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금단증상을 가진 알코올리즘 환자에 대한 임상적 고찰

        이귀행,유세종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96 신경정신의학 Vol.35 No.3

        1994년 6월 1일부터 1995년 5월 31일까지 원광대학교 부속병원 신경정신과에 알코올관련 장애로 입원한 14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을 무금단군과 금단군 및 금단섬망군으로 분류하여 대상환자들을 나이 및 성, 교육 년수, 음주 진행가정, 음주빈도, 동반된 신체질환, 단주의지, 전반적 기능 평가 척도(GAF), 금단증상 분포를 비교하였다. 1) 교육 년수는 무금단군(10.3년)이 다른 두 군〔금단군(7.8년), 금단섬망군(8.4년)〕보다 길었다(p<0.05). 2) 매일 술을 마시는 경우는 금단섬망군(96%), 금단증후군(80.3%), 무금단군(67.9%) 순으로 많았다(p<0.05). 3) 동반된 신체질환은 금단섬망군(72.0%), 금단군(43.9%), 무금단군(34.0%) 순으로 많았다(p<0.05). 4) 단주에 대한 의지는 무금단군(67.9%), 금단군(56.1%), 금단섬망군(28.0%) 순으로 많았다(p<0.05). 5) 현재 기능척도, 지난 해 최고 기능척도(current GAF), (past year highest GAF) 모두는 무금단군(31.6±11.5), (71.6±9.1), 금단군(27.1±9.0), (66.9±10.8), 금단섬망군(20.2±3.7), (65.6±8.0)의 순으로 높았다(p<0.01, p<0.05). 입원한 알코올 환자에서 금단과 섬망에 따라 집단을 나누고, 이를 금단이나 섬망이 없는 집단과 비교하였다. 무금단군 및 금단군 보다 금단섬망군에서 교육기간이 짧고, 술을 매일 마시며, 금단의지가 약하고, 기능수준이 떨어지며, 동반된 신체질환이 많은 경향을 보였다. The authors surveyed the basic demographic data, diagnostic distribution, progression and frequency of alcohol drinking, associated physical diseases, patient's abstinence will, global assessment of functional scales, distribution of alcohol withdrawal symptoms for 144 admitted alcoholic patients, which had performed at the department of neuropsychiatry, Wonkwang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from June 1, 1994 to May 31, 1995. They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which were those without alcohol withdrawal symptoms(group A), those with alcohol withdrawal symptoms(group B) and those with alcohol withdrawal delirium(group C).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 mean period of education showed a difference between group A(10.3 years) and other two groups, group B(7.8 years) and C(8.4 years)(p<0.05). 2) Daily alcohol drinking appeared 96% in group C, 80.3% in group B and 67.9% in group A(p<0.05). 3) Physical diseases associated with alcohol drinking appeared 72.0% in group C, 43.9% in group B and 34.0% in group A(p<0.05). 4) The abstinence will appeared 67.9% in group A, 56.1% in group B and 28.0% in group C(p<0.05). 5) Current GAF and past year highest GAF were 31.6±11.5, 71.6±9.1, in group A, 27.1±9.0, 66.9±10.8 in group B and 20.2±3.7, 65.6±8.0 in group C(p<0.01), (p<0.05). The results impressed us that group C, assumed as the most severe group, had less educational period, more daily drinking, weaker abstinence will, lower general function, more associated physical diseases than other groups.

      • KCI등재

        전통의 관점에서 고찰한 포박자 갈홍의 연단술

        정우진(Jung, Woo-jin) 한국도교문화학회 2013 道敎文化硏究 Vol.39 No.-

        연단술은 내단의 토대가 된 양생술로서 도교의 주류수양론이라고 할 수 있는 내단술 이해에 도움이 될 뿐 아니라, 동양과학연구의 좋은 소재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내의 연단술 연구는 기본적인 문헌연구조차 되어 있지 않은 형편이다. 문헌연구의 부족에도 불구하고 행해진 어떤 일반화는 연단술 이해에 잘못된 편견을 초래하고 그런 편견은 연단술의 여실한 이해를 방해한다. 예를 들어, 동양 외단술이 장생불사를 목적으로 함에 반해, 서양의 연금술은 금의 조제를 통한 부귀를 목적으로 한다는 생각을 들 수 있다. 또한 ?주역참동계?의 후한대 성립설도 외단술 연구자들에게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는 위험한 가정이다. 이런 상황은 신뢰도가 높은 문헌의 체계적 이해가 선행되어야 하는 이유를 설명해준다. 본고에서는 초기 외단술을 전통에 집중하면서 검토했다. 그리고 외단술이 양생술에서 어떤 위치를 차지하고 있었는가? 외단술은 어떤 전통을 지니고 있었는가? 초기 외단술에서 만든 것은 무엇이며, 그것은 어떤 과정을 거쳐서 만들어졌는가? 라는 세 개의 질문을 구성했다. 『포박자』 ?금단?편과 ?황백?편은 가장 신뢰도가 높은 외단의 초기 문헌이다. 위진시기의 양생술을 종합 정리한 갈홍은 양생술을 크게 복약, 행기, 방중, 도인의 넷으로 나누고 있다. 이 외에도 부적술과 같은 것이 있지만, 그건 주류가 아니었다고 생각한 듯하다. 복약은 ?선약?편에 나오는 선약의 복용과 ?금단?, ?황백?편에 나오는 단약의 복용으로 나눌 수 있다. ?선약?편에 나오는 선약 중에는 석약이 큰 비중을 차지하기 때문에, ?금단?편이나 ?황백?편과 함께 묶을 수도 있지만, 갈홍은 금단이나 황백을 선약보다 중시한다. 그리고 황백보다 금단을 중시한다. ?금단?편과 ?황백?편의 전수에는 좌자가 중요한 역할을 했다. 좌자의 위로 거슬러 올라가면 ?금단?편보다 ?황백?편의 전수가 더 믿을 만하다. 이 점은 ?금단?편에서 말하는 수은의 조제법이 좌자에게서 시작되었을 가능성을 높인다. ?금단?편에는 『태청단경』?과 ?『구정단경』, 그리고 ?『금액단경』의 세 문헌이 등장한다. 『태청단경』에서 만드는 것은 산화수은이다. ?『구정단경』?도 다르지 않은데, 이 점은 ?『구정단경』에 단약의 특별한 조제법이 보이지 않는 것으로부터 추정할 수 있다. 도장에 실려 있는 ?黃帝九鼎神丹經訣?은 ?『태청단경』?의 편집본으로 보인다. 그리고 ?抱朴子神仙金?經?은 ?『금액단경』의 후기 편집본으로 추정된다. ?『태청단경』에서 만드는 것은 산화수은이고, ?금액경?에서 만드는 것은 금 아말감을 초제(醋制) 등의 방식으로 액화시킨 것이다. 금과 수은 외에도 기타 여러 중금속이 들어가 있는 액체라고 보면된다. ?황백?편에서 만드는 것은 금과 은이다. 금은 아말감을 이용한 것이 아니고 납을 태우는 회취법으로 얻어진다. 은은 납의 가역반응을 이용한 것이다. I think Baopuzi is the most truthful literature of chinese alchemy. I investigated Ge Hong"s alchemy focusing on the tradition in this treatise. If we got the tradition of chinese alchemy at the early stage, We would be able to more exactly explain the effect of external alchemy on inner alchemy. His work, Baopuzineipian抱朴子內篇 is completed 317. Two chapters of the Baopuzi are especially devoted to alchemy. The chapter jindan金丹 focuses on the Taiqing jing太淸經, Jiudan jing九丹經, Jinye jing金液經. The chapter huang bai黃白 contains recipes of gold and silver. References in later texts show that the three scriptures mentioned above formed the nucleus of the main alchemical corpus in early china. These scriptures were transmitted by Zuo Ci左慈. But looking back from Zuo Ci 左慈, There is difference between the two lineages. The lineage of huang bai 黃白(art of making gold and silver) starts from Zuo Ci. Ge Hong don"t say anything before Zuo Ci about this lineage except some histrocal facts. On the contrary says quite concrete mythological lineage in the chapter jindan which starts from Huang Di黃帝 then transmitted to Lao Zi. I guess that the lineage of huang bai is more reliable and huang bai art is older than jindan art. For the lineage from Huang Di to Lao Zi老子 can"t be trusted. The method explained in Jiudan jing aims at the making of elixir, which is mercury. Mercury is used in making gold by amalgamation. This use gave the thinking that mercury could make body like gold, that is, immortal. Taiqing jing explains nothing about how make elixir. Maybe, the reason would be that the way is same to Jiudan jing. The method explained in Jinye jing is how to make jin ye金液 with the amalgamation of gold, mercury, etc. Some post-versions of these literatures are found in Dao Cang道藏, the corpus of Daoism. Huangdi Jiuding Shendan Jingjue黃帝九鼎神丹經訣 and Baopuzi Shendan Jinzhuo Jing抱朴子神丹金?經 seem to be those of Jiudan jing and Jinye jing. The chapter huang bai explains how to make gold and silver.

      • KCI등재

        이도순의 ‘태극’ 중심의 3교합일론

        김주영 동양고전학회 2022 東洋古典硏究 Vol.- No.86

        원나라 시기 전진도 도사 이도순은 태극을 중심으로 한 유불도 3교합일론을 제시한다. 이도순은 금단남종파(金丹南宗派)의 계보를 이으면서도 자신을 북종(北宗)인 전진도(全眞道) 도사로 규정한다. 이는 이도순이 금담남종차의 수련이론을 전진도의 3교합일론과 결합하였다는 의미를 갖는다. 초기 전진도는 3교합일을 주장한다. 하지만 사상적인 측면에서 3교합일의 내용이 구체적으로 드러나지 않았다. 다만 초기 전진도는 승려주의의 관점에서 수행과 고행을 중심으로 한 3교합일론을 제시하였다. 이도순은 전진교의 3교합일론을 이으면서도 도교의 관점에서 3교합일론을 사상적으로 완성한 인물로 평가받는다. 기존 연구에서 이도순의 3교합일의 근거와 철학적 의미는 연구되지 않았다. 기존 연구들은 이도순이 3교합일론에 바탕하여 체계화한 수련이론을 중심으로 논의하거나. 이도순이 3교합일론을 진행하게 된 사상적 흐름을 논의하거나, 천서로 인정받는 도교 경전이 이도순의 『중화집』에 의해 인간의 손에 의해 탄생하게 된다는 의미를 해명하고 있다. 따라서 이도순의 3교합일론에 근거가 무엇인지, 어떠한 논리로 3교합일을 이루는지에 대한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 논문은 이도순의 3교합일의 근거인 진성(眞性) 본체론과 태극론을 중심으로 논의를 진행하였다. 이도순은 진성 본체가 유교에서는 태극이고, 도교에서는 금단이며, 불교에서는 진여라는 논리를 펼친다. 이 진성 본체는 파괴되지 않는 궁극적인 것이기에, 이를 표현하는 방법으로 ‘○’을 사용한다. 그러면서 진성인 금단의 체인은 단순한 정(精)과 기(氣)의 수련을 통해 단(丹)을 형성하는 것이 아니라, 이를 넘어서 원신(元神)을 회복하는 금단(金丹)의 완성으로 이어져야 한다고 본다. 이 금단의 경지는 불교의 원각(圓覺)이나 유교의 태극(太極)과 같은 경지로, 어떤 기준을 세워 말할 수 없는 것이다. 이 기준을 세워 말할 수 없는 것을 태극, ○으로 표현할 수 있다고 보았다. 그래서 불가에서는 원각(圓覺), 도교에서는 금단(金丹), 유교에서는 태극(太極)이라고 하더라도, 이는 표준을 세울 수 없는 것에 대한 표현이기에, 동일한 공부로 방도만 달리하지, 모두 태극(太極)으로부터 나온 것’이라고 말한다. 이도순이 태극이라는 용어와 그것에 대한 표현으로서 ‘○’를 가지고 3교의 궁극적 경지를 통합하였는데, 그러한 통합이 가능한 내용이 있었는지를 검토해 보았다. 주렴계의 「태극도」에 대한 검토를 통해서는 이도순이 「태극도」의 만물발생론을 거슬러 역으로 수행하는 수행을 주장하는데, 이는 도교의 내단사상의 흐름을 견지한 것이다. 또한 『노자』 42장의 “道生一, 一生二, 三生萬物”의 논리를 역으로 거슬러 수련하는 것도 역시 주장한다. 이는 진단의 「무극도」의 수련과 맥락이 맞닿아 있다. 그리고 그 궁극처를 ‘○’으로 표현하고 있다. 그리고 이도순이 불교의 원각을 유교의 태극과 도교의 금단과 등치시키는데, 이 논리는 당말 북송시기의 불교 도상에서 그 근거를 찾을 수 있다. 불교의 『대승기신론』의 一心二門의 사상을 도상으로 그린 것과 아뢰야식도를 통해서도 불교의 진심(眞心), 대승법체(大乘法體)에 대한 도상적 표현이 ‘○’이었다. 이도순은 원각을 체인하기 위해 ‘○’의 도상을 참작하라고 말한다. 따라서 이도순은 3교의 궁극적 경지는 표준을 세울 수 없는 것이고, 그 표 ...

      • KCI등재

        도교 금단 전통에서 『주역참동계』의 의의

        이대승(Lee, Daeseung) 한국도교문화학회 2016 道敎文化硏究 Vol.44 No.-

        이 글은 “『참동계』는 왜 ‘만고 단경왕’이 되었는가”라는 문제를 중심으로 도교 금단 전통에서 『주역참동계』가 지니는 의의를 살폈다. 『참동계』는 ‘만고 단경왕’ ‘만고의 단경의 개조’ ‘현존하는 세계 最古의 연단 저작’ 등으로 불리면서 연단파의 가장 중요한 문헌으로 추숭되어 왔다. 하지만 『참동계』 이전에 이미 『황제구정신단경』 『태청금액신단경』 등의 연단문헌이 있었다는 점에서 『참동계』는 연단파의 ‘최고’의 저작이 아니다. 또 초기 연단 전통에서 ‘금단대도’를 숭상하여 단정파의 형성을 촉진시킨 것은 갈홍의 『포박자』라고 평가되기에, ‘만고 단경왕’이란 호칭은 『포박자』에 부여해도 무리가 없을 듯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실질적으로 『참동계』를 단경의 개조로 보고 단경의 왕이라 호칭한 이유는 무엇일까. 『참동계』는 음양오행, 역학, 황로, 참위 등 한대 사상을 바탕으로 체계적인 이론 사유를 황백술·연단술에 적용하였다. 이를 통해 연단은 단순히 정로 속의 물질 변화가 아니라 우주에서의 천지만물의 발생변화와 동등한 것이 되었고, 우주 생성의 순서에 부합하고 자연의 질서와 합치하는 이론적 토대를 지니게 되었다. 『참동계』가 진한시기 일부 방사들의 기술로서의 황백술·연단술에 우주론적 합리성을 제공함으로써, 당대이후 연단문헌은 연단에 대해 우주론적 논의를 할 수 있는 논리적인 역량을 확보할 수 있게 되었고 그 과정 속에서 『참동계』는 내외단 전통 모두에 주요한 경전적 근거가 된다. 그리고 송대 이후 『참동계』는 금단전통에서는 ‘만고 단경왕’ ‘만고의 단경의 개조’ 등으로 불리게 되었고, 역학 전통에서는 도교 역학을 기원으로 여겨지게 되었다. 결국 『참동계』가 ‘만고 단경왕’이라 불리게 된 핵심 이유는 연단을 우주론적 논의로 확장시켜 내외단 모두에 적용할 수 있는 이론 근거와 토대를 마련하여 후대 연단서의 경전적 근거가 된 것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article studied the significance of Zhouyi Cantong qi 周易參同契 in the Jindan Tradition 金丹派 by answering the question, “Why does Cantong qi become The King of Alchemical Scriptures of All Times (Wangu danjing wang 萬古丹經王)?” Zhouyi Cantong qi was getting respect as the most important text in Jindan tradition, by calling Wangu danjing wang, Wangu danjingzhizu 萬古丹經之祖, and the oldest alchemy book existing in the world. However, there were already some alchemy books, like Huangdi jiuding shendan jing 黃帝九鼎神丹經, Taiqing jinye shendan jing 太淸金液神丹經 etc., before Zhouyi Cantong qi, so this book is not the oldest alchemy book. Also Baopo zi 抱朴子 of Ge Hong 葛洪 was known as the text that respected Jindandadao 金丹大道 and promoted the Jindan tradition in early alchemy tradition, so it would be find that we call Baopozi Wangu danjing wang. Even though why Zhouyi Cantong qi is called as Wangu danjingzhizu and Wangu danjing wang? Zhouyi Cantong qi applied the Studies on the Changes (yixue 易學) to the early alchemy tradition, so Jindan tradition got a theoretical basis that alchemy was not a mere material’s chemical change but a cosmological change. The book provided the rationality of cosmological theory to the technique of the early alchemy tradition, so after that alchemy texts got a logical capability that argued a alchemy with a cosmological theory. Through these historical process Zhouyi Cantong qi became a kind of the alchemical scripture, and after Song dynasty the book called as Wangu danjing wang, Wangu danjingzhizu etc. Finally, the main reason of calling Zhouyi Cantong qi as Wangu danjing wang is that the book provide the rationality of cosmological theory to alchemy tradition so become a kind of the alchemical scripture.

      • KCI등재

        아편유사제 복용 중인 암성 통증 환자들에서 경구 Oxycodone/Naloxone으로 전환 후 발생한 금단증상

        김정훈,송하나,이경원,강정훈,Kim, Jung Hoon,Song, Haana,Lee, Gyeong-Won,Kang, Jung Hun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2017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Vol.20 No.2

        목적: 경구 oxycodone/naloxone 복합제는 아편유사제에 의해 유발되는 변비를 완화시키거나 예방하는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Naloxone에 의해 oxycodone의 진통 효과가 상쇄되거나 금단증상이 나타난다는 보고는 거의 없었으나 저자는 실제 임상에서 몇몇 금단증상 예를 경험하였기에 이 환자들에 대한 조사 연구를 수행하였다. 방법: 2012년 1월 1일부터 2016년 12월 31일까지 경남 지역 암센터에 방문했던 진행성 암환자들로 oxycodone/naloxone extended-release tablets를 투약 받고 마약 금단증상이 나타났던 환자들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결과: 연구 기간 중 경구 oxycodone/naloxone을 처방 받은 1,641명의 암 환자 중, 총 10예(0.6%) 에서 마약 금단 증상을 겪었다. 금단증상 관련 통증 강도의 변화는 oxycodone/naloxone 투여 전 NRS 3에서 평균 NRS 6점으로 증가하였다. 금단증상 중 오한이 10예 중 7예에서 나타나 가장 많이 나타난 증상이었으며 그 외에 식은땀, 전신 쇠약감, 근육경련, 복부경련(각 5예), 불안(4예), 열, 어지럼증, 의식혼란, 하품(각 2예)의 순으로 빈번하게 관찰되었다. 결론: Oxycodone/naloxone extended-release 복합제에 의한 마약 금단증상은 흔하지는 않아도 적은 수의 환자에서라도 나타날 수 있다. 향후 이에 대한 다기관, 전향적 연구가 필요하다. Purpose: Oral naloxone is combined with oxycodone to alleviate or prevent opioid-induced constipation in cancer pain patients. However, there is still concern that oral naloxone may precipitate opioid withdrawal symptoms in patients on opioids. We retrospectively investigated clinical characteristics of cancer patients who experienced opioid withdrawal symptoms. Methods: We reviewed medical records of all patients who were prescribed with oral oxycodone/naloxone at a tertiary cancer center from January 1, 2012 through December 31, 2016. Eligible patients were screened based on demographics, opioid and naloxone dosages, clinical manifestation and pain intensity. Results: Among a total of 1,641 patients, 10 patients were selected. Seven patients were male, and the average age was 68.1 years. The median dose of naloxone that induced withdrawal symptoms was 20 mg. Most common withdrawal symptom was shivering (seven patients) followed by cold sweating (five), and muscle twitching (five). Other symptoms included restlessness, fever, dizziness, and yawning. Pain was exacerbated from the median intensity of numeric rating scale (NRS) 3 to NRS 6. Conclusion: Opioid withdrawal symptoms may occur when switching to oral oxycodone/naloxone for cancer patients who have been treated with other strong opioids. A prospective, multicenter study on this issue should be conducted in future.

      • KCI등재

        고구려 고분 벽화와 금단(金丹) 도교의 세계관 - 오회분4호묘와 강서대묘를 중심으로 -

        김윤경(Kim, Youn-gyeong) 사회와철학연구회 2020 사회와 철학 Vol.0 No.39

        5세기 고구려 고분 벽화 속 신선과 도교의 상징물은 7세기 도교가 중국으로부터 전래되었다는 가설을 반박한다. 사실 도교가 가지고 있는 토테미즘 샤머니즘적 특징, 산에 제사를 드리며 복을 구하는 무속적 특징, 장생불사에 대한 욕망 등은 동아시아의 보편적 사유이다. 본 논문은 ‘고구려 고분벽화’ 속 ‘약사발’의 상징과 오회분 4호묘와 강서대묘에 등장하는 ‘황룡(黃龍)’의 의미를 7세기 말에서 8세기 초에 저술된 것으로 추측되는 발해 도교 문헌 『금액환단백문결(金液還丹百問訣)』을 중심으로 탐구하였다. 이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고구려 고분벽화 속의 약사발은 수은과 납의 결합을 통해서 만들어진 약물을 담는 도구를 상징한다. 둘째, 오회분 4호묘(7세기)와 강서대묘(6세기 말 7세기 초)의 황룡은 ‘외단’인 ‘금단’이며, 사신도는 금단의 재료인 ‘수은’과 ‘납’을 상징하고, 금단이 완성되는 법칙으로 이해할 수 있다. 셋째, 고구려 고분벽화에서 금단도교의 세계관을 표현한 것은 수은과 납의 결합이 혼과 백의 결합으로 해석되기 때문이며, 이것은 죽음 뒤에라도 불사의 신선이 되기를 희구한 것이다. 넷째, 6-7세기, 동아시아의 지배계층에서 불사의 꿈을 실현하고자 했던 사회적 열풍이 있었고, 그 열망이 고구려 고분 벽화 속에 투사되었음을 알 수 있다. Goguryeo tomb murals from the 5th Century portraying Daoist immortals and Daoist symbols are evidence which rebut the assumption that Daoism came from China in the 7th Century. In truth, some of the characteristics of Daoism are widely held general ideas throughout East Asian religious thought, such as those of totemism and shamanism. They can be found in Korean shamanism (musok) in the ritual ceremonies performed to mountains and in the praying for luck, among others, which indicate the desire for immortality. This article aim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Waidan Daoism(外丹道敎) in Goguryeo tomb murals. First, I consider the connection between the symbol of Daoist alchemy bowls in Goguryeo tomb murals and Waidan Daoism. Second, I consider the symbolic meaning of the Gold Dragon(黃龍) painted in Kangso Three Tombs, a major controversy in the interpretation of Goguryeo tomb murals. Between the 6th and 7th Centuries, Goguryeo tomb murals expressed the world view of Waidan Daoism as follows. The royal class in Goguryeo tried to fulfill their desire of immortality through Jindan (金丹, golden elixir). They wanted to attain immortality by taking a potion, which was a mixture of mercury and lead. They believed that they could enter into the world of Daoist immortals in the afterlife. This study will offer a new perspective on the world of Korean Daoism between the 6th and 7th Centuries.

      • KCI등재

        흡연갈망과 금단증상이 금연유지에 미치는 영향: 대처와 금연효과지각의 중재효과를 중심으로

        김지희,이영호 한국건강심리학회 2014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Vol.19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moking urges and the withdrawal symptoms on maintenance of smoking cessations, together with the coping and perceived smoking cessation effects which moderate smoking urges and withdrawal symptoms of smoking cessations. In addition, this study also verified if the smoking cessation maintenance group and the failure group have differences in the sample's demographic profiles and smoking behaviors. 144 subjects (68 maintenance and 76 fail)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results showed that low smoking urges and withdrawal symptoms predicted the maintenance of smoking cessations. Moreover, the interactions between smoking urges and coping, and withdrawal symptoms and coping were rather significant. Particularly, coping affects maintenance of smoking cessations even if the smoking urges and withdrawal symptoms are high. Based on these investigations, the clinical implications and several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흡연갈망 및 금단증상이 금연유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이들이 금연유지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서 대처와 금연효과지각이 중재역할을 하는지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20세 이상 성인 316명(남자 290명, 여자 26명)을 대상으로 흡연갈망질문지(QSU-brief), 금단증상척도(MPSS), 대처질문지(TCQ), 금연효과지각척도(The Perceived Smoking Cessation Effect Scale), 니코틴의존도질문지(FTQ), 흡연상황관련스크립트를 실시하였다. 이 중 연구 기준에 맞는 144명을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금연유지자 68명, 금연 실패자 76명). 그 결과, 흡연갈망과 금단증상이 낮을수록 금연을 유지할 확률이 높았다. 또한 금연유지에 대해 흡연갈망과 대처의 상호작용, 금단증상과 대처의 상호작용이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흡연갈망과 금단증상이 높더라도 적절한 대처를 사용하면 금연을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임상적 의미와 적용, 제한점 및 추후 연구과제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행동중독으로서의 일중독과 성차

        차운아(Oona Cha) 한국인사관리학회 2022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Vol.46 No.4

        본 연구는 일중독을 행동중독의 일종으로 정의하고 행동중독 요소 중 일중독의 현저성과 금단에 주목하여 일중독에서의 성차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일중독 현저성과 금단이 사적관계손상을통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이르는 경로 모형을 확인한 후 이에 대한 다집단분석을 수행하여 (1) 일중독의 현저성과 금단 관련 성향에 있어서 남녀 집단 간 차이가 존재하는지, (2) 일중독이 사적관계손상을 매개로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서 남녀 차이가 존재하는지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노동연구원의 한국노동패널조사자료 중 임금 상용직 근로자의 17차(2014년) 부가조사자료의 일중독 척도와 18차(2015년) 개인용 설문 응답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일중독 척도 점수에서의남녀 집단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잠재평균분석을, 일중독 매개모형에서 남녀 집단 간 경로계수에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성별 집단에 대한 경로계수 비교 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 결과는다음과 같다. 첫째, 잠재평균분석 결과 유의한 집단 간 차이는 일중독 현저성에서만 발견되었으며, 남성이 여성보다 유의하게 높은 수준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그 효과크기는 크지 않았다. 나머지 변수들, 즉 일중독 금단, 사적관계손상, 직무만족, 조직몰입에서의 남녀 집단 간 차이는 유의하지않았다. 둘째, 남녀 집단 간 경로 계수 비교 분석 결과 일중독 중 금단이 사적관계손상에 이르는 경로에서 유의한 집단 간 차이가 발견되었다. 금단 증상 정도가 높을수록 사적관계손상을 더 심하게 경험하였는데 이러한 관계는 특히 여성에서 더 강하게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의 시사점과일중독 연구에서의 성차 연구 방향,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을 차례로 논의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potential gender group differences regarding work addiction, especially conceptualizing workaholism as a behavioral addiction. Focusing on the two components of behavioral addiction, i.e., salience and withdrawal, the study used a model to examine whether two components of work addiction could predict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rough personal relationship impairment and examined potential gender differences regarding work addiction. Using the multi-group analysis of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analyses on gender differences were implemented in two directions: First, gender group differences in the scores of the two components of workaholism were examined using latent mean analysis; second, gender differences in the paths of the mediation model were examined using the test of the structural model invariance across the group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gender group difference in salience, but not in withdrawal; salience was higher for men than women but the effect was relatively small. Second, a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 was found in the path between withdrawal and personal relationship impairment. Specifically, withdrawal significantly increased personal relationship impairment in both men and women; however, the relationship was significantly stronger for women. Future directions for research on gender in work addiction are discussed, along with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 KCI등재

        정비석의 『금단의 유역』 연구 - ‘혼부라’ 문화와 등장인물의 상관관계를 중심으로

        박수빈 한국비평문학회 2023 批評文學 Vol.- No.89

        1939년 조광에 연재된 정비석의 『금단의 유역』은 그의 첫 장편 대중소설임에도 지금까지 제대로 된 연구가 이루어지지 못했다. 본고에서는 기존 문학사에서 정비석과 그의 작품들이 다루어진 방식에 주목하여, 그간 연구대상이 되지 못했던 이 작품을 새롭게 의미화하고자 했다. 1930년대 경성을 배경으로 하는 『금단의 유역』에는 지금의 충무로인 본정통을 주무대로 모던을 즐기던 조선인 청년들의 ‘혼부라’ 문화가 잘 묘사되어 있다. 소설은 이러한 1930년대만의 문화풍속도를 실감나게 전개하면서도, 시대를 초월하는 사랑과 욕망에 대한 진지한 메시지를 담고 있다. 또한 이 작품은 본격적으로 대중소설가로 전환하기 이전, 과도기의 정비석을 가장 잘 보여주는 작품이라고도 할 수 있다. 표면적으로는 복잡한 남녀 관계와 그들의 애욕을 그리는 통속적인 연애/대중소설의 외피를 입었으나 그 내부는 예술론과 문학관을 담은 예술가소설에 가깝기 때문이다. 그렇게 『금단의 유역』은 미완의 연애소설이 되지만, 종교와 예술이라는 절대적 가치를 수호하는 ‘윤리적 인간’에 대한 고뇌를 통해 시대를 초월하는 메시지를 남긴다. 『The Forbidden Basin』, a novel which was published regularly in Jogwang in 1939, was Jeong Biseok’s first long popular novel, but it has not been properly studied. For this paper, efforts were made to give a new meaning to this novel which so far hasn’t been studied, focusing on the ways through which the novelist and his works were treated in the existing literature history. 『The Forbidden Basin』, set in Gyeongseong in the 1930s, describes the ‘Honbura’ culture of the Joseon youth who enjoyed modernity in Bonjeongtong, currently Chungmuro, as the main stage. The novel realistically develops such cultural customs of the 1930s and contains sincere messages about love and desire which transcend the times. In addition, it can be said that the novel best shows Jeong Biseok in the transitional period before he really became a popular novelist. It is because on the surface, the novel wears the skin of a love/popular novel depicting complicated men-women relationships and their passion, but internally, it is close to an artist’s novel containing an art theory and a literature view. Like this, 『The Forbidden Basin』 is an unfinished love novel, but it leaves a message transcending the times through the agony for ‘ethical men’ who protect absolute values of religion and art.

      • KCI등재후보

        골프참여자들의 운동중독과 삶의 질의 관계

        김윤래 한국스포츠학회 2017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5 No.3

        본 연구는 골프운동에 참여하는 성인 남성을 대상으로 운동참여 정도에 따른 운동중독과 삶의 질의 차, 그리고 운동중독과 삶의 질과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결과 운동빈도에 따른 운동중독은 금단증세, 감정적 애착, 운동욕구는 빈도가 많을 수록 유의하게 높았으며, 운동시간의 경우 금단증세는 차가 없으나 감정적 애착과 운동욕구는 운동시간이 길수록 의미 있게 높았다. 운동경력에 따른 운동중독의 경우 감정적 애착은 차가 없으나 금단증세와 운동욕 구는 운동기간이 길수록 유의하게 높았다. 그리고 삶의 질의 경우 삶의 느낌과 삶의 만족 모두 빈도가 많을수록 의미 있 게 높았으며, 운동시간에 따른 삶의 질은 유의한 차가 없었다. 운동경력의 경우 삶의 느낌과 삶의 만족 모두 경력이 많을 수록 의미 있게 높았다. 운동중독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의 경우 금단증세는 삶의 질에 부적, 감정적 애착과 운동욕구 는 삶의 질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research was for investigating the difference and relationship between exercise addiction and quality of life in golf participation. The method of the statistical analysis used in the study, were exploratory factory analysis, internal consistency analysis, one-way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Here’s the result of research. First, the exercise addiction in participation frequency, withdrawal symptom, emotional attachment, and desire of exercise were significantly high as frequent as participated. The exercise addiction in exercise hour, the withdrawal symptom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ut the emotional attachment and exercise desire were high as much as worked out. The exercise addition in exercise experience, the emotional attachment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ut the withdrawal symptom and excercise desire were high as long as experienced. Second, the Quality of life in participation frequency, feeling of life and satisfaction of life were significantly high as frequent as participated. The Quality of life in exercise hour, feeling of life and satisfaction of life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The Quality of life in exercise experience, feeling of life and satisfaction of life were high as long as experienced. Third, the withdrawal symptom had negative influence on quality of life. The emotional attachment and desire of exercise had positive influence on quality of lif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