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내현적 자기애와 외모관리행동의 관계

        류진아,이지영 한국화장품미용학회 2019 한국화장품미용학회지 Vol.9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healthy spirit and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of high school girls, by looking at the relationship and influence between self-love tendencies and self-examination. The collected data were derived from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25.0 version. First, An analysis of the correlation between covert narcissism and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showed partial correlation between internal self-love and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Second, after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overt narcissism and hair care behavior, only the factors of 'insensitivity/ lack of self-confidence' in covert narcissism had a significant effect. And the impact of the inverse proportion has emerged. Third, after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overt narcissism and nail management behavior, it was found that the factors of exploitation/self-centeredness, aim instability, and lack of self-confidence in inner-external self-love had a significant effect. Fourth, after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overt narcissism and makeup behavior, it was found that the factors of 'recognition/giant self-interest' and 'exploitation/self-centeredness' of covert narcissism had a significant effect. Fifth, after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overt narcissism and skin care behavior, it was found that the factors of 'exploitation/self-centeredness', 'target instability', and 'Timid/lack of self-confidence' of covert narcissism had a significant effect. 본 연구에서는 오늘날 외모관리에 가장 많은 관심을 가지는 여고생이 자기애적 성향과 자신의 외면을 가꾸는 외모관리 사이에 어떠한 관계와 영향성이 있는지 알아보고 여고생의 건강한 정신과 외모관리행동을 이해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여고생의 내현적 자기애와 외모관리행동 간의 영향관계 파악을 위하여 충청북도에 거주하는 여고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한 자료는 SPSS 25.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내현적 자기애와 외모관리행동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분석결과 내현적 자기애와 외모관리행동이 부분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내현적 자기애와 헤어관리행동 간의 영향관계를 살펴본 결과 내현적 자기애의 소심/자신감 부족 요인만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부(-)의 영향관계를 보였다. 셋째, 내현적 자기애와 네일관리행동 간의 영향관계를 살펴본 결과 내현적 자기애의 착취/자기중심성, 목표불안정, 소심/자신감 부족 요인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내현적 자기애와 메이크업 행동 간의 영향관계를 살펴본 결과 내현적 자기애의 인정욕구/거대자기환상과 착취/자기중심성 요인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요인 모두 정(+)의 영향관계를 미치므로, 내현적 자기애의 인정욕구/거대자기환상과 착취/자기중심성이 높아지면 메이크업행동도 높아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다섯째, 내현적 자기애와 피부관리행동 간의 영향관계를 살펴본 결과 내현적 자기애의 착취/자기중심성, 목표불안정, 소심/자신감 부족 요인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가 관계중독에 미치는 영향 : 자아 분화의 매개 효과

        박윤애,김은실 사단법인 미래융합기술연구학회 2021 아시아태평양융합연구교류논문지 Vol.7 No.8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 관계중독, 자아 분화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 내현적 자기애와 관계중독과의 관계에서 자아 분화가 매개하는지를 알아보기 위함이다. 본 연구 대상자는 전국에 거주하고 있는 대학생 400명으로 남자는 72명, 여자는 328명이였으며, 연구 도구는 내현적 자기애척도(Covert Narcissism Scale: CNS), 관계중독척도(Relationship addiction Questionnaire: RAQ-30), 자아 분화척도(Differentiation of Self Scale)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와 자아 분화는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 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와 관계중독과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 대학생의 자아 분화는 관계중독과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를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와 관계중독 간의 관계에서 자아 분화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의 성향이 높을수록 자아 분화의 수준이 낮아지고, 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의 성향이 높을수록 관계중독은 높아졌다. 또한, 자아 분화는 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와 관계중독과의 관계에서 부분 매개 역할을 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내현적 자기애가 증가할수록 자아 분화는 감소하고, 자아 분화 수준이 낮을수록 관계중독 성향이 높아졌다. 즉, 내현적 자기애가 높을수록 관계중독의 성향을 보이며 자아 분화의 수준은 낮은 것이다. 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의 성향이 강할수록 자신과 타인을 분리하는 능력이 낮아지고 타인과의 정서적 융합은 심화하여 타인에게 의존할 가능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의의는 대학생의 관계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대학생의 자아 분화를 촉진하여 독립적 정체성의 확립을 도와주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e the mediating effect of Self-Differenti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vert Narcissim and Relationship Addic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on 400 University students living in Korea composed of 72 men and 328 women. The research tools were Covert Narcissism Scale (CNS), Relationship Addiction Questionnaire (RAQ-30), and Differentiation of Self Scal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On the other hand, covert narcissism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relationship addiction, while, self-differentiation showed negative correlation with relationship addiction.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 of self-differenti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vert narcissism and relationship addiction of University students, the higher the tendency of covert narcissism of University students, the lower the level of self-differentiation, and the higher the tendency of covert narcissism of University students, the higher the relationship addiction. In addition, self-differentiation was found to play a partial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vert narcissism and relationship addiction of University students. As covert narcissism increased, self-differentiation decreased, and as the level of self-differentiation decreased, the tendency of relationship addiction increased. In other words, the higher covert narcissism, the more tendencies of relationship addiction and the lower level of self-differentiation. The stronger the tendency of covert narcissism of University students, the lower the ability to separate oneself and others, and the deeper the emotional convergence with others, the more likely they are to rely on oth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help establish an independent identity by promoting self-differentiation of university students in order to solve the difficulties of relationship among university students.

      • RISS 인기논문

        중학생에서 내현적 자기애성향과 대인관계 지향성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정문선,이무식 한국중독재활복지학회 2018 중독과 복지 Vol.2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convert narcissism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on smartphone addiction among adolescences. The conclusions drawn from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convert narcissism had a high influence on withdrawal, tolerance, obsession and life inconvenience, maladjustment of smartphone addiction. Seco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had a significant effect on withdrawal, tolerance, obsession and life inconvenience, maladjustment of smartphone addiction. Third, convert narcissism was found to be an important factor that directly affected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smartphone addiction as well as indirectly affected smartphone addiction through interpersonal relationship. This showed that there was a relationship between convert narcissism,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smartphone addiction.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limited to middle school students in Daejeon. Thus, it is not clear whether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pplicable to all youth. Future research need to be continued and compared to ensure that the same results are obtained when the population is surveyed nationwide. In addition, research subjects should be expanded to various types of groups. Second, only quantitative research was conducted in this study. Because of this, there is a limit to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 with other variables except set variables. Therefore, in the future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in parallel with qualitative approaches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of various variables in depth and generally. Third, in future research there be an should attempt to identify the effects of the various variables related to smartphone addiction. 이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내현적 자기애 성향 및 대인관계 지향성과 스마트폰 중독의 인과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조사대상은 2016년 일개 광역시 소재 중학교에 재학 중인 청소년을 모집단으로 설정하고, 연구의 특성에 맞게 집락무작위표집법(cluster random sampling)을 이용하여 5개 구별 1곳을 선정하여 각 학년별 각 40명씩 총 600명 을 선정하였으며, 최종 자료 분석에 이용된 설문은 총 489부였다. 청소년의 자기애 성향과 대인관계 지향성, 스마트폰 중독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해 이 연구에서는 개인적 특성인 배경변인으로 성, 학년, 가족관계를, 독립변인으로는 자기애 성향으로 하고 매개변인으로는 대인관계 지향성을 종속변인으로는 스마트폰 중독을 설 정하였다. 연구절차와 방법을 통해 도출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내현적 자기애 성향이 스마트폰 중독의 금단, 내성, 강박·집착과 생활불편·부 적응 요인 높은 영향을 미쳤다. 둘째, 대인관계 지향성은 스마트폰 중독의 금단, 내성, 강박·집착과 생활불편·부적응 요인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내현적 자기애는 대 인관계 지향성과 스마트폰 중독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고, 대인관계 지향성을 통해 스마 트폰 중독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임을 검증하였다. 이로써 내현적 자기 애 및 대인관계 지향성과 스마트폰 중독 간에는 인과관계가 있었다.

      • 내현적 자기애 성향과 편집 성향 집단의 자기개념과 우울

        김채영, 송현주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2018 심리치료: 다학제적 접근 Vol.18 No.1

        본 연구는 내현적 자기애 성향과 편집 성향에 따라 집단을 구분하고 집단 간 자기개념과 우울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자는 만 19세–29세까지의 남녀 410명(남자205, 여자 205)이며 내현적 자기애 척도, 편집 척도, 자기개념 척도, 우울 척도를 사용하여 온라인 설 문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의 집단 구분 결과에 따르면 편집 성향과 내현적 자기애 성향 을 단독으로 가지고 있는 집단은 소수(편집5명, 내현적 자기애12명)였던 반면, 편집 성향과 내현적 자기애 성향 모두 가지고 있는 집단(75명)은 상대적으로 많게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내현적 자기애 성향과 편집 성향 모두 높은 집단과 모두 낮은 집단을 중심으로 결과를 분석하였고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내현적 자기애와 편집 성향이 모두 높은 집단에서 부정적인 자기개념과 우울감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자기개념의 하위요인 중 내현 적 자기애 성향과 편집 성향을 가장 유의미하게 예측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단계적 회 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편집 성향의 경우 정서안정성과 대인신뢰감이 낮을수록, 대인관계능 력과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편집 성향이 높은 것으로 예측되었다. 내현적 자기애 성향의 경우 정서안정성, 대인신뢰감, 문제해결능력이 낮을수록 내현적 자기애 성향을 높게 예측하 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보았을 때, 내현적 자기애 성향과 편집 성향은 낮은 정서안정성과 대인신뢰감이라는 공통된 특성을 공유하고 있으며, 이와 관련하여 내현 적 자기애 성향이 높을수록 편집 성향이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내현적 자기애와 편집성향의 치료나 상담 시에 두 성향의 관련성과 동반 상승 정도를 염두 에 두고 함께 다루는 것이 유용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research aimed to separate groups according to covert narcissistic tendencies and paranoid tendencies and to compare self-concept between the groups. To conduct the study, male and female adults aged between 19 and 29(male, 205 female, 205) were recruited. The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different groups based on scores of paranoid scale and covert narcissism scale. In this study, there were fewer people in the group with only paranoid tendencies or covert narcissistic tendencies than group with both paranoid tendencies and covert narcissistic tendencies ( paranoid tendencies 5, narcissistic tendencies 12) The results were analyzed by focusing on the group that had high level in both covert narcissistic tendencies and paranoid tendencies and the group with low level of them. The major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covert narcissistic tendencies and paranoid tendencies, the higher group showed lower self-concept and higher depression. Second,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identify sub-factors of self-concept that predicted covert narcissistic tendencies and paranoid tendencies the most significantly. From paranoid tendencies, showed that lower emotional stability and interpersonal reliability and the higher the interpersonal skills and self-esteem could predict higher the paranoid tendencies. As for covert narcissistic tendencies, estimated that low emotional stability, interpersonal reliability, and problem-solving skills could highly predict covert narcissistic tendencies. According to this study, narcissistic tendencies and paranoid tendencies shared common characteristics of lower emotional stability and interpersonal reliability. Also, it could be possible that the two groups may have positive correlation in the scores of the tendencies. As there were more people with both covert narcissistic tendencies and paranoid tendencies than single type, it is necessary to conduct research about characteristics of the group with high levels of the both tendencies and proper therapeutic intervention. As a result, treatment or consultation could be helpful to consider the correlation between covert narcissism and paranoid tendencies and the level of synergistic effect.

      • KCI등재

        미혼커플의 내현적 자기애와 정서표현 양가성이 이성관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

        박효경,김은하 한국상담학회 2017 상담학연구 Vol.18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overt narcissism and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on on relationship satisfaction for pre-marital couple and to discuss the implications for counselling in order to provide a more effective advice to couples who are experiencing difficulties. For the purpose, a questionnaire was conducted to 128 couples living in Gyeong-gi area, total of 256 male and female, which consisted of covert narcissistic scale, relationship satisfaction scale, and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on scale. The actor with partner interdependent model (APIM) was applied an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 Firstly, as a result of checking the mean between the variables, the covert narcissism and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on were higher in women than in men, and the relationship satisfaction was higher in men than in women. Secondly, as a result of researching the direct effect of covert narcissism on the relationship satisfaction, both men and women had the actor effect because their covert narcissism had a negative effect on their relationship satisfaction. Although the covert narcissism of the man did not affect the satisfaction of the female, the covert narcissism of the woman had a negative effect on the male 's relationship satisfaction. Thirdly, as a result of studying on the direct effect of covert narcissism on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on, both men and women had the actor effect. However, the partner effect did not appear in both men and women. Fourthly,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the direct effect of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on the relationship satisfaction, both men and women did not have actor and partner effects. Lastly, as a result of researching the indirect effect of covert narcissism on the relationship satisfaction through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on,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romantic relationship satisfaction, so indirect effects could not be confirmed. Based on the main results, implications of the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y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미혼커플의 내현적 자기애와 정서표현 양가성이 이성관계 만족도에 미치는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를 확인하고, 상담에서 이성교제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성인초기 내담자에게 효과적인 도움을 주기 위한 시사점을 논의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 지역에 거주하는 커플 128쌍, 총 256명의 현재 이성교제 중인 미혼 남녀를 대상으로 내현적 자기애 척도와 이성관계 만족도 척도, 정서표현 양가성 척도로 구성된 설문을 실시하였고, 이성교제 상호역동성을 고려하고자 APIM(Actor - Partner Interdependent Model) 분석방법을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각 변인의 평균을 확인한 결과, 내현적 자기애와 정서표현 양가성은 여자가 남자보다 높게 나타났고, 이성관계 만족도는 남자가 여자보다 높게 나타났다. 둘째, 내현적 자기애가 이성관계 만족도에 미치는 직접효과를 확인한 결과, 남녀 모두 내현적 자기애가 자신의 이성관계 만족도에 부적영향을 미쳐 자기효과가 나타났다. 남자의 내현적 자기애는 여자의 이성관계 만족도에 영향을 주지 않아 상대방효과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여자의 내현적 자기애는 남자의 이성관계 만족도에 부적상관을 미쳐 상대방효과가 나타났다. 셋째, 내현적 자기애가 정서표현 양가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 남녀 모두 내현적 자기애가 자신의 정서표현 양가성에 정적영향을 미쳐 자기효과가 나타났다. 그러나 남녀 모두 내현적 자기애가 상대방의 정서표현 양가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아 상대방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넷째, 정서표현 양가성이 이성관계 만족도에 미치는 직접효과를 확인한 결과, 남녀 모두 자기효과 및 상대방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다섯째, 내현적 자기애가 정서표현 양가성을 통해 이성관계 만족도에 미치는 간접효과를 확인한 결과, 정서표현 양가성이 이성관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하지 않아 간접효과를 확인 할 수 없었다. 주요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 및 향후 연구에 대한 제언을 덧붙였다.

      • KCI등재

        중학생 자기애 성향의 하위유형에 따른 기질과 공감 능력의 차이

        손애리,고은경,황순택 한국심리학회산하학교심리학회 2010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Vol.7 No.3

        In this study, narcissistic group of the junior high school students were divided into two subtypes of overt and covert. To investigate differences of two groups the Narcissistic Personality Disorder Scale(in PDDS-A), the Covert Narcissism Scale (CNS), The Interpersonal Reactivity Index (IRI), and The Temperament and Character Inventory (JTCI) were administered to 325 students of age 13-14. 35 students of those were overt narcissistic and 45 students of those were covert narcissistic. The control group was consisted of 37 students. Correlation analysis have been carried out using SPSS. As a result, the covert narcissistic students showed statistically higher Novelty seeking and Harm avoidance but lower Persistence compare to the overt narcissistic and control students. After looking for empathy between groups, we found that overt narcissistic student present better perspective-taking than covert. And overt and covert narcissistic students showed higher fantasy compare to controls.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groups on empathic concern. On personal distress, covert narcissistic students showed higher score than the overts and the controls.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covert narcissists have more malfunctioned aspects on the other hand the overt narcissists are rather adaptive in a real world. 본 연구는 중학생을 대상으로 자기애적 성격의 하위 유형인 외현적 자기애 성향군과 내현적 자기애 성향군이 기질과 공감 능력에서 차이를 보이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중학교 2학년생 325명을 대상으로 성격장애진단검사-청소년용(PDDS-A)의 자기애적 성격장애 척도, 내현적 자기애 척도(CNS), 대인관계 반응양식 척도(IRI), 기질 및 성격검사(JTCI)의 기질척도를 실시하였다. 자기애적 성격장애 척도 점수와 내현적 자기애 척도 점수를 조합하여 내현적 자기애 성향집단 45명(남16, 여29), 외현적 자기애 성향집단 35명(남15, 여20), 자기애 성향이 낮은 비교집단 37명(남28, 여9)을 선발하여 비교하였다. 비교결과 자극추구와 위험회피에서 내현적 자기애 성향집단이 외현적 자기애 성향집단 및 비교집단보다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보였다. 반면에 인내력에서는 내현적 자기애 성향집단이 비교집단 및 외현적 자기애 성향집단보다 유의하게 낮은 점수를 보였다. 자기애 성향이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 간에 공감능력(관점취하기, 상상하기, 공감적 관심, 개인적 고통)에 차이가 있는지 검증한 결과 관점 취하기에서는 외현적 자기애 성향집단이 내현적 자기애 성향집단보다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상상하기에서는 내현적 자기애 성향집단과 외현적 자기애 성향집단이 비교집단보다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공감적 관심에서는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개인적 고통에서는 내현적 자기애 성향집단이 외현적 자기애 성향집단과 비교집단보다 유의미하게 높은 점수를 얻었다. 이러한 결과는 내현적 자기애 성향집단이 외현적 자기애 성향집단에 비하여 실제 적응에서 보이는 공감 특성이 더 역기능적임을 시사한다. 끝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후속 연구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 성인애착과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취약성과 내현적 자기애의 매개효과

        김은혜,장문선,조현춘 숭실대학교 부부가족상담연구소 2014 가족과 상담 Vol.4 No.1

        본 연구에서는 성인애착, 수치심경향성, 자기불일치, 내현적 자기애, 사회불안의 관련성을 알아보았다. 그 리고 성인애착과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내현적 자기애의 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 대학생 남 여 총 435명을 대상으로 자기 보고식 설문조사를 통해 성인애착, 수치심경향성, 자기불일치, 내현적 자기애, 사회불안을 측정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내현적 자기애는 성인애착, 사회불안과의 상관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고, 특히 수치심경향성과 높은 상관을 보였다. 또한 수치심경향성과 자기불일치, 내현적 자기애는 애 착회피보다 애착불안과 더 관련이 있고, 사회불안은 애착불안보다 애착회피와 더 관련이 있었다. 둘째, 성 인애착과 내현적 자기애의 관계에서 애착불안과 회피는 모두 내현적 자기애를 직접경로로 유의하게 설명 하였다. 뿐만 아니라, 성인애착과 내현적 자기애의 관계에서 수치심경향성과 자기불일치의 부분 매개효과 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셋째, 성인애착과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애착회피와 사회불안의 직접경로만 유 의미하게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애착불안은 사회불안과의 관계에서 내현적 자기애의 완전 매개효과가 통계 적으로 유의하였고, 애착회피는 사회불안과의 관계에서 내현적 자기애의 부분 매개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 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상담 및 치료 장면에서 사회불안을 경험하는 내현적 자기애자들의 성인애착을 살펴 봄과 동시에 유년기애착의 문제를 가정하도록 하여 초기에 구체적인 목표를 세우도록 이끌어 치료의 시기 와 효율성을 증가시키는데 유용한 자료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와 데이트 폭력 가해와의 관계: 분노표현의 매개효과

        남귀숙,이수진 한국심리학회산하학교심리학회 2020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Vol.17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functional and dysfunctional expressions of anger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vert narcissism and dating violence among college students. The study also investigated gender differences with regard to covert narcissism, dating violence, and functional and dysfunctional expressions of anger. To this end, 339 college students (133 males, 206 females) with heterosexual dating experiences in the Busan Metropolitan area were recruited. They responded to the Covert Narcissism Scale, the Revised Conflict Tactics Scale 2, and the Korean adaptation of the State-Trait Anger Expression Inventor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covert narcissism, dating violence, and functional and dysfunctional expressions of anger differed significantly by gender. Second,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covert narcissism, dating violence, and functional and dysfunctional expressions of anger. Thir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dysfunctional expressions of anger for male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dating violence while functional expressions of anger were negatively correlated. For females, dysfunctional expressions of anger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dating violence while functional expressions of anger were not significantly correlated. Fourth, dysfunctional expressions of anger complete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overt narcissism and dating violence for both males and females, but functional expressions of anger had no mediating effect. These results suggest that dysfunctional anger expression control program should be developed for students which may help those with covert narcissistic tendencies to functionally express their anger. Future research should analyze dating violence prevention and counseling programs.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 성향과 데이트 폭력 가해와의 관계에서 역기능 및 기능적 분노표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 이때 남녀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이성교제 경험이 있는 부산지역의 대학생 399(남 133명, 여 206명)명의 자료를 최종 분석하였다. 측정도구는 내현적 자기애 척도(Covert Narcissism Scale: CNS), 갈등책략척도(The Revised Conflict Tactics Scale 2: CTS-2), 한국판 상태-특성 분노표현 척도(The Korean adaptation of the State-Trait Anger Expression Inventory: STAXI-K)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내현적 자기애와 데이트 폭력 가해, 역기능 및 기능적 분노표현은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내현적 자기애와 데이트 폭력 가해, 역기능 및 기능적 분노표현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셋째, 내현적 자기애와 데이트 폭력 가해의 관계에서 역기능 및 기능적 분노표현의 매개효과를 성별로 분석한 결과, 남학생의 역기능적 분노표현은 내현적 자기애와 데이트 폭력 가해의 관계에서 완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능적 분노표현은 매개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또한 여학생의 역기능적 분노표현도 내현적 자기애와 데이트 폭력 가해의 관계에서 완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능적 분노표현은 매개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연구결과 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 성향과 데이트 폭력 가해의 관계에서 역기능적 분노표현이 완전매개함을 확인함으로써, 내현적 자기애 성향이 높을수록 역기능적 분노표현이 높아지고, 역기능적 분노표현이 높을수록 데이트 폭력 가해를 행할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내현적 자기애 성향자들의 분노를 기능적으로 적절히 다룰 수 있는 분노조절 프로그램 등을 개발하여 데이트 폭력의 예방 및 상담에 적용할 필요성을 시사한다.

      • KCI등재

        외현적․내현적 자기애와 결혼 만족도의 관계에서 배우자 평가의 상호매개효과: APIMeM의 적용

        이성미,이영호 한국임상심리학회 2021 한국심리학회지: 임상심리 연구와 실제 Vol.7 No.1

        본 연구는 남편과 아내의 외현적․내현적 자기애와 결혼만족도의 관계에서 배우자평가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했다. 상호 의존적인 커플자료의 특성을 반영하여, 각 변인들의 자기 효과와 상대방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APIMeM 모형을 적용하였다. 이를 위해 온라인으로 263쌍의 부부를 모집하여 자기애성 성격장애 척도(NPDS), 내현적 자기애 척도(CNS145), 연애대상평가척도(MALPS), 결혼만족도 척도(MSI)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아내의 내현적 자기애가 남편의 내현적 자기애보다 유의하게 높고, 남편의 결혼만족도는 아내의 결혼만족도보다 유의하게 높아 성별 차이가 확인되었다. 남편의 외현적 자기애는 자신의 결혼 만족도에는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부적 자기효과만이 확인되었으나, 아내의 외현적 자기애는 아내의 결혼 만족도와 남편의 결혼 만족도 둘 다를 저하시켜 자기 효과와 상대방 효과가 나타났다. 남편과 아내 모두 배우자 평가의 매개 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남편의 내현적 자기애는 남편과 아내의 결혼 만족도에 부적인 영향을 미쳐 자기 효과와 상대방 효과 모두 직접효과가 나타났다. 더불어 남편의 내현적 자기애가 높을수록 아내를 부정적으로 평가하여 자신의 결혼만족도를 저하시키고, 아내도 남편에 대한 평가가 낮아져 아내의 결혼만족도도 감소하는 바, 배우자평가를 통한 매개효과도 자기 효과와 상대방 효과가 확인되었다. 아내의 내현적 자기애도 직접 효과에서는 자기 효과와 상대방 효과 모두 유의하였으나 배우자평가의 매개효과는 남편의 부정적인 평가를 유발하여 남편의 결혼만족도가 저하되는 상대방 효과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후보

        내현적 자기애와 외현적 자기애가 직장 내 대인관계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김소연 ( So-youn Kim ),고영건 ( Young-kun Koh ) 한국동서정신과학회 2016 동서정신과학 Vol.19 No.1

        본 연구에서는 자기애가 직장 내 대인관계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고자 직장인 229명을 대상으로 내현적 자기애 척도(CNS)와 외현적 자기애를 측정하는 자기애적 성격검사(NPI) 그리고 상사·부하·동료 스트레스 척도를 사용하였다.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내현적 자기애는 상사·부하직원·동료 스트레스에 정적 영향을 미치고, 외현적 자기애는 상사·부하·동료 스트레스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둘째, 내현적 자기애 중에서, 동료 스트레스에 가장 많은 영향을 준 요인으로는 과민/취약성이고, 인정욕구는 동료 스트레스에 부적 영향을, 목표불안정은 상사 스트레스에 정적 영향을 주었다. 외현적 자기애에서, 권력욕구/특권의식은 상사·동료 스트레스에 정적 영향을, 탁월감은 부하스트레스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내현·외현 자기애의 평균점수로 고·저를 나누고 조합하여 외현 및 내현적 자기애 공존 집단, 내현적 자기애 집단, 외현적 자기애 집단, 낮은 수준의 자기애 집단으로 구성하여 집단 간 차이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외현 및 내현적 자기애 공존 집단은 낮은 수준의 자기애 집단보다 상사 스트레스, 동료 스트레스를 더 많이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고, 내현적 자기애 집단은 외현적 자기애 집단보다 동료스트레스를 더 많이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자기애가 직장이라는 경쟁적 사회맥락 속에서 수평 및 수직관계의 스트레스에 어떠한 역할을 하는 지 밝힐 뿐이 아니라, 내현·외현 자기애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집단 간의 차이를 확인하여 두 자기애의 복합적인 차원의 영향력도 살펴볼 수 있었다. 또한 외현적 자기애와 내현적 자기애의 하위특성별 순기능과 역기능성을 파악하는 데 의의를 두었다. In this study, in order to identify how the Narcissism affects on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stress in work place, 299 workers were surveyed by using NPI(narcissistic personality inventory) that measures overt narcissism, CNS(covert narcissism scale) that measures covert narcissism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stress scale that measures the stress level among supervisors, subordinates, and peers. To summarize the conclusion, firstly, the covert narcissism has static effect on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stress among superiors, subordinates, and peers while overt narcissism doesn’t. Secondly, out of sub-characters of covert narcissism, hypersensitivity /vulnerability showed as the highest stress factor to the peer to peer relationship. Social recognition desire gave negative effect on the peer-to-peer relationship stress, and goal instability gave positive effect on the stress from the relationship with boss. Out of sub-characters of overt narcissism, the privileged entitlement gave positive effect on stress with supervisor and peer relationship, but excellence gave a negative effect on the stress from the relationship with the subordinates. Thirdly, the surveyees are categorized into four groups of the covert narcissism, the overt narcissism, the low level of narcissism, and the coexisting of covert and overt narcissism group by the degrees of covertness and overtness after averaging out the score of the covert and overt narcissism and dividing into high and low part, and examined the difference amongst these four groups. As a result, the coexisting group experienced more stress from the relationship with supervisors and peers than the low level narcissism group. and the covert narcissism group experienced more stress from peer-to-peer relationship than the overt narcissism group. This research showed how the narcissistic character influences on the stress from interpersonal relationship, both vertical and horizontal in the competitive social environment, but also confirmed how the covert and overt narcissism give complex-dimensional influence on the relationship in each groups categorized by the degrees of covertness and overtness by verifying the difference among the groups. Additionally the research has significance for finding function and dysfunction of sub-characters of covert and overt narcissis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