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아리랑의 기원과 어원에 관한 연구

        김강산(Gim, Gang-san) 아시아강원민속학회 2015 아시아강원민속 Vol.29 No.-

        이 글은 아리랑의 기원과 어원에 관한 것으로 기존의 자료를 정리한 것이다. 아리랑의 기원과 어원은 아리랑의 역사만큼이나 다양한 내용이 존재한다. 왕조의 멸망, 고려의 멸망을 포함하여, 메나리설 등이 그것이다. 이러한 내용과 더불어 아라리의 어원, 아리랑의 본디 말 아라리에 대한 내용도 소개하고 있다. 다양한 설은 나름대로 의미가 있으며 역사를 가늠해 볼 수 있는 귀한 자료가 분명하다. 그럼에도 고증에 대한 부분은 좀 더 보완이 절실하다. 본 글이 이러한 논의 확대의 기초자료로서 활용되기를 바란다. This article summarizes the existing data relates to the origin and etymology of Arirang. The origin and etymology of Arirang is a variety of information exists as the Arirang history. Including the destruction of destruction, consideration of the dynasty, including menari will stand him. In addition to this information, the origin of ahrari, about Bondi ahrari end of Arirang also introduced. The stand has its own variety of means is clear that precious data to gauge history. Nevertheless, part of the historical research is urgently be more complementary. I hope this article has utilized Standing basis of these discussions expansion.

      • KCI등재

        ‘복성스럽다’, ‘볼썽’, ‘말썽’의 어원에 대하여

        조항범 ( Cho Hang-bum ) 국어학회 2015 국어학 Vol.76 No.-

        본고는 ‘복성스럽다’, ‘볼썽’, ‘말썽’의 어원을 구명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들을 함께 고려하는 것은 이들에 보이는 ‘성’과 ‘썽’이 기원적으로 동질의 것으로 판단되기 때문이다. ‘복성스럽다’의 ‘복성’에 대해서는 ‘福星’과 ‘福相’이라는 서로 다른 견해가 있어 왔다. 그런데 ‘복성스럽다(생김새가 둥그스름하고 도톰하여 복이 있어 보인다)’의 의미를 고려하면 ‘복성’은 ‘福相’에서 온 것이 분명하다. ‘복샹스럽다’가 ‘복상스럽다’ 또는 ‘복셩스럽다’를 거쳐 ‘복성스럽다’가 된 것이다. ‘볼썽’에 대해서는 이것이 ‘볼상’으로 소급하며, ‘볼상’의 ‘상’이 ‘相’이라는 점이 이미 지적된 바 있다. 다만 그 관련 양상을 자세히 설명하지는 못하였다. 만약 ‘볼썽’이 중세국어에 존재했다면 ‘*볼샹’이었을 터인데, 이는 ‘보다 [視]’의 관형사형 ‘볼’과 ‘샹(相)’이 결합된 어형이다. 이것이 ‘볼샹>볼셩’을 거쳐 ‘볼성’이 되거나 ‘볼샹>볼상’을 거쳐 ‘볼성’이 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말썽’에 대해서는 ‘썽’이 ‘성’으로 소급하며, 이것이 한자 ‘聲’이라는 설과 ‘-썽’ 자체를 접미사로 보는 설이 있었다. 그러나 이들 설은 잘못된 것이다. ‘말썽’의 ‘썽’ 또한 ‘相’에서 온 것이기 때문이다. 만약 ‘말썽’이 중세국어에 존재했다면 ‘*말샹’이었을 것이고, 이것이 ‘말샹>말셩’을 거쳐 ‘말성’이 되거나 ‘말샹>말상’을 거쳐 ‘말성’이 된 것으로 이해된다. This thesis is to trace the etymology of ‘복성스럽다’, ‘볼썽’ and ‘말썽’. Because each ‘성’ and ‘썽’ in these words are considered to have the same root in the origin, these three words are studied together. For the etymology of ‘복성’ in ‘복성스럽다’, there has been two different forms suggested; the one is ‘복성(福星, fortune star)’ and the other is ‘복상(福相, a face with luck written on it)’. However, when the ‘복성스럽다’ means that someone is quite plump and he or she has a plump and well-looking face, then, it is certain that the word came from ‘복상(福相)’. In the late 19th century literatures, there appeared ‘복 샹스럽다’, which is the former form of ‘복상스럽다’. The word ‘복샹스 럽다’ became ‘복상스럽다’ or ‘복셩스럽다’, and then ‘복성스럽다’ finally. The word ‘볼썽’ goes back to ‘볼상’, and ‘상’ in ‘볼상’ must be ‘상 (相), a shape’. However, the relation between them is so obscure that it is hard to find the relation. If there exists a word form meaning ‘볼썽’ in the middle age, it would be ‘*볼샹’, which is the combined form from ‘볼’ (a relative-adjective form of ‘보다’) and ‘샹(相)’. This became ‘볼샹>볼셩’, and then ‘볼성’, or became ‘볼샹>볼상’ and then ‘볼성’ finally. The ‘볼썽’ is either a written pronounced form of ‘볼성’ in real life or a transformed form from ‘볼쌍’. The ‘썽’ in ‘말썽’ goes back to ‘성’, and for the origin of ‘성’, there are two theories; in one theory, ‘성’ is considered as ‘성(聲)’(Chinese character meaning sound), and in the other theory, it is considered as ‘-썽’ (a suffix in itself). However, neither of these two ideas is correct, because ‘썽’ in ‘말썽’ came from ‘상(相)’ also. If there exists a word form meaning ‘말썽’ in the middle age, it would be ‘*말샹’, which became ‘말샹>말셩’, and then ‘말성’ or became ‘말샹>말상’ and then ‘말 성’ finally. The words like ‘말상, 말쌍, 말셩, 말성’ appear in the early 20th century literatures. The ‘말썽’ is either a written pronounced form of ‘말성’ in real life or a transformed form from ‘말쌍’.

      • KCI등재

        몇몇 ‘나무’ 이름의 어휘사 : ‘개암나무, 곰솔, 구기자나무, 물푸레나무’를 중심으로

        조항범(Cho Hang-Bum) 우리말학회 2020 우리말연구 Vol.63 No.-

        본고는 ‘나무’ 이름을 국어 어휘사의 관점에서 검토하여 궁극적으로는 그 어원을 밝히고자 하는 일련의 노력 가운데 하나이다. 본고에서 다룬 나무 이름은 ‘개암나무, 곰솔, 구기자나무, 물푸레나무’이다. ‘개암나무’에 대해서는 ‘개암’이 접두사 ‘개-’와 명사 ‘밤[栗]’의 결합체인 ‘*개ᄫᅡᆷ’에서 온 것이라는 기존의 설을 비판하고, 기원형 ‘*개ᄀᆞᆷ’이 ‘*개ᄋᆞᆷ’을 거쳐 나온 어형임을 추정하였다. ‘곰솔’에 대해서는 ‘곰’을 ‘熊’이나 ‘大’의 뜻으로 보는 기존의 설을 비판하고, 형용사 어간 ‘검-[黑]’의 변화형으로 간주하였다. 곧 기원형을 ‘검솔’로 잡고, 이것이 ‘곰솔’로 변한 것으로 파악하여 나무껍질이 검은색이어서 붙여진 이름으로 해석하였다. ‘구기자나무’에 대해서는 열매 이름 ‘구기자(枸杞子)’와 ‘나무’가 결합된 형태로 보고 ‘구기자가 달리는 나무’로 해석하였다. ‘구기자나무’ 이전에 ‘구긔(枸杞)’와 ‘구긔나모’, 그리고 열매 이름에서 나무 이름으로 전용된 ‘구긔ᄌᆞ’가 있었는데, 이들이 현대국어에 ‘구기, 구기나무, 구기자’로 이어졌으나 ‘구기나무’는 현재 표준어가 아님을 지적하였다. ‘물푸레나무’에 대해서는 기원형을 ‘*믈프레나모’로 잡고 이를 나무 이름 ‘*믈프레’에 ‘나모[木]’가 잉여적으로 결합된 어형으로 보았다. 그리고 ‘*믈프레’는 ‘믈[水]’과 ‘프레(프르-+-에)’로 분석하여 ‘물을 푸르게 하는 것’ 정도로 해석하였다. ‘*믈프레나모’는 ‘무푸레나무’로 변하여 20세기의 얼마간까지 쓰였으나 ‘ㄹ’을 회복한 ‘물푸레나무’를 표준어로 삼으면서 대표성을 잃었음을 밝혔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rying to review some etymologies of 4 tree names and find out the convincing their original forms by the morphological and semantic analysis of them. The tree names, which are studied here, are ‘개암나무’(Asian hazel), ‘곰솔’(Black pine), ‘구기자나무’(Chinese matrimony vine), ‘물푸레나무’(Asian ash). For the word ‘개암나무’, this paper disproves the existing explanation that ‘개암’(a hazelnut) came from the word ‘*개ᄫᅡᆷ’, the combination of ‘개-’, a prefix and ‘밤[栗]’(a chestnut), a noun. It is assumed that the word came from ‘*개ᄀᆞᆷ’, an original form, and then has become the form of ‘*개ᄋᆞᆷ’. For the word ‘곰솔’, this paper disproves the existing explanation and considers the ‘곰’ is not from ‘熊’(a bear) nor ‘大’(big enough) but from the changed word form of ‘검-[黑]’(a black color), an adjective stem. Therefore, it is assumed that its original form is ‘검솔’ and the word has changed into ‘곰솔’ and the name has been made since the bark of the tree is black color. For the word ‘구기자나무’, it is assumed that ‘枸杞子’, a fruit name combines with ‘나무’(tree), a word. Therefore the word refers to ‘구기자가 달리는 나무’, a tree with the fruit of Chinese matrimony vine. The paper found that before the appearance of the word ‘구기자나무’, the words ‘구긔(枸杞)’ and ‘구긔나모’ were used for referring to the tree. And it has been found that the fruit name ‘구긔ᄌᆞ’ referred to the tree and they remain as ‘구기’, ‘구기나무’, and ‘구기자’ in modern Korean dictionary. But the ‘구기나무’ is not the current standard language. For the word ‘물푸레나무’, it shows up in the early 17th century literature as a form ‘무푸레나모’. It is might be assumed that the word exists as a reconstructed form, ‘*믈프레나모’ in the earlier part of the 15th century, considering a Chinese form, ‘水靑木’, written by a borrowed writing system at that time. It could be assumed that ‘*믈프레나모’ is a word form a tree name, ‘*믈프레’ combined with a redundant word ‘나모’. In addition, ‘*믈프레’ is composed of ‘믈[水, water]’ and ‘프레’, of which ‘프레’ is a root form ‘프르-[靑, blue]’ combined by a suffix, ‘-에’. Consequently, a reconstructed form ‘*믈프레’ is interpreted ‘the thing that makes water blue’, and becoming a tree name in itself. The above naming is reflected by the fact that breaking its branch and putting it in the water, makes the water taking on the blue color drawing from the branch. The form, ‘*믈프레’ had been used until the earlier part of the 20th century through a series of changes, ‘*므프레>무프레>무푸레’, but now ‘물푸레’ is a normative form with a recovered coda ‘ㄹ’. Also a form, ‘*믈프레나모’ had been used during a short time after te 20th century through a series of changes, ‘*므프레나모>무프레나모>무푸레나무’, but it gave its status of a normative form to ‘물푸레나무’ as soon as ‘물푸레’ became a normative form instead of ‘무푸레’.

      • KCI등재

        한문맥(漢文脈)의 근대와 순수언어의 꿈

        황호덕(Hwang Ho-duk) 한국근대문학회 2007 한국근대문학연구 Vol.8 No.2

        오늘의 한국인은 漢‘文’을 사용하고 있지도 않고 한문의 독해 능력을 가진 사람들은 극히 일부에 불과하다. 한문이라는 서기체계écriture 자체는 이미 문헌학적 대상으로 멀어져가고 있다고 말해 틀리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한자어 사용에 있어서 실제로 작용하고 있는 것은 권위의 원천으로서의 한문이라는 상위 언어체계임도 분명하다. 전체가 한문투성이의 한문장으로 작성된 「대한민국헌법전문」은 현대 한국인의 사유를 구성하는 ‘개념’의 질서가 중국과 (특히) 일본을 경유한 어휘들에 구성되어 있음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예컨대, 당대 어휘에 대한 한 보고에 따라면 근대 형성기의 일본계 한자어들 중 82%가 전문어나 학술용어, 정치ㆍ사상 영역의 추상 개념과 같은 사유와 정치의 질서를 직접 구성해 온 언어라는 것이며 무엇보다 이는 한문의 결구력에 의존해 만들어졌다. 나는 이 글에서 근대 개념어=신문명어를 통해 작업했던 두 작가-李人稙과 卞榮晩의 상반된 작업을 비교하는 일을 통해, 근대 개념어가 제기하는 ‘기원’(론)에의 요청과 근대적 언설 공간에 있어서의 ‘효과’의 문제를 다룬다. 우선 이인직의 『血의 淚』의 경우를 통해 나는 이 소설에서 신문명어들만을 추출함으로써 소설의 서사 자체가 짐작 가능함을 보였다. 무엇보다 이 소설은 신문명어들의 연쇄를 통해 일본, 그리고 미국으로 그 공간을 넓혀가는 형식으로 되어 있으며, 이 연쇄는 식민화의 채널을 연상시킨다. 문학의 영역 안에서, 식민주의와 제국주의의 抱合(incorporation)은 창작, 교육, 비평과 관련하여 동기화되었고, 이 자체가 세계사적 과정의 일부였다. 성숙은 문명화와, 문명화는 식민화와 연동되어 있었다. 어떤 의미에서 신문명어는 이 과정을 매개하고 자연화했다. 다음으로 나는 이인직과 대조되는 또 다른 사례, 즉 한글과 국한문체, 한문이라는 다양한 서기체계를 가지고 작업했던 변영만의 어원학적 사고를 논했다. 근대 개념어에 대한 변영만의 생각은 “세계의 何國을 막론하고 절대적의 純土語로만 조직된 국어는 없는 법이다……좀더 ‘어원학적(Etymologically)으로 此를 觀考하’는 일이 필요하다는 주장 속에 그 핵심이 담겨 있다. 일본의 근대 문학ㆍ사상을, 서양이라는 원천과의 모방적 관계(“개인적ㆍ민족적 파산상태”)로 일언이폐지(一言以蔽之)하거나 한국 한문학을 당송팔대가의 복제로서 통박하는 그의 관점은, 동서비교론과 古今文學 비교론 속에서 사산되어 온 번역적 재현의 문제를 다시금 상기시킨다. 어떤 의미에서 일본의 근대 개념사 연구와 달리, 한국의 그것은 생산이나 변용보다는 식민화와 그것을 넘어서려는 순수한 언어≠순수한 민족어를 향한 救濟의 문제와 관련되어 있다. 한국의 근대 개념어는 번역적 재현의 문제보다는, 언어 침식의 문제와 더 갚은 관련을 가진 것처럼도 보인다. 그러나 여기서도 번역의 문제는 여전히 중요한 과제로서 존재한다. 왜냐하면 근대 개념어 연구를 통해 우리는, 근현대 한국어가 지속적으로 갈망해 온 ‘순수 언어’pure language/reine Sprache의 꿈이 결코 한글 안에서는 달성될 수 없는 과제라는 것을 깨달을 수 있기 때문이다. ‘순수 언어’는 한국어 안에서가 아니라 그 밖-그러나 일본어라고도, 한문이라고도, 또 영어라고도 말할 수는 없는 장소에 존재한다. 나는 이 글에서 그러한 전통적 서기체계와 외부성의 개입을 한문맥의 근대라 불렀고, 여기에 구문맥(歐文脈)의 문제를 포함시켜 논했다. 순한글화와 한글로 사유하는 일이라는 과제는 개념의 차원에서는 결코 달성될 수 없는 꿈이며, 오히려 그것이 달성될 수 있다고 믿는 순간 사유는 그 근원을 상실한 채, 근원적 불가능성에 봉착하게 된다. Not only was the Chinese letters being hardly used by the people in Korea, but also there is few people who are able to read the Chinese writing. It might be not an erroneous idea that the écriture itself of Chinese writing is being out of the philological object. It is, however, certain that when using Sino-Korean words, the Chinese letters are the source of authority, being considered to be a superordinate language system. The Preamble of the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which is drawn up with a single sentence full of Chinese letters, symbolizes the order of a 'concept' constituting the thought of the present Korean has been formed by the vocabulary passed through China and (especially) Japan. For example, 82% of Sino-Korean words of Japanese origin, at the time of modernization formation, is a language which forms itself the order of thought and politics such as technical and academic terms, and abstract ideas in the world of thought and politics, according to a report on the vocabulary at that time. Such modern words were made, depending on the construction¬ability of the Chinese letters.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origin (theory) demanded by the modern conceptual words and the matter of 'effects' in the modern space of discourse by comparing the contrary works of In-Jik Lee and Young-Man Byeon, as two writers who considered modern conceptual words as new civilized ones. Firstly, by abstracting the new civilized words only from 『血의 淚』(Hyul-ei-Noo) written by In-Jik Lee, this study presented the possibility of predicting the narrative itself of the novel. The novel unfolds its space to Japan and then to United States through the series of new civilized words, and the series remind us of the channel of colonization. In the field of literature, the incorporation of colonization and imperialism was synchronized, being related with creation, education and criticism, and that was part of the process of the World History. In a sense, our 'maturity' in novels was liked to civilization and the civilization liked to colonization. The new civilized words, it also means modern conceptual words, at some extent, intermediated and naturalized the linking process. And then, this study dealt with the etymological thinking of Young- Man Byeon, as an example contrast with In-Jik Lee, who worked with various systems of écriture, say, Hangeul (Korean letters), Korean letters with Chinese characters and Chinese letters also. He said, defining the modem conceptual words, "no country in the world has the national language composed of its pure words only…… it needs to think them more etymologically." His attitude in which the Japanese modern literature and thought have an imitative relation to the source of the West ("An individual and national state of bankruptcy) and Chinese classics in Korea is copying of the Eight Great Masters during Tang and Song dynasties in China(唐宋八大家) reminds us of the issue of the translational representation as having been scattered in the comparative theories of the East and the West, and the past and the present. The studies on the conceptual history in Korea have been rather connected, to some extent, to the relief which pursues pure language≠pure ethnic language, overcoming the colonization, than production and modification unlike the studies on the modem conceptual history in Japan. The modem conceptual words in Korea appears to have a more considerable relation with the issue of language erosion than the issue of translational representation. The translational issue is, however, existing as a material task also here, for the studies on modem conceptual words make us understand the dream of a pure language (reine Sprache), as desired eagerly by the modem and contemporary Korean language, which will never be achieved within Hangeul. The pure language is existent not inside the Korean language, but outside the language-it, however, exists in another space than Japanese, Chinese and Englis

      • KCI등재

        ‘곶[串]’ 계열 어휘의 形成과 意味에 대하여

        조항범 국어학회 2012 국어학 Vol.63 No.-

        본고는 ‘곶’ 계열 어휘를 대상으로, 그 조어 방식, 기원적 의미, 형태와 의미의 변화 및 그 변화의 원인 등의 문제를 종합적으로 고찰한 것이다. ‘곶’ 계열 어휘에는 ‘곶감, -꽂이, 고깔, 곡괭이, 꽃게, 꼬치, 꼬챙이, 송곳’ 등이 있다. ‘곳감’은 동사 ‘곶-’과 ‘감’이 결합된 형태로 ‘꼬챙이로 꽂은 감’이라는 의미를, ‘-곶이’는 동사 ‘곶-’에 접미사 ‘-이’가 결합된 ‘곶이’가 접미사화한 것으로 ‘꽂아 두는 것’이라는 의미를 띤다. 그리고 ‘곳갈’은 명사 ‘곶’과 ‘갈’이 결합된 형태로 ‘꼬챙이처럼 뾰족한 모자’라는 의미를, ‘곳광이’는 명사 ‘곶’과 ‘광이’가 결합된 형태로 ‘꼬챙이처럼 뾰족하게 생긴 괭이’라는 의미를, ‘곳게’는 명사 ‘곶’과 ‘게’가 결합된 형태로 ‘등딱지의 양쪽 끝이 꼬챙이처럼 뾰족한 게’라는 의미를 띤다. ‘*고치’는 ‘곶’에 접미사 ‘-이’가 결합된 ‘고지’에서 변한 어형으로 추정된다. ‘곳챵이’는 명사 ‘곳치’에 접미사 ‘-앙이’가 결합된 ‘곳창이’의 異表記이다. ‘송곳’은 ‘솔-[細]’의 관형사형 ‘손’과 명사 ‘곶’이 결합된 ‘*손곶’의 변화형으로 ‘좁고 뾰족한 꼬챙이’라는 의미를 띤다. ‘송곳’과 같은 의미의 ‘솔옺’의 흔적이 식물 이름 ‘소루쟁이’에 남아 있다.

      • KCI등재
      • KCI등재

        규격화되지 않는 영상들의 극장술

        김연호 한국비교문학회 2022 比較文學 Vol.- No.88

        This paper examines the definition of film specified in Korea’s <Korean film & video law>. Today, Korea still uses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erm for movies. And the ‘映畫(movie)’ currently defines Korean films through the <Korean film & video law> and determines the standards of movies and non-movies. In this paper, the origin of the ‘映畫’ that was used in Korea was first considered. This thesis attempted to explore the ‘continuous images’ that are not movies by drawing the trajectory of visual devices that have been deviated from the film industry. Firstly, I wanted to briefly look at the visual device for about 100 years, and next, I wanted to look at how unstandardized videos are forming a new ‘theatre-technique’. The first device is a projective screen device as a collective visual experience place with movies and theaters standardized today. The second is a personal visual device as a solo view. The third type is the panorama or 360-degree omni-directional view of the panoramic view. Facing the theatre as a starlight explorer, not a spectacular performer, is the perspective of “a screen, not one,” “a manifestation of a monitor body and voice,” and “a walking theater as a performance transition,” focusing on the case of showing new theater-techniques among the exhibitions I conducted as a planner. The theater-technique examined in this paper attempted to examine the possibility of escaping visualization tamed by spectacle images through spatial choreography that can change the viewer’s visual attitude. 이 글은 한국의 영화비디오법에 명시된 영화의 정의를 살펴본다. 오늘날까지 한국은 일제강점기 시대 용어인 영화를 그대로 사용하고 있다. 그리고 이 “영화(映 畫)”라는 용어는 현재 영화비디오법을 통해 한국영화를 규정하고 영화와 영화가아닌 것의 기준을 가르고 있다. 이 글은 선행적으로 한국에서 활용하게 된 영화의 어원적 기원을 우선적으로 고찰한다. 이후 영화가 아닌 것인 ‘연속적인 영상들’에 대한 탐색을 영화산업에서 탈각된 시각장치들의 궤적을 그려나가며 탐구한다. 먼저 약 100여 년간 시각장치를 간략히 훑고, 다음으로 규격화되지 않은 영상이 어떻게 새로운 ‘극장술(劇場術, theatre-technique)’을 이루고 있는지 검토한다. 첫 번째 장치는 오늘날 규격화되어 있는 영화와 극장으로 집단적 시각 체험 장소로서 투영형 스크린 장치다. 두 번째는 혼자 보기로서 개인 시각장치다. 세 번째 유형은 파노라마 또는 전방위를 볼 수 있는 시각장치인 파노라마관이다. 스펙터클 수행자가 아닌 별빛 탐험가로 극장을 마주하기에서는 필자가 기획자로 참여한 기획 중 새로운 극장술을 선보이고 있는 사례를 ‘하나가 아닌 스크린’, ‘모니터 신체와 목소리의 현현’, ‘수행적 전환으로서의 보행 극장’으로 분석한다. 이 글은 관람자의 시각 태도에 변화를 줄 수 있는 공간 안무로 스펙터클 이미지에 길들여진 시각성을 탈주할 수 있는 가능성을 극장술로 제안한다.

      • KCI등재

        어원론 연구에 관한 소고

        이문수(Lee, Mun-Suh) 한국외국어대학교 동유럽발칸연구소 2004 동유럽발칸연구 Vol.12 No.2

        This article is a study on the Etymology of the Indo-European Languages, with reference to Romance Languages. We can see the first relatively detailed discussion of the etymological problems in the Dialog<Kratylos> of Platon in which he showed an interest in the origin of the names of human beings, of animals or of things. At that time Etymology was the science of researching <the true meaning>. This kind of tradition for the etymological study was succeeded by the Roman Grammarian Varro through the Grecian Scholars of late Stoa School, above all Chrysipos. In the Medieval epoch the ancient etymological concept was not basically changed . It is not going too far to say that the modern Etymology began with the appearance of the Historical Comparative Linguistics. From about 1900 onward Romance Linguistics became the field in which new methods were adopted under the dominant influence of Indo-European studies. For the etymologists of this generation Etymology means no more than the earliest form and meaning of a word, regardless of whether any statements is made about the original meaning of the word. Henceforth, it was governed by new principles. Firstly, the importance of word-blends is recognized with increased awareness. Secondly, Onomatopoeia is reinstated as a reputable source of linguistic creations. Thirdly, the appearance of linguistic geography, which is treated as a universal method for finding out the real truth of word-history, was influential in the research. The notion of Etymology becomes ambiguous: the old type, phonological, so-called <étymologieorigine> contrasts with the modern, semantic, <étymologie-histoire du mot>. In the light of these developments it is clear that today Etymology in the Indo-European Languages embraces two essentially different questions. One is the original form as well as the original meaning of the Indo-European Prototype. The other is its subsequent history down to a point indicated by the documentation of the cognate language concerned. Etymology in the modern sense is biography of the word; its origin would be nothing but a point of departure for further research. Therefore for ideal etymological research we need further examination not only of phonological, semantical but also of morphological and syntactical form in consideration of both sides, namely internal and external facts of language. 성)라는 두 단어가 합쳐진 것으로 어원론의 원의는 ‘참된 어의를 연구하는 학문’이라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플 라톤은 일찍이 사물의 명칭과 그 의미의 개연성에 관하여 의문을 제기한 바 있으며, 그 후 어원연구에 관한 관 심은 크리시포스(Chrysippos) 등과 같은 고대 그리스의 후기 스토아학파를 거쳐 고대 로마제국의 학자들에 의 해 계승되어졌다. 고대 로마제국의 라틴어 문법학자였던 바로(Varro)는 어원론을 ‘단어들이 왜 그리고 어디서 온 것인지’를 연구하는 것으로 간주하였다. 이와 같이 서양에서는 이미 고대 그리스 및 로마시대에 낱말의 기원 에 관한 관심을 갖고 있었다. 그러나 그 당시 학자들은 어원 분석이나 의미 변화에 있어서 그것을 정확히 규명 하지는 못했다. 중세의 어원론은 고대 그리스, 로마시대의 이론을 거의 그대로 계승했다고 보아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19세기에 접어들면서 어원연구는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게 된다. 19세기 역사-비교언어학의 연구방법이 확 립되면서 어원연구도 규칙적인 음운변화에 관심을 집중시키게 된다. 19세기 말 의미론이 과학적 학문으로 발전 하기 시작하면서 어원론에도 낱말의 의미를 다시 중요시하게 된다. 이러한 변화는 언어지리학 연구에 의해서 크게 확산되었다. 또한 당시의 실증주의적인 학문연구 방법에 입각하여 문헌상의 충분한 증거자료를 제시하는 방법론적인 영향을 받아 어원연구에도 새로운 변화가 일어났다. 즉, 전통적 음운 변화 법칙에 입각해서 그 기원 을 찾고자하는 기원 어원론〉에서 의미 변화에 의해서 낱말의 변화 과정을 강조하는 〈낱말의 역사 어원론〉 으로 바뀐 것이다. 20세기 초에는 한 때 어원연구에 있어서 음성적인 면과 의미적인 면이 대립하였으나 1 차 세계 대전 이후 그러한 대립에 관한 무모한 논쟁이 사라졌으며 〈언어 내적〉 사실과 〈언어 외적〉 사실을 고려하여 음운론적, 의미론적 자료뿐만 아니라 형태 통사론적인 면도 엄밀히 검토해야한다는 주장이 힘을 얻게 되었다.

      • KCI등재후보
      • 淸原君 所在 山名의 後部要素 硏究

        金眞植 충남대학교 문리과대학 어문연구회 2000 語文硏究 Vol.34 No.-

        Names of mountains or regions in Korea can be divided into two parts. the first part is called the anterior element and indic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its referent and the mountains or regions. The second part is called the posterior element and indicates whether it is a region or mountain. This study categorizes the posterior elements of the names of the mountains in Cheong-won district, Chungbuk Province, and investigates the origins or the etymology of such elements. The elements under investigation are those that are found in names in ancient/old Korean documents, and include gae, gogae, gol, got, gi, tal, tteum, maru, mal, mi, bawi, buri, bul, and theo.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