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항공디지털카메라 영상을 이용한 수치지도 갱신

        황원순,김감래,Hwang, Won-Soon,Kim, Kam-Rae 한국측량학회 2007 한국측량학회지 Vol.25 No.6

        As the availability of images from Airborne Digital Camera with high resolution is expanded, a lot of concern are in the production and update of digital map. This study presents the method of updating the digital map at the scale of 1/1,000 using images from Aerial Digital Camera. Geometric correction was completed using GPS surveying data. For digital mapping, digital photogrammetric system was utilized to digitize buildings and roads. The absolute positional accuracy was evaluated using GPS surveying data and the relative positional accuracy was evaluated using the digital map produced by analytical mapping. The absolute positional accuracy was as follows: RMSE in X and Y were ${\pm}0.172m\;and\;{\pm}0.127m$, and average distance error was 0.208m. The relative positional accuracy was as follows: RMSE in X and Y were ${\pm}0.238m\;and\;{\pm}0.281m$, and average distance error was 0.337m. Accuracies of updating digital map using images from airborne Digital Camera were within allowable error established by NGII. Consequently, images from airborne Digital Camera can be used in various fields including the production of the national basic map and the GIS of local government. 국내에 고해상도 지도제작용 항공디지털카메라 영상의 도입 및 공급이 현실화됨에 따라 항공디지털카메라 영상을 이용한 수치지도의 제작 및 갱신에 많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본 연구는 푸쉬부룸 항공디지털카메라 영상을 이용하여 기존의 1/1,000 수치지도의 갱신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GPS측량성과를 이용하여 기하보정을 수행하고, 수치도화를 위해 수치사진측량시스템을 이용하였다. 수치도화는 건물 및 도로를 묘사하였고, GPS측량성과를 이용하여 절대위치정확도 평가와 해석도화에 의해 제작된 수치지도를 이용하여 상대위치정확도 평가를 수행하였다. 절대위치정확도 평가결과, RMSE가 X, Y축으로 각각 ${\pm}0.172m,\;{\pm}0.127m$, 평균거리오차는 0.208m, 상대위치정확도 평가결과, RMSE가 X, Y축으로 각각 ${\pm}0.238m,\;{\pm}0.281m$, 평균거리오차는 0.337m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시한 항공디지털카메라 영상을 이용한 수치지도 갱신방법은 국토지리정보원 규정의 허용오차 이내였으므로, 향후 국가기본도 제작은 물론 지자체의 GIS사업 및 다양한 분야에 활용할 수 있다.

      • KCI등재

        고해상도 SAR 영상의 기하 위치정확도 관련 중요변수 분석

        홍승환,손홍규,김상필,장효선 한국측량학회 2013 한국측량학회지 Vol.31 No.6

        The geolocation accuracy of SAR satellite imagery is affected by orbit and sensor information and externalvariables such as DEM accuracy and atmospheric delay. To predict geolocation accuracy of KOMPSAT-5 andKOMPSAT-6, this paper uses TerraSAR-X imagery which has similar spec. Simulation data for sensitivityanalysis are generated using range equation and doppler equation with several key error sources. As a result ofsimulation analysis, the effect of sensor information error is larger than orbit information error. Especially, onboardelectronic delay needs to be monitored periodically because this error affects geolocation accuracy of slantrange direction by 30m. Additionally, DEM accuracy causes geolocation error by 20~30m in mountainous areaand atmospheric delay can occur by 5m in response to atmospheric condition and incidence angle. SAR 위성 영상의 기하 위치정확도는 크게 시스템 내적 변수인 위성 궤도 및 센서 정보와 시스템 외적 변수인DEM 오차, 대기 지연 등에 영향을 받는다. 이러한 변수들이 현재 운용 중인 다목적실용위성 5호와 개발 중인 다목적실용위성 6호의 영상 내 기하 위치정확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유사한 제원을 지닌 TerraSAR-X 영상을 이용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오차 분석을 위해 경사거리 방정식과 도플러 방정식을 이용하여 시뮬레이션 데이터를 생성하였으며, 위성 궤도 변수, 센서 변수, 시스템 외적 변수에 대한 오차를 지상 좌표와 영상 좌표 간 관계식에 반영하여 해당 변수들에 대한 민감도 분석을 수행하였다. 오차 분석을 통해 저궤도 위성의 위치 및 속도 정보로 인한 영상 내 오차는 이중주파수 GPS 데이터 이용에 따라 20cm 내외로 크지 않음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센서관련 변수들이 위치정확도에 영향을 줄 수 있으며, 특히 센서 내 전자적 시간 지연은 경사거리 방향의 정확도에 영향을 크게 미쳐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시스템 변수 외에도 DEM 정확도에 의한 오차로인해 산지지역에서 영상 Geocoding 시 오차가 20~30m까지 크게 발생하고, 대기 지연 현상에 의해 오차는 입사각에 따라 5m까지 발생할 수 있어 영상 활용 시 이에 대한 고려가 필요함이 확인되었다.

      • 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 KCI등재

        실내 공간정보 활용을 위한 세밀도 모델

        강혜영,남상관,황정래,이지영 한국측량학회 2018 한국측량학회지 Vol.36 No.6

        As the map paradigm shifts from analog to digital, the LOD (Level Of Detail) of spatial information needs to be redefined. In this study, we propose 4- dimensional indoor LOD model which can be used in digital map environment. For this purpose, the limitation of the previous research is derived through study of related works, and based on this, four different LODs are defined such PLOD (Position accuracy LOD) based on position accuracy, GLOD (Geometric LOD) based on shape representation, CLOD (Complete LOD) based on generalization, and SLOD (Semantic LOD) based on theme accuracy. In addition, we describe the relationships among the four different LODs, and explain how to express the indoor LOD using the four different LODs and show examples. In the future, the case studies of indoor LOD adoption for various indoor services and the study of method for applying CLOD and SLOD to each feature should be performed to verify the feasibility and validity of proposed indoor LOD. 아날로그 지도에서 디지털 지도로의 지도 패러다임의 변화에 따라 공간정보의 세도 개념의 재정의가 필요 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지도 환경에서 활용될 수 있는 4차원 실내 세도 모델을 정의하다. 이를 위 하여 기존의 세도 개념의 한계점을 도출하고, 이를 기반으로 실내공간정보의 위치 정확도 기반의 위치 세도 (PLOD: Position accuracy Level Of Detail), 형상 표현기반의 기하 세도(GLOD: Geometric Level Of Detail), 일반화 기반의 완성도 세도(CLOD: Complete Level Of Detail), 주제 정확도 기반의 의미 세도(SLOD: Semantic Level Of Detail)의 4가지의 다른 세도를 정의하다. 또한, 본 연구에서 정의한 4가지의 서로다른 세 도간의 유기적 관계에 대해 설명하고, 이를 통해 실내 공간정보의 세도를 4차원으로 표현하는 방법과 적용 방 법 및 예시를 보다. 향후, 본 연구에서 제시한 4차원의 실내공간 세도의 효용성과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다양한 실내 서비스를 위한 세도 적용 사례 연구와 지형지물 별 완성도 세도와 의미 세도를 적용하기 위한 연구가 수행되어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