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김정국의 『思齋摭言』과 己卯士禍에 대한 서술시각

        이민경 동양한문학회 2019 동양한문학연구 Vol.53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viewpoint of description for Gimyo-sahwa(己卯士禍) by Kim Jeong-guk who is one of the Gimyo-salim(己卯士林) in the reign of King JungJong(中宗) after review 『Sajaechuckeon』. 『Sajae-chuckeon』 was written by Kim Jeong-guk when he was retired in Mang-dong(芒洞), Goyang(高陽) after he was dismissed from his position by Gimyo-sahwa, There are some anecdotes and characters related to the current events of the time, especially about Gimyo-sahwa, as well as recording the daily life of Sadaebu(士大夫). The anecdotes related to Gimyo-sahwa which is recorded on 『Sajaechuckeon』 were quoted later in several books that recorded Gimyo-sahwa. Kim Jeong-guk also left 『Gimyodangjuk』 which is the list of victims by Gimyo-sahwa, which is believed to have been a strong part of Kim Jong-guk's consciousness to tell the world about Gimyo-sahwa. 『Sajaechuckeon』 which was built in the first half of the 16th century is following the tradition of the existing Pilgi(筆記) who was recording their daily lives which was formed in the study or living space of Sadaebu. On the other hand, however, it expanded Pilgi’s prospect as a channel for expressing the spirit of the times by highlighting current events such as Gimyo-sahwa and the issues of Yeonsan and Noshan‘s Descendant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current events is Gimyo-sahwa. Kim Jeong-guk criticized Cho Kwang-jo for his overly radical attitude as a prime mover to Gimyo-sahwa, but behind that, he agreed with the goal but expressed regret and self-reflection on how to fulfill it. He also dwelt on Gimyo-sahwa with cautioning the trial by false accusation and criticizing the absurdity of trial, based on his own experience. Finally, as Kim Jeong-guk watched the political ups and downs of himself and his colleagues, he realized the transience of prosperity and decline and put the situation in two letters, "fortune in time" to honor him. 『Sajaechuckeon』 and 『Gimyodangjuk』 from Kim Jeong-guk are similar to the 『Chugangnanghwa』 and 『Sawumyeonghangrok』’s form from Nam Hyo-on who is Neo-Confucian Scholars(新進士類) in the reign of King Seongjong. It seems that the spirit of the times when Nam Hyo-on criticized the political situation of the time led to Kim Jeong-guk, who had a stronger camaraderie among the early Sarim-pa. This camaraderie was later succeeded by 『Muo-Dangjeok』 and 『Gapja-Hwajeok』, which served as the basis for creating a genealogical tree for Sarim-pa. 본고는 중종조 기묘사림의 일원이었던 김정국의 『사재척언』에 대해 살펴보고 거기에 담긴 김정국의 기묘사화에 대한 서술시각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척언』은 김정국이 기묘사화로 파직된 후 고양 망동에서 은거하던 시절에 저술한 필기이며, 거기에는 사대부의 일상을 담은 笑話뿐만 아니라 당대의 時事, 특히 기묘사화 관련 일화 및 인물이 다소 기록되어 있다. 『척언』에 기록된 기묘사화 관련 일화들은 후에 기묘사화를 기록하는 여러 저서에 全載되었다. 뿐만 아니라 김정국은 『척언』 외에도 기묘사화를 입은 사림들의 명부를 기록한 『기묘당적』을 남기기도 했는데 이는 기묘사림의 일원이었던 김정국이 기묘사화의 사실을 후세에 전하겠다는 의식이 강하게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16세기 전반에 지어진 『척언』은 사대부 문인의 서재 혹은 생활공간에서 형성되어 그들의 일상을 기록하던 기존 필기류의 전통을 답습하고 있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기묘사화, 연산군과 노산군의 후사 문제 등 당대의 시사를 조명하여 시대정신을 발현하는 통로로서 필기의 지평을 확장하기도 했다. 시사에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기묘사화이다. 김정국은 기묘사화의 기화자로 조광조를 지목하며 그의 지나치게 급진적인 태도를 비판하면서도 그 이면에는 목표는 동의하지만 그 실현 방법에 대한 안타까움과 자기반성을 담고 있었다. 또한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무고로 인한 옥사를 경계하고 옥사의 부조리를 비판하며 기묘사화를 반추하는 한편, 자신과 동료들의 정치적 부침을 지켜보면서 영고성쇠의 무상함을 느끼고 그러한 상황을 ‘時運’이라는 두 글자에 담아 위무했다. 김정국의 『척언』과 『기묘당적』은 성종대의 신진사류인 남효온이 남긴 『추강냉화』와 『사우명행록』의 체재와 닮았으며 이는 남효온이 당대의 정치적 상황을 비판했던 시대정신이 김정국에게 이어져 초기 사림파의 동류의식이 보다 강화된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동류의식은 후에 『무오당적』, 『갑자화적』 등으로 계승되어 사림파 도통의 계보를 만들어내는 근거가 되기도 했다.

      • KCI등재

        기묘사화 전개과정과 중종의 역할

        이정철(李廷喆) 한국국학진흥원 2017 국학연구 Vol.0 No.34

        기묘사화는 16세기 후반 이후 사림이 조선의 정치적 주도세력이 되는데 큰 영향을 끼친 사건이다. ‘사림정치’는 실로 기묘사화에서 그 기원을 찾을 수 있다고 해도 큰 과장은 아닐 것이다. 16세기 전반은 큰 전환의 시기였다. 건국으로부터 100여 년이 흐르며 누적된 변화가 조선을 여러 분야에서 변화시키고 있었다. 기묘사화는 그 변화의 기폭제였다. 때문에 기묘사화에 대한 이해는 이 사건 이후 전개되었던 상황 및 사림세력의 성격과 대비하여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기묘사화에 대한 기존 해석에는 두 가지 암묵적 가정이 있는 듯 보인다. 하나는 중종이 자신만의 뚜렷한 정치색 없이 수동적으로 이끌려 갔다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누구보다 남곤이 기묘사화와 조광조의 죽음에 책임이 있다는 것이다. 본 논문은 기묘사화 발발에서 조광조 사사에 이르는 약 한 달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서 기묘사화를 이끌어간 주체가 누구인지 해명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본 논문이 잠정적으로 도달한 결론은 당시 조정에서 중요한 인물이자 기묘사화로 직접적인 피해를 본 김안국이 나중에 내린 완곡한 판단과 유사한 것으로 보인다. 그에 따르면 남곤은 조광조 등을 파직시키려했을 뿐 살해할 뜻은 없었다. 그런데 중종이 남곤의 말을 과신하여 처분이 지나치게 무거워졌다는 것이다. 김안국은 조광조 사사의 원인이 남곤의 말에 대한 중종의 과신이라고 했지만, 이것이 그가 말하고자 한 진의로 보이지는 않는다. The Literati Purge of 1519 affected the following political and ideological topographies of Joseon Dynasty. This political scandal was not limited to the year of 1519. At least, this scandal extended other political event which happened 2 years later. However, the essence of the scandal can be understood in the first one month flow in which this event happened. The problem is that previous research results are different each other. The most important thing is who began this event. One monograph argued Meritorious Elite(勳舊), the other argued King Jungjong began this event. This difference of research results may be because the first month of the scandal did not come out into the open. This monograph focuses on this point. It was the King Jungjong that lead the Literati Purge of 1519. In a regard that he decided the death penalty of Jo Gwang-jo excluding other opinions, that can be true. However, that result don’t mean that all except King Jungjong were mere followers for the scandal. As known right after the event, some including Nam Gon had planned a political attack autonomously. Of course, it is ill founded that the plan included the death penalty of Jo Gwang-jo. Why King Jungjong sentenced he death penalty of Jo Gwang-jo, perhaps, is because he felt limit of control for Jo Gwang-jo.

      • KCI등재

        퇴계의 기묘사화에 대한 의리와 선비정신 연구

        신두환 연민학회 2022 연민학지 Vol.38 No.-

        This paper is a study of Toegye Lee-hwang's loyalty and scholarly spirit during Kimyo-Sahwa(己卯士禍) in 1519, wherein scholars were systematically executed by the government. Toegye witnessed this event, and this experience prompted him to appeal to the king for amnesty on behalf of these scholars. Following his appointment to a government post, Toegye continued to appeal, arguing that the king was perpetuating a campaign of disinformation to discredit the scholars. The case was settled, but it was not completely resolved. For this reason, Toegye would resign by posting a letter of resignation whenever he lowered his government post and he kept a certain distance from the government’s actions. Several of Toegye’s colleagues also posted their resignations in a similar fashion during this time. When discussing Toegye’s protests, the government formed the conclusion that Toegye was appealing for the restoration of the executed scholar’s reputations. In a personal meeting with the king, Toegye petitioned him to restore the reputation of Jo Kwang-jo, who was the representative figure of the executed scholars and whose life Toegye had documented during this period. However, Toegye’s persistent efforts were not realized until the next king, King Seonjo, ascended; at this time, Jo Kwang-jo’s reputation was restored, and he was given the position of Yeonguijeong. Toegye’s upright loyalty and scholarly spirit were apparent in his resignation from the government post under the pretext of illness as an act of protest. Toegye judged that the discipline of the state depends on the righteous spirit of scholars, and he was highly sympathetic to the sacrifices of the executed scholars and their loyalty to the state. In this situation, Toegye’s loyalty to the executed scholars and his strong scholarly spirit against injustice are evident. 본 논문은 퇴계의 기묘사화에 대한 의리와 그 선비정신을 연구한 논문이다. 퇴계는 그가 직접 목도한 기묘사화에 대하여 특별히 아픈 마음을 가지고 있었다. 그는 출사 이후 기회만 있으면 기묘사화 때 화를 당한 기묘명현들의 사면 복권을 조심스럽게 임금에게 소청하곤 하였다. 기묘사화가 수습되기는 하였지만 신원이 흡족하게 이루어진 것은 아니었다. 그는 이러한 이유로 조정과 일정한 거리를 두며 벼슬만 내리면 사직상소를 올려 사퇴하곤 하였다. 퇴계처럼 사직상소를 여러 번 올린 사람도 드물었다. 이를 두고 선조는 경연에서 퇴계는 왜 조정을 꺼려하고 벼슬만 내리면 사직을 하려 하는지에 대해 신하들에게 물은 적이 있었다. 거기에 대한 결론은 기묘사화에 대한 조광조의 신원이 회복되지 않는 데 대한 불만이라고 결론지어진다. 그는 기묘사화의 중심인물이었던 조광조의 신원을 회복해 줄 것을 경연에서 명종임금과 독대하여 토로하기도 하였다. 퇴계는 이 시기에 정암 조광조의 행장을 직접 썼다. 그의 조광조의 신원 회복에 대한 끈질긴 노력은 선조 대에 와서 이루어지게 된다. 선조는 기묘사화에 처참하게 희생된 조광조의 억울한 신원을 회복해 주고 그에게 영의정의 벼슬을 추증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보여준 퇴계의 끈질기고 강직한 선비정신은 조정에서 관직이 내려올 때마다 병을 핑계로 사직한 것과 깊은 관련이 있었다. 퇴계는 국가의 기강이 선비들의 사풍(士風)에 달려 있다고 판단하며 기묘명현들의 국가에 대한 충성과 의리의 희생에 대하여 높이 평가하였다. 퇴계의 기묘명현에 대한 의리관과 강인한 선비정신은 그의 문학작품 곳곳에서 드러나고 있다.

      • KCI등재

        <기묘당적>과 <기묘록보유>의 저술 의의에 대한 검토

        임상혁 진단학회 2019 진단학보 Vol.- No.132

        I analyzed the contents of the Gimyodangjeog(기묘당적 己卯黨籍 The Gimyo Party's List, mid 16C) and the Gimyorogboyu(己卯錄補遺 The Supplement of the Gimyo Party, late 16C) which have been used as basic materials on the study of Gimyosarim(기묘사림 己卯士林 The scholarly bureaucrats suffered by the calamity in 1519) and till now accepted that the latter just supplemented the former's short story. This kind of view point, however, should be corrected as the result of the analysis. Kim Jeong-gug wrote the Gimyodangjeog in order to define the Gimyosarim as his colleagues who tried to make the ideal society based on the Neo-Confuciusism together until 1519 and to keep them receiving a favorable evaluation in the future. When the Gimyosarim became the name of glory eventually, An Ro wrote the Gimyorogboyu to put the victims of the calamity in 1521(신사옥사 辛巳獄事) into the category of the Gimyosarim, carrying the banner for the supplement of Gimyorog. This calamity arose because of the attempt of purging the King Jungjong's high officials, in which his family members had been mainly involved. Using the book An Ro tried to make victims of the case honorable and to destroy the family of accuser, Song Saryeon and finally achieved the purpose. 본 논문에서는 기묘사림 연구에 기초 자료로 활용되고 있는 『기묘당적』과 『기묘록보유』의 내용을 분석하였다. 이제까지는 양자의 관계에 대하여 전자의 소략함을 후자가 보충한 궤를 같이 하는 저술들로 여겨져 왔다. 분석의 결과, 김정국은 기묘사림을 설정하고 밝혀 그 정당성이 평가되기를 기대하여 『기묘당적』을 저술하였다는 것, 하지만 기묘사림은 조광조 일파를 의미하지 않으며, 조광조 사건으로 불이익을 받은 사람들에 대한 개념으로는 기묘당인이라 보고 있다는 것, 결국 김정국 『기묘당적』에서 설정한 기묘사림은 ‘기묘사화가 일어날 때까지 성리학적 이상에 기반한 개혁을 추구했던 사림 관료들’이라는 것을 논증하였다. 안로의 『기묘록보유』는 『기묘당적』에 빠진 사항을 보충하여 기묘사림의 정당성을 고양하기 위하여 저술되었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그 과정에서 의도적인 중대한 변형이 이루어졌다. 『기묘당적』에서의 분류를 의도적으로 없애고 인명들을 추가하여 열전의 형식으로 만들면서, 결국은 기묘사림의 범주를 바꾸어 버렸다. 곧, 『기묘록보유』는 기묘사화와 신사옥사를 일련의 한 사건으로 병합하고, 그 모든 관련자들을 기묘사림으로 만들었으며, 이를 위해 신사옥사도 없던 일을 송사련이 꾸며서 고변하고 남곤, 심정들이 억지도 엮은 무고 사건으로 구성되었다. 나아가 여기에는 또 이후의 소송으로 송씨 집안을 몰락시키기 위한 기반을 다지는 역할도 수행되고 있음도 살필 수 있었다. 이처럼 『기묘당적』과 『기묘록보유』의 분석은, 이제까지 대체로 분량의 차이가 있을 뿐 동류의 계열이라 여겨져 왔던 두 저술에 대하여 서로 판이한 인식을 바탕으로 현출된 사회적 저작물이라는 것을 밝히게 되었다. 이들 저작에 대한 재인식을 통해 이제까지 당연하게 생각해 왔던 기묘사림과 기묘사화에 대한 기존 인식에 관해서도 새로운 시각으로 접근해 보는 계기도 만들어지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기묘사화와 中和論 - 16세기 사림의 신권강화 -

        김윤경 한국유교학회 2018 유교사상문화연구 Vol.0 No.72

        Nowadays, there are various positive and negative views about defining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economics and politics through the analysis of Confucian cultures in the Joseon Dynasty. However, these studies often ignore a detailed approach, such as what kind of Neo-Confucian theories have developed the political and social change regarding Confucian discourse in a wider sense. In this paper, it is clarified that Zhonghe-theory(中和論) played a major role in the forefront of the political and moral issues starting from the Gimyo(己卯) Literati Purge in 1519, and, as a result, the Sarim[士林,Neo-Confucian Literati] emerged as a political subject, creating a new political climate in order to strengthen the power of the Literati.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In the 16th century, the Sarim class attained the status of political subject to educate monarchs and participate in real politics through the Gimyo(己卯) Literati Purge. 2. In the 16th century, Zhonghe-theory(中和論) strengthened the power of the press while checking and criticizing the kingship. 3. In the early Joseon Dynasty, Zhonghe-theory中和論 was used to mean the praying for the virtue of the monarchy, or for the prevention of natural disasters under the theory that the monarch could raise morality based on the idea that God communicates with the heart of human beings. In conclusion, the study of Sarim[士林,Neo-Confucian Literati] politics can be a factor in understanding Korean politics and society today, and will show that the Confucian culture of Joseon was a society that sought to achieve the ideals of the "philosopher king" under Neo-Confucianism. 오늘날 한국의 경제·정치·문화의 특수성을 조선의 유교문화 안에서 찾으려는 다양한 긍정 ·부정의 시선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연구들은 광의의 조선 유교문화를 논의하면서 구체적으로 어떠한 성리학적 논의가 어떠한 정치·사회적 변화를 만들었는가와 같은 각론적 접근을 간과하는 경향이 있다. 본 논문은 16세기 기묘사화를 기점으로 정치적 현안과 성리설이 만나는 분기점에서 ‘중화론’이 주요한 역할을 했다는 것을 밝히고, 이를 계기로 사림이 정치주체로 등장하면서 ‘신권강화’의 정치문화를 조성했다는 것을 고찰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16세기 사대부 계급은 기묘사화 이후 ‘중화론’의 심성공부를 군주에게 요구하면서 군주를 교육하고 천하공치에 참여하는 정치주체의 위상을 구축하였다. 둘째, 16세기 사림의 중화론 공부 요청은 왕권을 견제·비판하면서 경연과 간언을 확장시켰고 조선후기 중국·일본과는 다른 자유로운 직소 문화 형성에 영향을 미쳤다. 셋째, 기묘사화 후 ‘중화론’은 조선초기에는 군주의 덕치를 기원하거나 천인감응의 사유에서 군주의 도덕성 함양이 자연재변을 막을 수 있다는 의미로 사용되다가 사림파의 정치적 부상 이후 언로 확대를 위한 신권 강화의 요소로 활용되었다. 이상의 조선의 군신 관계 설정과 사대부의 정치주체화 과정 연구는 오늘날 한국정치·사회를 재이해하는 하나의 요소가 될 것이다. 조선시대 유교문화를 비합리적 개인영역의 도덕 수양론으로 폄하하는 부정적 해석에 대한 반론이기도 하다. 16세기 도덕 수양론의 강조는 조선사회에서 ‘사대부’ 계급(지식인 계층)의 정치 영역을 확대시키고, 언로가 확대되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또한 상소 확대와 간쟁허용 등 조선의 유교문화가 철인정치의 이상을 실현하려한 지향점은 오늘날 재평가되어질 것이다.

      • KCI등재

        유교국가의 정치적 아크라시아와 비애로서 기묘사화

        정용환(Chung, Yong-hwan) 대한철학회 2010 哲學硏究 Vol.115 No.-

        이 글은 유교국가에서 나타나는 정치적 아크라시아와 비애의 측면에서 조선조 중종 14년(1519)에 발생한 기묘사화의 감성철학적 의미와 정치철학적 의미를 새롭게 고찰한다. 철인정치를 추구하는 동서양의 지식인들은 계몽된 군주가 세계를 통치함으로써 치세를 달성할 수 있다고 믿지만, 실제의 정치 현장에서 그러한 이상은 비극으로 귀결되곤 한다. 기묘사화는 유교국가에서 지치주의를 추구하다가 발생할 수 있는 비극의 전형이다. 소크라테스가 독배를 마셔야 했던 것처럼 유교적 개혁가인 조광조 역시 독배를 마셔야 했다. 기묘사화는 지치주의적 신념과 정치적 아크라시아 사이의 잠재적 균열이 가장 뚜렷한 형태로 드러났던 유교 사회의 상징적 사건이기에 후대에 남긴 여운이 유장했다. 이 글에서는 먼저 슬픔과 비애의 감성철학적 의미를 이론적으로 분석한 다음에(2장), 정치적 아크라시아 개념을 통해 유교의 덕이 정치적 현실에서 쉽게 부서짐으로써 비애에 봉착하는 현상을 살펴본다.(3장, 4장) 비록 오늘날이 조선시대가 아니라고 할지라도 기묘사화와 같은 비애는 얼마든지 발생할 수 있다. 정치적 아크라시아의 개연성이 사회 속에 내재하는 한 그 아픔의 정도가 크든 작든 여전히 그러한 비애가 일어날 가능성이 충분히 있다. 어쩌면 인류의 역사는 그러한 비애들을 고리로 하여 지향해야 할 삶의 가치가 무엇인지 확인하는 것인지도 모른다. This essay is a study to analyze the political akrasia and the grief of Confucian dynasty during the massacre of Gimyosahwa (己卯士禍) occurred in 1519 in terms of emotion philosophy and political philosophy. Many enlightened scholars in East and West are prone to believe that philosopher-kings can attain the most peaceful time, but the ideal often produces severe political grief. The massacre of Gimyosahwa is a model of the philosopher-kings' grief. Jo Gwangjo, one of Confucian reformers at that time, could not avoid taking poison as a death penalty as Socrates did. The tragedy of Gimyosahwa has a big influence to later Korean history because its grief is the most obvious symbol of conflicts between the Confucian belief and the political akrasia. I would like to explain about the emotional philosophical meaning of grief in the second chapter, and then to describe the situation that Confucian virtues have no choice but to be fragile by the political akraisa at the time of the massacre in the third and fourth chapters. We cannot say that the same kind of grief as the massacre cannot be triggered today if our society has some possibility of similar kinds of the political akrasia although our historical stage is different from it. Perhaps it might be true that the history of the human beings notify us of what are the very values we should follow by giving us the grief of the massacre.

      • KCI등재

        知退堂 李廷馨의 16세기 士禍史 정리 작업과 그 의미 - 『黃兎記事』·『壽春雜記』를 중심으로-

        정용건 ( Chung Yong-gun ) 민족어문학회 2022 어문논집 Vol.- No.96

        This paper examines the 16th-century sahwa(士禍) record work performed by Jitoedang(知退堂) Lee Jeong-hyeong(李廷馨, 1549-1607) and its historical meaning. Gimyo-sahwa(己卯士禍) and Eulsa-sahwa(乙巳士禍), which occurred in the 16th century, were events that brought great frustration and shock to the scholars of the time. Therefore, they continued to work on restoration of the victims, and furthermore, they devoted their efforts to writing history books that re-recorded the whole story from their own point of view. Lee Jeong-hyeong, also one of those who had such a will, reorganized the problematic social affairs of the 16th century by writing 『Hwangtogisa』 and 『Suchunjabgi』 in 1599 while staying in Chuncheon(春川). 『Hwangtogisa』 is a biographical record of the contents related to the victims of the Gimyo-sahwa. It is based on Kim Jeong-guk's 『Gimyodangjeok(己卯黨籍)』 and Anro(安璐)'s 『Gimyodangjeokbo(己卯黨籍補)』, but was described in a way that greatly modified and supplemented them in terms of format and content. And 『Suchunjapgi』 is a work written for the memorial of the victims of the Eulsa-sahwa and the historical condemnation of the Soyun(小尹). These two books are the works that have been refined in the most complete form among the historical records related to the 16th-century sahwa. 『Hwangtogisa』 and 『Suchunjapgi』 were continuously referred to by later writers and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ir historical awareness and writing activities. In particular, KimYuk(金堉)'s 『Gimyojehyeonjeon(己卯諸賢傳)』 is clearly found to have accommodated and wrote a considerable part of 『Hwangtogisa』 in both format and content, and it is confirmed that the contents of 『Hwangtogisa』 were used as the main basis for historical description in several other materials. For these reasons, Lee Jeong-hyeong's 『Hwangtogisa』 and 『Suchunjapgi』 are the works related to Sahwa record in the 16th century, which were compiled relatively early, and can be said to have played an important role in forming the perception of Sahwa in later generations. Because of his writings, Joseon's literary men were able to clearly establish a concrete image of their predecessors who had to put off their dreams of reality due to political upheaval. Furthermore, it provided a practical basis for our current awareness of socialization.

      • KCI등재

        朝鮮 中宗-宣祖代 鄕約 施行 論議의政治的 意味

        허준 부경역사연구소 2020 지역과 역사 Vol.- No.47

        After the kimyo sahwa, many of the kimyo group’s political suggestions were rejected and the state’s policies reverted to their former state. Especially, the kimyo group’s way of implementation of hyangyak which presumably contributed to the facilitation of interactions between the state’s elite and non-elite, and the central government and local society, was criticized and rejected. However, even though it is true that after the kimyo sahwa, the critics of the kimyo group seriously reproached many of the group’s policies, it cannot be simply said that this criticism was merely a byproduct of the political struggle between two opposing political groups or that the critics totally rejected all of the kimyo group’s political vision. As a matter of fact, not all those who criticized the kimyo group’s political ways supported the purge of the group. Rather, among those who revealed their criticism of the kimyo group after the kimyo sahwa, there were many who agreed with and continued the group’s political vision. In other words, after the kimyo sahwa, a considerable number of central government officials, including those who have been categorized as sarim, pointed out that the kimyo group overemphasized the urgency in implementing hyangyak although they agreed with its significance in state politics. Finally, during the reign of King Sǒnjo, the central government refused to take responsibility of implementing hyangyak after political debates between the state officials. As a method for the state’s civilization, Chosǒn elite chose a long-term educational process instead of any forceful regulation, minimizing the risk of resistance from the people. However, due to their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of the moral and behavioral improvement of the people, the elite never stopped their efforts to educate the people in their localities in their own ways. 기묘사화 이후 기묘인들이 주도한 정치적 제안들은 부정되었고 그들이 주도한 국가 정책의 시행 또한 거부되었다. 특히 양반과 비양반 그리고 중앙정부와 지방사회 간의 교류를 촉진하고, 더 나아가 국가의 사회 풍속을 개정하기 위해 기묘인들이 주도했던 ‘향약’은 그 시행의 결과와 관련하여 심각한 비판론에 직면하였으며 결국 그 실행은 좌초되었다. 그러나 기묘사화 이후 나타난 기묘인들의 정치에 대한 비판론을 단순히 적대적 두 집단 간에 벌어진 정치적 투쟁 과정의 부산물로 치부하거나 기묘인이 추구한 모든 정치에 대한 전면적 거부의 일면으로 여겨서는 안 될 것이다. 실제로 기묘인들의 정치에 대한 비판론자들이 모두 기묘사화를 주도한 직접적 가화자들은 아니었다. 오히려 기묘인의 정치철학과 이상에 동의하였던 이들 또한 사화 이후 종종 기묘인들의 정책에 대해 비판을 제기하곤 하였던 것이다. 그러한 비판 중 대표적 하나가 ‘향약’에 관한 것으로, 소위 ‘사림’으로 분류되는 많은 중앙관료들마저 ‘향약’의 정치적 중요성에 대한 그들의 동의와는 별개로 기묘인들의 향약 시행 방식에 대한 문제점을 지적하였다. 특히 기묘인들이 향약의 효율성에 과도한 기대를 걸고 지나치게 성급히 시행하였다는 점은 그러한 비판의 주 대상이었다. 향약에 관해서는 이후 많은 논의가 있었지만 선조대에 이르러 결국 정부 주도의 제도화된 향약 시행은 바람직하지 않다는 결론이 내려지게 되었다. 백성들의 반발을 우려한 조선의 지배 사족들이 강압적 규제가 일체 배재된, 지속적 가르침을 통한 점진적 ‘교화’ 방식을 선택하였기 때문이다. 그러나 국가 신민들의 도덕성과 행위 규범의 향상을 중시하였던 조선의 양반 사족들은 각각의 지역 사회에서 나름의 방식으로 향촌 교화에 대한 노력을 지속하였다.

      • KCI등재

        중종 후궁 희빈홍씨의 생애와 행보 - 기묘사화를 중심으로 -

        이미선 ( Lee Mi-seon ) 한국여성사학회 2017 여성과 역사 Vol.0 No.26

        본고는 중종의 후궁 熙嬪洪氏(1494∼1581)의 생애와 정치적 행보를 살펴본 연구로서, 생애 가운데에 己卯士禍를 중심으로 고찰하였으며, 그녀의 드라마틱한 삶을 복원하는 데에 주된 목적을 두었다. 이 연구의 주된 자료는 주로 『조선왕조실록』, 『연려실기술』 그리고 『묘지명』 등이며 기타 자료를 활용하였다. 희빈홍씨는 반정공신 洪景舟의 딸이자 鳳城君의 어머니이다. 그녀는 중종반정이후 13살에 부친 홍경주의 공훈에 힘입어 후궁이 되었고, `勳戚政治` 또는 `戚臣政治` 시기에 왕실의 여성으로서 학자 관료인 조광조 일파를 제거하는 데에 조력하였다. 보통 `己卯士禍`로 불리는 이 사건에서 그녀는 중종에게 조광조 일파를 비방하였고 궁궐에 퍼져 있는 유언비어를 전달하는 등 결정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그 결과, 새로운 정치 세력인 사림파를 축출하고 자신이 지지하던 훈구 세력의 기반을 보전할 수 있었다. 이것은 조선시대에 후궁이 정치에 깊숙이 관여하여 결정적 영향을 미친 첫 사례였다. 기묘년에 보여준 희빈홍씨의 정치적 행보는 그녀 자신과 그녀의 아들의 신분적 향상을 실현하기 위한 것이었다. 그녀의 노력은 성공적이었다. 이것은 그녀가 공신 가문의 딸이었고, 궁궐 안팎의 다양한 정보와 풍부한 정치경험이 있었기 때문에 가능했다. 이것은 그 당시 아직도 유교적 신분 질서가 고착되지 않았으므로, 후궁과 그녀의 아들이 왕비와 세자의 지위를 위협할 수 있었던 것이다. 그러므로 당시에는 그녀와 같은 후궁의 위상이 비교적 높았다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explores the life and political activities of Lady Hong Hi-bin(1494~1581), the Concubine of King Jung-jong in the Joseon Dynasty. The study mainly focuses on Lady Hong Hi-bin`s activities in Gimyosahwa(己卯士禍), the unhappy political incident of 1519, and restores the dramatic story of her life. The main materials of this study are the Veritable Records of the Chosun Dynasty(朝鮮王朝實錄), the Records of Yeonlyeosil(燃藜室記述), and the Epitaph(墓誌) of Lady Hong Hibin. Lady Hong Hi-bin was the mother of Prince Bong-seong-gun(鳳城君) and was born the daughter of Hong Kyung-ju(洪景舟), a powerful meritorious retainer. She became a concubine of King Jung-jong at thirteen years old due to her father`s influential position. During `Huncheok-Politics(勳戚政治)` or `Cheokssin-Politics(戚臣政治)` she helped her father and the king to remove the Sarmimpa(士林派) party of Jo Kwang-jo(趙光祖), a newly rising political power of Neo-Confucian scholar bureaucrats. In this political incident she played a decisive role, throwing blame on Jo Kwang-jo and conveying bad rumors both inside and outside of the palace to the king. As a result, the king and her father`s party could overthrow the Sarmimpa party. In this unhappy incident lots of Sarmimpa officials were executed or expelled. We might say she provided conditions for the victory of the meritorious retainers party(勳舊派) to which her father belonged. This was the first case in Joseon Dynasty, in which a concubine had a decisive influence on politics in the Joseon period. In 1519, Lady Hong Hi-bin`s political activities could be estimated to ascend her own and her son Prince Geum-won-gun(錦原君)`s political location. Her efforts were successful. This was possible because she was the daughter of a prominent family, and had a great deal of political experience and information both inside and outside the palace. This was because at that time the Confucian ideology had not yet been fully established, and so a concubine and her son could threaten the status of the queen and the crown prince.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e phase of the concubines was relatively high at that time.

      • KCI등재

        특집논문 : 호남문화와 감성담론의 다층 1 ; 기묘사림의 예술감성과 호남화단

        이선옥 ( Seon Ok Lee )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2010 호남학 Vol.0 No.48

        기묘사림은 조광조의 문인이거나 개혁정치의 일환으로 개정된 현량과로 등용된 인물들이다. 이들 중 작품이 남아있거나 서화로 이름난 문인들은 양팽손, 신잠, 김정, 고운, 최수성, 김구 등이다. 사화가 일어났을 때 이들은 대개 30세 전후의 의기 왕성한 시기로 이제 막 벼슬길에서 뜻을 펼칠 즈음이었다. 이러한 때에 뜻을 같이 했던 스승과 동료가 하루아침에 사사되고 유배되는 참담한 상황은 이들에게 씻을 수 없는 비애와 좌절감을 안겨주었다. 그래서 기묘사림들은 시와 그림에 자신의 복잡한 심회를 담아내었다. 최수성이나 김정은 사화 직후 사사되어 사화가 안겨준 비분강개한 심정을 회화에서 찾을 수는없으나, 신잠은장흥유배후묵죽을 더 많이 그렸으며 양팽손과 고운등은 낙향후 서화에 잠심하였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논문에서는 기묘사림들의 전칭 작품과 제화시 등을 통해 이들의 감성이 어떤 형태로 작품에 표출되었는지 살펴보았다. 작품을 사군자, 산수화, 영모화로 나누어 보았고, 이에서 기묘사림들의 절의 정신과 은일사상, 그리고 불의에 맞선 기개가 예술로 꽃 피운 것을 볼 수 있었다. 그림을 그린문인화가들 뿐만 아니라 같은 아픔을 가진 사림들은 서로의 그림에 제화시를 남겨 돈독한 우의를 다졌고, 서화에 자신의 심회를 담아 표출함으로써 정서적 교감을 이루었다. 기묘사림의 절의정신과 예술 감성은 사화를 당한 문인 자신에 그치지 않고 확산되면서 후손들로 이어져 호남문화 형성에 영향을 주었다. 호랑이를 그리던 고운의 기개는 손자인 고경명의 의병활동으로 이어졌다. 양팽손의 묵죽에서 보인 절의정신은 아들과 손자들의 의로운 죽음으로, 그리고 양산보의 풍류의식이 낳은 소쇄원은 16세기 시가문학의 본산으로서 호남문화의 중요한 축을 이루었다. 윤구에서 보였던 예술 감성은 윤선도를 거쳐 윤두서로 이어져 조선 후기 화단의 빗장을 여는 선구적 화풍을 이루었다. 이는 윤덕희, 윤용 뿐아니라 외손인 다산 정약용에게도 영향을 미쳤으며, 19세기 소치 허련을 통해 근 현대로 이어졌다. 이들 기묘사림들의 절의정신과 예술 감성은 호남문화의 중요한 한 축을 형성하였다. Yang Paeng-son, Sin Jam, Kim Jeong, Go Un, Choi Su-seong and Kim Gu who were Gimyo Sarim(Confucian scholars who fell victims of Gimyosahwa) were famous for their works of calligraphy and painting. They belonged to a literary circle led by Jo Gwang-jo and were appointed to Hyonryanggwa which had been revised for reformative politics. When a calamity of scholars occurred, they were in early thirties when they started their official career. At that time their teachers and colleagues were sentenced to death or exile, which gave them ineffaceable sorrow and despair. Confucian scholars represented their complex mental attitudes in their poetry and painting. Sorrowful indignation was not found in paintings by Choi Su-seong or Kim Jeong as they were sentenced to death immediately after the calamity, but Sin Jam painted lots of Chinese ink painting of bamboo after he was exiled to Jangheung and Yang Paeng-son were immersed in calligraphy and painting after he returned home. This study analysed how sensitivity of scholars was represented in their painting and poetry. It categorized their works into Sagunja(an oriental painting of plum-blossom, orchid, chrysanthemums and bamboo), landscape paintings and Youngmohwa(painting of animals) and discovered that their integrity, hermitage and unyielding spirit were represented through art. The Confucian scholars who felt sorrow for the calamity as well as the literary artists consolidated their friendship through writing poetry on each others` painting and represented their mental attitudes in their calligraphic writing and painting which led to emotional sympathy. Integrity and artistic sensitivity of Gimyo Sarim were succeeded to junior scholars, which became an important axis of Honam culture. The integrity of Go Un who drew tigers led to Go Gyeong-myong`s leadership of righteous troops. Yang Paeng-son`s integrity shown in his Chinese ink painting of bamboo led to righteous death of his son and grandsons. Soswaewon derived from Yang San-bo`s taste for the arts has become a main axis of Honam culture as a headquarter of poetry literature of the 16th century. Yun Gu`s artistic sensitivity was inherited to Yoon Seon-do and Yoon Du-seo, which was a base of innovative painting circle of late Joseon period. It influenced Dasan Jeong Yak-young, a maternal grand-son as well as Yoon Duk-hee and Yun Yong, and became an origin of artistic hometown Honam through Huh Ryon in the 19th centu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