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공연구부문에서의 기술이전컨소시엄의 효과와 특성 연구

        박종복(Park Jong-Bok),류태규(Ryu Tae-Kyu) 한국기술혁신학회 2007 기술혁신학회지 Vol.10 No.4

        본 연구는 2002년부터 5년간 운영된 권역별 공공기술이전컨소시엄의 실증분석을 통하여 기술이 전컨소시엄의 유효성과 주요 특성요인을 살펴보고자 한다. 유효성 검정은 기술이전프로세스를 토대로 하여 개발된 기술이전효율성지수가 컨소시엄의 운영기간 동안 변화한 정도로 판단하였고, 특성요인의 탐색은 기술이전 메커니즘 연구의 핵심변수인 가입동기, 촉진요인, 장애요인 및 극복과제를 사용하여 이루어졌다. 그 결과, 기술이전컨소시엄에 참여한 대학 또는 정부연구기관의 기술이전효율성지수가 참여하지 않은 기관에 비하여 더욱 큰 증가를 보였으며, 조사된 특성요인들도 컨소시엄의 직접참여자 그룹과 간접참여자 그룹 간에 인식 차가 거의 없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본 연구는 기술이전컨소시엄이 새로운 기술이전 메커니즘으로서의 유의미성과 공통적 특성을 갖는지를 탐색해 보았다는 것에 그 의의가 있다. Technology transfer (TT) consortium is an affiliation of two or more public research institutions (PRIs) that participate in a common technology transfer activity or pool their resources together, with the objective of facilitating technology transfer. Based on empirical analysis of five regional TT consortia (2002-2006) operating in Korea, this paper suggests their effectiveness by employing a TT performance index (TTPI) and identifies possible characteristics involved, such as motivations, facilitators, barriers, and challenges. TTPI devised in the paper is a new composite TT performance index to measure how much the TT performance of a PRI changed in a designated year compared to a base year. All the performance indicators of TTPI are well-structured based on the unique TT process that is prevalent in Korea. Further, TTPI can bring different size and focus of PRIs to the same scale for comparison by double-normalizing. The paper tests the effectiveness of TT consortium for the escalation of TT performances in member PRIs by highlighting the differences of TTPI's between 2005 and 2001. As a result, the paper found that the escalation of TIP! for member PRIs was greater than that for non-member PRIs. As for the characteristics of TT consortia, their respective factors obtained by TT expert survey were computed with proportion tests of differences (Z tests) to compare two perspectives between intramural and extramural groups. One of key findings is that there is general homogeneity in stakeholder perspectives regarding motivations, facilitators, barriers, and challenges. Some notable responses are as follow; the most probable motivation to join TT consortium is to share or exchange TT competences for enhanced performance. Second, the most probable facilitator is professional capability of consortium-hired personnel. Third, the foremost probable barriers to effective TT consortium are frequent change of consortium director and passive participation of member PRIs. Lastly, both publicizing TT consortia and developing performance metrics are the most important for the improvement of TT consortia. The understanding of the characteristics of TT consortia increases the likelihood of accelerated success, because TT consortia path from formation to termination encompasses many concepts, processes, principles, and factors. Finally, an analysis of the survey data combined with expert interview and observation data led the authors to derive five conditions as being critical to viable TT consortia in Korea at early stage of technology transfer systems. These conditions include policy infrastructure, proactive participation, excellent professionals, personal motivation, and learning mechanisms. It is expected that the Korean evidence is a starting point to develop and refine the theory of TT consortia and for additional studies in other countries.

      • KCI등재
      • 대학의 기술이전 및 사업화 개선방안

        이윤준,정승일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9 Issues & Policy Vol.- No.-

        □ 주요내용 우리나라에서는 2000년 “기술이전촉진법” 제정 이후 기술이전 활동에 대한 관심이 커지게 되었고, 2001년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관리 등에 관한 규정” 제정 이후에야 국가 연구개발 성과의 이전을 통한 확산과 활용의 중요성을 인식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대학의 기술이전 및 사업화 실적은 특허의 출원/등록의 급격한 증가와 함께 매년 급증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최근 들어서는 산학협력 기술지주회사 제도를 도입(2007년)하여 대학발 창업 및 학교기업 설립 등을 통한 직접사업화도 꾀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 보고서는 국내 대학의 기술이전 및 사업화 현황 및 문제점, 기업설립을 통한 기술사업화 해외사례를 분석하여 대학의 기술이전 및 사업화 개선방안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과 대안을 제시했다. □ TLO (Technology Licensing Office, 기술이전전담조직)의 단계적 지원 및 독립부서화 추진 - 단계별로 전문인력 지원을 확대하는 방식의 TLO 지원 - TLO의 독립부서화를 추진하고 향후 TLO 기업화(별도법인) 추진 지원 □ 기술사업화 전문기관의 업무와 기술사업화 전문펀드 운영업무의 긴밀한 조직적 결합 필요

      • KCI등재

        정부출연연구기관 기술이전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윤장호(Jang-ho Yun) 한국기술혁신학회 2017 기술혁신학회지 Vol.20 No.3

        자원의존이론(Resource-based view)에 기반하여 연구자원, 연구역량, 성과확산 변수가 정부출연연구기관의 기술이전 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먼저 연구자원(인력, 예산) 변수는 연구논문, 특허 등의 1차적 산출물에는 상당한 영향을 미치지만 기술이전에 대한 영향은 제한적이었다. 이는 연구자원의 투입으로 특허, 실용신안 등이 만들어지더라도, 시장성과 상업성을 갖추고 민간기업으로 기술이전 되는데는 현실적・제도적 어려움이 있기 때문이다. 연구역량 변수 가운데 특허 관련 변수(특허등록, 특허보유건수)는 기술이전 건수와 기술료로 측정한 기술이전 성과에 매우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연구논문은 오히려 기술이전 성과와 부(-)의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논문은 상대적으로 기초연구에서 많이 산출되고, 따라서 그러한 연구기관의 성과물은 시장성이나 상업성이 상대적으로 낮기 때문으로 분석되었다. TLO 조직과 예산은 부분적으로 기술이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으나 통계적인 유의성이 명확하지는 않았다. TLO가 최근 급격하게 성장함에 따라 전문성과 숙련도가 뒷받침되지 못하고, 또한 기술이전 보다는 상대적으로 일상적인 특허관리 업무에 주안점을 두고 있기 때문으로 추론된다. This study analyzed the factors influencing the technology transfer of Government-Funded Research Institutes from the perspective of resource-based view. In particular, we analyzed the effects of research resources, research capacity, and research results diffusion variables on technology transfer performance. The research resource variables affect the primary output of R&D (patents, research papers) but direct effect on the technology transfer performance was very weak. Among the research competency variables, patent-related variables such as patent registration, patent holdings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technology transfer performance. However, the research papers have a negative effect on the technology transfer performance. The research results diffusion variables such as TLO organization and TLO budget may partly have a positive impact on technology transfer, but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is not clear.

      • 대학·출연(연)의 기술사업화 활성화 방안

        이윤준,김선우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13 STEPI Insight Vol.- No.123

        그간의 대학과 출연(연)은 기술지식을 확보하기 위한 기초·원천 R&D에 집중하여 기술사업화에는 다소 소극적인 입장을 취해왔다. 그러나 창조산업 생태계 조성이라는 국정과제 하에 기술창업과 기술이전이 강조되는 현 상황에서는 적극적인 사업화 활동이 필요한 실정이다. 보고서는 대학과 출연(연)이 선도형 R&BD 체계로 전환하고 보유기술을 적극 활용하여 신산업 창출에 기여해야 한다고 강조하면서 기술사업화 제도 및 정부지원 사업 현황, 해외 사례에 대해 살펴보고 있으며, 현황 분석을 바탕으로 대학 및 출연(연) 기술사업화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있다. 이상을 바탕으로 보고서는 기술사업화 활성화를 위한 정책 과제 5가지를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 있다. [과제 1] 정부 R&D 사업을 선도형 R&BD 체계로 전환 [과제 2] 기술이전 전담조직의 전문화·독립화 추진 [과제 3] 대학 내 투자전담 Vehicle 설립 [과제 4] 관련 법·제도 개선 및 규제 완화 [과제 5] 기술이전 및 사업화 통계 체계 고도화

      • KCI등재

        대학의 기술사업화 거버넌스 - TLO와 기술지주회사를 중심으로 -

        이성상 한국혁신학회 2017 한국혁신학회지 Vol.12 No.4

        Technology licensing office(TLO) and technology holding company can be said to be the core axis of university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79.1% of universities that have TLO are involved in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technology holding companies. As the number of universities that operate technology holding company continues to increase, the overlapping of functions between TLO and technology holding company and the need for integration of the two organizations are rais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theory and cases of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governance and to analyze the necessity and practical possibility of the integration of TLO and technology holding company. The principal result in this paper is that licensing revenue except compensation exceed commercialization expenses in approximately 24.5% of the universities. And, considering the financial self-reliance of TLO, it can be confirmed that there are universities that can expect to gain the revenue source for operating the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organization when it is converted into the integrated organization. 기술이전 전담조직(TLO)과 기술지주회사는 대학 기술사업화의 양대 핵심 축이라고 할수 있다. TLO를 보유하고 있는 대학의 79.1%가 기술지주회사 설립, 운영에 참여하고 있는등 기술지주회사 운영 대학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면서 TLO와 기술지주회사 간의 기능 중복문제, 조직 통합 필요성 등이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대학의 기술사업화 조직 거버넌스에 대한 이론적 검토와 함께 해외 대학의기술사업화 조직 운영 사례를 살펴보고, 대학의 기술사업화 조직 형태 중 하나인 기술지주회사-TLO 통합형 조직의 필요성과 현실적 가능성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지식재산권 비용을 제외하는 경우 발명자 보상금 등을 제외한 기술이전 수익이 기술사업화 비용보다 많은대학의 비율이 24.5%로 추정되었다. 또한 TLO의 재정 자립도를 고려할 때, 통합형 조직으로전환 시 기술사업화 조직의 운영을 위한 수익원을 확보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대학이존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기술지주회사에 관한 법적 쟁점과 과제 - 설립·운영상의 문제점을 중심으로 -

        이동원 한국경제법학회 2015 경제법연구 Vol.14 No.2

        The one of the best way to establish the start up is considered to use the technology holding company system in universities. The government is now doing his best in supporting the technology holding company established by the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foundation to commercialize the technology owned by that foundation. Accordingly, the university holding companies and the public research institute holding companies are increasing by degrees with their subsidiaries, and so the investment to them is also growing. The technology holding company has several considerable merits as a holding company in coping with the restructuring including M&A, carrying out the special function by separating the management and the operation, blocking the risk using the firewall not to invade the main body of the industry- university cooperation foundation, and financing for the subsidiaries. Nevertheless, the technology holding company has also some difficulties in clearing and establishing the corporate governance with the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foundation, technology licensing office, and its affiliates. And it has also some troubles to clarify the legal ambiguities in some aspects as follows; Firstly, it is not clear whether the application of the several laws including the Monopoly Regulation and Fair Trade Act and the venture capital-related acts to the technology holding company is possible. Secondly, regarding the establishment of the technology holding company, the problems of the harmonization among the principal agents of the establishment, the admission of the new agents, the recognition of the another way of the contribution in kind, and the approval of the authorities concerned to establish it are now arguing. Thirdly, regarding the establishment of the technology holding company, the problems of the “goal” in articles of the technology holding company, distribution of the profits among the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foundation, technology holding company and its subsidiaries, and the inventor of the university. The new legal problems will come out and increase as the technology holding companies activate. But the technology holding company will be a fundamental basis of the survival of our nation and will help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employment of the young men. 최근의 창업 활성화를 위한 가장 유용한 수단으로 기술지주회사의 활용이 부각되고 있다. 기술의 사업화는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고 고용 문제를 해결해줄 수 있는 가장 확실한 대안이 되기 때문에 범정부적으로 기술지주회사의 설립에 정책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고, 이에 따라 산학연협력기술지주회사와 공공연구기관첨단기술지주회사의 설립과 함께 그들의 자회사가 급격히 늘고 있고, 이에 대한 투자도 점점 활발해지고 있다. 기술지주회사는 일반지주회사의 하나로서 자회사에 대한 M&A 등 구조조정에 대처하기가 수월하고, 경영과 사업을 분리하여 특화된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위험의 절단과 자금조달의 용이성 등의 측면에서 상당한 장점이 있으며, 기술을 활용하여 회사를 운영한다는 측면에서 대학이나 발명자에게 큰 수익을 가져다주기도 한다. 다만, 기술지주회사는 산학협력단과 기술이전전담조직 등과의 관계가 모호하여 역할 구분이 잘 되지 않는 등 지배구조의 문제를 안고 있으며, 자본 조달이나 전문 인력의 부족도 아직은 해결되어야 할 과제이다. 또한 기술지주회사에 적용될 법률의 범위 및 기술지주회사의 설립과 운영을 둘러싼 법적 쟁점들이 다양한 측면에서 나타나고 있으며 다음과 같다. 첫째, 기술지주회사에는 산촉법이나 기촉법이 우선 적용되지만, 특별한 규정이 없는 경우 상법이나 공정거래법이 적용될 수 있다. 이 때 공정거래법은 벤처지주회사에 적용되는데 반하여 유사한 성격을 가지고 있는 기술지주회사에는 적용되지 않는 등 적용범위와 관련된 쟁점들이 있다. 둘째, 기술지주회사의 설립과 관련하여, 다양한 법률에 따른 설립주체 간의 정합성 문제, 새로운 설립 주체의 인정 문제, 기술의 현물출자와 관련된 기술적인 문제, 설립에 관한 당국의 인가 문제 등이 제기되고 있다. 셋째, 기술지주회사의 운영과 관련하여, 기술지주회사의 정관상 목적의 범위와 관련된 문제, 기술지주회사와 자회사 및 산학협력단 간의 이익배당에 관한 문제, 기술이전전담조직의 이전과 관련된 위치 문제, 발명자에 대한 합리적인 보상 문제 등이 쟁점으로 나타나고 있다. 기술지주회사를 둘러싼 다양한 법적 쟁점은 기술지주회사가 활성화 되면 될수록 다양한 모습으로 나타날 것이며, 해결해야 될 법적 과제 역시 점점 증가할 것이다. 기술지주회사의 설립을 통한 기술의 사업화와 학생․교수 창업의 활성화가 고용을 해결해주는 동시에 우리나라의 생존 기반이 된다는 점에서 기술지주회사를 둘러싼 다양한 법적 쟁점들에 대하여 지속적이면서도 깊은 성찰이 필요한 시점이다.

      • KCI등재

        공공연구기관의 기술이전 성과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기술이전 Process를 중심으로

        이혜진(Hyejin Yi),김장훈(Janghoon Kim) 한국기술혁신학회 2021 기술혁신학회지 Vol.24 No.3

        본 연구는 공공연구기관의 기술이전 프로세스와 영향요인을 탐색하기 위한 연구이다. 선행연구와의 차별성으로는 첫째, 우리나라 성과관점의 기술사업화 프로세스가 보다 잘 반영되도록 기술이전 연구모형을 단순히 독립-종속 변수 관계로만 고려하지 않고 매개효과를 추가하여 설계하였다. 둘째, 기업을 중심으로 발전한 전략경영이론과 사회학 이론을 프레임워크로 활용하여 공공연구기관의 기술이전 영향요인 및 프로세스 경로를 설정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자원기반이론, 사회적 자본이론, 전용성 체제이론을 토대로 연구자원(내부연구역량, 외부협력역량), 전용성(기술자산)을 영향요인으로 설정하였다. 마지막으로는, 우리나라 공공연구기관에서 3년간(`16~`18) 발생된 기술이전 성과를 표본으로 PLS-SEM 분석을 하였다. 분석결과, 연구자원이 전용성을 매개하여 기술이전 성과가 발생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로써, 기관 내 연구인력과 같은 내부자원과 민간기업과의 공동연구개발로부터의 외부협력역량이 특허라는 산출물로 보호되어야 기술이전으로 원활하게 이어질 수 있다는 중요성을 검증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는 연구이다. While there is an extensive body of knowledge on the factors for technology transfer, a few salient gaps remain. First, most of the studies on factors affecting technology transfer were designed only by the relationship between independent and dependent variables. However, research on the ‘process’ of technology transfer, or when technology transfer outcome has been triggered and coordinated by research resources and appropriability, is still scarce. Second, we lack proper understanding into the framework of technology transfer process in the lens of Resource based-view, Relational view and Appropriability regime. To confirm the effect on this, an exploratory study was performed by constructing a research model in the form of PLS-SEM and statistical analysis of public research institutes using a Smart PLS tool.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research capabilities and relation-specific assets of public research institutes influence technology transfer by mediating appropriability.

      • KCI등재후보

        지방대학의 특허기술이전에 관한 연구 : 대구ㆍ경북지역단위 기술이전기구의 가능성을 중심으로

        김선정 한국지식재산학회 2003 産業財産權 Vol.- No.14

        Universities contribute in many ways to the growing technology and knowledge based economy. Technology transfer activities from Ivory Tower to industry is one of those contribution. Despite of "Technology Transfer" is a new phenomenon in many Korean universities, they recognize that the necessary of technology transfer activities as a mission of universities. The Technology Transfer Promotion Act and amended Patent Law providing the platform of technology transfer. The writer review the issue of university technology transfer and survey of the possibility of Technology License Organization of DaegueㆍGyeongbuk province unit. Almost of universities - exclude some exceptional research universities - in this province not retain sufficient technology to establish and operate their own TLO. To organize the province TLO is a lesson from Japan. The writer conclude that to participate of Yeungnam TLO Consortium is one of the way because the organization comply with the law.

      • 기술사업화 관련 국내 연구동향 분석 (1987-2016)

        정부일,현병환 한국기술혁신학회 2017 한국기술혁신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Vol.2017 No.5

        본 연구에서는 기술사업화 관련 1987년부터 2016년까지 국내 등재학술지에 발표된 198편의 논문을 선정하여 분석함으로써 관련 국내연구의 동향을 살펴보았다. 그 동안 축적된 국내 기술사업화연구의 시대별 흐름과 전체적인 경향을 살펴보고자 기술적분석(descriptive analysis)방법을 적용하여 연구영역, 연구방법, 연구주제, 연구대상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시기별 분석을 통해 「기술이전촉진법」제정 후 약 2년 후인 2002년부터 국내등재학술지에 기술사업화 연구논문 게재가 본격화되었고, 지난 2016년에는 2002년 대비 5배에 달하는 연구논문 증가세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연구영역분석에서는 기술혁신 연구관련 4대 학회지(기술혁신학회지, 벤처창업연구, 기술혁신연구, 지식재산연구)의 연구논문이 전체의 40% 점유사실이 관찰되었으며, 분석대상논문들에 적용된 연구방법들을 살펴본 결과, 양적연구가 전체의 53%, 문헌연구 29%, 질적연구 11%, 혼합연구 8%의 순으로 나타났다. 연구대상별 연구동향은 기술수요기업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가 전체의 33%, 정부의 정책 · 제도 및 시스템을 연구대상하는 연구가 29%를 점유하고 있다는 분석결과가 나왔으며, 연구주제의 동향분석과 관련해서는 ‘사업화 프로세스’를 주제로 연구한 논문이 전제의 28%, ‘기술사업화 요소’에 대한 연구가 전체의 23%를 차지함을 살표볼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지난 30여년에 걸친 기술혁신정책들과 연계하여 그 동안 축적된 연구들을 분석하여 국내학계의 연구동향을 보다 넓은 시각에서 조망해보는 최초의 시도라는 점에서 우선적인 의의를 찾을 수 있으며, 기존 연구들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정리해 봄으로서, 그 결과로부터 향후 기술사업화 정책방향에 대한 시사점 제공과 향후 연구방향에 대한 실질적인 함의를 제공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해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