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한 공공연구기관의 기술사업화 프로세스와 성과분석

        김병근(Byung-Keun Kim),조현정(Hyun-Jung Cho),옥주영(Joo-Young Og) 한국기술혁신학회 2011 기술혁신학회지 Vol.14 No.3

        본 연구는 우리나라 공공 연구기관들의 기술이전과 사업화 과정에 관련된 주요 활동 및 기술이전 사업화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도출하고 국내 공공 연구기관의 기술사업화 프로세스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도울 수 있는 모형을 제시하였다. 구조방정식을 이용한 공공연구기관의 기술사업화 프로세스 모형은 투입-중간산출역량-산출(성과)의 구조를 적용하여 구성하였다. 선행 연구에서 도출된 이론을 바탕으로 투입 요인으로는 R&D 투입, 기술사업화 전략/지원, 기술사업화협력, 사회적 자본 등을 포함하고, 중간산출역량요인으로 R&D역량을, 산출요인으로 기술사업화 성과 등을 포함하고 있다. 기술사업화 프로세스 모형을 국내 대학 및 공공연구기관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회수한 88부와 관련 통계 자료를 활용하여 실증분석하고 결과를 제시하였다. 주요 실증분석 결과를 보면 R&D 투입은 R&D역량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R&D역량은 기술사업화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기술사업화 협력과 사회적 지본도 기술사업화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기술사업화 전략 및 지원이 기술사업화 성과에 미치는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We have analyzed technology transfer and commercialization process and factors affecting the outcomes of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of public research institutes in Korea. A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process model was presented as an input, intermediate outcomes/ capabilities, output (outcome) structure us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Input variables include R&D input,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strategy/support, collaboration, social capital. The model also includes R&D capabilities and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performance as intermediate variable and output variable respectively. The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performance was measured as the number of technology transfer and spin-off We conducted survey and 88 institutes responded. Empirical results show that R&D input influence R&D capabilities and R&D capabilities influence the output of technology transfer and commercialization. Collaboration activities and social capital also appear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output. However, the effect of strategy and support on the output appear to b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 기술이전 성공요인 분석을 통한 기술사업화 활성화 방안

        임채윤,이윤준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7 정책연구 Vol.- No.-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국가연구개발예산의 확대 및 성과중심의 평가체계 확립에 따라서, 기술혁신과 관련된 정부, 대학, 연구기관, 기업 등에서 기술이전 및 사업화에 대한 관심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정부는 기술이전·사업화의 촉진을 위해서 ‘기술이전·사업화 촉진계획’, ‘연구성과관리·활용 기본계획’등 다양한 정책을 전개하고 있지만, 아직까지 가시적인 성과가 낮은 것으로 보인다. 기술이전·사업화에 대한 정책 전개와 성과간의 불일치는 아직까지 성과를 중심으로 한 연구개발의 속성을 파악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으로 보여진다. 본 연구에서는 정부출연연구기관이 수행한 연구개발과제와 기술이전 현황을 연동한 DB를 구축하고, 데이터 분석을 통해 이전 기술의 기술 및 시장 속성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연구개발의 유형에 따른 기술이전 성공요인을 도출한다. 한편, 정량적인 분석에서 파악하기 어려운 기술이전의 애로요인, 연구개발 유형별 기술이전 메커니즘 등을 사례분석을 통하여 파악한다. 정량·정성적인 분석을 통하여 파악된 유형별 기술이전 성공 및 애로요인을 바탕으로 기술이전 정책의 개선방안을 모색한다. 주요 연구내용 본 연구는 기술이전과 관련된 국내외 이론고찰, 출연(연)의 기술이전 현황 분석, 기술이전 성공사례 분석, 정책적 시사점 및 개선방안 등 크게 4개 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우선 국내외 이론고찰에서는 국내적으로 수행된 기술이전 관련 선행연구의 현황을 파악하고, 기술이전의 유형과 메커니즘, 성공요인과 관련된 이론을 고찰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모형을 정립하였다. 둘째, 출연(연)의 기술이전 현황 분석을 위해서 출연(연)의 성과보고서(’04~’06년)에 수록된 기술이전 현황을 DB화하고, 이를 조사분석 DB와 연동하여 이전된 기술의 연구개발 특성(6T 분류, 연구개발단계 분류, 기술수명주기 분류, 협력 유형 등)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기술이전 현황을 분석하였다. 셋째, 기술이전 사례분석에서는 생명공학, 철도, 에너지(환경), 정보통신 분야의 기술이전 사례 중 기술료 1억원 이상(계약금액 기준)의 과제를 선별하여, 면담조사를 통하여 기술이전의 애로요인과 성공요인을 파악하였다. 마지막으로 결론 및 정책적 시사점에서는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고, 연구기획단계, 성과평가의 효율화, 기술시장 창출을 위한 조세지원 강화, 기술이전 결과의 시장창출 효율화를 위한 신기술인증·평가시스템의 정비 등을 제안하였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기술분야, 기술수명주기에 따라서 민간 부문의 기술 흡수·소화능력이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기술 사용자(또는 수요자)의 흡수·소화 능력 차이는 이전될 기술의 완성도에 따라서 수요의 집중도가 달라짐을 보여주고 있다. 한편, 사례조사 결과에 따르면, 기술이전·사업화를 위한 내부조직과 연구관리시스템의 수준에 따라서 성과의 차이가 나타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고, 기술분야별로 기술이전·사업화를 촉진할 수 있는 메커니즘이 다르게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기술이전·사업화 지원정책의 효율성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해당 기술분야의 기술적·시장적 특성을 반영한 기술이전 메커니즘 구축이 시급한 것으로 생각된다. 정책제언 본 연구에서 제안하고 있는 정책적 개선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기술이전·사업화를 고려한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연구기획기능을 강화하기 위하여 상업화로드맵(Technology Commercialization Roadmap) 수립을 제안한다. 국가적으로 연구개발 분야선정을 위한 로드맵이 작성되고 있지만, 여전히 연구개발을 위한 기술기획 차원에 머물고 있으며, 적극적인 기술이전·사업화 추진을 위해서 일부 대형연구개발과제를 중심으로 연구기획 단계에서 상업화로드맵을 수립함으로써 사업화 초기단계에서 시장창출을 기반으로 한 기술 이전·사업화가 원활하게 추진되도록 기반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둘째, 성과평가 체계에서 기술분야별/기술수명주기별/연구개발단계별 기술이전 성과를 측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성과목표를 수립하는 체계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 셋째, 기술이전 수요를 확대하기 위하여 기술이전소득에 대한 소득세 또는 법인세 공제 범위를 현재 7%에서 15%까지 확대할 필요가 있다. 넷째, 신기술의 시장 진입 장벽을 완화하기 위하여 신기술인증·평가 시스템을 정비함으로써 신기술의 성능·안전성·신뢰성 등에 대한 시장의 신뢰를 제고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기술사업화 실패 사례연구

        김찬호(Chan-Ho Kim),고창룡(Chang-Ryong Ko),설성수(Sung-Soo Seol) 한국기술혁신학회 2012 기술혁신학회지 Vol.15 No.1

        본 연구는 사업타당성이 있다고 평가되었지만 기술사업화가 중지된 사례의 실패원인을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여러 경로로 신기술사업화 타당성 평가 보고서 92건을 수집하고, 확실하게 사업화가 실패한 것으로 판단되는 4건에 대하여 추적조사 하였다. 추적조사는 기술사업화 성공과 실패에 관한 여러 이론적 갈래, 즉 기술사업화 성공실패론, 벤처기업 성공실패론 및 기술가치평가론 등의 선행 연구에서 지적된 결과를 중심으로 작성한 분석 틀에 기초하였다. 연구결과 표면적인 신기술사업화 실패원인들은 자금부족과 불가항력적인 요인, 관리력, 대량생산기술 부재 등으로 본 연구의 분석 틀로 제시된 선행연구 결과와 별반 다르지 않다. 하지만, 이면에 숨겨진 핵심 실패 원인은 광의의 기술이해 부족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기술구성 및 기술제품 단계별 소요기술이 존재한다는 점과 기술개발 성공이 기술사업화 성공과 다르다는 것을 이해하지 못한 것이 주요 원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의 배경은 경영자의 전공과 경력이 평가기술과 연관성이 낮거나, 보유 경험의 부족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4개의 사례만 조사했다는 점에서 모든 요인을 일반화시키기 어렵지만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다. 먼저, 표면상의 기술사업화 실패요인들이 선행연구 결과로 설명되었지만, 기술이해 부족이 이면에 숨겨진 핵심 실패요인임을 규명하였다. 둘째, 실패원인들을 분석함으로써 성공적인 기술사업화를 위한 패턴이 제시되었으며, 마지막으로 향후 기술사업화 주체인 경영자와 기업의 역량에 대한 깊은 분석과 기술사업화 평가 모형에 대한 적합성 검토가 필요하다.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factors of failure in cases where there was feasibility but was not successful in commercializing technology. For the study, 92 feasibility reports for new technologies were collected, and among these 4 studies that showed definite failure in commercialization of technology were analyzed in depth. Further analysis was based the factors pointed out by previous frameworks such as 1) discussion on success or failure in commercialization of technology, 2) that of venture company, and 3) valuation of technology studies. Previous studies pointed out success and failure factors as lack of funding, uncontrollable accidents, managing ability, inability for mass production and so forth, which had little difference to the pre-feasible evaluation of four cases. However, real reason was the lack of understanding technologies such as composition of technologies, production technologies required by stages, and lack of understanding of floor technologies. The misunderstandings were occurred regardless of CEO"s experience and expertise. We did not touch the evaluation model of pre-feasibility studies, although we dealt with the failure of the pre-studies. The reason we do not generalize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the fact that we dealt with only small cases.

      • 기술사업화 촉진을 위한 기술시장 매커니즘 활성화 방안

        손수정,이윤준,정승일,임채윤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9 정책연구 Vol.- No.-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980년대 이후 지속적인 R&D 투입과 성과(특허, 논문 등)의 양적성장에도 불구하고 기술무역수지 적자 악화 등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성과를 활용한 경제적 가치창출에는 한계를 보임 □ 국내 기술사업화 시장 활성화를 위한 기업 및 관련 조직, 그리고 정부의 역할을 재조명하고 새로운 모델 제시가 필요함 주요 연구내용| 제2장 | 기술사업화 성공 패러다임□ 본 연구의 기술사업화 패러다임은 공공분야로부터 기술이 이전되고 이전된 기술이 사업화되는 전반의 과정을 포괄함□ 기술의 Value Chain에 따르면 산업차원의 가치는 재화로서 시장에 출시된 이 후에 기대될 수 있음 | 제3장 | 기술사업화 현황분석□ 지난 20여년 동안 혁신기반형 성장을 위해 R&D 투자를 증대시켜 왔으나 생산 된 기술의 활용을 통한 경제적 가치 창출 전략은 미흡함□ 실질적으로 기술사업화에 대한 정책적 논의가 집중된 시기는 2000년대 이후 라고 할 수 있음 | 제4장 | 기술사업화 촉진을 위한 기업외적 요인: 조직과 금융 제1절 공공연구기관 사업화 조직□ 공공연구기관 기업설립을 통한 사업화 관련 문제점□ 공공연구기관 기술사업화 다양화전략□ 시사점 제2절 기술사업화금융 □ 국내 기술사업화 금융은 seed 및 초기단계(early stage)에 있는 기업의 기술 사업화 지원보다는 생산단계에 진입한 기업의 기술사업화 지원에 중점을 두고 있음□ 기술사업화 전문조직의 기술금융 역할과 개선방안□ 시사점 | 제5장 | 기술사업화 촉진을 위한 기업 내적 환경요인□ 분석대상□ 분석모형□ 성공요인 분석□ 시사점 정책적 제언 1. 기술사업화 전문조직 활성화· 공공연구기관 기술사업화 조직의 전문성과 독립성 강화· 기술사업화 조직의 기업화 추진을 위해 관련 제도 개정 및 신설 필요· 기술사업화 조직이 운영할 수 있는 Seed money 조성 지원 2. 기술사업화금융 활성화· Seed 및 초기단계 기업에 의해 진행되는 기술사업화에 대한 정책적 지원 확 대 필요함· 기술사업화 전문회사와 기술사업화금융 투자자 업무간의 조직적 연계가 필 요함 3. 기술사업화 촉진을 위한 정보인프라 활성화· 국가차원의 범부처 기술사업화 종합 정보망을 구축해 기술사업화 주체들의 기획 및 전략 수립, 정부정책수립 등에 활용함 4. 기술사업화 촉진을 위한 정부지원 효율화· 분석에서 제시된 바와 같이, 미흡한 정부지원제도의 효과를 개선하기 위하여 정부 부처 R&D 예산 중 5% 수준의 자본을 기술사업화 견인을 위한 예산으로 적립하는 것을 규정화 할 필요 있음· 추가기술개발 등 사업화 자원의 질적 향상을 위한 지원이 필요함

      • KCI등재

        연구성과의 기술이전 및 사업화 촉진요인 도출 및 실증분석

        구본철,Ku, Bon Chul 한국벤처창업학회 2014 벤처창업연구 Vol.9 No.5

        기술이전 사업화에 대한 관심은 국내뿐만 아니라 세계적으로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본 연구는 기술이전 사업화에 대한 개념의 고찰 및 기술이전 사업화를 가속화시키기 위하여 고려되어야 할 촉진요인을 도출하여 실증적인 분석을 실시하였다. 기존의 기술이전 사업화의 경우 그 범주에 대한 정의에 있어 기술 발굴, 기술의 이전 및 그에 따른 사업화의 범주로 국한시키는 경향이 있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술이전 사업화에 대하여'무형의 축적된 기술 노하우 지식 등 지적재산 또는 특정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시행된 기술개발이 기술이전 당사자 간의 계약 협상 등을 통하여 이전되어 무형의 기술이 유형의 상품으로 제품화되는 활동 및 그에 따른 경제적 이익을 획득하는 제반 활동'으로 그 범주를 확장하여 정의하였다. 또한, 기술이전 사업화에 대한 실증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현재까지는 기술이전 사업화를 가속화시킴에 있어 대상 기술, 대상 기술에 대한 관리, 기술이전 사업화에 대한 제도 및 관련 조직의 효율성 확보에 초점이 맞춰져 있으며, 기술사업화 단계에 있어 금융지원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인식이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존의 기술이전 사업화에 대한 관점이 기술이전과 기술사업화에 따른 특허등록 출원, 기술이전 건수, 기술료 등의 정량적 성과에 초점이 맞춰져 있어, 상대적으로 기술이전 사업화를 통한 기술창업, 양질의 고용창출 등 창조경제 실현과 직결된 경제적 성과 창출에는 다소 인식이 미흡한 현 상황을 반영한 결과로 판단된다. 이에 본 연구는 기술이전 사업화가 단순히 정량적 성과를 확보하기 위한 수단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기술이전 사업화 주체들의 안정적인 생태계 조성 및 그에 따른 창조경제를 실현할 수 있는 환경 구축에 보다 관심을 갖아야 한다는 인식 전환의 필요성을 도출했다는 점에서 향후 기술이전 사업화의 활성화 방안 마련 등의 정책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re is a growing interest in the technology transfer and commercialization both at home and abroad. Accordingly, this study looked at the concept of technology transfer and commercialization, identified the factors that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in order to facilitate technology transfer and commercialization, and then performed a empirical analysis. As for the conventional technology transfer and commercialization, there was a tendency to limit its scope to the exploration, transfer and commercialization of technology itself. Here in this research, technology transfer and commercialization is defined the category to expand as various activities implemented in order to make sure that intellectual properties such as intangible technological developments, know-how, and knowledge are transferred between the relevant parties through a contract or negotiation, and the party to which the transfer is made can then further develop and exploit the technology into tangible products and other activities to obtain economic benefit out of that. In addition, the findings of the positive analysis of technology transfer and commercialization revealed that the focus of facilitating technology transfer has been on the technology itself, its management and securing efficiency of the systems and institutions involved in the technology transfer and commercialization. So there was lack of recognition as to the importance of financial support given to the phase of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This indicates that when it comes to the technology transfer and commercialization, quantitative performance has been the focus of interest such as patent application, registration, number of technology transfers, royalty, etc. So there was not enough understanding as to the issues of starting up a business, creating quality jobs through technology transfer and commercialization, which are directly related to the realization of the creative economy. In this regard, this research is expected to be used for the development for the future policies to boost technology transfer and commercialization as it suggests not only simply ensuring quantitative performance but also necessary to create the environment for the creation of the stable ecosystem for the parties involved in the technology transfer and commercialization and then to build circumstances in which creative economy can be realized.

      • 기업가정신 기반의 대학 기술사업화에 대한 연구

        최선,이민화 한국경영학회 2014 한국경영학회 통합학술발표논문집 Vol.2014 No.8

        한국의 공공R&D투자는 그 규모가 18조원으로 GDP대비 세계 최고 수준이나 R&D성과의 활용인 기술사업화 수준은 매우 낮다. 기술사업화는 산학협력단, 기술이전조직(TLO), 기술지주회사, 창업보육센터, 창업선도대학 등 각종 기술사업화 관련 조직 및 정부정책에도 불구하고 공공R&D 투자의 효율을 높이지 못하고 있다. 대학은 교육과 연구 중심의 대학에서 기업가적 대학으로 그 패러다임이 바뀌고 있다. 그에 따라 기술사업화를 위한 다양한 시도들이 진행되고 있다. 기술사업화의 방식은 기술이전, 기술창업, 기술투자 등이 있다. 최근 대학의 기술사업화 트렌드중 기술투자 방식인 산학협력기술지주회사는 아직 성과가 미흡함에도 불구하고, 발전가능성이 크다. 본 연구의 목적은 산학협력기술지주회사 제도가 다른 기술사업화 방식에 비해가지는 강점에 대해 밝히고, 기술지주제도를 중심으로 기술사업화가 통합되어 그역할을 제대로 수행하기 위한 발전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대학 기술사업화를 단계별, 영역별로 구분하여 대학 기술사업화 매트릭스를 그리고, 각 단계의 문제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문제의 핵심은 협력 연계의 부족과 기술과 시장의 연계 부족으로 모아졌다. 그리하여 1) 대학 기술사업화 추진체계의 일원화를 위한 기술사업화 모듈의 공유 2) 통합된 기술사업화 시장플랫폼의 구축 의 두가지 큰 개혁방향 및 대안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정책연구 : 창업보육 중소기업의 기술사업화에 관한 실증 연구

        전인오 ( In Oh Jeon ) 한국중소기업학회 2010 中小企業硏究 Vol.32 No.4

        본 연구는 창업보육 프로그램을 통해 지원을 받고 있는 중소기업들이 "보유하고 있는 아이디어를 기술개발을 통해 사업화하는 과정에서" 필요한 제반 능력들을 어느 정도 확보하고 있는 지 파악하고, 또 CEO 및 기업 특성에 따라 이러한 기업 능력에 차이가 나타나고 있는 지 실증적으로 분석한 것이다. 아울러 이러한 창업보육 중소기업들이 기술사업화를 추진함에 있어서 부딪히는 제반 애로점들을 파악하여, 이를 효율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지원방안을 모색하는 데도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창업보육센터에 입주했거나 입주 예정인 기업들에 대해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창업보육기술개발사업"을 통해 지원을 받은 중소기업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최종적으로 89개의 유효한 설문을 회수하였다. 창업보육 중소기업들의 기술사업화에 대한 실증분석을 통해 얻은 결과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 창업보육 중소기업들의 기술혁신 및 사업화 능력을 분석한 결과, 전반적으로 연구개발 능력과 기술축적 능력이 기술혁신능력, 제품화 능력, 생산화 능력, 마케팅능력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들 기업에 대한 효과적인 지원을 위해서는 취약한 능력을 보강하는데 더 노력이 집중 되어야 하며, 구체적으로는 마케팅 능력, 생산화 능력, 제품화 능력 등의 구축에 더 정책 지원의 비중이 주어져야 한다. 둘째, 창업보육 중소기업의 CEO의 연령과 학력에 따른 기업능력의 정도를 검증한 결과, CEO의 연령이 40세 이상인 기업에서 사업화 관련 역량에서 조금 더 높았고, CEO의 학력별 기업능력의 차이 분석에서는 CEO의 학력이 대학원 이상으로 높은 기업에서 연구개발 및 생산화 능력이 우월하고 CEO의 학력이 대졸이하 인 기업에서는 기술축적, 기술개발, 제품화 및 마케팅에서 우월한 능력을 보였으나 통계적으로는 유의하지 않았다. 셋째, 창업보육 중소기업의 사업 경과연수에 따른 기업능력의 정도를 검증한 결과, 사업경력에 따라 통계 적으로 유의한 기업능력의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다만 3년 이내 업력을 가진 기업에서 기술축적과 개발능력이 우수하고, 다른 능력에서는 3년 이상 경력 기업이 우수한 경향을 보였다. 넷째, 창업보육 중소기업이 기술개발 및 사업화를 하는데 기업자신의 보유능력과 비교하여 애로점이 많은 분야로는"자금조달 관리업무" "마케팅 업무", "조직구성 및 운영업무"의 순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영역에서는 창업보육 중소기업들이 자신의 보유하고 있는 능력으로는 해결이 불가능하다고 응답하고 있다. 다섯째, 사업화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필요로 하는 업무영역별 능력을 ① 기술개발 및 관리, ② 기술기획 및 전략기획, ③ R&D 프로젝트 관리, ④ 핵심기술 분석, ⑤ 사업계획 수립, ⑥ 자금조달능력, ⑦ 마케팅 능력, ⑧ 조직운영능력의 8개 분야로 구분하고 그 각각의 세부업무 수행능력에 대하여 `중요도의 인식`을 분석한 결과 〈기술개발 및 관리〉 분야가 모든 단위 변수에서 가장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었다. 아울러 〈기술/ 전략 기획〉 분야의 "경영/기술전략 수립"과 〈자금조달능력〉 분야의 "재무 및 투자계획", <R&D 프로젝트 관리〉 분야의 "R&D 기획", 그리고 사업계획 수립이나 핵심기술 분석도 중요하게 나타났다. 반면에 기술사업화를 추진하는 직접적인 변수로 기업의 마케팅과 조직운영 변수는 중요도를 낮게 인식하고 있었다. 여섯째, 사업화 과정에서 자체 해결이 어려운 이슈가 무엇인지 분석하였는데, "투자 유치"가 가장 어렵다 고 답했고, 다음으로 "기술 사업화", "경영/기술 전략 수립", "리스크 관리"인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려 "시장 조사", "마케팅 전략/계획"도 어려운 업무로 나타났고, 상대적으로 기술기획이나 지적재산권 관리 등은 해결의 난이도가 높지 않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따라서 창업보육 중소기업의 사업화 애로점을 해소하려면 경영 및 사업화 능력 확충을 위한 교육과 정보 제공, 협력을 통한 연계 주선 및 지원체계의 강화 등이 지속적으로 추진되어야 하며, 기업들의 자구 노력과 제반 정책 지원을 통한 창업보육 중소기업들의 능력 강화는 기술사업화 활성화로 이어질 것이다. Business incubator (BI) is recognized as an efficient mechanism to promote new venture crea-tion,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and job creation. To become successful, tenant firms of BIs should have attractive business opportunities and required capabilities. This study focuses on the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SMEs) supported by the government`s business incubation project, and deals with technology de-velopment and commercialization processes of incubated SMEs those own ideas for new technology and product develop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SMEs` capabilities and difficulties in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and to propose government policies to effectively promote SMEs` commercialization. Based on previous literatures, this study developed a research framework. Data were collected from 89 SMEs, located or to be located in business incubators and financially supported by the government for the commercialization of new technologies. The questionnaire used in this study contains several items such as i) general company information (industry, location. CEO`s age and education, and years of business oper-ation), ii) SME`s technology development capabilities (R&D capability, technology accumulation capability, and technology innovation system), ill) SME`s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capabilities (product commercialization capability, process/production capability, and marketing capability), iv) difficult business processes or areas faced during the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process (company formation procedure, technology de-velopment and management, business planning, fund raising and finance, technology marketing, and organ-ization management), and v) recognized importance of each business activity or capability in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Empirical results obtained from statistical analyses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SMEs showed high-er technology development capability than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capability. Especially, R&D and technology accumulation capabilities were very high compared to product commercialization, process technol-ogy production, and marketing capabilities. Therefore government support to strengthen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capabilities should be highlighted. Second, companies with an older CEO (40 years old and more) showed higher technology accumulation capability compared to those with a younger CEO. Firms` commercialization capabilitie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depending on the CEO`s education level. Third, years of business operation of incubated SMEs did not affect firms` technology development and commercialization capabilities, although younger firms showed slightly higher capabilities in technology de-velopment compared to older firms. Fourth, SMEs pointed "fund raising and finance" as the most difficult business area and bottleneck in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Technology marketing" and "organization management" were also very lacking areas in the process of commercialization. SMEs replied that these three areas are main bottlenecks and can-not be overcome without strong support from outside (including the government). Fifth,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requires the integrated efforts of several business activities such as in-novation, business and technology planning, marketing, financing and organization management. In this study, commercialization-related activities or capabilities were classified into eight categories, such as i) technology development and management, ii) strategic technology planning, iii) R&D project management, iv) core tech-nology development, v) preparing a business plan, vi) financing, vii) marketing, and viii) organization management. The survey result shows that SMEs recognize "technology development and management" (such as corporate technology planning,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and core technology management) as the most important capability for successful commercialization. Furthermore, financial requirement analysis and investment planning, strategy formulation, R&D project planning, and business planning were also appeared as important activities and capabilities for commercialization. Based on the empirical study and findings, this study suggests following policy recommendations. First of all, financing was the key obstacle in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Therefore, securing several funding sources should be the priority policy measure. In addition to the government`s financial supports, the private sec-tor should take more active roles in early stage financing for SMEs through angels and venture capital investments. Government should make efforts for deregulation in the financial sector Second, the lack of planning and marketing capabilities can be ascribed to poor manpower. Government should support manpower training and recruiting through various training programs and subsidies for new hires. Long-term human resource development (HRD) planning should reflect the changing job market and emerging demands for new talents. Third, the roles of BIs should be strengthened from rent businesses (providing spaces) to integrated service providers. BIs should serve as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platforms and make active networks with outside specialists. Especially, BI managers should have pivotal roles in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and new ven-ture growth and more incentives should be given to the specialists or businessmen with real business experi-ences to become BI managers. Fourth, this study showed that lacks in management capabilities (rather than technology capabilities) were more critical bottleneck in commercialization. Therefore executive management programs for small business CEOs should be promoted. In addition, undergraduate engineering students should have more chances to study management as recommended courses. Finally, integrated and flexible support mechanism should be devised to actively promote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from start-up and business planning to financing and marketing. Cooperation among several policy-implementing agencies is also needed. This study analyzes limited samples of SMEs and the finding cannot be necessarily generalized into different situations. With the environmental change from catch-up imitators to front runners, however, innovative SM& in Korea really need planning and management capabilities for the prosperous future, and this study signals the importance of management knowledge, skills, and capabilities of small business CEOs.

      • KCI등재

        기술사업화의 비즈니스 생태계 모형에 관한 연구

        박웅(Wung Park),박호영(Ho-Young Park) 한국기술혁신학회 2014 기술혁신학회지 Vol.17 No.4

        연구개발(R&D)은 개방형 혁신의 원천으로서 그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정부에서는 공공 R&D 성과의 확산과 기술사업화를 위한 정책 및 투자 지원을 강화하고 있다. 지난 10여 년간의 지속적인 노력에도 불구하고, 기술사업화는 시장과 분절된 R&D, 취약한 수요기반, 미성숙한 기술시장 등으로 생태계가 아직 제대로 조성되지 못하면서 기대만큼의 성과를 내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생태계 조성을 기반으로 기술사업화가 활성화될 수 있도록 기술사업화의 비즈니스 생태계 모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국내외 선행연구 분석을 토대로 모형 개발을 위한 프레임워크를 설정하였고, 생태계 관점에서 국내 공공 R&D 사업화 추진의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기술사업화 생태계 조성을 위한 참조 모형으로서, R&D, 시장, 정보 유통, 고객 등 4 가지 도메인으로 구성된 공공 R&D 사업화의 비즈니스 생태계 모형을 제시하였다. 생태계 모형을 통해 기술사업화는 연구기관을 비롯해 기술거래, 가치평가, 기술금융 등 생태계를 이루는 다양한 구성원들 간의 긴밀한 연계와 유기적 협력을 바탕으로 이루어지며 가치 창출도 가능함을 살펴보았다. 한편 기술사업화 생태계의 성패는 키스톤으로서 공공연구기관의 역할에 좌우되는 만큼, 본 연구에서는 기술사업화 생태계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한 공공연구기관의 역할 방향도 제시하였다.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R&D as a source of open innovation, Korean government is developing various programs focused on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and is expanding investment on it. In spite of those efforts,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is not vitalized yet due to the lack of demand for technology transfer, R&D planning scheme without considering market, immaturity of technology market, and so on. This study aims to suggest the business ecosystem model so that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could be facilitated based on business ecosystem perspective. We set the framework for modeling a business ecosystem through reviewing the previous works, and draw several problems to be solved regarding public R&D commercialization in Korea from the perspective of ecosystem. Considering those, this research proposes the business ecosystem model for public R&D commercialization as a reference model for describing, discussing, and developing the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strategy. The proposed model consists of 4 domains as follows: R&D, technology market, information distribution channels, and customers. The business ecosystem model shows that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could be facilitated to create the market value through close relationship and organic cooperation among its members that form the ecosystem. Public research institutes as a keystone player could control the fate of the ecosystem. In this regard, this paper suggests roles of public research institutes for evolving the business ecosystem.

      • 기술창업기업의 기업가 역량과 기술사업화 능력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양수희,김명숙,정화영 한국벤처창업학회 2011 한국벤처창업학회 학술대회 Vol.2011 No.8

        기술창업 기업의 창출과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 기업가 역량과 기술사업화 능력을 제고하는 방안을 마련하는 연구는 이론적?실무적으로 의미가 있다고 본다. 또한 최근 기술사업화 관련 연구에 자주 사용되고 있는 자원기반이론의 측면에서 볼 때도 기업가의 역량을 분석하여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은 중요한 의의가 있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술창업기업의 기업가 역량과 기술사업화 능력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함으로써 궁극적으로 기술창업기업의 성과 향상을 위하여 어떤 노력을 해야 하는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기존의 연구에서는 기업가 역량과 기술사업화 능력을 각각 독립변수로 하여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으나, 본 연구에서는 기업가 역량과 기술사업화 능력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과 변수간의 인과관계를 밝혀내기 위한 새로운 모형을 제시하였다. 연구모형 검증을 위해 대전 지역에 소재한 기술창업기업 125개를 대상으로 연구목적에 적합한 표본 을 추출하여 연구가설을 검증하였다. 가설 검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업가 역량은 기술사업화 능력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 둘째, 기술사업화 능력은 경영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 셋째, 기업가 역량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기술사업화 능력이 중요한 매개변수 역할을 수행한다. 즉, 기업가 특성은 중간경로에 있는 기술사업화 능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 후에 경영성과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기술사업화 능력은 기업가 역량과 경영성과 사이에 매개변수로 작용하며, 특히 기업가의 역량요소 중 전략적 사고 역량이 기술사업화 능력에 중요한 영향을 준다는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 KCI등재

        기술사업화 능력과 기술경영 성과의 관계에 대한 변혁적 리더십의 조절효과에 관한 연구

        이태헌(Lee Tae Heon 대한리더십학회 2017 리더십연구 Vol.8 No.1

        본 연구는 최근 들어 산업계를 중심으로 주목을 받고 있는 기술사업화와 기술경영성과에 관한 실증연구이다. 특히 기술사업화 능력과 기술경영 성과의 관계와 그 관계에 있어서의 변혁적 리더십의 조절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협의의 기술사업화 과정을 전제로 기술집약형 중소기업 최고 경영자의 제조역량 및 생산역량, 마케팅 역량이 기술경영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한 것이다. 또한, 기술사업화 추진 시 가장 중요시되는 최고 경영자의 리더십을 변혁적 리더십에다 초점을 두고 리더십 강도에 따라서 기술경영의 성과가 어떻게 달라지는 지를 조사하였다. 그리고 상관관계, 계층적 회귀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기술사업화 능력들이 기술경영 성과에 미치는 영향 검증에서는 모든 기술사업화 세부능력들이 기업 성과에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하여 기술사업화 능력들은 성공적인 기술사업화를 통해 기업 성과 제고에 상당 부분 기여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기술사업화 능력과 기술경영 성과의 관계에 대한 변혁적 리더십은 두 개의 하위 변수인 카리스마와 지적자극 중에서 지적자극은 대체로 조절 효과가 있는 양(+)의 효과로 나타났으나 카리스마는 거의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실무적 측면에서 기술사업화를 추진하는 기술집약형 중소기업에 가장 요구되는 핵심 인재상은 창의적 직관과 논리적 해결을 독려하는 리더형인 것으로 밝혀진 것이다. 따라서 지적 자극을 촉발하는 리더십을 갖추고 기술사업화를 추진하는 중소기업은 기술사업화 목표 도달뿐만 아니라 기술 경영 성과까지 향상되어 미래 경쟁력이 더욱 높아질 것이다. This study is an empirical study on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and technology management performance, which are attracting attention mainly in industry. Especially, we tried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ability and technical management performance and relationship. This study has identified the CEO’s manufacturing capacity, production capacity, and marketing competence that affect the performance of technology management. In addition, we investigated how the performance of technology management varies according to the strength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which is most important in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verifying the effect of technical commercialization capabilities on technical management performance, it was found that all technical commercialization abilities have a significant (+) effect on firm performance. It is believed that the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capabilities contribute to the enhancement of corporate performance through successful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Second, The intellectual stimulation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echnical commercialization ability and the technical management performance showed a positive effect (+), but the charisma had little effect. It is found that the core talents that are most required for technology-intensive SMEs that promote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from the practical side are leaders who encourage creative intuition and logical solution. Therefore, SMEs that have leadership that stimulates intellectual stimulation and promote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will not only reach the goal of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but also improve technology management performance, which will further enhance future competitiven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