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김우진 희곡에 나타난 죽음 의식과 공동체의 문제―「難破」, 「山 돼지」를 중심으로

        김민주 한국극예술학회 2020 한국극예술연구 Vol.0 No.70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identify the concept of Kim Woo-jin's death as a subject of independent reading, rather than to read the death of Kim Woo-jin himself, and to explain and narrower the gap between Kim Woo-jin's social and internal writing. In order to do so, the writer's tendency and the theme of death were fully discussed, mainly relying on Blanchot's "Dehors" concept, and "Nanpa" as an extension. Following the development of the discussion, the diaries and letters of Kim Woo-jin also included the author's consciousness as a basis for discussion, judging that there were some textual parts. Attention was drawn to the fact that Kim Woo-jin's creation was a result of active writing. In previous discussions, Kim Woo-jin's death concept was often identified as an extension or one of the concept of vitality, so that in this paper we wanted to read Kim Woo-jin's play with a new concept of communication and community. The death that appears in Kim Woo-jin's work makes those who remain after someone’s death newly form and have meaning. In addition, Kim Woo-jin as a critic makes social writings, while Kim Woo-jin, a writer, shows an abstraction and concept that is not much different from the diary in poems and plays, borrowing the concept of Blanchot and viewing it as a "dehors" and showing the beginning of the community's openness. The community speaking here is through mourning and suspicion of existence after death. When looking at "Nanpa" and "Sandoiji" under the theme of communication with humans after death, it is believed that death plays a role in the writer's work by recognizing his location and historicality through outside experience and strongly identifying the starting point of transformation. As a result, many commentators pointed out Kim Woo-jin's death as a sign of communication that functions in a completely different way and prepares for the opening of the community, rather than a different name for life. It is meaningful to read Kim Woo-jin's plays in the 2020s, given that the community is not limited to the Joseon community that shares that era with Kim Woo-jin, but is a preliminary community that must be formed as long as humans are meant to be dead. 이 논문의 목적은 첫째, 인간 김우진의 죽음을 소급해서 읽는 방식이 아닌 독립된 읽기의 대상으로서 작가 김우진의 죽음 개념을 파악하고 둘째, 김우진의 대사회적 글쓰기와 대내면적 글쓰기의 간극을 설명하고 좁히는 데에 있었다. 그러기 위하여 블랑쇼의 ‘바깥’ 개념에 주로 기대어 작가의 성향과 죽음이라는 주제가 전면화되어 있는 작품인 「난파」와 그 연장선상에서 「산돼지」를 논하였다. 논의의 전개에 따라 일기문과 편지글 역시 작가의 의식을 텍스트화(化)한 부분이 있다고 판단하고 논의의 근거로 포함하였다. 이때 주목하는 것은 김우진의 창작품이 글쓰기라는 능동적인 행위를 통한 결과물이라는 점이었다. 기존 논의에서는 김우진의 죽음 개념을 생명력 개념의 연장선상 혹은 한가지로 파악하는 경우가 잦아, 소통과 공동체라는 새로운 개념으로 김우진 희곡을 읽고자 하였다. 김우진 작품에 나타나는 죽음은 죽음 이후 남아 있는 자를 남아 있는 자로 새로이 구성하고 의미를 지니게 한다. 또한 비평가로서의 김우진은 대(對)사회적 발화를 하는 반면 작가 김우진은 시와 희곡에서 일기와 크게 다르지 않은 추상성과 관념성을 보여주며 대내면적 발화를 하는데, 그것을 블랑쇼의 개념을 빌려와 ‘바깥’으로의 향함이라고 보고 나아가 공동체에의 열림의 단초를 보이고 있다고 판단하였다. 여기에서 말하는 공동체는 죽음 이후, 애도와 실존에의 의심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이다. 죽음 이후의 인간과 소통이라는 주제어로 「난파」와 「산돼지」를 살필 때 작가의 작품에 연속성이 생기며, 바깥의 경험을 통하여 인물이 자신의 위치와 역사성을 인식하고 세게 변혁의 시작점을 파악하는 방식으로 죽음이 그 역할을 하고 있다고 보았다. 결과적으로 김우진의 죽음에 대하여 많은 논자들이 지적한 바 생명력의 다른 이름이라고 하기보다는, 그와 전혀 다른 방식으로 기능하며 인물을 위치짓고 공동체에의 열림에 대비하는 소통의 흔적이라는 것으로 새로운 의미를 찾아내려 하였다. 이때의 공동체는 비단 김우진과 그 시대를 공유하는 조선인 공동체에 국한되지 않고, 인간이 죽음을 맞는 존재인 한 구성될 수밖에 없는 예비된 공동체에 해당한다는 점에서 김우진 희곡을 2020년대에 읽을 의의가 생겨난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김우진 시의식 고찰

        김낙현(Kim, Nak-hyeon) 한국비평문학회 2018 批評文學 Vol.- No.69

        본고의 목적은 김우진의 시의식의 전개양상을 살펴보는데 있다. 김우진의 시의식은 ‘유교적 전통에 대한 거부와 순응의 태도’, ‘새로운 세계에 대한 동경과 열망’, ‘죽음의식과 그 역설적 의미’ 등으로 전개된다. 기존의 연구에서는 가부장적인 부친의 엄격한 태도와 일본 유학시절 김우진이 심취했던 표현주의 영향에 의해, 그가 유교적 전통과 인습에 대한 강한 저항과 거부의 태도를 보인 것으로 논의하였다. 그러나 전통과 인습에 대한 김우진의 태도를 단선적으로 저항과 거부의 태도만으로 설명할 수 없는 한계가 있다. 오히려 여러 작품과 일기 등에서 유교적 가정에서 장남으로 태어난 김우진은 유교적 도리를 실천하려는 태도를 보인다. 자아와 세계 사이에서 끊임없이 갈등했던 김우진은 특히 자신의 꿈의 원천이었던 어머니라는 매개체를 통해 새로운 세계로 나아가려는 시의식을 드러낸다. 5살 때 여읜 어머니에 대한 그리움과 동경은 김우진을 더욱 더 새로운 세계에 대한 동경과 열망으로 이끄는 강렬한 기폭제가 된다. 그러나 현실에서 부재한 어머니를 통해 새로운 세계에 도달할 수 없기에, 결국 김우진은 절망으로 치닫게 되며 이는 곧 죽음의식으로 나아가는 결정적인 동인이 된다. 김우진 시에서 죽음이란 단순한 육체적인 생의 마감을 뜻한 것이 아니다. 그의 시에서 죽음이란 곧 새로운 생의 시작이고 그 죽음을 통해 영원한 안식과 구원을 얻을 수 있다는 역설적인 의미를 뜻한다. 이러한 죽음에 대한 김우진의 고고한 역설적 진리는 결국 그가 29세의 나이에 스스로 생을 마감하게 하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이와 같은 시의식을 살펴보면, 김우진은 희곡작가로 널리 알려져 있지만, 오히려 그의 삶과 문학은 시에서 보다 더 잘 표출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spect of development on the Kim Woo-Jin’s poetic consciousness. The poetic consciousness of Kim Woo-Jin is unfolded into ‘disapproval and conformity to Confucian tradition’, ‘admiration and longing for a new world’, and ‘the awareness of death and the paradoxical meaning.’ Previous research has suggested that he shows strong resistance and rejection to Confucian tradition and conventions due to his patriarchal father’s strict attitude and the influence of expressionism that Kim Woo-Jin engrossed during his study abroad in Japan. However, there are limitations that Kim’s attitude toward tradition and convention cannot be explained only by his attitude of resistance and rejection. Rather, Kim Woo-Jin, who was born as the eldest son in Confucian families shows an attitude to practice Confucian doctrine in his various works and diaries. Kim Woo-Jin, who constantly conflicted between himself and the world, reveals his poetic consciousness of moving into the new world, especially through the medium of his mother who was the source of his dream. The longing and admiration for his mother, who died when he was five years old, becomes a powerful catalyst for Kim Woo-Jin for a new world even more. However, as Kim cannot reach the new world through her absent mother in real life, he eventually goes to despair, which is the decisive driver of the awareness of death. In Kim’s poem, death does not mean the end of a simple physical life. In his poem, death means the paradoxical meaning that it is the beginning of a new life, and by its death it can obtain eternal rest and salvation. Kim Woo-Jin’s paradoxical truth about death eventually served as a factor that led him to end his own life at the age of 29. Examining his poetic consciousness, Kim Woo-jin is widely known as a playwright, but his life and literature are better expressed in poetry.

      • KCI등재후보

        호남 극예술 전문연구회, 김우진연구회의 활동과 과제

        주화영 (재)한국연구원 2022 한국연구 Vol.- No.12

        이 글은 2008년 호남지역 최초의 극예술 전문연구회로 창립된 ‘김우진연구회’의 그동안의 성과를 정리하고 앞으로의 과제를 제시한 것이다. 김우진연구회는 창립된 이후 지금까지 15회에 걸쳐 ‘김우진문학제’를 개최하여, 그의 극예술문화 전반을 탐색하는 작업을 진행해 왔다. 이 글에서는 먼저 김우진문학제의 구성과 운영 양상, 문화예술 활성화사업을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차후 김우진연구회에서 수행할 과제로 김우진의 친필원고의 국가등록문화재 사업, 사후(死後)100주년 조명 사업 등에 대해서 논의해 보았다. 김우진에 대한 조명은 단순히 호남지역의 문인으로서만이 아니라 한국 근대극의 형성과정과 파급, 그리고 그 원류(原流)를 살펴보는 중요한 작업이다. 앞으로 김우진연구회는 김우진의 재조명만이 아니라 한국 근대극 전반에 대한 연구로 사업을 확장시켜 나갈필요가 있다. 아울러 연구의 대상 시기를 지속적 확장해 나갈 필요가 있다. 이 글에서는이러한 내용과 사업에 필요한 여러 내용을 제안해 보았다.

      • KCI등재후보

        문학교육에서 바라본 김우진

        박장범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2021 국어교육연구 Vol.48 No.-

        이 연구는 극작가 김우진(金祐鎭, 1897 ~ 1926)이 문학교육에서 정전화된 과정을 교과서의 작품 수록 및 문학사 서술 양상을 통시적으로 분석하여 제시하고 김우진 작품을 입체적으로 조망하는 교육의 필요성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김우진과 그의 작품에 대한 문학사적․연극사적 가치와 교육적 가치 사이에는 적지 않은 간극이 발견된다. 1차 교육과정부터 현행 2015 개정 교육과정까지의 고등학교 국어 및 문학 교과서에서 김우진의 모습은 크게 세 가지 모습으로 분석된다. 먼저 중견 국민과 민족 담론이 두드러진 1 ~ 5차 교육과정에서 김우진은 희곡에서 신극 운동을 주도하여 근대성을 선취한 ‘근대극의 개척자’로 문학교육에 도입되었다. 이후에 학습자 중심이 새로이 부상하는 6 ~ 7차 교육과정에서는 작가의 개인사와 대중의 관심 속에서 인간 김우진이 주목되어 고뇌하는 식민지 지식인 남성을 넘어선 ‘식민지 현실에 대한 오늘의 성찰’로서의 의미를 확보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2009․2015년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김우진과 그의 작품이 1920년대를 문학적으로 증거하는 ‘자료와 그 창작자’ 이상의 가치를 마련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김우진과 그의 작품이 문학교육에서 불충분하게 정전화된 것은 최초에 김우진이 중등교육에 도입되었던 이유였던 그의 연극 평론이 소홀하게 다뤄짐으로써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김우진의 교육적 가치는 그의 평론과 이론적 작업에 대한 적극적인 활용을 통해서 다시금 논의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한다. This article aims to thoroughly examine various aspects of Kim Woo-jin in Korean literature education. The canonization progress, especially through literature education affects the general public, Kim Woo-jin is highly regarded as ‘an anguishing intellect of Japanese colonial era’ in Korean literary history. Therefore searching for the images of Kim Woo-jin in Korean literature education can reveal his generally accepted social idea. Thus, the findings of this study have implications for national and ethnic group – or race-centered canonization, literary history, and literature education. The analysis indicates that there are three representative images of Kim Woo-jin in Korean literature education, ⅰ) “the pioneer of a Korean modern drama”(1-5 curriculum), ⅱ) “introspection about the reality of the Japanese colonial era”(6-7 curriculum), and ⅲ) “reference for understanding the 1920s”.(2009․2015 curriculum). That is to say the canonization progress through literature education of Kim Woo-jin has reduced the meaning and value of his work, omitting criticism and reviews.

      • KCI등재

        드라마의 극작법과 극적 장르의 문해력 - 김우진의 <이영녀> 분석을 통해

        김기란 한국 리터러시 학회 2019 리터러시 연구 Vol.10 No.6

        In this article, the dramaturgie of Kim Woo-jin's <Lee Young-nyeo> (1925) was analyzed, and the dramatic characteristics of drama as a modern drama were examined, and the meaning of drama as a major dramatic form was examined in relation to the literacy of dramatic genre(Dramatik). Western realism play, which were the subject of imitation to make new plays in the 1920s when the theory of Western drama theories were introduced, was drama. Drama is a third dramatic genre after tragedy and comedy in the world theater history. The dramatic form called drama was selected as the modern theater by the beginning of the modern age of the 19th century. Such as the novel as a modern narrative genre, the drama became popular reflecting the modern world view. Since then, it has been transformed into a melodrama, and it is still popular such as movies, TV dramas and animations. Kim Woo-jin was a person who realized the New Drama Movement in the 1920s in both theory and practice. His four plays reflect the dramatic genres of the 20th century. That is, he presented new avant- garde forms of play, not drama forms such as expressionism and dream theater. Expressionism, impressionism, and dream theater would overcome the drama. Kim Woo-jin recognized the difference of them in the internal strategy and external form. Based on this recognition, Kim Woo-jin seems to have sought a dramatic form to be modern drama. Of his four plays, <Lee Young-nyeo> which was released in the form of a drama. The conflict between environment and Lee Young-nyeo revealed in this work, the accusation of reality through its dialectical orientation, and the episodic plot to reveal the life itself of female prostitute workers reflect the reality of the time. This study examined the concrete ideology and implications of modern drama with <Lee Young-nyeo> in relation to the literacy of dramatic genre. It is also a work that suggests an “doing literacy”, beyond the understanding of the dramatic text on the theme and content. 이 글에서는 근대 드라마(drama)인 김우진의 <이영녀>(1925)의 극작법을 분석하여, 근대극으로서 드라마가 지니는 극적 특징을 살펴보고, 그 의미를 극적 장르의 문해력과 연관하여 고찰했다. 서구 극 이론이 본격적으로 소개되던 1920년대 희곡 창작의 모방의 대상이 된 서구적 리얼리즘 연극이란 드라마 형식이 구현된 희곡을 의미했다. 드라마는 비극, 희극에 이은 제3의 장르로 서구 유럽연극사에 등장했다. 드라마가 그 영향력을 발휘하던 시대는 19세기 근대의 시작과 함께 한다. 마치 소설이라는 장르가 근대적 서사장르로 선택되었던 것처럼, 드라마라는 극적 형식은 근대적 세계관을 반영하는 근대극으로 인기를 끌었고, 이후 멜로드라마로 변주되면서 영화, TV드라마, 애니메이션 등의 컨텐츠로 여전히 인기를 끌고 있다. 초성(蕉星) 김우진(金祐鎭)은 현장의 연극 작업은 물론 평론 발표와 희곡 창작을 통해 1920년대 신극 운동을 실천과 이론면에서 모두 구현한 인물이다. 특히 김우진이 발표한 희곡 4편은 20세기 서구 유럽연극사의 장르적 각축을 고루 반영하고 있다. 곧 19세기 말부터 20세기 초에 이르는, 유럽의 드라마(drama) 형식과 그것을 극복하려는 표현주의, 인상주의, 꿈의 연극 등 비(非)드라마의 각축을 반영하듯 표현주의, 꿈의 연극 등 드라마 형식이 아닌 새로운 전위적 형식의 희곡을 한 작품씩 발표했다. 이는 김우진이 단순히 문학으로서의 희곡이 아니라, 희곡 각각의 내적 전략이자 외화된 형식으로서의 극작법의 차이를 극 장르의 중요한 창작요소로 인지하고 있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인식을 바탕으로 김우진은 근대극의 이념을 구현할 수 있는 극적 형식을 모색했던 것으로 보인다. 1925년 탈고했으나 유고로 발표된 <이영녀>는 드라마 형식을 취하고 있다. 이 작품에서 드러나는 환경과 인물의 갈등과 투쟁, 그것의 변증법적 지향을 통한 현실 고발, 특히 여성 성매매 노동자의 삶 그 자체를 리얼하게 행동으로 드러내기 위한 에피소드식 플롯 등은 당대 사실주의를 반영한 드라마의 극작법으로 김우진의 근대극의 이념을 충실히 반영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글에서는 김우진이 드라마 형식을 통해 구현하려 한 근대극의 구체적 이념과 함의를 살펴보고, 그것이 지금 여기에서 여전히 유효한 문해하기의 대상임을 고찰했다. 이는 기존의 서사장르와 구분되지 않는 주제와 내용 중심의 희곡 독해 방법을 비판적으로 검토하여 문화적 문해력을 위한 극장르의 문해력의 분석 항수를 제시하는 작업이기도 하다.

      • KCI등재

        김우진과 어우양위첸(歐陽予倩) 여성상과 대응방식 비교

        영명민,이혜지 이화어문학회 2020 이화어문논집 Vol.51 No.-

        이 연구는 1920년대를 배경으로, 이 시기에 창작활동을 한 김우진과 어 우양위첸의 작품에 드러난 여성상과 대응방식을 비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두 작가의 작품에는 전통적인 관습에 억압을 당하는 여성들이 등장 한다. 김우진은 결혼 생활 속에서 남편이 여성을 억압하는 것을 정당화하 는 남존여비 사상에 초점을 맞추어 비판하고 있고 어우양위첸은 여성을 하나의 인격체가 아닌 탐욕의 대상으로 삼아 물건처럼 사고파는 실상에 초점을 맞추어 비판하고 있다. 즉 김우진은 주로 남존여비 사상이 팽배한 구습 가정에서 벗어나는 것을 강조하고, 여성도 인권을 신장해야 한다고 주장한다면 어우양위첸은 여자들을 남자의 부속품으로 보는 것에 대한 비판의식을 드러내고, 특히 여자들이 혼인의 과정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해야 함을 강조하고 있다. 김우진과 어우양위첸 작품에서는 신여성과 구여성들의 인물상이 나타 나고 있다. 김우진 작품의 여성들은 지식인이나 하위 계층 등 다양한 계 층의 여성이 등장하고 어우양위첸 희곡의 여성들은 상대적으로 하위 계 층으로 설정되어 나타난다. 또한 1920년대 희곡에는 일제강점기의 여성들의 비참한 상황이 드러나 는데, 김우진은 1920년대 일제강점기하 남성중심의 사회로부터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여성들의 현실을 반영하여 여성 해방을 주장하지만 여전히 전통적인 관습과 남성중심의 유교적인 사상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여성 인물로 나타내었다. 반면에 중국의 어우양위첸 작품에 나온 여성 인 물들은 문제 해결에 대한 의지가 강하게 드러난다는 점에서 김우진 작품 속 인물들보다 적극적이라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compare the women characters and countermoves revealed in the works of Kim Woojin and Ouyangyuqian, who engaged in creative activities during the 1920s. Kim Woo-jin criticizes the idea of the predominance of men over women which is used to justify a husband's oppression of a woman in marriage, while Ouyangyuqian criticizes the consideration of women as merely objects of desire, not human beings, and buying and selling of women like things. In other words, while Kim Woo-jin mainly emphasizes breaking away from the old-fashioned family, which reinforces the idea of the predominance of men over women, and insists on promoting women’s human rights, Ouyangyuqian reveals a critical stance toward the viewing women as an accessory to men, and urges that women should play a leading role in the process of marriage. Both figures of “new women” and “old women” appear in the works of Kim Woo-jin and Ouyangyuqian. The women in Kim Woo-jin's plays are set as intellectuals or lower classes, while the women in the Ouyangyuqian plays are set as relatively lower classes. Kim Woo-jin’s 1920′s plays reveal the dire situation of women in the Japanese colonial era, and female characters insist on women's liberation but still remain stuck in traditional customs and male-centered Confucian ideas. On the other hand, the chinese female characters in Ouyangyuqian’s work are more active, given that they are strongly determined to solve the problems they face.

      • KCI등재

        문화콘텐츠 원형으로서의 김우진 -<사의 찬미> 콘텐츠를 중심으로-

        박소영 동국대학교 동서사상연구소 2021 철학·사상·문화 Vol.- No.37

        The present study analyzed how the writer Kim Woo-jin is being utilized as cultural content through his work Praise of Death, which was created with various contents. From written work to play, film and TV series, Kim Woo Jin’s Praise of Death was produced in various forms of cultural content. This was not simply due to the literary achievements held by the writer that is Kim Woo-jin but there was a lot of curiosity and creativity regarding the relationship he had with Yun Sim-deok, who he committed suicide with. The original story for creating the contents is the gossip regarding Yun Sim-deok and the records left by Kim Woo-jin. Hence, the affair between the two was received like an actual story as Kim Woo-jin’s records and the gossip regarding Yun Sim-deok were combined. The contents that were created at the time were based on Kim Woo-jin’s journal and records as well as Yun Sim-deok’s rumors to create a story. Kim Woo-jin was the son of a rich family in the Mokpo region as well as a genius writer of Joseon and is portrayed as the charming traditional male lead that can be seen in melodramas, who had conflicts with their father. Moreover, Yun Sim-deok was a confident modern woman and Joseon’s first ever soprano but suffers due to rumors. The two people recognize each other’s artistic talents and encouraged artistic activities to be portrayed as true lovers but due to this, his father and Jung Jum-hyo, who was married early on to Kim Woo-jin, become the antagonist. In such ways, Kim Woo-jin is a charming character content who allows the audience to imagine Joseon in different layers by showing both the literary world and the theatrical world of the colonial Joseon while showing the student studying abroad in Tokyo and the artist of Gyeongseong and also, creating a love triangle with a traditional woman and a modern woman. 본 논문은 다양한 콘텐츠로 만들어진 <사의 찬미>를 통해 김우진이라는 문학인을 어떻게 문화콘텐츠로 활용되고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김우진의 삶은 소설, 연극, 영화, TV드라마까지 <사의 찬미>라는 제목의 작품으로 문화콘텐츠로 제작되었다. 그것은 단순히 김우진이라는 문학인이 가진 문학적 성취 때문이 아니라 그와 동반자살했던 윤심덕과의 관계에 대해 많은 호기심과 상상력을 자아내기 때문이었다. 두 사람의 정사(情死)는 김우진의 기록과 윤심덕의 소문이 결합되어 하나의 구체적인 소문이 실제 이야기처럼 받아들여졌다. 김우진 콘텐츠는 이렇게 만들어진 소문이 원형콘텐츠가 되어 많은 거점 콘텐츠를 만들어낸 것이다. 만들어진 콘텐츠는 김우진의 일기와 기록, 그리고 윤심덕의 소문을 기반으로 하여 이야기를 만들어낸다. 김우진은 목포 지역 부호의 아들이자 조선의 천재적인 문인이었으면서 아버지와 갈등하는, 멜로드라마에서 볼 수 있는 매력적이고 전형적인 남자주인공으로 설정된다. 윤심덕은 식민지 조선 최초의 소프라노 성악가이자 당당한 신여성이었으나 소문으로 인해 고통받는 여성이 된다. 이렇게 김우진은 식민지 조선의 문학계와 연극계를 동시에 보여줄 수 있으면서 경성의 예술인과 도쿄의 유학생을 함께 보여주면서, 사적으로는 구여성과 신여성과의 삼각관계까지 만들며 식민지 조선을 다층적으로 상상할 수 있도록 해주는 매력적인 인물 콘텐츠로 기능한다.

      • KCI등재

        김우진의 일본어 번역과 아일랜드 발견―문예잡지 『마사고(真砂)』 수록 「애란의 시사(愛蘭の詩史)」의 성립

        권정희 한국극예술학회 2020 한국극예술연구 Vol.0 No.67

        Dramatist Kim WooJin's translated critique entitled "The History of Irish Poetry", written by Padraic Colum was carried in Masago(1924),a Japanese literary journal.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significance and background of translation in the context of acceptance of the Irish Literature by specifying of the source as the original “The history of Ireland Poetry " in Japan. This article examines also how media influenced on KimWooJin's literature and life, while reviewing the features of the translation published in Journal Masago. In arguing these topics, this research makes the following accomplishments. First, KimWooJin's "The History of Irish Poetry" clarifies the process of extracting translation of the introduction of Padraic Colum's Anthology of Irish verse(1922). Through these inquires, this paper investigates the details of Kim WooJin's discovery of Ireland that prompted the translation of theory Irish poetry as well as drama and poetry. Futhermore, this research reveals the background of Kim WooJin's discovery of Ireland that the Masago contributors who majored in English literature at Waseda University led the acceptance of Irish literature in Japan. It is explained in terms of academic traditions and networks by reviewing the peculiarity of Masago which was published in the Taisho era. Therefore, this report considers the possibility of approaching as utterance turned Japanese readers to Kim WooJin's Japanese works in addition to studying the new literary journals, Masago, which has received little attention so far. The works of poetry theory, which discussed the history the Irish Literary Renaissance which was significant in the representation of Irish poets, were translated to begin to form a national literature of colonial Chosen and Japan. Thus, this study explores the meaning of mediacy of Japanese translations in the acceptance of Western literature. 극작가 김우진(金祐鎭) 의 「愛蘭の詩史」(1924)는, 패드라익 콜럼의 평론을 번역한 것으로 일본의 문예 잡지 『真砂』에 수록되었다. 이 글은, 이러한 「愛蘭の詩史」의 원본으로서의 저본을 특정하여 일본의 아일랜드 문학 수용에서의 번역의 성립 배경과 의의를 고찰한 것이다. 아울러, 번역이 수록된 『真砂』의 특질을 개관하면서, 김우진의 삶과 문학에 끼친 일본의 문예 투고 잡지 미디어의 영향을 분석한다. 이러한 취지의 연구를 통해 이 글에서는 다음과 같은 성과를 제출한다. 우선 김우진의 「愛蘭の詩史」는, 패드라익 콜럼의 아일랜드 시선집의 서문을 발췌한 번역의 성립 과정을 밝힌다. 이를 통해 연극만이 아니라 아일랜드 시론의 번역을 계기로 한 김우진의 아일랜드 발견의 경위를 구체화한다. 나아가, 다이쇼 시대의 문예투고잡지 『真砂』의 특질을 고찰했다. 이를 통해 와세다대학 영문과 출신의 기고자들이 일본의 아일랜드 수용에 공헌한 학문적 배경이 촉발한 김우진의 아일랜드 발견의 도정을 새롭게 드러낸다. 그러므로, 본고에서는 그간 알려지지 않았던 『真砂』라는 문예잡지를 새롭게 연구 대상으로 추가함으로써, 일본인 독자를 향한 발화로서의 김우진의 일본어글쓰기의 가능성을 모색한다. 아일랜드의 국민 시인과 국민적인 것의 함의를 질문하는, 아일랜드 문예 부흥 운동의 역사를 개괄한 시론의 번역은, 식민지 조선의 일본 유학생이라는 김우진의 아이덴티티의 자각에서 선택된, 일본과 식민지 조선의 국민문학의 형성을 위한 시도인 것이다. 이로써 본고는, 서구 문학 수용에서의 일본어의 매개성의 문제를 탐색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김우진의 산문을 통해 본 詩 인식 양상

        염철(Youm, Chul) 중앙어문학회 2015 語文論集 Vol.61 No.-

        김우진은 소설과 희곡 작품을 통해 시에 대해 강한 환상을 드러내고 있다. 이 글은 김우진의 산문에 나타난 시 인식 양상을 살펴봄으로써 이러한 환상이 어떠한 의미를 지니는 것인지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얻은 결론은 크게 세 가지이다. 첫째, 시인은 시를 통해 자신의 ‘개성’을 드러낼 수 있다는 점이다. 물론 김우진이 생각한 시가 오늘날 우리가 생각하는 것과 똑같은 것이라고 보기는 어렵다. 그가 말하는 ‘개성’ 혹은 ‘본성’은 ‘자연’, ‘우주’, ‘진리’ 등과 관련된다는 점에서 다분히 철학적, 종교적, 우주적인 성격을 지니는 것이기 때문이다. 둘째, 시는 순간의 창조적 행복을 제공하며, 이는 예술의 최고 경지라는 점이다. 그렇다고 김우진이 다른 문학 장르를 폄하한 것은 아니다. 다만 다른 문학 장르 역시 시적인 경지를 지향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을 뿐이다. 셋째, 시 이외의 문학 장르도 시적인 경지를 추구해야 한다는 생각 때문에 그의 소설과 희곡 역시 시의 형식을 닮아가려 한다는 점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면 김우진이 창작한 모든 문학 작품은 궁극적으로 ‘시’를 지향하는 것이었다. 요컨대 김우진은 문학 활동을 하던 전 기간에 걸쳐 ‘시’에 대한 환상을 지니고 살았다고 볼 수 있다. 이는 지금까지 주로 희곡 분야의 선구자로 평가받아 왔던 김우진에 대해 새롭게 접근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겠다. Kim Woo-Jin eagerly reveals fantasies of “poetry” through his novels and plays. This paper analyzes the meaning of these fantasies through aspects of poetry that appear in Kim Woo-Jin"s prose. The result is, first, that the poet reveals his “personality” through poetry. Of course, Kim Woo-Jin thinks differently of poetry from what we think today. The reason is that the concept of “personality” or “nature” is philosophical, religious, and cosmic. Secondly, poetry provides a moment of creative bliss, which is the best aspect of the art. However, he does not disparage other literary genres. He only emphasizes that literary genres should also orient poetic status. Third, Kim Woo-Jin"s novels and plays also orient poetic status; therefore, all his literary works are ultimately oriented in “poetry.” In short, Kim Woo-Jin had fantasies about poetry through out his literary life. Kim Woo-Jin has so far been considered a pioneer in theater. In conclusion, as stated in this paper, selections of literary works of Kim Woo-Jin are expected to be meaningful texts for an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of modern poetry.

      • KCI등재

        김우진의 일본어 글쓰기 -근대 문학의 공백과 이중 언어 인식

        권정희 ( Jung Hee Kwon ) 한국비교문학회 2015 比較文學 Vol.0 No.66

        이 글은 극작가 김우진(金祐鎭)의 언어 의식과 일본어글쓰기의 의미를 규명하려는 것이다. 종래 김우진 연구는 ‘조선어의 부흥과 개량’을 역설한 식민지 조선의 자의식을 지닌 작가상을 구축해 왔다. 이러한 선행 연구에서 배제해 왔던 일본 유학 시기의 일본어 창작을 이 글에서는 김우진의 삶과 문학을 이해하는 텍스트로 연구 대상에 포함하여 일본어글쓰기의 의미를 김우진의 언어 의식과의 관계에서 분석했다. 그 결과 이 글에서는 김우진의 자전적 생애를 재구성하기 위한 단서로 당시의 일기와 시를 참조하는 텍스트 분석을 통해 <동굴 위에 선 사람(洞窟の上に立たる人)>의 여주인공을 윤심덕에 친연적인 여성 이미지로 형상화한 소설이라는 가설이 제기되었다. 또한 <방련은 어찌하여 나병의 남편을 완쾌시켰는가(蒡蓮はいかにして癩病の夫を全快させたか)>는 조선의 설화를 숭고한 의리의 희생의 서사로 재구성한 것이다. 이 글에서는 이 두 편의 서사를 작가의 생과 관련지어 사랑과 부부애 서사의 생성 동인을 탐색했다. 이로써 조선인으로서의 자기 정체성이 형성한 언어 내셔널리즘의 강박 속에서 조선어에 의한 공적 영역과 사적 영역의 일본어로 구획되었던 언어 의식이 가시화되었다. 여기에는 사적 영역과 공적 영역이 긴장· 갈등하는 근대소설 형성 시기의 근대적 개인의 정립이 언어와 결부되어 나타나는 문제가 작용한다. 이러한 의미에서 김우진의 일본어 글쓰기는 1940년대 일제 말 식민지 조선의 작가에게 강제되었던 일본어글쓰기와는 이질적인 층위에 놓여 있다. 이러한 논의는 궁극적으로 김우진의 이중언어 인식과 일본어글쓰기의 가능성을 구체화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significance of the writings in Japanese and the lingual consciousness of the dramatist, Kim Woojin. So far, the study on Kim Woojin has focused on constructing the image of a writer who was self-consciousness about the colonial Choson and emphasized on ``the revival and reform of the Korean language.`` Meanwhile, the Japanese writings, created during his stay in Japan as a foreigner student, have been excluded from the study objects in the precedent studies. Thus, this article included his previously-excluded Japanese creations into its study object as the text to understand a life and literature of Kim Woojin, analyzing the meaning of Japanese writing in relation to his lingual consciousness. Through the text analysis in this article by referring to his diary and poetry as a clue to reconstitute his autobiographical life, a hypothesis was suggested that the short story written in Japanese titled as "A person who stands on the cave" is the one which characterizes its heroine close to the image of Yun Shim deok. Also, the other Japanese writing, "how did Bangryeon have her husband recover from the leprosy completely?" was reconstituted from a Korean tale into a story of noble duty of sacrifice. This article considered these two writings in connection with the life of the writer, searching for their creation motives of the narrative of love and the conjugal affection of each other. As a result, this paper revealed that Kim Woojin`s lingual consciousness is divided into the public sphere by Korean and private sphere by Japanese, with the obsession of the lingual nationalism in forming one`s identity as a Korean. This may be attributed to the issue of formation of a modern individual in relation to the language in the formative period of modern novels where conflict and collision between a public sphere and a private sphere occur. In this respect, these two Japanese writings of Kim Woojin were different in various aspects from those of the writers of the colonial Korea who were forced to write in Japanese in the late 1940s. These arguments will contribute to materializing the possibility of Japanese writings and the bilingual consciousness of Kim Woojin, ultimate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