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기술이전 성공요인 분석을 통한 기술사업화 활성화 방안

        임채윤,이윤준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7 정책연구 Vol.- No.-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국가연구개발예산의 확대 및 성과중심의 평가체계 확립에 따라서, 기술혁신과 관련된 정부, 대학, 연구기관, 기업 등에서 기술이전 및 사업화에 대한 관심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정부는 기술이전·사업화의 촉진을 위해서 ‘기술이전·사업화 촉진계획’, ‘연구성과관리·활용 기본계획’등 다양한 정책을 전개하고 있지만, 아직까지 가시적인 성과가 낮은 것으로 보인다. 기술이전·사업화에 대한 정책 전개와 성과간의 불일치는 아직까지 성과를 중심으로 한 연구개발의 속성을 파악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으로 보여진다. 본 연구에서는 정부출연연구기관이 수행한 연구개발과제와 기술이전 현황을 연동한 DB를 구축하고, 데이터 분석을 통해 이전 기술의 기술 및 시장 속성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연구개발의 유형에 따른 기술이전 성공요인을 도출한다. 한편, 정량적인 분석에서 파악하기 어려운 기술이전의 애로요인, 연구개발 유형별 기술이전 메커니즘 등을 사례분석을 통하여 파악한다. 정량·정성적인 분석을 통하여 파악된 유형별 기술이전 성공 및 애로요인을 바탕으로 기술이전 정책의 개선방안을 모색한다. 주요 연구내용 본 연구는 기술이전과 관련된 국내외 이론고찰, 출연(연)의 기술이전 현황 분석, 기술이전 성공사례 분석, 정책적 시사점 및 개선방안 등 크게 4개 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우선 국내외 이론고찰에서는 국내적으로 수행된 기술이전 관련 선행연구의 현황을 파악하고, 기술이전의 유형과 메커니즘, 성공요인과 관련된 이론을 고찰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모형을 정립하였다. 둘째, 출연(연)의 기술이전 현황 분석을 위해서 출연(연)의 성과보고서(’04~’06년)에 수록된 기술이전 현황을 DB화하고, 이를 조사분석 DB와 연동하여 이전된 기술의 연구개발 특성(6T 분류, 연구개발단계 분류, 기술수명주기 분류, 협력 유형 등)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기술이전 현황을 분석하였다. 셋째, 기술이전 사례분석에서는 생명공학, 철도, 에너지(환경), 정보통신 분야의 기술이전 사례 중 기술료 1억원 이상(계약금액 기준)의 과제를 선별하여, 면담조사를 통하여 기술이전의 애로요인과 성공요인을 파악하였다. 마지막으로 결론 및 정책적 시사점에서는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고, 연구기획단계, 성과평가의 효율화, 기술시장 창출을 위한 조세지원 강화, 기술이전 결과의 시장창출 효율화를 위한 신기술인증·평가시스템의 정비 등을 제안하였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기술분야, 기술수명주기에 따라서 민간 부문의 기술 흡수·소화능력이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기술 사용자(또는 수요자)의 흡수·소화 능력 차이는 이전될 기술의 완성도에 따라서 수요의 집중도가 달라짐을 보여주고 있다. 한편, 사례조사 결과에 따르면, 기술이전·사업화를 위한 내부조직과 연구관리시스템의 수준에 따라서 성과의 차이가 나타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고, 기술분야별로 기술이전·사업화를 촉진할 수 있는 메커니즘이 다르게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기술이전·사업화 지원정책의 효율성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해당 기술분야의 기술적·시장적 특성을 반영한 기술이전 메커니즘 구축이 시급한 것으로 생각된다. 정책제언 본 연구에서 제안하고 있는 정책적 개선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기술이전·사업화를 고려한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연구기획기능을 강화하기 위하여 상업화로드맵(Technology Commercialization Roadmap) 수립을 제안한다. 국가적으로 연구개발 분야선정을 위한 로드맵이 작성되고 있지만, 여전히 연구개발을 위한 기술기획 차원에 머물고 있으며, 적극적인 기술이전·사업화 추진을 위해서 일부 대형연구개발과제를 중심으로 연구기획 단계에서 상업화로드맵을 수립함으로써 사업화 초기단계에서 시장창출을 기반으로 한 기술 이전·사업화가 원활하게 추진되도록 기반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둘째, 성과평가 체계에서 기술분야별/기술수명주기별/연구개발단계별 기술이전 성과를 측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성과목표를 수립하는 체계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 셋째, 기술이전 수요를 확대하기 위하여 기술이전소득에 대한 소득세 또는 법인세 공제 범위를 현재 7%에서 15%까지 확대할 필요가 있다. 넷째, 신기술의 시장 진입 장벽을 완화하기 위하여 신기술인증·평가 시스템을 정비함으로써 신기술의 성능·안전성·신뢰성 등에 대한 시장의 신뢰를 제고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국제합작을 통한 화학산업 기술이전의 결정요인 중요도 분석

        정중규,한상국 한국기술혁신학회 2019 기술혁신학회지 Vol.22 No.2

        Chemical industry, as one of the basis industries of the country, is characterized by converged high-end technology and large scale capital investment. In 2018, the government announced ≷The Strategy for Chemical Industry Development≸ with the vision of ‘An Upgrade to the Advanced Chemical Industry’. In the meantime, the advanced chemical industry in Korea has been developed not by its own R&D, but by the upgrading of technologies and processes through the technology transfer from developed countries. The method of technology transfer was mainly achieved with international joint ventures (hereafter IJV) linked with technology transferors from developed countries. As it is necessary to grasp the determinants of the technology transfer and their importance to promote the transfers through IJVs, this relative importance analysis study was conducted by using the method of quantifying experts’ opinions (AHP) on the determinants of the technology transfer of both parti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n the Hierarchy1(PEST factors), the technology transferees focus on economic factors such as ‘profitability of technology transfer’ and ‘cost efficiency’, while technology transferors considered technical factors such as ‘operational excellence (abilities to continuously improve technology process)’. In addition, transferors and transferees have different priorities for technology transfer determinants in all areas of Hierarchy 2 (sub-determinants). This suggests that Korean government or enterprise should shift the policy direction toward ‘technology-oriented’ when they promote advancedtechnology transfer through IJVs. 화학산업은 한 국가의 근간을 이루는 산업으로, 고기술집약, 고자본 투자의 특징을 지니고 있다. 2018 년 정부는 ≷화학산업 발전전략≸을 발표하면서, ‘첨단화학산업으로 고도화’를 비전으로 내걸었다. 우리 나라 화학산업에서 이루어진 기술 및 공정 고도화는 자체기술의 연구개발보다는 기술선진국으로부터 선진기술이전에 의한 것이었고, 기술이전 유형은 주로 선진국 소재 기술공급사와 연계된 국제합작투자 였다. 이러한 국제합작투자를 통한 기술이전을 촉진하기 위하여 기술이전결정요인 및 각 결정요인별 상대적 중요도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므로, 본 연구는 국제합작투자를 통한 기술이전 과정에서 기술공 급사와 기술도입사가 갖고 있는 기술이전결정요인에 대해 전문가의 견해와 가중치를 정량화하는 AHP 분석을 활용하여 상대적 중요도 비교분석・연구를 진행하였다. 분석결과, 계층1(PEST요인)에서는 기술 도입사는 ‘기술의 수익성’, ‘비용효율성’과 같은 경제적요인에 치중하는 반면, 기술공급사는 ‘기술공정을 계속적으로 개선해 가는 능력’과 같은 기술적요인을 중요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계층2(하부 결정요인)에서도 모든 영역에서 기술공급사와 기술도입사의 기술이전결정요인 우선순위가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우리나라 정부나 기업이 국제합작을 통한 선진기술이전을 촉진하기 위한 정책방향이 ‘기술중심’으로 전환되어야 한다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 KCI등재

        공공연구성과의 기술이전사업화 모형

        류태규 ( Tae-kyu Ryu ),박종복 ( Jong-bok Park ),이정동 ( Jeong-dong Leec ) 한국지식재산연구원 2007 지식재산연구 Vol.2 No.1

        연구개발효율성의 관점에서 공공에서 개발된 결과물의 민간으로의 이전 및 사업화 그리고 연구소 자체의 창업이나 연구소기업 등 활용과정에 많은 정책적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이러한 과학기술정책의 한 흐름은 이미 세계적이 추세로서 우리나라에서도 많은 고민과 함께 연구가 되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 들어, 정부에서는 기술거래기관을 지정하고 이러한 기관을 중심으로 기술이전사업화를 강력하게 추진하고자 다양한 지원정책을 추진 중에 있다. 이러한 추세에 맞추어 본 연구는 공공연구기관의 기술이전 사례 및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기술거래기관을 중심으로 한 기술이전 및 사업화 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기술이전 및 사업화관련 문헌연구를 통해 5단계의 기술이전사업화 프로세스와 기술이전사업화의5가지 주요요소를 바탕으로 5X5 매트릭스 구성하고 이를 바탕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작성하였다. 설문 및 심층인터뷰는 15개 공공연구기관과이 기관에서 기술을 이전 받아 사업화를 추진 중에 있는 24개의 기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으며, 설문 및 인터뷰결과의 분석을 통하여 기술이전 사업화 성공 또는 실패요인을 도출하였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기술거래기관을 중심으로 하는 기술이전 사업화 모델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가 우리나라의 기술이전사업화 정책과 체계가 한 단계 진보되는데 조금이나마 밑거름이 되기를 간절히 바라는 바이다.

      • KCI등재

        저작권 보호기술 이전에 관한 연구 - 공적개발원조(ODA) 지원을 중심으로 -

        백승희 한국지식재산학회 2023 産業財産權 Vol.- No.76

        전 세계적으로 한류가 지속되면서 K-콘텐츠의 범위 또한 웹툰, 음식으로 까지 확대되고 있다. 또한 다양한 정보통신 기술의 발전에 따른 디지털 산업 의 성장은 K-콘텐츠를 전 세계에 확산하여 다양한 부가가치를 창출하고 있다. 이에 K-콘텐츠의 불법 유통으로 인한 저작권 침해 문제 또한 주요한 사회 문제이자 범법 행위로 대두되고 있다. 이에 이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해결방안이 필요한 시점이다. 현재 우리나라 문화는 미디어 기술과 결합하여 K-드라마, K-pop, K-웹툰 등 글로벌 문화로 자리잡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K-콘텐츠의 불법 유통이 허용되지 않도록 인공지능을 활용한 저작권 기술보호 시스템을 ODA 국가에 기술이전 한다면 국내·외적으로도 많은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정부는「기술이전·사업화 촉진계획」을 수립하여 시장 확대와 혁 신 기술 확장을 통한 국가 성장을 도모하고 있다. 따라서 기술이전이 저작권 을 비롯한 지식재산 분야에 적용했을 때 많은 경제적 가치가 예상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저작권 보호기술을 해외 국가에 이전하여 저작권 보호를 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에 기술이전 국가를 선정 하기 위한 선정기준을 개발하여 필리핀, 베트남, 인도 국가를 최적의 기술이 전 국가로 도출하였다. 이들 국가는 우리나라와 오랜 역사를 함께 한 아시아 국가들로 지속적인 경제발전을 이루고 있으며, 인도·태평양경제프레임워 크(IPEF)를 구성하는 국가들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들 국가들에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한 저작권 보호기술을 이전하는 방안으로 ODA 지원 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이들 국가들의 사회, 경제, 문화적 실정에 맞는 기술이전 형태와 과정을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한류 문화가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면 서 협업을 통해 우리나라의 문화 산업이 지속적으로 성장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As the Korean Wave continues around the world, the scope of K-content is also expanding to webtoons and food. In addition, the growth of the digital industry due to the development of various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s creating different added values by spreading K-contents around the world. In the same way, the issue of copyright infringement due to the illegal distribution of K-contents is also emerging as a major social problem and a criminal act. Therefore, it is time to come up with various solutions to solve this problem. Currently, Korean culture is becoming a global culture such as K-dramas, K-pop, and K-webtoons in combination with media technology. Therefore, if the copyright technology protection system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is transferred to ODA countries to prevent the illegal distribution of such K-contents, it will be possible to create a lot of added value both domestically and internationally. On its part, the Korean government has established the Technology Transfer and Commercialization Promotion Plan to promote national growth through market expansion and innovative technology expansion. Therefore, when technology transfer is applied to the field of intellectual property, including copyright, it is expected to have a lot of economic value. Accordingly, this study sought to suggest a way to protect copyright by transferring copyright protection technology to overseas countries. Accordingly, selection criteria were developed to select technology transfer countries. The Philippines, Vietnam, and India were derived as the optimal technology transfer countries. These countries are Asian countries with a long history with Korea, achieve continuous economic development, and also make up the Indo-Pacific Economic Framework (IPEF). In this study, ODA support was proposed as a way to transfer copyright protection technology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to these countries. Additionally, technology transfer forms and processes appropriate for the social, economic, and cultural circumstances of these countries were presented. Through this, as Korean Wave culture spreads globally, Korea's cultural industry can be expected to continue to grow through collaboration.

      • KCI등재

        공공연구부문에서의 기술이전컨소시엄의 효과와 특성 연구

        박종복(Park Jong-Bok),류태규(Ryu Tae-Kyu) 한국기술혁신학회 2007 기술혁신학회지 Vol.10 No.4

        본 연구는 2002년부터 5년간 운영된 권역별 공공기술이전컨소시엄의 실증분석을 통하여 기술이 전컨소시엄의 유효성과 주요 특성요인을 살펴보고자 한다. 유효성 검정은 기술이전프로세스를 토대로 하여 개발된 기술이전효율성지수가 컨소시엄의 운영기간 동안 변화한 정도로 판단하였고, 특성요인의 탐색은 기술이전 메커니즘 연구의 핵심변수인 가입동기, 촉진요인, 장애요인 및 극복과제를 사용하여 이루어졌다. 그 결과, 기술이전컨소시엄에 참여한 대학 또는 정부연구기관의 기술이전효율성지수가 참여하지 않은 기관에 비하여 더욱 큰 증가를 보였으며, 조사된 특성요인들도 컨소시엄의 직접참여자 그룹과 간접참여자 그룹 간에 인식 차가 거의 없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본 연구는 기술이전컨소시엄이 새로운 기술이전 메커니즘으로서의 유의미성과 공통적 특성을 갖는지를 탐색해 보았다는 것에 그 의의가 있다. Technology transfer (TT) consortium is an affiliation of two or more public research institutions (PRIs) that participate in a common technology transfer activity or pool their resources together, with the objective of facilitating technology transfer. Based on empirical analysis of five regional TT consortia (2002-2006) operating in Korea, this paper suggests their effectiveness by employing a TT performance index (TTPI) and identifies possible characteristics involved, such as motivations, facilitators, barriers, and challenges. TTPI devised in the paper is a new composite TT performance index to measure how much the TT performance of a PRI changed in a designated year compared to a base year. All the performance indicators of TTPI are well-structured based on the unique TT process that is prevalent in Korea. Further, TTPI can bring different size and focus of PRIs to the same scale for comparison by double-normalizing. The paper tests the effectiveness of TT consortium for the escalation of TT performances in member PRIs by highlighting the differences of TTPI's between 2005 and 2001. As a result, the paper found that the escalation of TIP! for member PRIs was greater than that for non-member PRIs. As for the characteristics of TT consortia, their respective factors obtained by TT expert survey were computed with proportion tests of differences (Z tests) to compare two perspectives between intramural and extramural groups. One of key findings is that there is general homogeneity in stakeholder perspectives regarding motivations, facilitators, barriers, and challenges. Some notable responses are as follow; the most probable motivation to join TT consortium is to share or exchange TT competences for enhanced performance. Second, the most probable facilitator is professional capability of consortium-hired personnel. Third, the foremost probable barriers to effective TT consortium are frequent change of consortium director and passive participation of member PRIs. Lastly, both publicizing TT consortia and developing performance metrics are the most important for the improvement of TT consortia. The understanding of the characteristics of TT consortia increases the likelihood of accelerated success, because TT consortia path from formation to termination encompasses many concepts, processes, principles, and factors. Finally, an analysis of the survey data combined with expert interview and observation data led the authors to derive five conditions as being critical to viable TT consortia in Korea at early stage of technology transfer systems. These conditions include policy infrastructure, proactive participation, excellent professionals, personal motivation, and learning mechanisms. It is expected that the Korean evidence is a starting point to develop and refine the theory of TT consortia and for additional studies in other countries.

      • KCI등재

        기술이전 장벽을 진단하기 위한 방법론 도출

        홍종의,김준영 경남대학교 산업경영연구소 2019 지역산업연구 Vol.42 No.3

        As the importance of technology transfer has been increased various research has beenconducted to analyze the success factors of technology transfer. In the previous research, the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the performance of technology transfer derived asdependent variables and success factor as the independent variables. However, the rate oftechnology transfer in Korea is very low. To overcome this, it is necessary to diagnose the barriersof technology transfer. Most re that have identified obstacles in a specific industry or specificenvironment. Research related with the barriers of technology transfer have been focused on barriersin specific industries or specific environments. In this study, we extract the barriers of technologytransfer that impede technology transfer and propose the method to diagnose the barriers. Accordingto the suggested method, the perspective, barriers, and performance measures for diagnosing thebarriers of technology transfer are extracted. By using the resulting barriers and performancemeasures, it is able to reduce problems previously encountered in technology transfer. Furthermore, itis expected that the performance measures presented in this study can be used as preliminary datafor mutual agreement in the technology transfer. 기술이전의 중요성 증대에 따라서 기술이전 성공요인 분석을 위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있다. 기존 연구에서는 기술이전 성과를 종속변수로 기술이전의 성공요인을 독립변수로 도출하고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또는 기술이전 성과를 독립변수와 종속변수를 도출하고, 이를 토대로 DEA를 이용하여 효율성을 분석하였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기술이전율은 매우 저조하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기술이전을 가로막는 장벽을 진단해야 한다. 기술이전 장벽과 관련된 기존 연구는 특정 산업 또는 특정 환경에서의 장애요인에 초점을 두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술이전을 방해하는 기술이전 장벽을 정의하고, 이를 진단하기 위한 방법론을 제시한다. 제시된 방법론의 단계에 따라서 기술이전 장벽을 진단하기 위한 관점, 장벽, 그리고 평가지표를 제시한다. 도출된 장벽과 평가지표를 기술이전 이전 단계에 진단에 사용함으로써, 기술이전 시에 발생되는문제를 사전에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기술이전 단계에서도 상호 합의를 위한 사전 대비 자료로 본 연구에서 제시한 평가지표가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후보

        IT 산업계의 기술이전에 관한 연구

        성태경 대한경영정보학회 2009 경영과 정보연구 Vol.28 No.3

        본 연구는 한국의 IT 산업계에서 기술의 이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 파악된 요인에 기술 이전의 성공에 미치는 영향력을 조사하며, IT 산업계의 성공적인 기술 이전을 위한 전략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기술의 이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들로는 대화, 거리, 모호성, 동기를 들 수 있다. 대화는 기술을 얼마나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가 그리고 전달 매체의 충분성을 의미한다. 연구개발자와 이를 상용화하는 사용자간의 대화정도를 측정하는 것으로 아주 수동적에서 아주 능동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거리는 전달자와 수신자와의 물리적 그리고 문화적 차이를 의미한다. 최근 전달자와 수신자 사이의 문화적(가치, 판단기준, 태도, 교육, 환경 등) 차이에 대한 중요성이 점차 대두되고 있다. 모호성은 이전하고자 하는 기술이 얼마나 구체적이고 분명한가를 의미한다. 모호성이 높은 기술은 이해시키기 어렵고, 이해하기 어렵고, 실현 가능성을 증명하기 어렵게 때문에 이전이 용이하지 않다. 동기는 기술의 이전을 하여야 할 동 기가 부여되거나 아니면 이를 유도할 유인책이 있는가를 의미한다. 기술 이전 준거틀은 기술의 이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들(대화, 거리, 모호성, 동기)의 조합으로 나타낸 것이다. 각 격자는 4가지 경우를 나타내는데, 격자 I과 IV는 기술의 이전이 완벽한 상황과 불가능한 상황을 의미하며, 격자 ⅡI과 IV는 기술의 이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가 복합하여 강점과 약점으로 작용하는 상황을 나타낸다. 기술 이전 준거틀에서 가장 기술 이전의 가능성이 높은 격자를 성취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기술 이전 전략의 수립 및 집행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정부는 물론 유관기관 및 기술 이전 추진 조직은 기술 이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을 최적화하는 대안 개발에 초점을 맞추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한국기업의 해외자회사에 대한 국제기술이전 성과의 결정요인: 통합적 접근방법

        정재휘 ( Jae Hwi Jeong ),이철 ( Choi Lee ) 한국국제경영학회 2014 國際經營硏究 Vol.25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기업의 해외자회사 기술이전에 있어, 과거연구를 통해 밝혀진 국제기술이전의 다차원적인 선행요인들이 어떠한 프로세스를 통해 기술이전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지 종합적으로 살펴보고자 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국내기업의 해외자회사 중 현지 생산기능을 확보하고 있는 17개국 소재, 195개 자회사 자료를 활용하여 가설을 실증 분석한 결과, 첫째, 모기업의 전수능력과 자회사의 흡수역량은 기술이전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수능력은 기술이전 성과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흡수역량을 매개하여 간접적으로도 기술이전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실증되었다. 둘째, 모기업의 전수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는 기술의 암묵성이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술의 특유성 및 모기업의 기술개발능력과 공유의지, 자회사와의 조직문화 유사성, 관계의 질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회사 흡수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이전되는 기술의 특유성 및 자회사의 기술개발능력, 인적역량, 도입의지, 자회사의 경영 자율성, 시장잠재력이며, 이들 변수는 흡수역량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기술이전 성과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전수능력과 흡수역량이며, 다른 선행요인들은 전수능력 및 흡수역량을 경유하여 간접적으로 기술이전 성과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기존연구를 통해 밝혀진 다차원적인 특성 요인들이 어떠한 프로세스를 통해 기술이전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지 설명할 수 있는 통합모형을 제시하고 이를 실증하였다는데 학문적 의의가 있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국내기업의 해외자회사 기술이전을 위한 전략수립 및 조직운영방안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is designed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performance of technology transfer from Korean parent firms to their foreign subsidiaries. Most previous studies focusing on this topic have relied on limited theoretical paradigms and variables. To overcome weakness of the past studies we developed an integrated model of technology transfer by combining three theoretical paradigms: resource-based view, industrial organizational E-S-P (environment - strategy - performance) paradigm, and relational perspective. We collected data from one hundred ninety-five foreign subsidiaries of Korean parent firms located in seventeen countries and use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s a statistical analysis method. The analysis results have following findings. First, both disseminative capacity of the parent firms and absorptive capacity of their foreign subsidiaries affect technology transfer performance in a positive way. Also, the disseminative capacity affects the technology transfer performance indirectly through improving the subsidiary``s absorptive capacity. Second, the findings suggest that such factors as specificity of the technology, parent``s R&D capacity, willingness to share technology, compatible organizational culture, and relationship quality affect the parent firm``s disseminative capacity positively while tacitness of the technology negatively affect it. Third, factors affecting the subsidiary``s absorptive capacity are found to be specificity of the subsidiary``s R&D capacity, human capability, willingness to lean, autonomy of subsidiary, and local market potential. Business implication of the finding is that in order to transfer technology successfully from parent firms to their foreign subsidiaries, parent firms should increase R&D capacity, willingness to share technology, explicitness and specificity of the technology to improve their disseminative capacity. Also, foreign subsidiaries should increase R&D capacity, human capability, willingness to learn, and managerial autonomy to improve their absorptive capacity.

      • KCI등재

        공공연구기관의 기술이전 유형별 성공요인 사례연구

        윤기동(Ki-dong Yoon),김병근(Byung-keun Kim) 한국기술혁신학회 2018 기술혁신학회지 Vol.21 No.2

        본 연구는 우리나라 공공연구기관의 기술이전 성공요인들을 분석한다. 기술이전과정의 특성을 반영하여 기술이전 유형을 공급주도형, 수요주도형, 상호작용형 등 3가지로 구분하여 분석한다. 기술이전 성공요인들을 분석하기 위해 기술이전 이해당사자(Subject), 기술(Object), 기술이전 과정(Process)을 중심으로 분석모형을 제시한다. 본 연구는 다중사례연구방법론을 사용하여 대표적인 정부출연 연구기관 3곳의 기술이전 유형별 성공사례를 각각 2건 선정하고, 심층인터뷰를 통하여 세 가지 기술이전 유형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중심으로 기술이전 성공요인들을 분석하였다. 사례연구 결과 연구자의 역량과 경험, 기업의 의지와 역량, 기술의 특성, 기술이전과정상 주체 간 의사소통 등이 기술이전의 중요한 성공요인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수요주도형에서는 기술이전이 TLO 주도로 진행된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공급주도형에 비해 수요주도형과 상호작용형이 기업이 직접 기술개발 및 이전과정에 참여함에 따라 기업 수요 반영에 용이한 구조로 조사되었다. 즉, 기술 중심의 R&D가 아니라 시장중심의 R&D의 필요성을 확인한 것이다. 아울러, 성공적 기술이전의 주요 요건중 하나는 TLO의 역량강화 및 역할, 인식에 있어서 개선임을 지적하였다. This paper aims to uncover success factors in technology transfer of Korean government sponsored research institutes. It presents an analytical framework of technology transfer integrating factors concerning actors, object and process. Qualitative analysis mainly based on In-depth interviews is designed and conducted to examine characteristics,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three types technology transfer including a supply-push model, a demand-pull model, and an interactive model. Empirical results show that capabilities and experiences of researchers, capabilities and willingness of the company and active communications in the technology transfer appear to be important factors. In particular, it was found that technology transfer was led by TLO in the demand-pull model. In addition, the demand-pull and interactive approaches tends to be more effective in the technology development and transfer process compared to the supply-push model. In other words, market-oriented R&D is needed instead of technology-driven R&D. This paper also pointed out that one of the major factors in successful technology transfer is the enhancement of TLO capacity, and the improvement of recognition about TLO.

      • 한국기업의 대중국 기술이전 결정요인 분석

        김희용(Hee-Yong Kim) 한국기술혁신학회 2008 한국기술혁신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Vol.2008 No.5

        본 연구는 한국기업의 대중국 기술이전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인을 제시함으로서 한국의 대중국 기술이전의 문제점과 효과적인 기술이전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한국기업의 대중국 기술이전 결정요인을 분석하기 위해서 설문지 방식을 이용했으며 본 연구에 이용된 통계적 분석방법은 인과관계분석인 구조방정식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실증분석에 이용된 표본 대상업체는 최근 5년간 대중국 기술이전 실적이 있는 기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한국기업들의 대중국 기술이전요인-기술이전과정요인-기술이전성과에 관한 부분으로 연구범위를 설정하였다. 그리고 연구모형은 Choi and Lee(2002)의 기술이전 성공요인 모델과 Lin, Tan and Chang(2002)의 기술수용능력과 기술이전 성과에 관한 모델을 토대로 연구모형을 응용하여 설정하였다. 연구모형은 외생변수로 한국기업의 대중국 기술이전요인과 내생변수로 기술이전과정요인 및 기술이전 성과요인으로 분류하였다. 연구가설은 기술이전요인과 기술이전 과정요인 그리고 기술이전 성과의 가설로 구분하여 설정하였다. 특히 내생변수에서 양국간의 상호작용 과정과 수용능력을 매개변수로 두어 기술이전 성과에 미치는 직 · 간접 효과를 살펴보았고, 또한 외생변수인 기술이전 요인이 기술이전 성과에 미치는 직접효과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기술이전 관련 문화적 차이, 기술형태, 기업역량, 상호신뢰 등은 기술이전에 중요한 요인이며 기술이전 성과에 영향을 미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