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주요 농업기계 사용연수 조사분석

        신승엽 ( Seung-yeoub Shin ),김유용 ( Yu Yong Kim ),이정민 ( Jeong Min Lee ),황성준 ( Sung-jun Hwang ),노재승 ( Jae Seung Noh ) 한국농업기계학회 2016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1 No.2

        농기계 내구연수는 농기계 관련 융자금 상환기간, 이용비용 분석, 수리용 부품 의무공급기간, 손해 보험사의 사고보상을 위한 기준자료로 활용되고 있다. 농기계의 내구수명 기준은 국가에 따라 이용시간 또는 사용연수를 기준하여 활용되고 있다. 우리나라는 사용연수를 기준으로 하는데, 농식품부에서 제공하는 농기계 내구연수 기준이 실제 농기계 사용연수와 차이가 많아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 이 연구는 농가현장에 적합한 농기계 내구연수 기준설정을 위한 기초자료로 사용하고자 수행하였다. 농가의 농기계 사용연수 자료는 농촌진흥청에서 2007년부터 주기적으로 조사(조사 시점의 전년도를 기준)한 자료를 활용하였다. 조사표본은 전국 9개도에서 150개 읍면 1,500농가를 대상으로 농기계 생산년도, 연간 사용일수 및 사용시간 등을 현지 면접조사하였으며,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농가에서 보유한 농기계의 사용연수는 해가 갈수록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2015년 농기계별 평균 사용연수는 경운기 18.4년, 트랙터 11.8년, 보행형이앙기 14.2년, 승용형이앙기 8.2년, 콤바인 8.5년, 곡물건조기 13.9년 등으로 10년 전인 2006년에 비해 농기계에 따라 28.2∼42.7%가 증가하였다. 이는 그동안 농기계의 품질향상과 보급확대에 따른 이용시간 감소로 보다 오래 사용하게되고, 농기계를 고쳐서 사용하는 농가가 증가한 이유로 보인다. 2015년에 농가에서 사용한 농기계의 사용연수와 사용시간과의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계수를 가진 농기계는 관리기, 트랙터, 승용이앙기, 콤바인, 곡물건조기 등 5기종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들 농기계도 사용연수와 사용시간에 대한 상관계수가 -0.269이하로 상관관계가 거의 없어 결과적으로 농기계 내구수명은 사용연수를 기준하여 정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농식품부에서 제시하는 농기계 내구연수는 경운기, SS기 6년, 트랙터, 곡물건조기, 농산물건조기는 8년, 관리기, 이앙기, 콤바인은 5년으로 정하고 있다. 이는 2015년 농가의 농기계 평균사용연수에 비해 경운기 12.4년, 관리기 7.8년, 트랙터 3.8년, 보행형이앙기 9.2년, 승용형이앙기 3.5년 곡물건조기 5.9년, 농산물건조기 0.5년, SS기 4.5년 정도 짧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농기계의 경제성 분석 시 과다비용 계상으로 인한 정책적 오류를 초래할 수 있고, 수리용부품의 공급기간이 실제 농기계 사용연수에 비해 짧아 부품공급 불안정으로 인한 신속한 수리를 어렵게 할 우려가 높다. 또한 농기계 사고에 의한 파손 시 실제 농기계가 가지는 잔존가치보다 매우 적게 받을 수도 있다. 결과적으로 농기계 내구연수를 현실에 맞게 조정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관로 노후도 평가결과를 이용한 상수도 관로의 잔존수명 평가 기법의 개발

        박수완,김기민,Park, Suwan,Kim, Kimin 한국수자원학회 2017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ol.50 No.10

        본 논문에서는 상수관로의 효율적인 유지 관리를 위해 상수도 기술진단에서 점수평가법으로 도출된 관망성능평가결과를 이용한 상수도 관로의 내구연수 및 잔존수명 산정 방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잔존수명은 '모델에 의해 추정된 매설 후 최적교체시기까지 경과년수'를 의미하는 '내구연수'와 매설 후 경과년수의 차이로 정의하였으며, 내구연수는 관망성능평가기준으로 제시된 노후관로 판정기준 점수에 도달하는 시점으로 정의하였다. 연구대상지역의 관망성능평가에 사용된 평가항목들과 노후도 점수를 상수도 관로의 잔존수명 추정을 위한 다중회귀모델의 변수로 사용하였다. 잔존수명의 산정에 필요한 내구연수를 추정하기 위하여 구축된 회귀모델에 독립변수로 사용된 노후도 점수를 나타내는 변수의 값으로 노후관로 판정기준 점수에 해당하는 값을 대입하였다. 개발된 회귀모델을 이용하여 연구대상지역 상수도 관로의 내구연수 및 잔존수명을 산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지방공기업법에서 제시하고 있는 내용연수와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In this paper a method for estimating the 'service life' and 'residual life' of a water pipe based on the Water Pipe Network Performance Evaluation(WPNPE) results of Water Supply Technical Diagnosis was developed for efficient maintenance of water pipes. The residual life of a pipe was defined as the difference between the service life and elapsed time since installation. The service life was defined as the time when a pipe reaches the reference score for determining deteriorated pipes that was used in the WPNPE. The pipe evaluation criteria and deterioration scores used in the WPNPE for the case study area were considered as independent variables in the multiple regression model for estimating the service life and residual life of the pipes in the area. To estimate the service life for the pipes the reference scores for determining deteriorated pipes were used as the values of the variables that represent the deterioration scores in the constructed regression models. Subsequently, the statistics of the service life and residual life of the pipes in the case study area were presented and analyzed in comparison with the service life defined by the Local Public Enterprizes Act.

      • KCI등재

        Development of techniques for evaluating residual life of water pipes based on pipe deterioration evaluation results

        Park, Suwan,Kim, Kimin 한국수자원학회 2017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ol.50 No.10

        본 논문에서는 상수관로의 효율적인 유지 관리를 위해 상수도 기술진단에서 점수평가법으로 도출된 관망성능평가결과를 이용한 상수도 관로의 내구연수 및 잔존수명 산정 방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잔존수명은 ‘모델에 의해 추정된 매설 후 최적교체시기까지 경과년수’를 의미하는 ‘내구연수’와 매설 후 경과년수의 차이로 정의하였으며, 내구연수는 관망성능평가기준으로 제시된 노후관로 판정기준 점수에 도달하는 시점으로 정의하였다. 연구대상지역의 관망성능평가에 사용된 평가항목들과 노후도 점수를 상수도 관로의 잔존수명 추정을 위한 다중회귀모델의 변수로 사용하였다. 잔존수명의 산정에 필요한 내구연수를 추정하기 위하여 구축된 회귀모델에 독립변수로 사용된 노후도 점수를 나타내는 변수의 값으로 노후관로 판정기준 점수에 해당하는 값을 대입하였다. 개발된 회귀모델을 이용하여 연구대상지역 상수도 관로의 내구연수 및 잔존수명을 산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지방공기업법에서 제시하고 있는 내용연수와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In this paper a method for estimating the ‘service life’ and ‘residual life’ of a water pipe based on the Water Pipe Network Performance Evaluation(WPNPE) results of Water Supply Technical Diagnosis was developed for efficient maintenance of water pipes. The residual life of a pipe was defined as the difference between the service life and elapsed time since installation. The service life was defined as the time when a pipe reaches the reference score for determining deteriorated pipes that was used in the WPNPE. The pipe evaluation criteria and deterioration scores used in the WPNPE for the case study area were considered as independent variables in the multiple regression model for estimating the service life and residual life of the pipes in the area. To estimate the service life for the pipes the reference scores for determining deteriorated pipes were used as the values of the variables that represent the deterioration scores in the constructed regression models. Subsequently, the statistics of the service life and residual life of the pipes in the case study area were presented and analyzed in comparison with the service life defined by the Local Public Enterprizes Act.

      • KCI등재

        지하구조물 계측센서의 내구연한 기준에 대한 규정 분석 연구

        우종태,Woo, Jong-Tae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2018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논문집 Vol.20 No.1

        본 논문은 지하구조물 계측센서의 내구연한 기준에 대한 규정 분석 연구로 국내 건설공사 발주기관의 건설 계측센서에 대한 내구연한 기준을 조사 분석하고, 법인세 시행규칙에서 건축물 등의 기준 내용연수 및 조달청의 건설계측 및 건설기계 관련 내용연수 기준을 분석하였다. 지하 구조물에 설치되기 전 조달청에서 물품 자체로 구매하는 경사계와 변형률계 등의 내구연한 기준은 8년에서 10년을 제시하고 있으나, 건설공사 시 원 지반 및 콘크리트 구조물 내에 설치된 계측센서는 지하수 영향 및 다짐 등 여러 가지 불리한 요인으로 물품 자체의 내용연수보다는 상당 기간 단축될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the regulation of durability standard of underground structures monitoring sensors. The durability criteria for construction monitoring sensors of domestic construction companies, the standard years of contents such as buildings on the income tax implementation regulations, and the standards of the Public Procurement Service for construction monitoring and construction machinery were analyzed. The durability criterion on products such as the inclination meter and the strain gauge, which are purchased from the Public Procurement Service prior to installation on the underground structure, is 8 to 10 years. It is considered that the monitoring sensor installed in the paperboard and the concrete structure at the time of construction will have considerably shortened service life rather than the useful life of the product itself due to various adverse factors such as groundwater influence and compaction.

      • 공동주택 방화문의 내구성능 및 내용연수 제안에 관한 연구

        권영진 ( Kwon Yeong-jin ),김윤성 ( Kim Yun-seong ),진승현 ( Jin Seung-hyeon ) 한국건축시공학회 2022 한국건축시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2 No.2

        There are continuous cases of fire expansion due to fire door problems around the world, including the 2010 Shanghai Apartment Fire, the 2017 Grenfell Tower Fire in England, and the 2020 Ul-san Residential and Commercial Complex Fire. In order to prevent such fire damage, the country has strengthened the performance standards of fire doors, and recently, efforts have been made to ensure the best performance of fire doors by introducing a quality recognition system. Securing the performance of fire doors is a very important aspect. However, there is a concern that old fire doors may not function normally in the event of fire due to natural deterioration, corrosion, and damage during the use process, but countermeasures are insufficient. Therefore, from a management perspective, it is very important to maintain fire doors and secure an appropriate replacement time.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whether the fire door has durability to prevent fire spread in the process of use through operation probability analysis and expert surveys, and to propose an appropriate useful life of the fire door.

      • KCI등재

        온실 구조용 파이프의 부식속도 검토

        윤성욱(Sung-Wook Yun),최만권(Man Kwon Choi),이시영(Si Young Lee),문성동(Sung Dong Moon),윤용철(Yong Cheol Yoon) (사)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15 생물환경조절학회지 Vol.24 No.4

        간척지 내 토양은 염분농도 및 함수비가 일반지역에 비해 상당히 높기 때문에 간척지에 매입된 온실의 부재는 높은 부식 환경에 노출된다. 염해의 환경에서는 파이프 골조로 이루어진 온실의 기초 및 기초와 이어진 파이프에 부식을 촉진시키기 때문에 이에 대한 보수/보강 기술개발 및 효율적인 유지 관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염해의 위험성이 높은 간척지에 적합한 온실의 유지관리, 보수/보강에 대한 기준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자료로서 토양염분환경에서 온실부재의 부식속도를 측정하였다. 각 온실파이프는 염분농도가 0%, 0.1%, 0.3% 및 0.5%인 토양 및 수중환경에 관찰기간동안(480일) 노출시켜 부식속도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 육안으로도 염분농도에 따른 부식정도의 차이가 뚜렷하게 관찰되었으며, 시험편의 표면이 검은색의 부식현상과 함께 비교적 고르게 부식되는 균일부식의 형태를 나타내었다. 논토양의 경우 염분농도 0, 0.1, 0.3, 0.5%에서 각각 0.008, 0.027, 0.036, 0.043mm·yr<SUP>-1</SUP>로 염분농도가 증가할수록 부식속도가 뚜렷하게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밭토양의 경우, 염분농도 0, 0.1, 0.3, 0.5%에서 각각 0.0002, 0.039, 0.040, 0.039mm·yr<SUP>-1</SUP>의 부식속도를 나타내었다. 상대적으로 세립질이 많은 논토양에서 부식속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입경이 작고 고르게 분포하는 토양에서 부식속도가 높은 일반적인 특성이 그대로 반영된 것으로 판단되었다. 간척지의 경우 토양의 입자의 세립 정도는 일반 내륙지역의 농경지 토양보다 높을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파이프 부식에 대한 철저한 대비가 있어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Because soils in reclaimed lands nearby coastal areas have much higher salinity and moisture content than soils in inland area, parts of greenhouses embedded in such soils are exposed to highly corrosive environments. Owing to the accelerated corrosion of galvanized steel pipes for substrucrture and structure of greenhouses in saline environments, repair and reinforcement technologies and efficient maintenance and management for the construction materials in such facilities are required. In this study, we measured the corrosion rates of the parts used for greenhouse construction that are exposed to the saline environment to obtain a basic database for the establishment of maintenance and reinforcement standards for greenhouse construction in reclaimed lands with soils with high salinity. All the test pipes were exposed to soil and water environments with 0, 0.1, 0.3, and 0.5% salinity during the observation period of 480 days. At the end of the observation period, salinity-dependent differences of corrosion rate between black-surface corrosion and relatively regular corrosion were clearly manifested in a visual assessment. For the soils in rice paddies, the corrosion growth rate increased with salinity (0.008, 0.027, 0.036, and 0.043mm·yr<SUP>-1</SUP> at 0, 0.1, 0.3, and 0.5% salinity, respectively). The results for the soils in agricultural fields are 0.0002, 0.039, 0.040, and 0.039mm·yr<SUP>-1</SUP> at 0, 0.1, 0.3, and 0.5% salinity, respectively. The higher corrosion rate of rice-paddy soil was associated with the relatively high proportion of fine particles in it, reflecting the general tendency of soils with evenly distributed fine particles. Hence, it was concluded that thorough measures should be taken to counteract pipe corrosion, given that besides high salinity, the soils in reclaimed lands are expected to have a higher proportion of fine particles than those in inland rice paddies and agricultural fiel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