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淸代 祁州藥市에서 활동한 商人의 類型 分析

        이민호(Lee Min-Ho) 한국한의학연구원 2012 한국한의학연구원논문집 Vol.18 No.1

        This paper studied the premodern Chinese Medical Herb Market and commercial culture by analysing the structure and management of Qizhou(祁州) Medical Herb Market, the most representative herb market of the Qing(淸) Dynasty. The merchant of Qizhou(祁州) Medical Herb Market developed 'guild halls(會館)' or 'regional merchant groups(地域商帮)' and form a strong regional bond. These local merchants brought medical herbs from their hometown to Qizhou(祁州) to sell, and bought herbs that were not produced in their hometown or valuable medical herbs from Qizhou(祁州) Medical Herb Market. Qizhou(祁州) Medical Herb Market was a space of various types of business managements. The major business of Qizhou(祁州) Medical Herb Market was herb trade but merchants of other related industries were also active. The thtive of 'Wu Da Hui(五大會)' reflects this.

      •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의 기주선호도 및 먹이조합에 따른 발육기간

        권혜리,윤규식,강민아,박민우,조신혁,신효섭,김세희,강은진,서미자,유용만,윤영남 한국응용곤충학회 2010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0 No.10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의 기주선호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서리태와 헤어리베치 를 기주식물로 하여 충태(약충, 성충)별로 어떠한 기주에 머무는지 2시간 간격으 로 하루에 6회 방문율을 조사하였다. 약충은 기주(p=0.489)에 대한 방문율의 유의 성이 나타나지 않았지만, 성충의 경우 서목태(p=0.016)를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 타났다. 하지만 약충과 성충 모두 시간대에 대한 기주선호도의 유의성(p>0.050)은 나타나지 않았다. 서목태와 헤어리베치를 기주로 먹이조합을 세 가지(plant, seed, plant+seed)로 나누어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의 발육기간을 조사하였다. 기주식물 만 먹이로 제공하였을 경우, 2령까지 생존하였고 더 이상의 발육은 진행되지 않았 다. 종자만 제공한 경우, 기주가 헤어리베치일 때 대부분 5령 이하로 생존하였고, 성충으로 제대로 된 발육이 진행되지 않았다. 기주가 서목태일 때는 성충까지 발 육이 진행되었으나, 산자력은 확인하지 못하였다. 기주식물과 종자 모두 먹이로 제공한 경우 헤어리베치보다 서목태일 때 발육기간이 더 짧게 나타났다. 따라서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의 기주로 헤어리베치보다 서목태가 더 유리한 것으로 나타 났으며, 헤어리베치에서는 생활환을 완성할 수 없을 것으로 추정된다.

      • KCI등재

        조선 죽지사의 두보 「기주가」 변용 양상 연구

        최고경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9 인문과학연구 Vol.0 No.60

        Jukjisa(竹枝詞) is a 7 quatrain series poem that has an ethnic quality and the nature of a folksong, and it originates from Jukjisa by Liu Yuxi(劉禹錫). Besides Yoo Seok’s works, Jukjisa by Su Shi(蘇軾), KijuJukjiga by Fan Cheng Da(范成大) and Kijuga by Du Fu(杜甫) have also influenced the Chosun Jukjisa, resulting in the production of various works. In this way, Chosun Jukjisa is derived from various sources. but the example of Kijuga by Du Fu is especially noteworthy because of the complexity of how it has been used, with different writers using it in different ways. Kijuga is a mixture of Jukjisaesque elements and elements that diverge from the Jukjisa form, so it cannot be said to be a complete Jukjisa. Therefore, among the writers who have drawn upon this work, there are some people who have brought the Kijuga into the realm of Jukjisa and others who have not. Lee Ha-gon and Jeong Won-yong are examples of the former, adopting and exploiting the Jukjisaesque aspects of the work. Lee Ha-gon recognized the 'Kijugache' as containing the characteristic customs of the region and depicted the lives of potters in Gwangju Bunwon in detail. Jeong Won-yong dealt with the distinctive local product and customs of Hoeryong, Hamgyong Province. But at the same time, he also composed some works that do not share the characteristics of Jukjisa, thus demonstrating another modified form of Kijuga. There are also works that do not contain any elements influenced by the Jukjisa, the authors having chosen to adopt the parts of Kijuga that do not correspond to the Jukjisa form. These various modifications show that the Kijuga by Du Fu played a considerable role in the origin of Chosun Jukjisa. The work of exploring the origin of Chosun Jukjisa is an important aspect in the study of Jukjisa because it is the basis for clearly confirming how Jukjisa was perceived by the literary men of the Chosun era. 죽지사는 토속적·민가적 성격의 7언 절구 연작시로, 당나라 유우석(劉禹錫, 772~842)의 「죽지사」를 기원으로 한다. 유우석의 작품 외에도 소식의 「죽지가」, 범성대의 「기주죽지가」, 두보의 「기주가」 등이 조선 죽지사에 영향을 끼쳐 다채로운 작품을 생산하였다. 이처럼 죽지사의 연원이 다양하게 있지만, 두보의 「기주가」 경우에는 수용 양상이 단순하지 않고 작가에 따라 다르게 변용되어 주목된다. 「기주가」는 죽지사적인 요소가 있는 것과 그렇지 않은 것이 섞여 있어 완전한 죽지사라고 할 수 없는 특징을 지닌다. 이에 이 작품을 표방한 문인들에 따라 「기주가」를 죽지사의 영역으로 끌어들인 사람도 있고, 아닌 경우도 포착된다. 이중 이하곤과 정원용이 「기주가」 가운데 가장 죽지사적인 면모를 가진 부분을 받아들여 활용한 예이다. 이하곤은 ‘기주가체’를 그 지역의 특징적인 풍속을 담은 것으로 인식하고 광주 분원 도공들의 삶을 자세히 묘사하였다. 정원용은 함경도 회령의 특징적인 토산과 풍속을 다루었으나, 죽지사적인 성격을 지니지 않은 것도 함께 지어 「기주가」의 또 다른 변용 양상을 보였다. 이하곤과 정원용의 경우 외에 「기주가」 속 죽지사적인 성격을 수용하지 않고 운만 차용한 작품도 있다. 이러한 다양한 변용 양상은 두보의 「기주가」도 조선 죽지사의 연원에 상당한 기여를 하였음을 보여준다. 죽지사의 연원을 탐구하는 작업은 조선 시대 문인들이 죽지사를 어떻게 인식하였는지를 추단할 수 있는 근거가 되므로 죽지사 연구에 중요한 지점이 된다.

      • KCI등재

        쌍자엽 식물아강(관속식물문 : 피자식물강)의 잡초가해 곤충상

        추호렬,우건석,박영도,Patrick J.Shea 한국응용곤충학회 1992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31 No.4

        한국산 쌍자엽식물아강에 속하는 잡초가해곤충과 기주특이성을 조사한 결과 잡초 39속 54종으로부터 곤충이 가장 많이 채집된 것은 마디풀목으로 22속 24종이었고 쐐기풀목과 중심자목에서는 17속 17종이 채집되었다. 그외의 목에서는 쥐방울덩굴목의 1속 1종에서 통화 식물목의 12속 12종까지 다양하였다. 쐐기풀목에서 채집된 17종의 곤충중 삼과의 환삼덩굴에서 Bares sp. 바구미가 기주특이성을 나타내면서 잎을 산공형으로 가해하고 있었고, 마디 풀목에서는 참소리쟁이와 소리쟁이에서 소리쟁이진딧물과 좀남색잎벌레의 가해능력이 뛰어났으며 기주특이성이 있었다. 여뀌류와 고마리에서는 잎벌레인 Lypesthes japonicus의 가해능력이 가장 우수하였고 길쭉바구미류(Lixus spp.)도 빈번하게 채집되었다. 그리고 개여뀌에서는 처음으로 백합관총채벌레가 채집되었다. 며느리밑씻개에서는 미동전된 자나방이, 며느리 배꼽에서는 털꼭지바구미(Miarus atricolor)의 가해가 심하였다. 중심자목에서는 흰명아주와 명아주에서 애남생이잎벌레가 기주특이성을 나타내면서 잎을 가해하고 있었다. 한편, 콩밭에서 콩잎을 가해하고 있던 담배거세미나방 유충이 하층식물인 명아주와 개비름의 잎을 심하게 가해하고 있었는데 잡초가 해충발생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도금양목의 달맞이꽃류에서는 벼룩잎벌레(Altica oleracea)가 종종 채집되었고 통화식물목의 까마중은 목화진딧물의 피해를 받고 있었으며 홍다리줄벼룩잎벌레(Phylliodes brettinghami)가 처음으로 채집되었다. 질경이목의 질경이에서는 노린재류외에 줄무늬긴발벼룩잎벌레(Longitarsus scutellaris), 보라잎벌레(Hemipyxis plagioderoides)가 처음으로 기록되면서 기주특이성을 나타내었다. 노린재류도 많은 잡초에서 빈번하게 채집되었으나 가해유무는 확인하기 어려웠고 섬서구메뚜기도 많은 종류의 잡초를 가해하고 있었다. Phytophagous insects associated with Dicotyledoneae weeds and host specificities in the field populations were investigated for the survey of biological control agents of weeds in Korea. Fifty four weed species in 39 genera were collected during the survey. The most insects were collected from Polygonales by 24 species in 22 genera and followed by Urticales and Centrospermales by 17 species of 17 genera. The insects collected in the other weed orders were ranged from 1 to 12 species. Out of 17 insect species collected in Urticales, Baris sp. damaged the leaves of Hamulus japonicus in Cannabinaceae as scattered holeshape and showed host specificity. In Polygonaceae, Rumex japonicus and R. crispus were severely damaged by Aphis rumicis and Gastrophysa atrocyanea. G. atrocyanea leaf beetle had host specificity on R. japonicus and ate all the leaves except veins. The leaf beetle, Lypesthes japonicus was a potential biological control agent by feeding leaves of Persicaria spp .. And Lixus spp. were also often collected from Persicaria spp .. Liothrips vaneeckei was first collected from weed, P. modosa. P. senticosa was damaged by unidentified geometrid moth larvae and P. perfoiliata by Miarus atricolor snout beetle. Cassida piperata damaged leaves of Chenopodium album of Centrospermales and showed host specificity. In a soybean field, C. album and Amaranthus mangostanus were severely damaged by Spodoptera litura larvae which were eating soybean leaves. This phenomenon indicates that the presence of weed in cultivated land influences the outbreak of insect pests. Altica oleracea leaf beetle was frequently collected from Oenothera spp. of Onagraceae in Myrtales. Aphis gossyphi was outbroken on Solanum nigrum and Phylliodes brettinghami leaf beetle was first recorded on the same plant. Leaf beetles, Longitarsus scutellais and Hemipyxis plagioderoides were first collected from Plantago asiatica of Plantaginaceae in Plantaginales. They showed host specificities in the fields. The hemipterans were collected from many weeds during the survey and their roles on weeds should be investigated. A tractomorpha bedeli was also collected from many kinds of weeds in forest areas.

      • KCI등재

        갈색날개매미충 발육단계별 선호 목본 기주의 선별

        정다경,박홍현,박창규,백성훈 한국응용곤충학회 2023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62 No.3

        대표적인 돌발 해충인 갈색날개매미충은 기주 범위가 넓고, 농경지만이 아니라 인근 야산, 산림 지역에도 분포하여 개체군 관리가 어려운 해충 중 하나이다. 따라서, 갈색날개매미충의 방제 효율을 증대시키기 위해서 농경지 작물 외에도 인근 산림에 분포하고 있는 목본식물에 대한 갈색날개매미충 발육단계별 선호도 조사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과수원 주변과 조경수, 산림의 주요 목본 식물들을 대상으로 갈색날개매 미충 발육단계별 선호도를 현장에서 조사하고, 선행 연구결과들과 비교하여 선호도가 높은 식물들을 선정하였다. 현장 조사와 선행 연구결과를 통하여 갈색날개매미충의 잠재적 목본 기주식물을 정리한 결과, 총 53과 120종이 확인되었고, 갈색날개매미충의 전 발육단계에 걸쳐 선호도가 높았던 기주는 산수유, 때죽나무에 불과하였으며, 발육단계별로 선호하는 목본 식물이 달라졌다. 발육단계에 따라서 선호 기주가 변동되는 이유는 발육단계별로 선호하는 부위가 다르고, 생존에 필요한 물질에 따라서 기주가 선정되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본 연구결과는 농경지 경제작 물뿐만 아니라, 농경지 주변 및 산림내 갈색날개매미충의 종합적인 방제 대책 수립에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한다. The management of Ricania spp. is difficult because this pest has a wide host range and diverse habitats such as agricultural, suburban, urban, and forested areas. However, the researches for Ricania spp. management have been focused on only agricultural crops. Thus, it is required to determine the arboreal host preference of Ricania spp. at the surrounding areas of the farms to increase its management efficiency. To determine its host preference at arboreal plants, we reviewed the previous studies and investigated the densities of Ricania spp. at woody plants with high ecological importance but insufficiently studied. This study identified 120 species in 53 families of arboreal hosts of Ricania spp. Only Cornus officinalis and Styrax japonicus were preferred by all developmental stages of Ricania spp. The host preference of Ricania spp. was changed according to its developmental stages. This phenomenon would be caused by that each developmental stage of Ricania spp. would prefer different parts of woody plant, and require different nutrients for its survivor and reproduction. Thes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helpful to make a plan of comprehensive management strategies for Ricania spp.

      • 기주에 따른 팥바구미(Callosobruchus chinensis L.)의 산란 선호성 및 성장

        김슬기,이수미,신병식 한국응용곤충학회 2016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6 No.10

        팥바구미(Callosobruchus chinensis L.)의 산란 선호성 및 성장조사를 위해 6가지 콩과식물 종자인 팥, 흑태, 백태, 서리태, 서목태, 강낭콩을 선택, 실험을 하였다. 각 종자당 산란수는 팥 1.23개, 흑태 0.61개, 백태 0.69개, 서리태 1.05개, 서목태 1.13개로 나타났으며, 기주식물에 따라 성장시간이 2배 이상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화율은 팥, 서리태, 흑태, 백태, 서목태( 83.33%, 28.23%, 27.87%, 20.44%, 11.59%), 순으로 나타났으며, 모든 종자에서 팥과 4배 이상의 차이를 보였다. 강낭콩에서 우화는 전혀 없었다. 성충수명은 암컷보다 수컷이 대부분 길었고 암컷의 경우 팥 9.43일, 서리태 8.86일, 흑태 7.88일, 백태 7.17일, 서목태 6.80일로 나타났다. 각 성충의 무게는, 암수모두 팥에서 가장 무겁고, 수컷은 서목태, 암컷은 백태에서 최소무게를 나타냈다. 결과적으로, 팥바구미는 팥 이외의 기주에서는 산란, 우화율, 성충수명, 성충무게 감소가 나타난 반면 우화시기는 증가하였다, 한편 강낭콩은 팥바구미 기주로서는 부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 담배거세미나방(Spodoptera litura Fabricius)의 발육에 미치는 기주와 온도의 효과

        김용균,설동하,이영인 安東大學校 農業科學技術硏究所 1995 農業科學技術 硏究論文集 Vol.2 No.-

        기주와 온도에 따른 담배거세미나방(Spodoptera litura Fabricius)의 발육 생태를 조사하기 위해 각 처리에서 알, 유충, 번데기 및 성충 기간이 조사되었다. 네 가지 온도(22.8, 24.4, 25.0, 29.5℃)에서 조사된 이 해충의 발육기간은 온도의 상승에 따라 빨라졌고 기주 식물간에는 콩잎에서 보다 배추에서 바육속도가 더 빨랐다. 온도는 알, 유충, 번데기, 성충의 모든 발육기간에서 영향을 주었으나 기주식물간 효과는 유층과 번데기 기간에서만 차이를 나타냈다. 기주별 발육임계온도 추정치는 배추에서는 12.0℃, 콩잎에서는 9.4℃로 서로 달랐으며 이 해충이 알로부터 성충까지 발육하는데 있어서 콩잎에서 보다 배추에서 적은 유효적산온도이 요구되었다. Developmental biology of the tobacco cutworm, Spodoptera litura Fabricius, was analyzed by use of different diets and tenperatures. Traits measured included egg, larval, pupal, and adult periods. Under four different favorable temperatures (22.8, 24.4, 25.0, and 29.5℃) for development of the pest, developmental periods were shorter at higher temperatures and on the oriental cabbage tham on the soybean leaves. Temperatures gave significant effects on developmental rates of all stages, shile diets did only on those of larval and pupal periods. Estimates of threshold temperatures for development of the pest were different in those diets: 12.0℃ on the oriental cabbage diet and 9.4℃ on soybean diet. Less thermal units were needed for egg to adult development of the pest on the oriental cabbage than on soybean leaves.

      • 기주의 열음향진동에 관한 연구

        권영필,이병호 대한기계학회 1987 대한기계학회논문집 Vol.11 No.2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점들을 보완하여 Fig.1에 도시한 Rijke 관에서 나선형 가열기에 의한 음향력의 발생량을 계산하고 기주진동을 일으키는데 필요한 가열량을 계산하고 기주진동을 일으키는데 필요한 가열량을 구하였다. 이론을 뒷받침하기 위 하여 실험을 하고 결과를 비교 검토하였다. Thermoacoustic oscillation of an air column induced by heated wires is investigated analytically and experimentally. Acoustic power generation from a single heater wire is estimated based on the result of heat transfer analysis and expressed in terms of the efficiency factor indicating the conversion efficiency from heat to acoustic energy. It is shown that the efficiency factor becomes maximum when the wire radius is the order of the coustic boundary layer thickness and the flow velocity is close to the thermal diffusion velocity. Onset condition of the column oscillation is obtained by equating the acoustic power generation at the heater to the power loss due to thermoviscous dissipation at the tube wall and the convection and radiationloss at the open ends of the tube. In estimating the acoustic power generation, the heater is treated as a stretched single wire by correcting the flow velocity to take into account the interactions between adjacent heater wires. Experiment is performed by using a spiral heater of 1mm diameter in an air column of 37mm diameter. The heat input to drive the oscillation is measured and compared with the theoretical prediction. A good agreement is found between the theory and experiment, which is regarded as a substantial verification of the present analysis.

      • 전북지역 갈색날개매미충 분포 및 기주범위와 온도발육

        임주락,문형철,김종철,이주희,한민영,송영주 한국응용곤충학회 2011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1 No.10

        전북지역에서 2010년 7월 순창군 인계면 복분자와 주변 두충나무에서 최초 발견된 갈색날개매미충은 국내 보고된 먹날개매미충과 유사하나 다른 종으로 보고되었고, 외부에서 유입된 외래해충으로 추정하고 있다. 전북지역에서 갈색날개매미충의 분포현황을 알아보기 위해 2011년 순창군 인계면을 중심으로 한 순창군 11개면과 김제시 금구면 주변을 대상으로 조사를 하였으나, 발생이 보고된 지역 외에는 발생을 하지 않았고, 최근 완주군 소양면에서 발생이 보고되었다. 이들 발생지역을 대상으로 2010년에서 2011년까지 갈색날개매미충의 기주범위를 조사한 결과 순창군 인계면에서는 두충나무, 복분자, 감나무, 뽕나무, 느티나무, 은행나무, 두릎나무, 오가피, 서양참나무, 이팝나무, 사철나무, 장미, 골담초, 백일홍, 블루베리 등 16종의 기주에서 발견이 되었으며, 김제시 금구면에서는 산수유, 매실, 밤나무, 단풍나무, 철쭉, 참나무, 붉나무, 싸리나무, 느티나무, 아카시아 등 목본류 11종과 칡, 쑥, 승마, 원추리 등 초본류 4종에서 발견되고, 완주군 소양면에서는 감나무, 블루베리, 느티나무, 두릎나무 등 4종에서 발견되어 총 29종의 기주를 확인하였다. 이 중에서 두충나무, 감나무, 느티나무, 산수유, 매실, 밤나무, 단풍나무, 블루베리 등 8종의 기주를 주로 선호하였다. 갈색날개매미충의 약충을 대상으로 온도발육을 조사한 결과 1령에서 5령까지 4회의 탈피를 하고 성충으로 우화하였으며, 각 약충태별 발육기간은 25±1℃ 실험 실내에서 1령 5.5일, 2령 7.7일, 3령 8.5일, 4령 8.9일, 5령 10.6일 정도이고, 온도가 높을수록 빨라지는 경향이며, 15℃에서는 우화를 하지 못하고 사망하였다. 우화 후 성충은 약 2개월 정도는 산란을 하지 않았다.

      • KCI등재

        파밤나방의 기주 및 피해조사

        고현관,박종대,최용문,최귀문,박인선 한국응용곤충학회 1991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30 No.2

        파밤나방의 기주로 채소 13종, 전작물 12종, 화훼 6종, 기타 11종 등 총 42종이 확인되었고 그중 25종이 새로운 기주로 조사되었다. 파밤나방에 의한 파의 지역별 피해주율은 완도 85%, 진도 86%, 해남 78%였고 서산 1.9%, 아산 1.5%, 청양 1.4%였다. 전남지역에서 파를 제외한 기타 작물에서 파밤나방에 의한 피해주율은 감자 95%, 옥수수 94%, 양배추 82%, 녹두 83%, 콩 56%, 배추 43%, 고구마 43%였다. 충남지역에서 파밤나방의 천적으로 녹강균과 핵다각체바이러스가 동정되었고 기생율은 9.2~3.7%였다. 전남 광주의 들깨 포장에서의 녹강균에 의한 기생율은 7월 5일 13.4%, 8월 7일 28.9%, 9월 10일 18.5%였다. Larvae of beet armyworm. Spodoptera exigua are extremely polyphagous. A total of 42 host p plants were identified in the field observations. Among them, vegetables were 13 species. upland crops 12 species, flowers species, and others including weeds 11 species. The damage by b beet armyworm was severe on Allium fistulosum in southern Chonnam. The percentage of hills d damaged was 86% in Jindo, Chonnam and 1.92% in Sesan. Chungnam. Nomuraea rileyi and nuclear polyhedrosis virus were identified on the larvae of Spodoptera exigua in Allium fistulosum fields and the percentage of parasitization was 4.3-9.7% and 3.2%, respectively. M Mortality of Spodoptera exigua larvae by Nomuraea rileyi in perilla was 13.4% in July 5, 28.9% in Aug. 7, and 18.5% in Sept. 10.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