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酉年工夫」 의 형성과 한국어 문화 교육 교재

        김준형(Kim Joonhyeong)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7 인문사회과학연구 Vol.18 No.3

        이 글은 나카무라 쇼지로[中村庄次郞]가 초량왜관에서 근무하던 1876년에 필사한 한국어 학습 교재「유년공부」에 주목하였다. 쇼지로는 조선에 선발된 통역관인데, 그는 초량왜관에서 한국어 학습을 위한 6편의 문학 작품을 필사한다.「유년공부」는 그 중의 하나다. 본래「유년공부」는 아메노모리 호슈[雨森芳洲]가 1705년에 편찬한 텍스트인데, 1876년에 쇼지로가 이 텍스트 를 필사하였다. 호슈의 책은 현재까지 확인되지 않으니, 아직까지는 이 책이 유일본인 셈이다. 그러니「유년공부」는 19세기에 필사되었지만, 17세기 말 조선의 풍경을 담은 책이라 할 수 있다. 호슈는 “목숨을 5년쯤 단축하는 일이 있더라도 반드시 이루리라”는 각오로 이 책을 썼다. 호슈가 조선의 책을 짓는 행위는 단순한 오락이나 일탈이 아니었다. 외교 철학이라 내세웠던 성신외교(誠信外交)의 전제가 조선인의 인정(人情)과 사세(事勢), 즉 조선의 풍속과 관습을 이해하는 데서부터 비롯되니, 조선의 풍경을 가장 잘 반영된 설화를 통해 ‘문화 교육’을 이루겠다는 의무에서 비롯된 치열한 행위였다.「유년공부」에는 총 56편의 작품이 실려 있다. 56편 중 5편은 향약(鄕藥) 관련 정보니, 순수한 이야기는 총 51편이다. 51편 중 성(性) 관련 소화는 26편, 치우담(癡愚談)과 지략담(智略 談)이 각각 11여 편, 단순 소화는 4편이다. 「유년공부」는 크게 세 가지 특성을 갖는다. 첫째, 형식적으로 구술 방식을 취한 점. 둘째, 내용적으로 성(性) 이야기를 포함한 조선의 인정물태를 다룬 작품이 많다는 점. 셋째, 패설사적 측면에서 패설의 흐름과 변이 양상에 대한 실마리를 제공한다는 점 등이 그러하다. This study focuses on YunyeonGongbu (酉年工夫), a textbook for learning Korean which was transcribed by Nakamura Shojiro in 1876 while he was working at Choryang Waegwan. Shojiro was an official interpreter selected for Chosun, and when he was staying in Waegwan, he transcribed six pieces of literary works to learn Korean. YunyeoGongbu is one of them, and it was what was compiled by Amenomori Hoshu in 1705 and then again transcribed by Shojiro. Hoshu wrote this book with a resolution “to complete it for sure even if it might shorten his life about five years or so”. To Hoshu, the act of writing books of Chosun was never a mere play. It was indeed a textbook for some sort of ‘culture education’ to take a glance at the culture of Chosun people. It was because the fact that ‘he could learn the culture of Chosun through stories’ never changed. YunyeonGongbu contains total 56 pieces of works. Among the 56 pieces, 5 pieces from episodes 33 to 37 deal with information about Hyangyak 鄕藥), so pure stories are total 51 pieces. Out of the 51 pieces, 26 episodes deal with sex, 11 are about a foolish person and about a witty person respectively, and 4 are simple episodes. Regarding the works’ internal factors aside from external factors, for example, the bibliography of the text or distribution,「YunyeonGongbu」involves crucial messages. It is associated with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stories in Korea, and the phenomena can be largely summed up as three factors. First, they take the form of verbal statement. Second, in terms of contents, many of the works deal with human lives and social circumstances such as sexual stories. Third, regarding the history of stories, they provide clues about the trends or changes of stories.

      • KCI등재

        오구라문고(小倉文庫) 所藏 韓國語 學習書에 대한 一考察 - - 『今古奇觀』을 中心으로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11 어문연구(語文硏究) Vol.39 No.3

        <P>도서번호가 <L174704>로 붙여진 오구라문고 『今古奇觀』은 白話文으로 된 한문 원문이 들어 있지 않고 단지 諺解文만으로 이루어진 총 48장의 筆寫本이다. 이 자료는 나카무라쇼지로(中村庄次郞)가 1876년에 부산의 초량공관에서 필사한 것인데, 나카무라쇼지로가 草梁語學所의 통역 담당으로 있을 때 필사한 것으로 추측된다. 오구라문고본 『今古奇觀』에는 모두 3개의 작품이 수록되어 있다. ① 兩縣令成婚事 ② 八銀人 ③ 洞庭紅이다. 본래 40편의 이야기가 수록되어 있었던 백화문 『금고기관』은 우리나라에 전해지면서 지금까지도 번역이 완벽하게 되지 못하였다. 현재까지 『금고기관』의 전편의 번역은 없는 듯하고 서울대학교 도서관에 최고 분량이라 할 수 있는 7권으로 된 번역본이 있었다고 하나 현재는 분실되어 없다. 현재 전해지고 있는 많은 한문본과 번역본 중에는 위의 세 가지의 이야기 가운데 ① <양현령성혼사〉 하나만 전해진다. 본 연구에서는 이에 대한 어문학적 연구를 시도하였다.</P><P></P>

      • KCI등재

        오구라문고(小倉文庫) 所藏 韓國語 學習書에 대한 一考察 - 『今古奇觀』을 中心으로 -

        정승혜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11 어문연구(語文硏究) Vol.39 No.3

        Geum-Go-Gi-Gwan of Ogura Bungo of which book number was [L174704] does not include the original of Chinese literature by written colloquial Chinese, and it is a manuscript of total 48 pieces consisted of only note in the Korean annotation of Chinese classics. This document is the one transcribed from Choryang official residence at Busan in 1876, and it is supposed to be the one that Nakamura Shojiro transcribed when he was in charge of interpretation of Choryang language center. Geum-Go-Gi-Gwan of Ogura Bungo is a note in the Korean annota- tion of Chinese classics and it includes 3 pieces or work. They are ① Yang-hyeon-ryeong-seong-hon-sa (兩縣令成婚事) ② Pal-eun-in (八銀人) ③Dong-jeong-hong(洞庭紅). A written colloquial Chinese Geum-Go-Gi-Gwan which originally included 40 stories were passed onto Korea, and the translation has not been done perfectly until now. Up to now, there seem to be no translation of entire Geum-Go-Gi-Gwan. There are 7 books of translation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library, which can be considered as the most, but currently one of them is lost. So far, only ①Yang-hyeon- ryeong-seong-hon-sa is handed down out of three stories above among many Chinese versions and translation versions that were passed down. This study attempted a linguistic research on this phenomenon. 도서번호가 <L174704>로 붙여진 오구라문고 『今古奇觀』은 白話文으로 된 한문 원문이 들어 있지 않고 단지 諺解文만으로 이루어진 총 48장의 筆寫本이다. 이 자료는 나카무라쇼지로(中村庄次郞)가 1876년에 부산의 초량공관에서 필사한 것인데, 나카무라쇼지로가 草梁語學所의 통역 담당으로 있을 때 필사한 것으로 추측된다. 오구라문고본 『今古奇觀』에는 모두 3개의 작품이 수록되어 있다. ① 兩縣令成婚事 ② 八銀人 ③ 洞庭紅이다. 본래 40편의 이야기가 수록되어 있었던 백화문 『금고기관』은 우리나라에 전해지면서 지금까지도 번역이 완벽하게 되지 못하였다. 현재까지 『금고기관』의 전편의 번역은 없는 듯하고 서울대학교 도서관에 최고 분량이라 할 수 있는 7권으로 된 번역본이 있었다고 하나 현재는 분실되어 없다. 현재 전해지고 있는 많은 한문본과 번역본 중에는 위의 세 가지의 이야기 가운데 ① <양현령성혼사> 하나만 전해진다. 본 연구에서는 이에 대한 어문학적 연구를 시도하였다.

      • KCI등재

        19세기말 일본인을 위한 조선어 문법 교육의 실제 - 小倉文庫本 『代疑論』과 『韓語』를 대상으로 -

        박진완(Park, JinWan) 한국어학회 2021 한국어학 Vol.91 No.-

        나카무라 쇼지로(中村庄次郞)는 『韓語』의 작성 시에 『代疑論』의 용례를 분석하고, 다양한 조사와 어미를 표제어로 목록화하여 문법형태의 색인으로 삼았다. 『代疑論』에서는 독특한 문법론적 시각에서 문법형태를 분류하고, 상대경어법의 등분을 설정하는 등 체계적인 기술을 시도했다. 문법사의 기술에 공헌하는 점으로서 신형 어미류의 출현을 지적할 수 있다. 우선 19세기말 ‘-지(요)’가 약속법의 종결어미로서 쓰이고 있음과 함께, 이 시기의 신형 연결어미로서 「이유」 의 ‘-길내’와 「양보」 의 ‘-기로셔’가 최초로 확인된다. 무엇보다 『代疑論』과 『韓語』를 통해 19세기말 일본인을 대상으로 한 문법 교육이 실제로 이루어지고 있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When Nakamura Shojiro wrote Han-eo, he listed various particles and endings as headwords, and indexed the grammatical form, analyzing example sentences of Dae-ui-ron. He tried a systematic description of Korean grammar in Dae-ui-ron, such as classifying grammatical forms from a unique grammatical point of view and setting a rule for division of addressee honorifics. The appearance of new endings in Dae-ui-ron and Han-eo can be pointed out as a contribution to describing the history of Korean grammar. First, at the end of the 19th century ‘-ji (yo)’ was used as a commissive (約束法) sentence-final ending. In addition, the new forms of connective endings appearing at this time were ‘-gilnɔi’ for the meaning of [reason] and ‘-girosyeo’ for the meaning of [concession] (譲歩). Above all, it can be proven that the education of Korean grammar for Japanese learners was actually conducted at the end of the 19th century by analyzing grammar books such as Dae-ui-ron and Han-eo.

      • KCI등재후보

        小倉文庫의 특징에 대하여―중세어 자료와 대마도 관련 자료를 중심으로―

        후쿠이 레이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11 규장각 Vol.39 No.-

        본 논문은 오구라 신페이(小倉進平 1882~1944)의 장서를 모은 동경대학 문학부 오구라문고 소장본에 대하여 그 전반적인 특징을 논의한 다음, 중세어 자료와 대마도 관련 자료를 소개하였다. 대마도 관련 자료 중에서는 대마도에서 전통적인 통사로서의 교육을 받은 나카무라 쇼지로(中村庄次郎 1855~1932)가 오구라 신페이에게 기증한 책들이 이 문고의 가장 큰 특징이라고 할 수 있는데, 이번에 새로 오구라 신페이가 기증 받았을 때 작성한 기증본 목록이 발견되어서 그 목록과 실제 장서를 비교 검토할 수 있게 되었다. 아울러 18세기 초에 대마도에서 아메노모리 호슈(雨森芳洲 1668-1755)에 의해 만들어진 한국어 학습 교재들에 대해 그 서명의 변천을 논의하였다. 또한 부록으로 한국어판 오구라 문고 목록을 게재하였다.

      • KCI등재

        일본인이 조선어로 번역한 중국 고전소설-동경대학교 오구라 문고(小倉文庫) 소장『금고기관(今古奇觀)』을 중심으로-

        김영호 한국일본사상사학회 2024 일본사상 Vol.- No.46

        일본 동경대학교의 문학부 도서관 오구라 문고(小倉文庫)에는 조선어 역관이었던 나카무라 쇼지로(中村庄次郞, 1855~1932)의 기증본이 소장되어있다. 이 자료들은 조선시대 후기에 일본에서 조선어 교육이 어떻게 이루어졌는지 살펴볼 수 있는 귀중한 자료로 평가되어 왔다. 오구라 문고에는어학 뿐만 아니라 문학, 역사, 사회 등의 자료도 소장되어 있는데 그 중에서『금고기관(今古奇觀)』은 나카무라가 21세 때인 1876년에 동명의 중국명대 백화소설의 일부를 번역한 것으로「양현령성혼사(兩縣令成婚事)」 「팔은인(八銀人)」「동정홍(洞庭紅)」이라는 제목으로 세 개의 이야기가 실려있으며, 본고는 이 작품에 대해 문학적인 측면에 중점을 두어 분석한것이다. 본 작품에서「양현령성혼사」는『금고기관』제2화「양현령경의혼고녀(兩縣令競義婚孤女)」의 정화(正話)를 번역한 것이며,「동정홍」은『금고기관』제9화「전운한교우동정홍(轉運漢巧遇洞庭紅)」의 정화를 번역하였다는 것은 잘 알려져 있다. 그런데「팔은인」은『금고기관』의 무슨 이야기를번역했는지 출전이 알려져 있지 않았으나 본고에서는「전운한교우동정홍」 의 입화(入話)를 번역하였다는 것을 밝혀냈다. 나카무라 번역본『금고기관』은 원작의 복잡한 묘사나 중국의 문화적인배경이 세밀하게 묘사된 경우 축약과 삭제를 하여 전체적인 스토리를 위주로초역(抄譯)을 한 것이다. 그렇다고 해서 원작의 내용을 충실히 따르기만한 것이 아니라 조선어로 번역했을 때 부자연스러운 등장인물명을 바꾸기도하고, 원작의 내용이 어색한 경우 자연스러운 내용으로 개변한 부분도 찾아볼수 있어 독자적인 창작의식을 가지고『금고기관』을 번역했다는 것을 알 수있다. Ogura Collection, the library of the Department of Literature at Tokyo University in Japan, houses a presentation copy by Shoji Nakamura, who was an interpreter of Korean language. The Jinguqiguan was translated by Nakamura at the age of 21 from Choryang Language School in Pusan, and contains three stories of ‘Yanghyeonryeong Seonghonsa’, ‘Paleunin’, and ‘Dongjeonghong’. In this paper, we have revealed that ‘Paleunin’, the source of which had been unknown until now, is a translation of the entry story of ‘Jeonunhangyou Dongjeonghong’. The three stories in this book are abridged translations that have condensed or deleted the complex settings of the original work, focusing on the overall story. However, Nakamura did not just faithfully translate the original. When translated into Korean, the unnatural names of characters in the original work are changed, and parts that describe the Chinese cultural background in detail are abbreviated or deleted, and the original contents were changed freely when they were not logically correct. Because there are many unique characteristics, it is clear that the Jinguqiguan was aimed to be an adaptation rather than a translation.

      • KCI등재

        동대소창문고본(東大小倉文庫本)「성교(聖敎)」에 대하여-조선후기 한국 천주교 십이단 기도서를 중심으로-

        정영아 ( Young Ah Jung ) 한국일어일문학회 2014 日語日文學硏究 Vol.91 No.2

        中村庄次郞が小倉進平に寄贈した27冊の資料にはカトリック關係の本が2冊含まれている。本稿ではそのうちの1つ「聖敎」の筆射背景について調査をしてみた。この比較のためにモリス.ク-ランの『韓國書誌』と金玉姬の『韓國天主敎の論.著解題集』で紹介されている祈禱書を參考にした。現在韓國國內で閱覽が可能なカトリック關係資料のうち「聖敎」と同じ特徵、すなわちハングル書きでかつカトリックの重要な祈禱書である十二端を含む最古のものを探すと、延世大國學資料室所藏の『天主聖敎功課』(1887)と『天主聖敎十二端』(1896)が確認される。これらと「聖敎」を構成·內容·表記の面で比較してみたところ、次のような結果が觀察された。まず構成面については、それぞれの祈禱文の項目と數は類似していたが、順序などでは相違するところがあった。また、內容面についてはほとんど3種の資料が-致したものの、「天主十戒」及び「三鐘經」の二つの祈禱文に「聖敎」が他の祈禱書と比べて脫落した部分があることがわかった。そして表記面では本文部分がハングルで書かれるのは資料間で-致しているが、「聖敎」のみの特徵として、各祈禱文の題名がすべて漢字で書かれること、また本文では單語の上部に漢字を記してあるという点がみられた。更に、カトリックの交誦における「啓·應」の指示が「聖敎」には存在しなく、また助詞や副詞、聖人名の表記にも「聖敎」と他では違いがあった。これらのことから、1837年から始まった「天主聖敎功課」の編纂の過程で「天主聖敎功課」を筆射または再編集した資料のひとつを中村庄次郞が入手し筆射した可能性があると考えられ、そして「聖敎」にはハングル書きカトリック資料として獨自の價値があるといえる。 Nakamura Shojiro donated 27books to Ogura Sinpei, which contains 2books ofCatholic related materials. This article focused on the background of transcribingSeonggyo and compared this text with other prayer books. For this comparison, theauthor consulted The bibliography about Korea by Maurice Courant and The reportof Thesis and Books about Korean Catholic by Kim Ok-hee. However, there wereno prayer book that was same to Nakamura Shojiro``s Seonggyo. So the key conditionto find the original Seonggyo was ①written in Korean ②contains the main 12prayersof Catholic ③can be read in Korea``s library ④satisfies all three conditions aboveand written most early. As a result, Yonsei University Library had 2 materials,Tyeonjyu-syeonggyo-gonggwa which was written in 1887 and Tyeonjyu-syeonggyo-sibidan which was written in 1896. By comparing Seonggyo and Tyeonjyu-syeonggyo-gonggwa and Tyeonjyusyeonggyo-sibidan, there were similarity and also difference in the form, content andwriting. First of all, in the form, the list and number of prayer were similar butthe order of prayer were different. Next, in the content, the prayer were almost alike. However there were some omission in two prayers in Seonggyo compared to theother prayer books. Finally, in the writing, all three prayer books used Korean inthe body of the book, but Seonggyo used Chinese Characters in the title of theprayers, and wrote Chinese Characters on the upper side of Korean vocabulary. Alsothere were difference in the writing of postpositional particle, adverb and the namingof saint, which shows the different writing of the same vocabulary. The researchrefers to the possibility that Nakamura Shojiro transcribing Seonggyo with some kindof re-edition version of the original Tyeonjyu-syeonggyo-gonggwa, which started tobe translated in Korean by Imbert(bishop) in 1837. As Seonggyo has no same prayerbook, it can be told to have specialty so far. The ultimate goal of the research isto prove the religious history of Catholic in Late Chosun Dinasty and Tsusima areaon the basis of this research.

      • KCI등재

        小倉文庫本 『居昌別曲』에 관한 고찰

        박꽃새미 국어사학회 2019 국어사연구 Vol.0 No.29

        이 연구는 小倉文庫本 『居昌別曲』의 자료적 특징 및 국어학적 특징을 고찰한 것이다. 먼저 小倉文庫本의 자료적 특징을 밝히기 위하여 필사자와 필사 시기에 대하여 고찰해 본 결과, 필사자는 조선어통사로 부산에 온 中村庄次郞으로, 필사 시기는 1873-1879년 사이로 추정하였다. 小倉文庫本은 타 이본들과 달리 가사를 통하여 한국어와 조선 역사․사회를 학습하고자 하였던 조선어통사의 한국어 학습 산물이며, 바로 이 점이 小倉文庫本만의 자료적 가치임을 드러냈다. 이어 小倉文庫本의 국어학적 특징을 한자 사용, 표기와 음운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小倉文庫本은 타 이본에 비해 한자의 노출 정도가 높은 편이었으나, 조선 역사와 사회에 대한 지식이 부족하여 한자 표기가 부정확한 예가 나타났다. 또한 조선어통사들의 자료에서 자주 보이는 표기 오류도 발견할 수 있었으며, ㄱ구개음화와 치찰음 뒤 전설모음화, ‘ㅓ:ㅕ’ 교체가 일어난 예를 살펴보았다. This study explores the material features and Korean linguistic features of Geochangbyeolgok in Ogura Bunko. First of all, the findings examined on the transcribers and the time of transcription show that the transcriber was Nakamura Shojiro who came to Busan as a Tsushima’s Korean interpreter, and the time of transcription was assumed between 1873 and 1879. Unlike other versions, the version of Ogura Bunko was the product of Korean language learning of Tsushima’s Korean interpreter who wanted to learn the Korean language, the society and history of the Joseon Dynasty through Gasa. And this revealed the material value of Geochangbyeolgok in Ogura Bunko. Next, it examines the Korean linguistic features of this version focusing on Chinese characters, orthographical errors and dialect. Although the exposure of Chinese characters was quite high in this version compared with other versions, the lack of knowledge on the history and society of Joseon Dynasty resulted in the inaccurate Chinese transcription. And the transcription errors of the final consonant often shown with the materials of Tsushima’s Korean interpreters. In addition, it discovers the examples of ‘ㄱ’ palatalization and vowel fronting after the sibilant sounds, ‘ㅓ>ㅕ’ altern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