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지적장애의 작업기억과 언어이해 연구 분석

        양현모,김화수 국제다문화의사소통학회 2022 국제다문화의사소통학회 학술대회 Vol.2022 No.6

        본 연구는 지적장애의 작업기억과 언어이해에 관한 선행연구를 조사하여 언어이해의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 하기 위한 목적이 있다. 지적장애는 초기 언어발달이 느리고 추상적인 개념이나 추론능력, 논리력 등의 상 위인지능력이 결손으로 인해서 지식의 논리적인 조직화와 일반화를 어려워하며, 단기기억과 작업기억이 부 족한 것과 관련이 있다. 작업기억은 어휘, 문장학습, 문해력 및 언어능력과 깊은 관련이 있다는 선행연구들 이 있다. 따라서 작업기억능력이나 작업기억을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능력은 말과 언어발달을 예측하는 주 요한 변인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연구 방법은 2017년 이후 지적장애의 작업기억 또는 언어이해와 관련된 논문을 19편 선정하였다. 연도별로 연구 동향을 살펴보고, 지적장애와 작업기억, 지적장애와 언어이해 그리 고 지적장애의 작업기억과 언어이해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지적장애와 관련된 연구는 2021년 을 제외하면 꾸준히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중 지적장애와 작업기억 연구는 4편, 지적장애와 언어이해 연 구는 13편으로 구별할 수 있었으며 지적장애의 작업기억과 언어이해 연구가 2편 있었다.

      • KCI등재

        지적장애인의 작업기억 역량에 대한 연구동향 고찰(경도지적장애인을 중심으로)

        황정보,백지영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0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49 No.4

        본 연구는 지적장애아의 작업기억 능력에 관련된 연구동향에 관한 고찰 연구이다. 작업기억은 학습과 일상 기능에서 상당히 중요하지만, 경도지적장애아의 작업기억 연구는 거의 미비한 상태에 있다. 지적장애아의 작업기억 강점과 약점은 통제집단 일반아동의 작업기억 수행과 비교하여 탐구되었다. 추가적으로, 일상 기억은 작업기억 과정에 의존 하는 것으로 가정된다. 끝으로, 컴퓨터화 된 작업기억 훈련의 개발을 통하여 작업기억 수행의 효과성과 관련된 능력이 연구되었다. 그 결과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 경도지적장애아의 작업기억은 발달지연과 관련이 있어서 음운 루프 능력 결함은 경도지적장애아의 교정 훈련에 중요한 함의를 갖는다. 둘째, 교육과 함께 일상생활에서의 작업기억이 경도지적장애아에 부과되는 요구가 크다. 셋째, 작업기억 훈련이 경도지적장애아에게 효과적일 수 있음을 나타낸다. This study is associated with working memory abilities of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orking memory is very important for learning and daily functioning, but it is hardly studied in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orking memory strengths and weaknesses in children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are explored by comparing their performance with that of control groups of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In addition, everyday memory is studied as it is assumed to rely on working memory processes. Finally, a computerized working memory training is developed and it’s effectiveness on working memory performance and related cognitive abilities is investigated.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result is consistent with a developmental delay account of children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 finding of a phonologicalloop capacity deficit has important implications for the remedial training of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Second, The result holds implications for the demands imposed on children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education and daily life. of associated with statistically significant between everyday memory and working memory. Third, The result indicates that working memory training can be effective in children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 KCI등재

        읽기학습장애아동 및 일반아동의 신경심리적 작업기억 특성 비교: 아동용 Rey-Kim 기억검사를 중심으로

        송찬원 한국학습장애학회 2011 학습장애연구 Vol.8 No.2

        This study aimed for revealing differences in Neuropsychological Working Memory characteristics between reading disordered children and normal children. The sample consisted of 20 reading disordered children and 20 normal children. ‘Rey-Kim memorial Test for children’ was employed as an investigation tool for finding memorial characteristics traits of each group in this study. This tool is comprised of two sub-tests, which are ‘K-AVLT Test’, and ‘K-CFT Test. This study conducted MANOVA by using SPSS 14.0 program so as to verify whether there a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The following findings are derived based on this study’s results. between reading disordered children and normal children, there are obvious differences in the capability of ‘The point of quantity’ and ‘The point of quality’ in the two sub-tests. Second, there are meaningful differences in the capability of memorial quotient (MQ). Third, there is also difference in the simple and the complex Working Memory between reading disordered children and normal children. Therefore, this study indicated the disordered children showed lower working momerial ability than normal children, therefore, reading disordered children require distinguished working memorial vitallization teaching and mediating method. 본 연구는 최근 학교현장에서 관심이 고조되고 있는 읽기학습장애아와 일반아동의 작업기억 특성을 비교하고자하는 목적으로 시도되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수행하기위해, 연구대상은 읽기학습장애아동 20명, 일반아동 20명으로 선정되었다. 연구에서 집단별 작업기억의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사용된 검사도구는 ‘아동용 Rey-Kim 기억검사’이다. 이 검사도구의 2가지 소검사로는 K-AVLT와 K-CFT이다. 연구의 검증은 집단간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를 밝히기 위해 SPSS 14.0 프로그램을 통한 다원변량분석(MANOVA)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로는, 첫째, 읽기학습장애아동과 일반아동의 두 개의 소검사에서 집단간 기억지표별 양적점수와 질적점수의 분명한 차이가 있었다. 양적점수에서는 K-AVLT의 시행1, 시행2, 시행5, 지연회상, 지연재인 그리고 K-CFT의 지연회상에서 차이가 있었고, 질적점수에서는 기억유지도와 언어기억/시각기억에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전체기억지수(MQ)에서도 집단간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집단간 단순작업기억과 복합작업기억에서도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읽기학습장애아동이 일반아동에 비해 낮은 작업기억의 수행력을 보이는 것으로서, 읽기학습장애아들에게는 일반아동과는 차별화된 기억활성화 교수 전략과 중재방법이 필요함을 시사해주었다.

      • 관해된 정신분열병과 양극성장애 환자의 언어성 기억 및 학습 기능 비교

        우종민,정성심,정인원,김이영,이동수,홍경수 大韓神經精神醫學會 2001 신경정신의학 Vol.40 No.4

        연구목적 : 본 연구는 관해 상태에 있는 정신분열병과 양극성장애 환자의 언어성 기억 및 학습 기능을 평가하고 이를 정상대조군과 비교하여 기억 요소의 질환별 특성을 분석하고자 실시하였다. 방 법 : 관해상태의 정신분열병 환자 30명과 양극성장애 환자 28명 및 정상대조군 72명을 대상으로 성, 연령, 교육연한, 발병연령, 잔여증상, 추체외로증상, 단순주의력 수준을 통제한 후 한글언어청각학습검사를 실시하여, 초과용량 즉각기억, 기억의 등록, 유지, 인출, 재인, 학습전략, 간섭효과를 분석하였다. 결 과 : 한글언어청각학습검사 결과를 세 집단간 비교한 결과, 정신분열병은 전행성 간섭효과를 제외한 모든 항목에서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저하된 기억 수행을 보였으며, 양극성장애에 비해서도 대부분의 회상 시도에서 유의한 저하를 보였다. 특징적으로 학습 전략 활용 능력이 저조하였다. 양극성장애는 대조군에비해 즉각기억, 재인,학습전략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반복에 따른 회상과 학습은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저하되었다. 정신분열병에 비해서는 전반적으로 비슷하거나 우월했지만, 간접자극 제시에 의한 회상 저하는 세 집단 중 가장 크게 나타났다. 환자군에서 검사성적에 대한 임상적 특성의 설명력을 분석한 결과, 정신분열병에서는 BPRS의 무력증 소척도, 유병기간, 입원횟수 등이 유의한 설명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고, 양극성장애에서는 우울삽화 횟수가 유의한 설명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 론 : 관해상태의 양극성장애와 정신분열병 모두에서 대조군과 구별되는 언어성 기억 및 학습 기능 저하가 관찰되었다. 이러한 기억 및 학습 기능의 결함은 이들 두 장애의 고유한 질병 특성 표지자일 가능성이 높으며, 향후 이들 질환의 병태생리를 이해하고 치료적 접근 방법을 모색하는 데에 단초가 될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s :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verbal memory and learning ability in remitted schizophrenic patients and euthymic bipolar patients in order to explore trait-dependent cognitive deficits of each disorder. Methods : Verbal memory was assessed with KAVLT(the Korean version of Rey Auditory Verbal Learning Test) in outpatients with remitted schizophrenia(N=30), euthmic bipolar disorder(N=28), and normal control(N=72), KAVLT is made for assessment of immediate supraspan memory, registration, retention, retrieval, recognition, learning strategy, and interference effect. Several confounding factors including age, sex, educational level, attention span, residual psychopathology, and extrapyramidal symptoms were controlled among 3 groups. Patient groups were matched according to the age of onset, duration of illness, and frequency of hospitalization. Results : 1) The performance of bipolar group generally fall between the performance of schizophrenia and normal controls, while being most impaired in retroactive interference. Schizophrenic group showed significant impairment on most variables of KAVLT in comparison with the groups of bipolar disorder and normal control. 2) Within group analysis revealed that residual negative symptoms, duration of illness, and number of admission were highly correlated with the impairment of verbal memory and learning in schizophrenics. Number of depressive episodes and age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verbal memory and learning among bipolar disorder patients. Conclusions : Both remitted schizophrenia and euthymic bipolar patients showed distinctive impairment in verbal memory and learning compared with controls. These results suggest that apecific impairment of verbal memory and learning in remitted state can be trait-dependent marker in both diseases. These deficits can give clues to the understanding of the pathophysiology and searching for more appropriate therapeutic interventions of mental disorders to improve cognitive deficits in remitted patients.

      • 경도 지적장애 아동의 작업기억 특성

        오진이,박미혜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8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학술대회발표자료집 Vol.2018 No.1

        지적장애 아동의 언어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아동이 나타내는 언어 결함 자체에 접근하는 이외에 언어를 처리하고 저장하는 과정의 곤란에 대해 관심을 가져야 한다. 지적장애 아동은 단기기억, 작업기억(working memory) 능력이 부족하다고 한다. 작업기억이란 정보를 일시적으로 저장하고 인지 과정을 지속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단기기억을 말한다. 작업기억은 음운루프(phonological loop), 시공간 스캐치 패드(visual-spatial sketchpad) 및 중앙집행장치(central excutive)로 구성된다. 음운루프는 음운적 정보를 기억, 유지, 처리하는 능력을 말하며, 시공간 스캐치 패드는 시각 및 공간적 정보를 기억하고 유지하며 처리하는 능력을 말한다, 중앙 집행장치는 음운루프와 시공간 스캐치 패드에 보조지원과 추론 및 문제해결에 관여하며, 장기기억의 정보를 조작하는 등 총괄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능력으로 정의하였다. 작업기억은 청각적 이해와 깊은 상관이 있으며, 음운루프 수행력은 어휘력과 관계가 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적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비단어 따라 말하기, 매트릭스 검사, 듣기 폭 검사를 실시하여 특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에는 부산광역시 사설 센터에서 언어치료를 받고 있는 평균 5세 2개월(3;9~7;8)의 지적장애 학생 7명이 참여하였다. 이 연구 참여자들의 평균 언어연령은 3세 5개월(2;0~5;3), 평균 지능은 85.14이었고, 평균 언어발달연령은 3세 5개월이었다. 지적장애 아동의 작업기억력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한 검사는 비단어 따라 말하기, 매트릭스 검사 및 듣기 폭 검사이다. 비단어 따라 말하기는 음절 수(2~6음절) 별로 각 4개씩 총 20개의 비단어를 육성으로 들려주고 따라 말하게 하였다. 정반응 은 1점, 오반응은 0점으로 채점하고 전체 80음절의 정반응 수에 대해 백분율로 산출하였다. 매트릭스 검사는 K-ABC의 하위검사인 위치 회상 검사를 사용하였다. 듣기 폭 검사는 제시된 문장을 듣고 문장의 마지막 단어를 회상하는 과제이다. 황민아(2016)가 사용한 읽기 폭 검사를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총 28개의 문장을 듣고 바르게 회상한 단어에 1점, 오반응 단어는 0점으로 백분율을 산출하였다. 연구결과, 비단어 따라 말하기의 평균 백분율은 56.64%(11.04), 매트릭스 검사의 평균 백분율은 44.21%(11.86), 듣기 폭 검사에서는 평균 41.83%(24.09)로 나타났다. 그리고 지적장애 아동은 작업기억 구성요소 가운데 비단어 따라 말하기, 매트릭스검사, 듣기 폭 검사의 순으로 높은 점수를 보였다. 특히 중앙집행장치를 측정하는 듣기 폭 검사의 점수가 가장 낮은 것은 지적장애 아동이 음운적 정보를 회상하는 단일 과업보다 언어적 정보를 기억하고 이해하여 처리까지 해야 하는 이중 과업에 더 큰 어려움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듣기 폭 검사에서는 문장 폭이 증가 할수록 문장의 첫 번째 단어나 전체 문장을 회상하거나 무반응 오류의 경향을 보였다. 이를 통해 지적장애 아동이 단순 회상과업이 아닌 과업에서 더 큰 어려움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비단어 따라 말하기와 매트릭스 검사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점수가 나타났으나 음운 및 시공간적 정보를 기억하는 능력에도 결함이 있었다.

      • KCI등재

        긍정적, 부정적 자기상이 사회불안장애의 자서전적 기억 인출에 미치는 영향

        윤혜영 한국인지행동치료학회 2013 인지행동치료 Vol.13 No.1

        Rapee와 Heimberg(1997)가 제시한 사회불안장애의 인지모델에 따르면, 자신에 대한 정신적 표상이 사회불안을 유지시키는데 핵심적 역할을 하고 있다. 자신에 대한 정신적 표상은 생리적 피드백과 같은 보다 직접적인 정보를 통합할 뿐만 아니라, 장기 기억에서의 정보 인출에도 관여하고 있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사회불안장애 환자 집단을 대상으로 자서전적 기억의 특성을 탐색하고, 자기상을 긍정적, 부정적으로 조작하여, 조작된 자기상이 자서전적 기억의 인출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객관적인 진단 면접(SCID-I)을 통해 사회불안장애로 진단된 환자(n=43)와 정상 집단(n=49)을 대상으로, Williams와 Broadbent(1986)의 표준적인 자서전적 기억검사(이하 AMT)를 실시하였다. 참가자들은 기저선 AMT, 긍정적 자기상을 유도한 이후의 AMT, 부정적 자기상을 유도한 이후의 AMT와 같이 모두 3번의 기억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두 집단의 자서전적 기억 인출 시간 및 구체성 점수를 비교하였다. 사회불안장애 환자와 정상통제집단을 비교한 결과, 반응인출시간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으나, 사회불안집단의 경우 긍정기억과 부정기억 모두에서 정상통제집단에 비해 더 느리게 기억이 인출되는 경향이 관찰되었다. 자서전적 기억의 구체성 점수 역시 유의하게 낮았으며, 보다 모호하고 포괄적인 방식으로 자서전적 기억을 인출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부정적 자기상을 유도했을 경우, 정상통제집단의 기억 구체성 점수는 감소한 반면, 사회불안집단의 기억 구체성 점수가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이는 부정적 자기상이 사회불안장애 환자집단의 자서전적 기억 인출에 강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사회불안장애의 부정적인 자기상에 기반한 장기기억 인출 경향의 임상적 함의에 대해 논의하였다. In Rapee and Heimberg (1997)'s cognitive models of social anxiety disorder, the mental representation of self' plays a role as key psychological factor that maintains social anxiety. They argue that mental representations of the self draw on information retrieved from long-term memory as well as incorporating information from more immediate sources such as physiological feedback. This study investigate differences between socially anxious and non-anxious individuals in the recall of autobiographical memories.. Next, we examined the effect of holding a positive or a negative image in mind during a newspaper reading task on the retrieval of autobiographical memories. Forty three social anxiety patients and forty nine normal control participants performed a standard autobiographical memory task (AMT), which used positive and negative cue word. Participants performed the AMT three times, baseline AMT, once after reading a newspaper holding a positive image and once while holding a negative image. And then, we compared the characteristics of autobiographical memory (response latency and specificity) in social anxiety patients and normal control groups. The difference between retrieval latencies for positive and negative memories just failed to reach significance in socially anxiety patients and normal control groups. But there is a tendency that socially anxious groups were slower to retrieve memories in response to cue words compared to normal control groups. In the negative imagery condition, patients were significant more specific to retrieve memories to positive and negative cure words. But normal participants were significant less specific to retrieve memories to both words.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working with the negative imagery used to influence on retrieval of autobiographical memory for social anxiety disorder. We discussed the implications and potential clinical relevance of social anxiety disorder's tendency of retrieval of long term memory based on negative self image.

      • KCI등재

        초등학교 장애학생들의 작업기억 특성에 관한 고찰

        강옥려 ( Kang Ock Ryeo ),이새별 ( Lee Sae Byoul )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2018 한국초등교육 Vol.29 No.3

        본 연구는 국내 초등학교 장애학생들의 작업기억 관련 문헌을 분석하여 장애영역별 작업기억의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총 43편의 논문이 분석되었으며, 연구동향 및 작업기억 검사에 사용된 도구와 장애영역별 작업기억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작업기억 특성 관련 연구는 1990년대 말부터 시작되어 2011년을 기점으로 더욱 활발해졌으며, 장애영역별 연구현황은 학습장애 10편, 학습부진 10편, 지적장애 4편, 단순언어장애 4편, ADHD 4편, 자폐성장애 3편, 청각장애 5편, 시각장애 3편으로 다른 장애영역에 비해 학습장애와 학습부진의 연구가 2배 정도 많은 편이었다. 둘째, 작업기억 하위요소별 검사과제는 명칭과 측정영역이 연구자와 연구목적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하위요소별 측정과제를 살펴보면 중앙집행기 측정에 숫자폭, 읽기폭 등이 활용되었고, 음운루프 측정에 숫자폭, 비단어 따라 말하기 등이 활용되었으며, 시공간잡기장에는 사각형 매트릭스검사, Mr. Cucumber Test 등이 활용 되었다, 일화버퍼를 측정한 연구는 단 1편이었는데, 사용된 과제는 문장 따라말하기였다. 셋째, 장애영역별로 작업기억의 특성을 종합ㆍ정리해보면, 지적장애와 단순언어장애는 작업기억의 세 하위요소인 중앙집행기, 음운루프, 시공간잡기장에서 일반학생에 비해 낮은 수행을 보였고, 학습장애는 중앙집행기와 음운루프에서 일반학생에 비해 낮은 수행을 보였다. ADHD와 자폐성장애(고기능자폐)는 중앙집행기에서만 일반학생에 비해 낮은 수행을 보였다. 청각장애와 시각장애는 각각의 결함과 관련된 영역, 즉 청각장애는 음운루프에서, 반면 시각장애는 시공간잡기장에서 낮은 수행을 보였다. 학습부진의 경우 연구결과가 연구마다 다르게 나온 경우가 있었지만, 전반적인 경향은 일반학생에 비해 작업기억 능력이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추후 연구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working memory in each disability area by analyzing literature related to working memor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Korea. A total of 43 papers were analyzed. The research trends, tasks of work memory test, and the characteristics of work memory by disability area are as follows. First, working memory research became more active in 2011, and the status of research by disability area includes learning disabilities(10), academic underachievement(10), intellectual disabilities(4), specific language impairments(4), ADHD(4), autism spectrum disorders(3), hearing impairment(5) and visual impairment(3). Second, the working memory test tool and measurement area used for each study were different according to researcher and research purpose. Third, in terms of the characteristics of working memory for each disability area, intellectual disability and specific language impairments were lower in the central executive, phonological loop, and visuospatial sketchpad than the general students. Learning disability showed lower performance in the central executive and phonological loops compared with general students. ADHD and autism spectrum disorders(high functioning autism) showed lower performance than the general student only in the central executive. Hearing impairment and visual impairment were associated with the area associated with each defect, i.e., auditory impairment in the phonological loop, while visual impairment was poor in the visuospatial sketchpad. In the case of academic underachievement, research results were different, but overall tendency was lower than that of general students. Finally,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were discussed.

      • KCI등재

        만성 알코올 중독성 기억장애의 세부적 특성에 관한 연구

        심주식,김홍근,김용숙 한국건강심리학회 2012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Vol.17 No.1

        본 연구는 만성 알코올 중독성 환자에서 나타나는 기억장애의 세부적 특징을 살펴보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알코올 의존 환자 28명과 정상인 26명에게 ‘Rey-Kim 기억검사’와 K-WAIS를 실시하였다. 알코올 의존군이 보여주는 기억장애의 주요 특성은 다음과 같았다. 첫째, 기억기능을 즉시기억(immediate memory), 최근기억(recent memory), 옛날기억(remote memory)으로 구분하여 살펴본 결과 최근기억에만 결손이 있었고 즉시기억과 옛날기억은 정상 수준이었다. 둘째, 최근기억의 내용을 언어기억(verbal memory)과 시각기억(visual memory)으로 구분하여 살펴본 결과 언어기억과 시각기억 모두에 결손이 있었다. 셋째, 최근기억의 인지적 과정을 등록(encoding), 유지(retention), 인출(retrieval) 단계로 구분하여 살펴본 결과 등록과 인출 단계에만 결손이 있었고 유지 단계는 정상 수준이었다. 넷째, 최근기억과 일반지능에서 결손된 정도를 비교한 결과 최근기억의 결손이 유의하게 더 심하였다. 이 결과는 최근기억의 장애가 일반화된(generalized) 인지장애가 아니라 기억에 특이한(specific) 인지장애임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최근기억장애를 개인별 수준에서 살펴본 결과 다수가 경증이었고 중증은 약 20% 정도에 해당하였다. 종합적으로, 본 연구의 결과들은 만성 알코올 중독성 기억장애의 학술적 이해와 임상적 관리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한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specific characteristics of memory deficits, associated with chronic alcoholism. To this end, we administered Rey-Kim memory test and K-Wechsler Adult Intelligence Scale to a sample of 28 alcohol dependent patients and 26 normal controls. The alcohol dependent group showed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in their memory deficits. First, their memory deficits involved recent memory, but not immediate or remote memory. Second, their recent-memory deficits involved both verbal and visual memory. Third, their recent-memory deficits involved problems in registration and retrieval stage, but not in retention stage. Fourth, their deficits in recent memory were more severe than their deficits in general intelligence, suggesting that the memory deficits were not part of generalized cognitive dysfunction, but a memory-specific dysfunction. Finally, about 20% of the patients evidenced severe memory decline, whereas other patients showed mild to moderate decline. These results provide useful data for the understanding of alcoholic memory deficits and their clinical managements.

      • KCI등재

        지적장애아동의 작업기억 향상 방안에 관한 연구 동향분석

        추연구 ( Youn Gu Chu ),김은영 ( Eun Young Kim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14 지적장애연구 Vol.16 No.1

        본 연구에서는 지적 장애아동의 작업기억 향상 방안에 대한 연구 동향을 국내외 문헌을 통하여 살펴보았다. 문헌 분석 결과 알게 된 것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작업기억 향상 훈련에 참여하는 지적 장애아동은 경계선 지적장애, 경도 지적장애에 한정되어 있다는 제한점이 있다. 둘째, 작업기억 향상 프로그램은 컴퓨터 기반의 인지 훈련 프로그램, 작업기억 전략 촉진을 위한 프로그램, 작업기억 촉진을 위한 생리학적 접근으로 이루어지고 있었다. 셋째, 작업기억 향상 프로그램은 한 회기당 10-40분이며 프로그램의 특성에 따라 총 회기 수는 다양하였다. 넷째, 작업기억 훈련을 통한 일반화 정도를 분석한 연구는 많지 않았다. 분석 결과는 교실에 적용 가능한 작업기억 향상 프로그램 개발이라는 관점에서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previous studies focusing on working memory training of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Based on the result, issues were featured as follows: first children with borderline and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were mostly recruited for memory training program, second, types of memory training program were 1)computerized program, 2)memory strategy-related program, 3) other physiological programs that facilitate working memory. Third, one session of the program is 10-40 minutes but total number of sessions were variable depending on the program. Fourth, there are few articles that investigated generalization of the memory training effect. These issues were discussed in the point of consideration on developing new program for teachers who is in charge of classroom.

      • KCI등재

        자폐스펙트럼 장애아동의 일화기억에서 자기기억과 타인기억 연구

        안춘희,안미경,서경희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08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47 No.1

        This study by event experienced was to ensure that the recall for self and other has differences between autism spectrum disorders and typical children. Two groups of 10 children participated in this study: a group with autism(experimental group) and a group of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matched with the experimental group for verbal ability. The specific study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Is there any differences between autistic children and typical children in the free recall for self? Second, Is there any differences between autistic children and typical children in the free recall for other? Third, Is there any differences between free and cued recall for autistic children in episodic memory? The result of this study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 with autism and the group matched for verbal ability for uncompanied self and companied self. Second, There was no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 with autism and the group matched for verbal ability for companied other. This interpretation is strengthened by the findings that the children with autism recalled more information in the accompanied other recall test than in the unaccompanied self and accompanied self. Third, The compound score for all three level of cued recall was higher than free recall. In this test, a percentage score was calculated for comparing free and cued recall and the three levels of cues, due to the fact that if a child recalled all items under free recall then the cued recall score would be low giving a misleading interpretation of children's ability to remember event under cued recall. 본 연구는 자폐스펙트럼 장애아동을 대상으로 일화기억 양상을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자기 인식에 어려움을 보이는 자폐스펙트럼 장애아동을 대상으로 일상에서 경험한 일에 대하여 자신에 관한 기억과 타인에 관한 기억이 일반아동과 비교하여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 자폐스펙트럼 장애아동이 일화기억 과정에서 단서 없이 특정 정보를 회상할 수 있는 자유회상과 단서를 지원해주는 단서회상에 차이를 보이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폐스펙트럼 장애아동은 혼자 경험한 활동과 함께 경험한 활동, 두 가지 활동에서 모두 일반 아동에 비해 자기기억에 현저한 어려움을 보였다. 둘째, 자폐스펙트럼 장애아동은 자기기억에 어려움을 보이는 것에 반해 타인기억에는 일반아동과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셋째, 자폐스펙트럼 장애아동은 자유회상에 어려움이 있으나 간단한 단서를 통한 단서회상으로 일화기억이 가능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