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금강산의 고려시대 불교유적

        이태호(Lee, Tae Ho) 명지대학교 문화유산연구소 2012 미술사와 문화유산 Vol.1 No.-

        금강산과 불교의 만남은 삼국시대에 이루어졌다. 삼국의 대표적인 승려들과 연관을 보여주는 보덕암·장안사·건봉사·정양사 등의 창건설을 통해서 금강산과 삼국의 관련이 명확하게 보여진다. 신라이후 불국으로서의 금강산의 위상은 고려를 건국한 태조 왕건으로부터 이성계의 신왕조 발원까지 고려시대에 가장 높았다. 이는 현존하는 고려시대의 석불과 석탑, 석등, 마애불 등을 통해 충분히 살펴진다. 금강산의 고려 초기 불교 유적으로는 정양사 삼층석탑과 석등과 석불, 금장암 사사자 삼층석탑과 석등을 꼽을 수 있다. 금장암 사사자 삼층석탑과 공양인물상 석등은 지리산 화엄사의 양식을 모방한 형식이다. 정양사 삼층석탑은 신라식 석탑 계열로 보이나, 석탑과 석등을 한 무리로 제작한 것으로 미루어 제작 시기는 고려 초인 10세기에 가깝다고 여겨진다. 석등의 경우, 신라의 늘씬한 팔각형 석등과 달리 육각형의 특이한 구조이다. 또한 정양사의 약사전에는 각형의 대좌위에 모셔진 석불이 있다. 허리를 곧게 세운 석불의 자세와 법의와 주름, 상호의 투박한 안면 표정에서 고려 초기의 형식미를 볼 수 있다. 금강산에서 가장 전형적인 고려 불상조각으로 고려 전기의 묘길상을 들 수 있다. 앉은키가 15m, 얼굴과 손발 길이가 각각 3m가 넘는 크기의 묘길상은 10~11세의 전형적인 돌부처, 거불 양식을 따른 마애불이다. 묘길상 앞에는 3.6m 가량의 석등이 놓여 있는데, 고려시대에 유행하던 사각석등의 가장 단순한 형태미를 지니고 있다. 고려 후기에는 고위관료나 문인들을 비롯해 서민들까지 금강산을 찾는 사례가 부쩍 증가했다. 또한 금강산의 명성은 멀리 원나라까지 알려져 금강산도를 원 사신이 가져가거나, 원 왕실에서 금강산 사찰에 불공을 올리는 일도 빈번해졌다. 또한 금강산에서는 고려 말 금동불들이 출토되었는데, 고려 후기에 유행한 원나라 불교 라마교 형식의 불상을 연상케 한다. 표훈사 입구 길가에는 큰 바위 한 쌍이 나란히 서있다. 오른쪽 암벽 전면에 3.7m 높이의 삼불입상이 부조되어있다. 하트형 연꽃잎의 족좌, 얼굴이 크고, 얕은 부조감을 살리기 위해 세심하게 다듬은 눈매와 일자형의 꼭 다문 입술표현 등이 인상적이다. 금강산 월출봉에서 출토된 이성계 발원의 사리기는 조선시대로 전환되는 고려 말 백자들의 새로운 변화를 잘 보여준다. 〈은제도금 라마탑형 사리기〉는 원나라의 영향을 받은 고려 후기의 새로운 형식을 잘 보여 준다.

      • KCI등재

        조선시대 유자(儒者)의 공간의 의미화 양상과 그 의미 - 금강산 유산기(金剛山遊山記)를 중심으로 -

        박은정(Park Eun-jung) 숭실대학교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2020 한국문학과 예술 Vol.34 No.-

        금강산을 유산하는 자들은 유산(遊山)의 경험과 정보를 서로 주고받으면서 개인적 유산의 체험을 집단적 유산의 체험으로 확장시켰다. 그 결과유산기는 개별적이고 개인적인 체험의 기록임과 동시에 유람을 통해 서로의 기억을 확인하고 확장하고 축적했던 집단의 기록이 되었다. 유산자들은 이 유산기를 통해 금강산이라는 공간에 대한 기억을 함께하고 의미를 공유하였다. 본고는 이러한 사실에 주목하여 조선시대 유자들이 산이라는 공간을 개인적 체험의 경계를 넘어 집단적으로 소비하고 의미화하는 양상을 살피고, 그 과정 속에 내재된 의미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유자들이 금강산을 의미화하는 양상은 세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첫 번째는 이름없는 장소에 이름을 부여하거나 기왕에 있던 이름을 자신의 뜻에 맞게 개명하는 것으로, 이는 적극적으로 공간을 의미화하는 작업이다. 명명(命名)과 개명(改名)을 통한 공간의 의미화 작업은 개인적 차원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유산기 속 기록이나 승려의 입을 통해 집단으로 확대되었다. 두번째는 유산자들이 공간에 이름이나 시를 새기는 각자(刻字) 행위를 들 수 있다. 각자는 뒤에 오는 사람들에게 먼저 다녀간 사람을 기억하게 하는 행위였을 뿐만 아니라, 그들만의 장소로 공간을 의미화하는 구체적인 행위였다. 세 번째는 유교적 형상화를 통한 공간의 의미화이다. 유산자들이 유산의 체험을 형상하면서 유가 경전 구절을 인용하거나 중국 시인의 시구와 자신의 체험을 동일시하거나 또는 유가적인 이상공간으로 묘사하는 것 또한 유자들이 공간을 의미화하는 행위였다. 유산기 속에 그려진 금강산에 대한 유가적 형상화는, 유산기를 읽는 사람들에게 선험적으로 금강산이라는 공간을 유교적 공간으로 각인시키는 작용을 하게 된다. 이처럼 조선시대 유자들은 금강산을 유람하면서 개인의 체험과 감상을 형상화하는 데만 집중한 것이 아니라 금강산의 의미를 새롭게 구축하고자 노력하였다. 금강산의 불교적 색채를 다양한 방식으로 지우고 그 위에 유교의 새로운 의미를 덧씌우려 부단히 노력하였다. 이것은 불국토를 유자의 공간으로 환원시키려는 조선시대 유자들의 노력의 일환이었으며, 금강산을 자신들의 공간으로 만들고자 했던 욕망이 내재된 행위였다. 산을 단순한 지리공간이 아니라 하나의 인문공간으로 이해했기에 가능했던 일이었다. Travelers of Geumgangsan(Mt. Geumgang) expanded from the experience of personal travel to the experience of collective travel by repeating process of that they influenced and were affected each other through Geumgagnsan Usangi(金剛山遊山記: records of travel in Geumgansan). Therefore, Usangi was a record of individual and personal experiences, and at the same time, it was a group record that confirmed, expanded and accumulated each other’s memories through sightseeing while sharing Usangi. Travelers shared memories and meanings of the space called Geumgangsan through Usangi. In this regard, this study looked at the aspect of collective consumption and semanticization of confucian in Joseon Dynasty beyond the level of personal consumption on the space called mountain with targeting on Geumgagnsan Usangi. Also this study researched the desire of confucian scholars in the process of meaning on the space. There are three aspects of the confucian scholars’ meaning of the Geumgangsan space. The first, hikers gave names to unnamed places or renamed existing names to suit their own will, which was an activity positively meaning space. The work of meaning of space through naming and renaming was not limited to the individual level, but was expanded to work the meaning of collective space through Usangi or the words of monks. The second was the travelers’ act of engraving names or poems on the space. Engraving was not only an act of remembering the person who went first, but also a positive act that meant space as only their own space. The third was the meaning of space through shaping of Confucianism. It was also an act of meaning by the travelers to refer to the passages of the Confucian scriptures or to identify Chinese poet’s poetry with his own experience or to describe the space as confucian space, while shaping the experience of the hiker’s climbing mountain. The shaping of Confucian about Geumgangsan would have worked to people who read Usangi to impress the meaning on the space of Geumgangsan. Confucian scholars in Joseon Dynasty meant their own space with intentionally changing the Buddhist name of the space or confucian shaping the description of Geumgangsan, or engraving their names and carving poems wherever they went, while they traveled Geumgangsan. This was an effort of several methods by Confucian scholars to escape the Buddhist colors of Geumgangsan then to return Geumgangsan to the space of Confucian scholars. The semantic aspect of space in various ways was an act in which Confucian scholars’ desire to make Geumgangsan their space.

      • KCI등재

        금강산의 사찰전승에서 聖의 引入과 俗의 배척 양상 - 聖境지향을 중심으로

        김승호 어문연구학회 2019 어문연구 Vol.101 No.-

        The narratives we've discussed so far have been linked to 'holyness'. Not just the speaker's own belief, but, trying to get the public to understand how sacred the mountain is. In order to make Mt. Geumgang a sacred place, the monks chose to rely on Buddhist scriptures from early times. Claiming that Mt. Geumgang in Bulgyeong and Mt. Geumgang in Korea are the same, it has helped greatly to sanctify Mt. Geumgang. On the other hand, the sacredness of Mt. Geumgang was expressed through the narrative. To be specific, the Yoo Jum Temple, Bodeok Temple stories attract sacredness to Mt. Geumgang, while Geumdong Temple, Young Won Temple stories reject divinity. The arrival of 53 ministries at Yugyeom Temple refers to the arrival of saints in India. The story of the Bodeok Cave is summed up as a self-aware site of Mt. Geumgang, a place where the government fails to live due to lingering expectations, while Mt. Geumgang becomes a place where the government reborn itself as the owner of the Bodeok Cave. The story of Yoo Jum Temple, Young Won Temple, Geumdong Temple stories deals with the dirty of Mt. Kumgang and its healing. According to the story of Geumdong, Geumdong follows false religion, and after a confrontation, he is ousted from Mt. Kumgang. Geumdong reveals the structure of Mt. Geumgang, Naong and Jigong, along with the celestial sphere. The Yugyeom Temple story shows how a Buddhist monk who disregards sacred statues from India is punished, and the story of Young Won Temple shows the will of heaven to expel a Buddhist monk who does not observe the rules and even incinerate a temple that has been defiled by him. The two stories clearly illustrate how the sacredness of Mt. Geumgang has been preserved from the common secular pollution. The folktales so far contain a common outline that the two sides have established a confrontation between sacred and vulgarity and have kept the mountain's scenic beauty in spite of the insubordineness. 이 본고는 금강산 내 사찰의 전승담에 보이는 종교서사로서의 속성, 즉 성스러움의 추구 양상을 살피는데 목표를 둔다. 금강산 관련 설화가 다양하지만 성경 의식이 가장 두드러지는 것은 산내에 위치한 제 사찰들의 연기담이라 보고 이들을 통해 성현 현상을 주목하고자 하는 것이다. 금강산에 대한 성경화 작업은 대체로 聖의 引入과 俗의 排斥, 이 두 방식으로 진행된다. 우선 聖의 引入현상은 불경 내 금강산과 국내 금강산을 동일시하는 시각에서 찾아진다. 이는 국내 금강산의 내력과 불연성을 고취하는 단초 구실을 했다. 아울러 普德窟연기담은 금강산/방산으로 공간을 이원화한 후 方山을 통과제의의 공간으로, 금강산은 神聖性을 담보하는 공간으로 형상화하고 있음이 밝혀진다. 俗의 배척이 잘 드러나는 예로는 金同이야기, 楡岾寺·靈源庵 후일담을 꼽을 수 있다. 금동이야기는 금동/명승간의 正統/異端 가리기를 넘어서 금강산이 異端에 의한 俗化의 위기에서 벗어나 불보살과 고승이 머무는 곳임을 명백히 한다. 유점사 후일담에서는 이미 성현을 함축한 대상을 외면하고 속된 것을 추종할 때 어떤 결과가 따르는 지를 증거한다. 영원암 후일담에도 자신의 임무와 사명을 저버린 주지가 등장하는데 이를 금강산의 穢土로 여긴 神人에게서 가혹한 징벌을 받게 된다. 상기 금강산 설화들은 출현시기가 다르고 내용면에서도 차이가 있다. 그럼에도 한결같이 금강산의 성스러운 기원과 역사를 표방하는 쪽으로 서사가 진행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금강산내 사찰에 얽힌 설화들은 금강산의 聖性을 앞세우고 있다는 점에서 종교담론의 특성을 농후하게 간직한 대표적 사례들이라 말할 수 있겠다.

      • 일제강점기 금강산전기철도주식회사 설립과 금강산개발 실태 - 『금강산전기철도주식회사20년사』를 중심으로 -

        장혜진 ( JHANG Hyejin ) 강원대학교 강원문화연구소 2021 강원문화연구 Vol.44 No.-

        금강산전기철도주식회사는 1919년 설립된 이래, 금강산개발을 주목적으로 철도사업과 전기사업을 겸영하였다. 다만 이는 비단 금강산관광에만 그치는 것이 아니라 금강산 일대의 강원도 권역의 산업 경제성과 성장성, 수익 사업성을 높이 평가한 후에 금강산 철도 부설 및 수력발전 사업을 본격적으로 착수했던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국유(국철) 경원선의 배양선으로서 철원에서 내금강에 이르는 철도를 부설함과 동시에 여객 및 화물 운송의 기대치가 높았던 것은 결과적으로 금강산관광으로의 교통 편의성의 증대와 지역 산업 발전, 물류유통의 활성화, 유동 인구의 증대 등 사회, 경제적으로 기대하는 바가 컸던 것으로 보인다. 즉 단순 관광을 목적으로 했다고 하기 보다는 그것과 연계되는 사회적 경제효과가 컸기 때문에 금강산개발이 더욱 가치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또한 금강산은 일제강점기 동양 최고의 절승지라고 강조하고 있으며, 이는 국내외의 국제 관광지로서의 개발을 목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금강산 자연 풍경과 금강산이 가지고 있는 문화적 시설 등의 유지, 보전을 고려하는 개발이라는 것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일제강점기 일본제국이 주목했던 금강산이라는 공간은, 경제, 문화적 복합 산업이 망라되어 있는 풍부한 자연 자원으로서 가치가 높았으며 이는 오늘날, 또는 미래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할 수 있다. 금강산전기철도주식회사는 이러한 금강산개발에 본격적으로 참여한 기업이며, 근대 금강산개발에 박차를 가하는 데 그 단초를 제공하였다. Since its establishment in 1919, Mt. Geumgang Electric Railway Co., Ltd. has been operating both railroad and electricity projects with the aim of developing Mt. Geumgang. However, it can be seen that the Mt. Geumgang Railway and hydroelectric power generation projects were launched in earnest after highly evaluating the industrial economy, growth, and profitability of the Gangwon-do area around Mt. Geumgang. In other words, the high expectations for passenger and cargo transportation from Cheolwon to Naegeumgang as a culture ship for the state-owned (national) Gyeongwon Line seem to have been socially and economically expected, including increased transportation convenience to Mt. Geumgang tourism, regional industrial development, logistics distribution, and increased floating population. In other words, it seems that the development of Mt. Geumgang was more valuable because the social and economic effect linked to it was greater than that of simple tourism. In addition, it emphasizes that the purpose of developing Japanese colonial era as the best scenic spot in the East as an international tourist destination at home and abroad, and the development takes into account the natural scenery and cultural facilities of Mt. Geumgang. In other words, the space called Mt. Geumgang, which the Japanese colonial era Japanese Empire paid attention to, was of high value as a rich natural resource covering economic and cultural complex industries, which has great implications for today or the future. It can be seen that Geumgangsan Electric Railway Co., Ltd. participated in the development of Mt. Geumgang in earnest and had a leading influence on the development of the modern Mt. Geumgang tourism business.

      • KCI등재

        국립중앙박물관 및 수원광교박물관 소장 「金剛山風景計劃案」·「金剛山探勝施設計劃案」 연구

        김지영(Kim, Jiyoung) 한국고지도연구학회 2021 한국고지도연구 Vol.13 No.1

        이 글은 국립중앙박물관과 수원광교박물관에 각각 소장된 「金剛山風景計劃案」과 「金剛山探勝施設計劃案」의 작 성 경위와 해당 문서를 중심으로 조선총독부의 1930년대 후반 금강산 관광 정책과 공간에 대해 탐구한다. 기존 연 구에서 두 기관에 소장된 「金剛山風景計劃案」은 대체로 1930년에 작성되었다고 여겨졌다. 연구 결과, 두 기관의 「金 剛山風景計劃案」은 1938년 금강산탐승시설조사위원회가 조선총독부 산림부의 금강산국립공원 계획안인 「金剛山風景 計画案」(1931)을 저본으로 작성한 것이다. 1931년 금강산국립공원계획은 1937년 조선총독부 학무국 사회교육과의 금강산탐승시설조사위원회가 설치되면서, ‘금강산탐승시설계획’이란 이름으로 변경되었다.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金 剛山風景計劃案」과 「金剛山探勝施設計劃案」를 중심으로 금강산 관광공간을 살펴본 결과, 1931년 금강산국립공원 계 획 중 도로와 탐승로 설치 계획이 많은 부분 구축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This article explores the background of the creation of Plan for the Landscape of Mt. Geumgang and Plan on Mt. Geumgang Sightseeing Facilities in National Museum of Korea and SuwonGwangGyo Museum, respectively, and Government-General of Korea(GGK)’s tourism policy and space on Mt. Geumgang in the late 1930s. In previous studies, the Plan for the Landscape of Mt. Geumgang in two institutions was estimated to have been written in 1930.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two institutions’ Plan for the Landscape of Mt. Geumgang was written in 1938 by the Committee on Mt. Geumgang Sightseeing Facilities as the original copy of Plan for the Landscape of Mt. Geumgang(1931), a plan for Geumgangsan National Park by the Forestry Department of GGK. The plan for Geumgangsan National Park in 1931 was renamed the plan for Mt. Geumgang Sightseeing Facilities when the Committee on Mt. Geumgang Sightseeing Facilities was established in the Social Education Division of the Bureau of Education of GGK in 1937.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changes in the tourism space of Mt. Geumgang, focusing on the documents of National Museum of Korea, many of the plans for installing roads and trails were established among the plans for Geumgangsan National Park.

      • KCI등재

        일제시기 ‘금강산사진첩’의 금강산 경관 구조화

        김지영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019 문화 역사 지리 Vol.31 No.2

        This study examines “a way of seeing” presented in a series of photo albums of Mt. Geumgang with a focus on the “tourist gaze” as the modern episteme of the Japanese empire. The Japanese-English photo albums of Mt. Geumgang demonstrate how the landscapes of Mt. Geumgang were selected, arranged and framed. Compiled for tourism purposes, the photo albums presented “standards” for where and how to visit with a variety of scenic views. In the process of “framing the landscape,” the dimensions of aestheticization, a place of civilization, and geographical conquest(enlightenment) were added to Mt. Geumgang through the gaze of photographers and editors of the photo albums. Specifically, panoramic pictures of Mt. Geumgang show how the gaze of photographers sought a wider view from a higher point and attempted to expand a vision of Mt. Geumgang. By examining the interplay between the landscape and the gaze politics of photo albums, this study illustrates how the photo albums functioned as a standard for framing the landscape of Mt. Geumgang in relation to the “expansion” of the Japanese empire, as well as an optic through which Mt. Geumgang was represented as a ‘world famous mountain’ beyond the colonial Korea or the Japanese empire. 본 연구는 근대적 인식체계(episteme)로서 ‘보는 눈’에 주목하고, 일제가 식민지 조선에서 영어와 일어로 병기하여 제작한 금강산사진첩을 대상으로 금강산 경관을 ‘보는 방식’을 살펴본다. 일영(日英) 금강산사진첩은 금강산 경관이 선택 및 구성되고 이미지로 틀지워진 결과물이다. 관광진흥의 목적으로 제작된 일영 금강산사진첩은 금강산의 다양한 경관이 선택되고 배열 및 구성되어 관광객에게 방문해야 할 곳과 루트 등을 제시한다. 또한 촬영자와 편집자의 ‘경관의 틀짓기’ 과정을 통해 금강산 경관에 심미화, 문명화의 장, 지리적 정복(계몽) 등의 시선이 더해졌다. 특히, 금강산 파노라마 사진은 사진가의 시선이 더 높은 곳에서 금강산을 넘어 더 넓은 세계를 지향하고자 했는지 보여준다. 본 연구에서는 일영 금강산사진첩의 경관과 시선의 정치의 상호과정을 살펴봄으로써, 사진첩이 금강산을 식민지 조선이나 일본 제국을 넘어 ‘세계적 명산’으로 위치짓는 시선을 체현했으며, 또한 어떻게 금강산 경관의 틀짓기 기준으로 기능했는지를 조명한다.

      • KCI등재

        일제강점기 금강산 관리와 개발의 역학: 1930년 금강산 보승에 관한 타합회를 중심으로

        손용석(Son, Yong Seok) 한국사학회 2024 史學硏究 Vol.- No.153

        이 글은 1930년 초반 금강산과 관련한 일련의 종합대책회의의 개최 배경과 함께 회의의 구체적인 논의 과정에 대한 고찰을 통해서 1930년에 이러한 회의가 개최되었던 역사적 경로를 규명하고 금강산을 둘러싸고 각자 다른 이해관계를 보이는 주체를 포착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금강산 보승에 관한 타합회’는 대외적으로는 1920년대 후반, 일본에서 국립공원 제도 시행과 관련한 구체적인 시도들이 진행되는 것을 배경으로 하고 있었다. 대내적으로는 1929년 조선박람회 개최와 금강산전철 단발령 터널 개통이 계기로 작용했다. 당시 총독부는 금강산을 찾는 탐승객이 크게 늘어나면서 관광자원으로서 금강산이 갖는 가치를 재인식하게 됐고, 1929년 농림대회에 참여한 국립공원 관련 전문가들의 금강산에 대한 높은 평가 역시 총독부가 금강산 관리에 적극적으로 착수하게 된 배경으로 작용했다. 정무총감을 위시로 총독부, 강원도, 금강산전철 관계자까지 참석한 회의에서 산림부는 금강산의 관리를 산림부가 맡는 것이 적절하다는 총독의 의중을 바탕으로 이 회의의 주관부서로 위치를 분명히 했다. 금강산전철은 내금강 장안사 일대의 개발과 함께 내금강에서 비로봉을 거쳐 외금강으로 나아가는 주요 탐승로의 개선 등을 요구하면서 회의를 주도했다. 이를 위해서 금강산전철은 철도계에서 상당한 경력을 쌓아온 안도 마타사부로를 전무로 위촉하면서, 총독부와의 협상력을 높이고자 했다. 금강산전철과 총독부 사이의 의견이 좀 더 극명하게 갈린 부분은 향후 금강산 개발관리에 필요한 예산 조달 방법이었다. 금강산전철은 10년 동안 100만원의 사업비를 확보해야 한다는 예산안을 내세웠지만, 곧바로 철도국의 반발에 직면했다. 철도국은 외금강 온정리를 중심으로 한 관광지 정비를 완성한 상황에서 금강산의 조속한 개발의 필요를 느끼지 못했다. 그리고 1929년 대공황 이후 예산의 추가적인 부담을 극히 경계하고 있는 상황에서 금강산 개발에 예산을 투입하는 것에 대해서 소극적인 태도를 보였다. 또한 금강산전철도 쿠메 사장의 갑작스러운 사망과 금강산 개발을 주도했던 안도 전무의 퇴진 등 내부 상황으로 인하여 추가적인 예산 부담이 어려워졌다. 이에 총독부 산림부가 자체적으로 사업예산을 확보하고자했으나 이마저 무산되면서 금강산 국립공원 지정을 위한 첫 단추를 매끄럽게 끼지 못하는 결과를 낳았다. 이러한 한계에도 불구하고, 1930년 금강산 보승에 관한 타합회는 일제 강점 이후 금강산과 관련한 나름의 이해관계를 구축한 다양한 주체의 입장이 노출, 조정되는 계기로 작용했다. Through an examination of the context in which a series of meetings were held in the early 1930s regarding Geumgangsan, as well as the specific discussions that took place at these meetings, this article aims to identify the historical pathways through which these meetings were organized in 1930 and to capture the different actors with different interests in the mountain. Externally, the meeting was set against the backdrop of concrete attempts to implement a national park system in Japan in the late 1920s. Internally, it was triggered by the 1929 Chosun Expo and the opening of the Geumgangsan Railway’s Danbaljeong Tunnel. The significant increase in the number of tourists visiting Geumgangsan made the governor general realize the value of Geumgangsan as a tourism resource, and the high evaluation of Geumgangsan by national park experts who participated in the 1929 Agriculture and Forestry Congress also contributed to the governor general’s decision to actively manage the mountain. At the meeting, which was chaired by the Chief Minister and attended by representatives from the General Administration, Gangwon Province, and Geumgangsan Electric Railway, the Ministry of Forestry made its position clear as the organizer of the meeting, based on the Governor General’s intention that it was appropriate for the Ministry of Forestry to take over the management of Geumgangsan. Geumgangsan Railway led the meeting by calling for the development of the Jangansa area of the Inner Geumgang River and the improvement of the main trail from the Inner Geumgang River through Birovong to the Outer Geumgang River. To this end, Geumgangsan appointed Matasaburo Ando, who has considerable experience in the railroad industry, as its executive director to increase its negotiating power with the governorate. One of the more stark disagreements between the two sides was how to finance the future development of Mount Kumgang. Geumgangsan Electric Railway proposed a budget of 1 million won over a 10-year period, but was immediately met with opposition from the Ministry of Railroads, which did not see the need to develop Geumgangsan as soon as it had completed its tourist attractions centered around the Onjeongri River. It was also extremely wary of further straining its budget after the Great Depression of 1929 and was reluctant to invest money in the development of Geumgangsan. In addition, internal circumstances such as the sudden death of Kume, the president of the Geumgangsan Electric Railway, and the resignation of Ando, who led the development of Geumgangsan, made it difficult to put additional budgetary pressure on the mountain. In response, the Ministry of Forestry of the Governor General tried to secure its own budget for the project, but this was unsuccessful, and the first steps toward the designation of Geumgangsan National Park were not smooth. Despite these limitations, the 1930 Conference on the Preservation of Geumgangsan served as an opportunity to expose and reconcile the positions of various actors who had established their own interests in the mountain after the Japanese occupation.

      • KCI등재

        북한의 시각매체에 재현된 금강산 이미지

        신수경 ( Shin Soo-kyung ) 덕성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1 인문과학연구 Vol.- No.33

        한반도에서 금강산은 평화체제 구축의 시작점이자 남북교류의 상징적 의미를 지닌 공간이다. 이 연구는 북한의 시각매체에 들어있는 금강산 이미지들을 수집ㆍ조사하여 금강산이 어떤 방식으로 재현되었고, 무엇을 표상하는지 고찰하고자 시도되었다. 이를 위해 우선 해방직후부터 2019년 까지 북한에서 나온 신문기사를 통해서 북한의 금강산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분석했다. 다음 단계로 각종 시각매체에 들어있는 금강산 이미지를 관광자원으로서의 금강산과 ‘금강산 팔선녀’ 설화가 이미지화되는 과정, 두 가지 주제로 살펴보았다. 1950년대는 6·25전쟁으로 금강산의 파괴와 복구 사업이 벌어졌고, ‘금강산 팔선녀’ 설화가 사회주의 국가간 문화교류의 수단으로 활용되었다. 생산력 증대가 요구되었던 1960년대 동화 속에서 노동과 자연이 어우러진 지상낙원을 표상하던 금강산은 1970년대가 되면 김일성이 이끄는 사회주의 체제를 그린 혁명가극의 무대가 된다. 그러나 1980년대부터 사회주의 국가들의 체제가 붕괴되고, 북한의 경제난이 심각해지면서 금강산은 관광지로 변모해갔다. 남북 관계에 따라 금강산은 치열한 전쟁터에서 평화와 교류의 공간으로 바뀌었다. 그러나 금강산 하면 아름다운 경치를 떠올리는 남한과 달리 북한의 시각매체에는 빼어난 경관 못지않게 ‘금강산 팔선녀’ 설화가 중요하게 작동했다. 금강산을 설화와 결부시킨 이건영이 제작한 평양대극장 면막 그림을 비롯해 ‘금강산 팔선녀’ 이미지들은 인민을 계몽하고, 자긍심을 고취시키는 데 적극적으로 활용되었다. 금강산에 대한 남북한 인식 차이와 그 원인을 규명한 이 연구는 통일시대를 대비한 미술정책의 방향을 모색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Mount Geumgang has been a symbolic space for building a peaceful regime and accelerating inter-Korean exchanges. This study examines the ways Mount Geumgang has been represented by investigating the images of this iconic mountain that appeared in North Korean visual media. This essay scrutinizes changes in the perception of Mount Geumgang by analyzing newspaper articles published between 1950 and 2019 and examines diverse visual materials to probe the representation of Mount Geumgang as a tourism resource and the visualization of the famous tale about “Eight Fairies in Mount Geumgang (Geumgangsan Palseonnyeo).” When North Korea underwent a reconstruction project after the Korean War (1950-53), and the tale of "Eight Fairies in Mount Geumgang" has been used as a means of cultural exchange between the socialist states since the 1950s. In the 1960s, Mount Geumgang became a paradise of labor and nature in fairy tales for increasing productivity. This symbolic mountain, however, became a stage of revolutionary opera in the 1970s. This setting aimed to glorify the socialist system led by Kim Il-sung. In the 1980s, the socialist systems in Eastern Europe collapsed, and North Korea's economy worsened. Under this circumstance, Mount Geumgang turned into a lucrative tourist site. Mount Geumgang changed from a fierce battlefield to a peaceful place for inter-state exchanges depending on the shifting inter-Korean relationship. Unlike South Korea that focuses on the beautiful scenery of Mount Geumgang, North Korean visual media promote both the well-known tale about “Eight Fairies in Mount Geumgang” and the superb beauty of Mount Geumgang. North Korea utilized the images of the eight fairies to educate the people and empower their self-image. Lee Kun-young, for instance, incorporated the famous motif of the eight fairies into his facade design of the Pyongyang Grand Theater. This case study shows different approaches of North and South Korea to Mount Geumgang. It will improve the mutual understandings of the two Koreas and their cultural differences.

      • KCI등재

        금강산의 여성 유객(遊客): 고려시대부터 20세기 초까지

        최지녀 동악어문학회 2023 동악어문학 Vol.89 No.-

        본고는 여성의 금강산 여행에 대한 통시적 고찰을 목표로 하였다. 이를 위해 고려시대부터 20세기 초에 이르는 시기를 셋으로 구분하여 각 시기에 여성이 금강산을 방문한 사례와 해당 여성 주체의 성격을 고찰하였다. 불교 신앙이 융성했던 고려시대에 금강산은 여성에게 주로 불교의 성지(聖地)로 여겨지며 순례의 대상이 되었다. 불교를 억압하고 유교를 숭상한 조선조에는 이러한 종교적 성격을 표면화한 금강산 방문의 사례가 잘 발견되지 않는다. 황진이의 일화는 여성의 금강산 유람이 제한된 조선 시대에 기녀들이 금강산 유람의 주체로 등장하기 시작함을 보여준다. 조선 후기에는 사대부 여성의 글에 금강산에 대한 상상과 선망이 나타난다. 그러나 사대부 계층 여성들이 금강산을 유람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였으며 만덕과 옥인, 금원과 같은 기녀들이 금강산을 방문한 기록이 남아있다. 이 가운데 「호동서락기」는 여성의 금강산 여행 경험을 직접 기록한 최초의 작품으로서 의의를 지닌다. 20세기 초에는 여성들의 단체 여행이 활발하게 이루어졌으며, 특히 여학생들은 금강산으로 수학여행을 떠나면서 체험의 영역을 넓히게 된다. 이상의 논의를 통해 여성들에게도 면면한 금강산 여행의 역사가 존재한다는 점과 그것이 금강산의 역사를 더 풍요롭게 하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 KCI등재

        최남선의 『금강예찬』과고희동의 금강산연작에서 표현된 국토찬미

        최유경 ( Yu Kyung Chae ) 한국비교문학회 2014 比較文學 Vol.0 No.64

        1924년, 『시대일보』 사장직을 사임한 최남선은 승려 박한영과 금강산을 필두로 전국명산기행에 나섰는데, 그의 금강산기행은 신문연재 후 『금강예찬(金剛禮讚)』이라는 단행본의 출간되었다. 최남선 이전에도 많은 문인들이 금강산에 올랐지만, 그의 금강산기행이 주목받는 이유는 그가 금강산을 민족주의와 결부시키며, 조선민족의 상징, 나아가 동양문화의 정수로 인식하려 하였기 때문이다. 그런데 금강산기행직후 최남선은 『청춘』의 창간표지와 삽화를 제작해 준 고희동을 비롯하여 당대를 대표하는 문인 7명과 시서화(詩書畵)동인모임을 시작하는데, 이 모임 직후인 1926년 고희동은 또 하나의 최남선의 국토찬미순례집인 『심춘순례』의 표지와 장정(裝幀)을 담당하는 등 각별한 인연을 이어갔다. 그리고 다음 해 서양화에서 완전히 동양화로 전환한 고희동은 1932년부터 금강산을 주제로 한 작품제작에 몰두한다. 최초의 서양화가로서의 고희동의 존재의의만이 부각되는 가운데, 그의 금강산연작을 거의 주목을 받고 있지 못하고 있지만, 그는 금강산을 “世界에 짝이 없는 純全한 美의 덩어리”라고 언급하며, “우리 것 가운데에서 美다운 美를 畵面에 드러내놓기로 노력하면 자연히 代價도 생겨나고 훌륭한 創作”이 될 것이라고 주창하였다. 이 주장은 그가 금강산 연작을 제작하던 1934년의 것으로 최남선의 잡지와 서적을 매개체로 친밀한 교류를 하였던 고희동의 금강산을 주제로 한 작품들은 조선적인 상징으로서의 금강산을 모습을 표현하고자 하던 그의 시도였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After the loss of sovereignty and force of the country, by Japan’s colonization of Korea in 1910, Westernization and modernization movement through the publication of Choe Nam-seon converted into choseonsim quest for the ideological formation underlying the ethnic identity and national integration. In October 1924, country trip led by the Mt. Keumgang derive the historical reality of Korea``s ancient history through the work seeing the country to make creation myth into reality and were understood to movement enhance the self-esteem as a Koreans. But Choe Nam-seon start siseohwa meeting with literary men representative of the contemporary Western painting, etc. Go Hui-dong, and shortly after Mt. Keumgang journey, and this meeting was sufficient to effect, directly or indirectly, to each other, and Go Hui-dong’s series with the theme of the Mt. Keumgang should begin in earnest after this meeting. In addition, the transition to the oriental painting was done shortly after this meeting also. This can be interpreted as disproving the meeting g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art of the Go Hui-dong. Because of having discussions about the ethnic identity of the Korea Arts and it’s move direction in members of the meeting in the nature of a meeting. Choe Nam-seon and Go Hui-dong, intimate exchange Choe Nam-seon’s magazines and books as a medium, Mt. Keumgang was one of the symbols of the Chosun. so Go Hui-dong was trying to build a his own unique art world symbolic to the Korean people, the theme by the Mt. Keumga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