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전소설의 문화콘텐츠화를 위한 수업방안 연구

        정선희 한국고전연구학회 2017 한국고전연구 Vol.0 No.37

        본고에서는 고전소설의 현대적인 의의와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고전소설을 원천 소재로 하여 현대문학이나 문화 예술 분야의 작품을 창작하거나 기획하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특히 대학에서의 실제 수업의 사례를 구체적으로 살펴봄으로써 학계와 문화계에 반향을 불러일으키기를 기대한다. 수업시간에는 먼저 고전소설을 활용한 기존의 문화콘텐츠들을 분석하여 그 장단점을 알아보았고, 문화콘텐츠 매체별 특성과 흥행 요인, 기획 시 유의할 사항 등에 대해 논하였다. 이후에는 자신이 소재로 활용할 고전소설 작품을 깊이 있게 읽고 숙고한 뒤 이를 어떤 방식으로 재창작할 것인지에 대해 간략하게 발표하도록 함으로써 새 작품의 문제의식과 주제, 분위기 등에 대한 얼개를 잡도록 하였다. 한학기 수업의 후반부에는 기획서를 발표하게 함으로써 작품의 스토리라인, 캐릭터, 영상 또는 연출 기법, 제작 방식, 연계 상품 등을 제안하게 하였다. 영화, 드라마, 게임, 뮤지컬, 웹툰, 전시회, 방 탈출 카페 등 다양한 매체로의 기획 가능성을 보여주었는데, <운영전>과 <만복사저포기>는 영화로, <박씨전>은 드라마로, <김현감호>는 영화와 드라마로 재창작하려 하였다. 특히 과거와 현재를 어떻게 접목할 것인지, 시간여행의 방법을 무엇으로 할지, 배경과 영상을 어떻게 살릴 것인지 등에 대해 고민하였다. <홍길동전>과 <오유란전>은 뮤지컬로 기획하였는데, 최근의 사회 문제들을 예리하게 담으면서도 독창과 합창, 춤을 적절히 배치함으로써 흥겨움을 살리고자 하였다. <호질>, <장화홍련전>을 변용하여 게임의 시나리오를 만들기도 하였는데 게임의 특성상 기획서만으로는 실행 여부를 판단하기 어려운 면이 있었다. 색다른 기획은 <숙영낭자전>을 소재로 하여 회화 전시회를 하겠다는 것과, <강도몽유록>을 소재로 방 탈출 카페를 만들어보겠다는 것이었다. 화가들에게 소설의 중요 장면을 설명하여 그림으로 그리게 한 뒤 전시 회를 열고 소설 설명자와 화가, 관객과의 대화의 장을 마련하면 효과적일 듯하였 다. <강도몽유록>은 십여 명의 여인들이 자신들이 전쟁으로 인해 억울하게 죽은 사연을 이야기하는 소설이므로 방마다 다른 이야기와 비밀들을 숨겨 놓아야 하는 탈출 카페의 시나리오에 적절하였다. 본고는 고전문학이 현재뿐만 아니라 미래에도 지속적으로 읽힐 문학으로 살아 남기 위해 고전문학 전공자이자 인문학자들이 어떤 노력을 해야 할지를 고민하는 가운데 시도한 대학교육방안에 대한 중간보고이다. 고전소설을 소재로 하여 현대의 문화콘텐츠를 기획하고 창작하는 일이 다소 생소하고 어려운 면이 있어 시행착 오를 겪기는 했지만 고전문학의 매력과 잠재성을 전파하고 확산할 수 있는 적절한 방안이라 여겨졌다. 다만 고전소설의 재해석과 정체성 문제에 있어 기획자가 소신과 주제의식을 지니고 있어야 하며, 현대인의 감성을 읽어낼 힘을 지니고 있어야 제대로 된 작품을 만들어낼 수 있을 것이다. 또 이런 기획 과정을 대학에서 교육할 때에는 발표와 토의, 조원의 공동작업을 강화하고, 플립트 러닝(Flipped learning) 과 액션 러닝(Action learning) 등 적절한 수업 방법을 활용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1920~30년대 ‘릴레이 소설’의 존재방식과 그 의미에 대한 연구

        박정희(Park, Jung-Hee) 한국현대문학회 2017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51

        이 글은 한국 근대문학사에서 본격적으로 논의된 바 없는 ‘릴레이 소설’을 조사-발굴하여 그 존재방식과 의미에 대해 살펴보았다. ‘릴레이 소설’은 1920~30년대에 집중적으로 기획되어 현재까지 34편 가량의 작품이 생산되었다. 일반적인 소설과 다르게 ‘릴레이 소설’은 저널리즘의 기획의도-참여집필자-독자라는 관계 속에서 탄생한 것이다. 이 글에서는 저널리즘의 기획의도와 거기에 참여한 집필 작가의 태도 그리고 독자-비평가들의 반응 등을 분석하여, 저널리즘 기획 문예물이라는 관점에서 고찰했다. 릴레이 소설은 독자들의 호기심을 자극하는 다양한 전략을 통해 독자확보에 주력하고자 했다. 독자확보 전략은 ‘명성’을 이용하여 참여집필진을 구성하거나 일반독자를 참여시키는 방법을 구사했다. 그리고 스틸사진의 삽입 및 다선형 서사 전개를 보여주기 위한 지면(紙面) 편집 등의 새로운 연재형식의 시도, 해당 연재분 집필 작가 이름 맞추기 등의 독자 이벤트를 실시하기도 했다. 그러나 이러한 독자확보의 다양한 전략에도 불구하고 릴레이 소설은 문학사에서 사라졌다. 릴레이 소설의 기획에서 저널리즘-독자-참여 작가는 ‘집필의 자유’라는 조건을 공유하고 있었다. 이 조건은 작가들에게 집필참여의 이유가 되었으며 독자들에게는 적극적인 독서의 동기로 작용했다. 그러나 참여 작가들에게 ‘집필의 자유’는 오히려 분량과 시간 등의 물리적 제한과 앞에 놓인 다른 작가의 작품에 인과성을 부여하는 글쓰기라는 상황이 ‘구속’으로 작용했을 것이다. 당대 비평가와 독자들은 릴레이 소설의 ‘통일성’의 부재를 비판했으며 참여 작가들의 ‘사전협의’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그러나 저널리즘은 오히려 참여 작가들의 ‘사전협의’를 하지 않은 점을 ‘집필의 자유’와 함께 적극적으로 홍보했다. 이처럼 릴레이 소설은 ‘집필의 자유’를 둘러싸고 불협했으며 다시 기획되지 않았다. 릴레이 소설의 존재는 여러 명의 작가가 함께 참여하여 이어 쓰는 소설쓰기의 불가능함을 보여주는 것일까? 근대소설사에서 릴레이 소설이라는 ‘또 다른 타자’는 작가(개인)가 창작한 고유한 작품이라는 근대소설의 확고한 개념에 대해 ‘질문’하는 존재가 될 수 있을 것이다. ‘근대소설이란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다른 답을 제시할 가능성을 담고 있는 대상이라 할 것이다. This study looks at the existing method and its meaning of ‘relay novel’, which hasn’t been discussed in earnest in History of Korean modern literature. ‘Relay novel’ is subsequent writing by a number of participating writers in order, just like a relay, without any prior consultation by a plan of journalism. It was directed intensively during 1920-30 and there have been about 16 pieces produced until present. Unlike general novel, ‘Relay novel’ was created by a relationship between intention of planning, participating writers and readers. This paper analyzes the intention of planning, the attitude of participating writers, the reactions of readers and critics, etc., to consider the existing method and its meaning of relay novel from a vantage point as a literary project work of journalism. Relay novel tried to concentrate on gaining readers by various strategies that stimulate readers’ curiosity. The strategy for gaining readers made use of a way to constitute participating writing staff or to make readers participate as using ‘fame’. They also tried new publishing ways such as insulting still pictures and paper editing in order to show multilinear narration development, and even conducted some events for readers such as the name game of participating writers from the relevant part of the piece. In the planning of relay novel, Journalism-Reader-Participating writer was sharing a condition called ‘freedom of writing’. This condition became the reason for participation in the writers, and for active reading in the readers. However instead, the ‘freedom of writing’ might have acted as a ‘restriction’ with physical limits such as the amount and time, and also as becoming the writing situation where prior writers give causality. The critics and readers of the day criticized the absence of ‘literary unity’ of relay novel and the participating writers stressed out the necessity of ‘prior consultation’. However, Journalism rather advertised the fact that participating writers didn’t have the ‘prior consultation’, as well as the ‘freedom of writing’. Relay novel was in disharmony around the ‘freedom of writing’ like this and never was planned again. Is the existence of relay novel showing the impossibility of subsequent writing with a number of writers participating together? In modern novel history, this ‘another hitter’ called relay novel could be the one that ‘questions’ about the firm concept of modern novel, which is an intrinsic piece created by an author (an individual). It has a possibility of giving a different answer to the question about ‘what is a modern novel’.

      • KCI등재

        언문소설의 문화적 위치와 문자적 근대의 역설-근대초기 "춘향전"의 매체 변이와 표기문자,독자층의 상호관련성-

        최기숙 ( Keysook Choe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3 民族文化硏究 Vol.60 No.-

        (고)소설은 전근대로부터 근대초기까지 언문표기의 대표적 대중 장르로서의 문 화적 지위를 형성하고 있었다. (고)소설은 언문표기의 형태로 상층과 하층의 일상 과생애사 전체를 아우르는 문예양식을 포섭했으며, (고)소설 수용자들은 소설 향 유를 통해 언문의 포용성과 소설 양식의 복합성·다성성을 이해함으로써, 상층과 하층의 전체를 아우르는 문화적 역량을 갖춘 문화 주체로서의 지위를 형성해 왔다. 그러나 근대초기에 지식인이 근대적 인쇄매체로 춘향전을 개작하는 과정에서 언문고소설은 언한문체로 변용되어 대중에게 소개되었다. 이해조와 최남선은 소 설과 언문향유층의 문화적 역량을 도외시하거나 과소평가하면서, 이를 근대적 ‘지식’으로 위치 변경하는 방식으로 근대적 인쇄매체를 통해 개작했지만, 대중의 기 호는 여전히 언문소설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었다. 근대계몽을 주도한 지식인들은 계몽의 주체로 지식인만을 상정했으며, 언문을 사용했던 대중들은 계몽의 주체가 아닌 대상으로만 고려했다. 이는 근대 계몽을 주도한 지식인의 모순이며, 이로 인해 문자적 근대의 역설이 발생했다. 단행본 출판시장에서는 언문으로 쓰인 고소설과 언문중심체 고소설이 강세를 이루었다. 언문 대중은 여전히 언문의 잠재적 역량과 언문소설의 풍부한 문화적 포용 성을 암묵적으로 인정하면서, 이에 대한 선호와 취향을 유지했기 때문이다. 근대 초기 고소설을 둘러싼 표기문자의 전환과 언문중심성으로의 회귀는 바로 지식인 중심의 근대 기획이 가져온 문화적 착종이자 계몽 기획의 역설을 보여주고 있다. The (old) novel written in eonmun had been formed a cultural position as a representative public genre from the 19th century to early modern period. It had been embraced diverse literary genres of upper and low classes, and the readers had been enjoyed both level of classes by reading eonmun-novel which had realized cultural competence like complexity and polyphony. In the viewpoint of cultural position, the readers of the novel were regarded as sub-cultural subjects, not as a main stream. The perspective toward them was consistently negative. However, paradoxically an activated publishing situation in the late Joseon period and severe criticism from the literati on the novel had been proved its general popularity. Lots of implied literary genres in novel weren`t cited the original version written in hanmun nor their literal translated version in eonmun. They were totally changed and inserted in eonmun-novel. In short, the implied genres in the novel were invented as forms of novel style. This meant that a genre of novel had cultural/literary competence which represented the contemporary daily life and biographical story with eonmun as a script. At the same time, it meant the public could experience the cultural things of high society and low class embracively by reading eonmun-novel. On the other hands, we can see that there was working some specific cultural recognition in the fictional genre; it was impossible to discern what was the high culture and vulgar one. This paper explained the cultural/literary meaning of the context of the hybrid script systems (eon-hanmun, eonmun-centric system with attaching hanmun supportively) with the concept of ‘paradox of modernization’ based on the essential cultural competence of eonmun-novel and the great support and sympathy from the public.

      • 단편소설 수업의 세 가지 모형

        김병섭 국어교과교육학회 2011 국어교과교육연구 Vol.19 No.-

        소설은 재밌다.소설은 독자가 자기 삶의 인물과 상황을 성찰하며 상상하게 하기 때문이다. 그 성찰과 상상 속을 거닐다 보면 독자들에게 소통의 힘이 자란다. 성찰과 상상이란 스스로 묻고 답하는 시간, 곧 자신과의 '소통'이기 때문이다. 이 소설의 재미를 고등학교 학생들과 나누는 수업 기획이 내게 필요했다. 그래서 나는 교사가 소설의 기본내용과 배경지식을 정리하여 보여주고, 학생들이 직접 작품을 비판하고 상상하면서 자신의 이야기로 소화하는 과정 나는 이러한 기준에 의해 선정한 단편소설을 활용하여 세 가지 모형의 수업-<선택>, <질문>, <상상>을 기획하였다. 이것은 중학교 학생들과 함께했던 옛이야기 수업을 바탕으로 한 것이다. 옛이야기란 우리에게 익숙하고 평범하고 당연한 '이야기'이다. 단편 소설은 낯설고 복잡하며 정교한 '이야기'이다. 둘은 다르지만, 결국 '이야기'이다. 학생들이 이야기를 체험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수업이라면 나는 옛이야기 수업을 진행한 방식이 단편소설수업에도 적용될 수 있다고 생각했다. 그래서 옛이야기 수업 방식을 수업시간에 진행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먼저 중요한 것은 소설을 고르는 것이다.그것은 학생들이 함께 읽을 만큼 적절한 분량이면서도 학생들의 삶에 가까이 있으며 학생들이 호기심을 느낄 만한 요소를 가지고 있고,교사의 안내가 있다면 더 풍요롭게 읽을 수 있는 작품을 고르는 일이다.이것이 내가 여러 소설들 가운데 단편소설을 고른 이유이다. 을 단편소설 수업에도 적용하였고 학생들과 교사 모두에게 재미있으며 의미 있는 결과를 얻었다.그 경험을 바탕으로 세 가지 수업 모형-<선택>, <질문>,<상상>에 따라 사례를 정리하였다. 나는 이 모형과 사례들이 교사들의 단편소설 수업 기획에 영감을 주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미완성작 『세월』, 『난장판』을 통해 본 김정한의 대중소설 기획

        김성환(Kim, Sung-Hwan)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7 한국민족문화 Vol.65 No.-

        이 글은 김정한의 미완성 소설 『세월』과 『난장판』의 텍스트 분석을 목표로 한다. 현재 남아 있는 원고는 장편소설로 기획된 작품의 일부로, 『난장판』은 『세월』의 개작으로 보이며, 집필시기는 1960년대 후반 문단복귀 이후로 추정된다. 이 작품은 1950년대 초 피난지 부산을 배경으로 혼란스러운 당시의 일상을 세밀하게 묘사하고 있다. 작가 메모를 통해서 등장인물의 성격을 확인할 수 있는데, 세 남녀의 애정관계 외에도 권총강도, 밀수꾼, 기자, 검사, 시의원 등이 등장하는 큰 분량의 대중소설을 기획했음을 알 수 있다. 단편소설이 대부분인 김정한의 작품 목록에서 장편소설의 기획은 매우 드문 사례이다. 그리고 이 작품은 한국전쟁기의 부정적 현실을 비판적으로 인식하기 위해 불륜과 비리, 범죄 등의 대중적 소재를 통속적으로 묘사했다는 점도 눈에 띈다. 이 작품에서 일본 유학 체험이 비중 있게 서술되고 있다는 점도 흥미롭다. 주인공은 식민지 시기의 체험을 낭만적으로 회상함으로써 전쟁기의 부정적 현실을 비판한다. 즉 유학생 시절 연애의 낭만성은 전쟁기에도 이어져 현실 비판의 근거가 된다. 연애경험과는 달리 예과 문학부의 낭만성은 전쟁을 겪으면서 단절된다. 대신 1960년대 김정한의 문학론이 전쟁기에 투영되어 비판의 근거로 작용한다고 볼 수 있다. 유학생 시절의 문학론은 불분명하게 서술된 반면, 1950년대의 문학론은 1960년대 김정한의 문학론과 매우 유사하기 때문이다. 결국 전쟁기 부산의 부정적인 현실은 식민지 유학생의 낭만성과 김정한의 문학적 신념이라는 두 준거지점에서 비판받은 것이다. 이러한 주제의식과 더불어 이 작품은 대중소설의 기획을 분명히 드러냈다. 두 판본의 비교를 통해 대중성에 부합하는 어휘나 서술 방식은 작가의 의도가 반영된 선택임을 알 수 있는데, 이 또한 김정한의 기획이 대중지향적이었음을 말해준다. 미완의 원고이긴 하지만 이 작품을 통해 김정한의 또 다른 문학적 지향을 추정할 수 있다. The paper aims at analyzing the text of Time(『세월』) and A Chaos(『난장판』), Kim Jeong-han"s unfinished posthumous works. This work is part of a work designed as a popular novel, and it is presumed that A Chaos is a modification of Time. And the writing time of this work is estimated since the late 1960s. This work delineates and criticizes the confusing daily life in the early 1950s, with the background of Busan as a place of refuge.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personality of the character through the author"s notes. In addition to the affection of the a man and two women, pistol robbers, smugglers, reporters, prosecutors, and city councilors etc., suggest that this work has designed a large-scale mass novel. In the list of Kim Jeong-han"s works, which are mostly short stories, the planning of novels is very rare. It is also noticeable that in the background of Busan in the 1950s, it portrayed popular material such as affair, deviance and crime. This work focuses on critically recognizing the reality of Busan in the 1950s. Adultery and crime were symbols of Busan"s negativity at the time. What is interesting, however, is that the experience of studying in Japan is described in this work. The main character criticizes the negative reality of Busan by recalling the experience of the colonial period romantically. In other words, the romanticism of affair during the period of foreign students leads to the war period, which is the basis of reflection and criticism of the negative reality. Unlike the romantic experience, the romanticism of the department of literature is cut off during the war. Instead, Kim Jeong-han"s a critical literary attitude of the 1960s is projected in the war and serves as a basis for criticism. The negative reality of Busan"s war was criticized at two points of reference: the romanticism of the colonial foreign students and the literary attitude of Kim Jeong-han. Along with this theme consciousness, this work clearly revealed the planning of popular novels. The comparison of the two editions reveals that the choice of the vocabulary and the narrative method that correspond to the popularity reflects the intention of the author, which also indicates that Kim Jeong-han"s plan was popular-oriented. Although it is an incomplete manuscript, this work can be used to estimate another literary direction of Kim Jeong-han.

      • KCI등재

        식민지 후반기 조선문학의 재생산과 전승의 기획 ―인문사(人文社)의 출판 기획 연구 2―

        서승희 우리문학회 2019 우리文學硏究 Vol.0 No.62

        This study focuses on examining the planning of reproduction and transmission of Joseon literature in the second half of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based on the publication planning of Inmunsa(人文社). First, the study took a general view of the establishment process and publications of Inmunsa and then analyzed the reproduction issues of creation and critique, based on the prize contest system of “Inmunpyeongnon(人文評論).” Inmunsa collected biographical novels and production novels to break the crisis of novels. This created a meaning, which was connected to, but did not correspond to, the concepts of bestsellers of the Tokyo literary world and the national policy on literature. In addition, Inmunsa strived to put emphasis on the existence of Joseon literature/literary circles, which did not belong to Japan, by publishing its own independent yearbooks. This had a political implication, since this was premised on the description and the transmission of Joseon’s (own) literary history. This planning was a product of an aggressive search surrounding the culture and humanities of Joseon during the transition period. 본 연구에서는 식민지 후반기 인문사(人文社)에서 전개된 조선문학 재생산과 전승의 기획을 살펴보았다. 첫째, 인문사는 전작장편소설 총서 기획의 확산을 위해 『인문평론』 창간 1주년 기념 현상 모집을 실시했다. 모집 분야는 장편소설과 평론이었다. 장편소설의 경우 전기소설과 생산소설 창작을 권장한다는 단서가 붙었는데, 그 배경에는 전기물의 선풍적 인기과 국책문학의 대두가 자리잡고 있었다. 그러나 인문사는 원래의 맥락을 변용하여 두 소설 형식을 조선 장편소설 개조의 방법론으로 활용하고자 했다. 실제로 당선작인 윤세중의 생산소설 『백무선』은 제국의 국책과 일치하지 않는 식민지적 생산소설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둘째, 인문사는 『조선작품연감』과 부록 『조선문예연감』 출판을 통해 문단 기록의 보존과 전승을 시도했다. 작품연감은 한 해 동안의 주요 경향을 드러내는 작품을 선별해 구성했고, 문예연감은 개관, 출판 관련 정보 및 법규를 수록한 문단 조감도로 기능했다. 이는 일본 국가에 귀속되지 않는 조선 문학/문단의 존재성을 드러내는 계기가 되었으며, 조선의 문학 전통 계승에 대한 의지를 드러냈다는 점에서 문화정치적 의미를 지녔다.

      • KCI등재

        공안협의소설과 문화콘텐츠— 포청천 캐릭터 콘텐츠 기획을 위한 프로젝트 기반 수업모델을 중심으로

        박명진 한국중국소설학회 2021 中國小說論叢 Vol.64 No.-

        Culture contents in the 21st century are attracting attention in areas of convergence that can be combined with humanities. Gong’an novels and Gong’anxiayi novels went beyond literary works to form a character called ‘Baoqingtian’ in the field of the cultural industry. The most prominent literary feature of the novel is the creation of a typical Baoqingtian figure symbolized by the character of impartial and incorruptible(鐵面無私). Baogong has a formula of ‘historical person-fiction character-character content’. The narrative of the novel deals with the story of Gong’an and the story of the Baogong-chivalrous Swordsman. In the case of existing cultural contents related to Baozheng, notable cultural contents appeared in dramas and tourism and cultural contents. As a project class model for planning Gong’anxiayi novels, especially Baoqingtian character-based cultural contents, we presented a class model that combines theory and project classes. Theory classes aim to acquire major knowledge, and project-based classes aim to improve learners creative and problem-solving skills and participatory cooperation skills, discover cultural archetypes related to Gong’anxiayi novels and plan cultural contents. 21세기 문화콘텐츠(Culture Contents) 산업은 인문학의 우수성을 흡수하려는 시도를 계속하고 있다. 중국고전소설 중 공안협의소설은 문학작품을 넘어 문화산업의 영역에서 ‘판관 포청천’이라는 독특한 캐릭터를 제공하고 있다. 포공을 서사의 중심인물로 다루고 있는 포공소설에서 가장 두드러진 문학적 특징은 바로 鐵面無私의 성격으로 상징되는 전형적인 청관 인물형상의 창조일 것이다. 포공의 캐릭터는 ‘역사 인물―소설 주인공―캐릭터 콘텐츠’라는 형성과정을 거쳐 만들어졌다. 소설의 서사에 있어 ‘공안 이야기’와 ‘포공―협객 이야기’는 포청천 캐릭터 콘텐츠를 위한 스토리텔링의 핵심 내용이다. 포청천 관련 기존 문화콘텐츠 사례에서는 드라마와 관광문화콘텐츠에서 주목할 만한 문화콘텐츠들이 등장하였다. 또, 대학의 중국고전소설 수업에서는 포청천 캐릭터 콘텐츠 기획을 위해 이론 수업과 프로젝트 수업을 병행하는 이론―프로젝트 혼합형 수업모델을 제시하였다. 이론 수업은 전공지식의 습득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프로젝트 기반 수업은 학습자의 창의적 역량과 문제해결 능력 향상 및 참여협동 능력 향상에 목표로 두고, 공안협의소설 관련 문화원형을 발굴하고 캐릭터 콘텐츠를 기획하도록 설계하였다.

      • KCI등재

        인문사(人文社)의 출판 기획 연구-단행본 출판과 총서 기획을 중심으로-

        서승희 ( Seo Seunghui )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2018 한국문화연구 Vol.35 No.-

        본고는 인문사(人文社)의 출판 기획을 중심으로 식민지 후반기 출판 문화 장과 문학 담론의 관계를 분석했다. 우선 인문사 사장 최재서의 출판 관련 글쓰기를 중심으로 1930년대 중반 이후 문학 시장의 현황을 개관한 후, 인문사의 운영 방식과 출간물의 성격을 정리했다. 인문사의 출간물은 조선의 언어, 역사, 문학 관련 서적, 서구문학 번역서, 월간 비평지 『인문평론』, 『조선문예연감』 및 『조선작품연감』 등을 망라하는 다양성을 지녔다. 이와 같은 출판기획의 근본적 목표는 당대 문학의 쇄신을 통해 창작과 비평을 활성화하고 대중 교양을 앙양하는 데 있었다. 전작장편소설총서와 세계명작소설총서는 이와 같은 목표가 빚어낸 핵심 결과물이다. ‘전작’이라는 형식을 통해 소설 출판의 관행을 바꾸고, 고전이 아닌 동시대의 명작을 번역해 독자층의 저변을 넓히고자 했던 인문사의 기획은 이른바 전환기라는 맥락 속에서 문학을 중심으로 구성된 인문 교양의 가능성과 임계점을 동시에 드러냈다. 이와 같은 논의는 인문사의 출판 기획을 실증적으로 재구했다는 점, 식민지 후반기 문학 생산의 토대와 내용을 구체적으로 짚었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Inmunsa(人文社) is a publishing company, which contributed to the formation of literary and cultural discourses during the colonial Joseon from the late 1930s to the early 1940s. Inmunsa’s publications diversely covered Joseon language, history, culture and literature-related books, as well as monthly reviews 『In-Mun-Ppyung-Non』, 『Jo-Seon-Mun-Ye-Yeon-Gam(Joseon Cultural and Artistic Yearbook)』, and Jo-Seon-Jak-Pum-Yeon-Gam(Yearbook of Joseon Works)』. This study firstly made a general survey of the status of the literary marketplace during the late colonial era, focusing on the publication-related writing of Choi, Jae-seo, a president of Inmunsa. Next, this paper examined the management system of Inmunsa and classified volumes published by Inmunsa into two criteria: practicality and literary value. This study also analyzed the meaning and status of the entire long-length novel series and the world’s great novel series that were the key planning projects of Inmunsa. Though its publications, Inmunsa attempted to study the orientation of reality in the transition period by remodeling novels, as well as to spread of culture by translating great novels. On the other hand, it revealed the possibility and the limitation of liberal arts in the late colonial era, at the same time. In conclusion, this discussion has significance by empirically reconstructing the publishments of Inmunsa and looking into the foundation and the environment of literary production during the colonial age, in detail.

      • KCI등재

        이미지 소통과 소설: 김탁환 賣說之論

        고영진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15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69 No.-

        Korean literature market is currently problematic in that there is absence of an agent to solve the problems of distribution system, a passive attitude to overcome all these crises just relying on readers and no fundamental solution in the long run definitely as well as comparative inferiority to foreign novels translated in Korean and published in Korea but for universalization of humanities, media sellers and the strength of foreign literature. The underlying core of the matter should be found in the natural strength in the field of literature that is not capable of producing new novels beloved by readers constantly, however, it must not be overlooked that the supporting role of publishing industry sharing its own ecosystem with the field of literature is also insufficient. Considering that distribution of novels is linked to the important aspect of communication,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the most effective imagery narrative in expanding the scope of a novel and the most appropriate for released together through the published materials. It comes in three different forms largely when we examine Kim Tak-hwan’s work, the novelist who aggressively realizes and experiments images as the outcome of active imagery and sensualization, revealed in the space of a book or on the published materials. Most of all, through the imagery narrative using the illustrations and photographs in parallel with a story, he reorganized the communication situation in a new dimension going beyond the traditional method of awareness on narrative communication, that is, the existent text communication situation where there only existed the producer(novelist) and the consumer(reader). Second, he realizes the stereotyped character that can be suggested as an archetype through novel series. And third, he is conducting Movel’s narration featuring cross-content that provides the original story for different media such as video clips, different media independently. With such work he shows the possibility of Soseoljiron(the discussion on writing novels) as a method that does not lead him to self-contempt on account of desperation of a novelist who must keep writing novels that cannot change the world and Maeseoljiron(the discussion on selling novels) of multiple mediating capability and sense of balance by not rejecting the position of a promotor tuning up narration or a novelist with a designer’s characteristics. 우리 문학 시장은 현재, 인문학 서적의 보편화와 미디어셀러 그리고 해외문학의 강세 외에도 유통구조의 문제에 대한 해결주체의 부재 등의 문제를 가지고 있다. 소설의 유통이 소통의 주요한 측면과 연결된다는 점을 고려하면 지면을 통해 함께 공개되기 가장 적절하고 소설의 외연을 확장시키는 데 가장 효과적인 이미지 서사체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책공간 또는 지면위에 드러나는 적극적인 형상화, 감각화 작업의 결과물로서의 이미지를 적극적으로 구현하고 실험하는 소설가 김탁환의 작업을 들여다보면 크게 세 가지 형태로 나눠볼 수 있다. 우선 이야기와 병렬을 이루는 삽화나 사진을 통한 이미지 서사체를 통해, 서사적 커뮤니케이션에 관한 전통적인 인식의 방법, 곧 생산자(소설가)와 소비자(독자)만이 존재하던 종전의 텍스트 소통 상황을 넘어서는 새로운 차원의 소통 상황을 재구하도록 했다. 또한 시리즈 소설을 통해 전형으로 제시될 수 있는 유형화된 캐릭터를 구현하고 있고, 마지막으로는 원형의 스토리를 영상, 미디어 등의 다양한 매체에 제공하는 무블(Movel)의 크로스 콘텐츠 기획서사를 주체적으로 진행하고 있다. 김탁환은 이와 같은 작업을 통해 자기모멸에 빠지지 않는 방법으로서의 소설지론(小說之論)과 서사를 조율하는 기획자 또는 디자이너적 소설가로서의 위치를 마다하지 않는 다중적인 조율능력과 균형감감의 매설지론(賣設之論)의 가능성을 동시에 보여준다.

      • KCI등재

        최상규 〈그날의 산행〉의 크로노토프

        최순종(Choi Sun-jong) 한국비평문학회 2021 批評文學 Vol.- No.79

        문학 예술적 시공성인 ‘크로노토프’는 생성중인 열린 개념이다. 이유는 문학 용어로 제창한 바흐친 자신의 중의적 표현, 미결정적 문체, 그리고 번역의 문제 때문이다. 크로노토프를 바흐친의 기획과 의도의 범위 내에서 소설 비평적 도구로서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단편적 시공성 분석보다는 바흐친의 전체 소설 이론의 맥락에서 접근해야 한다. 그리고 텍스트 전체를 관장하는 결정적 토대로서 작동하는 작품을 선택해야 적절한 분석의 의미를 획득할 수 있다. 최상규의 <그날의 산행>은 여러 이유들로 잘 알려지지 않은 중편소설이지만, 크로노토프의 기획과 분석에 최적화된 텍스트이다. 이 작품을 관통하는 크로노토프는 2가지인데, ‘절정 수렴의 크로노토프’와 ‘이질 시간의 크로노토프’이다. 젊은 남녀의 하루 산행을 다루는 <그날의 산행>은 이 두 크로노토프에 의해 추동된다. 형태적/형식적으로는 산 정상까지의 여정을 관장하는 ‘절정 수렴의 크로노토프’, 그리고 산 정상에서의 펼치는 축제와 죽음의 장인 ‘이질 시간의 크로노토프’로 양분된다. 하지만 실질적/상징적으로는 두 크로노토프 모두 ‘죽음’이라는 한 최후 목표를 향하고 있다. ‘절정 수렴의 크로노토프’는 산행 여정의 시공간 이동에 따른 소설 내적 요소 혹은 지표들-폭염, 식수, 지면의 상태, 산행의 고통, 인물들의 감정과 의식, 의지 등-의 증감을 미세하고 민감하게 반영해 이야기를 이끌어간다. 시간과 공간의 동시적 상호 작용의 3차원을 미묘한 차이를 표출하며 인물의 행동이 통과한다. 극도의 고생과 의구 끝에 목적지에 도착한 후부터 인물들은 ‘이질 시간의 크로노토프’ 속으로 흡인된다. 종합적-신체적, 지형적, 물질적, 의지적-으로 산 정상에 갇힌 그들은 미증유의 사랑을 절대 순수의 시공 속에서 나누고 해방의 축제를 즐긴다. 2차례의 오수를 거치며 시간대는 물리적/보편적 흐름을 벗어나 45억 년 만에 처음으로 시간 역행의 궤도에 오른다. 중천에서 지속해 작렬하는 태양 아래 남녀는 시간 역행을 인지하고 죽음을 행한다. 이러한 순수하고 절대적인 사랑, 축제, 죽음(의지)는 걸맞는 크로노토프의 토대 없이는 재현될 수 없는 행위들이기에 이질 시간의 크로노토프는 필연적이다. 고위적 죽음은 신을 향한 전복과 해방, 죽음과 공포의 극복을 내포한 카니발적 발현이다. <그날의 산행>의 크로노토프는 작품의 본원적이고 입체적인 얼개로서 밀도와 구체성이 더해지면 특유의 소설적 풍성함이 발현된다. 역으로 크로노토프는 소설기획과 창작의 시작점이다. 크로노토프가 <그날의 산행> 정도의 결정적 역할과 입지를 담지한 작품이 크로노토프 분석의 대상이 될 수 있다. The chronotope is artistic time-space inseverable relation in literary. But, this conception that is applicated by M. M. Bakhtin had not been established yet. To make use this chronotope as a method of narrative analysis, we have to make a study it through literary context of Bakhtin and find a appropriate text. Choi Sang-gyu’s A climbing of the day is appropriate for chronotope application that contain narrative plan and narrative analysis. There are two chronotope in A climbing of the day. ‘Climax-convergence chronotope’ and ‘heterogeneity-time chronotope’ are literary control instrumention system in A climbing of the day. A climbing of the day is story that young man and young women go up a special mountain in a day. The first chronotope manages climbing course to ‘climax’ which is intercourse in mountain top, the second chronotope manages several actions in mountain top. Climax-convergence chronotope leads to total story aspects by moving time-space with subtile change of internal elements and indicators of narrative’s; heatwave, water, state of surface for climbing, suffer of climbing, emotion and consciousness, will of characters. After ultimate hardships and doubt about climbing accompanying climbing, they flow into the second chronotope, heterogeneity-time chronotope. This chronotope provides to them pure-absolute time-space suitable pure love, carnival action and death against God. Heterogeneity-time chronotope is completed with time reverse-sun running against normal track. They is isolated on a scale; physical, material, geographical, intentional. After all, they are determined to accepte natural death. The heterogeneity-time chronotope enable this pure death and carnival paradox. The chronotope of A climbing of the day is a three dimentional outline and design of literary text. It is fulfill with density and concreteness of story. Adversely, chronotope is start-point of narrative planning and creation. A climbing of the day is the most suitable text for chronotope analysi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