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金正國의 性理書 편찬과 그 특징 - 『性理大全書節要』를 중심으로

        강문식 조선시대사학회 2022 朝鮮時代史學報 Vol.- No.100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firm how the Joseon academia understood and utilized Seongni daejeon in the first half of the 16th century. To this end, I analyzed the contents of the Seongni daejeonseo jeoryo written by Kim Jeong-guk and examined its characteristics. Seongni daejeonseo jeoryo was a book compiled during Kim Jeong-guk’s secluded life after the Gimyo Sahwa. Kim Jeong-guk edited this book by selecting the contents from Seongni daejeon that he thought were important. Seongni daejeonseo jeoryo can be divided into three parts in terms of its content. The first part is chapter 1 to chapter 2 <Soja(蘇子)>, which contains the basic concept of Neo-Confucianism, the genealogy of academic succession, and the essence and method of learning. The second part is from chapter 2 <Sun(舜)> to chapter 4 <General discussion of Song(宋總論)>, which contains the evaluation of major characters from the Three Dynasties to the Song Dynasty. The third part is from <Gundo(君道)> to <Ejeok(夷狄)> of chapter 4 and contains the king’s virtues and studies, the way the king treats his servants, the discrimination and appointment of talented people, and principles and guidelines for state administration. When considering the content analysis of Seongni daejeonseo jeoryo, the characteristics of this book can be summarized into three categories. The first is that it is a book that contains guidelines for state administration. Kim Jeong-guk and Gimyo Sarim of Jungjong’s reign insisted that lectures of Seongni daejeon be focused on the contents that are the guidelines for the management of state affairs in the royal lecture. And according to the contents of Seongni daejeonseo jeoryo, historical cases that kings and bureaucrats should use as examples in real politics, and principles and guidelines to be observed in state administration occupy a large proportion. This point is consistent with Gimyo sarim’s argument about royal lecture and this book has the nature of a kind of state administration guide. Second, it is noteworthy that the learning of king and prime minister was emphasized as a key element of politics in Seongni daejeonseo jeoryo. Kim Jeong-guk presented the king’s learning as a fundamental element of correct politics. In addition, he emphasized that it is much more important and essential to receive subsidies from the prime minister who have learned Confucianism than the king’s own natural qualities and abilities in the king’s academic achievement. Accordingly, Kim Jeong-guk considered the academic ability of the prime minister as important. And it was also pointed out that if the prime minister showed limitations in supplementing the monarch, the cause was the lack of learning of the prime minister. Third, it is also an important feature that the contents that are thought to have been influenced by the experience of Gimyo Sahwa are included in Seongni daejeonseo jeoryo. In Seongni daejeonseo jeoryo there are evaluations criticized Dumu’s failure in pushing for the abolition of eunuches and the scholars of Trouble of Danggo were bold but reckless during Eastern Han Dynasty. The inclusion of these evaluations in Seongni daejeonseo jeoryo can be said that Kim Jeong-guk pointed out and reflected on the radicality of Cho Kwang-jo and others as the cause of Gimyo Sahwa. In addition, the selecting of evaluations, which pointed out that the scholar’s spirit has weakened since the Trouble of Danggo, is believed to reflect Kim Jung-guk’s idea that the scholar’s spirit should not be dampened and reform should not be abandoned due to strange narratives. 본 연구는 16세기 전반 조선 학계에서 『性理大全』을 어떻게 이해하고 활용했는가를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16세기 전반의 학자 金正國의 저술 『性理大全書節要』의 내용을 분석하고 그 성격과 특징을 고찰하였다. 『성리대전서절요』(이하 『절요』)는 김정국이 기묘사화 이후 은거하던 기간에 편찬한 책으로, 김정국이 『성리대전』에서 선별한 주요 내용이 136개 항목으로 나뉘어 수록되어 있다. 이 책은 내용상 크게 세 부분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첫 번째는 권1~권2 <蘇子> 부분으로, 성리학의 기본 개념, 道統의 계승, 학문의 본질과 방법 등 학문과 실천에 관한 내용이 실려 있다. 둘째는 권2 <舜>~권4 <[宋]總論> 부분으로, 唐虞三代부터 宋까지의 주요 인물에 대한 평가가 수록되어 있다. 셋째는 권4 <君道>~<夷狄> 부분으로, 군주의 德과 학문, 군주가 신하를 대하는 방도, 賢能한 인재의 분별과 임용, 국정 운영의 원칙과 지침에 관한 내용이 실려 있다. 『절요』의 내용 분석을 종합해 볼 때, 이 책의 성격과 특징은 크게 세 가지로 정리해 볼 수 있다. 첫째는 국정 운영의 지침을 담고 있는 책이라는 점이다. 김정국을 비롯한 중종 대 己卯士林들은 경연에서 『성리대전』을 진강할 때 治道, 즉 국정 운영의 지침이 되는 내용을 위주로 강의할 것을 주장하였다. 『절요』의 내용을 보면, 국왕과 관료들이 현실 정치에서 모범과 경계로 삼아야 할 역사적 사례, 국정 운영에서 준수해야 할 원칙과 지침 등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어서, 일종의 ‘국정 운영 지침서’의 성격을 갖는다고 할 수 있다. 이 점은 ‘치도 위주의 경연 강의’라는 기묘사림의 주장에 잘 부합한다. 둘째, 『절요』에서 군주와 재상의 학문적 성취를 정치의 요체로 중시한 점이 주목된다. 김정국은 군주의 학문을 올바른 정치의 근본 요소로 제시하였다. 그리고 군주의 학문 성취에 있어 군주 자신의 자질과 능력보다 道學을 익힌 신하의 보필을 받는 것이 훨씬 더 중요하고 필수적이라는 점을 강조하였다. 이에 따라 김정국은 신하, 특히 재상의 학문적 성취를 중요하게 생각했으며, 재상이 군주 보필의 한계를 보였던 사례에 대해 그 원인이 재상의 학문 부족에 있었다고 지적하였다. 셋째, 기묘사화의 경험이 영향을 끼친 것으로 보이는 내용이 『절요』에 실린 점도 중요한 특징이라고 생각된다. 東漢 시기 竇武 등이 환관 척결을 경솔히 추진하다 실패한 것과 黨錮의 선비들이 과감했지만 신중하지 못했던 것을 비판한 張栻의 평가를 수록한 것은 조광조 등의 급진성이 기묘사화를 초래했음을 지적하고 반성하는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또 ‘黨錮의 禍’ 이후 선비의 기상이 약화됐음을 지적한 주희의 비평을 인용한 것에는 기묘사화로 인해 선비의 기상이 꺾이거나 개혁 추진이 포기돼서는 안 된다는 김정국의 입장이 투영되어 있다고 생각된다.

      • KCI등재

        김정국의 『思齋摭言』과 己卯士禍에 대한 서술시각

        이민경 동양한문학회 2019 동양한문학연구 Vol.53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viewpoint of description for Gimyo-sahwa(己卯士禍) by Kim Jeong-guk who is one of the Gimyo-salim(己卯士林) in the reign of King JungJong(中宗) after review 『Sajaechuckeon』. 『Sajae-chuckeon』 was written by Kim Jeong-guk when he was retired in Mang-dong(芒洞), Goyang(高陽) after he was dismissed from his position by Gimyo-sahwa, There are some anecdotes and characters related to the current events of the time, especially about Gimyo-sahwa, as well as recording the daily life of Sadaebu(士大夫). The anecdotes related to Gimyo-sahwa which is recorded on 『Sajaechuckeon』 were quoted later in several books that recorded Gimyo-sahwa. Kim Jeong-guk also left 『Gimyodangjuk』 which is the list of victims by Gimyo-sahwa, which is believed to have been a strong part of Kim Jong-guk's consciousness to tell the world about Gimyo-sahwa. 『Sajaechuckeon』 which was built in the first half of the 16th century is following the tradition of the existing Pilgi(筆記) who was recording their daily lives which was formed in the study or living space of Sadaebu. On the other hand, however, it expanded Pilgi’s prospect as a channel for expressing the spirit of the times by highlighting current events such as Gimyo-sahwa and the issues of Yeonsan and Noshan‘s Descendant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current events is Gimyo-sahwa. Kim Jeong-guk criticized Cho Kwang-jo for his overly radical attitude as a prime mover to Gimyo-sahwa, but behind that, he agreed with the goal but expressed regret and self-reflection on how to fulfill it. He also dwelt on Gimyo-sahwa with cautioning the trial by false accusation and criticizing the absurdity of trial, based on his own experience. Finally, as Kim Jeong-guk watched the political ups and downs of himself and his colleagues, he realized the transience of prosperity and decline and put the situation in two letters, "fortune in time" to honor him. 『Sajaechuckeon』 and 『Gimyodangjuk』 from Kim Jeong-guk are similar to the 『Chugangnanghwa』 and 『Sawumyeonghangrok』’s form from Nam Hyo-on who is Neo-Confucian Scholars(新進士類) in the reign of King Seongjong. It seems that the spirit of the times when Nam Hyo-on criticized the political situation of the time led to Kim Jeong-guk, who had a stronger camaraderie among the early Sarim-pa. This camaraderie was later succeeded by 『Muo-Dangjeok』 and 『Gapja-Hwajeok』, which served as the basis for creating a genealogical tree for Sarim-pa. 본고는 중종조 기묘사림의 일원이었던 김정국의 『사재척언』에 대해 살펴보고 거기에 담긴 김정국의 기묘사화에 대한 서술시각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척언』은 김정국이 기묘사화로 파직된 후 고양 망동에서 은거하던 시절에 저술한 필기이며, 거기에는 사대부의 일상을 담은 笑話뿐만 아니라 당대의 時事, 특히 기묘사화 관련 일화 및 인물이 다소 기록되어 있다. 『척언』에 기록된 기묘사화 관련 일화들은 후에 기묘사화를 기록하는 여러 저서에 全載되었다. 뿐만 아니라 김정국은 『척언』 외에도 기묘사화를 입은 사림들의 명부를 기록한 『기묘당적』을 남기기도 했는데 이는 기묘사림의 일원이었던 김정국이 기묘사화의 사실을 후세에 전하겠다는 의식이 강하게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16세기 전반에 지어진 『척언』은 사대부 문인의 서재 혹은 생활공간에서 형성되어 그들의 일상을 기록하던 기존 필기류의 전통을 답습하고 있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기묘사화, 연산군과 노산군의 후사 문제 등 당대의 시사를 조명하여 시대정신을 발현하는 통로로서 필기의 지평을 확장하기도 했다. 시사에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기묘사화이다. 김정국은 기묘사화의 기화자로 조광조를 지목하며 그의 지나치게 급진적인 태도를 비판하면서도 그 이면에는 목표는 동의하지만 그 실현 방법에 대한 안타까움과 자기반성을 담고 있었다. 또한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무고로 인한 옥사를 경계하고 옥사의 부조리를 비판하며 기묘사화를 반추하는 한편, 자신과 동료들의 정치적 부침을 지켜보면서 영고성쇠의 무상함을 느끼고 그러한 상황을 ‘時運’이라는 두 글자에 담아 위무했다. 김정국의 『척언』과 『기묘당적』은 성종대의 신진사류인 남효온이 남긴 『추강냉화』와 『사우명행록』의 체재와 닮았으며 이는 남효온이 당대의 정치적 상황을 비판했던 시대정신이 김정국에게 이어져 초기 사림파의 동류의식이 보다 강화된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동류의식은 후에 『무오당적』, 『갑자화적』 등으로 계승되어 사림파 도통의 계보를 만들어내는 근거가 되기도 했다.

      • KCI등재

        김정국(金正國)의 『성리대전서절요』 편찬과 대체군주론(大體君主論)

        최민규 한국사상사학회 2022 韓國思想史學 Vol.- No.70

        This paper tried to examine one characteristic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uler and the subject through the 〈Seongri daejeonseo jeolyo〉 compiled by Kim Jeong-guk. Kim Jeong-guk succeeded in the study of 'Seongri Daejeon'( 性理大全 ) of the Gimyo sarim(己卯士林) and compiled 'Jeolyo'( 節要 ). However, while witnessing the decline of peasants amid the spread of the land tenure system, and the political reality of a chain of ‘literati purges’(士禍) and ‘The Restoration of Righteousness’(反正), he paid attention to 'Seongri Daejeon' in terms of seeking a monarch-led political theory. Accordingly, the format of 'Jeolyo' was also summarized into political ideologies, which occupies a small proportion in the original 'Seongri Daejeon', and in the table of contents affirming the monarch- centered political operation and Much of the content structure was quoted. From this, it can be seen that Kim Jeong-guk compiled 'Jeolyo' while affirming the monarch-led political theory contained in 'Seongri Daejeon'. Also, in terms of the content of 'Jeolyo', the characteristic of emphasizing the monarch-led political theory is revealed. In the part related to the monarch theory, he arranged the monarch theory of 'Jeolyo' while supposing the role of the monarch as the supreme ruler. In fact, he said that the monarch should be moral, but he emphasized that it was the means by which the monarch could function as a de facto ruler rather than constraining the monarch. At the same time, in term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onarch and his subjects, he criticized the monarch's arbitrary politics, but similarly urged the rectification of the subjects' excessive media activity. Based on this position, he said that the monarch and the prime minister should govern together. His ideal prime minister was a working-level prime minister with both governmental and moral capabilities. He urged the normal operation of the bureaucracy by strengthening the qualifications of the bureaucrats in practice through the theory of practical re-employment, and by urging for self-correction within the bureaucracy. In summary, Kim Jung-guk's 'Jeolyo' was an idea to solve the political and social problems of the reign of King Jungjong by strengthening the monarchy. However, this fact caused the attention of the ruling powers of the Myeongjong era, who sought ways to strengthen the monarchy within the framework of Neo-Confucianism, rather than being accepted as a general political theory by the yangbansadaebu. 본고는 김정국이 편찬한 성리대전서절요 를 통해서 기묘사림 내부의 군주론, 군신관계론의 한 특색을 살피고자 했다. 김정국은 기묘사화 이후에 기묘사림들의 성리대전 연구를 계승해 절요 를 편찬했다. 그러나 그는 지주제의 확산 속에서 몰락하는 농민들, 그리고 반정과 사화가 연쇄하는 정국 현실을 목도하면서 군주 주도의 정치론 모색 차원에서 성리대전 에 주목했다. 이에 따라 절요 의 체재 역시 원래 성리대전 에서 적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역대」, 「군도」, 「치도」 등 정치사상 부분을 중심으로 요약하고, 군주 중심의 정치운영을 긍정하는 목차와 언설을 활용해서 요약했다. 이를 통해서 볼 때에 김정국은 성리대전 에 담겨 있는 군주 주도의 정치론을 긍정하면서 절요 를 편찬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절요 의 내용적인 차원에서도 군주 주도의 정치론을 강조하는 특색이 드러난다. 그는 군주론과 관련된 부분에서 그는 군주가 정무의 최고 주재자로서 대체를 장악하는 가운데, 군신 간의 협력을 촉구하는 대체군주론을 바탕으로 절요 의 군주론을 정리했다. 실제로 그는 군주수신론을 말하면서도 그것이 실질적인 정무주재자로서 군주가 제 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이라고 했다. 이와 함께 그는 군신관계에서도 군주의 독단에 의한 정치는 비판하면서도 동시에 신료들의 자정을 촉구했다. 이러한 입장을 바탕으로 그는 군주와 재상이 같이 정치할 것을 말했다. 그가 이상적으로 보는 재상은 경세적 자질인 재와 도덕적 능력인 덕을 겸비한 실무재상이었다. 그는 실무재상론을 통해서 관료층의 실무에 대한 자질 강화, 그리고 그 내부의 자정 촉구를 통해 관료제의 정상적인 운영을 도모했다. 요약하자면, 김정국의 절요 는 중종 대의 정치・사회 문제를 군주권의 강화를 통해서 해결하고자 하는 발상이었던 것이었다. 그러나 이 점은 오히려 절요 가 양반사대부 일반의 정치론으로 받아들여지지 못하고, 성리학의 테두리 내에서 군주권을 강화할 방안을 모색한 명종 대 집권세력이 주목하게 된 원인이 되었다.

      • KCI등재

        16세기 『경민편(警民編)』 초기 간본의검토 - 상허 중앙도서관 소장본의 사례 -

        정호훈 ( Jeong Ho-hun ) 한국사상사학회 2020 韓國思想史學 Vol.0 No.66

        이글에서는 건국대학교 상허도서관에 소장 중인 『경민편』(상허본)을 통해 『경민편』 초기 간행본의 모습을 검토하였다. 학계에 아직 알려지지 않은 상허본은 한글 번역문이 실려 있지 않는 특성을 보이는데, 책의 간행 시점은 1579년 이전으로 판단된다. 1579년 허엽이 중간(重刊)한 간본이나 17세기 중엽 이후원이 개간(改刊)한 간본과 비교할 때, 원문이나 구결에서 이들 간본보다 앞서는 양상이 나타나기 때문이다. 한편 상허본은 황해도에서 간행된 김정국의 초간본과는 직접적인 연관은 없으며, 전라도 남원과 무장 등 황해도 바깥 지역에서 인쇄된 간본으로 추정된다. 상허본을 통해 필자는 문자적 구성과 관련하여 『경민편』이 진화되는 양상을 확인했다. 통상적인 이해와는 다르게, 『경민편』은 초기에는 한문으로만 원문을 구성했다가 16세기 후반에 이르러 한글 번역을 보완하는 변화를 보였다. 이를 통해 살핀다면, 초기 『경민편』이 나왔을 때 이 책은 그 보급을 가로막는 장애를 내부에 지니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실제 이 책을 읽고 해독할 수 있었던 독자층 또한 유식계층(有識階層)으로 한정되었으리라 추측할 수 있다. 『경민편』은 권력의 운용 방식을 주자학의 이념에 기초하여 전면적으로 전환하고자 했던 김정국과 기묘사림의 모습을 충실히 담고 있는 문헌이다. 상허본은 초기 『경민편』의 모습이 어떠했던지, 그리고 후대 『경민편』의 변화가 어떠한 방향으로 일어나는지를 살핌에 중요한 자료가 된다. In this article, the appearance of the early publications of 『Gyeongmin Pyeon』 was reviewed through 『Gyeongmin Pyeon』(Sangheo edition) held in the Sanghe Library of Konkuk University. The Sangheo edition, which is not yet known to the academic world, has the characteristic that Korean translations are not included. On the other hand, the Sangheo edition is not directly related to the first edition published in Hwanghae-do by Kim jeong-guk(金正國). Through the Sangheo edition, I confirmed that when 『Gyeongmin Pyeon』 was first published, it contained only the original Chinese text, but after the late 16th century, the Korean translation was supplemented. The Sangheo edition, which contains the appearance of the early 『Gyeongmin Pyeon』, is an important material for examini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changes of the later 『Gyeongmin Pyeon』 occur.

      • KCI등재

        16세기 필기 『摭言』의 성격과 기록 양상

        곽미라 열상고전연구회 2022 열상고전연구 Vol.76 No.-

        This study set out to analyze the specific content and patterns of Sajae Kim Jeong-guk's Cheokeon(摭言) with a focus on figures and events recorded in the book and examine his agony and conscious orientation as a bureaucratic man of letters inherent in them. "Facts" hold enormous significance in Pilgi, which never steers away from the perspective of recording facts basically and finds a mainstream in anecdotes of people. This is actually a principle penetrating different genres including Pilgi, hearsay, and historical romance. Paying attention to "reality" as one of elements that defined the nature of Pilgi in the 16th century, the present study analyzed Cheokeon that followed this basic principle of Pilgi most faithfully. Most of all, Cheokeon allocates a majority of its pages to anecdotes of real figures of the times and rarely tells stories of the hearsay nature. It also records many real events such as massacres of scholars and administrations of major criminal cases. Paying attention to these aspects of the book, the study found that it conveyed facts by recording memories in the style of "anecdotes of people" instead of simply sorting out and arranging information about people. It is a common case that the evaluations of the same people vary clearly according to the different positions of the narrative subjects of such records. Cheokeon maintains an objective viewpoint and accuracy as much as possible, dealing with figures and events. In the study, the events recorded in the book were mainly divided into "Gyeongyeons," "administrations of major criminal cases," and "massacres of scholars," and these categories matched Kim's career as a government official to some degree. These categories were used to figure out the recording patterns and characteristics of Cheokeon and understand the values to which he was oriented roughly. That is, they are "subjects equipped with ability and sincerity," "government officials that are clear with business handling and had love for the people," and "Confucian scholars with flexibility." As an intellectual during a historical transition, Kim included the outcomes of his identity search and his contemplation of the times in colorful ways in his Pilgi, thus being able to convey the information about them and the truth of events to next generations in rich ways. He demonstrated how individual figures were connected together with their anecdotes put together to tell a full story in records scattered here and there. 이 글은 16세기 필기류 저술인 사재(思齋) 김정국(金正國, 1485∼1541)의 『척언(摭言)』을 대상으로 그 성격과 구체적인 기록 양상을 분석하고, 작품에 내재된 사대부 문인으로서의 고민과 의식지향의 특징적 면모를 살펴본 것이다. 특히 여기에서는 16세기 필기의 성격을 규정하는 한 요소로서 ‘사실 기록의 정확성’에 착목하여 고찰하였다. 무엇보다 『척언』이 시평을 위주로 한 시화(詩話)나 외설담ㆍ기이담 등의 소화(笑話)가 거의 없고, 당대의 실존 인물을 대상으로 한 인물 일화가 대부분의 비중을 차지하며, 역사에 기록될 만한 실제 사건을 다수 기록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한 것이다. 이는 이전 시기 필기가 주로 개인의 관심 분야에 관한 견문을 기록한 것과 확연히 구분되는 양상이다. 조선전기(15세기) 필기의 관점에서 비교해 보면 『척언(摭言)』은 전통적인 필기의 양식적 특성을 따르면서도 주로 인물과 사건에 대한 사실적 기록을 지향하는 ‘야사류(野史類) 필기’의 성격이 강한 저술이다. 기본적으로 『척언(摭言)』은 인물ㆍ사건의 전기(傳記)적 정리나 골계미가 가미된 소화의 형식이 아니라 ‘일화[野乘]’의 방식으로 찬자의 견문을 기록하여 사실을 전달하고 있다. 이러한 기록물은 서술 주체의 입장차에 따라 인물과 행위에 대한 평가가 극명하게 달라지게 마련인데, 『척언(摭言)』은 인물과 사건을 다루며 최대한 정확한 사실을 전달하려는 태도를 견지하고 있다. 이로써 그들에 대한 정보와 사건의 실체를 후대에 풍부하게 전할 수 있게 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척언(摭言)』에 기록된 이야기 가운데 큰 비중을 차지하는 인물ㆍ사건의 주된 내용을 파악한 결과 크게 ‘무고(誣告)ㆍ옥사(獄事)’, ‘경연(經筵)’, ‘사화(士禍)’의 세 부분으로 압축되었다. 또한 각 이야기의 주체가 대하는 대상에 따라 ‘관리(官吏)’, ‘문인(文人)’, ‘신하(臣下)’로 구분되는 그들의 역할은 종국에는 다시 ‘사(士)’로 수렴된다. 16세기 전반의 사대부 문인들은 그들 자신을 새로운 사회를 이끌어갈 국가의 중추 세력으로 인식했다. 따라서 그들의 사회가 견고하게 자리 잡고 뿌리 내리기를 희구했다. 그러기 위해서는 문인학자에 머물지 않고 사회 변혁을 위해 분투하는 실천적 관료의 자질이 필요했다. 『척언(摭言)』에 수록된 인물 일화는 대체로 이런 동기에 부합한다고 볼 수 있다. 이렇게 김정국은 역사적 전환기에 놓인 지식인으로서 개인의 정체성 모색의 산물과 시대적 고민을 『척언(摭言)』에 다채롭게 담아냈다. 『척언(摭言)』을 통해 자신이 지향하는 사대부 문인지식인으로서의 자질과 가치를 표출한 것이다.

      • KCI등재

        사재 김정국 시에 나타난 학문관과 자상한 스승의 면모

        成□濟 ( Sung Dang-je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21 大東文化硏究 Vol.113 No.-

        본 논문은 思齋 金正國이 조선 전기에 후학 양성의 일익을 담당한 훌륭한 스승이라는 사실에 주목하여, 그의 학문관과 자상한 스승의 면모를 고찰한 글이다. 사재 선생은 中宗 때 王政을 보필하고 백성들에게 善政을 베푼 유능한 관료 문인이다. 그는 황해도 관찰사로 있을 때 수십 명의 학생을 뽑아 직접 가르치기도 하고, 자신이 만든 學令으로 儒生들을 면려하고 또 詩로 校生들에게 학업을 권면하는 등 교육에 높은 열정을 기울였다. 훌륭한 인재를 만들어 좋은 사회와 훌륭한 나라를 이루려는 높은 뜻이 있었기 때문이다. 그 후 고양군 망동리에 은거할 때도 18년 동안 오직 제자들을 가르치는 일로 즐거움을 삼았다. 이때도 그는 정성을 다해 제자들을 가르쳤는데, 시의 효용성을 중시하여 시를 통해 여러 제자들에게 학문을 권면하였다. 이에 본고는 사재 선생이 교생과 제자들에게 학문을 권면하기 위해 지은 시를 분석하여, 학문관 및 시의미적 특징과 함께 자상한 스승의 면모를 살펴본 것이다. This thesis focuses on the fact that Sajae' kim Jeong-Guk was an excellent teacher who played a part in nurturing a junior scholar in the early Joseon Dynasty, and examined his academic view and the aspects of a caring teacher. Sajae is a competent bureaucratic literary man who helped the king's politics and carried out good politics to the people in the Period of King Jungjong of the Choson Dynasty. When he was an Hwanghae-do provincial governor, he devoted a high passion to education and choose dozens of students and taught them myself and he encouraged Confucian students to study according the school rules made by him and encouraged his Hyang-gyo students to study through poetry. It was because there was a high intention to create a good society and a great country by creating great talent. After that, when he retired in Mangdong-ri, Goyang-gun, he enjoyed teaching only his disciples for 18 years. Even at this time, he taught his disciples with all his heart, and he encouraged several disciples to study through poetry, focusing on the utility of poetry. Therefore, in this paper, we analyzed the poems written by Sajae to encourage Hyang-gyo students and his pupils to study, and examined the aspects of a caring enough and utmost sincerity teacher along with the academic view and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the poem.

      • KCI등재

        <기묘당적>과 <기묘록보유>의 저술 의의에 대한 검토

        임상혁 진단학회 2019 진단학보 Vol.- No.132

        I analyzed the contents of the Gimyodangjeog(기묘당적 己卯黨籍 The Gimyo Party's List, mid 16C) and the Gimyorogboyu(己卯錄補遺 The Supplement of the Gimyo Party, late 16C) which have been used as basic materials on the study of Gimyosarim(기묘사림 己卯士林 The scholarly bureaucrats suffered by the calamity in 1519) and till now accepted that the latter just supplemented the former's short story. This kind of view point, however, should be corrected as the result of the analysis. Kim Jeong-gug wrote the Gimyodangjeog in order to define the Gimyosarim as his colleagues who tried to make the ideal society based on the Neo-Confuciusism together until 1519 and to keep them receiving a favorable evaluation in the future. When the Gimyosarim became the name of glory eventually, An Ro wrote the Gimyorogboyu to put the victims of the calamity in 1521(신사옥사 辛巳獄事) into the category of the Gimyosarim, carrying the banner for the supplement of Gimyorog. This calamity arose because of the attempt of purging the King Jungjong's high officials, in which his family members had been mainly involved. Using the book An Ro tried to make victims of the case honorable and to destroy the family of accuser, Song Saryeon and finally achieved the purpose. 본 논문에서는 기묘사림 연구에 기초 자료로 활용되고 있는 『기묘당적』과 『기묘록보유』의 내용을 분석하였다. 이제까지는 양자의 관계에 대하여 전자의 소략함을 후자가 보충한 궤를 같이 하는 저술들로 여겨져 왔다. 분석의 결과, 김정국은 기묘사림을 설정하고 밝혀 그 정당성이 평가되기를 기대하여 『기묘당적』을 저술하였다는 것, 하지만 기묘사림은 조광조 일파를 의미하지 않으며, 조광조 사건으로 불이익을 받은 사람들에 대한 개념으로는 기묘당인이라 보고 있다는 것, 결국 김정국 『기묘당적』에서 설정한 기묘사림은 ‘기묘사화가 일어날 때까지 성리학적 이상에 기반한 개혁을 추구했던 사림 관료들’이라는 것을 논증하였다. 안로의 『기묘록보유』는 『기묘당적』에 빠진 사항을 보충하여 기묘사림의 정당성을 고양하기 위하여 저술되었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그 과정에서 의도적인 중대한 변형이 이루어졌다. 『기묘당적』에서의 분류를 의도적으로 없애고 인명들을 추가하여 열전의 형식으로 만들면서, 결국은 기묘사림의 범주를 바꾸어 버렸다. 곧, 『기묘록보유』는 기묘사화와 신사옥사를 일련의 한 사건으로 병합하고, 그 모든 관련자들을 기묘사림으로 만들었으며, 이를 위해 신사옥사도 없던 일을 송사련이 꾸며서 고변하고 남곤, 심정들이 억지도 엮은 무고 사건으로 구성되었다. 나아가 여기에는 또 이후의 소송으로 송씨 집안을 몰락시키기 위한 기반을 다지는 역할도 수행되고 있음도 살필 수 있었다. 이처럼 『기묘당적』과 『기묘록보유』의 분석은, 이제까지 대체로 분량의 차이가 있을 뿐 동류의 계열이라 여겨져 왔던 두 저술에 대하여 서로 판이한 인식을 바탕으로 현출된 사회적 저작물이라는 것을 밝히게 되었다. 이들 저작에 대한 재인식을 통해 이제까지 당연하게 생각해 왔던 기묘사림과 기묘사화에 대한 기존 인식에 관해서도 새로운 시각으로 접근해 보는 계기도 만들어지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中宗朝 士林派의 '敎化詩' 一考

        조영린 대동한문학회 2013 大東漢文學 Vol.39 No.-

        This paper found out the background and the aspect of enlightening poetries by literary men of Sarim in the reign of JungJong In sixteenth centuries, the conflict of political ideology between Hungu and Sarim came to climax, and before and after the reign of JungJong there were four times of massacres of literati. Thus, it was the time that was requiring the necessity to resolve various political conflicts, stabilize the confused people and renovate customs socially. At that time, Jo Gwangjo, Kim Anguk, Kim Jeongguk, Kim Jeong, who were representatives of Sarim, stood for 'right politics of the king'(王道政治) by politics of virtue and politeness(德治, 禮治) to administrate the state to relieve people's suffering(經世濟民) gratifying the policy of JungJong who encouraged to practice Confucianism for rectifying the misgovernment in the reign of Yeonsan and making the political situation stable through strengthening royal authority. As a realization of these things, they tried to correct the education of decorum through diffusing Sohak, Geunsarok for the custom enlightenment. In addition to this, through enlightening poetries, they persuaded Hungu about the complacent and absurd manners of Hungu, who had vested rights, oppressed them politically and simultaneously consoled the impoverished mind of the people. These poetries of enlightening spirits that intended to edify people and form beautiful custom(化民成俗) is regarded to need to shed new light on the meaning and the value as a literature of Sarim spirit that tried to overcome the evils of Hungu's unethical politics. Following this, this paper noticed to 'enlightening poetries' by the representatives of Sarim that enabled to settle Neo-Confucianism(性理學) and make it have intensified development in JungJong's age, took a common characteristics and distinguished features of each writer's enlightening poetries;Jo Gwangjo's realization of ethical politics(道學政治) through seeking the way and thinking the reason(求道窮理), Kim Anguk's practice of duty that have to keep every day(日用彛倫) through the edcation of Sohak(小學), Kim Jeongguk's persuit of the spirit that is clean and not secular(淸逸不俗) through cultivating mind(心性修養) and Kim Jeong's manifestation of the sense of love for the people(愛民意識) through people oriented idea(民本思想). The appearance of Sarim armed with the sense of edification proves that Neo-confucianists who sought realizing Neo-confucian ideal world that was based on humanity and morality grew up to be able to lead the political discourses in Josun society. They intended to spread the ideal of Yosun age(堯舜時代) insisting the recovery of moral order for practical humanity through Sohak and the people-centered statecraft theory(經世論). The result of Sarim's edifying the rural community to have the common subjects practice Confucian thinking by utilizing means of literature called 'enlightening poetry' became an important impetus that aroused the advancement of matured Neo-Confucianism and the development of philosophical thinking that reached to the intensive stage academically by Toigye and Yulgok after that. The fact can be an opportunity to give the important meaning about the literature of this age in literary history and it has the meaning as a form of transitional literature in the stage of development of Neo-Confucianism 본 논문은 조선 中宗朝 士林派文人들의 教化詩 창작 배경과 교화시의 제 양상을 살펴본 것이다. 16세기는 勳舊派와 士林派의 정치적 이념의 갈등이 최고조에 달하여 중종조를 전후하여 네 차례에 걸친 士禍가 발생하였다. 따라서 각종 정치적 갈등을 수습하고 백성들의 혼란한 마음을 안정시키고 사회적으로 풍습을 새롭게 쇄신할 필요성이 요구되던 시기이다. 이 당시 사림파의 대표격 문인이라 할 수 있는 趙光祖·金安國·金正國·金淨 등은 연산조의 폐정을 바로잡고 왕권강화를 통한 정국의 안정을 도모하기 위해 儒學의 실천을 장려한 中宗의 정책에 부응하여 經世濟民을 위한 德治와 禮治에 의한 王道政治를 標榜하였으며 이러한 至治의 실현으로 鄕俗교화를 위하여 『小學』·『近思錄』 등의 보급을 통하여 禮教를 바로잡으려 했다. 또한 교화시를 통하여 당시 기득권층인 훈구파의 안일하고 부조리한 태도에 대한 설득과 정치적 압박도 가하면서 동시에 疲弊한 백성들의 마음을 달래기도 하였다. 이러한 化民成俗의 教化精神의 시는, 부도덕한 훈구정치의 폐해를 극복하려했던 사림정신의 문학으로 그 의의와 가치를 새롭게 조명할 필요가 있다고 여겨진다. 이에 본고에서는 중종대 성리학의 정착과 심화발전을 가능케 한 사림파의 대표적인 문인들의 '교화시'를 주목하여 공통적 특징으로 삼고 작가별 교화시의 특징을 趙光祖의 道學政治 具顯을 위한 教化詩, 金安國의 日用彛倫 實錢을 위한 教化詩, 金正國의 淸逸不俗 追求를 위한 教化詩, 金淨의 民本思想 發顯을 위한 教化詩 등으로 살펴보았다. 교화의식이 투철한 사림파 문인들의 등장은 인륜과 도덕에 기초한 性理學的 理想世界의 실현을 추구하는 사림의 성리학자들이 조선사회의 政治談論을 주도할 정도로 성장했음을 증명한다. 그들은 『小學』을 통한 실천위주의 인륜의 도덕적 질서회복과 民本위주의 經世論을 주창하며 堯舜時代의 理想鄕을 펼치고자 하였다. 사림파 문인들이 '교화시'라는 문학의 도구를 활용하여 성리학적 사유를 널리 일반백성들에게까지 실천하도록 한 鄕村教化의 성과는 후일 退溪·栗谷에 이르러 성숙한 성리학의 발전과 학문적 심화단계에 이르는 哲學的思惟의 발달을 불러일으킨 중요한 원동력이 되었던 것이다. 바로 이러한 사실이 이 시대의 문학에 대하여 文學史에서의 중요한 의미를 부여할 수 있는 계기가 되는 것이며 性理學의 발전 단계에서 過渡期的인 문학의 형태로써 의의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金正國의 性理書 편찬과 그 특징 -『性理大全書節要』를 중심으로-

        강문식 ( Kang Moon-shik ) 조선시대사학회 2022 朝鮮時代史學報 Vol.100 No.0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firm how the Joseon academia understood and utilized Seongni daejeon in the first half of the 16th century. To this end, I analyzed the contents of the Seongni daejeonseo jeoryo written by Kim Jeong-guk and examined its characteristics. Seongni daejeonseo jeoryo was a book compiled during Kim Jeong-guk’s secluded life after the Gimyo Sahwa. Kim Jeong-guk edited this book by selecting the contents from Seongni daejeon that he thought were important. Seongni daejeonseo jeoryo can be divided into three parts in terms of its content. The first part is chapter 1 to chapter 2 < Soja(蘇子) >, which contains the basic concept of Neo-Confucianism, the genealogy of academic succession, and the essence and method of learning. The second part is from chapter 2 < Sun(舜) > to chapter 4 < General discussion of Song(宋總論) >, which contains the evaluation of major characters from the Three Dynasties to the Song Dynasty. The third part is from < Gundo(君道) > to < Ejeok(夷狄) > of chapter 4 and contains the king’s virtues and studies, the way the king treats his servants, the discrimination and appointment of talented people, and principles and guidelines for state administration. When considering the content analysis of Seongni daejeonseo jeoryo, the characteristics of this book can be summarized into three categories. The first is that it is a book that contains guidelines for state administration. Kim Jeong-guk and Gimyo Sarim of Jungjong’s reign insisted that lectures of Seongni daejeon be focused on the contents that are the guidelines for the management of state affairs in the royal lecture. And according to the contents of Seongni daejeonseo jeoryo, historical cases that kings and bureaucrats should use as examples in real politics, and principles and guidelines to be observed in state administration occupy a large proportion. This point is consistent with Gimyo sarim’s argument about royal lecture and this book has the nature of a kind of state administration guide. Second, it is noteworthy that the learning of king and prime minister was emphasized as a key element of politics in Seongni daejeonseo jeoryo. Kim Jeong-guk presented the king’s learning as a fundamental element of correct politics. In addition, he emphasized that it is much more important and essential to receive subsidies from the prime minister who have learned Confucianism than the king’s own natural qualities and abilities in the king’s academic achievement. Accordingly, Kim Jeong-guk considered the academic ability of the prime minister as important. And it was also pointed out that if the prime minister showed limitations in supplementing the monarch, the cause was the lack of learning of the prime minister. Third, it is also an important feature that the contents that are thought to have been influenced by the experience of Gimyo Sahwa are included in Seongni daejeonseo jeoryo. In Seongni daejeonseo jeoryo there are evaluations criticized Dumu’s failure in pushing for the abolition of eunuches and the scholars of Trouble of Danggo were bold but reckless during Eastern Han Dynasty. The inclusion of these evaluations in Seongni daejeonseo jeoryo can be said that Kim Jeong-guk pointed out and reflected on the radicality of Cho Kwang-jo and others as the cause of Gimyo Sahwa. In addition, the selecting of evaluations, which pointed out that the scholar’s spirit has weakened since the Trouble of Danggo, is believed to reflect Kim Jung-guk’s idea that the scholar’s spirit should not be dampened and reform should not be abandoned due to strange narrative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