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2022 개정 기술과 교육과정 개발과 주요 특징

        임윤진,최유현,김성일,권석영,함형인 한국기술교육학회 2024 한국기술교육학회지 Vol.24 No.1

        이 연구의 목적은 2022 개정 기술과 교육과정을 개발하는 데 있다. 이 연구는 정부의 교육과정 개발과정에 따라 1차, 2차 연구로 나누어 수행되었다. 이 연구에서 활용한 연구 방법은 문헌 연구, 전문가 협의회, 델파이 조사, 정책 협의회 등이다. 2022 개정 기술과 교육과정 개발 연구에서 가장 중요한 특징 가운데 하나는 기술교사 양성기관의 교수, 그리고 현직 기술교사들의 참여가 이전의 교육과정에 비해 두드려진 것이다. 이러한 참여 및 논의의 결과로 2022 개정 기술과 교육과정 개발 연구의결과가 도출되었다. 이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교 기술과 교육과정은 2개의대영역(기술적문제해결과 혁신, 지속가능한 기술과 융합)으로 개발하였다. 둘째, 고등학교 기술과 교육과정은 일반선택과목에 기술․가정, 진로선택과목에 로봇과 공학세계, 융합선택과목에 창의 공학설계, 지식 재산 일반으로 구성 및 개발하였다. 셋째, 모든 교육과정은 변화된 내용요소인 지식․이해, 과정․기능, 가치․태도로 구분하여 개발하였으며, 내용요소 간의 결합을 통해 성취기준을 개발하였다. 넷째, 고등학교 기술과 교육과정은 공학 분야의 성격을 강화하였고 고교학점제의 취지를 살리고자 하였다. 2022 개정 기술과 교육과정의 개발 과정과 주요 특징은 향후 교육과정 실행을 위한설명 자료이자 향후 교육과정의 모니터링, 차기 교육과정의 기초 자료로써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2022 revised technology and curriculum. The study was divided into primary and secondary research according to the government's curriculum development process. The research methods used in this study included literature research, expert consultation, Delphi survey, and policy consultation. One of the most important features of the 2022 revised technology subject curriculum development is that the participation of professors at technology teacher training institutions and current technology teachers increased compared to the previous curriculum. As a result of this participation and discussion, the results of the 2022 revised technology subject curriculum development study were deriv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middle school technology curriculum was developed into two major areas: technological problem solving and innovation, and sustainable technology and convergence. Second, the high school technology curriculum was composed and developed with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as general electives, robots and the world of engineering as career electives, and creative engineering design and general intellectual property as convergence electives. Third, all curriculum were developed by dividing them into changed content elements: knowledge/understanding, process/skill, value/attitude, and achievement standards were developed through combination of content elements. Fourth, the high school technology curriculum strengthened the nature of the engineering field and attempted to preserve the purpose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The development process and main features of the 2022 revised technology subject curriculum can be used as explanatory material for future curriculum implementation, monitoring of future curriculum, and basic data for the next curriculum.

      • KCI등재후보

        2009 개정교육과정 기술・가정 교과서 ‘기술과 발명’ 단원 교육 내용 적정성 분석

        정진우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15 實科敎育硏究 Vol.21 No.1

        이 연구의 목적은 2009개정교육과정 기술・가정 교과서 ‘기술과 발명’ 단원 교육 내용 적정화 실태를 분석하는데 있다. 분석 방법으로는 내용량 분석과 난이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내용량 분석 결과 2007개정교육과정 기술과 발명 단원에 비해 2009개정교육과정 기술과 발명 단원에서는 페이지 수 53.5%, 중단원 수 45,4%, 소단원 수 30.7%, 주제 수 37.8%의 감소하였다. 둘째, 난이도 분석 결과 2007개정교육과정 기술과 발명 단원에 비해 2009개정교육과정 기술과 발명 단원에서는 내용 요 소가 8.5% 감소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첫째, 기술과 발명 단원을 대단원으로 편성하고 중단원으로 ‘기술의 이해’, ‘발명’으로 조 직하고, 중단원인 발명은 ‘발명의 이해’, ‘발명과 특허’, ‘발명과 사고’, ‘발명 체험활동’으로 내용을 구성해야 하며, 발명 교육의 내용 체계 연구를 통해 핵심이 되는 주제를 도출하고 이를 12종 교과서 모두에 적용하여 심도 있는 발명 교육 내 용 분석이 필요함을 제언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appropriateness of the education contents of the ‘Technology and Invention’ unit in ‘Technology&Home Economics’ textbooks of the 2009 revised educational curriculum. As for the analysis, the total amount of the content and the difficulty of the content have been analyzed, and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 of the analysis in total amount of the content indicates that the ‘Technology and Invention’ unit of the 2009 revised educational curriculum shows decreases of 53.5% in total pages, 45.4% in the number of middle units, 30.7% in the number of small units, and 37.8% in the number of topics compared to the ‘Technology and Invention’ unit of the 2007 revised educational curriculum. Second, the result of the analysis in difficulty of the content indicates that the components of the content have been reduced by 8.5% in the ‘Technology and Invention’ unit of 2009 revised educational curriculum compared to the 2007 revised educational curriculum. Based on the above results, I propose the following: The ‘Technology and Invention’ unit should be reorganized as a broader unit and the ‘Understanding Technology’ and ‘Invention’ units should be under-categorized as the sub- sections of the ‘Technology and Invention.’ And the ‘Invention’ unit should include the contents such as ‘Understanding Inventions’, ‘Inventions and Patents’, ‘Inventions and Considerations’, and ‘Hand-on Activities of Inventions.’ Further, through the studies of systematic contents of the invention education, the core themes should be emerged out and applied to all 12 types of current textbooks so that the in-depth analysis of invention contents could take place.

      • KCI등재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실과(기술․가정) 교육과정에서 ‘기술․가정’ 교과서의 ‘건설 기술과 환경’ 단원 내용 분석

        이상봉,이도현 한국기술교육학회 2013 한국기술교육학회지 Vol.13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Construction Technology and Environment’ Unit of 12 kind of textbooks at Technology․Home Economics textbooks in Practical Art (Technology-Home Economics) Curriculum according to Revised National Curriculum in 2009. Frequency and intensity of ‘Construction Technology and Environment’ Unit in the 12 textbooks were analyzed by category, theme and so on. For the content analysis, framework for analysis was adopted from the construction technology system of Jackson`s mill industrial arts theory, and category was selected by ‘input-process-output’ system, and unit was selected by theme. First, the analytical framework by ‘Construction Technology and Environment’ Unit, was measured and analyzed the frequency. Second, the analytical framework by ‘Construction Technology and Environment’ Unit, was measured and analyzed the intensity. These procedures are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the new curriculum did accurately reflect the content in the textbooks and what is more emphasis on the content elements is presented.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1) Disconnecting the rate of 12 kind of textbooks configuration, input, process, output, environment category and all its theme and sub-theme were present. (2) The results from the frequency analysis on category appeared to be in order of input, process, output, environment, and on each theme appeared to be in order of structures on a site, productive, people, materials, natural environment, energy, etc. (3) The results from the Intensity analysis on category appeared to be in order of output, process, input, environment and on each theme appeared to be in order of structures on site, productive, people, natural environment, materials, energy, etc. Based on the findings of a new textbook, the content of the curriculum reflects a combination of analysis and study the textbook selection is proposed to be used as the basic material. 이 연구의 목적은 2009 개정교육과정에 따른 실과(기술․가정) 교육과정에 의거하여 2013년부터 연차적으로 적용되고 있는 12종 교과서의 ‘건설 기술과 환경’ 단원의 내용을 분석하는 데 있다. ‘건설 기술과 환경’ 단원의 내용 분석을 위하여 분석틀은 잭슨스밀 공업과교육과정의 건설 기술 체제로, 범주는 ‘투입-과정-산출‘ 체제로, 단위는 주제로 선정하였다. 첫째, 분석틀에 의해 ‘건설 기술과 환경’ 단원의 빈도를 측정하고 분석하였다. 둘째, ‘건설 기술과 환경’ 단원의 강도를 측정하고 분석하였다. 위 절차에 따라 분석된 결과를 통해 새로운 교육과정 내용이 교과서에 명확히 반영되었는가와 더욱 강조된 내용 요소가 무엇인가를 제시하였다. 이 연구에 의한 ‘건설 기술과 환경’ 단원의 내용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12종의 교과서를 분석한 결과 비율은 다르나 투입, 과정, 산출, 환경 범주별로 내용 요소가 모두 구성되어 있었다. (2) 빈도 분석 결과 범주별로 투입, 과정, 산출, 환경의 순이었으며, 주제별로 현장 구조물, 생산 과정, 사람, 재료, 자연환경, 에너지 등의 순이었다. (3) 강도 분석 결과 범주별로 산출, 과정, 투입, 환경의 순이었으며, 요구 비율과 비교하여 산출과 환경은 증가하고, 투입과 과정은 감소하였다. 주제별로는 현장 구조물, 생산 과정, 사람, 자연환경, 재료, 에너지 등의 순이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새로운 교육과정을 반영한 교과서의 내용 분석 연구 결과가 교과서의 편성과 선정에 따른 기초 자료로 활용되기를 제안한다.

      • KCI등재후보

        RESP 교육모형을 적용한 발명교육 프로그램 개발 -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 ‘기술과 발명’ 단원을 중심으로 -

        송나래,김영민,김기수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14 實科敎育硏究 Vol.20 No.4

        이 연구의 목적은 2009 개정 교육과정 기술·가정1 ‘기술과 발명’ 단원에서의 RESP 교육모형을 적용 한 발명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다. RESP 교육모형을 적용한 발명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통해 학생들이 보다 다양한 아이디어를 떠올리는데 도움이 되고, 발명에 대하여 더 많은 관심과 흥미를 불 러일으킬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 연구를 통해 도출한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09 개정 교육과정 기술·가정1 ‘기술과 발명’ 단원에서 RESP 교육모형을 적용한 발명교육 프 로그램 개발을 위한 절차 모형을 구안하였다. 둘째, 중학교 기술·가정1 ‘기술과 발명’ 단원에서 RESP 교육모형을 적용한 발명교육 프로그램은 놀 이터에 숨겨진 과학적 원리·기술적·공학적 특징 찾기, 놀이터에서 벌어진 일, 우리만의 안전하고 재 미있는 놀이터 만들기로 구성되었다. 셋째, 중학교 기술·가정1 ‘기술과 발명’ 단원에서 RESP 교육모형을 적용한 발명교육 프로그램은 교 사용 자료와 학생용 자료로 구성되어 있다. 넷째, 중학교 기술·가정1 ‘기술과 발명’ 단원에서 RESP 교육모형을 적용한 발명교육 프로그램 개발 은 전문가 집단의 협의와 전문가 타당도 검사, 예비수업과 현장수업에서 학생들의 평가를 통해 프로 그램이 수정·보완하여 최종적인 프로그램을 완성함으로써 타당함이 증명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the invention education program applying RESP educational model in the ‘Technology and Invention’ Unit in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1 in the 2009 Revised Educational Curriculum. The conclusion of research is as follows. First, the procedural model for the development of invention education program applying the RESP model in “Technology and Invention’ Unit in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1 in the 2009 Revised Education curriculum was developed. Second, the invention education program applying the RESP model was composed of finding scientific principles and technological characteristics hidden in the playground, what happened in the playground, and making our own safe and interesting playground. Third, the invention education program applying the RESP model was composed of materials for teachers and materials for students. The materials for students ware composed of the program guide, and learning activities of each domain. The materials for teachers included the summary of the program, the outline of the subject,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plan, and evaluation. Fourth, the validity of the development of the invention education program applying the RESP model was proved by revising and supplementing and finally completing the program by conducting consultation with the group of specialists, validity tests on specialists, and students’ evaluation in preliminary and field classes. Fifth, the results of actually applying the invention education program applying the RESP model showed that the program aroused students’ interest and invention learning motivation was enhanced.

      • KCI등재

        미래사회 대비 2015 개정 중학교 기술과 교육과정의 진단과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조용(Yong Cho) 한국기술교육학회 2022 한국기술교육학회지 Vol.22 No.1

        이 연구는 미래사회 대비 기술교육의 비중 확대와 관련된 교육과정 요구 조사를 통해 2015 개정 중학교 기술과 교육과정을 진단하고 이공계 인재 양성과 기술적 소양 함양을 위한 향후 기술과 교육과정의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15 개정 기술과 교육과정의 시간 배당 기준의 문제, 현황 진단 및 비중 확대를 위한 개선 방안으로 유‧초‧중등학교 교원과 대학교수 및 연구원 등의 전문 연구원, 대학생, 학부모 등 1,000여 명의 의견을 조사하여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의견조사는 2018년 3월 24일부터 4월 30일까지 약 한 달간 설문을 통하여 수집된 데이터는 SPSS Statistics 22.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문항별 평균과 백분율을 산출하였으며, 교차분석 및 t검정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술교육은 미래사회에 비중 있게 다루어야 할 교과목으로 우선순위에 두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미래사회 변화를 고려할 때, 직업․고용을 창출하는 정도가 높은 분야로는 이공계가 907명으로 전체 응답자의 86.8%를 차지하며 높은 결과가 나왔다. 둘째, 현행 기술교육에 대해 학교급이 낮을수록 생활에 친근한 교과로 학교급이 높을수록 진로와 친근한 교과로 인식하고 있으나, 실습 시간과 실습을 위한 시설․설비가 부족하여 향후 교육과정에 반영이 필요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셋째, 이공계 분야 집단이 비이공계 분야 집단에 비해 실습 시간과 실습을 위한 시설․설비가 부족함을 인식하고 있으며, 비이공계 분야 집단은 이공계 분야 집단에 비해 기술 교과가 가정 교과와 묶여 있어 이공계 분야로 진출하는 것을 막고 있다고 인식하고 있다. 넷째, 기술 전공자는 기타 교과 전공자에 비해 장기간 수행하는 프로젝트 도입, STEAM 교육과의 연계, 디지털 기자재 활용, 기술․가정 교육에서 2균분의 개선을 제안하고 있다. 반면, 기타 교과 전공자는 기술 전공자에 비해 기술교육의 이론 설명 부분을 사이버학습으로 대체하는 것에 대해 동의 정도가 높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agnose the 2015 revised middle school technology education curriculum by examining the curriculum requirements related to the expansion of the proportion of technology education in preparation for the future society, and to suggest future improvement plans for nurturing science and engineering talents and cultivating technological literacy. To this end, as an improvement plan to diagnose the problem of the 2015 revised middle school technology education curriculum, and to expand the proportion, about 1,000 opinions from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university professors and researchers, college students, and parents, etc. was investigated to derive implications. Firstly, technology education should be prioritized among the subjects that should be treated with importance in the future society in school education. And when considering future social changes, natural science and engineering fields with a high degree of job and employment creation were 907, accounting for 86.8% of the total respondents, showing high results. Secondly, as for the current technology education, the lower the school level, the more familiar the subject is, and the higher the school level, the more friendly the subject. However, it can be seen that it needs to be reflected in the future curriculum due to the lack of practice time and facilities and facilities for practice. Thirdly, it is recognized that the natural science and engineering field group lacks practical time and facilities and facilities for practice compared to the non-science and engineering field group. On the other hand, the non-science and engineering field group perceives that technology subjects are tied to home subjects compared to the natural science and engineering fields, preventing them from advancing into the science and engineering fields. Fourthly, compared to other subject majors, technology majors are suggesting two-fold improvement in the introduction of long-term projects, linked with STEAM education, use of digital equipment, and technology and home education. On the other hand, students majoring in other subjects had a higher degree of agreement than those majoring in technology about replacing the theoretical explanation part of technology education with cyber learning.

      • KCI등재후보

        한국과 미국의 기술과 교육과정의 비교와 시사

        최유현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06 實科敎育硏究 Vol.12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suggestions for Korea and the USA technology teacher education through comparing of trends and curriculums of their technology teacher education. Therefore, the study was conducted through literature research. The 7th and the revised national technology curriculums of Korea and national technology standards(STL & AETL) and 6 states technology education standards of USA in this study were analyzed.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commonly identified knowledge base organizers for developing curriculum in Korea and the USA were the technological disciplines of manufacturing, construction, information communication, and transportation. 2. To the technology education of the USA, Korea technology education curriculum suggests that all students should learn technology subjects as part of the national curriculum. 3. To the technology education of Korea, US technology education curriculum suggests that the USA have the national technology standards (STL : Standards for Technological Literacy: Content for the Study of Technology and AETL: Advancing Excellence in Technological Literacy: Student Assessment,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Program Standards). Especially STL and AETL have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profession. These materials are making state curriculums, textbooks, and teacher preparation programs more relevant and rigorous.

      • KCI등재후보

        2015 개정 실과(기술ㆍ가정) 교육과정 내용요소에 대한 기술과 정교사 자격연수 참가자의 교육요구도

        김기열,함형인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17 實科敎育硏究 Vol.23 No.1

        이 연구의 목적은 2015 개정 실과(기술ㆍ가정) 교육과정 내용요소에 대한 기술과 정교사 자격연수 참가자의 교육요구도를 알아보고 이를 바탕으로 기술교사들이 필요로 하는 연수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기술과 정교사 자격연수 참가자는 내용요소별 중요수준에 비해 현재의 수준이 낮다고 인식하고 있다. 또한 기술교사들의 내용요소별 중요수준은 척도평균(3.00) 이상에 해당되어 2015 개정 교육과정의 내용에 대한 중요성을 인지하고 있다. 현재의 수준이 2010년부터 큰 차이를 보이지 않고 있기 때문에 기술교사들은 지속적으로 교과 전문성 개발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둘째, 2015 개정 실과(기술․가정) 교육과정의 중학교 ‘기술의 세계’ 분야 내용요소 중 제조기술 문제해결 (B), 건설기술 문제해결 (D), 수송기술 문제해결 (G), 신ㆍ재생 에너지 (H), 통신기술 문제해결 (K), 기술적 문제해결 (N)이 Borich 교육요구도와 The Locus For Focus 모델에서 공통적으로 기술교사에게 최우선으로 필요한 내용요소로 나타났다. 셋째, 2015 개정 실과(기술ㆍ가정) 교육과정의 고등학교 ‘기술의 세계’ 분야 내용요소 중 첨단제조기술 (A), 첨단건설기술 (B), 첨단생명기술 (C), 첨단수송기술 (D), 첨단통신기술 (E), 발명과 창업 (J)이 Borich 교육요구도와 The Locus For Focus 모델에서 공통적으로 기술교사에게 최우선으로 필요한 내용요소로 나타났다. 넷째, 2015 개정 실과(기술ㆍ가정) 교육과정에 대한 기술교사 연수의 필요성에서 “매우 필요하다”와 “필요하다”에 응답한 기술과 정교사 자격연수 참가자는 81명(89.1%)으로 2015 개정 실과(기술ㆍ가정) 교육과정의 연수가 필요함을 알 수 있다. 2015 개정 실과(기술ㆍ가정) 교육과정의 ‘기술의 세계’ 분야와 관련하여 필요로 하는 연수내용은 ‘창의공학 설계’, ‘통신기술시스템’, ‘통신기술문제해결’, ‘발명 아이디어의 실현’, ‘발명과 창업’, ‘첨단기술 (제조, 건설, 생명, 수송, 통신)’ 순으로 응답하였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educational needs by regular technology teachers qualification program participants on the content elements of practical arts(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according to revised national curriculum in 2015 and at providing basic materials for the educational programs that are required by technology teacher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ere as follows. First, the regular technology teachers qualification program participants of the content elements of the 'world of technology' in the middle school practical arts(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according to revised national curriculum in 2015 recognize that current performance level(what is) is lower than the important level(what should be) by content elements. Second, the regular technology teachers qualification program participants are required most urgently manufacture technology (B), problem solving in construction technology (D), problem solving in transport technology (G), problem solving in new renewable energy (H), problem solving in communication technology (K) and technological problem solving (N) in the content elements of the 'world of technology' in the middle school practical arts(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according to revised national curriculum in 2015. These are in common in Borich’s educational needs model and The Locus for Focus model. Third, the regular technology teachers qualification program participants are required most urgently high manufacture technology (A), high construction technology (B), high bio technology (C), high transport technology (D), high communication technology (E) and invention and business start-up (J) in the content elements of the 'world of technology' in the high school practical arts(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according to revised national curriculum in 2015. Fourth, a total of 81 technology teachers (89.1%) answered “highly necessary” and “necessary” on the need for educational programs and education session for the practical arts(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according to revised national curriculum in 2015.

      • KCI등재

        기술과 교육실습의 실태 분석과 개선 방안 연구

        이명훈 한국기술교육학회 2012 한국기술교육학회지 Vol.12 No.2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analysis status of educational practice in technology education and to suggest some improvements. The study was carried out through questionnaire survey method. The population for the survey was senior technology education students Seventy six out of 80 questionnaires were returned, of which were used for analysis. Both descriptive and inferential statistics were employed for data analysis.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First, a few pre-service technology education teachers couldn't teach technology. And they had to teach another subjects. And pre-service technology education teachers applied variou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in their class. In the domains of educational practice, performance rate of subject guidance was the highest. Second, it was the most difficult in educational practice to prepare for classes. And it was the most difficult in subject guidance practice to attract active participation from students in their class. Third, in the educational practice contents, orientation of educational practice school, subject contents(theory), subject contents(practice), demonstration instruction, student life guidance, class management were benefit to pre-service technology education teachers Fourth, subject contents(theory) among the technology education curriculum in university were most beneficial to educational practice. But benefit of orientation for educational practice and general pedagogics was average. Fifth, subject guidance performance level of pre-service technology education teachers was high. And the level of male was higher than the level of female in some items. 이 연구의 목적은 기술과 교육실습의 실태를 분석하고 개선 방안을 마련하는데 있었다. 이 연구의 대상은 전국의 교육실습을 마친 기술교육과 4학년 학생 80명(충남대학교 기술교육과 42명, 한국교원대학교 기술교육과 22명, 세한대학교 기술교육과 16명)이다. 자료 수집은 2012년 5월 29일부터 6월 8일까지 우편 조사와 방문 조사를 통하여 이루어졌고, 80부 중 4부가 미회수 되어 76부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기술교육과 학생들의 경우 교육실습 학교를 선정하는 방법으로 학생 본인이 직접 실습학교를 알아보고, 해당 학교에 교육실습을 요청하여 선정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으며, 교육실습생 중 일부는 실습학교 사정상 기술 영역을 지도하지 못하고 가정이나 다른 교과만 지도하는 경우도 있었다. 실습학교의 교과 지도교사가 담당한 교육실습생의 수는 지도교사 1인당 1명인 경우보다 여러 명인 경우가 더 많았다. 또한, 기술교육과 교육실습생들은 교과지도시 강의법뿐만 아니라 다양한 교수학습방법을 활용하고 있었으며, 교육실습 영역 중 교과지도, 생활지도, 학급경영 순으로 수행한 비율이 높았다. 둘째, 교육실습 중 가장 어려웠던 사항은 수업 준비이었으며, 교과지도시 가장 어려웠던 사항은 학생들의 적극적인 수업 참여를 유도하는 것이었다. 또한, 현행 교육실습 제도에서 가장 개선이 필요한 사항은 학교 현장과 맞지 않은 대학의 교육과정을 개선하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과반수의 교육실습생들이 교육실습 후 교직에 대하여 호감이 생기거나 더 강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육실습 내용 중 실습학교에서의 교육실습에 관한 연수, 교과지도(이론지도), 교과지도(실습지도), 연구수업, 학생생활지도, 학급경영 등은 교육실습생들에게 유익하였으나 창의적 체험활동지도와 기술실습시설 관리에 관한 교육실습은 상대적으로 유익하지 않았다. 넷째, 대학의 기술교육과 교육과정 중 교과내용학(이론)이 교육실습에 가장 유익하며, 대학에서 실시한 교육실습에 대한 사전교육과 일반 교육학의 유익성은 보통이었다. 다섯째, 기술교육과 교육실습생들의 교과지도 수행정도는 다양한 어려움을 겪으면서도 전반적으로 높았으며, 일부 항목에서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우수하였다.

      • KCI우수등재

        포스트 디지털 시대를 위한 음악교육의 과제 - 기술과 예술에 대한 철학적 고찰을 중심으로 -

        최진경(Jin Kyong Choi) 한국음악교육학회 2021 음악교육연구 Vol.50 No.4

        본 연구의 목적은 포스트 디지털 시대를 위한 음악교육의 과제를 탐색하는 것에 있다. 포스트 디지털이란 디지털과 아날로그의 공존 속에서 인간을 바라보는 것이므로, 포스트 디지털 시대를 위한 음악교육의 과제는 ‘인간과 기술의 공존을 위하여 음악교육이 어떻게 이루어져야 하는가?’라는 물음에 대한 답을 찾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연구자는 기술과 예술에 대하여 철학 적 논의를 펼친 소크라테스,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 그리고 하이데거의 사유를 종합하여 포스 트 디지털 시대를 위한 음악교육의 과제를 도출하였다. 결론적으로 포스트 디지털 시대의 음악 교육은 ‘기술과 함께하는 음악교육’을 바탕으로, 음악적 앎에 대한 탐색, 보편적 지식, 행위적 지식(enactive knowledge)을 담아야 하고, 학습자와 음악이 기술을 통해 서로의 존재를 드러내야 하며, 선함(goodness)을 추구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asks of music education for the post-digital age. Since the post-digital implies viewing human beings in the co-existence of digital and analog, tasks of music education for the post-digital age are to find an answer to the question of ‘How should music education be pursued for the co-existence of human and technology?’ For this, the present researcher synthesizes the thinking of Socrates, Plato, Aristotle and Heidegger, who made philosophical arguments about technology and arts, and derives tasks of music education for the post-digital age. In conclusion, music education in the post-digital age should contain universal knowledge, enactive knowledge, and exploration into musical knowing, on the basis of ‘music education getting along with technology,’ reveal the mutual existence of learners and music through technology, and pursue goodness.

      • KCI등재

        언택트 시대, 무용교육의 새로운 방향성에 관한 문화적 해석

        이유리(Yu-Ree, Yi) 한국문화교육학회 2020 문화예술교육연구 Vol.15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erpret a new direction of dance education from a cultural perspective in a cultural system that has been transformed into an untact culture. Untact culture has a lot of influence on changes in space and behavior in our lives. In particular, changes in the educational environment are overcoming the current situation with the emergence of new educational contents and many trials and errors for instructors and learners. In general, art education is composed of educational contents that communicate face-to-face, so it is time to rethink the direction of dance education in an untouched environment. Dance education is a subject with the specificity of internalizing artistic sensibility and experiencing firsthand with the body as a tool. However, in the changed social environment, the field of dance education is also trying to change, and various class contents have appeared. Therefore, this period is a paradigm of dance education, and many trials and errors can be followed for teaching methods. Therefore, the convergence of art education and technology, the direction of dance edu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ANT, and the use of educational contents based on Laban's movement theory, which is based on gestures, can give implications for discussing the new direction of dance education in the untouched era. Furthermore, the actors who develop and accept content should not be selected, but must be based on cultivating philosophical and cultural awareness. 본 연구는 언택트 문화로 변화된 문화시스템에서 무용교육의 새로운 방향성을 문화적 관점으로 해석하고자 하는데 목적을 둔다. 언택트 문화는 우리의 삶에서 공간과 행위변화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특히, 교육환경의 변화는 새로운 교육 콘텐츠의 등장과 함께 교수자와 학습자는 수많은 시행착오를 겪으면서 현 상황을 이겨내고 있다. 일반적으로 예술교육은 직접 대면하여 소통하는 교육내용들로 구성되어있어 언택트 환경에서 무용교육의 방향성에 대한 새로운 재고가 필요한 시기이다. 무용교육은 신체를 도구로 하여 직접경험하고 예술적 감수성을 내면화하는 특수성을 지닌 교과목이다. 하지만 변화된 사회 환경에서 무용교육의 장 또한 변화를 시도하고 있으며 다양한 수업 콘텐츠들이 등장하게 되었다. 때문에 이시기는 무용교육의 패러다임으로 교수법들에 대해 많은 시행착오가 따를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예술교육과 기술의 융합, ANT관점에서 무용교육의 방향성, 제스처가 바탕이 되는 라반의 움직임 이론을 기반한 교육콘텐츠 활용은 언택트 시대에 무용교육의 새로운 방향성을 논의하는 데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콘텐츠를 개발하고 수용하는 행위자들은 선택이 아닌 필수적으로 철학적, 문화적 인식 함양이 바탕 되어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