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슈렉〉 3부작의 기호학적 분석

        이윤진(Lee Yun-Jin),권재웅(Kwon Jae-Woong)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2009 만화애니메이션연구 Vol.- No.16

        〈슈렉〉은 기존의 동화와는 다른 새로운 내용과 형식을 선보이며 기존 관습에 균열을 만들어서 고정화된 관념에 대한 인식의 변화, 사고의 전환을 유도한 작품이다. 본 연구는 세 편의 슈렉 이야기에 반복되는 의미구조를 그레마스의 행위자 모델과 기호학적 사각형을 통해 분석하고자 한다. 행위자 모델은, 잘 알려져 있듯이, 세 쌍의 대립항을 통해 이야기의 기본적인 서사도식을 분석하는 기호학적 도구다. 이에 비해 기호학적 사각형은 기본적인 이항대립을 중심으로 형성된 의미지형을 통해 이야기의 의미생성 경로를 시각화하는 모델이다. 기호학적 사각형이 심층층위에서의 의미경로를 탐색하는 모델이라면 행위자 모델은 심층적 의미가 서사적 차원에서 구조화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공주와 괴물의 사랑과 결혼, 그리고 영원한 행복 찾기를 중심으로 한 행위자 분석과 기호학적 사각형을 통한 의미생성 과정을 분석함으로써 자연과 문화간의 대립에 기반한 슈렉의 이야기 구조를 시각화한다. 분석의 중심 대상은 1편은 슈렉과 피오나의 사랑, 2편은 슈렉과 피오나의 결혼 생활, 3편은 권력과 자유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Shrek〉 trilogy by means of semiotics. 〈Shrek〉 trilogy constructs a story as a whole while each piece delivers a concluded ending. This study used 'modele actantiel' and 'carre semiotique' of Greimas in order to clarify not only the meaning structure but also the course of narrative of 〈Shrek〉. 〈Shrek〉 is a compelling story which reverses the fairy tale of a beautiful princess and a heroic prince. Each piece of the trilogy unfolds as following; (1)Is the love of a princess and an ogre possible? (2)Can the marriage of the couple get confirmed? (3)Can Shrek be free again? The repeated meaning structure of 〈Shrek〉 trilogy is the binary opposition of nature versus culture, and the narrative course forms the meaning square on the basis of the opposition. Human culture represented by the lord Farquaad and Duloc castle signifies cleanness, order, complex, anxiety, paranoia, authoritarian, and violent. On the contrary, Nature represented by Shrek and the swamp signifies barbarity, freedom, confident, maturity, unstrained, and humar. The meaning of Shrek series is generated by the structure of the basic discrimination of culture versus nature. However, as 〈Shrek〉 story twists the bias and fixed idea, the meaning structure of Shrek shows a unique relationship of culture and nature. Although Shrek, an ogre, lives alone in a swamp because of the bias of human world, he is depicted as self-sufficient, comfort, and broad-minded. On the basis of this meaning structure, Shrek is not a story that an ogre(nature) strives to enter the human culture, nor a story that nature wins a victory at the confrontation between culture and nature, but a story that human(culture) and ogre(nature) overcome their fixed ideas through the transition from culture to nature and vice versa.

      • KCI우수등재

        애니메이션 ‘주토피아’에 재현된 에덴동산 모티브 분석 : A.J. 그레마스의 기호학을 중심으로

        원호혁(Won, Ho-Hyeuk) 인문콘텐츠학회 2021 인문콘텐츠 Vol.- No.60

        해당 연구에서는 A.J. 그레마스의 기호학, 그 중 “행동자 모델”과 “기호학적 사각형”을 이용하여 애니메이션 ‘주토피아’에 재현된 에덴동산 모티브를 분석하고 이를 존 밀턴(John Milton)의 소설 ‘실낙원’에 중심을 둔 에덴동산 모티브와 비교하고자 한다. 애니메이션 ‘주토피아’와 에덴동산 모티브는 초식동물과 육식동물의 평화와 이어지는 불화를 다루고 있다는 점에서 공통점이 있다. 그러나 애니메이션 ‘주토피아’에서 주인공이자 “행동자 모델”의 주체인 “주디”는 육식동물이 초식동물을 습격한 원인을 찾아내 둘의 평화를 되찾지만, 에덴동산의 주체 ‘하와‘는 사탄에 속아 선악과를 먹으며 둘의 유대는 영원히 깨지게 된다. ‘주토피아’와 에덴의 차이점은 기호학적 사각형을 통해 분석한 믿음과 자유의지의 여부를 통해 찾을 수 있다. ‘주토피아’의 기호학적 사각형 의소는 ’먹지 않다(not eat)’와 ‘삼가다(abstain)’에 해당하며 에덴동산의 의소는 ‘먹다(eat)’와 ‘삼가지 않다(not abstain)’에 해당한다. 애니메이션 ‘주토피아’의 육식동물들은 의지를 갖추고 초식동물을 공격한 것이 아니었으나 에덴동산의 “하와”는 죄악을 범한다는 사실을 알면서 하느님과의 믿음을 버려 선악과를 먹고 에덴동산에서 쫓겨나며, 그 후 초식동물과 육식동물은 분열되고 만다. 그레마스의 이론을 통하여 기호학적 방법으로 현대 미디어 컨텐츠인 ‘주토피아’와 고전 에덴동산 설화 사이의 분석과 비교를 통한 유사점과 차이점을 찾을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두 작품의 의미를 도출할 수 있었다. This research focuses on “Actor model” and “Semiotic square” of A.J. Greimas’s Semiotics to analyze Eden motive in the animation ‘Zootopia’ which will be compared by John Milton’s novel, ‘Lost Paradise’. The animation ‘Zootopia’ and Eden have a similarity that they are managing peace continued to disharmony of herbivores and carnivores. As the protagonist and the agent of ‘Zootopia’, “Judy” finds the reason why carnivores attack herbivores and gets the peace back. However, "Eve", the agent of Eden, is deceived by Satan to eat the fruit of the tree of knowledge, so the bond of herbivores and carnivores become broken. The difference between both is the existence of faith and free will which could be linked by Actor model. ‘Zootopia’ includes ‘not eat’ and ‘abstain’ as episememes, but Eden includes ‘eat’ and ‘not abstain’. Carnivores in ‘Zootopia’ do not attack herbivores on purpose. On the other hand, “Eve” does know that eating the fruit of the tree of knowledge is committing sin and obeying GOD’s faith, so she is banished from Eden splitting herbivores and carnivores. Using the model of Greimas, through semiotic method, this research could finds the similarity and differences between modern media contents, ‘Zootopia’ and classic Eden motive; so could induces the meaning of them.

      • KCI등재

        친환경 공익광고의 효과성 분석 - 그레마스의 기호학적 사각형과 장-마리 플로슈의 연구를 활용하여

        공현희,이견실 한국일러스트레이션학회 2010 일러스트레이션 포럼 Vol.11 No.22

        이 연구는 에너지 절약과 환경보호를 위해 제작되어 공익광고제와 GEF홍보물에 실린 포스터의 효과성을 평가하는 것이 목적이다. 공익광고는 영리적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작된 것이 아니고, 그 결과 그 효과성에 대한 검증 없이 제작되기 쉽기 때문에 효과성 분석 작업이 인위적으로 이뤄져야 한다. 에너지 소비량은 고소득 계층일수록 급격히 증가한다. 소득계층에 따른 효과적인 광고 전략을 연구한 장-마리 플로슈의 작업을 활용하여 공익광고의 효과성을 평가하였고, 플로슈가 그레마스의 기호학적 사각형을 활용하여 연구한 결과를 바탕으로 분석해 본 결과, 상당수의 친환경 공익광고가 에너지 소비량이 많은 고소득 계층의 에너지 소비행태를 효과적으로 변화시키기 어려운 ‘비판적/실용적 가치부여’방식으로 제작되었다는 것을 밝힐 수 있었다. That evaluate effect of poster that load to GEF with public benefit advertisement system, being manufactured for saving energy and environmental protection of this research is purpose. Public benefit advertisement is not manufactured to achieve commercial purpose and as a result, because is apt to be manufactured without verification about the effect, effect analysis work should be achieved artificially. Soar as energy expenditure is higher income class. Evaluated effect of public benefit advertisement utilizing work of J. M. Floch that study effective advertisement strategy by income bracket, and result analyzing with result that study because Floch utilizes symbol school register quadrilateral of Greimas, could clear that good many 'Green public benefit advertisement' was manufactured 'Critical / practical value department' by method that energy expenditure hard to change energy consumption forms of a lot of higher income class effectively.

      • KCI등재

        기다림의 사설시조에 나타난 웃음의 해석 -‘임이 오마 하거늘’을 중심으로-

        송지언 ( Song Ji-eon )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16 고전문학과 교육 Vol.32 No.-

        사설시조는 연행의 맥락이 제거되고 나서도 여전히 현대의 독자들에게 재미를 준다. 이 연구는 부재한 임에 대한 간절한 기다림을 노래하면서도 과장이나 희화화를 통해 웃음을 유발하는 사설시조들에 주목하였다. 그리움과 웃음이라는 서로 모순된 정서를 묘사하는 이 사설시조들은 통일되지 않고 역동적으로 변화하는 인간의 내면을 반영한다. 갈망이 그리움을 만들고 또한 갈망이 그 그리움을 우스꽝스러운 것으로 만들기 때문에 결국 그리움과 웃음은 서로 충돌하지 않고 공존할 수 있는 것이다. 이 연구는 모순적인 의미들이 공존하는 사설시조를 해석하기 위해 ‘기호학적 사각형’을 해석의 틀로 활용하였다. 그 결과 기다림을 노래한 사설시조들은 금지와 허가, 갈망과 염려, 노출과 은폐, 집중과 분산이라는 상반항들을 통해 해석할 수 있었다. 그리움에 웃음이 섞이는 사설시조들은 공통적으로 자아의 갈망과 세상의 금지 사이의 갈등을 바탕으로 삼고 있다. 갈망에 휩쓸리는 인간의 모습은 타인의 시선에서 볼 때 우스꽝스럽고 애처로워 보일 수도 있다. 그러나 인간은 내가 가진 약점과 내가 했던 실수를 반복하는 인간을 보고서 공감의 웃음을 짓는다. 결국 이것이 사설시조가 유발하는 인간에 대한 연민과 성찰의 웃음일 것이다. Saseol-sijo, a form of sijo with longer verses, still affords pleasure to modern readers, even when it is read without the original performance context. In this study, I focused on Saseol-sijo that induces laughter through exaggeration and caricature while singing about eagerly waiting for a lover who has left. These texts describe concurrently the emotions that are contradictory to each other, such as nostalgia and laughter. In addition, this feature reflects human’s inner emotions that are not unified but rather change dynamically. Craving creates a sense of nostalgia, and also produces a comical element in nostalgia, so that nostalgia and laughter can be co-exist without conflict. In this study, ‘semiotic square’ was applied as the framework for interpreting the Saseol-sijo, which demonstrates the coexistence of inconsistent meanings. As a result, a Saseol-sijo which sings about waiting for a lover can be interpreted through contraires such as prohibition and authorization, craving and concerns, exposure and concealment and concentration and dispersion. The nostalgic laughter in Saseol-sijo is generally based on the conflict between the craving self and the restrictive world. A character consumed by craving may seem ridiculous and pathetic in the view of others. However, people in general would find sympathetic humor and identify with characters who portray their weaknesses or repeat their mistakes. After all, this is the laughter of compassion and reflection which Saseol-sijo evoke.

      • KCI등재

        그레마스 기호학을 이용한 서사 분석

        정유연(Youyeon, Jeong),이태구(Taegu Lee) 동국대학교 영상문화콘텐츠연구원 2019 영상문화콘텐츠연구 Vol.16 No.-

        본 연구는 인문학과 철학을 바탕으로 그 시대와 사회의 문제점을 반영한 탄탄한 서사 구조를 가진 장편 애니메이션을 분석함에 목적을 두었다. 분석 대상은 우리 시대에서의 인간의 소외, 우울증, 물질만능주의에 대한 비판적인 시각을 가감 없이 표현함에도 불구하고, 프랑스의 많은 이들에게 사랑받은 프랑스 장편 애니메이션 <파리의 자살가게>를 선정 하였다. 본 연구는 작품의 서사구조를 밝히는 독립적 분석틀로 작품을 분석하는데 있어서 심층적 의미를 파악할 수 있는 그레마스 기호학에 기반에 두었다. 이는 작품의 주요 행위자들을 여섯 개의 행위소로 분류하여 그들 사이의 관계를 파악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이야기의 의소를 추출해 서로 대립하는 두 가지 요소들의 차이를 기반으로 이루어진다. 분석 결과, 애니메이션 <파리의 자살가게>의 행동자 모델은 서로 대립되는 구조의 의소를 추출한 결과 죽음으로 얻은 물질만능주의에 따른 부와 웃음과 행복으로 분석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기호학적 사각형을 분석한 결과 불행-행복, 죽음-삶으로 변하여 웃음과 행복의 희망적 서사 행로가 진행됨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long-length animations with a solid narrative structure reflecting the problems of the times and society based on humanities and philosophy. The subjects of the analysis chose the French feature film "The Suicide Store in Paris," which was loved by many in France despite its unabashed critical views on human alienation, depression and materialism in our time. This study was based on Greimas Semiotics, which provides an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meaning of the work"s analysis using an independent analytical framework that sheds light on its narrative structure. It is based on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elements that are divided into six actors, ident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and extracting the elements of the story based on the resul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Actant Model of the animation "The Suicide Store in Paris" was analyzed as wealth, laughter, and happiness based on the materialism that resulted in death after extracting the opposite structures. Based on this, the analysis of carre semiotique showed that unhappiness, happiness, death, and life led to a hopeful introduction of laughter and happiness.

      • KCI등재

        <헤어질 결심>에 나타난 비극적 사랑의 재현 양상 - 그레마스의 기호학적 관점을 중심으로 -

        이윤기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23 한국문예비평연구 Vol.- No.80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spects in which modern people's tragic love is reproduced by analyzing the narrative structure and generative trajectory process of Decision to Leave(2022) through Greimas' semiotics. Decision to Leave embodies human beings' unfulfilled desires in a confrontational structure. Greimas' semiotics' 'semiotic square' and 'actantial model' is going to be used for analyze to diagram the deep structure of meaning behind the binary oppositional elements presented in the film text. Decision to Leave is a text composed of parts 1 and 2. First of all, to structuralize actantial model on the surface semio-narrative structure, the difference is shown that Seorae and Hae-joon's desires were 'freedom' and 'legitimacy' in Part 1, but in Part 2, it is possible to verify thay they have desired for ‘love’ at the end. the objects of s , respectively, but in In the end, I can confirm that he desires ‘love’. However, the sender who recognizes and pursues ‘love’ as an object is different, and the details of love appear differently. In this process, Seorae is revealed to be an active woman and the sender of the entire narrative. Subsequently the semiotic square of Decision to Leave is constructed through ‘love’, the core seme of the film, and its opposite, ‘doubt’, and the aspect of the narrative that develops along the path of meaning is confirmed. Part 1 follows the path of ‘love’ → ‘non-love’ → ‘doubt’, and part 2 follows the path of ‘doubt’ → ‘non-doubt’ → ‘love’. Following that, through the spatial symbols of mountain and sea, to trace the reason why the mountain-like Haejun and the sea-like Seorae were bound to be misaligned, and finally, it derive the meaning of the bonsai beach as a fantasy place that they share but cannot unite together. The primary outcome of this work will be a diagram of the dichotomous transformation of Decision to Leave. Moreover, as the demand for public culture content of women's narratives increases, Seorae is a character that responds to a society. Seorae not only copes with patriarchal society and male power with the greatest ease but is also active in pioneering her own life and love. And because she moves with a definite plan, her independence is most emphasized. In an age where faith is absent, the love of modern people who gladly choose to ‘break up’ rather than connect with their loved one is tragic. The work of this article will help to understand how this tragic love is embodied in film. 본 논문은 그레마스의 기호학을 통해 영화 <헤어질 결심>(2022)의 서사 구조와 의미 생성 과정을 분석함으로써 현대인의 비극적인 사랑이 재현되는 양상을 고찰하는 데 목적을 둔다. <헤어질 결심>은 인간의 충족될 수 없는 욕망을 대립적인 구도로 형상화하고 있다. 이를 위한 분석 도구로 그레마스 기호학의 ‘기호 사각형’과 ‘행동자 모델’을 이용하여 영화 텍스트가 제시하는 이항 대립적 요소 이면에 자리한 심층적 의미의 구조를 도식화할 것이다. <헤어질 결심은> 크게 1부와 2부로 구성되는 텍스트이다. 먼저 텍스트의 표층 수준에서 비선형적 계열체의 요소인 행동자 모델을 구성해 보면, 1부에서는 서래와 해준이 욕망하는 대상이 각각 ‘자유’와 ‘정당성’이었다는 점에서 차이를 보이지만, 2부에서는 동일하게 ‘사랑’을 욕망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사랑’을 대상으로 인식하고 추구하게 만드는 발신자가 다르고, 사랑의 세부적인 내용이 달리 나타난다. 이 과정에서 서래는 능동적 여성이자 전체 서사의 발신자임이 드러난다. 다음으로 영화의 핵심 의소인 ‘사랑’과 그 대립항으로서 ‘의심’을 통해 <헤어질 결심>의 기호 사각형을 구성하고 의미 행로를 따라 전개되는 서사의 양상을 확인한다. 1부는 ‘사랑’ → ‘비사랑’ → ‘의심’, 2부는 ‘의심’ → ‘비의심’ → ‘사랑’의 행로에 따라 이행된다. 이어서 산과 바다라는 공간의 기호를 통해 산과 같은 해준, 바다와 같은 서래가 어긋날 수밖에 없었던 이유를 추적하는 한편, 이들이 마지막으로 공유하는 장소이지만 합일될 수 없는 환상의 장소로서 분재(盆栽)적 해변의 의미를 도출한다. 이러한 작업의 1차적인 결과물은 기존의 연구들이 서술로서 제시했던 <헤어질 결심>의 이분법적 대립 양상의 도식일 것이다. 나아가 여성 서사를 다루는 대중문화 콘텐츠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는 시대에 부응하여 가부장제 사회와 남성 권력에 대해 가장 여유를 갖고 대처할 뿐만 아니라 자신의 삶과 사랑을 개척함에 있어서도 적극적이고, 뚜렷한 계획을 갖고 움직인다는 점에서 그 주체성이 가장 부각되는 인물로서 ‘서래’의 의미를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바탕으로 믿음이 부재하는 시대에 사랑하는 이와의 맺어짐 대신 기꺼이 ‘헤어짐’을 택하는 현대인의 사랑이 지닌 비극성이 영화에서 구현되는 양상을 읽어내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그레마스 기호학을 이용한 서사 분석 - <파리의 자살가게>를 중심으로

        정유연,이태구 동국대학교 영상문화콘텐츠연구원 2019 영상문화콘텐츠연구 Vol.0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long-length animations with a solid narrative structure reflecting the problems of the times and society based on humanities and philosophy. The subjects of the analysis chose the French feature film "The Suicide Store in Paris," which was loved by many in France despite its unabashed critical views on human alienation, depression and materialism in our time. This study was based on Greimas Semiotics, which provides an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meaning of the work's analysis using an independent analytical framework that sheds light on its narrative structure. It is based on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elements that are divided into six actors, ident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and extracting the elements of the story based on the resul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Actant Model of the animation "The Suicide Store in Paris" was analyzed as wealth, laughter, and happiness based on the materialism that resulted in death after extracting the opposite structures. Based on this, the analysis of carre semiotique showed that unhappiness, happiness, death, and life led to a hopeful introduction of laughter and happiness. 본 연구는 인문학과 철학을 바탕으로 그 시대와 사회의 문제점을 반영한 탄탄한 서사 구조를 가진 장편 애니메이션을 분석함에 목적을 두었다. 분석 대상은 우리 시대에서의 인간의 소외, 우울증, 물질만능주의에 대한 비판적인 시각을 가감 없이 표현함에도 불구하고, 프랑스의 많은 이들에게 사랑받은 프랑스 장편 애니메이션 <파리의 자살가게>를 선정 하였다. 본 연구는 작품의 서사구조를 밝히는 독립적 분석틀로 작품을 분석하는데 있어서 심층적 의미를 파악할 수 있는 그레마스 기호학에 기반에두었다. 이는 작품의 주요 행위자들을 여섯 개의 행위소로 분류하여 그들사이의 관계를 파악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이야기의 의소를 추출해 서로 대립하는 두 가지 요소들의 차이를 기반으로 이루어진다. 분석 결과, 애니메이션 <파리의 자살가게>의 행동자 모델은 서로 대립되는 구조의 의소를 추출한 결과 죽음으로 얻은 물질만능주의에 따른 부와 웃음과 행복으로 분석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기호학적 사각형을 분석한 결과 불행-행복, 죽음-삶으로 변하여 웃음과 행복의 희망적 서사 행로가 진행됨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동아시아의 시각적 근대성과 리듬의 기호학적 접근

        김민형 ( Min Hyoung Kim ) 한국기호학회 2015 기호학연구 Vol.44 No.-

        최근의 동아시아 연구에 있어 ‘시각적 근대성(visual modernity)’은 가장 활발하게 다루어지는 개념 중의 하나이다. 특히 기존의 근대성 연구가 텍스트 중심의 문헌 연구에서 이미지 기반의 문화 연구로 확장되면서 시각적 근대성 개념은 보편적인 유효성을 획득하여 왔다. 즉 시각적 근대성 연구는 근대성을 구성하는 각기 다른 요소들을 새롭게 발굴하고 시각적으로 재구성하는 작업이며, 이러한 학문적 과정을 통하여 근대사의 숨겨진 단면들을 생생하게 현재화하는 작업으로 주목받고 있다. 본 논문은 동아시아 시각적 근대성 연구에 있어 보다 깊이 있는 인식론과 정밀한 방법론의 수립을 위하여 리듬에 대한 기호학적 접근을 시도하고자 한다. 기존의 역사적 접근법과 문화 연구의 텍스트 중심주의를 넘어서서 어떠한 이미지도 결코 독자적으로 존재할 수 없으며 일정한 사회적 맥락을 반영한다는 이미지의 생태학적 본질을 담아내기 위해서는, 개별 이미지의 내부와 외부는 물론 이미지와 이미지 사이의 관계성을 파악하면서 거시적 관점과 미시적 관점을 포괄할 수 있는 기호학적 분석이 절실히 요청된다고 할 수 있다. 이 방대한 작업의 예비적 단계로서 본 논문에서는 리듬 연구의 개척자라 할 수 있는 르페브르의 역작을 바탕으로 리듬분석을 위한 기호학적 모델의 구성과 적용의 한 사례를 소개하고, 향후 관련 연구로의 확장성을 가늠하고자 한다. Since I began conducting this general exploration of visual modernity of East Asia during the early twentieth century, it has seemed problematic to apply traditional analytic approaches to visual cultures engendered from a period of upheaval the likes of modern East Asia due to the distance between images and reality, as they vary depending on the intensity and the extent of experiences of those viewers in the numerous domains. In order to grasp the sheer imagistic force of the East Asian visual culture on the modern era, I find it significant to utilize semiotic strengths embracing both macro perspectives and micro analysis: the conception of rhythm is expected to carry out a greater role in such studies. In this study, I will revisit Lefebvre’s rhythmanalytic elements and then demonstrate my construction of a semiotic square of rhythm including a topology of four different rhythmia within it.

      • KCI등재

        가현설의 정의와 그 의미에 대한 기호학적 분석

        유병우(Yoo, Byung Woo) 한국신약학회 2015 신약논단 Vol.22 No.3

        “가현설(Doketismus)”은 기독교 신학의 여러 분야에서 논의되는 주제이지만, 그 용어 자체가 성서적 개념에서 유래한 것이 아니고 성서본문에 근거한 주장도 아니다. 교부들은 “가현론자”라는 명칭을 역사적으로 가현적 사상을 가진 개개의 이단집단에 적용하고 있을 뿐 오늘날 우리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가현설과는 그 의미가 다르다. 가현설의 개념정의에 관한 논쟁의 초점은 예수의 인성에 대한 적극적 부정, 소극적(우회적) 부정, 그리고 인성과 신성의 분리 중 어디까지를 가현설로 인정하느냐의 문제로 요약될 수 있다. 가현설을 좁은 의미로 이해하려는 학자들은 예수의 인성에 대한 적극적인 부정만을 가현설로 규정하려는 반면, 보다 넓은 의미로 이해하려는 학자들은 적극적 부정과 소극적 부정의 차이를 인정하지 않는 동시에 예수의 인성과 신성의 분리 역시 가현설로 이해하려 한다. 필자는 본 논문에서 기존의 가현설에 대한 논의가 존재론적 관점에서만 이루어진 것에 대한 대안으로 기호학적 분석을 시도하려 한다. 이를 통해 가현설이 당시의 역사적 상황 속에서 어떤 의미구조를 이루고 있으며, 나아가 가현설의 역사적 기능을 이해하고자 한다. 가현설은 한마디로 고난의 현장에서 신화적 개념을 통해 이루어진 신앙적 담론을 역사적 실재에 대한 존재론적 주장으로 잘못 이해한 역사적 오해라고 할 수 있다. 낙 함마디 문서의 발견으로 그러한 담론의 실체가 조금씩 드러나고는 있지만, 가현설을 바라보는 선입견의 영향력은 아직도 지대하다. 이러한 상황에서 가현설의 의미에 관한 기호학적 분석은 기존의 연구 패러다임을 극복하고자 하는 지극히 제한적인 하나의 시도일 뿐이다. 가현설에 관한 일차문헌을 개별적으로 보다 심도 있게 연구하여 당시의 역사적 정황 속에서 가현설을 이해하려는 노력은 계속되어야 한다.

      • KCI등재

        〈노다메 칸타빌레〉의 내러티브 구조와 기호학적 분석

        권재웅(Jae-Woong Kwon),최세영(Seyoung Choi)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2012 만화애니메이션연구 Vol.- No.27

        〈노다메 칸타빌레〉는 클래식 음악을 다룬 장르만화이다. 만화가 니노미야 도모코에 의해 2001년부터 연재가 시작되어 2009년 10월까지 총 23권으로 출간된 이 작은 노다메 신드롬이라고 불릴 정도의 각광을 받아왔다. 본 연구는 〈노다메 칸타빌레〉라는 음악 장르를 대상으로 한 만화에서 나타난 내러티브 구조의 특징을 기호학적 모델을 통해서 분석함을 목적으로 한다. 내러티브 구조는 먼저 그레마스가 제시한 세 가지의 시련과정을 통해서 이야기의 흐름이 어떻게 주어져 있는 지를 분석하고자 한다. 그리고 행위자 모델과 기호학적 사각형 모델을 적용하여 이야기 구성의 행위자들이 어떻게 배치되어있는 지와 행위자들을 둘러싼 사회적 담론의 의미 구조가 어떻게 생성되어있는 지를 고찰하고자 한다. 분석에 따르면, 만화에서 클래식 음악에 대한 사회적 담론으로 채택된 것은 천부적 재능과 도제식 교육방식의 관계이다. 〈노다메 칸타빌레〉는 천부적 재능의 발현을 가로막는 대립 항으로 도제식 교육을 설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현실 세계를 주도하는 음악 교육의 방식에 대한 비판적 견해라고 할 수 있다. Created by Tomoko Ninomiya, 〈Nodame Cantabile〉 was serialized in Japan from July 2001 to November 2009 and collected in 23 volumes. It has become a cultural syndrome after it was transferred to other media. Giving an attention to this cultural syndrome, this study aims to analyze narrative structure by means of semiotics. This study tries to use ‘modele actantiel’ and ‘carre semiotique’ of Greimas in order to clarify not only the meaning structure but also the course of narrative revealed in 〈Nodame Cantabile〉. The meaning structure of 〈Nodame Cantabile〉 shows a unique relationship of genius and training. Although Nodame, a main character of this Japanese manga, is a straggler in music school because she does not show any passion for learning, she is depicted as a music genius. An education method called as apprenticeship is represented as the mechanism to bring out misfits in music. Dealing with her long journey to be a professional musician, this manga suggests how Nodame can be developed from as a misfit to as a professional pianist through introducing diverse education methods. Revealing critical perspective on music education in real world, 〈Nodame Cantabile〉 gives a chance to rethink the relationship between genius and education in music.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