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학윤리 교육의 확대에 따른 기독교 종합 대학의 과제

        이대성 한국기독교사회윤리학회 2012 기독교사회윤리 Vol.23 No.-

        In this paper, I critically examine the process of the introduction and operation of the Engineering Ethics Education(EEE) in Korean universities, as a requirement of the ABEEK(Accreditation Board for Engineering Education for Korea) which was founded in 1999. The purpose of this examination is to identify serious problems and limitations of the current EEE and to come up with suggestions for its improvement, particularly in the context of Christian universities in Korea. As the influence of ABEEK increased, more universities in Korea wanted to be considered for its accreditation. As a result, great number of EEE courses were created without enough preparation. Many problems were revealed in the design and operation of EEE. Most of EEE courses were developed in isolation, without any organic connection with other general education courses. Particularly in Christian universities, when EEE courses are taught without a tight connection with the educational goal of the institution, the founding principles of the universities can be neglected or challenged. Because it has been more than 10 years since the introduction of EEE in Korean universities, it is now necessary to redesign the EEE. In this paper, I survey the history of the introduction of EEE in Korea briefly. Then, I examine the theoretical debates about the necessity and definition of Engineering Ethics. The argument for the necessity of EEE, and the goal and content of EEE will be followed. Next, I will describe the problems and the limitations of the EEE. And I will conclude this paper with a proposal for the improvement of EEE in the context of the Christian universities in Korea. The most important arguments of this paper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e limitations of the EEE so far: (1)Focused on the micro-level ethics, (2) No organic relationship with other general education courses, (3)Not aware of the ethical issues in the ABEEK system itself. 이 논문의 목적은 한국공학교육인증원(ABEEK)의 요구에 따라 2000년 이후 국내 대학에서 시행되는 공학윤리 교육의 배경과 실태 및 한계를 살펴봄으로 기독교 종합대학을 위한 기독교적 공학윤리 교육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이를 구현하기 위한 바람직한 방향을 모색하는데 있다. ABEEK의 영향력이 확대되면서 국내 대부분의 공과대학이 공학교육인증을 받으려 했고, 이에 따라 많은 대학에서 공학윤리 과목이 급하게 개설되면서 많은 문제점들이 노출되었다. 공학윤리 교육이 대학 전체의 일반 교양과목이나 교책과목과의 유기적인 연관 없이 시행되는 경우가 많았고, 그 결과 다른 과목과 내용이 중복되거나 입장이 상충되는 경우도 있어왔다. 이런 현상은 대학 전체로 볼 때 막대한 교육 기회의 상실로 받아들여진다. 특별히 기독교 종합대학의 경우 학교의 교육이념을 구현하는데 중요한 문제로 대두될 수도 있다. 이 논문에서는 공학윤리 교육의 도입 배경을 살펴보고, 공학윤리의 필요성 및 정의에 관한 이론을 소개한 후, 공학윤리 교육의 필요성과 목표, 내용을 살펴보고, 지금까지의 공학윤리 교육의 한계와 개선방안을 소개한 후, 결론적으로 기독교종합대학에서 어떻게 공학윤리를 효과적으로 시행할 것인지에 대한 제안을 하려고 한다. 이 논문의 중요한 논점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기존의 공학윤리 교육의 한계: (1)미시적 윤리에 집중되어 있었다. (2)대학 내의 교양과목이나 교책과목과 유기적인 관계를 이루지 못했다. (3)공학교육인증제도 자체가 갖고 있는 윤리적인 문제점을 간과했다. 기독교 종합대학에서 공학윤리 교육의 개선을 위한 제안: (1)공학윤리 교육은 기독교 대학 이념 교육과 밀접한 연관 속에서 시행돼야 한다. (2)기독교 종합대학 내의 신학부가 기독교적 교육 이념에 대해 다른 학제와 심도 있는 대화를 평소에 하는 것이 이와 유사한 상황에 적극적으로 대비하는 방안이다. (3)기독교적 윤리학은 인문학 일반이나 윤리학보다 더 효과적으로 공학교육인증제도의 문제점들을 비판하고 대안을 제시할 수 있다.

      • KCI등재

        숭실대학 초기 선교사 교장들의 교육철학과 윤리사상

        박삼열 한국기독교사회윤리학회 2019 기독교사회윤리 Vol.45 No.-

        Christian ethics became the principle of enlightenment for Korean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in the Korean missionary history, Christianity presented equality and a new paradigm of social ethics. The ethics of women’s rights, equality between men and women, and Christian love have boosted public appeal and served as a catalyst for the spread of Christian social ethics. Thus, this paper traces the process of the construction of Soongsil School to the decision of the closing school and examined the teaching philosophy and Christian ethics of the missionaries who headed Soongsil University. William M. Baird established Soongsil College in order to cultivate human in accordance with Christian belief and ethics. R.O. Reiner built the dormitory and learning center and laid the external foundations for growth to the modern university. Samuel A. Moffett emphasized that according to Christian values and faith ethics, the university became maintained, being under the oppression of japan. And George M. McCune enforced they refused the visits to the shrine and had to put the purity of faith in the value of education and Christian ethics. Soongsil College was established and was improved, as building an the educational system, in accordance with Korean missionaries’ educational philosophy and their thought of Christian ethics. 선교사들의 교육을 통해 전파된 기독교 윤리사상은 일제 식민통치기를 거치며 조선인의 계몽의 원리가 되었다. 기독교는 평등을 제시하며 새로운 사회윤리의 패러다임을 제시했다. 여권신장, 남녀평등, 사랑의 윤리는 대중적인 호소력을 높이며 기독교 사회윤리의 전파에 기폭제가 되었다. 따라서 기독교 선교사들이 조선에 들어와서 근대화 교육을 선도한 정신적 토대로서 교육철학과 기독교 윤리사상을 살펴보는 것은 기독교가 조선의 근대화의 근원임을 확인할 수 있는 가장 중요한 방법이 된다. 이에 본 논문은 숭실학당이 건립되어 폐교가 결정되기까지의 과정을 추적하며 숭실대학의 교장을 맡았던 선교사들의 교육철학과 기독교 윤리사상을 살펴보았다. 배위량 선교사는 기독교 윤리에 부합한 인재의 양성을 위해 숭실대학을 건립했다. 나도래 선교사는 숭실대학에 기숙사와 학습관을 건축하며 근대 대학으로 성장할 수 있는 외형적 기틀을 마련했다. 마포삼열 선교사는 일본의 탄압에도 불구하고 기독교적 가치와 기독교 윤리에 따라 학교가 유지되어야 함을 강조했다. 그리고 윤산온 선교사는 신사참배를 거부하며 신앙의 순수성을 교육의 가치로 두어야 함을 강조했다. 숭실대학은 내한 선교사들의 교육철학과 기독교 윤리사상에 따라 설립되었고, 교육 시스템을 구축해 나가며 발전했다.

      • KCI등재

        기독교신여성과 혼인윤리 : 박인덕을 중심으로

        이숙진 한국기독교사회윤리학회 2014 기독교사회윤리 Vol.29 No.-

        Protestantism introduced various ethical codes of marriage to modern Korea. While protestantism set the patriarchal ethics of marriage against traditional or secular ethics by the rhetoric of discontinuity and the strategy of control, protestant New Women tried to resist and transform them. By lens of marriage, this article aims at exploring the life of protestant New Women, who shattered the gender hierarchy by challenging the patriarchal ethics. The author made a focus on reconstructing the life of Park In-duk, a protestant New Woman, who was conflicted with the protestant patriarchal ethics of marriage, but lived a life different from New Women pursuing love for love's sake. She revealed the structure of gender unequality and shook the gendered landscape by way of choosing the divorce by herself. Park In-duk could resist the patriarchal culture by realizing the fact that she was created in the image of God through a conversion experience, and by realizing that she is a independent woman through modern education. Protestantism played the major role of establishing the patriarchal ethics of marriage in modern Korea by identifying those ethics with God's order. Redescribing the life of Park In-duk, therefore, could be a critical activity to overcome the gender unequality and a channel to reinforce the ethic of human dignity based on the concept of Imago Dei. 한국기독교는 초기부터 사회적 편입의 한 통로인 ‘혼인’에 대하여 다양한 윤리적 지침을 마련해 왔다. 근대기독교는 전통과 세속의 혼인문화에 대하여 ‘단절과 통제’의 윤리적 전략을 구사하면서 가부장적 혼인윤리를 정초한 반면, 기독교신여성은 가부장적 윤리에 대한 ‘저항과 변혁’의 윤리를 실천하였다. 이 글의 목적은 기독교의 가부장적 윤리와 경합하는 가운데 한국의 젠더지형에 영향을 끼친 기독교신여성의 삶의 자리를 ‘혼인’의 렌즈로 조망하는데 있다. 구체적인 사례연구를 위하여 ‘기독교인’이었지만 기독교 가부장적 혼인윤리와 갈등하고, ‘신여성’이었지만 당대를 풍미했던 연애지상주의자와는 다른 행보를 걸었던 박인덕의 삶의 궤적을 추적하였다. 그를 연구사례로 선택한 것은 삼종지도와 여필종부가 여성의 주요덕목이었던 20세기 초반에, ‘여자이면서도’ 이혼을 주도적으로 결정함으로써 젠더불평등의 상황을 고발하고 젠더담론의 지형에 끼친 영향력 때문이다. 박인덕이 젠더불평등의 가부장적 혼인 윤리에 저항할 수 있었던 것은 신앙적 체험을 통해 이마고 데이(imago dei)로서의 정체성을 깨닫고 근대교육을 통해 여성주체임을 자각했기 때문이다. 근대 한국기독교는 가부장적 혼인 윤리를 하나님의 질서로 신성시하면서 불평등한 젠더 구조를 온존시킨 대표적인 공간이다. 기독교의 가부장적 혼인윤리와 경합하였던 한 기독교신여성의 삶의 자리를 조망하는 작업은 젠더 불평등에 대한 비판적 개입인 동시에 이마고 데이에 정초한 인간존중의 윤리를 제고하는 효과가 있다.

      • KCI등재

        서양선교사를 통해 이식된 기독교윤리사상

        오지석(Oh, Jie-Seok) 한국기독교사회윤리학회 2019 기독교사회윤리 Vol.44 No.-

        이 연구는 한국기독교윤리학에 대한 선행연구와 한국기독교박물관 소장 기독교윤리관련 문헌들을 서지적 접근을 통해 자료 분류하고, 漢譯西學書와 韓譯西學書속의 西學倫理思想과 서양프로테스탄트선교사의 저술 및 번역서 속의 윤리에 관한 생각들(프로테스탄트 윤리)의 흔적을 찾아보고 이를 통해 우리가 아는 것과 보지 못한 것은 무엇이 있는지를 묻고 답하면서 다양한 연구의 실마리를 제시하는 데 이 연구의 의의가 있다. 동아시아의 지식사회와 서양윤리사상 특히 기독교윤리사상과의 조우를 어떻게 표현할 수 있을까? 이 물음은 꼭 근대전환공간의 시대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번역을 통해 자신들의 생각을 전할 수밖에 없었던 16세기 이래 동아시아에 기독교를 전파하러 온 선교사들의 고민이었다. 그들은 교리소개와 교육을 통해 기독교인을 만들어가고 그들의 의식과 생활태도가 바뀌기를 원하고, 직간접인 전달(이식)을 통하여 성과를 만들기도 했다. 이 과정에서 문화 메타모포시스의 양태가 나타난다. 한국기독교박물관 기독교 자료에서 동아시아의 전통사상과 서양기독교윤리학이 조우하고, 기독교윤리의 한국적 수용 흔적을 추적하면서 결이 다른 두 흐름 즉, 서학윤리학과 프로테스탄트의 윤리가 있었고, 그 다른 층위가 서양기독교윤리사상에서 나타나는 현장을 문헌분류를 통해 정리해 보았다. This Study examines Korean Christian ethics through the bibliographical approach to the Korean Christian Museum. The significance of this research is to find traces of thoughts on inner ethics (Protestant ethics), to ask and answer what we know and what we do not see. How can we express the encounter between knowledge society in East Asia and Western ethics, especially Christian ethics? This question was not limited to the era of modern transition space, but was a concern for the missionaries who came to preach Christianity to East Asia since the 16th century, who had to convey their ideas through translation. They wanted to make Christians through the introduction of doctrine and education, to change their consciousness and attitudes, and to make achievements through direct and indirect communication. In this process, the aspects of cultural metamorphosis appear. In the Christian materials of the Korean Christian Museum, there were two different flows: East Korean traditional ethics and Western Christian ethics, and traced the Korean acceptance of Christian ethics. The scenes that emerged from the thought were summarized through document classification.

      • KCI등재

        “한국 기독교 사회윤리학”의 학문적 정위

        노영상 한국기독교사회윤리학회 2009 기독교사회윤리 Vol.18 No.-

        이 글에서 필자는 한국 기독교 사회윤리학의 개념을 정의하며 그 학문을 정위시키고자 하였다. 이 목적을 위하여 첫 번째로 학문성의 개념에 대해 분석하고, 그 학문성의 여섯 개의 조건에 대해 설명한 다음, 신학과 기독교윤리학이 그런 학문성의 조건을 만족시킴을 언급하였다. 두 번째로 미국의 기독교윤리학자 제임스 거스탑슨(James M. Gustafson)의 윤리에 대한 정의를 사용하여 기독교윤리학의 학문성에 대해 탐구하였다. 세 번째로 본 논문은 개인윤리와 다른 사회윤리의 영역에 대해 설명하면서, 기독교사회윤리학의 학문적 위치를 규명하려 하였다. 위와 같은 고찰을 거쳐, 필자는 “한국 기독교 사회윤리학” 개념을 다음과 같은 한 문장으로 정리하였다. : “한국 기독교 사회윤리학이란 나름의 기독교 사회윤리학적 방법론에 입각하여, 먼저 서구사회와 다른 한국사회의 독특한 상황에 대한 사회과학적 분석을 하며, 한국적 입장에서 일관되게 정리된 신앙과 신학을 가지고, 개인윤리의 영역으로는 해결될 수 없는 사회구조와 제도들의 개선과 사회정의 실현 및 사회변혁에 대해, 인간의 사회성을 강조하는 성경과 교리적 전통의 입장에서 반성하고, 나름의 사회윤리적 실천들에 대해 탐구하며, 이에 대해 우선은 다른 교단의 구성원들과 의견을 조율하고, 더 나아가 교회 밖의 사람들과의 소통을 통해 공적인 합의를 이룬 다음, 이를 바탕으로 하여 목회적이며 사회적인 실천을 책임성을 가지고 결단하고, 이러한 실천의 이행에 따른 결과를 평가 하는 바, 일군의 전문적인 기독교 사회윤리학자를 중심으로 전개되는, 신앙과 합리성의 양면을 겸비한 학문을 의미한다.” In this paper, I explored how we would define Korean Christian social ethics rightly. For this purpose, I analyzed the essential conditions of scholarship, firstly. After I referred six conditions of scholarship, I showed a learning as theology satisfied those conditions. Secondly, I examined the scholarship of Christian ethics, using the definition of Christian ethics by James M. Gustafson. Thirdly, this paper explained social ethics, distinguished from personal ethics. Especially, I said Christian ethicists had developed the inquiry of social ethics in advance of the philosophical ethicists. In conclusion, I defined Korean Christian social ethics by line as followings.: “Korean Christian social ethics is a study, having both sides of faith and rationality, done by the research groups such as professional Christian social ethical scholars with its own ethical methodology, which analyzes Korean social situations different from the west by the tool of social sciences, reflects on the improvement of the present social structure and social institutions, realizing social justice and transforming society not to be solved in the field of personal ethics, with faith and theology adjusted in a Korean point of view, in the perspective of the Bible and doctrinal traditions emphasizing human sociality, investigates the social ethical practices, tunes up different views of practices among various denominations, makes a public consensus through the communication with people outside of church, decides on the contents of ministerial and social practices with his own social responsibility, and evaluates the results following the practical implementation.”

      • 기독교사회윤리에서 본 공공성

        문시영(Si-Young Moon) 전남대학교 종교문화연구소 2021 종교문화학보 Vol.18 No.2

        시민사회에서 교회의 공공성에 대한 요청은 한국기독교에 절실하다. 특이하게도, 한국기독교는 공공성의 요청에 부응하여 공공신학에 관심하는 와중에 교회가 공공성에 미숙하거나 구현하지 못하고 있다는 ‘역습’을 받고 있다. 공공성의 역습에 대한 정공법은 공공신학에 대한 바른 인식과 실천이다. 스택하우스의 공공신학을 중심으로 공공 영역에서 기독교의 역할을 풀어내는 이유이다. 스택하우스의 공공신학에서, 공공 영역에 대한 인식은 카이퍼의 영역주권론을 계승한 것과 연관된다. 특별은총 영역인 교회와 일반은총 영역인 사회는 각각 별개의 것이 아니라 그리스도의 주권이 세워져야 하는 두 측면이다. 이것이 기독교가 공공 영역을 바라보는 특징이다. 특히, 스택하우스의 공공신학은 영역주권론의 계승을 통하여 공공 영역에 대한 기독교적 관심과 책임을 역설한다. 종교의 역할에 관하여, 스택하우스의 공공신학은 기독교사회윤리의 확장된 버전을 제시한다. 니버의 기독교사회윤리가 아가페 구현을 위한 근사치적 접근으로서의 정의에 관심했다면, 스택하우스는 글로벌 시민사회를 배경으로 공공성의 구현을 기독교사회윤리의 핵심으로 제안함으로써 지평을 확장시켰다. 공적 책임과 소통을 비롯한 사회윤리학적 실천과제를 제시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다만, 기독교가 공공 영역을 향하여 ‘나아가기’ 전에 점검해야 할 것이 있다. 정체성에 대한 인식이 그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스택하우스가 제시한 공공성에 관한 신학적 성찰을 보완하는 카운터파트로서 하우어워스의 교회윤리는 의미있는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교회됨의 정체성을 교회됨을 확립하는 노력에 근거하여 공공 영역을 향하여 나아가야 한다는 뜻이다. 놓치지 말아야 할 것은 공공성에 대한 논의를 한국기독교의 윤리성숙이라는 맥락에서 사회적 영성의 문제로 확장시켜야 한다는 점이다. 공공성에 대해 관심하는 것은 하강국면에 접어든 교세회복을 위한 이미지 개선의 전략이 아니라 한국 기독교가 개인적 영성에 치중하는 와중에 놓치고 있던 사회적 영성의 회복으로 인식되어야 한다. ‘잘되는 영성’으로부터 ‘사회적 영성’으로 나아가자는 뜻이다. In civil society, the request for publicness of church is particularly urgent for Korean Christianity. This is because the church is being counterattacked by the publicness. The standard tactics is realization of public theology. In this context, Stackhouse’s public theology could be contribute for overcomming the counterattack of civil request. Stackhouse’s public theology has influenced by Abraham Kuiper’s theology of sphere sovereignty. Church as the shere of special grace and society as the sphere of general grace are two aspects of Christ’s sovereignty. This is the hallmark of Christianity’s view of the public domain. Stackhouse emphasizes Christian responsibility in the public domain through the succession of sphere sovereignty. Regarding the role of religion, Stackhouse presents an expanded version of Christian social ethics. If Reinhold Niebuhe’s Christian social ethics was interested in social justice as an approximate approach to implementing Agape, Stackhouse expanded its horizons by proposing the implementation of publicness as the core of Christian social ethics. However, there is something to be checked before Christianity ‘goes out’ toward the public domain. In this regard, ecclesial ethics of S. Hauerwas plays a meaningful role as a counterpart to supplement Stackhouse’s public theology. It should be noted that discussions on publicness should be linked to ethical maturity of Korean Christianity. Instead of pursuing a strategy for the restoration of Christianity in Korea, which has entered a downward phase, attention should be paid to the realization of publicness based on the identity of the church.

      • KCI등재

        하우어워스와 ‘덕의 공동체’ 로서의 교회

        문시영 한국기독교사회윤리학회 2012 기독교사회윤리 Vol.23 No.-

        What’s the most important task of church in these times? To respond to question,this paper studied on ‘church as the community of virtue’ in Stanley Hauerwas’s ethics. As we know, Hauerwas earned the nickname, ‘ecclesial ethics’for his ethics. Focusing on Jesus narrative and church, Hauerwas insists that the first task of church is being itself. This paper views church as moral agency, school of virtue, and community of character according to Christian communitarianism. Especially, the Christian communitarianism draws strength from the increasing dissociation of church and civil society in the western world. It has features of virtue ethics. And it has to be understand from the context of virtue, community, and narrative. Most of all, this paper emphasized the moral significance of church as the community for enhancing Christian virtues or character. In this meaning, church of ecclesial ethics would be interpreted as the school of virtue or community of Christian character. In spite of criticism of ‘sectarian withdrawal’, the ecclesial ethics of Hauerwas gives very important insight for church in Korean context. But, the most essential task of Christian virtue ethics must be transformed from peace to being church itself. In short, the focuse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1)church must be a community of character via Jesus narrative. (2)the most important virtue of church in Korea is ‘being church itself’. 교회됨이 절실한 때, 시민적 비난과 정죄와 심판을 통해 몰아세우기보다 교회가 윤리적으로 성숙할 수 있도록 대안을 제시하려는 ‘교회됨’을 위한 윤리적 성찰이 필요하다.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이 글은 하우어워스의 ‘교회윤리’(ecclesial ethics)를 ‘덕의 공동체’ 혹은 ‘성품공동체’(a community of character)의 측면에 초점을 맞추어 성찰하였다. 소종파적 퇴거의 우려 등 하우어워스에 대한 비판일변도의 접근과는 달리, 이글에서는 그의 문제의식에 대한 균형 잡힌 이해를 통해 기독교공동체주의와 덕 윤리의 기독교적 수용이라는 맥락에 대한 종합적 성찰을 시도하였다. 하우어워스는 교회를 도덕공동체로 인식하고, ‘성화’의 개념을 덕 윤리와 연계시켜 예수 내러티브에 충실한 덕성을 함양해야 한다고 제안한다. 이는 덕 윤리의 기독교적 수용 및 기독교공동체주의의 요체를 보여주는 것이라 할 수 있으며, 현대기독교윤리학이 콘스탄틴적 결탁에 흐를 것이 아니라 교회로 교회되게 하는 대안을 제시하는 노력을 보여주어야 한다는 하우어워스 자신의 문제의식을 반영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다만, 하우어워스가 좁은 의미의 성화개념을 사용했다는 점, 덕 윤리와 성화의 연관성에 대한 포괄적이고 깊이 있는 논의가 부족했다는 점 등은 비판적 평가의 대상일 수 있다. 하우어워스가 평화의 덕목을 강조한 것을 두고, 결국 평화주의를 따라야 한다고 주장하는 것인지, 평화를 교회의 대표적인 덕목으로 상정할 수 있는 것인지에 대한 찬반논변이 필요할 듯싶다. 이 글에서는 덕의 학교이자 성품의 공동체로서의 교회가 함양해야 할 여러 기독교적 덕목들을 평화라는 특정 덕목으로 한정짓기보다는 ‘교회됨’ 자체를 교회가 추구해야 할 덕목이자 과제로 인식해야 한다는 사실에 초점을 맞추었다. 이를 통해 교회의 교회됨을 위한 윤리적 성찰이 깊어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기 때문이다.

      • KCI등재

        마테오 리치와 에픽테토스의 ‘엥케리이디온’ : 동·서 윤리학의 만남의 자리

        오지석 한국기독교사회윤리학회 2016 기독교사회윤리 Vol.35 No.-

        한국사회에서 기독교 윤리는 예로부터 전해온 것도 아니고, 스스로 깨우친 학문도 아니며 생활 속에서 친숙함이 묻어나오는 것도 아니다. 기독교는 서양인선교사들이 동아시아에 건너와 전파한 종교다. 기독교 윤리도 이들의 활동과 무관할 수 없다. 서양의 기독교(여기서는 가톨릭)을 전하기 위해 예수회 선교사들이 선교현장에서 사용했던 방법(적응주의 선교방식)과 그들의 의식은 기독교윤리의 위치가 어디에 서 있어야 하는지에 대한 시금석과 같다할 수 있다. 특히마테오 리치는 중국(명나라) 관료집단에 가벼운 도덕에 관한 짧은 글들을 가지고접근했는데 그것 가운데 하나가 ��이십오언二十五言��이다. 그는 에픽테토스의��엥케이디리온��(53장)을 중국인들이 아주 쉽게 받아들일 수 있도록 과감하게 축약하기도 하고, 순서를 바꿔가면서 중국어로 번역하고 때론 첨언하면서 25장으로 구성된 짧은 글로 소개한다. 그 이유는 윤리서-과학서-종교서 순서로 편찬한리치의 문서선교 방식과 맞물리기 때문이다. 그는 다른 종교나 종파에 대한 논의를 전혀 하지 않고 덕행에 관한 이야기를 통해 중국 지식인 사회와 소통을 시도하였다. 그래서 마테오 리치의 〈이십오언〉은 에픽테토스의 〈엥케이디리온〉의 번역이 아니라 동양의 고전들을 이용하면서 척불보유론斥佛補儒論의 전략이 잘 드러나게 치밀하게 번안되었다고 할 수 있다. ��이십오언��에 나타나 있는 스토아윤리의 가르침은 유교적 전통과 실천적 덕의 지혜와 어울리는 것 같다. 따라서��이십오언��은 스토아주의, 유학, 그리고 기독교라는 확실히 서로 전혀 다른 전통속에서도 같은 토대의 도덕철학과 덕의 수행을 위해 만나고 나눌 수 있다고 주장한다. 선교사인 리치가 기독교와 양립할 수 있는 것으로 서양 고대의 휴머니즘작품에 주목한 것은 리치가 기독교와 양립할 수 있는 것으로서 중국의 유교 고전에 주목한 것과 동일한 시각이었다. 마테오 리치의 〈이십오언〉에서 상대방에 대한 존중을 토대로 하는 윤리 그러한 윤리가 기독교윤리의 모습이다. This research paper delves into the meaning of ‘Korean Christian ethics.’ People usually think that Christian ethics is only based on the Western tradition; however, it is impossible to think of Korean Christian ethics without the conception of other Asian religious traditions. Jesuits’ endeavors were prominent in that they used their own methodology, called, ‘the accommodation mission method.’ Matteo Ricci was the frontier of this since he tried to teach about morality with the short sentences of the Stoic philosophy, Encheridion, wirtten by Epictectus, to the Chinese nobles and scholars. Ricci learned this book as he studied ethics, so he could introduce Encheridion to Chinese because they were interested in their personal economic welfare and individual moral development. The Book of 25 Paragraphs(or Twenty-Five Saying) designed as an story-telling anthology instead of dogmatics, as it was dealing with virtue as it tried to communicated with Chinese society. Ricci altered Enchridion to the Chinese contexts as he switched Greek philosophical concepts into the Chinese examples. Therefore, The Book of 25 Paragraphs is not a simple Chinese translation of Encheridion; rather, it is a new work which cited Chinese classics as it expressed the idea of ‘respecting Confucianism but rejecting Buddhism.’ such that it is perfectly fit into the Confucian tradition in terms of the practical wisdom of virtue. Thus, Ricci showed the two different religious traditions can be compatible with each other as such that both traditions have the common ground in terms of the moral philosophy and the practice of virtue.

      • KCI등재

        이승만의 민족운동에 나타난 기독교 국가건설론과 사회윤리

        김명배 한국기독교사회윤리학회 2015 기독교사회윤리 Vol.32 No.-

        This research paper concentrates on the basic idea of national establishment and the social ethics thought of Lee, Seung-man. President Lee had habituated the system of Western democracy and republic as he involved in the Independence Club and the Pai Chai Hak Dang. He wanted to build Korea as ‘a role model for democracy in Asia,’ and ‘the parliamentary democratic republic’ which guarantees individual liberty and equality as best as it can. In addition, he advocated the theory of Christian nation as he accepted the idea of Christendom and American Christian democracy from the missionary of the U.S.A. after he converted to Christianity at Han-Sung prison. He wrote his thought of this in the journal, Shin Hak Wol Bo, and his book The Spirit of Independence. In particular, he tried to build Korea like ‘the Christian nation in Asia,’ as he pursued the value of democracy of the Western society as he pointed out that Korean Christian Leaders, especially, pastor groups, initiated the 3.1 Independence Movement in 1919. Finally, he developed his social ethical thought based on his idea of he individual liberty and equality, the Christian ethics in terms of the doctrine of salvation, and the reformative Christian ethics in history. 이글의 목적은 초대 대통령 이승만의 민족운동에 나타난 국가건설론과 사회윤리를 다룬다. 이승만은 일찌기 배재학당과 독립협회 활동을 통하여 서구의 대의민주주의 공화제를 체득하였다. 그는 한국을 ‘동양의 모범적 민주주의 국가,’ 즉, 개인의 자유와 평등이 최대한 보장되는 ‘대의 민주공화제’ 국가로 만들고자 하였다. 뿐만 아니라 그는 미국의 선교사들에 의해 전해진 미국식 기독교 민주주의국가론을 받아들여 기독교 입국론을 주창하기도 하였다. 한성감옥에서의 기독교개종 후 그는 <신학월보>와 그가 저술한 <독립정신>을 통해 기독교 입국론을주장하였다. 특히 그는 1919년 3.1운동은 한국의 기독교 목회자들의 주도하에일어난 거족적 독립운동이라고 규정하면서, 대한민국은 기독교 민주주의를 지향하는 국가이며, 한국을 ‘아시아의 모범적 예수교국가’로 만들고자 하였다. 그는한국을 기독교 민주주의 국가로 건설하기 위해 개인의 자유와 평등의 보장, 예수그리스도의 구속에 대한 신앙에 기초한 개인윤리, 그리고 역사 변혁적인 기독교사회윤리 등을 주장하였다. 이러한 이승만의 기독교 민주주의 국가건설론은 대한민국 건국의 과정에서 상당수의 기독교인들이 정부와 국회에 참여하고, 제헌국회 개원식에서 윤하영 목사가 기도를 하는 등의 모습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승만이 한민족의 독립운동의방략으로 택한 친미적 외교독립노선은 1945년까지 미국정부의 호응을 얻지 못하여 결과적으로 실패한 방략이었다. 더욱이 이승만의 친미적 외교독립노선의 결과 해방 후 1948년 남북한의 단독정부 수립으로 귀결되었다는 점에서 더욱 그러하였다.

      • KCI등재

        기독교 경제윤리의 눈으로 ‘소득주도 성장’ 정책 읽기

        최경석(Choi, Kyung Suk) 한국기독교사회윤리학회 2019 기독교사회윤리 Vol.44 No.-

        우리나라의 2019년 화두는 평화를 전제로 한 경제로 해석된다. 문재인 대통령은 2019년도 신년기자회견에서 경제부분에 주요한 내용을 할애했다. 사람중심의 경제와 혁신적 포용성장은 문재인 정부의 경제정책에 있어서 두 개의 중심 기둥이다. 이를 중심으로 문재인 정부의 경제정책의 중심기조인 소득주도 성장을 추진하는 힘이 강해질 것이라고 본다. 소득주도 성장은 성장의 선순환 구조를 실현시키기 위해서 소득주도와 사람 중심으로 경제정책의 패러다임을 전환하려는 시도이다. 본 논문은 소득주도 성장이 기독교 윤리, 특히 기독교 경제윤리적 시각에서 하나의 준칙임을 리히의 경제윤리 방법론을 통해서 논증하고 있다. 이를 위해서 리히가 제시한 규준 설정의 방법론에 의거해서 참여라는 규준을 중심으로 참여적 연대와 참여적 분배를 기독교 경제윤리의 규준들로 설정하고 소득주도 성장이 위의 세 가지 규준들을 통과한다면, 기독교 경제윤리에 부합될 수 있다는 것이 이 논문의 핵심이다. 소득주도 성장은 기독교 경제윤리의 시각에서 오늘날 한국경제 상황에 필요한 것으로 바라볼 수 있다. 소득주도 성장의 경제정책은 성서에서 증언하는 것 같이 사회적 약자를 우선 생각하고 있는 하나의 정책으로 사료되기 때문이다. In 2019, a topic of the Republic of Korea is a peace-based economy. President Moon Jae-in referred to economic issues as a key in his New Year’s address in 2019. Human - centered economy and innovative inclusive growth are two central pillars of this government ‘s economic policy. As a result, income-led growth is expected to gain momentum. The Swiss theologian Arthur Rich studied Christian economic ethics. According to his methodology, it is important to set the criterions and set the maxim. The criterions mentioned in this article are participation, solidarity, and distribution. When the income-led growth policy passes these three criterions, it can be set as a maxim from the perspective of Christian economic ethic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