층과 청년층의 정의하기 능력의 비교를 통해 노화로 인한 정의하기 능력의 변화를 살펴보고, 노년층에 나타나는 다양한 정의하기 특성에 대해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방법: 본 연구에서는 노년층 41명과 청년층 50명을 대상으로 정의하기 과제를 실시하고 정의 점수 및 정의 유형의 출현율을 비교하였다. 또한 노년층의 정의 능력에 대한 성별과 교육정도의 영향을 살펴보았다. 과제에 사용된 단어는 모두 보통명사로 4개의 범주에서 각 범주별로 고빈도어 3개, 저빈도어 3개를 선정하여 총 24개의 단어를 목표단어로 하였다. 또한 산출한 정의 반응을 점수화하고, 정의 반응을 4개의 정의 유형(기능적 정의, 관계적 정의, 물리적 정의, 분류적 정의)에 따라 분류하였다. 결과: 첫째, 정의 점수에서 노년층의 수행이 청년층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다. 둘째, 청년층의 경우 기능적 정의, 물리적 정의, 분류적 정의를 유사한 비율로 사용하고 관계적 정의의 출현율이 낮은 반면, 노년층의 경우 기능적 정의와 관계적 정의의 출현율이 높고 물리적 정의, 분류적 정의의 출현율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노년층의 경우 정의 점수에서 성별에 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넷째, 노인층의 경우 교육년수가 높을수록 정의 점수가 높았으며, 정의 유형의 출현율의 측면에서는 교육년수가 높을수록 분류적 정의를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이와 같은 결과로부터 노년이 되면 언어의 의미 처리 능력이 감퇴함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정상 노년층의 정의하기 능력에 대한 특징을 파악하고 치매나 실어증과 같은 노년층에 나타날 수 있는 언어장애의 평가와 중재에 있어 준거를 제시할 수 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Background & Objectives: Language impairment is an aspect of cognitive impairment that may be related to aging.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verbal definition in normal elderly Koreans and compared their performance with those of younger people. In addition, the study confirmed the effects of gender and educational level on performance of verbal definition. Methods: Forty-one normal elderly and 50 younger people participated in the present study. The verbal definitions task included 24 concrete nouns, six words for each of four categories (food, furniture, animal, electrical and appliance). The types of definition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functional, relational, physical and categorical. Results: First, the definition score of the normal elderly group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younger people group. Second, the appearance ratio of type of definition was found to be in the order of functional, relational, physical, and categorical in normal elderly and in the order of functional, physical, categorical, and relational in younger people. Third, there was no difference in definition score according to gender. Fourth, significant correlations among the educational level, definition score, and the ratio of categorical definition were found. Discussion & Conclusion: The results from the present study suggested that normal elderly Koreans have impairment in verbal definition that is related to cognitive impairment caused by aging.

      • KCI등재후보

        광고에 묘사된 노년층의 역할과 이미지

        김미애(Miae Kim) 부산울산경남언론학회 2010 지역과 커뮤니케이션 Vol.14 No.1

        본 연구는 광고에서 노년층을 어떻게 묘사하고 있는가를 알아보고자 잡지광고의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8개 잡지의 2008년 1, 4, 7, 10월에 해당되는 44권을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다. 그 결과, 모두 2,880개의 광고가 표집되었고, 이중 인물이 등장한 광고 1,476개였으며, 89개(6.03%)의 광고에 노년층이 등장하였다. 분석된 광고에 등장한 3,094명의 인물 중 115명(3.72%)만이 노년층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들 중 72.2%가 남성이었고, 여성노년층은 27.8%에 그쳤다. 이들은 제약 및 의료를 비롯한 14개 제품범주의 광고에 묘사되었고, 주로 주요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그들에 대한 성격묘사는 대체로 긍정적이었으나(77.6%). 부정적 묘사가 22.4%에 달했다. 반면 광고에 나타난 노년층은 매력적으로 묘사되는 경우가 더 많았으나 사회적 인지도는 대체로 낮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노년층은 단독으로 사용되기보다는 다른 연령집단과 함께 묘사되어지는 경우가 다소 많았으며, 주로 젊은 성인과 함께 등장하였다. 노년층의 묘사된 물리적 배경 및 상황적 배경은 식별할 수 없거나 혹은 아무런 배경없이 묘사되어지는 경우가 가장 많았다. 요약컨대, 노년층은 날로 늘어나는 인구수에 비해 광고에서 이전보다도 덜 표현되고 있으며, 여성노년층의 경우 더욱 그러하다. 또한 역할 및 이미지에 있어서도 과거보다 오히려 더 부정적으로 묘사되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다만 노년층이 등장하는 제품 범주와 상황적 배경은 이전보다 더 다양한 방식으로 묘사되었다. This study conducted a content analysis of magazine ads to assess the portrayal of the elderly in advertising. For the purpose, 8 magazines was chosen for analysis on 2008. So, 44 issues was analyzed. As the results, a total of 1,476 ads containing people were coded. Of those, 89(6.03%) contained at least one elderly person. In all ads analysed, there was a total of 3,094 people, of whom only 115(3.72%) were elderly. 72.2% of the elderly who appeared in these ads were men. And the elderly were used in ads selling 14 product categories including ‘drug and medical service’. In the majority of ads, the elderly were typically cast in major roles rather. The character and attractiveness of elderly were generally portrayed positively. On the other hand, social recognition of elderly was assessed to be low. When the elderly were represented with members of other age groups, mainly they were appeared young-adults together. And, the elderly appeared most often in setting could not be determined. In conclusion, the elderly appeared to be under-represented in magazine ads in comparison to the general population, also their roles and images was portrayed more or less negatively. Futhermore, these portrayals was found out to getting worse rather than the past.

      • KCI등재

        Art Museum for Life: The Role of the Norton Museum of Art for Seniors

        이정원 한국조형교육학회 2013 造形敎育 Vol.0 No.46

        이 글의 목적은 노턴 미술관의 박물관 전시들과 교육 프로그램들을 노년층 관람객들이 어떻게 경험하는지를 분석했고, 이러한 박물관 전시와 교육 프로그램, 박물관 구조와 환경들이 박물관의 노년층 관람객들의 의미 만들기(meaning-making)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연구하였다. 이 글에서는 플로리다에 위치한 노턴 미술관(Norton Museum)을 선택하여 연구하였다. 질적인 연구방법(qualitative research)을 선택했고, 현상학적 연구(phenomenological research)방법론으로 이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 미술관의 상설 전시와 특별 전시회를중심으로 환경에 대한 묘사와 노년층 관람객들의 행동과 대화를 관찰하여 관찰 자료들을 수집하였고, 미술관을 방문한 노년층 관람객과 심도 깊게 인터뷰(in-depth interview)를 하였다. 자료들을 분석하여 얻어 낸 결과는, 이 미술관이 대부분의 노년층 관람객들이 참여할 수 있는 도슨트와 세미나 등의 교육 프로그램들을 운영하고 있었고, 많은 박물관 직원들과 자원 봉사자들이 노년층이었다. 노년층 관람객들은특별 전시를 보기 위해서 가족들과 혹은 친구들과 함께 이 미술관을 방문하였다. 게다가 이들의 대부분이 미술관들을 방문하기 전에 이미 미국 문화와 미술에 큰 관심을 가지고 있었다. 노년층 관람객들의 개인적인 연관성(personal connection)과 경험, 과거의 기억이나 추억, 개인적인 취향, 사회적·문화적 배경,그리고 친숙함(familiarity)이 통합되어 노턴 미술관(Norton Museum)에서 개인적인 의미 만들기(personal meaning-making)가 이루어졌다. 이 미술관을 통해서,노년층 관람객들이 미술관을 교육적인 공간일 뿐만 아니라 만남의 장소, 쉬는공간, 그리고 미적인 즐거움을 찾기 위한 공간으로 활용하고 있다는 것을 알수 있었다. 이 연구는 박물관에서 전시와 교육 프로그램을 통해서 노년층 관람객들이 개인적인 의미 만들기(personal meaning-making)를 축적해 나가는 과정을 현상학적으로 접근하는 모델을 제공할 것이다. 그리고 이 연구가 박물관 교육자들, 학예연구사들과 박물관 디자이너들에서 박물관 전시, 박물관 구조와 환경, 그리고 교육 프로그램들이 어떻게 노년층 관람객들에게 의미 만들기(meaning-making)를 촉진시키는 역할을 하는지 다시 생각해 보게 하는 계기가되었으면 한다.

      • KCI등재

        노년층 소비자의 편의품 구매 시 소매점 결정요인에 관한 실증적 연구

        김숙응 한국기업경영학회 2011 기업경영연구 Vol.18 No.3

        As aging progresses, the elderly experience many changes in various aspects of life which they did not experience when younger, and desires based on such changes create demand for new products and services. These days the elderly market to satisfy such demand is rapidly developing and for businesses,this market is rising up as an important strategic market. Especially the baby boomer generation is just entering their 50s and its size is not small, making up 38% of the population. They are full of desire to leisurely enjoy the remainder of their years and have the financial ability to do so. For 20 years starting in 2010 when they begin to retire in significant numbers, businesses will encounter a huge consumer group of 18 million people. However, on the other hand, it is also a fact that even the corporations in advanced nations have not been able to effectively penetrate the elderly market. The reason for this is that, although the importance of the elderly market is being accepted by businesses in recent times, they lack understanding of this market and thus are unable to appropriately deal with it or have handled it in inadequate ways. Also information about the elderly class, compared with other age groups, is very inadequate and there is virtually no knowledge about how to approach this group. In order to prepare for an aged society, corporations and retailers that deal with the elderly need a new strategy. However, research on the elderly regarding their store choice behavior is almost non-existent. Although silver consumers use a variety of criteria in choosing among stores, services offered appear to be of primary importance. such services include courteous, patient treatment by store employees, assistance in locating products, transportation to and from shopping areas, and places to rest when they become tired. Similarly, another study suggests that special treatment (such as carry-out service for packages),special consideration (such as assistant in product selection), and similar-aged clerks affect the silver person's patronage habits. The importance of such services increases with the age of the consumer. Desire for these services might indeed reflect cognitive and biological changes (such as information-processing skills and immobility) due to aging. This paper aims to identify determinants in choosing retail stores when elderly consumers purchase convenience goods. and for that purpose, the identification of retail store characteristics and services the elderly seek when making convenience goods purchases and how these characteristics and services impact elderly consumers retail store patronage. Finally, this study examine the impact that primary store choice, sex, age, self-reported healthiness, activity have on the importance placed on retail store determinants. The factors that were most impotant to elderly consumer relate to store location close to home, convenient parking, convenient/fast check, quality products, convenience entrance/exit. And the most store determinants used by the elderly consumer when choosing among the various retailers for convenience products relate to store location close to home, convenient parking, consistent location, convenience entrance/exit. attractive prices. Multiple Discriminant Analysis was used to provide a test of difference across the primary store choice,sex, age, self-reported healthiness, activity. There were no differences found among primary store choice, age for the 10 determinant. But two differs significantly across sex groups: store location close to home, attractive prices. Thus, the remaining eight are determinant for the eldery regardless of sex. Two differs significantly across activity groups: other services in store, quality products. Therefore, the remaining eight are determinant for the eldery regardless of activity groups. Of the 10 determinants, two differs significantly across self-reported healthiness: various brand , attractive prices. Thus, the ... 본 연구는 기업들이나 소매 점포에게 핵심적인 세분시장으로 부상하고 있는 노년층 시장에 대한효과적인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는 데 도움을 주기 위하여 노년층들이 편의품 구매 시 소매점을 결정하는 요인에 대해 연구하였다. 소매점을 결정하는 요인들로는 소매점포의 점포 특성, 서비스요인 및 특정점포를 선택하는 결정요인을 살펴보았다. 나아가 이들 요인들과 점포선택의 개인적 요인들(즉 노년층이 최초로 선택하는 점포, 연령, 성별, 활동수준, 주관적 건강상태 등)과의 관계를 실증분석 하였다. 구체적으로 노년층 소비자들의 편의품 구매 시 소매점포 선택과 관련된 요인들은 노년소비자의 구매행동과 점포선택요인에 관한 기존자료와 Lumpkin et al.(1985)의 자료에 근거하여 점포의 편리성과 위치, 물리적 환경, 서비스특성, 품질과가격으로 점포 요인들을 선택하였다. 또한 노년층 소비자의 점포선택 결정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결정요인모델을 사용하였다. 나아가 노년층의 개인적 변수 즉 최초로 선택하는 점포와 연령, 성별, 활동수준, 주관적건강 상태 등과 소매 점포 선택간의 관계에 있어 가장 중요한 결정요인과 비 결정요인들을 파악하기 위해다중판별 분석을 하였다. 분석 결과, 노년층 소비자들의 소매점 선택요인 중 집에서 가까운 점포위치, 편리한 주차와 빠른 계산 등 위치와 편리성이 순서대로 중요한 요인으로 발견되었다. 또한 특정점포선택의 결정요인으로는 집에서 가까운 점포위치와 편리한 주차, 입구와 출구가 편리하거나 제품을 쉽게 발견하도록 일관된 상품위치를 가진 점포가 발견되었다. 나아가 매력적인 가격이나 양질의 제품, 다양한 상표와 불만족한제품의 반품가능성도 노년층 소비자의 점포선택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노년층 시장에 대해 효과적인 실버마케팅전략을 수립하기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