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통계적 모형을 통한 법주사와 선암사 목조건축물의 기상인자에 대한 상관성 분석

        김영희,김명남,임보아,이정민,박지희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2018 보존과학회지 Vol.34 No.5

        국내 목조건축문화재는 자연환경에 그대로 노출되어 있어 생물피해와 여러 환경요인에 의해 피해가 가속화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보은 법주사와 순천 선암사에 기상인자 모니터링을 위한 자동기상측정장비를 설치하여 기상데 이터를 수집하였다. 이들 데이터에 통계 모형을 적용하여 기상인자를 예측하고 기상인자별 예측성능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법주사와 선암사 두 곳 모두에서 대기온도와 이슬점온도의 상관계수가 0.95 이상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상대습도의 상관계수는 0.65로 낮게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일반선형모형은 대기온도와 이슬점온도를 예측하기에 적합 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기상인자들 사이의 상관성을 분석한 결과, 법주사와 선암사 모두 대기온도와 이슬점온도, 일사 량과 증발량 사이에 강한 양의 상관성을 보였으며, 법주사에서는 대기온도와 증발량이 약한 양의 상관성을 나타내었고 선암사에서는 풍속이 대기온도와 상대습도에 대하여 약한 음의 상관성을 나타내었다. 선암사의 풍속은 겨울에 높고 여름에 평균 이하로 낮아지는 패턴을 보이는데, 이것은 대기온도와 상대습도가 높은 여름철에 수분의 증발을 막고 정체시 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판단되며, 결과적으로 이것이 선암사의 목조건축물 피해를 가속화시키는 것으로 판단된다. Exposure to the natural environment can cause damage to domestic wooden cultural assets, such as temples. Deterioration is accelerated by biological damage and various environmental factors. In this study, meteorological factors were monitored by equipment installed at Beopjusa temple of Boeun province and Seonamsa temple of Suncheon province. A statistical model was applied to these data to predict the meteorological factors and to compare the predictive performance of each meteorological factor. The resulting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air and dew point temperatures was highest, at 0.95, while the correlation coefficient for relative humidity had a moderate value(0.65) at both the Beopjusa and Seonamsa temples. Thus, a general linear model was found to be suitable for predicting air and dew point temperatures. An analysis of correlation between meteorological factors showed that there was strong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air temperature and dew point temperature, and between solar radiation and evaporation at both sites. There was a weak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air temperature and evaporation at Beopjusa temple. Wind speed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both air temperature and relative humidity at Seonamsa temple. The wind speed at this location is higher than average in winter and lower than average in summer, and it was hypothesized that the low wind speed plays a role in reducing water evaporation in summer, when both air temperature and relative humidity are high. As a result, damage to the wooden buildings of Seonamsa temple is accelerated.

      • 기상자료를 활용한 전국 USLE 강우침식성 인자 산정

        옥정훈(Jung-hun Ok),손정우(Jeong-woo Son),황선아(Seon-ah Hwang),이협성(Hyubsung Lee),오부영(Bu-yeong Oh) 한국토양비료학회 2021 한국토양비료학회 학술발표회 초록집 Vol.2021 No.11

        기후변화에 따른 농업분야 실태조사 및 영향평가를 통해 집중호우 및 강우강도가 증가되어 농경지 토양침식의 심화가 예상된다. USLE(Univeral Soil Loss Equation) 모형은 전국 토양유실량을 산정하기 위하여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는 공식으로 5가지 주요 인자가 있으며 강우인자는 기상과 관련된 중요한 인자 중 하나이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전국 최근 몇 년간의 기상자료를 분석하여 강우침식성 인자값를 산정하고 과거 30년(1986∼2015년)과 최근 20년(2001∼2020년), 최근 10년(2011∼2020년), 최근 5년(2016∼2020년)별로 평균값을 비교하였다. 강우침식성 인자는 기상청에서 관리하는 전국 58개 관측지점의 1시간 단위 강수자료를 기상청 방재기상정보 포탈서비스 시스템(http://metsky.kma.go.kr)을 통하여 수집한 자료로 분석하였다. USLE 모형에서 강우사상은 1회 강우량이 12.7 mm 이상이며, 강우 간 간격이 6시간 이내일 때는 1회 강우사상, 6시간 이상일 때는 2회 강우사상으로 정의하고 있다. 또한 1회 강우가 12.7 mm 이하인 경우라도 15분 이내 6.25 mm 이상의 강우는 1회 강우사상에 포함되나 본 연구에서는 1시간 단위 강우자료를 이용하였기 때문에 15분 이내 6.25 mm 이상의 강우는 강우사상으로 포함하지 않았다. 연도별 강우침식성 인자(MJ mm/ha/yr/hr)는 강우사상별 강우의 총에너지와 30분 최대 강우강도(I30, cm/hr) 곱을 연간 합산하여 구하였으며 전국 강우침식성 인자 분포 지도는 GIS를 활용하여 거θ리역산자승가중치법(IDW, Inverse distance weight)을 적용하여 추정하였다. 전국 58개 지점의 관측자료로 계산한 과거 30년(1986∼2015년), 최근 20년(2001∼2020년), 최근 10년(2011∼2020년), 최근 5년(2016∼2020년)별로 강우량과 강우침식성 인자 전국 평균을 살펴보면, 과거 30년은 1,352 mm, 4,028 MJ mm/ha/yr/hr, 최근 20년은 1,357 mm, 4,085 MJ mm/ha/yr/hr, 최근 10년은 1,321 mm, 3,874 MJ mm/ha/yr/hr, 최근 5년은 1,322 mm, 4,044 MJ mm/ha/yr/hr로 나타났으며 최근 10년의 강우침식성 인자값이 가장 낮은 결과를 보였다. 최근 10년과 최근 5년의 비교에서 강우량은 차이가 없었으나 강우침식성 인자는 최근 5년이 높게 나타났다. 우리나라 전체적으로 볼 때 서귀포를 포함하여 거제, 남해, 고흥, 장흥 등 경남 및 전남 해안지방, 인천, 수원 등 경기도 및 서울지역, 강릉, 속초 등 강원도 동해안지역의 강우침식성 인자값이 높은 경향을 보였다.

      • KCI등재

        산림지역과 기상대의 기상인자를 활용한 산림연료의 수분 함량 변화 분석

        채희문 한국방재학회 2014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14 No.5

        The moisture contents of forest fuel are very important roles in behavior and ignition of forest fire. Fuel moisture contents are determinedby various weather factors around forest fuel, therefore research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nge of fuel moisture contentsand weather should be carried.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sis on the change of forest fuel moisture contents by weatherfactors into forest land during forest fire danger seasons(spring and fall) at chuncheon area of Gangwon in 2013 year. The leaves ofQuercus dentata Thunb. ex Murray, and needles of Pinus densiflora Siebold & Zucc. that drop in the forest land were used to analysison forest fuel moisture contents. The moisture contents of forest fuel were measured daily during forest fire danger seasons. Weather recording device(HOBO data logger) was installed in forest land in order to analyze the change of fuel moisture contentswithin the forest land by weather factors. Meteorological data obtained in the forest and meteorological data of chuncheon weatherstation were analyzed. Among the results of correlation analysis on fuel moisture contents and meteorological data of forest land andweather station, the maximum temperature(oC) and relative humidity(%) were significant during the forest fire danger season(springand fall) in the meteorological data of forest land and only the maximum temperature(oC) was significant during the spring forest firedanger season in meteorological data of weather station. The fuel moisture contents of forest fuel after precipitation during forest firedanger seasons(spring and fall) were decreased sharply within 20~30% in one or two day after rainfall. 산림연료의 수분함량은 산불의 발화 가능성 및 산불의 행동에 매우 중요한 인자이다. 산림연료의 수분 함량을 결정하는 중요한 인자들은 기상인자이고 기상인자와 산림연료의 수분함량 변화의 관계를 밝히는 것은 산불에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는 강원도 춘천지역의 봄철 및 가을철 산불 조심기간 동안 기상인자에 따른 임지내 산림연료의 수분함량 변화를 분석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산림연료의 수분함량 분석은 임지내에 낙하한 활엽수인 떡갈나무 잎과 침엽수인 소나무 잎을 사용하였으며, 산불조심기간 동안 매일 측정하였다. 임지내와 임지외의 기상현상의 차이에 따라서 산림연료의 수분함량의 변화를 분석하기 위하여 임지내에 기상기록장치(HOBO data logger)를 설치하여 이들의 자료와 기상대의 자료를 비교 분석 하였다. 기상인자와 산림연료의 수분함량 변화에 대한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임지내에서는 두 수종 모두에서 최고온도(oC)와 상대습도(%)가 유의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임지외의 기상인자와의 관계에서는 봄철 산불 조심기간 동안 최저온도가 유의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 되었다. 강우 후 산림연료의 수분함량 변화를 측정한 결과 강우 후1일내지 2일정도가 지나면 20~30% 이내로 수분함량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산불 발생 분포와 지형, 지리, 기상 인자간의 관계 분석

        곽한빈(Han-bin Kwak),이우균(Woo-kyun Lee),이시영(Si-young Lee),원명수(Myoung-soo Won),이명보(Myoung-bo Lee),구교상(Kyo-sang Koo) 대한공간정보학회 2008 한국공간정보학회 학술대회 Vol.2008 No.6

        우리나라는 산림은 단순림이 많고 밀도가 높기 때문에 산불이 한번 발생하면 대형 산불로 확산될 우려가 크다. 이 때문에 산불 발생을 미리 예측하여 대응할 필요가 있다. 산불 발생 예측을 위해서는 산불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와 산불 발생의 관계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는 1997년부터 2006년까지 발생한 전국에서 발생한 산불의 point data를 이용하였다. 산불 발생 지점의 지형인자와 지리인자, 그리고 산불 발생 당시의 기상인자로 DB를 구축하고 산불 발생과의 관계를 구명하였다. 지형인자 분석은 고도, 방위, 경사에 따른 산불 발생 빈도를 분석하였고, 그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지리인자 분석에서는 인구밀도, 산불 발생지역의 접근성(도로에 따른 접근성, 대도시와의 거리에 따른 접근성)에 대한 산불 발생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기상인자와 산불 발생의 관계는 전국 76개소에서 관측된 온습도 데이터를 보간한 자료와 산불 발생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기상인자 분석은 산불이 가장 빈번하게 발생하는 3월 하순, 4월 초순, 4월 중순 자료를 평균하여 산불 발생 빈도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산불 발생 위험지역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서 각 인자와 산불 발생의 관계를 분석해보았다. 하지만 각 인자간의 관계를 분석하지 못한 것이 한계점이라고 할 수 있다. 차후 연구에서는 각 인자간의 관련성을 분석하고 산불 발생의 원인과 인자간의 구체적인 인과관계를 밝히는 것도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 KCI우수등재

        기상인자와 코로나 확진자 간의 상관관계 분석

        추경수(KyungSu Choo),최정렬(JungRyel Choi),김병식(ByungSik Kim),최진영(Jinyoung Choi)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 2022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Vol.33 No.1

        전세계적으로 코로나바이러스 (COVID-19)의 유행으로 인해 위험성이 급증하고 있고 2021년 10월 25일 기준으로 누적확진자 354,355명과 사망자 2,788명을 발생시켰다. 이로 인해 방역지침들이 강화되고 우리나라 국민들이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황이다. 코로나 확산 양상을 예측할 수 있다면 대비책과 더불어 사회 · 경제적 피해를 줄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COVID-19의 발생은 사회적 인자도 있지만 기상적 인자도 유의미한 결과가 존재한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인자가 아닌 기상인자가 코로나 확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기상인자로는 최고기온, 최저기온, 평균기온, 일교차, 평균습도, 강우량, 운량, 일조량 등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인자를 수집하였고 확진자와 상관분석결과 기온인자 및 습도에서 확진자와 상관성이 있다고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향후 상관성 있는 인자를 활용하여 모델개발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The risk is increasing rapidly due to the worldwide epidemic of the coronavirus (COVID-19), and as of October 25, 2021, there were 354,355 cumulative confirmed cases and 2,788 deaths. As a result, quarantine guidelines have been strengthened and the Korean people are experiencing many difficulties. If the spread of the corona virus can be predicted, it is judged that social and economic damage can be reduced along with countermeasures. The occurrence of COVID-19 is not only a social factor, but also a significant weather factor. So, in this study, we looked at how weather factors, not social factors, affect corona confirmed. As weather factors, factors provided by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such as maximum temperature, minimum temperature, average temperature, daily temperature difference, average humidity, rainfall, cloudiness, and sunlight were collected. becam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judged that it will be possible to utilize the correlated factors for model development in the future.

      • KCI등재

        기상드론을 이용한 보성 지역 기상 인자의 연직 측정 및 분석

        정지효,신승숙,황성은,이승호,이승협,김백조,김승범 한국지구과학회 2020 한국지구과학회지 Vol.41 No.6

        Meteorological phenomena are observed by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in a variety of ways (e.g.,surface, upper-air, marine, ocean, and aviation). However, there are limits to the meteorological observation of the planetary boundary layer (PBL) that greatly affects human life. In particular, observations using a sonde or aircraft require significant observational costs in economic terms. Therefore,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measure and analyze the meteorological factors of the vertical distribution of the see-land breeze among local meteorological phenomena using meteorological drones. To investigate the spatial distribution of the see-land breeze, a same integrated meteorological sensor was mounted on each drone at three different points (seaside, bottom of mountain, and mountainside), including the Boseong tall tower (BTT) at the Boseong Standard Weather Observatory (BSWO) in the Boseong region. Vertical profile observations for air temperature, relative humidity, wind direction, wind speed, and air pressure were conducted up to 400 m every 30 minutes from 1100 LST to 1800 LST on August 4, 2018.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meteorological phenomena for temperature, relative humidity, and atmospheric pressure were not shown at the four points. Strong winds (~8 m s−1) were observed from the midpoint (~100 m) at strong solar radiation hour, and in the afternoon the wind direction changed from the upper layer at the inland area to the west wind. It is expected that the analysis results of the lower atmospheric layer observed using the meteorological drone may help to improve the weather forecast more accurately. 기상현상관측은 기상청에서 다양한 방법(지상, 고층, 해양, 항공, 등)으로 관측되고 있다. 하지만, 인간생활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대기경계층 관측에는 한계가 있다. 특히, 존데 또는 항공기를 이용한 기상관측은 경제적인 측면에서 상당한 비용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기상드론을 이용하여 국지기상현상 중 해륙풍 연직분포에 대한 기상 인자들을 측정하고 분석하는 것이다. 해륙풍의 공간적 분포를 연구하기 위해 보성지역 표준기상관측소의 보성종합기상탑을 포함한 다른 세 지점(해안가, 산기슭, 산중턱)에 동일한 통합기상센서를 각 드론에 탑재하였다. 2018년 8월 4일 1100LST부터 1800 LST까지 30분 간격으로 최대 400 m 고도까지 기온, 상대 습도, 풍향, 풍속, 기압의 연직 프로파일 관측이 수행되었다. 기온, 상대 습도, 기압에 대한 기상현상의 공간적 특성은 네 지점에서 보이지 않았다. 강한 일사량 시간대에 중간지점(~100 m)에서 강한 바람(~8 m s−1)이 관측되었고, 오후에는 풍향이 내륙지역의 상층부터 서풍으로 바뀌었다. 기상드론을 이용하여 관측한 하부 대기층의 분석결과는 보다 정확한 기상예보 향상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기상인자 및 공간정보를 활용한 Bayesian 지역빈도해석 기법 개발

        김진영,권현한,유민석 한국방재학회 2015 한국방재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14 No.-

        본 연구에서는 Bayesian 통계기법을 활용한 지역빈도해석 모형을 기반으로 외부 기상인자 및 공간정보에 의한 확률강우량의 변동성을 고려할 수 있는 Bayesian 지역빈도해석 기법을 개발하였다. 기존 지역빈도해석에서 분석시 확률분포형의 매개변수는 과거와 일정하다는 정상성을 기본 가정으로 연구를 진행해 왔다. 이는 평균의 변동성 및 확률강우량 추정시 최근 기후변화의 영향을 효과적으로 고려하지 못하는 단점이 존재하였다. 또한 우리나라의 경우 산악지형이 약 70% 이상을 차지할 정도로 지형적 및 계절적으로 강수량 패턴이 불분명하여 확률강우량 추정시 공간적 변동성을 고려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지역빈도해석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최근 국내 연구에서는 유역내 면적강우량 환산시 극치계열의 강수자료를 이용하여 지점빈도해석(point frequency analysis, PFA) 또는 지역빈도해석(regional frequency analysis, RFA)을 수행하여 수자원 설계에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 지역빈도해석연구에서 매개변수 산정시 외부인자(covariate)를 고려할 수 없는 단점이 존재하며, 불확실성을 정량적으로 해석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이와 더불어 기존 RFA에서는 관측지점을 중심으로 산정된 확률강우량은 Thiessen망을 통해 유역면적강우량으로 변환하여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우리나라의 산지특성과 여름철 강우처럼 시공간적 변동성이 큰 경우 면적평균강우를 추정하는데 있어서 오차가 크게 발생할 수 있다고 알려지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본 연구에서는 Bayesian 통계기법을 활용하여 매개변수 추정시 기상인자 및 공간정보가 고려된 지역빈도해석을 수행할 수 있는 모형을 개발하였으며 다음과 같이 연구를 진행하였다. 첫째, 한강유역내 18개 관측소를 대상으로 연도별 여름강수량을 추출하고 이들 관측소의 여름강수에 물리적인 영향을 미치는 기상인자로서 SST(sea surface temperature)를 외부인자로 채택하였다. 둘째, 극치분포를 잘 재현한다고 알려져 있는 Gumbel 분포를 확률분포형으로 선정하였으며, Gumbel 분포 매개변수 산정시 앞서 추출한 SST와 한강 유역내 공간정보를 활용하여 매개변수를 산정하였다. 마지막으로 Bayesian 기법을 도입하여 산정된 매개변수의 불확실성 구간을 제시하였으며, 추정된 확률강우량 또한 불확실성 구간을 제시하여 신뢰성 있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 KCI등재

        기상인자를 이용한 우리나라의 확률강수량 평가

        오태석,문영일 한국수자원학회 2009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ol.42 No.9

        본 연구에서는 기상인자를 반영하여 확률강수량을 산정하고 불확실성을 평가하였다. 기상인자는 범지구적으로 관측되고 있는 해수면온도와 습윤지수 자료를 이용하였다. 분석 방법은 기상인자와 연최대시간강수량 사이의 지체상관계수를 산정하여 비교함으로써, 우리나라의 시간최대강수량과 상관관계가 큰 기상인자의 관측지역과 지체시간을 선정하고 지역가중다항식을 이용하여 회귀관계를 설정하였다. 다음으로 기상인자를 변동핵밀도함수를 이용하여 확률 밀도함수를 추정하여 모의발생을 수행 In this research, design precipitation was calculated by reflecting the climatic indices and its uncertainty assessment was evaluated. Climatic indices used the sea surface temperature and moisture index which observed globally. The correlation coefficien

      • KCI등재

        남한전역 1Km×1Km 격자지점에 대한 수치기상모의풍속의 정확도 향상을 위한 통계적 보정법

        김혜중,김현식,최영진,이승우,서범근,Kim, Hea-Jung,Kim, Hyun-Sik,Choi, Young-Jean,Lee, Seong-Woo,Seo, Beom-Keun 한국통계학회 2011 응용통계연구 Vol.24 No.6

        본 논문은 수치기상모형에 의해 계산된 수치기상모의풍속($1km{\times}1km$ 해상도)의 정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통계적 보정법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남한전역을 $1km{\times}1km$ 격자로 나눈 지점(345,682지점)에 적합한 통계적 바람장 모형으로 부터 남한지역의 바람장을 추정하는 절차와 격자지점별/월별 보정인자를 계산하여 추정된 바람장과 수치 기상모의풍속간의 간극을 보정하는 절차로 이루어진 보정인자법을 개발하였다. 또한 75개 기상관측소지점에서 계산된 수치기상모의풍속자료에 보정인자법을 적용시켜 본 논문에서 제안된 보정법의 유용성을 보였다. This paper suggests a method for tuning a numerically simulated wind speed data, provided by NIMR(National Institute of Meteorological Research) and generated from a numerical meteorological model to improve a wind resource map with a $1Km{\times}1Km$ resolution. To this end, "tuning factor method" is developed that consists of two procedures. First, estimate monthly wind fields based on a suitably designed statistical wind field model that covers 345,682 regions obtained by $1Km{\times}1Km$ lattice sites in South Korea. The second procedure computes the tuning factor and then tunes the generated wind speeds of each month as well as each lattice site. The second procedure is based on the wind fields estimated by the first procedure. The performance of the suggested tuning method is demonstrated by using two wind data(both TMY and numerically simulated wind speed data) of 75 weather station areas.

      • KCI등재

        강원도 춘천지역의 산불 조심기간 산림 연료 수분함량과 기상인자의 관계 분석

        한송희(Han, Songhee),채희문(Chae, Heemun) 한국방재학회 2022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22 No.2

        산림 연료수분함량은 산불 발화와 확산에 밀접한 연관이 있어 산불 예보 시스템에서 중요한 기본 요소이며, 연료의 수분함량 분석은 산불관리에 있어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는 2018년부터 2020년 봄·가을철 산불 조심기간 동안 임지 내 연료 수분함량과 임내 설치된 기상측정장비(HOBO data Logger)의 기상 자료의 관계 분석을 하였다. 산림 연료 수분함량은 사면별(남사면,북사면)을 나눈 뒤 지피물 채취하였고 수종별로는 활엽수(벚나무, 떡갈나무), 침엽수(소나무, 잣나무)를 대상으로 낙하한 낙엽을 사용하였다. 임내 설치된 기상측정장비의 온도(평균,최저,최고)와 상대습도(평균,최저)를 이용하여 기상인자와 연료수분함량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봄철 산불조심기간에는 사면별, 수종별에서 온도(평균,최저,최고)와 상대습도(평균,최저) 모든 인자들이 연료수분함량과 유의성이 있었으며, 가을철엔 평균온도와 평균 상대습도가 높은 유의성을 나타냈다. 연료수분함량과 기상의 상관 분석 결과를 통해 유의성이 높은 인자들을 뽑아 사면별, 수종별 다중회귀분석을 하였으며 1% 수준에서 유의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산림 내의 기상인자와 산림 연료 수분함량 간의 관계 분석을 통하여 향후 우리나라 산불위험예보시스템의 연료 지수를 산정하는데 본 연구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The amount of moisture contained in fallen leaves in the forest is closely related to the possibility of the ignition and spread of a forest fire. This moisture content is an important fundamental component of the forest fire danger rating system, as well as an essential parameter in forest fire management.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oisture content of fuel in the forests and weather information obtained from HOBO data loggers installed in forests during the forest fire seasons of 2018 and 2020. The moisture content of the forest fuel was divided into two slopes (south and north), and the fallen leaves used were broad-leaved (Prunus serrulate and Quercus dentata) and coniferous (Pinus densiflora and Pinus koraiensis). The temperature (mean, minimum, and maximum) and relative humidity (mean and minimum) data obtained from the weather measuring devices installed in the forests were used to correlate weather factors with fuel moisture content. During the spring forest fire period, the temperature (mean, minimum, and maximum) and relative humidity (mean and minimum) of each slope and tree species were significant, while the average temperature and relative humidity were significant during the autumn. According to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fuel moisture content and weather, factors with high significance were selected,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of the slope and species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at 1 perc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as primary data for calculating the fuel index of the forest fire forecasting system by accounting for the effects of weather factors on the moisture content of the fue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