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술혁신 역량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 기술사업화 역량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신성욱 대한경영정보학회 2019 경영과 정보연구 Vol.38 No.1

        In order for a company to grow through technological innovation, technological innovation capacity to support technological innovation is more important than anything else. In addition, the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process can not be ignored in order to lead to the improvement of the business performance. In this context, this study analyzed the impact of firm's technological innovation capacity on business performance and tried to analyze whether technological innovation capacity has a moderating effect on technological innovation capacity. To analyze the purpose of this study, we collect data through questionnaires of small and medium venture companies located in the southeast region of korea. The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based on 132 collected company survey data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echnology innovation capacity has a positive effect on business performance. Specifically, companies with well-equipped R&D capabilities, technology accumulation capabilities, and technology innovation systems showed higher business performance(market competitiveness, business growth potential, and business profitability). Second,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capacity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effect of technological innovation capacity on business performance. This result implies that a company with a good technical commercialization capability increases the positive influence of technological innovation capacity on business performa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t is important to systematically manage the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capacity in order to generate business performance through technological innovation. 기술혁신을 통해 기업이 성장하기 위해서는 기술혁신을 뒷받침해주는 기술혁신 역량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또한 단순히 기술혁신의 성공을 넘어 경영성과의 향상으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기술사업화 과정도 무시될 수 없는 중요한 요소이다. 이런 맥락에서 본 연구에서는 기업의 기술혁신 역량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 보고, 기술혁신 역량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기술사업화 역량이 조절효과를 가지는 지를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상기의 목적을 분석하기 위해 동남권 소재 중소 벤처기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고, 수집된 132부의 기업 설문자료를 바탕으로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실증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같다. 첫째, 기술혁신 역량이 높을수록 경영성과가 더욱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R&D 투자역량, 기술축적 역량, 기술혁신 체계가 잘 갖추어진 기업의 경우 경영성과(시장경쟁력, 사업성장성 및 사업수익성) 가 더욱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기술혁신 역량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기술사업화 역량이 조절효과를 가지는 지를 분석한결과 기술사업화 역량은 기술혁신 역량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정(+)의 조절효과를 가지는 것으로분석되었다. 이는 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기술혁신 역량이 높을수록 기술혁신의 성공으로 경영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하고, 기술사업화 역량까지 잘 갖추고 있는 기업의 경우 개발된 기술의 사업화 과정을 성공적으로 수행하여 경영성과가 더욱 높아진다는 것을 나타내는 결과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기업이 기술적 혁신을 통해 성과를 창출하기 위해서는 기술혁신에 필요한 역량과 사업화 역량을 체계적으로 구축하는 운영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하겠다.

      • 기술창업기업의 기업가 역량과 기술사업화 능력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양수희,김명숙,정화영 한국벤처창업학회 2011 한국벤처창업학회 학술대회 Vol.2011 No.8

        기술창업 기업의 창출과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 기업가 역량과 기술사업화 능력을 제고하는 방안을 마련하는 연구는 이론적?실무적으로 의미가 있다고 본다. 또한 최근 기술사업화 관련 연구에 자주 사용되고 있는 자원기반이론의 측면에서 볼 때도 기업가의 역량을 분석하여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은 중요한 의의가 있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술창업기업의 기업가 역량과 기술사업화 능력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함으로써 궁극적으로 기술창업기업의 성과 향상을 위하여 어떤 노력을 해야 하는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기존의 연구에서는 기업가 역량과 기술사업화 능력을 각각 독립변수로 하여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으나, 본 연구에서는 기업가 역량과 기술사업화 능력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과 변수간의 인과관계를 밝혀내기 위한 새로운 모형을 제시하였다. 연구모형 검증을 위해 대전 지역에 소재한 기술창업기업 125개를 대상으로 연구목적에 적합한 표본 을 추출하여 연구가설을 검증하였다. 가설 검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업가 역량은 기술사업화 능력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 둘째, 기술사업화 능력은 경영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 셋째, 기업가 역량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기술사업화 능력이 중요한 매개변수 역할을 수행한다. 즉, 기업가 특성은 중간경로에 있는 기술사업화 능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 후에 경영성과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기술사업화 능력은 기업가 역량과 경영성과 사이에 매개변수로 작용하며, 특히 기업가의 역량요소 중 전략적 사고 역량이 기술사업화 능력에 중요한 영향을 준다는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 KCI등재

        경영환경·기술역량·기업성과의 관계-중소기업을 대상으로-

        김상오 ( Kim Sang Oh ),윤선희 ( Youn Sun Hee ),이돈곤 ( Lee Don Gon ) 한국물류학회 2016 물류학회지 Vol.26 No.6

        본 연구는 국내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경영환경·기술역량·기술성과 및 경영성과의 관계에 대해 연구해 보고자 하였다. 기업 내·외부 환경이 기술역량에 미치는 영향과 기술역량이 기술성과 및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기술역량은 기술기반역량과 기술실행역량 및 기술사업화 역량으로 분리하고, 기술기반역량이 기술실행역량에 미치는 영향, 기술실행역량이 기술사업화역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검증하였다. 또한 기술사업화역량이 기술성과와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및 기술성과가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실증분석결과 모든 변수들의 관계가 정(+)의 방향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또한 분석결과 흥미로운 것은 이들 변수들 간의 영향은, 경영환경 ->기술기반역량 -> 기술실행역량 -> 기술사업화역량 -> 기술성과 -> 경영성과의 방향으로 큰 흐름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기업에서 기술혁신실행을 통해 경영성과를 거두기 위해 어떠한 단계의 실행이 필요한가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여 줄 수 있고, 기업에서의 기술혁신은 기술과 직접관계 되는 실행뿐만 아니라 조직의 학습역량과 같은 기본적인 역량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of business environment, technological capability, technological performance and business performance for SMEs in Korea. The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the internal and external environment on the technological capability and the technological capability on the technological performance and on the corporate performance. Technological capability is divided into technological foundation capability, technological practice capability and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capability. The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technological foundation capability on technological execution capability and technological execution capability on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capability. The study also examined the effect of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capability on technological performance and business performance and the effect of technological performance on business performance. Empirical results show that all variables have a positive directi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lso show that there is a significant trend in the direction of business environment → technological foundation capability → technological execution capability →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capability → technological performance → business performance. Based on these results, we can suggest the implications of what steps need to be taken to achieve business performance through the implementation of technological innovation in a company. These results also imply that technological innovation is in need of not only direct practice but also basic competence such as learning competence in a company.

      • KCI등재

        기술혁신 역량, R&D 지식경영 및 기술혁신 성과 간의 관계

        송신근(Sin-Geun Song) 한국산업경제학회 2017 산업경제연구 Vol.30 No.6

        본 연구에서는 기술혁신 성과에 기술혁신 역량과 R&D 지식경영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기술혁신 역량과 기술혁신 성과 간의 관계에 있어 R&D 지식경영이 매개효과를 지니는지를 분석하고자 하는 데 연구목적을 두고 있다. 기술혁신 역량으로 학습역량, 조직역량, 연구개발역량과 전략기획역량을 사용하였으며, 매개변수로 R&D 지식경영, 종속변수로 기술혁신 성과를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기술혁신 성과에 학습역량을 제외한 기술혁신 역량과 R&D 지식경영이 유의적인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술혁신 역량은 모두 R&D 지식경영에 유의적인 정(+)의 영향을 미치며, R&D 지식경영을 통한 기술혁신 성과로의 간접효과 분석에서는 모두 유의적인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R&D 지식경영은 기술혁신 역량과 기술혁신 성과 간에 매개효과를 지님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결과는 기술혁신 성과에 기술혁신을 촉진시킬 수 있는 조직의 기술혁신 역량이 중요하며, 또한 R&D부서에서 연구개발 된 R&D 지식이 현업부서에 제대로 전달되고 구현될 있도록 R&D 지식을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중요함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기술혁신 역량 중 일부 변수는 기술혁신성과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으나, R&D 지식경영을 통해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성공적 기술혁신 성과의 달성을 위해서는 R&D 지식을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지식경영이 중요함을 보여주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R&D knowledge management on technological innovation performance and the mediating effect of R&D knowledge managemen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echnology innovation capability and technology innovation performance. As the technology innovation capacity, we used learning capability, organizational capability, R&D capability and strategic planning capability. We used R&D knowledge management as a parameter and technology innovation performance as a dependent variabl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technology innovation capability and R&D knowledge management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innovation performance, And R&D knowledge management has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indirect effect analysis on the technological innovation performance through R&D knowledge management. Therefore, R&D knowledge management has mediating effect between technology innovation capability and technology innovation performance. These results show that it is important for the innovation capability of the organization to promote technological innovation in the technological innovation performance and to systematically manage the R&D knowledge so that the R&D department"s research and development knowledge can be properly communicated and implemented in the business department.

      • KCI등재

        기업의 경영주역량, 기술혁신역량, 기술혁신성과 및 경영성과 간의 구조관계 연구: 동남권 중소 제조기업을 대상으로

        진봉재,문형빈,이운식 한국기술혁신학회 2023 기술혁신학회지 Vol.26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the effect of the CEO’s competency and the technological innovation capability on the technological innovation performance and the firm performance through the structural relationship research for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SMEs) in the manufacturing industry located in the southeast region. In this study, 1,011 SMEs in the southeast region, which evaluated by technology credit rating agencies from January to June 2022, were analyzed. As the result, it was revealed that the technological innovation capability of SMEs in the manufacturing industry had a positive (+) effect on their technological innovation performance. In addition, the technological innovation performance of SMEs had a positive (+) effect on their firm performance. As summing up the above results, it is necessary for a company to organize and operate an R&D dedicated organization that plays a pivotal role in R&D in order to continuously grow in a rapidly changing competitive environment. And it is important to secure the technological innovation capabilities of SMEs through continuous R&D investment. 본 연구의 목적은 동남권 소재 중소기업들의 경영주역량과 기술혁신역량이 기업의 기술혁신성과와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구조관계 연구를 통해 확인하는데 있다. 2022년 1월부터 6월까지 기술신용평가기관인 한국평가데이터(주), 나이스평가정보(주), (주)나이스디앤비, (주)이크레더블에서 평가 및 수집한 동남권 소재 1,011개의 중소 제조기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구조관계 연구를 위해 빈도분석, 기초통계량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그리고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중소 제조기업의 기술혁신역량은 기술혁신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기술 혁신성과는 경영성과(재무성과, 비재무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만, 경영주역량인 대표자의 동업계 경험수준과 기술지식수준은 기술혁신성과와 경영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분석결과를 종합해 볼 때, 기업은 급변하는 경쟁환경 속에서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서는 연구개발의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하는 R&D전담조직의 편성과 운영이 필요하고, 일정수준 이상의 지속적인 연구개발투자를 통한 중소 제조기업의 기술혁신역량 확보가 중요하다 하겠다.

      • KCI등재

        기술혁신형(Inno-Biz) 중소기업의 기술경영성과에 미치는 핵심요인에 관한 연구

        윤현덕 ( Heon Deok Yoon ),서리빈 ( Ri Bin Seo ) 기술경영경제학회 2011 Journal of Technology Innovation Vol.19 No.1

        본 연구는 기술혁신형 중소기업의 기술경영성과와 기업경영성과 창출에 기여하는 핵심 영향요인을 규명하기 위해 자원기반관점에서 혁신역량과 기술적 기업가정신의 결정요인들을 활용하여 영향관계를 검증하였다. 다차원적 요인들에 의해 영향을 받는 기술혁신의 복합적 특성을 고려하여, 혁신프로세스 관점에서 기업특수자원인 혁신역량을 투입물로, 기술경영성과를 산출물로, 그리고 기업경영성과를 결과물로 인식하여 연구모형을 설정하였다. 서울과 경기지역의 제조업 중심의 360개 이노비즈 인증기업을 대상으로 실시된 설문응답을 실증분석한 결과, 기술가치평가의 정성적 지표를 개량하여 기술경영성과의 결정요인으로 적용한 기술우수성, 시장성장성, 사업수익성은 기업경영성과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혁신역량의 결정요인인 연구개발능력, 전략계획능력, 학습능력과 기술적 기업가정신의 결정요인인 혁신성, 진취성은 기술경영성과와 기업경영성과에 유의한 정(+)의 관계를 보였다. 즉, 높은 수준의 혁신역량과 기업가정신은 기술경영성과를 증대시키며, 궁극적으로 기업경영성과를 실현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개념적 영향관계와 기술혁신의 촉진요인으로서 기술적 기업가정신의 역할과 중요성을 규명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최근 중요성이 부각되는 기술집약적 기업의 기술경영에 대한 성과평가기준을 수립할 시, 기술혁신의 복합적 특성을 반영하지 못하는 재무적 성과보다는 자원과 역량의 조합을 통해 구현된 기술경영성과에 대한 주기적 평가를 실시해야 함을 설명한다. 이는 기술경영성과는 자원의 한계성과 좁은 혁신의 범위로 특징되어지는 기술혁신형 중소기업이 향후 추진할 새로운 기술혁신에 재투입될 수 있도록 기술혁신에 대한 지속적이고 일관된 투자를 실시함을 시사한다. 또한 본 연구는 정책연구에서 개념적으로 적용되어온 기술적 기업가정신에 대한 실증분석을 통해 그 역할을 규명한 의의를 갖고 있다. This study is to confirm the core factors of innovative capabilities and technological entrepreneurship affecting the performance of technology management and business management of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SMEs). Through the consideration about the complex natures of technological innovation affecting by multidimensional factors, this study designs the research model that innovative capabilities, the performances of technology and business management are arranged in accordance with the innovation process; input-output-outcome. To meet this research purpose, the hypothesis are set up based on the previous research studies and the research samples are selected from members of the Innovative Business (INNO-BIZ) Association, located in Seoul and Geyonggi province. As a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to the responses gathered from 360 firms, the performance of business management is influenced positively by the technology superiority, market growth and business profitability which are the dominant factors of performance of technology management. In addition, three sub-variables of innovative capabilities such as R&D, strategic planning and learning capability, have positive effects on both the managerial performances. Innovativeness and progressiveness of technological entrepreneurship affect both the performances positively. Moreover, the co-relation between technological entrepreneurship of an innovation leader and innovative capabilities of organizational members are identified. Lastly, technological entrepreneurship has the mediating effect on the path of leading innovative capabilities to the managerial performances. In conclusion, the research results imply that technological innovation-type firms should periodically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echnology management which are the output of technological innovations and the reinvestment for ultimate business success. And improving and developing innovative capabilities and technological entrepreneurship is required to continuously and consistently investing and supporting resources on technological innovations at the firm-and government-level. It is considered that these are the crucial methods for securing the technologically competitive advantage of SMEs with less resources and narrow innovation range.

      • KCI등재

        최고경영진의 혁신의지와 기술혁신역량 간 관계

        전인(In Jun),오선희(Sun hui Oh) 대한경영학회 2016 大韓經營學會誌 Vol.29 No.2

        본 연구는 제조업을 대상으로 최고경영진(Top Management Team)의 기술혁신의지와 연구개발 집약도가 기술혁신역량에 미치는 영향과 혁신지향적 조직문화에 따라 기술혁신역량에 어떠한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혁신과 관련된 주요 조직이론들-최고경영진 이론(Upper Echelon Theory), 자원기반 관점(Resource-based View), 동적 역량 관점(Dynamic Capabilities View)-과 기존 선행연구를 검토하였다. 최고경영진 이론을 기초로 최고경영진의 혁신의지, 자원기반관점에서 제시한 내적역량으로서 연구개발 집약도 및 혁신지향 조직문화를 도출하고, 동적역량관점에서 강조하는 혁신역량 간 관계를 개념적 분석틀로 구성하였다. 설문조사는 대구경북 지역의 제조업 기업들을 대상으로 실시하였고, 실증분석에는 총 392부의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실증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최고경영진의 기술혁신의지는 연구개발 인력 투자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구개발 인력은 최고경영진의 기술혁신의지가 기술혁신역량을 향상시키는 매개적 역할을 수행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연구개발비와 연구개발인력은 기술혁신역량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이 과정에서 혁신지향적인 조직문화가 기술혁신역량을 향상시키는데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조절기능을 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최고경영진의 혁신의지가 연구개발 집중도 중 연구개발 인력에만 유의미한 효과를 보여주었으며, 연구개발 인력은 경영진의 의지와 혁신역량 간 매개역할을 수행하였다. 하지만 기존연구과 달리, 연구개발비는 주요 변수 간 인과관계를 보여주지 않았다. 이는 아직 국내 다수 중소기업 최고경영진의 의지만으로 연구개발 투자를 이끌어내는 데는 어려움이 있음을 시사하였다. 혁신지향적 조직문화는 연구개발 집중도와 기술혁신역량에 유의미한 조절효과를 보여주었다. 혁신역량을 강화하고자 하는 경영진은 혁신을 가능케 하는 조직문화를 형성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을 재확인해 주었다. This study undertakes an empirical examin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op management team (TMT)’s willingness to innovate and technological innovation capability. The paper more focuses on both the mediating role of Research and Development (R&D) intensity (R&D expenditure and R&D personnel) and the moderating role of innovative organizational culture between R&D intensity and technological capability. Based on organization theories or perspectives (Upper Echelon Theory, Resource_based View and Dynamic Capabilities View), it looks into the importance of the systemic, internal innovation process. This paper uses quantitative research methodology. Based on literature review, questionnaires are developed. On the subjects of manufacturing firms in Deagu_Gyeongbuk regions, the authors collected firm data through post, fax and e-mail. The respondents are limited to upper managers and CEOs in order to ensure possibly exact information on firms. 392 respondents were finally used for the analysis. The empirical results were as follow. First, TMT’s willingness had a positive impact on R&D intensity (personnel) which played a significantly positive mediating role between TMT’s willingness to innovate and technological innovation capability. Second, R&D intensity (personnel) statistically improved technological innovation capability. Regarding innovative organizational culture, it positively moder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R&D intensity (R&D expenditure and R&D personnel) and technological innovation capability. [그림본문참조] Like Cadinal (2001)’s findings, this paper supports the importance of R&D personnel for driving innovation capability. However, contrast to much existing literature, R&D expenditure does not show any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MT’s willingness and innovation capability. This might imply that TMT’s willingness does not necessarily play a leading role in R&D expenditure. Particularly, in terms of small and medium_sized firms which are less secure in financial status, human resources are of importance in strengthening innovation capability. With regard to innovative organizational culture, the findings support the arguments of extant research, including Conceicao et al. (2002), Feldman (1988), Hurley (1995) and Song (1996). This implies that when the manufacturing firms are willing to nurture their innovation capabilities, it is very crucial of them to establish innovative culture at workplace where motivated employees are able to challenge and display their innovative ideas.

      • KCI등재

        중소기업에서 기술기반역량 · 실행역량 · 사업화역량이 기술성과 및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김상오,윤선희,김원교 한국상업교육학회 2015 상업교육연구 Vol.29 No.6

        본 연구는 국내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기술혁신역량과 기술사업화 역량이 기술성과와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해 보고자 하였다. 기술혁신역량은 기술기반역량과 기술실행역량으로 분리하고, 기술기반역량이 기술실행역량에 미치는 영향, 기술기반역량과 기술실행역량이 기술사업화역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검증하였다. 또한 기술사업화역량이 기술성과와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및 기술성과가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실증분석결과 모든 변수들의 관계가 정(+)의 방향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또한 분석결과 흥미로운 것은 이들 변수들 간의 영향은, 기술기반역량 -> 기술실행역량 -> 기술사업화역량 -> 기술성과 -> 경영성과의 방향으로 큰 흐름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기업에서 기술혁신실행을 통해 경영성과를 거두기 위해 어떠한 단계의 실행이 필요한가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여 줄 수 있고, 기업에서의 기술혁신은 기술과 직접관계 되는 실행뿐만 아니라 조직의 학습역량과 같은 기본적인 역량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study relationship between innovation capability and technological Performance performance & business performance. Through an literature review, the study identifies technological support capability, technological functional capability,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capability as technological innovation capability. Specifically, technological support capabilities are R&D· learning capability and technological functional capabilities are strategic planning · manufacturing marketing organizing resource capability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s used to analyze the 235 data. Empirical results suggest that technological support capability have direct effects on technological functional capability,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capability and also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capability have direct effects on technological performance & business performance. 5 hypothesis are supported all. As a result of modeling, we found that strong linkage exists between innovation capability and performance. The linkage is technological support capability -> technological functional capability ->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capability -> technological performance -> business performance.

      • KCI등재

        CEO의 기술적 역량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실증연구: 기업의 기술적 역량 매개효과 중심으로

        이인기,양동우 한국벤처창업학회 2016 벤처창업연구 Vol.11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EO technological capability on management performance and mediating role of firm's technological capability. The empirical data for this study are taken not from subjective studies released by companies but from the Korea Technology Guarantee Fund's(KTGF) technology assessment data. The result are as follows. First, CEO technological capability has a very significant and important influence on firm's technological capabilities and on technological performance(intellectual property rights(-), technology spillover effect(+)) and on management performance. Second, ,mediating role of firm's technological capability is revealed negatively only between CEO technological capability and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Because of CEO technological capability has a significant influence on firm's technological capability and management performance, start-up based on expertise show a higher probability of success than the founder. 본 연구는 중소기업의 전략적 자원으로 인식되고 있는 최고경영자의 역량 중 기술적 역량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과 기업의 기술적 역량이 최고경영자 기술적 역량과 기업성과사이에 매개역할을 하는지에 대해 분석하였다. 분석을 위한 총 표본은 기술보증기금에서 보유하고 있는 중소기업 데이타를 활용하였으며, 분석결과 CEO의 기술적 역량은 기업의 기술적 역량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고학력일수록, 동업종종사경험이 많을수록 연구개발 활동에 적극적임을 알 수 있었고, 기술파급효과와 경영성과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나 기술성과인 특허건수, 출원 중 특허건수에는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의 기술적 역량이 CEO의 기술적 역량과 기술성과인 특허건수, 출원중 특허 건수에는 유의한 부(-)의 매개효과가 나타났으나, CEO의 기술적역 량과 기술적 파급 효과간, CEO의 기술적 역량과 경영성과 간에는 매개역할을 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CEO의 기술적 역량이 기업의 기술적 역량인 기업기술개발능력과 경영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므로 전문지식에 바탕을 둔 이공계 창업이 일반 창업보다 성공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보여준다.

      • KCI등재

        디지털 신기술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역량 정의

        이호,이주현,배준호,신우식,김희웅 한국지식경영학회 2024 지식경영연구 Vol.25 No.1

        인공지능, 빅데이터, 로봇 등의 디지털 신기술 분야의 급격한 성장에 따라 정부와 교육기관들은 신기술 분야에서 요구 되는 역량을 갖춘 인재 양성을 위한 교육과정들을 개발하고 있다. 그러나 교육과정 개발 및 운영의 근간이 되는 역량 개 념에 대한 정의가 불분명하여 교육과정 개발에 어려움을 빚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는 신기술 분야의 교육과정을 개발하 는데 필요한 역량을 정의하는 것을 연구 목적으로 설정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문헌 연구 분석을 통해 기존 문헌에 서의 역량 정의와 특성을 파악한다. 이후 신기술 분야 전문가와의 심층 인터뷰 통해 선행연구로부터 도출된 정의에 대한 검증과 추가적인 의견을 수집하고 신기술 교육과정에 적합한 역량 정의를 최종적으로 도출한다. 연구 결과, 신기술 교육 과정 개발을 위한 역량은 “주어진 업무를 기대하는 수준에 맞게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지식 및 기술의 집합” 으로 정의하였다. 또한 역량의 핵심 구성 요소인 지식 및 기술과 역량의 구성 원리를 도출하였다. 이러한 역량 정의와 특성은 신기술 분야 교육과정을 체계적이고 효과적으로 구성하는 데 기여할 뿐만 아니라, 교육과 실무 간의 격차를 줄이 는 데에도 활용될 수 있다. 나아가 본 연구 결과는 지속적으로 새로운 지식과 기술이 축적되는 신기술 분야 기업들의 지식 경영 체계 구축에도 기여할 수 있다. As the digital transformation accelerates, the demand for professionals with competencies in various digital technologies such as artificial intelligence, big data is increasing in the industry. In response, the government is developing various educational programs to nurture talent in these emerging technology fields. However, the lack of a clear definition of competencies, which is the foundation of curriculum development and operation, has posed challenges in effectively designing digital technology education programs. This study systematically reviews the definitions and characteristics of competencies presented in prior research based on a literature review. Subsequently,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30 experts in emerging technology fields to derive a definition of competencies suitable for technology education programs. This research defines competencies for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education programs as 'a set of one or more knowledge and skills required to perform effectively at the expected level of a given task.' Additionally, the study identifies the elements of competencies, including knowledge and skills, as well as the principles of competency construction. The definition and characteristics of competencies provided in this study can be utilized to create more systematic and effective educational programs in emerging technology fields and bridge the gap between education and industry practi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