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호다코브스키(Zorian Dołęga Chodakowski)의 논문 “기독교 이전의 슬라브 문화에 관하여 O Sławiańszczyźnie przed chrześcijaństwem”가 미츠키에비츠(Adam Mickiewicz)의 드라마 <제사 Dziady - część II>에 미친 영향

        오경근(O Kyung-Geun) 한국외국어대학교 동유럽발칸연구소 2004 동유럽발칸연구 Vol.13 No.1

        아담 미츠키에비츠는 폴란드 최고의 시인이다. 그가 1822년에 발표한 시집 <발라드와 로 망스 Ballady i romanse>가 폴란드 낭만주의 문학의 시작이라는데 이의를 제기하는 사람 은 아무도 없다. 미츠키에비츠는 시, 발라드, 소네트, 시적소설, 드라마, 서사시 등의 많은 작품들을 남겼는데, 그 중에서도 드라마 <제사 Dziady>와 민족서사시 <판 타데우시 Pan Tadeusz>1)가 그의 대표작이다. 그런데 그가 폴란드문학의 역사에 길이 빛날 역작들을 창 작해 낼 수 있었던 것은, 그 무엇보다도 자신의 작품들에 민속적인 요소들을 적절하게 사용 하여 폴란드인들의 가슴에 가까이 다가간 때문이었다. 미츠키에비츠는 단지 구비문학 작품 들의 외형적 특징이나 문체를 모방한 것이 아니라, 그들 속에 담겨 있는 세계관과 인간행동 의 도덕적 규범들을 함께 받아들였다. 그의 드라마 <제사>가 진정한 민족드라마가 될 수 있었던 것도, 바로 민간에서 성행하는 전통적 제례의식을 주요 모티브로 삼았기 때문이다. 폴란드에서 고대 슬라브의 문화와 구비문학에 대한 연구가 시작된 것은 18세기 중반 계 몽주의시기부터 이었고, 19세기 중반 낭만주의시대에 그의 절정에 이르게 되었다.2) 민속연 구가들 중에서도 특히 호다코브스키3)가 처음으로 농촌을 직접 돌아다니며 현장에서 민요들 을 수집하기 시작하였고, 따라서 그의 주도 아래 많은 학자들이 연구실을 떠나 각 지방을 여행하면서 구비문학 작품들을 적극적으로 수집하고 기록하여 책으로 발간하게 되었다. 그 리고 미츠키에비츠를 비롯한 작가들도 구비문학에서 얻은 소재와 형식을 이용하여 작품을 쓰기 시작하였다. 호다코브스키는 논문 “기독교 이전의 슬라브 문화에 관하여 O Sławiańszczyźnie przed chrześcijaństwem”에서 그 이전의 누구보다도 열정적으로 농민들 의 도덕적 가치들과 아름다운 성격을 높이 찬양하였다. 그는 심지어 고대 슬라브의 역사를 신화로 여기는 극단적인 자세를 취하였다. 그에게 있어서 신화는 역사적 사건들을 상징적으 로 나타내는 것이며, 종종 비슷한 내용을 담고 있는 시의 변형된 형태라고 생각되었기 때문 이었다. 즉 신화는 역사의 또 다른 기록이었다. 기독교 도입 이전의 슬라브 문화와 역사에 대한 그의 그러한 생각은 젊은 세대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고, 그의 논문은 최고의 예술적 가치를 지닌 시적문장과도 같은 것이었다. 아담 미츠키에비츠가 빌르노에서의 학창시절에 호다코브스키의 논문을 직접 읽었는지는 현재로선 분명하게 확인할 길이 없지만, 당시의 여러 정황들을 감안할 때 그는 빌르노의 학 생들과의 접촉을 통하여 그것에 대해 알고 있었음이 확실하다. 따라서 아담 미츠키에비츠는 드라마 <제사 - 2부>에서 조리안 도웽가 호다코브스키의 논문 “기독교 이전의 슬라브 문화 에 관하여 O Sławiańszczyźnie przed chrześcijaństwem”에 나타난 폴란드 민속에 대한 그 의 시각에 영향을 받아 자신의 관점도 그것과 일치되도록 했다고 가정하는 것은 전혀 무리 가 아니다. 즉 그는 폴란드의 민간의식 속에서 기독교 이전 원시 고대 슬라브 문화의 흔적 들을 찾으려고 시도한 것이었다. 그의 증거로는 무엇보다도 드라마의 두 번째 판본에서 성 서적인 요소들을 제거하고 제사의식을 주관하는 교회의 신부도 민간의 주술사로 대체한 것 이며, 또한 죽은 자들의 혼령들을 불러 모으기 위한 주문과 마법적인 행위들을 도입한 사실 이다. 아담 미츠키에비츠는 제사의식의 전면에 주술사를 내세움으로써 그러한 의식이 기독 교의 도입 이전 고대 슬라브의 문화에서 발생한 것임을 강조하였다. 하지만 시인이 살고 있 었던 당시의 리투아니아에서는 이미 오래 전부터 종교적인 것과 민속적인 것들이 상호 간에 영향을 미치면서 하나로 융합되어 분리하기 힘든 현실이었다. 그렇기 때문에 그는 민간의 제사의식을 자신의 예술적 시각으로 재창조하는 과정에서 그것에 섞여있는 기독교적인 요소 들을 완전하게 제거하지는 않았다. 폴란드에서 기독교는 원시적이고 미신적인 민간의 전통 들을 완전하게 파괴할 수 없었고, 오히려 민간의 전통문화는 기독교적인 요소들을 흡수하여 동화시키면서 민중들의 삶 속에 굳건하게 뿌리를 내렸다. 호다코브스키의 영향을 받은 아담 미츠키에비츠는 드라마 <제사 - 2부>에서 기독교가 도입되기 이전의 신비스럽고도 신화적 인 고대 슬라브의 문화를 예술적으로 창작해 내었고, 동시에 그것을 폴란드의 진정한 민족 문화로 인정하고 적극 지지하였던 것이다. Adam Mickiewicz is the greatest poet in Poland. Nobody raises a objection to the fact that his Ballads and romances, published in 1822 year, was the beginning of Polish Romanticism. Adam Mickiewicz wrote many poems, ballads, sonnets, poetic novels, dramas and epics, but among them the drama Dziady and the epic Pan Tadeusz are his most important works. The main reason he could write those masterpieces was that he properly adapted folk elements to his literary works and through it he could get near to the heart of Poles. Adam Mickiewicz not only imitated the external form or style of oral literature, but also accepted it's outlook on the world and moral norms of human behavior. His Dziady could be a real Polish national drama, because he took a religious ceremony among peasants as it's main motif. The beginning of the study about old Slav culture and oral literature in Poland was in the middle of Enlightenment, and it reached to the zenith in the period of Romanticism. Among Polish folklorist, Zorian Dołęga Chodakowski was the first man who personally traveled rural communities collecting folk songs in the field. Taking that as a momentum many scholars left their room and began to go to rural districts in order to collect the works of oral literature and to publish them later. The writers also, like Adam Mickiewicz, began to write literary works using the folk elements. Nobody praised so highly the values and beauties of peasant's moral norms like Chodakowski in his work "About old Slav culture before Christianity". But he even took a very radical attitude to them that he treated old Slav culture not simply as a history, but as a kind of myth. For him a myth is a symbolic representation of historic event, and a variant of poem that very often includes in itself similar contents. In a word, myth is a another record of history. His such thoughts on old Slav culture had a very strong influence on the young generation. For them his work was a kind of poem that has great artistic values. Therefore in this paper we will examine in details Chodakowski's conception and viewpoint about old Slav culture in his work, because it was the decisive factor of the Romantic enthusiasm for folklore in Poland. After that, look into carefully the folk elements in the Adam Mickiewicz's drama Dziady - part II, it's main motif is a traditional religious ceremony for the dead. And finally, the mutual relation between the folk elements and Christian elements in the drama. Through this work we can know the importance of folklore, the meaning of folk elements to the official literature and the way of using them in the official literature by the writers in Polish Romanticism.

      • KCI등재

        나도향과 반기독교

        박헌호 ( Park Heon-ho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2 한국학연구 Vol.0 No.27

        기독교는 한국 근대사에서 간과할 수 없는 종교이자 사상이다. 우리의 역사에서 기독교는 서구적 근대화를 상징하는 종교이자 서구 제국주의의 첨병이라는 두 얼굴을 지니고 있다. 그런데 3.1 운동 이후 서구열강이 보여준 태도는 식민지 조선인들을 실망시켰고 이후 반기독교적 흐름이 전면화된다. 나도향의 반기독교는 이러한 시대적 흐름과 일정한 거리를 유지한 채 자신의 종교체험 내부에서 생성됐다는 특징을 지닌다. 이는 카프에 의해 문학에서 반기독교 문제가 다루어지기 훨씬 전의 일이다. 그는 생의 일회성과 유한성에 대한 자각을 통해 기독교적 내세 중시를 거부하고 현세를 삶의 진정한 무대로 받아들였다. 그의 사유는 삶의 취소 내지는 회귀로서의 회개를 거부하는 불가역적 시간성을 내포하고 있으며, 거기에는 주체의 욕망과 선택에 대한 자기종결성을 강조하는 인생관이 잠재돼 있다. 신을 부정한 그가 선택한 윤리의 최종심급은 피조물로서의 동질감이자 공감의 윤리학이었다. 도향의 반기독교는 인간의 욕망과 현세적 삶을 긍정했지만, 윤리를 넘어서는 새로운 지평을 도모했던 것은 아니다. 윤리에 입각한 사랑을 신의 위치로 끌어올림으로써 도향의 낭만주의적 반기독교 인식은 자신의 급진성과 위태로움을 동시에 드러냈다. 이 글은 한국 근대문학사와 정신사에서 기독교와 낭만주의가 맺었던 관계를 추적하려는 목적의 일환으로 작성되었다. Christianity is a inevitable main point to examine Korean modern history. In Korea, Christianity was actively accepted as the spiritual base of the Western modernization, or was excluded as the Western imperialism. While preference of Christianity had been high in the early modern times, stream of anti-Christianity has spread fast since failure of 3·1 Movement led to disappointment of the West represented as Christianity. It is connected with anti-Christian thoughts appearing with the rise of KAPF' literature. Na do-hyang's literature interests because of showing anti-Christian thinking grown spontaneously, having no concern with the rise of socialism. He had gone to only Christian schools which had on a great effect on education and religion in the early modernization of Korea. While internalizing a Christian ethical system, he hoped the liberation of individual that the modern times promised. His anti-Christian thinking rises in a gap between the internalized Christian ethic and the hope of the liberation of individual, which symbolizes a conflict between sensibility liberation of the modern individual and enlightenment ethic system represented as Christianity. In the West, romantism literature shows a course from the refusal of religion to the return to it. In contrast with it, Na's romanticism pursues for liberation of sentiment and desire, then perceives a matter of colonial reality repressing individual in the end, which means his works approached colonial modernity. However, like religion and human, modern mental and modern literature, essential problems remain not interrogated. Therefore, relation of Christianity and history of the modern spirit in Korean still to be examine on the level of introduction.

      • KCI등재

        윤동주 시에 내재된 기독교 세계관의 낭만주의적 성격

        박성준 ( Park Seung-jun ) 한국문학연구학회 2018 현대문학의 연구 Vol.0 No.64

        윤동주 시에 나타난 기독교적 특징은 ‘저항성’만큼이나 주요한 논제다. 그의 생애를 고찰하는 데 토대가 되었을 뿐만 아니라 시를 해명하는데 있어서도 줄곧 보충적 자료로 활용되어 왔다. 그러나 기존 연구들의 방향성은 시학과 종교학(기독교)을 서로 매개로 두면서, 비교 연구적 고찰만을 되풀이해 온 측면이 없지 않다. 당대 수용된 기독교는 단순히 종교적 사상에만 국한되었던 것이 아니다. ‘서구 정신사를 배운다는 지식적 측면’(김윤식)에서 기독교 정신은 교양과 근대성이 내포되어 있던 근대정신의 보고(寶庫)였다는 점을 간과할 수는 없다. 이에 본고는 윤동주가 경험했던 서구 근대 사상으로서의 기독교와 그 안에 내포된 낭만주의를 해명하는 과정을 통해, 윤동주의 시의 시적 성숙을 고찰한다. 특히 「病院」이 창작된 1940년을 기점으로 윤동주의 시적 성취가 ‘부끄러움의 시학’으로 특정화된 것을 문제로 삼아, 이후 시편들 속에서 ‘낭만성’이 어떠한 방식으로 호출되는지 고찰한다. 아울러 본고는 거시적으로는 저항시인의 시편들 속에서 저항성의 그늘에 가려 주로 연구되지 않았던 ‘낭만성의 문제’를 재검토하는 데 그 의의가 있다. The Christian feature of Yoon Dong-ju 's poem is as important as ‘resistance’. The Christian features of his poetry have not only served as a basis for studying his life, but have also been used as supplementary materials in explaining his poetry. However, the direction of the existing researches has only reinterpreted comparative researches that mediate between poetry and religious studies(Christianity). Christianity accepted in the present day was not limited to religious thought. It can not be overlooked that the Christian spirit was a treasure of the modern spirit, which contained refinement and modernity, in the ‘knowledge-based aspect of learning Western spiritualism’ (Kim Yun-sik). This study examines the poetic maturity of Yoon Dong-ju 's poetry through the process of clarifying Christianity as a Western modern thought that Yoon Dong-ju experienced and the romanticism contained in it. Especially, in 1940, when the “hospital” was created, Yoon Dong-ju 's poetic achievement was identified as the “shame of poetry”, and then the romanticism is called in his poetry. In addit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reviewing the ‘romanticism problem’ that was not studied mainly by covering the shade of resistance.

      • KCI등재

        낭만적 영성(靈性)의 탄생-변영만 사상에서의 과학과 종교

        황종연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2014 한국문학연구 Vol.0 No.47

        After western science was introduced into Korea Confucianism began to lose its power irrevocably as a system of knowledge of natural and human world. As the royal state with Confucian doctrines as its ruling ideology collapsed, and as the national demand rose sharply for science and technology, it is frequently argued that Confucian scholarship and education were useless. Nevertheless, Confucian faith was hardly discarded: rather, it reformed itself and survived as a system of explanation and evaluation addressing Koreans' moral and spiritual need in a new cultural arrangement of modernity. Throughout his colorful intellectual career Pyŏn Yŏng-man exemplified a way in which Confucian faith divided from scientific knowledge worked creatively in compromise with cultural ideals of modernity. He advocated the national self- strengthening campaign that was a part of mainstream thought in early 1900's Korea, but was very critical of its underlining Darwinism. For him, Darwinian laws were a distortion of the truths of natural and human world as well as a rationalization of imperialism. His refusal of Darwinism led him to attempt to replace its evolutionary theory by a creative interpretation of cosmology found in The Book of Changes. He saw the vigorous qi or material force as an origin of everything in the world in accordance with the Confucian classic, took qi's luminous presence in its individual forms as spiritual, and thought about a universal communion that would be made possible by spirituality inherent in each of them. His notion of Great Soul (taeryŏng), like Emerson's concept of Over-soul, stood among a variety of spiritual pantheism. His argument for a cosmology with its eclectic combination of Confucian and Christian thinking is comparable to Romantic writers's development in Europe of the view of nature as a power to heal and protect human being, struggling against the mechanistic view of nature since Newton. I think that Pyŏn's spiritualism achieved an originary form of Romantic revolt against the tyranny of reason which grew out of traditional schools of Korean thought, including Confucianism. 서양과학의 전래 이후 인간계와 자연계에 대한 지식으로서 유교의 효력은 회복이 불가능하게 약화되었다. 유교를 통치 이념으로 삼은 왕조국가가 몰락함에 따라, 과학과 기술에 대한 사회적 수요가 폭발함에 따라 유교식 학문과 교육을 무효화하는 주장이 빈발했다. 그럼에도 유교적 신념이 폐절되지는 않았다. 그렇기는커녕 근대의 새로운 문화적 편제 속에서 인간의 영(靈)적, 도덕적 필요에 응하는 설명과 평가의 체계로서 변형을 거치며 존속되었다. 변영만(卞榮晩)은 그의 사상적 편력 속에서 과학적 지식과 분리된 유교적 신념이 근대문화의 이상들과의 타협 속에서 창조적으로 작동하는 양상을 예시했다. 그는 1900년대 초반 한국사상의 주류였던 민족자강론을 지지했으나 그 사상적 기초인 다윈주의에 대해서는 비판적이었다. 그에게 다윈주의는 제국주의를 합리화하는 구실이었을 뿐만 아니라 인간과 자연의 진실을 왜곡하는 묘사였다. 그의 다윈주의 거부는 역(易)의 우주론의 창조적 해석으로 진화론을 대체하려는 시도로 나아갔다. 그는 역의 명제에 따라 왕성한 기를 만물의 근원으로 간주했고 만물의 형식 속에 나타나는 기의 밝은 현상을 영이라고 보았으며 영을 원리로 하는 만물의 영통을 생각했다. 그의 대령론은 그것이 매우 닮아 있는 에머슨의 초령론과 마찬가지로 일종의 신령범유론이다. 그가 유교적, 기독교적 사유를 절충하여 영의 우주론을 주장한 것은 유럽 낭만주의 문학가들이 뉴턴 이래의 기계론적 자연관에 맞서서 인간을 치유하고 보전하는 힘의 원천으로서의 자연관을 발전시킨 것에 견줄 만하다. 그의 영성주의는 이성의 폭정에 대한, 유교를 비롯한 한국의 재래 사상으로부터 자라난 낭만적 저항의 최초 형식을 성취했다고 판단된다.

      • KCI등재

        세속화와 한국 근대시의 형성

        강동호 ( Dong Ho Kang ) 한국문학연구학회 2015 현대문학의 연구 Vol.0 No.56

        이 글은 한국 근대시의 형성 과정을``세속화``(secularization)라는 관점으로 고찰할 필요성을 제기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여기서 세속화는 시에서 근대적 내면이 발생하는 기제를 규명하기 위한 분석 논리이자 그것들의 역사적 변천의 메커니즘을 아우르는 확장적 개념으로 채택된 것이다. 이를 통해 한국 근대시사에서 내면과 초월성에 대한 상상력이 동시적으로 구축되는 과정을 분석하고, 한국 근대시 형성 과정에서 기독교적 세계관이 담당한 역할을 밝히는 데 세속화라는 개념이 유효함을 논증하고자 한다. 요컨대 한국 근대시 형성기에 나타난 기독교적 세계관의 패러디적 차용과 전유가 초월성에 대한근대적 감각을 주조하고, 나아가 근대시에 대한 한국적 이념형을 수립하는 데 결정적인 동력으로 작용했다고 할 수 있는 것이다. 이 글은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세속화의 문학사적 적용 가능성을 타진하기 위한 이론적 지반을 탐색하는 일종의 시론적(試論的) 텍스트이다. 2장에서는 세속화 테제의 계보를 이론적으로 추적하였으며, 3장에서는 이러한 세속화 테제가 근대문학의 진화와 어떤 관계를 맺고 있는지를 살펴본다. 요컨대 이 글은 향후 진행될 연구의 선행 작업의 일환으로, 최근의 세속화 이론을 재조명하고 세속화라는 접근법을 한국 근대시의 형성 연구에 적용시킬 수 있는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mphasize the neccesity of analyzing the history of Korean modern poetry in the perspective of secularization. Secularization is selected as an analytical concept which is appropriate to explore the origin of modern interiority and as an extensive methodology for encompassing the historical change of Korean modern poetry. From this point of view, this paper investigates the simultaneity of the construction procedure of the modern interiority and the idea of transcendence. Furthermore this paper aims to prove that the concept of secularization is valid and useful for illuminating the role of Christianity on forming the history of Korean modern poetry. In Chapter 2 I trace the pedigree of secular thesis as a theory, in Chapter 3 I examine the intimac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volutional history of modern literature and the secular thesis. In short, as a preceding research, this paper rexamines the recent theory of secularization in order to lay the theoratical foundation for applying the secularism to the domain of Korean modern literature.

      • KCI등재후보

        19세기 이탈리아 민족시인 카르두치; 반 기독교적, 고전주의적 관점 중심

        이정현 ( Joung Hyoun Lee ) 한국이탈리아어문학회(구 한국이어이문학회) 2016 이탈리아어문학 Vol.0 No.47

        오스트리아로부터 해방된 후 이탈리아 통일운동Risorgimento의 시기인 19세기는 이탈리아인들에게 있어 역사적으로 중요한 시기이며, 그한가운데 이탈리아 국민을 사랑하고 진정한 이탈리아의 해방을 찬양하며 민족의식을 고취시킨 위대한 민족시인 카르두치가 있다. 그의 애국심은 유수한 작품들에 녹아들어 이탈리아 국민들이 자유와 정의로 눈돌릴 수 있도록 이끌었다. 본 논문에서는 그의 작품들을 1) 고전주의적관점과 2) 반 기독교적 관점, 양방향으로 조망한다. 그리고 그의 문학작품에 나타난 이 두 관점은 결국 이탈리아인의 우수성을 일깨우고 진정한 독립을 향한 애국심을 고취시키기 위한 카르두치의 투사 방법이었음을 살펴본다. 본 논문에서는 첫 째, 통일을 위해 애국심이 요구되는 당시 이탈리아시대를 감안할 때, 적어도 카르두치의 관점에서는 다소 감상적일 수 있는 레오파르디와 같은 낭만주의자와 그와 다른 시각의 고전주의자 카르두치의 관점을 비교한다. 둘 째, Inno a Satana(1863) 와 Giambi edEpodi(1867-1879)와 같은 작품들을 통해 이탈리아 통일에 방해가 되는 로마 카톨릭 교회에 강하게 반발하는 반종교적 정신을 소고한다. 셋 째, Rime(1857), Rime nuove(1887), Odi barbare(1878-1889)와 같은 그의 후반 작품들을 통해 찬란했던 역사의 부활, 고대 로마의 영광과 그 정신으로 돌아가고자 하는 카르두치의 고전 정신을 살펴본다. 결론적으로, 카르두치는 해방 이탈리아를 염원하는 ‘애국주의자’의 입장에서 통일 정신을 저해하는 교회에 적대감을 드러낸 ‘반 카톨릭 정신’을 시로 표현하였다. 둘째, 그는 ‘민족주의자’로서 고대 로마의 정신을 이어받아 본래 이탈리아인이 가졌던 우수한 국민성을 상기시키려 하는 ‘고전 정신’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가는 이 논문에서 카르두치를 시자체가 가지는 미를 추구하는 예술가로서 의의를 두지 않았다. 그는 동시대에 어쩌면 사치일 지도 모르는 예술성이나 내적 감성을 추구했던 낭만주의에 반하였고, 오히려 반 기독교정신과 고전주의로 무장하여 민족주의와 애국심을 투사시켰으며 그 시대와 국민이 실질적으로 필요로하는 ‘유용한utile’ 시를 선택한 시인이었다고 고찰하는 데 이 연구의 의의가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리어왕』의 비평의 흐름

        윤희억(Hee-uhk Yoon) 한국셰익스피어학회 2008 셰익스피어 비평 Vol.44 No.2

        Until the 1960s, Christian readings have prevailed over criticism of King Lear. Despite the mixture of the play's pagan setting and the Christian allusions crossing this play, many critics tried to read traditional Christian messages, centering on the pattern of sin, suffering, self-awareness and redemption. However, Barbara Everett's skeptical reading in 1960 stays away from the idea of King Lear as a dramatized Christian pattern of sin, sacrifice and redemption. Elton also refuses to see this tragedy as a drama of suffering and redemption within a just universe ruled by higher powers. These critical debates on the significance of King Lear have hitherto neither shown any interest in the play's contemporary social implications or its past political power system, nor have tried to reconsider and reinterpret these historical contexts from the modem point of view. But the 1980s spawned theoretically well-armed criticism on Shakespeare's plays. Shakespeare studies have taken quite a different shape in modem literary theory, getting themselves out of the climate of traditional criticism. In recent years deconstruction, feminism, new historicism and cultural materialism show striking changes in the interpretation of King Lear, drawing contemporary historical documents into literary texts and highlighting political power, gender, and race. They are becoming the main critical movements currently delving into another aspect of significance of Shakespeare's plays. This fresh blooming of new criticism deals with oppressive structures of power and gender in Shakespeare's world and our own through new kinds of theoretical development. In this context, I believe that it is worth surveying the whole trace of change in the critical history of King Lear from 1800 to the present.

      • KCI등재
      • KCI등재

        하아디와 로렌스 문학에 나타난 자연주의적 성향

        양영수 한국로렌스학회 2007 D.H. 로렌스 연구 Vol.15 No.1

        It can be soundly said that two different elements of idiosyncratic view of the Nature, those of romanticism and naturalism, are characterizing Thomas Hardy and D. H. Lawrence The former element came from time-hornored tradition beginning with the primitive society and lies roughly in common with Christianity in terms of spiritual force immanent in the Nature The latter element was formed together with the modern scientific view of the universe, Darwinism in particular, which tends to look on human life in the light of natural law Hardy's literary world is, however, only limitedly naturalistic since it lacks strict application of scientific analysis and dispassionate reasoning while including pathetic and myterious features Hardy so often falls into sentimental imagination when he introduces the natural law of the survival of the fittest or the genetic inheritance Lawrence's literary world is situated at the intersection of the two ways naturalist-materialist reading of the universe expounded by Darwinism and the transcendentalist-vitalist reading of the romantic Nature tradition Comprehensively speaking, such points of comparison as following can be mentioned Firstly, the nature in Hardy's world looms as formidable and antagonistic to human purposes while Lawrence's nature is viewed as the sources of bountiful vitality and inspiration Secondly, enthusiastic lovers in Hardy's literature suffer from final frustration even in the heart of natural habitation, while Lawrence's loving characters meet more successful outcomes with the helping influence from the nature Thirdly, Hardy's literary characters in general undergo the climax of insignificance of life at the moment of their death, while most of the characters in Lawrence's literature go through the magnificence and reverence of life right on their deathbeds, with the former inclined to reductive meaning of life and the latter to expansive meaning of life.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