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초등학교 교사의 교수몰입과 소진과의 관계에서 부정적 기분조절기대치의 매개효과 검증

        이지연(Lee Jee Yon),변석민(Byun Suk Min),이채희(Lee Che Hee) 한국교육실천연구학회(한국교육포럼) 2008 韓國敎育論壇 Vol.7 No.2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들이 소진에 있어 교수몰입과 부정적 기분조절기대치가 어떤 완충역할을 하는지 규명해 보고 교사상담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초등학교 교사들의 교수몰입, 부정적 기분조절기대치와 소진과의 관계를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296명의 초등교사를 대상으로 교사들의 소진에 미치는 교수몰입과 부정적 기분조절기대치의 상대적인 영향력을 비교해 보고 교수몰입이 교사들의 소진에 미치는 영향에서 부정적 기분조절기대치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으며 교수몰입, 소진, 교수몰입과 부정적 기분조절기대치의 관계에 대해 검토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학생을 가르치는 것 자체에 몰입하는 경향이 강할수록, 즉 교수몰입 수준이 높을수록 부정적 기분을 완화시킬수 있다는 자신의 능력에 대한 신념이 강해지는 경향성이 있었다. 둘째, 부정적 기분조절기대치와 소진의 하위요인간 관련성을 보면, 강한 부적 상관을 보여 교사 자신이 부정적 기분을 완화시킬수 있다는 자신의 능력에 대한 신념이 강할수록 정서적 탈진감, 비인간화와 같은 소진을 덜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정적 기분조절기대치는 교수몰입과 교사의 소진 사이를 완전 매개하고 있었다. 즉, 교사가 가르치는 일 자체에 몰입정도가 높을수록 자기의 부정적 기분을 완화시킬 수 있는 능력이 있다는 신념이 강화될 것이고 이것이 교사직무를 통해 느낄 수 있는 소진을 덜 경험하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negative mood regulation expectancies, teaching flow and burnout.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296 teachers who had worked in Incheon, Kyounggi-province were studi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we found teaching flow was significantly related with negative mood regulation expectancies and burnout was significantly related with teaching flow. Next, the results of structural equation modelling revealed that negative mood regulation expectancies had direct effects effects medicated by teaching flow on burnout. Based on these results,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

        애착, 자기고양적 편향, 부정적 기분조절 기대치간의 관계 -평가상황을 중심으로-

        윤정숙,이지연 한국상담학회 2008 상담학연구 Vol.9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parental attachment, self-enhancement bias, negative mood regulation expectancies, and anxiety of college students. For the study, 258 students were studied. For data process, correlation analysis was us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parental attachment, self-enhancement bias, negative mood regulation expectancies, and anxiety. And to verify the mediation model,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approach was u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the direct effect of parental attachment to self-enhancement bias was supported. But the effects of parental attachment to negative mood regulation expectancies and anxiety were not statistically supported, but indirectly, the effects on the mediation of self-enhancement bias were supported. In addition, the limitation of study and implication was discussed. 이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지각된 불안과 애착, 자기고양적 편향, 부정적 기분조절 기대치 간의 관계를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47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불안을 느끼기 쉬운 과제 발표 후 평가 상황에서 애착, 자기고양적 편향, 부정적 기분조절 기대치가 불안에 영향을 주는지, 각 요인 간에는 어떤 관계가 있는 지 살펴보았다. 결과를 보면 첫째, 애착은 자기고양적 편향에는 직접적 영향을 주지만 부정적 기분조절 기대치와 불안에는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기고양적 편향은 부정적 기분조절 기대치와 불안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고, 부정적 기분조절 기대치는 불안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기고양적 편향이 애착과 불안, 애착과 부정적 기분조절 기대치 사이를 매개하고, 부정적 기분조절 기대치는 자기고양적 편향과 불안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자기고양적 편향과 부정적 기분조절 기대치가 불안에 직접적 영향을 주는 요인이며, 애착은 자기고양적 편향을 통해 부정적 기분조절 기대치와 불안에 영향을 주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완벽주의 성향과 부정적 기분조절기대치가 초등교사의 소진에 미치는 영향

        이지연 ( Jee Yon Lee ) 한국아동교육학회 2011 아동교육 Vol.20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들의 직무경험에 영향을 주는 주요 기제로 대두되고 있는 부정적 기분조절기대치가 교사의 완벽주의성향과 교사소진과의 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교사들의 소진현상을 이해하고 소진예방에 있어 완벽주의와 부정적 기분조절기대치의 역할을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경기 및 인천지역 초등학교 교사265명을 대상으로 주요 변인들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어서 Ping(1966)의 2단계 방법을 순차적으로 적용하여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의 완벽주의 성향, 부정적 기분조절기대치 및 소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교사의 완벽주의 성향과 소진은 다소 높은 정도의 정적 상관을 보였고, 소진과 부정적 기분조절기대치는 낮은 정도의 부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교사의 완벽주의요인과 소진과의 관계에서 부정적 기분조절기대치 요인의 조절효과를 알아본 결과 부정적 기분조절기대치가 높을수록 교사의 완벽주의 성향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이 정적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 부정적 기분조절기대치의 조절효과가 검증되었다. 즉, 완벽주의 성향이 높은 교사일수록 소진 수준이 높고 부정적 기분조절의 어려움을 경험하며, 부정적 기분조절기대치가 높을수록 완벽주의성향으로 인한 소진현상을 적절하게 조율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들을 토대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 그리고 앞으로의 연구방향에 대한 시사점들을 언급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moderating of negative mood regulation expectanc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fectionism and burnout of the elementary teacher, to help to prevent excessive burnout and overcome by understanding psychological and emotional trouble of the elementary teacher and leading them to express in desirable ways through regulating emotion. This study executed correlation analys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of main variables from 500 teachers in elementary school under Incheon Metropolitan city, examined measurement model and moderating effects of effects of negative mood regulation expectancies by using Ping`s two-step model. The research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of perfectionism, burnout, negative mood regulation expectancies showed that there was a little high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perfectionism and burnout, a little high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negative mood regulation expectancies and burnout, a low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perfectionism and negative mood regulation expectancies. Second, the analysis on moderating effects of negative mood regulation expectancies in relationship of perfectionism and burnout showed that negative mood regulation expectancies had a moderating effect on perfectionism and burnout of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fectionism also had a negative effect on burnout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It implies that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with high level of negative mood regulation expectancies can control their burnout well compared to those with the low level of negative mood regulation expectancies. Especially when school teachers have the high level of negative mood regulation expectancies, the negative effect of perceived burnout decreases. Implications and limitation for this study and future research were suggested.

      • 개인의 인지적 종료 욕구와 부정적 기분 조절 기대치가 초등학교 교사 소진에 미치는 영향

        박순진(Park Sun Jin),이지연(Lee Jee Yon),이성원(Lee Seong Won) 한국교육포럼(아시아태평양교육학회) 2009 韓國敎育論壇 Vol.8 No.3

        본 연구는 개인의 정서나 기분상태 변화에 영향을 주는 인지적 변인으로 주목받고 있는 인지적 종료 욕구와 부정적 기분 조절 기대치를 중심으로 소진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았다. 연구 대상자들은 경기도에 근무하는 초등학교 교사 27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인지적 종료 욕구와 교사 소진 경험과는 정적 상관을 보였고, 부정적 기분 조절 기대치와 교사의 소진 경험과는 부적 상관을 보였으며, 인지적 종료 욕구와 교사 소진 경험의 하위척도와는 정서적 고갈, 비인간화, 개인의 성취감 상실 순으로 상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인지적 종료 욕구와 부정적 기분 조절 기대치 모두 교사 소진에 유의미한 설명력을 가지고 부정적 기분 조절 기대치가 인지적 종료 욕구보다 더 중요한 설명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의 심리적 소진을 일으키며 개인의 정서나 기분상태 변화에 영향을 주는 인지적 변인으로 인지적 종료 욕구와 부정적 기분 조절 기대치 하위요인의 상대적 크기를 분석하기 위해, 위계적 중다회귀를 적용한 결과, 부정적 기분 조절 기대치와 모호한 상황이 교사의 소진을 유의하게 설명한 것으로 나타났다. 초등학교 교사의 소진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알고 적절한 개인적인 대안을 모색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했다고 볼 수 있다. This research examined how the cognitive need for closure and the expected value of negative mood regulation, which have been drawing attention as cognitive variables affecting the change in sentiment and mood of an individual, affects burnout. The subjects were a total of 271 primary school teachers in Gyeonggi Province. For data process, correlation analysis was used to examine the correlation among the primary school teachers' cognitive need for closure, the expected value of negative mood regulation, and the burnout experienced by the teachers. The level of burnout was predicted through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need for closure and the teachers' burnout experience, while there was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negative mood regulation expectancies and the teachers' burnout experienc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ognitive need for closure and subscales of the teachers' burnout experience was high in the following order: emotional exhaustion, impersonality, and the individual's loss of sense of accomplishment which is the least correlated. Both cognitive need for closure and the expected value of negative mood regula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burnout, and it is shown that the expected value of negative mood regulation has more important explanation power than the cognitive need for closure. This research is meaningful because it presented the schemes to explore the individual's alternatives to lower the cognitive need for closure and heighten the expected value of negative mood regulation.

      • KCI등재

        서비스 기업에서의 조직공정성의 침묵행동에 대한 영향력과 부정적 기분조절 기대치의 조절효과

        고종식 ( Ko Jong Sik ),안상봉 ( An Sang Bong ) 한국유통경영학회(구 한국유통정보학회) 2019 유통경영학회지 Vol.22 No.2

        본 연구는 서비스 기업에서의 조직공정성이 침묵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고, 이들 변수 사이에서 NMRE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변량 회귀분석(regression analysis)을 이용하였으며, 연구를 위한 자료의 수집은 전라북도 지역에 위치하고 있는 서비스 기업 근로자를 대상으로 편의추출 방식을 이용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서비스 기업에서의 조직공정성은 체념적 침묵행동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분배적 공정성에 비해 절차적 공정성이, 방어적 침묵행동과의 관계에서는 절차적 공정성에 비해 분배적 공정성의 영향력이 높게 나타나고 있다. 둘째, 서비스 기업에서의 조직공정성과 근로자의 체념적 침묵행동과의 관계에서 NMRE는 조절변수로서 영향력을 미치고 있으며, 분배공정성에 비해 절차공정성이, 방어적 침묵행동과의 관계에서 절차공정성에 비해 분배공정성에 대한 영향력이 높게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최근 사회적으로 이슈화 되고 있고 유능한 근로자의 확보와 활용이 가장 중요한 경영자원으로 강조되고 있는 시대적 상황에서, 서비스 기업에서의 근로자의 침묵행동으로 인한 부정적 결과를 예방하고 이로 인해 개인의 정신 및 신체적 건강과 조직의 발전을 기여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service companies' organizational distribute and procedure justice on their employees’ resignation and defense silence and to examine whether negative mood regulation expectance (NMRE) moder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justice and the silence. For an empirical assessment, we regard the independent variable, dependent variable, and moderation variable as corporate employees' organizational justice, the employees' silence behavior and the employees' NMRE, respectively. We collected data from 150 employees who had worked at service companies located in Kunsan and Iksan, Jeollabuk-do, South Korea. We used a multiple-regression and a hierarchy regression analysis for our empirical 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organizational justice has a negative impact on resignation silence. Specifically, procedure justice has a more impact on resignation silence than has distribution justice. In addition, distribution justice has a more impact on resignation silence than has procedure justice. Second, NMRE moder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justice and the silence. Service companies can use these results as useful information for organizational decisions to prevent negative outcomes through employees' silent behavior not only because hiring and maintaining competent human resources are a critical source of competitiveness but also because employees' mental and physical health can lead to organizational development.

      • KCI등재

        역할스트레스와 소진의 관계 및 기분조절 기대치의 조절효과에 관한 연구

        고종식 한국경영교육학회 2012 경영교육연구 Vol.27 No.2

        본 연구는 소진의 선행요인으로서 역할스트레스의 영향력을 규명하고, 개인차 변수로서 부정적 기분조절기대치에 대한 영향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역할스트레스의 수준은 높게 나타나고 있으며 성별과 기업규모를 제외한 모든 변수가 통계적인 유의성이 인정되고 있다. 또한 정서적 고갈에는 역할과부하와 역할모호성이, 비인격화에는 역할과부하가, 성취감 저하에는 역할과부하와 역할갈등이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특히 근로자의 소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은 역할과부하로 나타나고 있다. 그리고 역할갈등과 소진에서 NMRE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NMRE의 수준이 높을수록 소진은 감소하였고, 그 영향력(정서적 탈진, 비인격화, 성취감 저하)은 상이하며 통계적인 유의성도 인정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부정적 기분조절 기대치의 수준이 높으면 역할스트레스에 대한 대처수준이 높아지고, 그 결과 소진의 수준이 감소되어 개인의 건강과 조직의 성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을 검증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n the moderating variable of employees' negative mood regulation expectancies, role stress and burnout. For verifi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established the variable as followings; First, the independence variable established the role stress of employees. Second, the result variable established the burnout. Third, the modification variable established the negative mood regulation expectancie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170 workers who had worked in Cheon Buk-province were studi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role stress is different as a personal and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 Second, as a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to find out positive effects of negative mood regulation expectancies to role stress and burnout. third, it tested the negative influence of the role stress on the burnout, specially the effective of role conflict variable is hight level.

      • KCI등재

        정서인식의 명확성과 인지적 정서조절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이서정,현명호 한국건강심리학회 2008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Vol.13 No.4

        This study examined the influence of emotion awareness and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to mental health throug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 sample of 383 undergraduate students(180 men, and 203 women) completed Emotional Clarity subscale of Tait Meta-Mood Scale, Negative Mood Regulation Scale, Cognitive Emotional Regulation Questionnaire, Beck Anxiety Inventory, Beck Depression Inventory, Somatization subscale of Symptom Checklist-90-R, and Index of Subjective Well-being Scale.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ith AMOS was employed for analysis. In the hypothesis model, it was assumed that emotional clarity would be mediated with mental health by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as well as that emotional clarity would effect on mental health. Partial mediation model was compared with liner mediation model and simple additive model. The partial mediation model was adopted because of its high goodness of fit and high explanatory power. In this model, the mediating effect of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was found in the relation, so that the hypothesis was supported. That is, this model showed that there was not only the direct effect of emotional clarity on mental health but also the indirect effect of cognitive emotional regulation on the relation between emotional clarity and mental health. These results suggest framework that understands potential mechanisms in the relation between emotion and mental health. Moreover, these findings can be applied to therapy for a useful prevention and intervention. 본 연구의 목적은 정서인식과 인지적 정서조절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데 있다. 이에 선행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정서인식의 명확성이 정신건강에 영향을 주는 직접효과와 인지적 정서조절을 통해 정신건강에 영향을 주는 간접효과를 모두 포함하는 부분매개 모형을 설정하여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대학생 383명(남 180, 여 203)을 대상으로 정서인식의 명확성, 정서조절에 대한 기대, 인지적 정서조절, 불안, 우울, 신체 증상, 주관적 안녕감을 측정하는 질문지를 실시하였고, 구조방정식 모형 검증(AMOS)을 하였다. 주장 모형인 부분매개 모형 그리고 대안 모형인 완전매개 모형과 단순가산효과 모형을 비교 분석한 결과, 주장 모형인 부분매개 모형이 모든 경로계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했으며, 만족스러운 수준의 부합치를 보여 변인 간의 관계를 가장 잘 설명하는 타당한 모형으로 입증되었다. 이러한 모형 검증은 선행연구에서 제시되고 있는 정서인식과 정서조절 그리고 정신건강간의 단편적인 관계에 대한 포괄적이면서도 간명한 인과적 설명을 제시하며, 실제 생활 장면에서 작용하는 기제를 설명해준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는 정서와 정신건강간의 관계를 이해하는 틀을 마련해줄 뿐 아니라, 개인이 적응적인 정서조절을 사용함으로써 건강하고 만족된 삶을 누릴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도록 하는 정신건강을 위한 예방과 개입에 함의를 가진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