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9세기 여성기행가사 연구

        권오윤 민족문학사연구소 2023 민족문학사연구 Vol.83 No.-

        본고는 19세기 여성이 쓴 기행가사의 진술방식과 정서표현을 분석하여 여성기행가사가 조선시대 기행가사와 여성 창작 문학 내에서 가지는 문학사적 의미를 발견하고자 했다. 기존의 연구는 여성기행가사가 사대부 기행가사를 계승하면서도 여성으로서의 특성이 작품 내용에 반영되어 있다고 보았다. 가족에 대한 관심, 정서 표현의 강조는 여성 작자의 특수한 면모로 지적되었고, 대상을 표현하는 방식에서 기존 기행가사를 계승하는 보편적 면모가 주목되었다. 본고는 여성기행가사의 특수성과 보편성을 분리하여 설명한 기존의 연구에서 나아가, 일상과 여행지라는 공간 배경의 차이에 있어서 여성의 정서 표현이 다르게 나타난 부분에 주목했다. 본고는 19세기 여성기행가사 작품인 「부여노정기」, 「금행일기」, 「호남기행가」를 다루고 있다. 이중 「부여노정기」와 「금행일기」는 각각 연안이씨(延安李氏, 1737~1815)와 은진송씨(恩津宋氏, 1803~1860)이라는 양반가 사대부 여성에 의해 창작되었다. 「호남기행가」는 가마를 타고 이동하는 여행방식과 문학 전범의 활용 양상이 다른 여성기행가사와 유사한 작품이다. 본고는 이를 토대로 「호남기행가」를 양반 사대부 여성 창작 작품으로 보았다. 본고는 진술방식과 정서 표현을 중심으로 세 작품을 다음과 같이 분석했다. 「부여노정기」는 사대부가 여성으로서의 자부심과 권위적 태도가 드러나고, 시간의 흐름에 따른 서술방식을 쓰되, 사건을 선택적으로 제시한 작품이다. 「부여노정기」의 화자는 여행을 여성으로서의 역할을 잘 해낸 것에 대한 보상으로 인식하고 있다. 「금행일기」는 한 가정을 책임지는 주부인 화자가 여행지에서 누리는 풍류적 흥취를 강조한 작품이다. 경관을 드러내는 데에 서사적 진술과 묘사를 진술방식으로 활용한다. 정서 표현 측면에서는 신변탄식과 구경에 대한 욕심으로 진솔한 내면을 드러낸 것이 특징이다. 「호남기행가」는 경치를 묘사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수사적 표현을 활용해 체험을 문학적으로 형상화한 작품이다. 화자의 정체성이 드러나는 부분은 소략하지만, 여행에 대한 욕구와 창작에 대한 욕구는 직접적으로 표현되어 있다. 여성 작가들은 독자를 여성으로 설정하고, 함께 정서를 공유하기에 적합한 국문 가사를 창작했다. 여성기행가사는 가족 공동체 안에서의 여행일지라도 여성이 그 과정을 주체적인 여행 체험으로 인식했다는 것을 보인다. 여성들이 독자와 표현방식을 고려할 만큼 문학 창작자로서 의식 성장을 이룬 점은 19세기 여성기행가사가 갖는 문학사적 의미이다. This paper analyzed the statements and emotional expressions of travel Gasa written by women in the 19th century. It was written to discover the literary and historical significance of women’s travel Gasa by analyzing Joseon Dynasty travel Gasa, and women’s creative literature. Women's travel Gasa reflects the universality of travel Gasa and the specificity of the subject of women's travel. This was suitable to discover the new aspect of women who became Gasa creators in the 19th century. Existing studies have shown that female travel Gasas inherited the travel Gasas of the nobleman and the characteristics of women are reflected in the contents of the work as well. The emphasis on family interest and emotional expression was pointed out as a particular aspect of female authors, and the universal aspect of inheriting existing travel Gasa in expressing objects was also noted. In addition to the previous study that explained the specificity and universality of women's travel Gasa, this paper revealed the meaning of using typical expressions considering the artist's gender, and specifically focused on women’s different emotional expressions depending on the spacious background they were in such as daily life basis and travel places. Based on the transmission form of the work, author, travel motivation, composition of the work, journey, and travel method, this paper introduced three different works of women's travel Gasa in the 19th century. Among them, 〈Buyeonohjeonggi〉 and 〈Geumhaengilgi〉 were created by noble women named Yeonan Lee (延安李氏, 1737~1815) and Eunjin Song (恩津宋氏, 1803~1860), respectively. 〈Honamgihaengga〉 is a work similar to women's travel Gasa in terms of riding a sedan chair as a travel method and by looking at typical expressions of literature. Based on the aforementioned ideas, this paper viewed 〈Honamgihaengga〉 as a female creative work of the aristocrats. If there were different copies among the three works, they were briefly introduced and unified into one single name. This paper analyzed the three works by focusing on the method of a statement and emotional expression. 〈Buyeonohjeonggi〉 is a work that reveals a woman’s pride and authoritative attitude, and uses a narrative method over the time, but selectively presents the events. The speaker of 〈Buyeonohjeonggi〉 recognizes travel as a reward for playing a good role as a woman. 〈Geumhaengilgi〉 is a work that emphasizes the poetical taste of the speaker, who is a housewife in charge of a family and enjoys time at travel destination. Epic statements and descriptions are used as statements to describe the landscape. Regarding the aspect of expressing emotions, it honestly reveals the inner side of oneself who desire to lament one’s situation and express eager to sightsee. 〈Honamgihaengga〉 is a literary representation of the experience using various rhetorical expressions in the process of describing the scenery. The speaker's identity is rarely revealed in this work, but the desire for travel and the desire for creating Gasa is directly expressed. To sum up, the 19th century women's travel Gasa showed three distinctive characteristics. First, the process of establishing women’s self-identity through building relationships with the outside world is shown in women’s travel Gasa. Second, the speaker honestly tells her feelings about what she has seen and expresses a new desire that she realized at the travel destination. Third, by recording the experiences, narrative and descriptive features are shown based on the author’s experiences in the outside world. In the creation of travel Gasa from the early Joseon Dynasty to the late Joseon Dynasty, travel Gasa has expanded the hierarchy of authors, lengthened the work, and contained the characteristics of seeking for visiting real sites. The expansion of women becoming authors, using narrative statements, describing landscape through imagery, and se...

      • KCI등재

        <제주도(濟州道) 기행(紀行)>과 <제주여행가>의 작품 실상과 현대적 의미

        김기영 어문연구학회 2019 어문연구 Vol.102 No.-

        제주도 기행 규방가사로는 <제주도 기행>(고단, 1978), <제주여행가>(이화영, 1980), <제주관람가(濟州觀覽歌)>(조주희, 1980), <제주관광>(윤은숙, 1984), <ᄌᆡ주도유람가>(현풍 곽씨, ?) , <제주도 여행가>( ? - ?)가 있다. 이 가운데, <제주도 기행>과 <제주여행가>는 작품 구성면에서 전체 제주도 기행 규방가사를 대표할 수 있는 두 유형의 작품이다. <제주도 기행>은 소고당 고단(1922-2009)이 1978년 8월 30일에 2박 3일의 여행 체험을 바탕으로 창작한 총 240구 120행의 기행 규방가사이다. <제주도 기행>은 전형적인 기행가사의 구성을 보여준다. 노정의 전개에 따라 신속한 장면 전환으로 작자가 접한 명승을 전언하고 그에 따른 소회를 펼쳐 보이고 있다. <제주도 기행>은 총 13단락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각의 단락은 분량면에서 매우 균형감 있게 배치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작품은 표현의 정확성 측면에서 강점을 보인다. 특히, 제주 방언의 활용을 통해 작품의 이국적 정서를 배가하고 표현미를 제고한다. <제주여행가>와 달리 여행지에서의 유흥이 보이지 않으며, 여행지 음식에 대해 각별히 관심을 갖고 전언하고 있다. <제주여행가>는 학계에 처음 소개되는 작품이다. 작자는 영천인 이화영(1925-2008)이다. 이화영은 평소 규방가사를 향유하였으며, 총 6편의 가사 작품을 창작하였다. 이화영은 2박 3일간 제주도를 여행하고, 1980년에 총 177행 354구의 기행 규방가사를 창작하였다. <제주여행가>는 <제주도 기행>과는 달리 기행성이 약화되고 서정성이 강화된 유형의 가사라는 점이 주목된다. <제주여행가>는 총 8단락으로 구성되어 있다. 내용상의 특색을 들면, 돈독한 동기애를 표출하고 있는 점과 여행지 유흥을 통해 해방감을 표출하고 있는 점을 주목하게 된다. 그런데 후자를 드러냄에 있어서는 마치 사대부 남성이 풍류를 즐기는 듯한 양상으로 표현한 점이 주목된다. 표현면에서는 특히, 독자를 작품으로 유인하는 효과를 거둔 문답법․설의법의 활용 및 청유형 어미의 활용을 주목하게 된다. <제주도 기행>, <제주여행가>는 3․4조, 4․4조가 주류를 이루는 안정된 율조의 가사로서, 다양한 수사법을 단독 혹은 복합적으로 활용하여 작자 자신이 전달하고자 하는 내용을 보다 정확히 하고, 미학적으로도 아름답게 하는 효과를 거두고 있다. 1978년, 1980년에 각기 산출되어 유구한 전통의 한국문학 장르로서 가사가 굳건하게 자리매김될 수 있도록 가사 부흥의 촉매제 역할을 톡톡히 해내고 있다. 또한 두 가사 작품이 산출된 시점의 여행 기록물로서의 가치를 지니고 있다. In terms of their organization, Jejudo Travel and Jeju Travel Song are two different major works that represent the entire collection of gyubanggasa (‘lyrics from women’s quarters’) written on Jejudo. Jejudo Travel is a lyrical travel poem composed of 240 phrases and 120 lines, written on Aug. 30, 1978 by Koh Dan (1922-2009) based on her 3-day travel on the island. Jejudo Travel shows the typical composition of a lyrical travel poem. As the journey proceeds, there is a speedy change of scenes, in which the poet depicts the scenic sites that she toured and unbosoms her reflections on them. The work is composed of total 13 paragraphs. One can see that the arrangement of the paragraphs is well-balanced, considering their volumes. The work demonstrates its strength with respect to the accuracy of expression. Especially, the poetic work taps into the Jeju dialect to boost its exotic mood and upgrade the beauty of its expression. Unlike Jeju Travel Song, the poem does not reveal the entertainment as expected in travel destinations but describes the local cuisine with extraordinary interest. Jeju Travel Song is a work that is presented to the academic community for the first time. Its author is Yi Hwa-yeong (1925-2008). Yi Hwa-yeong travelled for 3 days on Jejudo and created the lyrical travel poem with 177 lines and 354 phrases in 1980. Jeju Travel Song is notable in that its element of travel is weakened while its lyricism is enhanced, as is not the case with Jejudo Travel. The work is composed of 8 paragraphs. The poem is noteworthy in that it expresses strong sibling ties and exudes a sense of liberation through entertainment in travel destinations. However, it is noted that the latter joy is revealed in the way a nobleman flaunts his taste for arts. In terms of expression, what is noticeable is the utilization of the question & answer and rhetorical question as well as the ending particle of request that have successfully induced readers to the work. Jejudo Travel and Jeju Travel Song, which were created in 1978 and 1980, respectively, have excellently served as catalyst in the revival of gasa, so that gasa may establish itself as a time-honored Korean literary genre. Besides, the two works are valuable records of the travels in the time periods when they were created.

      • KCI등재

        가야산 기행가사의 작품 양상과 표현방식

        최은숙 ( Eun Sook Choi ) 온지학회 2014 溫知論叢 Vol.0 No.41

        본고의 목적은 영남지역 기행가사 중 ‘가야산’ 체험을 다룬 작품의 존재 양상을 정리하고, 여행체험의 표현 방식을 살피는 데 있다. 이를 통해 지역문화공간으로서 가야산 체험의 의미를 더욱 부각시키고, 작품의 기행문학적 특성을 밝히고자 한다. 가야산 기행가사의 텍스트 현황을 정리해 보면, <인사유람>, <가야희인곡>계열, <계묘년여행기>계열 등 크게 세 작품으로 나눌 수 있다. <인사유람>는 창작시기와 작자를 알 수 있는 작품으로서, 해인사를 포함한 가야산 전체 여정이 상세히 드러나 있으며 견문과 감상이 풍부한 것이 특징이다. <가야희인곡>계열 작품은 작자와 창작시기 모두 미상이지만 표기 형태를 통해 <인사유람>와 <계묘년여행기>의 중간에 창작된 작품임을 추정할 수 있다. 그리고 <가야희인곡>,<가야해인곡>,<가야산해인가>등은 가야산 기행가사에 대한 필사가 왕성하게 이루어진 정황을 확인할 수 있는 작품이다. 한편 <인사유람>와 <가야희인곡>은 경남지역 여성들의 규방가사 창작의 예를 확인할 수 있다는 점에서도 의미를 지닌다. 그리고 <가야희인곡>이 거주지 중심의 유산(遊山)의 체험을 다룬 작품이라면 <인사유람>는 명승지 중심으로 여행의 범위가 확장되었음을 보여주는 작품이다. 이는 여행의 형태와 경험의 변화를 추측하게 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한편 <계묘년여행기>는 기행가사의 현재적 전승을 확인할 수 있는 자료이다. 여행이 개별적 체험중심에서 단체 관광중심으로 변화된 양상을 보여주며, 명승지 중심의 놀이적 성격이 강화되고 여정 중심의 빠른 전개를 보인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상의 가야산 기행가사의 작품현황과 여행양상을 살필 때, 이들 작품은 1930년대부터 현재까지 변화된 여행형태와 체험을 담고 있다는 점, 기행가사의 필사 관행을 엿볼 수 있다는 점, 가야산에 대한 다양한 기행체험을 다루고 있다는 점에서 그 존재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한편 가야산 기행가사의 여행체험의 표현 방식을 살펴보면, 장소를 표상하는 건물을 나열하고 그와 연관된 역사적 인물의 상징적 이미지를 끌어내는 방식, 대표적 자연경관에 대해 다양한 이미지를 동원하여 감각적으로 묘사하는 방식, 문화경관에 대한 관심을 부각시켜 그를 통해 문화적 욕구를 드러내는 방식 등이 사용되고 있다. 이를 통해 가야산을 상징적, 감각적, 정감적 이해의 대상으로 다양하게 표현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의 논의를 통해 본 작업은 가야산의 문화적 의미, 영남지역 기행가사의 일면, 그리고 근대적 여행체험의 양상 등에 대한 논의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 본다. This paper is intended to organize existing aspects of literary works which cover Gayasan experiences among Yeongnam Area travel lyrics, and to examine literary figuration methods of travel experiences. To summarize texts of Gayasan travel lyrics, the texts can be greatly divided into three: <Hoeinsa Yuramga(인사유람)>, <Gaya Huiinrok>series; <Gyemyonyeon Travelogue>series, etc. <Hoeinsa Yuramga(인사유람)> is a literary work whose date of writing and author can be known, which concretely shows itineraries of the total Gayasan including Haeinsa and which is characterized by plenty of knowledge and appreciative impression. Literary works of <Gaya Hoeinrok>series are the ones all of whose date of writing and authors are not known but, through types of mentioned characters, can be estimated to have been written in the middle term between <Hoeinsa Yuramga(인사유람)> and <Gyemyonyeon Travelogue>. In addition, <Gaya Hhuiinrok>,<Gaya Haeinrok>,<Gaya Haeinga>, etc. are the works that allow us to ascertain the situation under which travel lyrics are copied actively. Meantime, <Hoeinsa Yuramga(인사유람)> and <Gaya Huiinrok> have significance in that they allow confirmation of examples of Gyeongnam area women`s writing Gyubang lyrics. And, if <Gaya Huiinrok> is a literary work which covers experiences of staying in the mountain based on residence place, <Hoeinsa Yuramga(인사유람)> is the one which shows the scope of travel was expanded centering around famous places, which is significant in that this allows us to estimate types of travel and changed experiences. Meantime, <Gyemyonyeon Travelogue> is a material enabling confirmation of contemporary transmission of travel lyrics. This is characterized by the fact that travel changed from individual experience-based to group-based sightseeing, travel for amusement based on famous places increased and itinerary-based speedy travel was popular. In <Gyemyonyeon Travelogue>, each side(각편) of <Umimga>, etc. was also written.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confirm contemporary situation of joint writing and copy of travel lyrics. When present situations and travel aspects in respect to Gayasan travel lyrics are examined, those works are deemed to have significance in that they include changed travel types and experiences, practices of coping travel lyrics can be looked into and they cover various travel experiences in Gayasan from 1930s to the present. In addition to that, to examine figuration methods of travel experience of Gayasan travel lyrics, the works use a method of enumerating buildings which represent a place and of deriving symbolic historic figures related to that; a method of gathering lots of images of typical natural sceneries and sensory depicts them; and a method of increasing interest in cultural sceneries and, through that, of revealing cultural desires, etc. Through this, it can be known that Gayasan diversely is expressed as the subject for symbolic, sensory and emotional understanding. The above discussions are considered to contribute to the discussion about cultural meanings of Gayasan, aspects of Yeongnam area travel lyrics, aspects of moden travel experiences, etc.

      • KCI등재후보

        논문 : 소정 이휘의 기행가사 연구

        신송 ( Song Shin )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2015 감성연구 Vol.0 No.10

        본고는 20세기 이후 창작된 여성가사 중 소정 이휘의 작품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소정은 근대 이후로 많은 수의 가사 작품을 창작했다는 점과 다양한 소재와 주제를 가사문학으로 표현했다는 점에서 주목을 받고 있다. 이러한 점으로 인해 여성가사에서 소정이 차지하고 있는 비중은 상당히 높으며, 앞으로도 여성가사의 향방에 큰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점에서 소정 이휘의 작품은 연구할 가치가 높다고 생각된다. 필자는 소정 이휘의 대표적인 창작 가사 모음집인 『素亭歌辭』에 실린 작품들 중에서 기행을 소재로 한 작품을 대상으로 삼아 작자의 개별적인 체험과 개성적인 시각을 살펴보고자 한다. 따라서 본론에서 는 먼저 주요 분석대상의 범위를 한정하기 위해 소정 이휘의 가사 작 품들 중에서 기행을 소재로 하고 있는 작품을 정리할 것이다. 그런 다 음 소정 이휘의 기행가사에서 나타나는 특징은 어떠한 것이 있는지 살펴볼 것이다. 이를 통해 근대 이후에도 여성가사 작가들이 기행의 소재에 치중하는 이유가 무엇인지 파악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기행가사의 작가들은 여정을 따라가며 만나게 되는 새로운 대상들 을 끊임없이 인식하고 표현해야 하는 상황에 놓여 있기 때문에 여행 을 통해서 풍경·사물·인물에 대한 묘사와 그것에 대한 감정·인식들을 자연스럽게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여행을 소재로 한 문학 작품은 여 행의 과정에 주목할 때 작자의 인식이나 감정을 읽어낼 수 었다. 특히 여성의 기행 체험은 여성 작가의 감정이 밀도 높게 자리 잡고 있어서 그 현장에 대한 작자의 관심과 내면세계가 농축되어 나타나기 때문에 여성으로서의 정체성이 반영된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여성들에게 있 어서 여행 체험은 결핍된 문화적 욕구를 해소하고 자신의 정체성을 가다듬는 주요한 계기가 된다고 볼 수 있다. 특히 이러한 양상은 소정 이휘의 기행가사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난다고 볼 수 있다.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works done by Sojeong Lee Whee among female Gasa literatures produced after 20th century. Sojeong attracts attentions for creating many Gasa literatures and expressing various therres and subjects through Gasa literature. Her works deserve serious and enthusiastic study as Sojeong is acknowledged as a very imIx>rtant person in the field of female Gasa literature and her works will be highly influential on future directions of female Gasa literatures. So this study will analyze individual experience of the writer and her unique perspective based on travel Gasa literatures published in Sojeong Gasa which is a representative Gasa collection of Sojeong. Therefore, travel Gasa literatires among all the Gasa literatures written by Sojeong will be listed to define the range of analysis then the characteristics of travel Gasa literature written by Lee Whee will be analyzed The reason why female Gasa writers are focusing on the subject of travel can be revealed. The writers of travel Gasa need to aware new subjects and express them continuously during their journey so the description on landscape, object and human as well as emotion and awareness toward them can be shown. The emotions of female writer are deeply involved especially in travel experience of females so the identity as a female is reflected as the writer``s attentions and inner world on the place are expressed. In addition, travel experience for females can be an important opportunity to collect her identity and relieve cultural desires and this trend is noticeable in the Gasa literatures written by Lee Whee.

      • KCI등재

        친정방문 관련 여성가사에 나타난 유람의 양상과 의미

        최은숙 한서대학교 동양고전연구소 2017 동방학 Vol.36 No.-

        본고의 목적은 경남지역 여성기행가사에 나타난 유람의 양상과 의미 를 살피는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경남지역에 전승하는 여성기행가사 의 존재양상을 개관하고 친정방문을 목적으로 하는 작품 가운데에 유람 과 기행의 성격이 나타난 가사를 본격적으로 살폈다. 친정방문을 목적으로 한 가사에 나타난 유람의 목적은 두 가지이다. 친정 방문 자체가 유람의 과정인 경우와 친정 방문 이후의 유흥이 목적 인 경우이다. 전자의 여정이 ‘친정으로 가는 과정-친정 방문-산이나 유흥 지-유흥-귀로’로 정리될 수 있다면 후자는 친정 방문 이후 유람의 여정 과 유흥에 집중되어 있다. 친정 방문 자체가 목적인 경우 유람은 동질감의 확보와 치유의 과정 으로서 의미를 지닌다. <고원화류가>, <진식모형제사십년후기천가>, <사향가>의 경우가 대표적이다. 친정 방문 이후 유람과 유흥이 목적인 경우는 <갑오열친가>와 <열친답가>가 있다. 작품 내에서 가문을 상징 하는 장소가 이들 작품에서는 자연의 아름다움을 만끽하고 유흥의 분위 기를 조성하는 장소로 변환된다. 여기서 벌어지는 윷놀이는 승부욕을 자극하면서 서로에 대한 조롱과 경계를 유발하는 유흥의 장이 된다. 한 편 이러한 놀이성은 가사를 창작하고 서로 주고받는 과정을 통해 더욱 강화된다. 이로써 가사 창작과 유통은 현장의 즐거움을 강화하고 서로 소통하게 하는 중요한 문화적 행위가 되고 있다. 이상의 연구는 여성 가사 전승의 지역적 확대 및 새로운 작품 발굴 을 통한 여성 기행가사 정체성 연구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article is aiming at looking into the aspects and meanings of sightseeing represented in female travel lyrics in Gyeongnam area. For that, this article outlined existence aspects of female lyrics in Gyeongnam area, in earnest examining lyrics related to visiting married woman's parents's home. The purpose of the travel indicated in lyrics related to visiting married woman's parents' home is two. That is, the one aiming at visiting the parents' home itself and another aiming at entertainment after visit to the parents' home. Supposing the travel of the former can be summarized as "the process of going to the parents' home - visiting the parents' home - entertainment in a mountain or a resort, the latter is concentrated on itinerary of travel and entertainment after visiting the parents' home. In case of the travel whose only goal is visiting the parents' home, it is significant in that the visit becomes a process of securing a sense of kinship and healing. In case of the travel whose goal is to going sightseeing and entertainment after visiting the parents' home, it is significant in that the creation of distribution of lyrics reinforce playfulness and promotes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This study will greatly contribute to regional extension in transmission of female lyrics and the study on identity through discovery of new literary works.

      • KCI등재

        <영삼별곡>에 나타난 탐문의 특징적 형상화와 의미

        崔圭穗 洌上古典硏究會 2003 열상고전연구 Vol.18 No.-

        기행가사의 경우 18세기 이후에 작품 유형이 정립되고 19세기에 들면서 본격적으로 발전해가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하여, 기행가사에 관한 기왕의 논의들은 대체로 18세기 이후에 나타나는 변모의 징후에 주목하는 경향이 컸다. <영삼별곡> 역시 대부분의 기행가사의 후기적 변모상을 보여주는 징표로서 관심의 집중을 받아 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작품을 기행가사의 변화상을 보이는 사적 궤도하에 둠으로써 전기와 달라지고 있는 후기적 변모상에 대한 단서에의 주목을 강조하는 그간의 논의 경향은, 한 작품의 이해에 큰 조망을 열어줄 수는 있어도 작품의 겹겹이 싸인 특질을 낱낱이 헤아려 주기에는 미진한 감이 없지 않을 것이라 생각한다. <영삼별곡>의 경우 기행가사의 전개과정에서 기행가사가 지닌 관습적 틀의 지속성과 개성적 변이의 과정을 동시에 보여준다 생각할 때 그 구체적인 지점을 찾아내는 일은 의미 있는 이후 작업을 열 수 있는 중요한 지점이라 생각한다. 그런 점에서 <영삼별곡>이 18세기 기행가사의 변모상을 단적으로 보여주고 있기는 하지만, 그 변화라는 것도 어디까지나 전대와의 지속성 위에서 실현되는 것이므로 지속과 변화의 양 측면을 아우르는 시각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이러한 지속성의 근거는 다름 아닌 자연미 탐색의 기본 시각을 탐문의 형식으로 보여주는 지점들에서 충분히 찾아질 수 있다고 생각한다. 이 글에서 탐문의 형식을 중요시한 이유 역시 탐문의 특정적 형상화를 분석하는 작업을 통해 기왕의 논의에서 주목한, <영삼별곡>이 지닌 18세기 기행가사로서의 변모 징후가 보다 확연해질 수 있으리라는 기대를 가지고 있었기 때문이다. 이러한 의도로 살펴본 바 <영삼별곡>에서는 탐문이라는 방식이 흥미롭게 표출되고 있었는데, 대상지역의 기행에서 그때그때 탐문을 가능케 하는 인물의 등장이 바로 그것으로, 이 글에서는 이를 두 측면으로 나누어 살폈다. 이러한 실경적 인물의 다양한 활용은 결국, 기행의 여정을 좇아가며 대상 지역을 감상하는 서술이 작품의 전체적인 흐름으로 드러나고 있음은 분명하나 자의식의 표출이라는 측면에서 개인과 사회의 역사에 대한 작가의 생각을 끊임없이 나타내려는 의욕 또한 강한 편임을 내비치는 중요한 지점이라 할 수 있다. Previous debates on ‘Kihang Gasa’ showed a tendency to focus on changes since 18C on the ground that the pattern of ‘Kihang Gasa’ works has been settled after 18C and the song started development from 19C. <Youngsam Byulkok> has also become the center of interest in most discussions as a sign showing the aspects of transition on ‘Kihang Gasa’ Nevertheless, the tendency of discussion which stresses focusing in changes in latter period that is differentiating from the former period by putting this work in the historical orbit of transition of ‘Kihang Gasa’ is somewhat unsatisfied to explain in detail even thought it may open the view to understanding of a literary work. As <Youngsam Byulkok> shows both the continuity of conventional frame and characteristic transition process that are intrinsic in the developing process of ‘Kihang Gasa’, finding the specific point is the very important key to opening of significant work. In this point of view, though <Youngsam Byulkok> shows the changes of 18C ‘Kihang Gasa’, it is still important to put together both continuity and changes because the changes become realities on the basis of continuity with the former period. And the ground of this continuity is can be found at the place where basic viewpoint of seeking natural beauty is shown by the type of questioning. In this intention, we can find an interesting expression of questioning in <Youngsam Byulkok>. It is the appearance of a character who make it possible to inquire at the journey of object area. I will review this in two aspect in this thesis. This various application of characters is a important point which continuously shows the intention of the author about individual, society and history in terms of exposure of self-consciousness.

      • KCI등재

        화전가와 여성기행가사의 놀이와 여행 체험에 나타난 여성의식 비교

        박경주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17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Vol.0 No.34

        이 글의 목표는 규방가사 중에 여성의 여행체험이 주로 나타난 기행가사와 화전가 계열 작품들을 대상으로 작품에 나타난 여행 체험과 놀이의 특성을 비교 검토하고, 나아가 20세기 이후에 여성에 의해 창작된 기행가사 작품들에 19세기 작품들의 특성이 어떠한 방식으로 계승되었는가를 파악해보는 것이었다. 화전가와 19세기 여성작 기행가사는 여행이 자유롭지 않던 조선시대 말 사족층 여성들을 중심으로 주로 향유되면서, 제한적이지만 그들이 체험했던 여행의 노정과 견문, 개인적 감상 및 놀이 체험 등을 드러내는 통로로 활용되면서 여성의식의 발현에 기여했다. 특히 화전가는 놀이를 통한 여성간의 소통과 화합에 기여했다면 기행가사 쪽은 가문에 대한 과시와 여정을 중심으로 한 경물 소개에 더 핵심이 맞춰져 있다는 점에서 상대적 비교도 가능했다. 20세기 이후 1970년대까지 이르면서 여성들의 기행가사는 계속 창작되었는데, 지식층의 작품은 19세기 기행가사의 전통을 이으면서도 놀이적 성격은 배제하고 경물 묘사와 역사의식 제고 중심으로 나아간데 반해, 대중적 작품은 19세기 여성작 기행가사와 화전가가 지녔던 특징들을 아우르면서 놀이와 여행 체험을 동시에 시대 배경 속에 담아내는 특징을 보여주었다. 화전가가 놀이를 통해 여성간의 소통과 화합에 크게 기여했던 점이 20세기 작품에서는 상대적으로 약화된 측면이 있어 아쉬운 면모를 드러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ompare and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ravel experience and games shown in travel Gasa and Hwajenga works in Kyubanggasa, which describe mainly travel experiences of women. It further seeks to examine how the characteristics of 19th-century works were handed down to women's travel Gasa works in the 20th century and subsequent periods. Hwajenga and the nineteenth-century women's travel Gasa were mainly enjoyed by women of nobility in late Joseon Dynasty, when their travels were not free. Albeit to a limited extent, they were used as a pathway to reveal the women's journeys and journals of travel, personal appreciation of journeys and play experience. This contributed to awakening women's consciousness. Especially, Hwajenga was understood to contribute to women's communication and harmony through play, while travel Gasa was understood to be more focused on introducing articles with emphasis on boasting of their families and journeys, making a comparison. From the 20th century until the 1970s, women's travel Gasa continued to be created, offering the harmony of the features of the 19th-century women's travels Gasa and Hwajenga, and incorporating the backgrounds of the times. However, the fact that Hwajenga contributed greatly to the communication and harmony between women through play was handed down in the 20th century works, but it was regressed in certain aspects.

      • KCI등재

        재미작가 홍언의 미국기행시가에 나타난 디아스포라적 작가의식

        박미영(Park Mi-Young) 한국시조학회 2006 시조학논총 Vol.25 No.-

        기행문학이란 기행지의 풍물과 체험, 감회를 기록하는 것에 그치는 것이 아니다. 自我와 맞닥뜨리는 자연, 현상, 그리고 타인이라는 他者에 대한 다양한 입장과 시각이 표출되기 마련이다. 따라서 인간이 기행하고 있는 공간은 현실적 체험의 공간으로 현실의 법칙이 적용되면서도 자신이 추구하는 정신적인 지향점을 찾아 나서는 내면화의 공간으로서 그 반응 양식에 주목해야 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일제강점기 동안 미국에서 활약한 작가 홍언(洪焉: 1880~1951)의 美國 紀行 詩歌-가사와 시조를 연구대상으로 한다. 이들 작품에서 홍언이 체험하고 표현하는 미국의 풍물과 문화에 대한 인식을 고찰하고, 이에 따른 작가 의식의 변모를 논의한다. 1936년과 37년, 그리고 1949년 두 차례에 걸쳐 『신한민보』에 발표하는 미국기행 시가를 중심으로 논의한 작가의식은 다음과 같다. 먼저 첫 번째 기행가사에서는 돌아갈 고국이 있음을 전제한 망명자로서 내면적 갈등이 드러난다. 즉 인디언을 통한 정체성 상실과 이민자들의 비참한 노동 현장을 보면서 미국에 대한 비판적인 시선을 보내면서 향수에 젖어 끊임없이 고국으로의 귀환을 갈망한다. 두 번째 기행시조에서는 돌아갈 고국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돌아가지 못하게 된 현실에서 갈등한다. 즉 조국 귀환에로의 욕망이 좌절되면서 현지에 대한 친화적인 시선을 보이면서 이민지에서의 정체성을 확립하려는 자아의 노력이 드러난다. 위에서 논의한 홍언의 작가의식의 변모를 바탕으로 코리안 디아스포라 문학의 본질에 대해 가설적인 좌표를 마련해 보았다. 이민지인 현지와 조국에 대한 긍저적, 부정적 태도에 따라 좌표를 설정하였다. 홍언은 한국의 독립이라는 큰 사건을 계기로 조국에 긍정적이면서 현지에 부정적인 태도에서 그와는 정반대인 조국에 대해 부정적이면서 현지에 긍정적인 태도로 전환한다. 이 전환과정에서 홍언은 현지의 이데올로기를 그대로 수용하는 것이 아니라 한국적으로 재이미지화하고 있다. 이런 점에서 본고에서 고찰한 홍언의 기행 시가는 이민지인 미국의 자연과 인간이라는 복합적인 관계를 한꺼번에 표현하는 것으로서 그의 정신적인 궤적은 고국/이민지, 자아/타자, 향수/현실적응 등등의 현재 이산(diaspora), 혹은 후기 식민(post-colonial) 문학 연구의 초점이 되고 있는 복잡미묘한 정체성확인 지표를 제공한다. 이를 통해 현재까지도 존재하며 앞으로도 확산될 이민지 작가들의 정신적 지향-고국과 이민지라는 두 힘의 관계양상 속에서 향수와 현지적응에의 노력이라는 정체성 확인에 대한 다양한 축을 마련하게 될 것이라 본다. This study focuses on Korean-American writer Hong-Eun(l880~1951)'s American travel gasaes and sijoes who played an active role under the rule of Japanese imperialism. This study also investigates Hong-Eun's experience and expression on American travel and culture and discusses his changes in stream of consciousness. According to American travel sigaes which were published in the New Korean Times in 1936, 1937, and 1949, his consciousnes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ravel siga depicts his inner conflict as a refugee who lost one's home country. That is to say, by observing Indians' losing identity and their miserable labor conditions, he developed his own critical eyes on American society. Eventually he missed his country desperately and sought for the ways of his returning there. Second travel sijo reveals his own agony about not be able to return his home country where he could possibly visit. In other words, after suffering from his agony, it is evident that he started to take positive attitude towards American society and establish his own identity. Based upon Hong-Eun's changes in consciousness as a writer, the researcher hypothesizes that there exists Diaspora-Consciousness in his work. His consciousness is strongly related with his attitude towards his home country whether it is positive or vice versa. When his home country declared her independence, his attitude towards immigrant society was positively changed, which was quite contradictory from his previous one. In this transition period, not only he accepted American ideology and life, but he re-conceptualized them as a Korean mode. In sum, Hong-Eun's mental traces lie on the core of hybrid and diaspora which Post-Colonial literature values highly of.

      • KCI등재

        일반논문 : 장흥가사의 특성과 의의 -작품 현황과 연구 동향을 중심으로

        김신중 ( Shin Chung Kim ) 한국고시가문학회 2011 한국시가문화연구 Vol.0 No.27

        장흥가사는 장흥 사람에 의해 제작되었거나, 장흥을 배경으로 성립된 가사작품이다. 이 글은 바로 그러한 장흥가사의 특성과 의의를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따라서 연구 대상을 장흥의 전통가사에 한정하였으며, 장흥가사의 범주에 드는 작품 현황 검토 및 연구 동향 분석을 중심으로 목적에 접근하였다. 논의한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작품 현황이다. 그동안 장흥가사로 취급되어 왔거나 새로 발굴된 작품들에 대한 검토를 통해 장흥가사를 모두 9편으로 분류하였다. <관서별곡>, <천풍가>, <금당별곡>, <임계탄>, <자회가>, <권학가>, <초당곡>, <인일가>, <장한가>가 그것이다. 이어 장흥가사에 대한 연구 동향을 작품에 대한 개별적 접근과 지역적 접근으로 나누어 고찰하였다. 그 결과 장흥가사는 조선 후기의 기행가사·교훈가사·현실비판가사가 주류를 이루면서, 각 유형의 작품들이 모두 나름대로의 문학사적 의의를 지니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Jang-heung Gasa is one of the Gasa written by Jang-heung people or setting Jang-heung. The purpose on this article is to say the features and significances about Jang-heung Gasa. Therefore, I limited research topic to traditional Jang-heung Gasa and came at it focused on the analysis of statue of work and trends of studies. Major discussions are as below. First, I focused on status of works. I classfied Jang-heung Gasa in nine pieces by examining works both regarded as Jang-heung Gasa up to now and found newly. Those are <Gwan-seo-byeol-gok>, <Cheon-pung-ga>, <Geum-dang-byeol-gok>, <Im-gye-tan>, <Ja-hoe-ga>, <Gwon-hak-ga>, <Cho-dang-gok>, <In-il-ga>, <Jang-han-ga>. Also I considered on trends of studies in two aspects of individual and local approaches on works. I found out that each type of works has literal importance because the Travel Gasa, Didactic Gasa and Reality-critism Gasa became main stream in the late Joseon Dynasty.

      • KCI등재

        日本 紀行歌辭의 계보와 日本觀의 변모양상

        박애경 열상고전연구회 2006 열상고전연구 Vol.23 No.-

        이 글의 목적은 조선 후기부터 일제 강점기에 사이에 씌여진 세 편의 일본 기행가사를 통해 일본관의 변화를 살피려는 것이다. 이를 위해 18세기 저작인 <일동장유가>, 한말 저작인 <유일록>, 일제 강점기에 나온 「東遊感興錄」을 대상으로 삼았다. 일본 기행가사에 나타난 일본관의 의미를 당대 문화적 환경과 관련하여 살피기 위해 먼저 공식적 여행의 체험을 그린 사행가사가 나오게 된 배경을 가사 장르 자체의 변화와 관련하여 살펴보았다. 또한 사행가사가 유학자이자 관료인 작가의 공적 여행의 기록인 동시에 조선 지식층의 내면의식을 보여주는 통로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3편의 일본 기행가사는 주권 왕조에서 식민지로 급전직하한 국가 운명만큼이나 달라진 대일관을 보여주고 있다. <일동장유가>가 화이관의 지속을 보여준다면, <유일록>은 화이관의 지속과 균열을 보여주는 동시에 일본에 대한 양가적 시선을 드러내고 있다. 일제 강점기 통치정책의 하나로 시행된 내지 시찰의 경험을 담은 「동유감흥록」은 말할 것도 없이, 식민지 담당자의 의도에 포섭된 자의 시선이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이렇듯 일본 기행가사에는 조선 후기 이후 달라진 대일 관계와 양국의 지위, 한학과 유학을 하던 조선의 전통적 지식층들이 시대의 변화를 바라보는 관점이 유장한 호흡 속에 나타나 있다. 따라서 일본 기행가사는 일본관 형성의 기저, 조선 지식층들의 대외 인식의 일단을 살피는 시대적 기록으로서의 가치가 크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guire the change of an awareness of Japan through 3 works of Ilbon Kihaeng Kasa (Kasa which discribes the experience of a travel in Japan) written in the late of Chosun Dynasty and in the colonial period. For this purpose, this study deals 'Ildongjangyuga(日東壯遊歌)' written in the 18C, 'Yuilrok(游日錄)' written in the late of 19C and 'Dongyugamheungrok(東遊感興錄)‘ written in the colonial period. For analizing the meaning of an awareness of Japan in relation to the cultrural circumstance at that time, this styudy observes the condition for forming Sahaeng Kasa, as the records of the experience of official trip to other contries with a focus on the transformation of Kasa. In addition, this study tries to verificate the fact that Sahaeng Kasa was not only the records of official trip to other contries by the Confucian bureaucrats but also the path to come out their inner consciousness. Each work represents different view of Japan as a consequence of the change of the nation status from a sovereign dynasty to a colony. The meaning of Ilbon Kihaeng Kasa can be summarized as the records of an age which present the origin of a view of Japan as much as the understanding other contries of the intellectuals in Chosun Dynas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