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6,70년대 한국 냉장고 광고의 내용적 특성에 관한 연구

        오창섭(Chang Sup Oh),양유진(Yu Jin Yang)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3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9 No.4

        냉장고는 현재 우리 생활에 없어서는 안 될 필수품이다. 하지만 60년대까지만 하더라도 냉장고는 일부계층 사람들만 사용하던 가전제품으로, 일반 서민들은 쉽게 소유할 수 없었다. 그러나 70년대에 접어들면서 냉장고는 점차 대중화되기 시작한다. 본 연구는 냉장고 확산에 끼친 광고의 내용을 주목했다. 냉장고가 국내에 도입되고 대중화 되어가는 과정을 광고를 통해 고찰함으로써 냉장고가 시대적 흐름과 어떠한 관계를 형성하고 있었는지를 읽어내고자 했다. 본 연구는 6, 70년대 냉장고 광고의 흐름과 내용적 특성을 사회·문화적 맥락에서 파악하는데 그 목적을두고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국내 냉장고 광고가 처음 등장했던 1959년부터 가전제품들이 일반 가정에 본격적으로 보급되기 시작한 1970년대까지를 분석의 대상으로 삼았다. 이 시기는 ‘경제 5개년 개발 계획(1962-1981)’의 시행으로 경제가 급격히 성장하면서 생활이크게 변화되기 시작한 시기였을 뿐만 아니라, 현재 우리가 경험하는 인공물 문화의 원풍경이 형성된 시기라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연구는 이 시기<동아일보>에 실린 총 378개의 냉장고 광고를 전수 조사하여 내용을 시기별로 분석해 분류했고, 광고의 표현방식을 함께 살펴보며 그 흐름과 내용적 특성을 고찰하였다. 60년대 냉장고 광고는 65년 금성전자에서 국내 최초의 전기냉장고를 출시하기 전과 후로 그 흐름을 나눌 수 있었으며, 70년대 들어서는 국내 냉장고 생산이 활발해짐에 따라 광고의 내용 또한 다양해짐을 알 수 있었다. 연구결과, 6, 70년대 냉장고 광고에서 다음 3가지 내용적 특성을 발견할 수 있었다. 먼저 선진 외국에 대한 동경의 시선이 지속적으로 나타나고 있었다. 두 번째로 냉장고를 어떻게 사용하는지 뿐만 아니라냉장고를 매개로 한 인공물 사용의 문화가 어떠 해야하는 지를 계몽하는 모습이 이어지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냉장고를 근대적 삶의 표상으로 인식하려는 모습이 나타나고 있었다. Refrigerators are currently items which arenecessary within our lives. But, until the 1960`s, refrigerator was a home appliance that was used bythose in specific class, and ordinary people could notpossess it easily. However, as the time entered into the1970`s, refrigerator gradually began to become popular. This study focused on the influence caused by theexpansion of refrigerator on advertisement. It exploredthe process of refrigerator becoming introduceddomestically and popularized to identify the periodicalflow and relations shaped by refrigerato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flowand content characteristics of refrigeratoradvertisement during the 1960`s and 1970`s from asocialㆍcultural context. In order to do so, this study focuses on the periodbetween 1959, which was when refrigerators firstbecame available locally, to the 1970`s, which was whenelectronic devices started becoming supplied officiallyto families. This period was not only a time when liveswent through drastic changes due to the rapid growthof the environment as a result of the ``5 year economicdevelopment plan (1962-1981)``. However, it alsocontains the essential significance in that it is the periodwhen the scene of the artifact culture which wecurrently experience was formed. This study carriedout an initial research on 378 refrigeratoradvertisements from <Dong-A Daily News> duringthe set period and the information was analyzed andclassified according to periods. Moreover, theadvertisements` expression methods were thoroughlyexamined and the flow and substantial characteristicswere considered. Refrigerator advertisements from the 60`s can bedivided as before the first launching of an electricrefrigerators by Geumsung Electronics in the year 1965. Moreover, due to the active refrigerator production ratesof the 70`s, it can be seen that the contents ofadvertisements were also diversified. Based on theresearch results, the following three substantialcharacteristics were found in the refrigeratoradvertisements of the 60`s and 70`s. First of all, therewas a continuous admiration for advanced foreigncountries. Secondly, not only was there information onhow to use a refrigerator but also an enlightenment ofthe culture of artifact usage which utilized refrigeratorsas a medium. Lastly, there is a tendency of identifyingrefrigerators as a symbol of the modern way of living.

      • KCI등재

        사용자 행동 연구를 기반으로 한 김치냉장고 내부 공간 사용성 제안

        최민숙,임지현,김진 한국기초조형학회 2011 기초조형학연구 Vol.12 No.6

        Kimchi refrigerator have adapted Korean food life and gained popularity with Korean consumers in the last fifteen years. Since it retains freshness of the Kimchi and the other kind of food effectively, people have enlarged its usage. Recently producers of the Kimchi refrigerator are placing the bigger and multi-functional products on the market. Under these circumstances, this study aims to observe users of the Kimchi refrigerator and analyze their behavior on the product to discover new opportunities. In the first half of the paper, it explains features and services that Kimchi refrigerator producers offer to their customers, and examines current market status. Then, by visiting research, this study explores Kimchi refrigerator user behavior, particularly the inner space usage. Comparing the research from producers and users, this study figured out five new opportunities for the use of Kimchi refrigerator’s inner space. Examples of personas would be shown to help understand relation between new opportunities and final concepts. Finally this study suggests ideas of effectively utilizing the inner space of the Kimchi refrigerator. This study is concerned with introducing the way of finding new opportunities in Kimchi refrigerator industry by user behavior study and suggesting the usage of the product’s inner space. 김치냉장고는 우리나라 식생활 문화를 반영하여 제작되었으며 지난 15년간 보유율이 꾸준히 증가해왔다. 또한 탁월한 장기저장 기능을 인정받아 그 사용성이 확대되고 있다. 근래에는 김치냉장고가 점차 다기능화, 대형화되는 추세이다. 또한, 사용자들은 점차 김치냉장고를 반드시 김치뿐 아니라 여러 식품을 보관하는 다목적 냉장고로 사용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김치냉장고 사용자의 사용 행태를 연구하여 새로운 니즈를 발굴하고자 하였다. 우선 현재 국내 김치냉장고 생산업체에서 소비자에게 제공하는 기능 및 서비스를 조사 분석하여 시장 상황을 파악하였다. 또한 김치냉장고를 보유한 사용자를 조사하여 그들의 제품 사용 실태와 선호하는 음식 유형 등을 파악하는 과정으로 김치냉장고 사용행태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하여 생산자와 소비자 간의 의견 비교를 하여 소비자의 실제 니즈를 반영한 5가지의 기회영역을 발굴하였으며, 페르소나를 구축하고 콘셉트 제안의 예시를 제공하여 구체적인 방향을 선보이고자 하였다. 사용자 조사를 통한 기회영영 포착과정이 향후 김치냉장고 개발에 있어 내부 공간 사용성을 높이는 데에 기초자료로 활용되고자 한다.

      • 가정용 전기전자제품(에어컨, 냉장고)에 사용되는 냉매의 물질흐름분석 연구

        장윤,장용철,고영재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구 한국폐기물학회) 2016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춘계학술발표논문집 Vol.2016 No.-

        냉매는 냉동사이클을 형성하고, 냉각작용을 일으키는 매체로 산업용 냉동·공조기기, 에어컨, 냉장고 등 다양한 기기에 사용된다. 대부분의 냉매는 오존층 파괴 또는 온실효과 등 환경에 영향을 끼치는 물질이다. 예를 들면 HCFCs는 오존층 파괴와 온실효과를 일으키고, HFCs는 오존층 파괴능력은 없지만, 교토협약에서 정한 6대 온실가스 중 하나에 속한다. 가정에서는 일반적으로 냉장고, 에어컨에 냉매가 사용되어진다. HFC-134a의 경우 주로 냉장고에 사용되어지고, HFC-410a의 경우 주로 에어컨에 사용되어진다. 가정용 전기전자 제품 내 냉매의 경우, 비교적 사용단계에서 보다 수거 및 처리과정에서의 누출이 많은 것으로 분석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가정용 전기전자제품 내 사용되어지는 냉매의 물질흐름분석을 통해 가정용 전기전자제품 내 냉매의 적정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가정용 전기전자제품 냉매의 물질흐름을 작성하기 위하여, 냉장고(일반냉장고, 김치냉장고)와 가정용 에어컨 제품의 정량적인 흐름과 각 단계별 냉매의 단위량을 조사하였다. 자료 수집을 위해 주로 정부기관(환경부)의 통계 데이터와 관련 논문 및 보고서를 조사하였다. 가정용 전기전자제품에서 냉매의 가능한 누출 경로는 ‘사용단계’, ‘수거 및 처리단계’, ‘해체 및 판매단계’로 파악되었다. 산정결과, 2014년 기준, 국내 냉장고 냉매 물질흐름의 경우 450톤의 냉매가 유입이 되고, 사용 단계에서 4,900톤의 냉매가 사용 중이며 112톤의 냉매가 누출되었다. 수거 체계로 전달되는 냉장고에 포함되어있는 냉매의 양은 216톤이었으며, 각각 제도권으로 108톤, 비제도권 66톤, 직접 재사용 32톤, 자체 보관 9톤이 전달되었다. 수거체계로 전달 과정에서 대기로 누출되는 냉매의 양은 34톤이었다. 그리고 비제도권으로 전달된 66톤의 냉매에서 원형 판매된 18톤을 제외한 해체 판매로 분류된 냉장고가 보유한 58톤의 냉매도 대기로 누출되는 것으로 산정되었다. 가정용 에어컨 냉매의 물질흐름분석 결과, 2014년 기준으로 4,300톤의 냉매가 유입, 사용단계에서 30,234톤의 냉매가 보유, 2,568톤의 냉매가 수거체계로 전달되는 것으로 분석 되었다. 수거 및 처리단계에서는 제도권으로 98톤, 비제도권으로 1,985톤, 직접 재사용으로 364톤, 자체 보관이 121톤으로 분석되었다. 문헌조사 결과 사용단계 및 처리단계에서의 냉매 누출이 부재하였으므로, 비제도권에서 해체 및 판매되는 제품에서만 1,261톤의 냉매가 대기 중으로 누출되는 것으로 산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문헌조사를 바탕으로 물질흐름분석을 수행하였기에 보다 정확한 물질흐름 파악을 위해서는 비제도권에서의 제품 처리에 대한 현장조사가 필요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냉매의 친환경 적정 처리에 관한 정책 마련의 기초 자료로 사용될 수 있다. 이 연구는 환경부의 폐자원에너지화 전문인력양성사업으로 지원되었습니다.

      • KCI등재

        스마트 냉장고의 사용자 경험(UX) 향상을 위한 서비스 블루프린트 개발 사례 연구

        조성원(Cho, Sungwon),정세희(Jeong, Sehee),김희정(Kim, Heejung),구유리(Koo, Yoori) 인제대학교 디자인연구소 2016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JIDR) Vol.15 No.3

        연구배경: 사물 인터넷 관련 산업이 발달하면서 스마트가전 제품이 등장하게 되었고, 식자재 관리 및 장보기 등 다양한 기능이 지원되는 스마트 냉장고가 시장에 출시되어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스마트 가전 및 냉장고에 대한 연구는 공학적 성과에 치중되어 있어 사용자 경험 측면에서의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스마트 냉장고의 사용자 경험에 대한 질적 접근을 통해, 문제점을 개선하고 보완할 수 있도록 사용자 경험 디자인 전략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스마트 냉장고의 근본적인 기술인 사물 인터넷에 대한 문헌 연구를 바탕으로 사용자 경험에 대해 심도 있는 분석을 위해 더블 다이아몬드 프로세스를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포커스 그룹 인터뷰와 컨텍스추얼 인쿼리를 통해 사용자를 관찰하였으며, 퍼소나와 고객 여정지도, 업무 모델링, 어피니티 다이어그램 구축을 통해 문제점을 발견하고, 이를 해결할 아이디어를 도출한 뒤 서비스 디자인 플랫폼 개발에 적용하였다. 연구결과: 총 7가지의 핵심 디자인 아이디어(①사용자 컨텍스트에 따른 인터랙션, ②사용자 중심 레시피 제공, ③높은 신뢰도의 정보 제공, ④자동 주문 배송, ⑤가계부 연동, ⑥유통기한 관리, ⑦커스터마이징)를 도출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3가지 아이디어(①충동구매 리마인드, ②매장지도 알림, ③카트 자동 결제)를 추가적으로 발견하였다. 또한 기존 스마트 냉장고 화면 기기의 불편함을 개선하기 위해 사용자 니즈를 반영하고자, 탈부착 방식의 화면기기를 적용하였다. 최종적으로 도출된 아이디어를 냉장고 사용자 행동의 세 가지 단계인 ‘장보기’, ‘요리진행’, ‘식사 후 정리’를 기반으로 각 단계별 사용자와 제품, 이해관계자 사이의 인터랙션을 정리, 서비스 블루프린트로 시각화하였다. 결론: 본 연구는 기존 스마트 냉장고 사례를 통해 문제점을 확인하고, 사용자의 경험을 분석하여 숨겨진 니즈를 도출함으로써 문제점을 개선하고 보완할 수 있는 디자인 전략을 제안하였다. 이는 사물 인터넷 시대의 스마트 냉장고 사용자 경험에 대한 구체적이며, 적극적인 해결 방안을 모색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으며, 본 연구를 바탕으로 향후 사용자 경험에서 서비스 플랫폼까지의 확장된 해결방안을 모색하는 연구의 확대를 기대한다. Background: As IoT industries has grown, smart appliance including smart refrigerator with function of food management and grocery shopping etc. has appeared. But studies on them tend to be focused on engineering issues. Therefore this study will suggest UI strategy based on qualitative research on UX of smart refrigerator to improve the user experience. Methods: In this study, Double Diamond Process has been conducted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regarding IoT, the fundamental technology of Smart refrigerator. Specifically Focus Group Interview, Contextual Inquiry were implemented for observation of users and Persona and Customer Journey map, Work Modeling, Affinity Diagram were conducted to find out the problems. And the ideas to solve them are applied to the service design platform development. Result: 7 salient ideas of the design are developed. (①the interaction according to the user context, ②user centered recipe, ③reliable information, ④automatic order & delivery, ⑤connection to household accounts (mobile application), ⑥management of expiry date, ⑦customization). And 3 ideas(①impulsive purchase remind, ②store map notification, ③automatic payment of shopping cart) are additionally founded. We proposed the detachable display device to ameliorate inconvenience of current Smart refrigerator and meet the user needs. Final ideas have been visualized as Service Blueprint regarding the interaction among the user, product and stakeholder according to the 3 steps of user behaviors, ‘shopping ingredients’, ‘cooking’, ‘cleaning up after meal’. Conclusion: In this research, the drawbacks of current Smart refrigerator are derived and unmet needs are examined by analyzing user experience so that design strategy for improvement of problems can be suggested. This research provides specific and concrete solutions for UX on Smart refrigerator in the age of IoT. Furthermore, we hope the expansion to the future research from UX to service platform on the basis of this research.

      • KCI등재

        지펠과 디오스의 냉장고 디자인 연구 : 1990년대 후반부터 2000년대 중반까지

        박해천 한국디자인학회 2021 디자인학연구 Vol.34 No.4

        Background In the late 1990s, Samsung Electronics and LG Electronics launched "Zipel" and "Dios" as premium double-door refrigerator brands. While fundamentally different from the existing premium strategy, these two brands reorganized the topography of the home appliance market and transformed the kitchen landscape of ordinary households through a unique route.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mainly on literature research. We tried to examine the change process of domestic double-door refrigerators for 10 years since the first release of Zipel in relation to design strategies, and to find out the socio-cultural factors that made the process possible. Results The process can be divided into three main periods. ① From 1997 to 1999, doubledoor refrigerators of Zipel and Dios were launched, competing with imported products and settling down in the market ② From 2000 to 2004, they attempted to change their design with "interiortype home appliances" and "system home appliances", gradually increasing their market share and leading to the advancement of home appliances. ③ From 2005 to 2006, they emerged as a mainstream model in the market, forming a confrontation between "fashion appliances" and "art appliances”. This above process secured its own driving force by closely interacting with socio-cultural factors such as polarization of consumption, transformation of housewife identity, reorganization of apartment kitchen space, and increase of large discount stores at each stage. Conclusions Zipel’s and Dios’ refrigerators were able to enter the center of the market under the influence of polarization of consumption after the IMF financial crisis. After that, They could present a new lifestyle while establishing a dynamic relationship with changes in consumers, kitchen space, and cold chain systems. 연구배경 1990년대 후반 삼성전자와 LG전자는 고급 양문형 냉장고 브랜드로 각각 “지펠”과 “디오스”를 출시했다. 이 두 브랜드는 기존의 고급화 전략과는 근본적으로 방향을 달리하면서, 독특한 경로를 경유해 생활가전시장의 지형을 재편하고 일반 가정의 주방 경관을 변모시켰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문헌연구를 중심으로 진행됐다. 지펠 첫 출시 이후 10년 동안, 그러니까 1997년 IMF 외환위기 직전부터 2007~2008년 세계금융위기 이전까지 진행된 국산 양문형 냉장고의 변화 과정을 디자인 전략과 연관해 살펴보고, 그 변화 과정을 가능하게 한 사회문화적 요인들을 알아보고자 했다. 연구결과 양문형 냉장고 디자인의 변화 과정은 크게 세 가지 시기로 구분해볼 수 있다. ① 1997년부터 1999 년까지 지펠과 디오스 브랜드의 냉장고가 출시되어 수입 제품과 경쟁을 벌이며 시장에 안착하는 단계, ② 2000 년부터 2004년까지 양문형 냉장고가 “인테리어형 가전”과 “시스템 가전” 등으로 디자인의 변화를 시도하면서생활가전의 고급화를 선도하고 점차적으로 시장 점유율을 높여가는 단계, ③ 2005년부터 2006년까지 양문형냉장고가 “패션 가전” 대 “아트 가전”의 대결 구도를 형성하면서 냉장고 시장의 주류 모델로 부상하는 단계 등이다. 위와 같은 변화 과정은 매 단계마다 소비의 양극화, 주부 정체성의 전환, 아파트 주방 공간의 재편, 대형 할인점의 증가 등과 같은 사회문화적 요인들과 긴밀하게 상호작용하면서 나름의 동력을 확보했다. 결론 지펠과 디오스의 양문형 냉장고는 IMF 외환위기 이후 소비 양극화의 흐름 아래 시장의 중심부로 진입할 수 있었다. 그 이후에는 소비 주체, 사용 공간, 저온 유통 시스템 등의 변화와 역동적인 관계를 맺으면서 주방 공간의 질서를 재구성하고 새로운 라이프스타일을 제시할 수 있었다.

      • KCI등재

        폐(廢) 냉장고(冷藏庫) 재활용(再活用) 현황(現況)과 기술(技術) 전망(展望)

        양현석,김건홍,공만식,박기진,이광원,김보생,Yang, Hyunseok,Kim, Geon-Hong,Kong, Man-Sik,Park, Kiejin,Lee, Gwang Weon,Kim, Bo Saeng 한국자원리싸이클링학회 2013 資源 리싸이클링 Vol.22 No.4

        냉장고는 폐 전기전자제품(WEEE)에서 가장 많은 양이 처리되고 있는 품목이며 또한 가장 재활용이 복잡한 공정이다. 이는 가전제품 중 부피와 중량이 가장 크며 철, 비철금속, 플라스틱(PP, PS, ABS)등으로 이루어진 다양한 부품과 소재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최근에는 대용량 양문형 냉장고나 스탠드형 김치냉장고 등의 새로운 모델 출시와 더불어 다양한 혼합 재질의 사용으로 인해 폐 냉장고 재활용 공정의 어려움이 더욱 증가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국내외 WEEE 재활용 관련 입법의 도입으로 폐 냉장고의 재활용 및 재자원화는 필수이고 관련 자원순환기술개발은 국가 기술경쟁력의 강화 및 국제 환경규제 대응 측면에서도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현재 우리나라의 폐 냉장고 재활용 처리 및 기술개발 현황을 분석하고 선진국의 재활용 기술을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Waste refrigerator is the most large amount of item being recycled and the recycling process is the most complicated in WEEE (Waste Electrical and Electronic Equipment) because refrigerator is biggest product and consists of various parts and materials such as ferrous, non-ferrous, and plastics. Recently, recycling process of waste refrigerator has been being more complex since large capacity 2 door refrigerators and standing Kimchi refrigerators with various material are distributed on custom market. In addition, recycling of valuable resource from waste refrigerator is mandatory by WEEEs recycling legislation; therefore, high efficiency recycling enough for economic and environment-friendly recovery of valuable resource through present technical situation analysis and comparison of recycling technologies of waste refrigerator with advanced country.

      • KCI등재

        제품디자인 트렌드 변화에 의한 CMF연구 : 삼성 비스포크&엘지 오브제 냉장고를 중심으로

        한귀자(Gwi ja, Han) 한국조형디자인학회 2021 조형디자인연구 Vol.24 No.3

        냉장고는 가정문화와 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을 이끄는 핵심 요소 중 주방에서의 가장 중요한 인테리어 요소이다. 본 논문은 2000년 이후 출시된 냉장고 제품을 국내 가전 계를 이끄는 삼성과 LG를 중심으로 비교하여 CMF적용과 트렌드를 분석하였다. 2000년 이후 출시된 제품군을 보면 새로운 냉장고에 대한 소비자의 수요로 인해 외형디자인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이를 CMF(Color, Material, Finishing)라 하며 색채, 소재, 마감이라 한다. 백색가전에서 시작한 냉장고가 유색 가전, 패턴디자인, 금속질감 등 다양한 CMF의 변화를 거치며 2021년 자신의 스타일을 반영한 공간 일체형 시스템가전으로 출시되었다. 공간 일체형 시스템 가전의 특징은 소비자에게 소재, CMF를 직접 선택하게 하는 맞춤형 방식으로 출시되었고, 소비의 주체이며 개인주의 성향이 강한 밀레니얼세대는 개인의 결정권 강화로 제품 조립과정 또는 선택과정에서 잠재력을 발휘, 사용, 구매로 인해 스스로 특별해지는 느낌을 받을 수 있다. 또한 기업으로부터 제공되는 개인 맞춤형 제품 및 서비스를 통해 본인의 개성을 드러낼 수 있으며 가치와 경험을 중시하며 고가품에 돈을 지불하는 성향을 보이며 프리미엄의 가전의 지속성을 이끈다. 소재에서도 과감한 다른 소재와의 결합, 촉각과 질감에 집중하는 성향으로 가전과 가구의 경계를 허무는 소재를 사용한다. 2021년 냉장고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소재는 글라스와 금속 소재로 반사율에 따라 무광, 유광, 반광 등 세분화한다. 본 연구를 통해 소비자 구매 행동과 주방인테리어 트렌드에 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며 냉장고 내부의 구조를 제외하고 밀레니얼세대의 특징을 반영한 CMF만을 조사함이 본 논문의 한계점이며 기업의 신제품 전략 수립을 위한 가전제품에 나타난 트렌드 변화를 이해하고 분석할 수 있는 기초 자료가 되기를 기대한다. The refrigerator is the most important interior element in the kitchen among the key elements that guide home culture and consumer lifestyle. In this paper, CMF application and trends were analyzed by comparing refrigerator products released after 2000 with Samsung and LG, the leaders in the domestic home appliance industry. Looking at the products released after 2000, the external design is being emphasized more due to consumer demand for new refrigerators. This is called CMF (Color, Material, Finishing) and is defined color, material, and finish. The refrigerator, which started as a white home appliance, went through various CMF changes such as colored home appliances, pattern design, and metal texture. It was released as a space-integrated system appliance that reflects its style representing all-in-one home appliance system in 2021. The characteristic of space-integrated system home appliances is that they were released in a customized way that allows consumers to directly select materials and CMF. You can make yourself feel special by being demonstrated, used, and bought. Moreover, through personalized products and services provided by companies, Millennials can reveal their individuality, value, and experience, and they tend to pay for the high-end products, leading to the sustainability of premium home appliances. Millennials also use materials beyond the boundaries between home appliances and furniture by combining them with other materials, and focusing on touch and texture. Glass and metal materials are the most used materials for refrigerators in 2021, and they are subdivided into matte, glossy, and semi-gloss depending on reflectance. Through this paper, follow-up studies on consumer purchasing behavior and kitchen interior trends are required. The limitation of this paper is to examine only the CMF that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millennials, excluding the structure of the refrigerator. It is expected that this will serve as a basis for understanding and analyzing CMF trend changes in products.

      • 폐냉장고 진공단열재 순환이용성 확보를 위한 통합 재활용 시스템개발 연구현황

        박지환 ( Jihwan Park ),윤성필 ( Sungpil Yoon ),장충효 ( Choonghyo Jang ),최종현 ( Jonghyun Choi ),유준수 ( Junsoo Yoo ),이충우 ( Choongwoo Lee )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구 한국폐기물학회) 2020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추계학술발표논문집 Vol.2020 No.-

        진공단열재(VIPs, Vacuum Insulation Panels)는 다공성의 심재를 투습 및 투기성이 낮은 고기밀성 외피재를 이용하여 밀봉한 후 패널의 내부를 10~100 mbar 수준의 진공상태로 유지시켜 일반단열재 대비 10배 이상 낮은 열전도율을 유지할 수 있는 복합 단열재이다. 2010년초부터 대용량 냉장고 생산에 진공단열재가 사용되었으며, 최근 재활용단계에서도 진공단열재가 내장된 제품들이 발생하여 이에 대한 순환이용성 확보가 시급하다. 냉장고용 진공단열재는 주로 글라스울 심재가 사용되며, 습식심재는 섬유경이 3~5μm 수준으로 인체 유해성 이슈로 인해 건식 심재로 전환되는 추세이다. 흡착제 및 게터(Getter)는 냉장고 제조사 별로 차이가 있으나 주로 수분만 흡착하는 CaO와 수분 외 기체 분자를 흡착하는 게터 (getter)가 사용된다. 일부 제조사에서 진공단열재 적용 초기 사용했던 metal getter가 냉장고 재활용과정에서 물과 접촉하거나 충격 때문에 화재를 일으킨 사례도 존재했다. 또한, 유리섬유가 공장 내 분진으로 부유할 경우 호흡기 및 폐 질환 유발 우려가 존재하는 것도 사실이다. 결과적으로, 진공단열재가 내장된 냉장고는 최종 재활용단계에서도 난제에 봉착해있다. 본 연구는 진공단열재가 내장된 냉장고를 친환경적이면서 안전하게 처리할 수 있는 재활용 시스템을 실증적으로 개발·운영함을 목표로 한다. 진공단열재를 원형 유지 후 회수하여 건축용 단열재로의 재사용을 목적으로 하며, 이를 위해 냉장고 외판 절단, 외판 해체, 외판으로부터의 진공단열재 분리공정을 재활용 플랜트에 설치·운영하여 진공단열재 순환이용성을 확보하고자 한다.

      • 냉장고의 상황별 전기신호 검출 및 열적특성

        이흥수,윤성렬,김보욱 한국화재조사학회 2014 한국화재조사학회 학술대회 Vol.2014 No.11

        오늘날 냉장고는 주거시설을 비롯한 다양한 업종 및 용도시설에 널리 보급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만큼 냉장고는 실생활의 편리함을 추구하기 위해 정말 필요한 가전제품 중 하나이다. 하지만 냉장고는 내부 온도를 냉각시키기 위하여 전기에너 지를 이용하고 있으며, 냉각된 주위 온도를 유지하기 위해 다량의 가연성 단열재 를 사용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조적인 특성으로 인해 냉장고 내부에는 점화원과 가연물이 항시 상존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냉장고의 냉각부품과 냉동능력 향상을 위한 부품의 고장 등으로 인한 상황에서 냉장고의 전기신호를 검출하고 열적특성을 확인해 보고자 하였다. 실험을 통해 확인된 위험성과 문제점 등은 화재안전점검과 화재조사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In these day, the refrigerator has been widely used in a variety of industries and applications, including residential areas. the refrigerator is One of the very needed home appliances to seek the convenience of real-life. However, the refrigerator is using the electrical energy and a large amount of combustible insulation in order to maintain the cooled ambient temperature. It can be said that the ignition source and flammable substances is inside the refrigerator at all times due to structural characteristics. this study is to detect the electrical signals in the fault condition of the parts of the refrigerator and to evaluate the thermal characteristics. It could be used as the basis of fire safety inspections and fire investigations.

      • KCI등재SCOPU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