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획2 : 한국한자학(韓國漢字學)의 미학적(美學的) 접근(接近)(2) ; 금려(金려) 문학의 미의식

        박준원 ( Joon Won Park ) 동방한문학회 2011 東方漢文學 Vol.0 No.49

        김려는 타고난 작가이다. 그것도 전업 작가에 가깝다. 실제로 그는 따로 道學에 관한 견해를 밝히거나, 다른 학자들과 논쟁을 벌인 기록을 남긴 적이 거의 없다. 평생을 오직 올곧게 창작과 작품 수집에 전념했을 뿐이다. 관념적 성리학자가 아닌 치열한 작가로서의 삶이 김려 문학의 형식과 내용을 결정짓게 했고, 이것은 다음 장에서 다루는 김려 문학의 미의식 세계 전반에도 그대로 투영되어 나타난다. 그는 직관과 情의 문학론에 기반한 예민한 감수성에 의한 창작을 수행했다. 김려 문학의 미적 범주는 野趣的 미의식의 투영, 滑稽美와 艶情的 미의식의 구현, 悲壯美의 표출로 나누어 볼 수 있다. 김려 문학의 미의식의 모든 범주들은 기본적으로 휴머니즘에서 출발한다. 김려의 대다수 작품들의 창작 의식의 저변에는 휴머니즘이 내포되어 있다는 말이다. 우리가 앞서서 살펴본 김려 문학의 미적 범주들이 모두 그러하다. 주제적인 면에서 볼 때, 김려 문학의 진수는 소외된 인간군상에 대한 휴머니즘적 접근이다. 그의 작품에는 소외된 여성 계급, 변방의 하층민, 심지어 천민인 백정에 대한 관심과 애정이 지속적으로 나타난다. 심지어 그는 만민 평등 의식을 고취하기도 한다. 김려 문학의 미의식이 이러한 휴머니즘에 기반을 두고 있기 때문에 더욱 가치가 있다. 작가의 주제 의식이나 창작 의도에 대한 고려가 없는 미학 자체만을 위한 미의식 탐구는, 자칫 내면이 부재한 외피만의 연구에 빠질 수 있는 위험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김려의 시작품에 전반에 나타난 표현기법은 대체로 사실적인 묘사가 두드러진다고 할 수 있다. 이것은 기본적으로 작가가 자신의 작품을 구체적이고 리얼하게 묘사하려는 의지가 강하게 작용한 결과이고, 그의 문예미학이 이루어낸 커다란 성과라고 할 수 있다. 김려가 이렇게 사실적인 기법을 활용할 수 있었던 요인 중에 하나는 바로 주석을 적절하게 활용했기 때문이다. 따라서 우리는 주석과 함께 김려의 작품을 읽을 때, 그의 작품 세계를 더욱 사실적이고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김려 문학의 미의식 전반에 대하여 개략적으로 다루었다. 이제 이러한 검토를 시작으로, 앞으로 김려 그룹 전반과 개별 작가에 대한 미학적 검증이 이루어지길 기대해본다. Kim Ryo was a talented writer. He was almost a full-time writer. Practically, he had never expressed his thoughts on moral philosophy or argued with other scholars regarding that matter. This upright man just had concentrated on writing and collecting pieces for his whole life. His life as a fierce writer, rather than an ideal neo-Confucian scholar decided the types and content of his literature. This will be explained at the next chapter that deals with the aesthetic sense in his literature. He has created literature work based on his intuition, literary theory of ``jeong(情),`` and keen sensitivity. The scope of Kim`s literature consist of reflecting the rusticity in aesthetic consciousness, realizing aesthetic sense of satire and eroticism, and expressing tragic beauty. His aesthetic sense in all his literature begins with humanism. In other words, his creation consciousness in most of the pieces contains humanism. The scope of the aesthetic in his literature mentioned earlier is the same. When it comes to a subject, the key of Kim`s literature is the way of human approaching to the isolated group of people. his attention and affection for the isolated woman, lower class people, and butchers who were the lowest level is continuously found in his literature. Futhermore, he claimed that all the people are equal. Because his aesthetic consciousness in the literature is based on humanism, his work is more valuable. To research of aesthetic sense only for an aesthetic study without writer`s own themes or creation intentions is risky as it can become a superficial research without inner contents. The overall expression technique in his poems is a realistic description. It is a result of his strong will to describe his work more detailed and realistically. It is also a huge achievement of his literature aesthetic study. One of the reasons that Kim Ryo could use the realistic description is because he properly used annotations. When we read his poems with annotations, we can figure out his career and concept of the work better and more concretely. In this article, the overall concept of Kim`s aesthetic sense in the literature was covered. Based on this, I hope that kim and his group would be aesthetically verified in future.

      • KCI등재

        『윤인관척독(閏人觀尺牘)』과 『풍고관소독(楓?觀小牘)』을 통해 본 김려(金?)와 김조순(金祖淳)의 교유 양상

        강혜선 ( Kang Hye-sun ) 한국한문학회 2018 韓國漢文學硏究 Vol.0 No.69

        『?庭叢書』 소재 『閏人觀尺牘』과 『楓皐觀小牘』은 기본적 성격은 알려져 있으나, 구체적으로 수록 척독들을 세밀하게 검토한 적이 없는 자료이다. 이에 본고는 두 척독집을 충실하게 검토하는 과정을 통해 金?와 그의 평생의 벗인 金祖淳의 교유 양상을 조명하고자 하였다. 먼저, 두 척독집의 제작 배경을 이해하기 위해 김려와 김조순의 교유 양상을 두 사람의 시문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楓皐集』에는 비록 유배 중인 김려와 관련한 시문이 전하지 않지만, 김려의 시문을 통해 김조순이 김려에게 변함없는 우정을 보여주었으며, 김려 해배 이후 김조순과 김려가 활발하게 교유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윤인관척독』에는 89편의 척독이 수록되어 있는데, 제작 시기는 김려가 삼청동으로 옮겨온 1811년부터 의금부 말단직, 정릉 참봉 등을 지낸 시기를 거쳐 1817년 12월에 걸친 시기이다. 주요 내용은 일상의 안부를 묻고 집안일을 전하고 있어, 문예적인 성격보다 실용적인 성격이 강하다고 판단된다. 특히 편지마다 일정한 물품 - 식량과 각종음식 재료, 건축 자재, 각종 약재와 문방구류 - 이나 돈을 보낸 것을 보아, 김조순이 오랜 유배 생활로 경제적으로 몰락한 김려를 지속적으로 후원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윤인관척독』에서 주목할 척독들로는, 먼저 일상의 가족사를 정감 넘치게 전한 예, 김조순의 玉壺精舍에서 趙學殷, 金照 등과의 교유를 보여주는 예, 단풍나무를 애호한 김조순을 위해 김려가 단풍나무를 여러 차례 구해 준 예, 김려와 김조순, 권상신 등이 서로의 시문을 주고받으며 검토하는 예, 김려가 최고의 위치에 있는 김조순에게 정치적 조언을 하고 그 조언에 김조순이 대응하는 예 등을 주목할 만하다. 『풍고관소독』은 김조순이 1801년에서 1804년에 걸쳐 李復鉉에게 보낸 척독 15편과, 김려가 연산현감을 지내던 시기와 체직되어 돌아온 뒤인 1818~1819년에 김려에게 보낸 척독 30편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척독집 역시 실용적인 성격이 강하지만, 여기에도 주목할 만한 척독들이 보인다. 김려의 요청으로 김조순이 연산 동헌의 風雷軒과 酌廉閣 편액 글씨를 써주었으며, 金正喜가 동헌 기둥의 주련 글씨를 써주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체직되어 서울로 돌아온 뒤 김조순과 김려의 문학적 교유를 보여주는 척독들은 주목할 만하다. 그 중 대표적인 예가 바로 1819년 3월 김조순, 김려 일행의 奉元寺雅會의 정경을 고스란히 전하는 척독들이다. 세 편의 척독은 김조순의 「記奉元寺遊」와 짝을 이루어 당시 이들 문인 그룹의 문예 활동 및 취향을 잘 보여주고 있다. This paper tried to extract the friendship of Kim Rye and Kim Jo-soon shown in the two collection of letters. The two collection named 'Yunningwan Chokdok' and 'Punggogwan Sodok' are contained in 'A Series of DamJeung'. Those are the letters that Kim Jo-soon sent to Kim Rye after Kim Rye was returned from exile. As they usually send daily greetings and convey family relationships, they are more practical than literary characters. Especially, Kim Jo-soon sent Kim Rye various items along with the letter. For example, he sent food, various food materials, building materials, various medicines, and stationery, and money. This shows that Kim Josoon was the economic supporter of Kim Rye. Remarkable letters include the literary activities of Kim Jo-soon and Kim Rye. For example, the letters show Kim Jo-soon, Kim Ryeo, Jo Hak-eun, and Kim Jo‘ s literary activities in Kim Jo-soon's beautiful house named Okhojeongsa. It is also noteworthy that Kim Rye gave political advice to Kim Jo-soon, who actually led contemporary politics at the top, and Kim Jo-soon responded to the advice. The most notable letters from the collection 'Punggogwan sodok' are : First, when Kim Rye was working as a town governor of Yeonsan, Kim Jo-soon wrote calligraphy on the two framed pictures of the government office, and Kim Jeong-hee wrote calligraphy on the government office's pillars. Second, when several writers such as Kim Jo-soon, Kim Rye and Kim Jo visited Bongwonsa Temple in March 1819, Kim Jo-soon described his experiences of the day's traveling in his letters to Kim Rye. The three letters are paired with Kim Jo-soon's travel essay of Bongwonsa, which shows the literary activities and tastes of the writers' group at the time.

      • KCI등재

        김려(金鑢)의 유배 문인 형상화 고찰

        홍진옥(Hong, Jin-ok) 국문학회 2021 국문학연구 Vol.- No.44

        본고는 담정(藫庭) 김려(金鑢, 1766~1821)가 유배를 경험했던 전대(前代)의 인물 이항복(李恒福, 1556~1618)과 이광사(李匡師, 1705~1777)에 대해 지녔던 각별한 태도를 살피고 그 의미를 분석하였다. 지금까지 문학사에서 김려의 경우 사회에서 소외된 인물들에게 보여준 수준 높은 인간 이해와 이들을 작품의 전면에 내세운 뛰어난 문학성이 집중적으로 조명되어, 과거 인물에 대해 지녔던 각별한 관심에 대해서는 온당한 관심을 받지 못하였다. 김려는 부령으로 향하는 유배 여정에서 이항복의 삶을 장편 한시로 남겼다. 북방으로 유배를 갔던 수많은 인물들 가운데에서도 유독 이항복에 대해 각별하게 마음을 썼던 이유는, 김려의 가문이 광해군 대에 입은 정치적인 박해와 관련되어 있다고 보았다. 처지와 상황은 비록 달랐지만 자신에게 닥친 고난과 어려움 속에서 혼란한 현실을 적시(摘示)하고 자신의 무고함을 당당하게 드러내었던 이항복은 김려가 이상으로 여겼던 행위를 몸소 체현한 인물로서 남다른 의미를 지녔던 것이다. 다음으로 부령 유배지에 도착한 이후 김려가 소환한 인물은 이광사이다. 김려는 이광사에게 특별한 유대 의식을 지녔다. 특히 이광사와 긴밀한 관계에 있던 부령의 인물들과 김려가 직접적으로 교유하면서, 이광사는 김려에게 더 이상 과거의 인물이 아닌 새롭게 자신과 정신적 교감을 나누는 ‘신교(神交)’의 대상이 된다. 뿐만 아니라 이렇게 형성된 유대감과 정서적 친밀감을 바탕으로 김려는 이광사를 선배 문인으로 인식하면서 그와 문학적으로도 긴밀하게 교류하고자 하였다. 이로써 김려에게 이광사는 과거 인물 중의 한 사람이 아니라, 자신의 처지를 위로할 수 있는 특별한 대상으로 남다른 의미를 지닐 수 있었다. 전대의 유배 문인에 대해 보여준 그들 삶에 대한 깊은 위로와 정신적인 교감은, 김려의 수준 높은 인간 이해가 사회에서 소외된 인물들에게만 한정된 것이 결코 아니라는 점을 보여준다. 시공간을 초월하여 자신과 직접적인 교감이 없는 과거의 문인에게까지 확장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는 점에서, 유배 문인을 형상화 한 작품은 각별한 의미를 갖는다고 할 것이다. This paper analyzed Damjeong Kim Ryeo s exceptional attitude toward his predecessors Lee Hang-bok(李恒福) and Lee Gwang-sa(李匡師), both of whom were exiled, and its significance. In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Kim Ryeo received the spotlight for his high level of understanding of human beings, which was shown in his portrayal of marginalized people in society and his outstanding literary accomplishment by bringing such people to the forefront in his works. Kim left a long poem on the life of Lee Hang-bok in Chinese poetry on his journey to Buryeong, his place of exile. This study traced Kim Ryeo’s interest in Lee Hang-bok, among the many figures exiled to the northern regions, to the political persecution Kim Ryeo s family experienced during the reign of King Kwanghaegun. While their circumstances may have differed, Lee Hangbok, who pointed out the tumultuous reality amid the hardships and difficulties and defended his innocence, was a person who embodied the behavior that Kim Ryeo considered ideal. The next person Kim Ryeo recalled after he arrived at his place of exile in Buryeong was Lee Gwang-sa. Kim Ryeo felt a special bond with Lee Gwang-sa. As he became acquainted with the people directly related to Lee Gwang-sa in Buryeong, Lee Gwang-sa was no longer a person of the past but a person who formed a new spiritual relationship with him. Based on this bond and emotional intimacy, Kim Ryeo recognized Lee Gwang-sa as his predecessor and a fellow writer and tried to communicate with him closely through literature. The profound consolation and spiritual interaction for the exiled writers of the past show how Kim Ryeo s in-depth understanding of humans was not limited to the marginalized people in the society. The works on exiled writers are significant in that they show how Kim Ryeo transcended time and space to interact with the writers of the past whom he had never met in person.

      • KCI등재

        金鑢의 한시에 나타난 ‘妓女’의 문학적 형상

        박준원 동방한문학회 2018 東方漢文學 Vol.0 No.74

        1797년 12월 김려는 유배지 부령에 도착했다. 이 때 상심하고 상처받은 그에게 따뜻한 애정의 손길을 내밀어준 여인이 있었으니, 바로 부령의 부기인 연희였다. 그녀의 성은 池, 이름은 蓮華(愛稱 蓮姬), 자는 春心, 호는 蕸軒이다. 김려는 그녀에게 따뜻한 위로를 받았고, 그녀와의 사랑을 통하여 마음의 안식을 얻게 되었다. 이때부터 김려는 연희와 깊은 연인 관계를 유지하게 된다. 그러나 1801년 4월 신유옥사의 와중에서 김려가 부령에서 경남 鎭東으로 유배지를 옮기게 되면서, 김려와 연희는 어쩔 수 없이 기약 없는 이별을 하게 된다. 갑자기 진동으로 이배되어 사랑하는 연인과 헤어지게 된 김려는 그녀와의 사랑을 잊을 수 없었다. 그래서 연희와의 애정이 넘쳐흘렀던 부령시절을 회고하며, 연희를 소재로 한 수많은 한시작품들을 창작하게 된다. 문학사에서 길이 기억될 이 작품들은, 그가 이배지 진동에서 부령시절을 그리워하며 쓴 『思牖樂府』에 수록되어 전해지고 있다. 『사유악부』는 바로 기녀를 소재로 한 김려의 대표적인 창작물인 셈이다. 본고에서는 먼저 김려가 이러한 작품들을 창작하게 된 배경이 되는, 先進的인 여성관을 그의 다른 시편을 통하여 함께 살펴보았다. 그는 평소에 여러 시편 속에서 여성의 인간성에 대한 옹호와 건강미 예찬을 하고 있었고, 인간평등에의 지향 의지를 보여주고 있었다. 바로 이러한 선진적 여성관과 의식을 바탕으로 그의 기녀 관련 시편들이 창작되었다. 또한 본고에서는 『사유악부』 의 연희뿐만 아니라, 김려가 기녀를 소재로 창작한 시들 전반을 고찰했다. 즉 먼저 『사유악부』 에 수록된 부령의 부기 연희와의 사랑을 노래한 애정시와, 그녀의 재능과 언행을 칭송한 작품들이 어떻게 형상화되었는지 살펴보고, 김려가 부령의 다른 기녀들과 교류했던 시편들도 검토했다, 이와 함께 해배 이후에 서울로 돌아와 창작되어진 『歸玄觀詩草』 소재의 「哀李酒嫗十首」도 함께 고찰하여, 이들이 각각 어떻게 문학적으로 형상화되어있는지를 살펴보았다. 김려는 유배지 부령에서 연희와 깊은 연인의 관계를 유지하고 있었고, 영산옥, 양관옥, 노심홍, 정설염, 소혜랑, 아섬, 임요조 등의 기녀와도 허심탄회하게 어울리며 그들의 세계를 이해하고 있었다. 「哀李酒嫗十首」는 김려가 유배에서 돌아온 후 서울 청계천의 색주가에서 만난 늙은 기녀 이씨를 슬퍼하며 지은 10수의 한시이다. 「애이주구십수」에 보이는 늙은 기녀에 대한 연민과 그리고 애상은, 젊은 시절 김려 자신이 연희에게 느꼈던 불같은 사랑의 잔재이기도 하다. 이제는 흘러가버리고 사라져버려서 다시 붙잡을 수 없는! December 1797, Kim Ryeo arrived at Booryung, the place of exile. At that moment a warm and loving hand was gave to grieved and hurt Kim Ryeo by a woman called Yeon Hee and was the Boogie of the Booryung region. Her last name was Ji(池), given name was Yeon Hwa(蓮華), Ja was Choon Shim(春心), and Ho was Ha Hun(蕸軒). Kim Ryeo was comforted by her warm gestures and as time passed he got the peace of mind through loving her. Since then, Kim Ryeo and Yeon Hee started a deep romantic relationship with each other. However, during the April 1801 Shinyouoksa incident Kim Ryeo’s place of exile was moved to Kyoungman(鎭東) from the Booryung region and inevitably, Kim Ryeo and his lover had to face a parting without any promises. Being tore apart from his lover, because of Kim Ryeo’s transportation to Jindong, he could not forget his love with Yeon Hee. To recall the warm, lovely memories of Booryoung Kim Ryeo started to write countless sino-Korean poetries based on Yeon Hee. The poetries that will be appreciated in the history of literature, are being passed down from the ‘Sayouakboo(思牖樂府)’ which was written by Kim Ryeo missing his days in Booryoung while he was being transported in Jindong. ‘Sayouakboo(思牖樂府)’ is Kim Ryeo’s representative creation about ginyeos. In this paper, the author has looked through 先進的 the background of Kim Ryeo’s creation which formed his perspective of women by examining his other poetries. He usually supports the humanity of women and praises the healthy beauty of women in his poets and he reveals his value of human equality. This progressive view towards women became the base for creating his ginyeo related poets. Additionally, not only the author studied Yeon Hee from ‘Sayouakboo(思牖樂府)’ but also studied Kim Ryeo’s ginyeo based poets by half. In other words, the love poem singing his love with Yeon Hee, the Boogie of Booryoung and the creations praising Yeon Hee’s talents and words in ‘Sayouakboo(思牖樂府)’ were firstly took in study in order to study how they were embodied and then the other poets related to the ginyeos in Booryoung were examined. Along with the studies mentioned above, 歸玄觀詩草 based 「哀李酒嫗十首」 the poets that were created when Kim Ryeo’ came back to Seoul after his exile was ended were also taken into examination in order to discover how they were literary embodied. During his days in his Booryoung exile, Kim Ryeo had a deep romantic relationship with his lover but also he fraknly mingled with ginyeos such as Yeong San Oak, Yang Kwang Oak, No Shim Hong, Jeong Seol Yeom, So Hye Rang, Ah Sum, and Lim Yo Jo to understand their world. 哀李酒嫗十首 is about meeting an old ginyeo after Kim Ryeo came back to Seoul. This poet was written in a sad mood which is a sino-Korean poet. The pity and sadness towards a thrown out ginyeo shown in ‘Ayjugooshipsoo’ is actually the left love of Kim Ryeo’s heart towards Yeon Hee. As the love is a past memory which cannot be recaptured!

      • KCI등재

        金鑢文學 연구의 성과와 반성적 검토

        鄭炳浩(Jeong Byeong ho) 대동한문학회 2016 大東漢文學 Vol.47 No.-

        The thesis was attempted to present the results and critical review on study of Kim Ryeo’s literature. First, the results on study of Kim Ryeo's literature was divided into four periods. That is first period(1980~1989), second period(1990~1999), third period(2000~2009), fourth period(2010~ 2016). In the first period, most of study were study on poetry and biography. In /study on Kim Ryeo's poetry, study on total poetry and each poetry occupied same percentage. Also, the comprehensive method and microscopic method were applied both. Through both method, the whole aspect and detail aspect were revealed. In the study of Kim Ryeo's biography was deduced writer's consciousness and political tragedy. In the second period, we had studied writer, poetry, biography, compilation book. The results of study were increased than the first period, and the study on compilation book was attempted for the first time. Specially, the study on writer and biography was advanced actively. In the third period, we had studied poetry, compilation book, biography, literary style, diary. Especially, the study on poetry and compilation book occupied most percentage. The study on poetry had accomplished not only increase in quantity but also qualitative progress. Through attempt on diary, studying field was extended. In the fourth period, we had studied biography, compilation book, diary, aesthetics. The study on biography was advanced actively, and the study on diary was progressed deeply. We investigated problems about result of studied field and presented various subjects or vision. That is objectivity of poetry assortment, examination on interrelationship of poetry, sublation on piece analysis of each poetry development of method on poetry analysis, genre on Kim Ryeo's biography, analysis on Kim Ryeo's literary style, interrelationship between narrative style and writer's consciousness, aesthetics of Kim Ryeo's biography, diversified approach on compilation book, the united study on writer. 이 글은 金鑢文學의 연구성과를 통시적으로 정리하여 그 전개양상을 정치하게 파악하고, 분야별로 문제점을 검토하여 향후과제 및 전망을 제시하기 위해 기획되었다. 먼저, 김려문학의 연구성과를 네 시기-제1기(1980~1989), 제2기(1990~1999), 제3기(2000~2009), 제4기(2010~현재)로 나누어 정리하였다. 제1기에는 작가론(1편)과 문체(1편)에 대한 연구가 있긴 했지만 한시(4편)와 傳(2편)이 주로 연구되었다. 제1기의 한시 연구는 시세계의 전체를 파악하는 연구와 유형 또는 개별 한시에 대한 연구가 대등한 비율을 차지하였다. 거시적인 접근과 미시적인 분석을 적절히 활용함으로써 김려 한시의 전체적인 면모와 세부적인 측면을 함께 드러내었다. 또한 김려의 문학관과 시세계의 긴밀한 관계를 규명하였다. 제1기의 김려 전 연구는 작가론의 일 환으로 작가의식을 추출하는 작업에서 출발하여 정치적 비극을 포착하기도 하였다. 그리고 이런 성과를 토대로 하여 관련기록과의 비교, 서술방식, 작가의식, 문학사적 의의가 종합적으로 다루어져 후속 연구에 튼실한 토대를 제공하였다. 제2기에는 작가론(5편), 한시(3편), 전(3편), 편찬서(4편)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졌다. 제1기에 비해 전체적으로 연구성과가 증가하였으며, 편찬서에 대한 연구가 시도되었다. 특히, 제2기에는 작가론이 활발하게 이루어져 김려문학에 나타난 근대지향적 작가의식에 초점을 맞추어 문학사적 위상을 설정하였다. 한시 연구는 제1기의 시세계 전반에 대한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개별 시집과 개별 작품에 초점을 맞추었다. 제2기의 전 연구는 서술, 주제, 야사와의 관련성, 양식적 특징 등 다방면에서 진행되었다. 특히, 야사와의 관련성 검토에서 진전된 성과를 이루었다. 제2기에는 편찬서(野史叢書 와 藫庭叢書 )에 대한 연구가 시도됨으로써 연구분야가 확대되었다. 제3기에는 한시(8편), 야사편찬(4편), 전(1편), 일기(1편), 문체(1편)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졌다. 특히, 한시와 야사편찬에 대한 연구가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제3기의 한시 연구는 양적 팽창은 물론이고 질적 진전을 성취하였다. <黃城俚曲>, 「牛海異魚譜」 소재 <牛山雜曲>, 「思牖樂府」, 「萬蟬窩賸藁」, <古詩爲張遠卿妻沈氏作> 등 개별 시집과 개별 작품을 중심으로 연구되었으며, 여기에 시세계 전체에 대한 연구도 병행되었다. 특히, 연구대상작품의 확대는 물론 비교문학적 검토, 생활사적 접근 등 다양한 분석방식에서 도드라진 성과를 거두었다. 제3기의 야사편찬에 대한 연구는 寒皐觀外史 의 가치, 위상, 체재, 일실작품 그리고 倉可樓外史 의 내용, 편찬의도, 자료적 가치 등 다방면에서 다루어졌다. 제2기의 야사편찬 연구가 편찬의식 파악에 집중되었다면 제3기의 야사편찬 연구는 편찬의식을 중심에 두고 실증적인 측면과 자료적 가치까지 연구의 편폭을 확장하였다. 여기에 비해 제3기의 전 연구는 부진하여 겨우 명맥을 유지하는데 머무르고 말았다. 제3기에는 일기에 대한 연구가 시도됨으로써 연구대상이 확대되었다. 제4기에는 전(4편), 편찬서(2편), 일기(1편), 미의식(1편)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졌다. 제3기에 부진했던 전 연구가 입전인물의 교육적 가치에 대한 접근, 개별작품(琉球王世子外傳)에 대한 연구, 종합적인 검토 등 다방면에서 활발하게 진행되었다. 일기는 장르론적 관점에서 본격적으로 연구되었다. 미의식 연구가 새로운 연구분야로 등장한 반면에 한시연구는 이루어지않았다. 다음으로 김려문학의 연구성과 46편을 한시 연구, 전 연구, 편찬서 연구, 작가론, 문체・일기・미의식 연구로 나누어 분야별로 문제점을 검토하고 향후과제와 전망을 제시하였다. 김려 한시에 대한 연구는 15편으로 1기에 4편, 2기에 3편, 3기에 8편이있다. 김려 시 전체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4편이고 개별 시집이나 개별 한시에 대한 연구가 11편이다. 김려 시 전체에 대한 연구 과제로는 시세계 분류의 객관성과 시세계 상호관계의 규명을 제시하였으며, 개별 시집이나 개별한시에 대한 연구 과제로는 개별작품 분석의 파편화 지양과 작품 분석의 방법론 모색을 제안하였다. 10편의 김려 전 연구의 문제점에 대해서는 연구자별로 상세히 검토한 후 과제를 제시하였다. 「단량패사」의 장르 규명, 「단량패사」에 나타난 문체 분석, 김려의 전에 나타나는 작가의식과 서술방식의 다양성 검토, 김려 전이 내장하고 있는 미학 또는 미의식 탐색 등이 그것이다. 편찬서 연구는 10편으로 야사총서 연구 6편, 담정총서 연구 4편이다. 편찬의식 파악의 방법, 실증적인 연구, 야사총서에 대한 다양한 접근, 담정총서 에 수록된 작가의 작품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를 향후 과제로 제시하였다. 김려에 대한 작가론 6편

      • 김려의 창원 유배생활과 저술 활동

        한정호 한국지역문학회 2017 한국지역문학연구 Vol.6 No.2

        김려(1766∼1821)는 1801년 4월부터 1806년 10월까지 5년 6개월 동안 창원에서 유배생활을 했다. 이 글에서는 김려가 남긴 작품을 바탕으로 유배지 창원에서의 적소 체험과 저술 활동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글쓴이는 그의 유배 행적을 󰡔사유악부(思牖樂府)󰡕 집필기, 󰡔우해이어보(牛海異魚譜)󰡕 집필기, 그리고 󰡔우해이어보󰡕 탈고 이후로 나눈 다음, 작품들을 대상으로 그의 유배살이를 꼼꼼하게 짚어보았다. 제1기는 󰡔사유악부󰡕 저술 때이다. 김려는 1801년 4월 창원(진해현)에 처음 유배왔을 때는 진전면 율티리에서 머물렀다. 그는 유배 와서 예전의 유배지 부령에서의 생활을 그리워하며 󰡔사유악부󰡕 집필에 몰두했다. 그렇게 6개월 남짓 생활하다 어촌의 풍토에 적응하지 못하고, 풍토병 치료를 위해 진동면 진동리 성안에 거처를 정하고 머물게 되었다. 그곳에서 관리들과 어울리며 생활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제2기는 󰡔우해이어보󰡕 저술 때이다. 김려는 몸을 추스린 뒤, 1802년 3월 무렵에 다시 본래의 적소였던 진전면 율티리로 적소를 옮겨온 것으로 여겨진다. 그때부터 그는 우해의 어패류에 대한 관심을 가지게 되었고, 인근 바다로 낚시를 다녔으며, 주변 장소들을 두루 소요했던 것으로 보인다. 그 결과 1803년 9월에 󰡔우해이어보󰡕를 탈고했던 것이다. 제3기는 󰡔우해이어보󰡕 탈고 이후의 시기이다. 그때 김려는 인근의 지역을 소요 또는 유람했던 것으로 짐작된다. 그러다가 1805년 즈음에 또다시 건강 악화로 요양차 의림사(義林寺) 남암(南庵)에서 머물렀던 것으로 사료된다. 당시에 지은 작품은 주로 󰡔의당별고󰡕(1818)와 󰡔귀현관시초󰡕(1819)에 산재해 있다. 결국 김려의 창원 유배살이는 지역민들과의 친분, 특정 장소의 소요와 유람, 그리고 시문 창작과 저술 활동 등으로 간추려진다. 그런 점에서 이 글은 김려의 창원 유배생활과 관련된 기록들은 한 개인의 삶을 추적하는 계기가 될 뿐 아니라 조선후기 유배지 창원지역의 장소성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사료가 될 것이다. Kim Ryo(1766∼1821) lived in Changwon for 5 years and 6 months from April 1801 to October 1806. In this article, based on the works left by Kim Ryo I examined the exile place experience and writing activities in Changwon. To this end, the writer wrote his exile that After division writing period of 󰡔Sayou-akbu󰡕 and 󰡔Woohaerieobo󰡕 into after take manuscript of 󰡔Woohaerieobo󰡕, the writer carefully examined his exile living targeting works. The first period is the time of writing, 󰡔Sayou-akbu󰡕. When he first came to Changwon(Jinhae hyeon) in April 1801, he stayed at fence in Jinjeon-myeon. He came to exile and missed the life of former exile bishop, and devoted himself to writing 󰡔Sayou-akbu󰡕, So I lived for 6 months and could not adjust to the climate of the fishing village. In order to treat endemic diseases, I settled down in the vibe of Jindong-myeon Jindong-lee seong-an. It is presumed that he lived there with the officials. The second period is the time of the 󰡔Woohaerieobo󰡕 writing. after Kim ryo moved his body, and by March 1802, It was believed that he moved exile place to Jinjeon-myeon fence where he was the exile place. From that time on he became interested in fish and shellfish, went fishing in the nearby sea, and seemed to have spent all the surrounding areas. As a result, in September of 1803, he was able to take manuscript of 󰡔Woohaerieobo󰡕. The third period is the time after take manuscript of 󰡔Woohaerieobo󰡕. At that time, Kim Ryo is estimated to have taken or traveled to nearby area. By 1805, it was believed that he had stayed in Nam am of Uilimsa(Temple)to get medical care due to his health deterioration. The works that were built at the time were scattered mainly in the temple hall(1818) and the temple entrance hall(1819). In the end, The exile living of Gim Ryo Changwon in Changwon can be traced to friendship with local residents, to distraction and excursion of specific places, and to the creation and writing of poetry. In this regard, this paper is that records related the Changwon exile life of Kim Ryo is not only an opportunity to trace an individual's life but also an important resources to understand the exile place of Changwon area in the Joseon late period.

      • KCI등재

        현존 김려·김선 형제 저작의 문헌학적 재검토

        김영진 ( Kim Young-jin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23 民族文化硏究 Vol.98 No.-

        본고는 조선후기 문학사에 뚜렷한 족적을 남겼던 金鑢·金䥧 형제의 저작 중 현존하는 필사본 이본들을 전면적으로 재검토하고 아울러 신자료를 소개하였다. 김려는 만년인 1818년에서 1821년 사이 자신의 시문과 지인 및 인척의 시문을 수합하여 『藫庭叢書』 34권 17책을 편찬하였다. 김려의 손자 김겸수는 이 총서 내의 김려의 시문만을 뽑고 또 육촌 김기수의 자료 협조를 얻어 보유를 첨부한 12권 6책의 목활자본 『藫庭遺藁』를 1882년에 간행하였다. 『담정총서』전질은 유일의 필사본이지만 『牛海異魚譜』및 김려의 傳은 轉寫本들이 현존하고 있다. 연세대에 소장된 『우해이어보』‘서여본’은 표제가 ‘玉曇書種’ 내제는 ‘담자외서’라고 되어 있고, 또 다른 『우해이어보』‘귀중본’은 표제가 ‘담정총서’, 내제는 역시 ‘담자외서’로 되어 있다. 이 ‘귀중본’에는 『우해이어보』 외에 김선·김선신·조면호 등의 시문이 필사되어 있는 바, 조면호가 김선의 제자였다는 점에서 조면호 또는 그 주변인이 필사한 책으로 보인다. 김려의 전 작품들은 『續齊諧志』(필사본 1책, 일본 천리도 서관), 『香半館藏書』(필사본 1책, 규장각) 등에도 실려있는 데, 일부 글자의 출입이 있다. 김려의 『思牖樂府』는 『담정총서』본과 성균관대 존경각 소장본에는 300수, 『담옹유고』에는 295수, 『담정유고』 목활자본에는 290수만 실려 있는 차이가 있다. 성균관대 소장 『담정유고』에는 「月巖權公行錄」 등 유배지 진해에서 지은 글 8편이 수록되어 있는데 이 8편 중 「慕先齋上樑文」과 「慕先齋記」만 목활자본 『담정유고』에 보인다. 김선의 경우 시문의 유실이 김려만큼이나 많은데, 필자는 그의 逸文으로 김선민의 『관연록』에 붙인 題後와 유배지인 초산에서 쓴 『초관만필』을 소개하였다. 김선의 경우 『담정총서』에 수록된 小集 이외의 글들이 전혀 발견되지 않아 蒐佚 작업이 더욱 절실하다고 하겠다. 향후 김려·김선 형제와 추사 김정희와의 교유의 정도, 영향관계가 고찰될 필요가 있다. 그 磁場 안에 李鈺, 金善臣, 金照, 趙冕鎬, 金綺秀 등 중요한 문인들이 포진해있는데, 이들은 19세기 문학사를 다채롭고 풍성하게 해줄 하나의 판이 될 것이다. This paper reviewed the existing manuscripts of the Kim-Ryeo and Kim-Seon brother who left a clear mark in the literary history of the late Joseon Dynasty and introduced new materials of them. Between 1818 and 1821, Kim-Ryeo compiled of 『Damjeongchongseo』 by collecting himself and his acquaintances and relatives’ poetry and literature. Kim Gyeom-soo, Kim-Ryeo’s grandson, selected only Kim Ryeo’s poetry in this book and published wooden movable type 『Damjeongyugo』 in 1882 with the cooperation of second cousin Kim Ki-su. The complete works of 『Damjeongchongseo』 is the only manuscript, but the transcripts of 『Woohaeiobo』 and Kim Ryeo’s biographies exist. A “valuable copy” of 『Woohaeiobo』 owned by Yonsei University include poems written by Kim-Seon, Kim Sun-shin, and Cho Myeon-ho. Considering Cho Myeon-ho was Kim-Seon’s student, I think Cho Myeon-ho or the people around him would have written this book. Kim-Ryeo’s works are also included in 『Sokjehaeji』and『Hyangbangwanjangseo』. Sungkyunkwan University’s 『Damjeongyugo』 contains 8 piece of works such as 「Wolamkwongonghaengrok」, 「Mosunjaesangrangmoon」, 「Mosunjaegi」 written in a place of exile Jinhae. Only 「Mosunjaesangrangmoon」 and 「Mosunjaegi」 are shown in the wooden movable type 『Damjeongyugo』. Also Kim-Seon’s inscription in Kim Sun-min’s 『Gwanyeonrok』 and 『Chogwanmanpil』 written in the exile site Chosan were excavated.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influenc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Kim -Ryeo and Kim-Seon brother and Chusa Kim Jeong-hee.

      • KCI등재

        담정 김려의 산문에 관한 일고찰 ― 제후와 간찰을 중심으로 ―

        정우봉 ( Chung Woo-bong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23 民族文化硏究 Vol.98 No.-

        이 논문에서는 담정 김려의 산문 가운데 그동안 제대로 조명받지 못했던 작품들―題後, 簡札, 記文―을 중심으로 김려 산문의 특징적 면모와 의식 지향을 살펴보았다. 김려가 『藫庭叢書』를 편찬하면서 남겼던 題後는 책에 대한 내용을 소개하는 데에 중점을 두기 보다 책을 통해 떠오르는 여러 斷想들을 자유로운 필치 속에 생동감 있는 언어로 서술하고 있어 한 편 한 편이 빼어난 작품으로 읽힌다. 김려는 짧은 편폭 속에서 대상 인물과 관련된 추억과 일화 등을 생생한 장면 묘사와 서정적인 필치 속에 담아내었으며, 이와 같은 점에서 김려의 叢書題後는 예술성을 갖춘 빼어난 小品文으로 평가될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해 사라진 것들, 이제는 소멸된 것들에 대한 애석한 감정, 작가와 저술의 불운한 운명에 대한 탄식을 토로하였고, 그러한 한탄의 이면에는 부당한 폭력과 횡포에 대한 비판과 인간의 무지, 무능에 대한 경고의 메시지가 담겨 있었다. 「翠蓮峯記」 또한 記文의 통상적인 격식에서 벗어나 대상 인물과의 만남과 헤어짐의 기본 흐름으로 삼아 은거의 삶을 추구하는 송치관의 남다른 모습을 부각시키는 한편 작가의 절친한 벗이었던 남성구의 죽음을 애도하였다. 한편 김려가 남긴 간찰들에서는 자전적 술회의 방식을 통해 자기 내면의 감정을 격정적으로 표출하기도 하고, 부당한 폭력과 횡포 및 그에 기생한 부류의 행태를 날카롭게 비판하기도 하였다. 이를 통해 부조리한 세상으로부터 훼손된 자아를 반성하고 질책하였다. 김려는 여기에 머물지 않고 유배지에서 만난 다양한 인물들과의 접촉과 교류를 통해 자신을 변모시키고 자아를 확장시켜 나갔다. 『사유악부』, 『우해이어보』 등을 통해 이 점을 확인해 볼 수 있으며, 『감담일기』 또한 그 같은 자아의 변화 과정을 잘 보여준다. Focusing on the works that were not properly illuminated among Kim Ryeo’s prose, the characteristic aspects and consciousness orientation of Ryeo Kim’s prose were examined. Rather than focusing on introducing the contents of the book, the epilogue that Kim Ryeo left while compiling the Damjeongchongseo describes various fragments that come to mind through the book in a lively language with free brush strokes, so each side is read as an outstanding prop. In particular, with meeting and parting with the target person as the central axis, the past and present were compared, and through this, the target person and related memories were recalled and feelings about life and death were deposited. In addition, through this, they expressed sorrowful feelings for things that have disappeared and now extinct, and lamentation over the unfortunate fate of writers and writings. It contained a warning message. In the letters left by Kim Ryeo, he passionately expressed his inner feelings through autobiographical recollections, and sharply criticized unfair violence and tyranny and the parasitic behavior of the kind. Through this, he reflected on and reprimanded the ego damaged by the absurd world. Kim Ryeo did not stay here, but transformed herself and expanded her ego through contact and exchange with various people she met in the place of exile. This point can be confirmed through Sayuakbu, Uhaeieobo, and Gamdam Diary also shows the process of such a change of ego well.

      • KCI등재후보

        김려(金?)의 < 우산잡곡(牛山雜曲) > 연구

        한정호 ( Han Jeong Ho ) 영주어문학회 2017 영주어문 Vol.35 No.-

        담정 김려(?庭 金?)는 1801년 신유사옥(辛酉邪獄)에 연루되어 경남 창원시진동면(옛 진해현)으로 유배를 와서 5년 8개월 동안 머물며, 유배살이 도중에 『우해이어보』 (1803년 9월)를 저술했다. 이는 우리나라 최초의 어보로 널리 알려져있다. 『우해이어보』에는 창원지역의 기이하고 신기한 어패류 72종을 표제로 삼아 형태, 습성, 맛 등을 비롯하여 이용법, 어획법, 유통과정, 효능 등을 언급하고 있다. 아울러 글의 말미에 한시 < 우산잡곡 >을 첨가하고 있다. 이에 글쓴이는 김려의 창원 유배생활과 『우해이어보』의 창작 배경에 대해 꼼꼼하게 짚어보고자 했다. 나아가 유배지 창원의 지역 정체성을 바탕으로 『우해이어보』 소재의 기속시(紀俗詩) < 우산잡곡 >의 특성을 따져보고자 했다. 김려는 과거의 `진해현`, 곧 창원시 마산합포구 진동면 · 진북면 · 진전면 일대(삼진지역)에서 유배살이를 했던 것이다. 그의 적소는 창원시 마산합포구 진동면 율치리에 있는 소금 굽는 사람이었던 이일대(李日大)의 집에 세 들어 살았는데, 그곳에 머물면서 『사유악부』 (1801년 12월)를 지었다. 당시 그는 풍토병에 걸려 고생도 많았지만, 1803년 9월 『우해이어보』를 탈고했다. `우해(牛海)`라는 지명은 지금의 창원 진동만을 일컫는다. 아무튼 김려는 창원에서의 유배 체험을 시적 감수성으로 표현하고 싶었을 것이다. 그는 『우해이어보』 속에 39수의 한시를 남기고 있다. 『우해이어보』가 유배지 창원에서 풍류를 겸한 관찰이었던 만큼, < 우산잡곡 >은 19세기 초반 창원시 진동면 어촌의 생활상을 진솔하게 표현하고 있다. 이를테면 시적 특성은 어촌 풍광의 형상, 어로 현장의 묘사, 어민 생활의 노래 등으로 드러나고 있다. 이렇듯 < 우산잡곡 >은 김려가 유배지 창원에서의 체험을 형상화한 뛰어난 시적산물인 것이다. 특히 한 지역의 특이한 어류들을 집중적으로 조명하여 시의 소재로 삼은 것은 이전에는 없었던 특이한 일이다. 이러한 시도를 통하여 그는 조선시대 후기의 한시 전통을 풍요롭게 장식하고 있는 것이다. 나아가 김려의 탁월한 시인적 감수성은 구체현실에 대한 인식과 새로운 가치관의 모색으로 이어지고 있다고 하겠다. Kim Ryo was involved in the `Shinyusaohk` in February 1801 and moved to Gyeongnam Changwon city Jindong, to stay for 5 years and 8 months. Day). he wrote Woohaerieobo(September 29, 1803) in the middle of the exile. It is widely known as the first fish history in Korea. Woohaerieobo are referred to usage, fishing methods, distribution process and efficacy as well as form, habit, and taste, on heading 72 kinds of marvelous and mysterious seafood in Changwon area, and added a poem < Woosan-Jabgok > at the end of the article, So, the writer wanted to delve into the background of Woohaerieobo and exile life of Kim Ryo in Changwon. Furthermore, I tried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 Woosan-Jabgok >, the recording folk poetry, materialing ofWoohaerieobo based on the local identity of exile Changwon. Discuss the lesson as a finish. Kim Ryo has been in exile for 5 years and 8 months in the past `Jinhae Country` in district of Jindong Jinbuk and Jinjeon area Masan Happo Changwon City. His proper position lived in the house of Lee ill dae, a salt-baker in Yultiri, Jindong, Masan Happogu Changwon city, where he lived and made `private vice`(1801. 12). At that time, he suffered from endemic diseases and suffered a lot, but made Woohaerieobo in September of 1803. The name `Woohae` refers to today`s jindong bay of Masan Happo Changwon city. Anyway, Kim Ryo seemed to express the experience of exile in Changwon with poetic sensibility. He is still in possession of 39 numbers of recording folk poetry, in Woohaerieobo. As Woohaerieobo was an observation in exile Changwon. Recording folk poetry, the < Woosan-Jabgok > was expressed the lifestyle of Changwon Jindong fishing village in the early days of the 19th century. For example, poetic characteristics are expressed by the visualization of the fishing village scenery, portrayal of fishery scene and songs of fishermen`s life. As such, < Woosan-Jabgok > is a remarkable poetic product that symbolizes the experience of Kim Ryo in exile Changwon. Especially, it is a unique thing that has not been used before as a source of poetry by focusing on specific fish in one area. Through these attempts, he is enriching the history of korean poem in the late Joseon Dynasty. Furthermore, the excellent poetic sensitivity of Kim Ryo leads to the recognition of the concrete reality and the search for new values.

      • KCI등재

        김려(金鑢)의 창원 유배지도 - 『우해이어보』에 들앉은 유배지 창원의 장소성 고찰

        한정호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원 2024 탐라문화 Vol.- No.76

        이 연구는 조선시대 후기의 문인이었던 김려의 창원 유배지도를 그려보는 데 목표를 두었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김려의 창원 유배살이를 심도 있게 고찰하여적소 체험과 저술 속에 나타난 창원지역의 장소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를 정리해 보자면, 김려는 창원에서 유배살이를 하면서 3곳의 적소에서 지냈다. 그의 첫번째 적소는 1801년 4월 창원에 유배 왔을 때의 창원시 마산합포구 진전면 율티리였다. 그곳에서 6개월 남짓 머물다가 그는 1801년 10월 무렵 두 번째 적소인 창원시 마산합포구 진동면 진동리로 옮겨 생활하게 되었다. 그곳에서 풍토병을 치료하며 3개월 가량 지내다가 그는 1802년 3월 무렵에 본래의 적소였던 진전면 율티리로 옮겨 생활했다. 하지만 그는 병세의 악화로 인해 1805년 3월 무렵 세번째 적소인 창원시 마산합포구 진북면 인곡리의 의림사에 머물며 건강을 보살폈다. 그런 다음 그는 그곳에서 5개월 남짓 지내다가 본디 적소인 진전면 율티리로 옮겨 생활했다. 아울러 본 연구자는『우해이어보』속에 나타난 특정 지명과 구체 공간의 장소감에 대해 꼼꼼하게 따져보았다. 이를테면 그는『우해이어보』 본문에서 ‘진해’라는 행정명을 여러 번에 걸쳐 언급하고 있지만, 여기서 일컫는 우해와 우산은 당시‘진해현’의 다른 이름으로 언급했다고 하겠다. 그런 점에서 그는 지금의 창원시 마산합포구 삼진(三鎭)지역을 중심으로 창원지역의 장소성에 의미부여하고 있었다. 특히 그가『우해이어보』 속에서 언급하고 있는 구체 장소로는 고저암, 청송 염전, 양도, 주도, 실음포, 연미정, 역참, 목면호, 시장, 남문 화류거리, 포구, 그밖의 모래밭, 갯벌, 계곡 등이었다. 이같은 장소들은 김려의 직⋅간접 체험과 당시 창원의 지역성 내지 문화현상을 보여주는 실마리를 제공했다. 이 글을 통해 김려의 창원 유배살이 행보, 나아가 조선후기 창원의 지역성과 문화현상을 이해하고자 했다. 앞으로 창원지역에서는 김려의『우해이어보』와 유배 체험을 보다 실질적인 차원에서 지역문화 콘텐츠로 활성화시켜야 한다. 그리하여 창원지역을 최초의 ‘어보(魚譜)’ 발상지 또는 해양문화의 메카로써 문화 정체성을 확립시켜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raw the Changwon exile map of Kim Ryo who was a literary man in the late Joseon Dynasty.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er examined the Changwon exile living of Kim Ryo in depth and examined the placeness of Changwon area in the niche experience and writings. To sum up, Kim Ryo lived in three places while exiling in Changwon. The first place when he came to Changwon in April 1801 was Yultiri, Jinjeon-myeon, Masanhappo-gu, Changwon-si. After staying there for about six months, he moved to Jindongri, Jindongri-myeon, the second place in October 1801, After three months of treating endemic diseases there, he moved to Yultiri, Jinjeon-myeon, which was the original place in March 1802. However, due to his worsening condition, he stayed at Uirimsa Temple in Ingok-ri, Jinbuk-myeon, the third right place, around March 1805, and took care of his health. Then he spent about five months there before moving to Yulti-ri, Jinjeon-myeon, the right place. In addition, the researcher meticulously examined the specific place name and the sense of place of the concrete space in 『Woohaerieobo』. For example, he refers to the administrative name 『Woohaerieobo』 several times in the 『Woohaerieobo』 text, but Woohae and Woosan referred to it as a different name at that time. In this regard, he was giving meaning to the placeness of Changwon area centering on the Samjin area, Changwon city. In particular, the specific places he mentions in 『Woohaerieobo』 include the major place names of the time, which provided the direct and indirect experience of Kim Ryo and the reason for showing the locality or cultural phenomenon of Changwon at that time. Through this article, I tried to understand Kim Ryo’s exile living in Changwon and the locality and cultural phenomenon of Changwon in the late Joseon Dynasty. In the future, in Changwon area, Kim Ryo’s 『Woohaerieobo』 and exile experience should be activated as regional cultural contents in a more practical level.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the cultural identity of Changwon as the birthplace of the first ‘fish dictionary’ or the mecca of marine cul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