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전인출과 사후인출을 접목한 학습 방법이 지연 기억에 미치는 영향

        연은모(Yeon, Eun Mo),최효식(Choi, Hyosi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17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새로운 학습 내용에 대한 사전인출이 지연 기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탐색하는 것이다. 그리고 사전인출이 지연 기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때, 사전인출과 사후인출을 접목한 학습 방법이 사후인출을 반복하는 학습 방법보다 지연 기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16년도에 초등학교 5학년 282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분석 방법으로 독립표본 t검증, 일원분산분석, 이원분산분석, 다변량분산분석을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사후인출 집단과 사전인출 집단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복습 집단보다 더 높은 지연 기억검사 점수가 확인된 반면, 사후인출 집단과 사전인출 집단 간에는 지연 기억검사 점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사전인출과 사후인출을 접목한 학습 방법 집단과 사후인출을 반복하는 학습 방법 집단 간에 지연 기억검사 결과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연 기억에 영향을 미치는 학업성취 수준과 학습 방법 간의 상호작용효과는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새로운 내용에 대한 학습 전에 사전인출을 통해 새로 배울 내용과 관련된 정보를 인출하게 한 다음, 새로운 내용을 학습하고, 배운 내용에 대해 사후인출을 하는 방법 또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교수-학습 방법임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opportunities to retrieve information prior to learning can greatly maximizing students ’ memory. To extend the testing effect which providing students with opportunities to retrieve information, the current study explored the potential benefit of the attempt to retrieve information both prior and post to learning can have a greater impact on delayed memory of the learning material than the attempt to retrieve information only post to learning. Results from that data of 282 5th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students who engaged in either prior or post retrieval performed better in delayed memory than students who only reviewed the learning materials.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of delayed memory in between prior and post retrieval attempts Second, a combination of prior and post retrieval practices has no meaningful effect on students ’ delayed memory compared to a repeated retrieval post to learning. Third,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s of achievement level and retrieval strategies to enhancing delayed memory.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d us with insights on effective retrieval strategies on learning. Specifically, this study underlined the importance of attempts to retrieve information before students learn the materials and let them to retrieve afterward the learning can be an effectiv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for maximizing students memory.

      • KCI등재

        메타 인지적 인식과 미래계획기억 인출 과정 : 자발적 주의 할당 전략의 효과

        윤용식(Yong Sik Yoon),손영우(Young Woo Sohn) 한국인지과학회 2011 인지과학 Vol.22 No.2

        기존의 미래계획기억 연구들은 미래계획기억이 인출되는 두 가지 처리 과정, 주의를 사용하여 미래계획기억을 지속적으로 점검하여 인출하는 과정과 환경의 외부적 단서에 의해 미래계획기억이 자동적이고 자발적으로 인출되는 과정이 존재함을 지지하는 여러 증거들을 제시하였지만, 이런 인출 과정들이 어떤 방식과 조건들로 인하여 나누어지는지에 대한 일관성 있는 증거들은 제시하지 못하였다. 본 연구는 미래계획기억의 인출 처리방식이 나누어지는 주요 요인으로 실험 참가자들이 미래 계획기억 수행을 위해 얼마만큼의 인지적 노력이 필요한지를 지각하게 되는 메타 인지적 인식과 이를 통해 이루어지는 자발적 주의 할당 전략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실험 1에서는 실험 참가자들이 미래계획기억 과제를 쉽게 수행할 수 있다는 메타 인지적 인식을 심어주기 위하여 미래계획 기억을 상기시키는 외부 단서의 특성을 조작하였고, 실험 2에서는 과제의 어려움과 과제 수행을 위해 드는 인지적 노력의 정도를 알려주는 사전 정보를 각각 달리 제시하여 실험 참가자들의 메타 인지적 인식을 조작해보았다. 그 결과, 실험 1, 2 모두 실험 참가자에게 유도된 메타 인지적 인식에 따라 미래계획기억의 인출 방식이 달려졌다. 본 연구의 결과들은 미래계획기억 수행에 대한 메타 인지적 인식이 미래계획기억의 인출 과정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임을 알려주고 있으며, 메타 인지적 인식에 의한 주의 할당 전략에 따라 미래계획기억의 성공적인 수행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인출 단서의 특성, 주의자원)이 달라진다는 사실을 알려주고 있다. Prospective memory (PM) is memory for activities to be performed in the future, such as remembering to purchase a piece of fruit on the way home or remembering to give someone a telephone message. Theoretically, PM retrieval can be accomplished either by controlled monitoring of intended action or by a more automatic process that spontaneously responds to the presence of intended event.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meta-cognitive awareness in PM retrieval process. In Experiment 1, we manipulated PM condition with a salient cue to stimulate participants’ meta-cognitive awareness. Results showed the salient cue condition spontaneously triggered remembering to perform an intended action. In Experiment 2, we manipulated participants’ meta-cognitive awareness about PM task difficulty and about the degree to which cognitive capacity is required to realize the PM task. Results showed that PM retrieval process varied with meta-cognitive awareness (i.e., more resources were allocated if the PM task was expected to be difficult). These results imply that participants’ meta-cognitive awareness play an important role in PM retrieval process.

      • KCI등재

        인출연습의 기억증진효과에 대한 뇌영상 증거

        강이철 대한사고개발학회 2018 사고개발 Vol.14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various reasons for test-enhanced learning effect based on recent brain imaging endeavors. This study proposed three research questions: What are the features of episodic memory? What brain activities are involved in the retrieval practice process? Whether identical brain loci are involved in encoding and retrieval process? In the beginning, this study introduced an ISP model regarding various systems of memory and its processes. Retrieval practice is very similar to the process of episodic memory system and its process. Various brain imaging studies delved into an interaction process of encoding, storage and retrieval via reinstatement and recapitulation in the specific locus of hippocampus and cortex during those processes. Due to these processes being deeply interrelated, educational effect of encoding specificity principle and transfer-appropriate processing framework can be validated by the research of brain imaging science. Research has shown that testing effect via retrieval practice activity can be attributed to the interaction of various associated cognitive processes among encoding, storage and retrieval process. The interactions among specific brain areas associated with encoding, storage and retrieval result in a memory enhancing process. Based on this study, the educational suggestions applicable to classroom practice are that: A good encoding process is required, early initial testing is recommended, and both the situation and process of encoding and retrieval should be similar. 이 연구의 목적은 지난 100여년간 많은 실증연구를 통해 일관되게 입증된 인출연습활동, 즉 시험치기 학습활동의 기억증진효과에 대한 뇌영상 증거를 제시하고, 교육적 활용방안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의 세 가지 세부 연구문제를 설정했다. 첫째, 인출연습활동의 대상이 되는 삽화기억의 성격은 어떠한가? 삽화기억은 어떤 종류의 기억내용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 기억내용들이 어떻게 연계되어 있는지를 확인하였다. 둘째, 삽화기억을 약호화하고 인출하는 과정인 인출연습활동은 어떤 뇌활동을 수반하고 있는가? 인출연습활동의 약호화과정과 인출과정이 과연 서로 긴밀하게 연계되어 상호 복원과 재현의 과정을 거치는지를 확인하였다. 셋째, 인출연습활동 동안 이루어지는 약호화과정과 인출과정에 관여하는 구체적인 뇌 부위가 일치하는가? 뇌영상 연구를 통해 두 과정에 관여하는 뇌 부위가 일치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연구는 인출연습활동의 효과가 약호화과정 그리고/또는 인출과정과 연합된 여러 뇌부위의 상호작용 과정을 통해 기억이 증진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확인하였다. 이러한 뇌영상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인출연습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첫째, 최초의 약호화과정에서 비교적 완전학습수준에 이르도록 학습할 것, 둘째, 학습 후 가능한 빠른 시일 내에 인출연습을 수행할 것(초기시험효과), 셋째, 약호화상황과 인출상황을 일치시킬 것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사전인출이 지연기억에 미치는 영향

        최효식(Hyo Sik Choi),권희경(Hee Kyung Kwon),민지연(Ji Yeon Min),최지영(Ji Young Choi) 한국교육심리학회 2014 敎育心理硏究 Vol.28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학습 전에 사전인출을 경험하는 것이 지연기억을 촉진하는지를 확인하고, 사전인출의 효과가 인출을 시도한 학습 내용에 대한 ``주의집중`` 때문인지 아니면 ``인출`` 경험으로 인한 관련 정보의 정교화 때문인지를 검증하는 것이었다. 연구결과, (1) 사전인출을 경험한 집단은 사전인출 없이 학습만을 한 통제 집단보다 인출 대상 정보에 대한 지연기억 검사 점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 주의집중을 유도하기 위해 주요 정보를 강조한 자료를 학습한 강조 집단에 비해 동일 정보에 대한 인출 시도를 한 인출 집단이 지연기억 검사에서 우수한 수행을 보였다. (3) 사전인출을 시도한 집단과 그렇지 않은 집단 간에 인출 대상에 포함되지 않은 주변 정보의 기억에는 차이가 없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학습 전에 시험 문항의 정답을 추측해 봄으로써 관련 정보를 인출하는 시도가 단순 주의집중 효과를 넘어서 기억흔적을 강화하는 정교화의 효과가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주요 학습 활동인 텍스트 이해에 있어서 사전인출이 효과적인 학습 전략임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실제적 의의를 갖는다. The present study aim to show whether the attempt to retrieve relevant information prior to learning has an improving impact on delayed memory of the learned material. Also, we speculate the mechanism underlying the positive effect of the prior retrieval on delayed memory. Specifically, we try to demonstrate that the impact is attributed to the elaboration of relevant ideas by retrieval attempts, not merely the attention paid to the information. As a result of two experiments, (1) students who engaged in the prior retrieval performed better than students who did not when they cued-recalled the ideas that they tried to retrieve 1 week after the learning phase. (2) they also showed better performance in the cued-recall test than students who studied the same material with the main ideas emphasized in bold. (3) There was no group difference when it comes to cued-recalling information excluded from the retrieval attempt or the emphasis treatment. This study suggests that both ``attention-paying`` and ``elaboration`` mechanism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when explaining the impact of the prior retrieval on delayed memory. These results imply that prior retrieval is an effective learning strategy beyond emphasis strategies.

      • 재인방식의 틀린 인출시도에 의한 시험효과

        곽진선,민윤기,이영창,김보성 한국감성과학회 2017 춘계학술대회 Vol.2017 No.-

        틀린 인출의 시험효과를 검증한 선행연구들은 시험(인출시도)을 통해 오답이 인출된 경우에도 추후의 기억이 촉진될 수 있음을 보고하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연구들은 학습방법과 최종기억검사 모두 회상방식을 사용하여 기억촉진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이와 달리 재인방식의 시험을 통해 오답이 인출된 경우에도 추후의 기억이 촉진될 수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최종기억검사를 재인과 회상방식으로 나누어 수행하여 기억검사유형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평균연령 22.35(±2.12)세인 C대학 학부생 130명(남 63명)이 실험에 참여하였다. 실험참여자들은 학습유형(3: 단순학습, 단서제시, 틀린인출)과 최종기억검사방식(2: 재인 회상)에 따라 여섯개의 집단에 무선할당 되었다. 기억재료는 단서단어와 네 개의 보기단어(이 중 하나가 표적단어)이며, 모든 단어 간의 의미적 연관성은 동일한 수준으로 통제되었다. 실험은 `재인학습구간`, `방해과제구간`, 그리고 `최종기억검사` 순서로 진행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 최종기억검사의 유형과 상관없이 단순학습집단과 틀린인출집단에 비해 단서제시집단의 정답률이 높았으며, 학습유형과 상관없이 단순학습집단과 틀린인출집단에 비해 단서제시집단의 정답률이 높았으며, 학습유형과 상관없이 회상검사방식보다 재인검사방식의 정답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오답이 인출된 재인방식의 시험을 통한 학습의 경우에는 표적 정보를 기억하는 데 효과적이지 않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 KCI등재

        Interactivity within large-scale brain network recruited for retrieval of temporally organized events

        Yoonjin Nah(나윤진),Jonghyun Lee(이종현),Sanghoon Han(한상훈) 한국인지과학회 2018 인지과학 Vol.29 No.3

        부호화된 사건의 시간적 정보를 기반으로 한 인출은 일화기억의 중요한 통제기제 중 하나이다. 기억인출과 관련한 수많은 신경영상 연구들이 진행되었음에도 아직 시간적으로 구성된 일화기억의 인출에 관여하는 뇌신경연결망 패턴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많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두가지 다른 순차적 인출 뇌신경 기제를 구분하기 위하여 과제기반 기능적 연결성 다변량 패턴분석 방법을 사용하였다. 참가자들은 시간적 일화기억과제를 수행하였고, 순서대로 부호화된 기억자극을 순방향 혹은 역방향으로 인출하도록 지시를 받았다. 부분적으로 분류된 국소적 신경네트워크 패턴은 두 인출기제를 잘 구분하지 못한 반면, 기억과 관련된 인지통제 영역과 목표-지향적 인지기제처리에 관련된 것으로 알려진 여러 피질-피질하 노드들을 아우르는 전뇌신경네트워크 패턴은 시간적 일화기억 인출기제를 잘 구분하였다. 이 영역들은 측면/내측 전전두엽 영역, 하부 두정엽, 중간 측두회, 선조체 영역 등을 포함하며 기계학습을 이용한 분류에서 높은 분류 예측률을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일화기억의 시간적 인출기제에 관여하는 피질-피질하 여러 영역의 관여를 확인하였고, 대역적 네트워크 패턴의 기능적 연결성이 질적으로 다른 인출기제에 관여함을 확인하였다는데에 중요성을 갖는다. Retrieving temporal information of encoded events is one of the core control processes in episodic memory. Despite much prior neuroimaging research on episodic retrieval, little is known about how large-scale connectivity patterns are involved in the retrieval of sequentially organized episodes. Task-related functional connectivity multivariate pattern analysis was used to distinguish the different sequential retrieval. In this study, participants performed temporal episodic memory tasks in which they were required to retrieve the encoded items in either the forward or backward direction. While separately parsed local networks did not yield substantial efficiency in classification performance, the large-scale patterns of interactivity across the cortical and sub-cortical brain regions implicated in both the cognitive control of memory and goal-directed cognitive processes encompassing lateral and medial prefrontal regions, inferior parietal lobules, middle temporal gyrus, and caudate yielded high discriminative power in classification of temporal retrieval processes. These findings demonstrate that mnemonic control processes across cortical and subcortical regions are recruited to re-experience temporally-linked series of memoranda in episodic memory and are mirrored in the qualitatively distinct global network patterns of functional connectivity.

      • KCI등재

        부호화(Encoding)와 인출(Retrieval)이 기억력과 자아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김유선(Kim, Yu–,Se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6

        본 연구는 스키마를 활용한 부호화 전략, 단순 인출 전략, 인출과 피드백 전략이 기억력과 자아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여 시험효과(Testing Effect)를 복습전략으로 효과적으로 적용하기 위한 방안을 고찰하는데 목적이 있다. 시험효과(Testing Effect)를 일으키는 인출은 좋은 학습 전략이지만 풍부한 스키마가 전제되어야 하며 이는 부호화를 통해서 가능하기 때문에 연구할 필요가 있다. 연구대상은 C시에 있는 초등학교 5학년 총 179명을 편의 표집하였으며. 3주 동안 2반씩 한 그룹 으로 총 3 그룹으로 나누어 진행되었다. 먼저, 학습 후 20 문항의 빈칸 채우기 평가결과를 통해 세 그룹으로 나누고 동질성 여부를 확인하였고, 일주일 후 스키마를 활용한 부호화 전략, 단순 인출 전략, 인출과 피드백 전략을 투입하였다. 집단별로 20 분간 학습을 마치고 바로 자아 효능감과 사후 기억력 평가를 시행하였다. 통계 분석방법으로 ANOVA와 사후검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시험전 학습 자료를 충분히 부호화하는 전략과 단순 인출 전략 그리고 인출 후 피드백이 주어지는 전략 중 학습 자료를 충분히 부호화하는 전략과 인출 후 피드백을 통해 부호화하는 전략이 단순 인출 전략보다 기억력을 향상시켰다. 시험 전 단순 인출 전략보다 부호화 전략 또는 부호화를 포함한 인출 전략이 더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둘 째, 충분한 부호화를 통한 복습집단과 인출을 통한 복습집단, 충분한 부호화를 통한 복습집단과 인출과 피드백을 통한 복습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 인출은 학습 전략으로 효과적이지만 그 전에 충분한 부호화가 선행되거나 인출 후 충분한 피드백을 통해 학습하는 것이 기억력 향상에도 영향을 준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으며, 충분한 부호화는 인출을 통한 복습보다 자아 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how the testing effect can effectively be used as students’ review strategy by verifying the impact of schema encoding, only retrieval, and retrieval and feedback strategies on memory and self-efficacy. A convenience sampling method was employed to enrol 179 Year 5 students in one primary school in South Korea and divide them into a total of three groups, each one composed of two classes. After a learning session, the participants were asked to solve 20 fill-in-the-blank questions, the results of which were used to divide them into three groups and test the homogeneity of them. And a week later, three review strategies were introduced. After twenty minutes of learning, the participants were tested on their self-efficacy and post-hoc memory. The statistical analysis used ANOVA and post-hoc test, resulting in the following: First, the strategies of spending sufficient time encoding learning materials before a test and of receiving feedback after retrieval and then encoding the information led to a better memory than that of only retrieval, proving that the encoding strategy and the retrieval strategy involving encoding are more effective than the only retrieval strategy; and second,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a pair of groups that conducted a review through sufficient encoding and did it through a test respectively and another pair of groups that conducted a review through sufficient encoding and did it through a test and feedback respectively. This study proved that, while retrieval is an effective learning strategy, it impacts memory improvement when sufficient encoding is preceded or when learning through sufficient feedback is followed and that sufficient encoding has a more positive impact on self-efficacy than retrieval.

      • KCI등재

        인출 유도 후 재학습의 중요성

        박주용,배제성 한국인지및생물심리학회 2011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Vol.23 No.4

        Recently, there have been several attempts to apply the results of theoretical research on memory processes in actual learning settings. One such attempt is the promotion of learning via retrieval or testing. Learning via retrieval occurs when one is forced to retrieve memorized information. For example, in a task where participants are asked to memorize cue-target pairs, learning is enhanced when only the cues are displayed during half of the learning session, inducing retrieval, and then the cue-target pairs are shown together, rather than when the cue-target pairs are displayed together throughout the session. One explanation for the memory enhancement effect of retrieval is that memory retrieval forces the learner to produce the answers and modify one's errors. The current study sought to examine such error modification processes as well as the importance of re-learning after retrieval induction by carrying out five experiments with college students. Experiment 1 was performed to replicate the findings of previous research. Then retrieval was induced and the conditions for re-learning was manipulated in two different ways. In Experiment 2, only the cue was displayed first, and then only the target was displayed in the experimental condition and the cue-target pairs were displayed together in the control. In Experiment 3, the cue was displayed first, and two conditions were compared: one in which the cue-target pairs were displayed longer and one in which the pairs were displayed for a shorter amount of time. In both experiments, performance increased when the conditions were better for re-learning. In Experiment 4, we found that there was no difference in performance when the retrieval induction time was different but the re-learning time was the same. In Experiment 5, when the re-learning time was short, the performance of retrieval induction condition was lower than that of the condition where learning took place without retrieval induc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in pair association learning tasks, not only retrieval induction but sufficient re-learning is an important factor in promoting memory performance. 기억 과정에 대한 이론적 연구를 실제 학습 장면에 적용하려는 시도가 최근 활발해지고 있다. 이 시도 중의 하나는 인출 유도를 통한 학습(learning via retrieval)이다. 인출 유도를 통한 학습에서는, 예를 들어, 비단어와 숫자 쌍을 외우도록 하는 과제에서, 이들을 일정한 시간동안 동시에 제시하는 단순 학습 조건과는 달리 그 일정한 시간의 반 동안에는 비단어만을 먼저 제시하여 인출을 유도한 다음 나머지 반 동안에는 비단어와 숫자쌍을 함께 제시하는 절차를 사용한다. 이 절차를 사용하면 인출 유도 조건에서의 기억 수행이 단순 학습 조건에 비해 더 우수하다. 인출 유도 조건에서 기억이 향상되는 이유로 인출 시 학습자가 답을 스스로 산출하도록 하고 이어지는 학습 기회를 통해 오류를 수정하기 때문이라는 설명이 제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오류 수정 외에, 인출 유도에 이어지는 재학습의 중요성을 알아보기 위해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5개의 실험이 수행되었다. 선행 연구를 반복 검증하는 실험 1에 이어, 먼저 인출을 유도한 다음 재학습의 용이성을 두 가지 다른 방식으로 조작하였다. 실험 2에서는 비단어만을 먼저 제시한 다음 숫자만을 제시한 조건과 비단어와 숫자를 함께 제시한 조건을 비교하였다. 실험 3에서는 비단어를 먼저 제시한 다음 비단어와 숫자가 함께 제시되는 시간을 길게 한 조건과 짧게 한 조건을 비교하였다. 두 실험 모두에서 재학습이 용이한 조건에서의 수행이 더 향상됨을 발견하였다. 실험 4에서는 인출 유도 시간은 다르지만 재학습시간이 동일할 때에는 수행에 차이가 사라지는 결과를, 실험 5에서는 재학습 시간이 짧을 경우 인출 유도가 이루어져도 학습만 이루어진 조건보다 오히려 수행이 저하되는 결과를 얻었다. 이상의 결과는 쌍대연합학습에서는 인출 유도 외에 충분한 재학습이 기억 수행을 높여주는 중요한 요인임을 보여준다.

      • KCI등재

        노화와 자전적 기억: 회상유형과 사상유형에 따른 일화 및 비일화 기억 양상 간 비교

        김영경,진영선,이장호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009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Vol.22 No.3

        자전적 기억은 자신의 삶에 관한 개인적인 기억으로, 주관적인 의식경험이 수반되며 자기도식에 의해 재구성된다. 본 연구에서는 자전적 인터뷰(Autobiographical Interview: AI)를 통해 자전적 기억의 일화 및 비일화적 요소의 인출 양상에서의 연령차를 인출지지와 함께 고찰하였다. 또한 사상의 정서에 따른 일화 및 비일화 회상량의 연령차를 살펴보았다. 노인은 탐문회상에서 청년보다 일화의 회상량이 적었고, 인출지지는 노인과 청년 모두에게 일화 및 비일화의 회상을 촉진시켰는데, 인출지지로 인해 증가한 일화기억의 범주유형 중 시간, 지각, 사고/정서에서 연령차가 나타났다. 그러나 비일화 회상에서는 연령과 회상유형 간 상호작용이 없었고, 자전적 기억의 회상에서 정서의 이득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결과와 그에 관한 논의를 통해 자전적 기억의 특성과 연령에 따른 기억체계의 변화, 정서와 기억 간의 관계에 대해 검토하고 본 연구의 의의 및 제한점, 추후연구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It has been postulated that as people get older, the episodic information in our auto biographical memory should be deteriorated faster than the semantic aspect of it. To examine the thesis, the present study measured the probed retrieval performances of young and old group in their autobiographical memory using a technique called, Autobiographical Interview(AI). It was also examined if the probed retrieval was in any way effected by the emotional valence of the events recalled. The results showed that: (1) There was clear age deficits in episodic memory but not in semantic memory. (2) Retrieval support helped young adults more in recalling episodic memories than older adults and this trend was quite visible in the category of time, perception and thought/emotion. (3) There was no evidence of the advantage in recalling the emotional events in both episodic and semantic aspects of autobiographical memory. (4) The recall for negative events in older adults interacted with rehearsal. It can be safely argued that the nature of tools and techniques administered to study cognitive aging will determine the level of validity of the data collected.

      • KCI등재

        자극의 인출난이도와 연합강도가 기억억제에 미치는 효과

        정윤재 한국인지과학회 2023 인지과학 Vol.34 No.1

        The present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difficulty level of retrieval practice and the association strength of categories and stimuli within categories on memory inhibition. Most of the studies have investigated whether inhibition was occurred by manipulating the degree of association strength, emotion value or physical characteristics of non-retrieval practice words within the retrieval practice category. Therefore, it was necessary to study how inhibition occurs according to the degree of difficulty of retrieval stimuli during retrieval practice. The difficulty of retrieval was manipulated into three levels: difficult condition, normal condition, and easy condition through the degree of presentation of consonants and vowels of words during retrieval learning. Additionally, the strength of association between categories and words within categories was manipulated. In previous studies, retrieval-induced forgetting occurred under conditions where the association strength between categories and words within the categories was strong. On the other hand, retrieval-induced forgetting did not occur under conditions where the association strength between categories and words within the categories was weak. The present study, if the inhibition process differs according to the difficulty of retrieval, the possibility of different results from previous studies was explored according to the difference in the strength of association with the category. As a result of the study, in the condition of strong association strength, retrieval-induced forgetting was observed under normal and difficult retrieval difficulty conditions. Whereas retrieval-induced forgetting was not observed under conditions of easy retrieval difficulty condition. In the condition of weak association strength, retrieval-induced forgetting tended to occur under difficult retrieval difficulty conditions. Whereas retrieval-induced forgetting was not observed under conditions of normal and easy retrieval difficulty condi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memory inhibition may appear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difficulty of retrieval. 본 연구는 인출 연습의 난이도 수준과 범주와 범주 내 자극의 연합강도가 기억억제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기존의 연구들은 대부분 인출 연습 범주 내 비 인출 연습 단어의 연합강도나 정서가, 물리적 특성 조작을 통해 같은 인출 연습 동안 떠오르는 정도를 조작해 억제가 이루어지는지 연구되었다. 따라서 인출 연습 시 인출 자극의 인출 정도의 난이도가 달라질 때 어떻게 억제가 발생되는지 연구될 필요성이 있다. 인출의 난이도는 인출 학습 시 제시되는 떠올려야 하는 단어의 자음과 모음의 제시 정도를 통해 어려운 조건, 보통 조건, 쉬운 조건의 세 수준으로 조작되었다. 또한 추가적으로 범주와 범주 내 단어들 간의 연합강도가 조작되었다. 기존의 연구에서는 범주와 범주 내 단어들 간의 연합강도가 강한 조건에서는 인출 유도 망각이 발생된 반면, 범주와 범주 내 단어들 간의 연합강도가 약한 조건에서는 인출 유도 망각이 발생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인출 난이도에 따라 억제 과정이 다르게 나타날 경우 범주와의 연합강도에 따라 기존의 연구결과와 다르게 나올 가능성을 탐구하였다. 연구 결과 범주와 범주 내 단어들의 연합강도가 강한 조건에서는 인출 난이도가 어려운 조건과 보통 조건에서 인출 유도 망각이 관찰된 반면, 인출 난이도가 쉬운 조건에서는 인출 유도 망각이 관찰되지 않았다. 그리고 연합 강도가 약한 조건에서는 인출 난이도가 어려운 조건에서 인출 유도 망각의 경향성을 보인 반면, 난이도가 보통 조건과 쉬운 조건에서는 인출 유도 망각이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인출 난이도에 따라서 기억 억제가 다르게 나타날 가능성이 시사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