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코로나바이러스 팬데믹 이후 미·중 글로벌 리더십의 변화에 관한 연구

        이다윗(David Lee) 한국통일전략학회 2023 통일전략 Vol.23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전통적인 의미에서 미중 간의 군사안보, 경제적 패권경쟁의 틀에서 벗어나 다양한 글로벌 이슈에 대한 국제사회의 협력을 주도하는 리더십의 관점에서 G2 양국의 지위와 관계의 변화를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세계적인 감염병 코로나19가 확산되면서 글로벌 차원에서 ‘리더십의 부재’ 상황이 초래되었다. 국제사회의 긴밀한 공조 없이 코로나 사태는 극복할 수 없다는 교훈을 주었다. 둘째, 미국의 리더십 약화를 계기로 중국이 글로벌 차원에서 리더십 강화를 위한 전방위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그러나 중국은 아직 미국을 대체할 정도의 글로벌 리더십을 발휘하지는 못하였다. 셋째, 향후 미중 양국은 기존의 군사안보적 지역패권 경쟁과 함께 지속적인 글로벌 리더십 경쟁을 벌일 것으로 전망된다. 바이든 대통령은 취임 전부터 글로벌 리더십 회복을 공언하였으나, 만약 트럼프대통령과 마찬가지로 미국 우선주의와 경제적 보호무역주의를 고수한다면 글로벌 리더로 인정받기 어려워 보인다. 넷째, 미중간 갈등의 심화는 곧 글로벌 리더십의 약화와 탈G2 현상의 가속화로 이어질 수 있다. 앞으로 미국이나 중국 중 어느 한 국가가 ‘세계적’ 패권을 누릴 것으로는 예상되지 않는다. 양국 간의 지역패권 경쟁과 글로벌 리더십을 위한 경쟁이 동시에 치열하게 전개될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aims at analyzing the changed status of and relationship between G2,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nd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in the leadership perspective by putting aside the traditional frame in the fields of military security and economic hegemony rivalry between the two nations as they take the lead in international cooperation on diverse global issues. The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 ‘lack of leadership’ situation on the global dimension has been brought about as the global pandemic, COVID-19 spread. Second, taking advantage of weakening US leadership, China is making every effort to consolidate its leadership on the international basis. China, however, has not demonstrated its own global leadership to displace American one yet. Third, it is foreseen that both US and China will compete with each other for continuous global leadership besides regional hegemony rivalry in the military security sector. President Biden professed recovery of global leadership even before his inauguration. But if he maintains the idea of America First and economic protectionism like his predecessor Donald Trump, he is hard to be recognized as a global leader. Fourth, deepening conflicts between the USA and the PRC will lead to the lack of international leadership and accelerate the phenomenon of the US and China decoupling. In the future, neither the United States nor China wil wield ‘international hegemony’ and the two nations’ rivalry for regional hegemony and global leadership will be fiercely panned out.

      • KCI등재

        글로벌 여성 리더십의 구성요소와 성장요인

        심영희(Shim Young-Hee)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2010 아시아여성연구 Vol.49 No.2

        이 연구는 글로벌 여성 리더십이 무엇인지 개념을 정립하고 구성요소가 무엇인지 밝히며 이의 성장요인을 제시하려는 것이다. 연구질문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글로벌 여성 리더십이란 무엇인가? 보다 구체적으로 글로벌 여성 리더십의 구성요소는 무엇인가? 둘째, 글로벌 여성 리더십은 어떻게 성장할 수 있나? 이를 위해 이 연구는 전문가 4명에 대한 심층면접과 활동가 25명에 대한 초점집단면접을 실시하고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글로벌 여성 리더십의 개념 및 구성요소와 관련해서는 선행연구와 전문가 심층면접을 분석한 결과 5가지 구성요소를 찾아내었다. 이는 비전, 일 추진능력, 문화적 이해능력, 사회적 관계능력, 개인적 성찰성이다. 둘째, 글로벌사업을 통한 여성 활동가들의 성장 경험을 보면 성장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서는 비전의 경우 사업에 대한 열정의 강도, 일 추진능력의 경우 사업내용에 대한 역할의 강도, 문화적 이해능력과 사회적 관계능력의 경우 참여기회의 지속성 등 상황적 요인, 개인적 성찰성의 경우 자기인식과 외부의 자극 및 지지 등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s aimed to reveal the components of global woman leadership and suggest its cultivating strategies.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What is global leadershiop? What are its components? How can global woman leadership can be cultivated? In order to do this, I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to 4 women professionals and to 25 women activists working for women's movement organization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as to the components of global woman leadership, five components were discovered. They are vision, cultural literacy, social literacy, business literacy, and personal reflexivity. Second, as to the factors influencing the growth of global woman leadership it turned out to be the intensity of the passions one has toward the work for vision, the intensity of the role one is taking in the work for business literacy, situational factors such as the continuity of participation opportunity for cultural and social literacy, and support by others for personal reflexivity.

      • KCI등재

        중국기업의 리더십이 조직만족도,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글로벌화를 중심으로

        변선영,김진욱 대한경영정보학회 2018 경영과 정보연구 Vol.37 No.1

        중국은 2001년 WTO에 가입하게 되면서 빠른 속도로 성장을 계속하였고, 최근에는 M&A를 통해 글로벌 시장에서 두각을 보이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리더십 유형을 세분화하여 중국의 리더십에 대해 실증분석하고, 글로벌화를 조절 변수로 하여 글로벌화가 리더십과 조직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으로서 대 중국 투자의 방향을 도출하는데 연구 목적을 둔다. 본 연구는 가설검증을 위해 중국 우한지역의 MBA가 개설된 대학에 MBA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수집하였으며, 178개의 데이터를 통해 다중회귀분석 및 조절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거래적, 변혁적 그리고 서번트 리더십은 조직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리더십과 이직의도 사이에서는 유의미한 관계를 발견하지 못했다. 또한 글로벌화 변수를 통한 조절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글로벌화는 변혁적 리더십, 감성적 리더십과 조직만족도의 정의 관계를 강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글로벌화는 중국리더십과 이직의도 사이에 조절효과를 가질 것이다’ 의 경우, 이직의도를 종속변수로 사용한 만큼 부의 효과가 증가될 것으로 기대하였으나, 조절회귀 분석결과 글로벌화는 거래적, 변혁적, 감성적 그리고 서번트 리더십이 이직의도에 오히려 긍정적인 영향으로의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China joined the WTO in 2001, and the Chinese market are growing at a rapid pace in the M&A Market. This Research is an Empirical analysis of China's leadership that subdivides leadership style and is an study on the effects of globalization on leadership and job satisfaction in the globalization as moderation variable.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Refer to the direction of Chinese investments. This paper places emphasis on the change in Chinese organizational culture as a result of globalization and explores the influence of leadership on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by using data from MBA students data of Wuhan City, 178 observations. And all of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both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the moderated regression analysis as well. Results of the empirical test are suggested as follow. First, transactional, transformational and servant leadership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job satisfaction. But it can't find the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leadership and turnover intention. Second, there has a significant result that globalization on leadership is partially via the influence of job satisfaction. The result of the moderated regression analysis through the globalization as moderation variable is that globalization strengthens a positive influence on between transformational, emotional leadership and job satisfaction.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is hypothesis that globalization will have mediating effect in the pathway between leadership and turnover intention, I expect that globalization strengthens a negative influence on turnover intention as dependent variable. But The result of the moderated regression analysis through the globalization as moderation variable is that globalization strengthens a positive influence on transactional, transformational, emotional and servant leadership.

      • 리더십의 새로운 모습 : 시장에서의 범세계적 출현

        Kathleen Patterson 숙명여자대학교숙명리더십개발원 2007 숙명리더십연구 Vol.5 No.-

        글로벌 관점에 대한 인식은 경영 능력과 경영 기술을 증진하며 리더십의 효과성을 높여준다. 변혁적 리더십은 리더의 초점이 조직을 향하고 있지만 리더의 행동은 조직원들로 하여금 목적을 이룰 수 있게 해줌으로서 조직원의 참여가 조직의 목적으로 향하게 형성하도록 한다. 변혁적 리더십은 매우 효과적이지만 겸손과 같은 요인들을 소홀히 했고, 이론가들은 섬김 리더십에 주목하기 시작하였다. 이처럼 변혁적 리더십은 도덕적이고 가치에 기반을 둔 섬김 리더십의 토대가 되었다. 섬기는 리더는 구성원들을 주요 관심사로 두고 구성원에게 초점을 맞춰 조직을 이끈다. 변혁적 리더십과 대조되게 섬기는 리더는 자신의 조직원을 항상 우선으로 생각한다. 섬김 리더십에는 사랑, 겸손, 이타주의, 믿음, 비전, 영향력, 서비스의 7가지 특성이 있다. 그리고 최근 글로벌 리더십은 개방성, 끈기, 이종 문화간의 요소에 대한 감수성, 타인을 배려하는 능력, 다양한 역할을 유연히 해내는 능력, 애매한 상황을 인내하는 능력, 그리고 상호적인 대화기술, 호기심, 사회적 기술, 조직경영기술, 지식과 경험 등을 포함하고 있다. 글로벌 리더십에는 2가지 비판적 구성요소가 있다. 첫째는 문화적 차이에 대한 이해이며, 둘째는 커뮤니케이션이다. 문화적 차이는 문화적 환경의 가치와 규범을 포함한다. 문화는 언어로 전달되며 언어는 다중적인 의미를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글로벌 리더가 되는 주요 요인에는 멘토십, 전세계적인 일에의 몰두, 준비로서의 교육과 훈련, 관계를 맺는 일 등이다. 멘토십은 국제적으로 일하고 국제적인 관계를 계발하도록 촉진하는 일이다. 이러한 요인들은 5개 대륙, 8개 국가의 연구를 통해서 밝혀졌다. 요컨대 리더십에 있어 성별과 상관없이 여성적 리더십과 의사전달 스타일이 글로벌 리더십에서 가장 효과적인 스타일이다.

      • KCI등재

        세계지리 수업을 위한 글로벌 리더십 함양 활동

        최재영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19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27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and propose a plan to promote global leadership for world geography class. Global leadership has attracted attention in the field of leadership according to globalization, and the term ‘global leadership’ has begun to be used in the world geography national curriculum in Korea. Accordingly, this study summarizes existing discussion on global leadership, geographical education approach, and analyzed global leadership in world geography curriculum. The key to cultivating global leadership in the world geography curriculum is presented as ‘empathic understanding of spatial diversity’. Based on this, Hidden Country Activity has been developed, as a global leadership promotion activity. This activity has the form of ‘make-believe activity’ for ‘empathic understanding’ and, in order to resolve students’ imbalance of perceptions of the world, this activity targeted countries that were unfamiliar to students. Students are encouraged to examine the ‘spatial diversity’ of each country in terms of ‘connectivity’ and have the opportunity to reflect on their perceptions.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study of global leadership in the field of geography education, and is expected to help students achieve a balanced perception of the world. 본 연구의 목적은 세계지리 수업을 위한 글로벌 리더십 함양 활동 방안을 탐색 및 제시하는 데 있다. 세계화에 따라 리더십의 영역에서 글로벌 리더십은 주목받고 있으며, 우리나라의 세계지리 교육과정에서도 글로벌리더십이라는 용어가 쓰이기 시작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글로벌 리더십에 대한 기존 논의 및 지리교육적 접근에대해 정리하고, 세계지리 교육과정에서의 글로벌 리더십에 대해 분석해보았다. 세계지리 교육과정에서의 글로벌 리더십 함양의 핵심은 ‘공간적 다양성에 대한 공감적 이해’로 제시되는데, 이를 바탕으로 글로벌 리더십 함양활동인 히든 컨트리 활동을 구성해보았다. 이때 ‘공감적 이해’를 위해 ‘되어보기’의 형식을 취하였으며, 학생들이기존에 지니고 있는 세계에 대한 인식의 불균형의 해소를 위하여 학생들에게 낯선 나라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그리고 각 나라의 ‘공간적 다양성’을 ‘연계성’의 관점에서 살펴보도록 하고, 자신의 인식에 대한 성찰의 기회를 가질수 있게 하였다. 본 연구는 지리교육 영역에서의 글로벌 리더십 연구에 기여하며, 학생들이 세계 여러 지역에 대해 균형 잡힌 인식을 갖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후보

        유아의 리더십 향상에 미치는 글로벌리더 교육프로그램의 효과

        이경화(Lee, Kyung-Hwa),이진아(Lee, Jin-Ah) 한국창의력교육학회 2010 창의력교육연구 Vol.10 No.1

        본 연구에서는 유아동의 인지, 창의성, 리더십을 계발하기 위한 교육모형으로 제안된 ‘글로벌리더 모형(이경화, 2009a)’에 따라 개발된 글로벌리더 교육프로그램 중 리더십 프로그램이 유아의 셀프 리더십과 서번트 리더십 향상에 효과적인지를 확인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이론적 배경을 기초로 하여, 가설1은 리더십 프로그램은 유아의 셀프 리더십(자기관리, 건설적 사고) 향상에 효과가 있을 것이다. 가설2는 리더십 프로그램은 유아의 서번트 리더십(타인존중, 공동체 배려) 향상에 효과가 있을 것이다를 설정하고 이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만 4세 유아 40명이었으며, 실험은 총 9주(18회기) 동안 진행되었다. 연구대상을 무선 선정한 후에 각 20명씩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무선할당한 후, 사전검사로 리더십 검사를 하여 두 집단 간 동질성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실험집단은 본 연구에서 개발한 글로벌리더 교육프로그램 중 리더십 프로그램을 적용하고, 통제집단에는 일반 유치원 프로그램인 사회성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실험 실시 후 사후검사로 리더십 검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이용하여 두 집단간 차이검증(t-test)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리더십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단의 유아와 통제집단 유아 간에는 셀프 리더십(자기관리, 건설적 사고)과 서번트 리더십(타인존중, 공동체 배려)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를 통해 글로벌리더 교육프로그램은 유아의 리더십 향상에 효과적인 프로그램이라는 것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된 리더십 프로그램을 유아교육현장에서 적극 활용 한다면 유아의 셀프 리더십과 서번트 리더십을 증진시켜 글로벌리더로서 성장할 수 있는 교육적 기회를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leadership program basis on the global leader model on fostering the young children’s leadership.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40 young children who were four years old. Hypothesis 1(The leadership program will be effective on fostering the young children’s self leadership(self-management, constructive thinking) improvement.) and hypothesis 2(The leadership program will be effective on young children's servant leadership(respecting others, taking consideration of community) improvement.) were supposed and verified. The participants were allocated randomly in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equally. And this research was progressed from September 16, 2009 until November 12, 2009. The measuring tool, ‘young children's leadership test(Yun, 2009, Lee at al, 2009)’ was used as pre-post test and data were progressed using SPSS win 14.0.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young children of an experimental test group have shown the higher score in self-leadership(self-management, constructive thinking) compared with the young children of control group. In other words, it seems that a the leadership program was efficient for young children's self leadership improvement. Second, the young children of an experimental group who carried out a leadership program have shown a mo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light of servant leadership(respecting others, taking consideration of community) rather than the young children of a control group who performed social programs. To put it another way, it has proved that the leadership program was efficient for young children’s servant leadership improvement.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leadership program was effective on improvement of the young children’s self leadership and servant leadership. Accordingly, as long as a program verified in this study was affirmatively applied in the field of young children’s education according to global leader model, young children’s self leadership and servant leadership will greatly improve and provide them with cutting-edge educational opportunities to grow as global leaders.

      • The relationships among global leadership competencies,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knowledge transfer in multinational corporations

        Dong-Yeol Yoon(윤동열) 대한경영학회 2012 대한경영학회 학술발표대회 발표논문집 Vol.201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글로벌 리더십 역량(Global Leadership Competencies), 지식전이(Knowledge transfer)간의 관계를 국내 글로벌 기업을 대상으로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 대상은 설문시점을 기준으로 조직에서 글로벌관련 업무와 관련되어 있거나 글로벌 이해관계자와 함께 업무를 수행하는 종업원들로 대부분 구성되어 있었다. 그룹연수원에서 제공하는 국제화역량 교육훈련 프로그램에 참여한 총 140명의 설문 대상자 중에서 127명(91%)이 본 설문에 응답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Exploratory Factor Analysis) 결과 글로벌 리더십 역량은 이문화 적응성(Cross-Cultural Adaptability), 혁신 (Innovation), 비전과 전략(Vision & Strategy), 의사소통(Communication), 글로벌 사고방식 (Global mindset) 등 다섯가지 요소로 구분되었다. 혁신은 응답자들이 가장 높게 인지한 역량이었던 반면, 이문화 적응성은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으로 인식되었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글로벌 리더십 역량은 종속변수와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이문화 적응성 및 혁신과 의사소통은 지식전이에 강한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또한, 응답자의 개인적 특성인 자기효능감과 개방성은 종업원의 지식전이 지각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글로벌 리더십 역량과 지식전이간의 관계에서 설문응답자의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를 발견할 수 있었다. 즉 개인이 높은 수준의 자기효능감을 가질수록 글로벌 리더십 역량 변수에서 의사소통과 글로벌 사고방식은 지식전이에 정(+)의 영향을 주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향후 글로벌 리더십 역량과 국제인사관리부문에 이론적 실제적 의미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among global leadership competencies,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knowledge transfer in Korean multinational corporations. The target sample of this study was mostly composed of employees who were related to global work assignments in their organizations or who were working with global stakeholders at the time of the survey. The total number of respondents was 127 (91%) out of 140 randomly selected employees from the organizations and who were participating in international competency training programs which were provided by a corporate learning center. Global leadership competencies were divided into five factors according to exploratory factor analysis (EFA): cross-cultural adaptability, innovation, vision and strategy, communication, and global mindset. The dimension of innovation was the most highly perceived competency among respondents, while cross-cultural adaptability received relatively lower scores in the perceived level of global leadership competencies. Global leadership competencies had a direct significant effect on knowledge transfer. In particular, cultural adaptability, innovation, and communication had a positive impact on knowledge transfer. In terms of personal characteristics, self-efficacy and openness had a positive impact on the employees’ perception regarding knowledge transfer.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effic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global leadership competencies and knowledge transfer was found. That is, when an individual has a higher level of self-efficacy to achieve the goals, then the degree of global leadership competencies including communication and global mindset are positively related to knowledge transfer. Finally, this study provides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practices in global leadership competencies and international human resource management.

      • KCI등재후보

        국내 기업의 글로벌 리더십 필요역량 탐색

        송영수 숭실대학교 한국평생교육ㆍHRD연구소 2011 평생교육 · HRD연구 Vol.7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해외 주재인력의 현지화뿐만 아니라 국내인력의 글로벌화 및 해외 채용인력의 자사화를 추진하는 국내 기업의 임원급 리더와 HRD 전문가 입장에서 글로벌 리더십을 정의하고 주요 역량을 도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국내 글로벌 기업의 임원급 리더와 글로벌 리더 및 인재양성을 담당하고 있는 HRD전문가 26명을 대상으로 3차에 걸친 델파이 연구를 통해 글로벌 리더십의 정의 및 역량을 도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로는 첫째, 글로벌 리더십은 ‘조직의 지속적 성장과 성과창출을 위해 개방적 사고와 다양성을 바탕으로 국가적, 문화적, 인종적, 언어적 차이를 넘어 이해관계자의 사고, 태도, 행동에 긍정적인 영향력을 미치는 과정’으로 정의되었다. 둘째, 글로벌 리더십은 글로벌 마인드, 다양성에 대한 개방적 태도, 글로벌 네트워크, 성과개선 스킬, 기본 태도역량 등 5개의 역량군을 비롯해 18개의 세부역량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국내 경영환경을 고려한 글로벌 리더십의 정의 및 주요 역량을 제시함으로써 국내 기업의 글로벌 인재육성전략 수립에 기초 자료 및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fine global leadership and required competencies of large Korean enterprises. 26 participants, leaders of global companies and HRD professionals, were selected for this three times of Delphi study.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definition of global leadership is 'a process of positive influence to others for the achievement of common goals and performance of organization across the national, cultural, racial, and language boundaries by open mind and seeking diversity.' Second, global leadership is drawn as 5 required competency domains;'global mind', 'open mind to diversity', 'global network', 'performance improvement skills', 'basic behavioral competency' and 18 specific competenc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a Korean standard of global leadership and global leadership competencies. In addition, the result can be used as the preliminary data for establishing a HRD strategy of nurturing global leaders in Korean enterprises.

      • KCI등재

        다문화 경험학습을 통한 글로벌 리더십 발달

        박보람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19 敎員敎育 Vol.35 No.3

        As our society progresses rapidly into a multicultural society, it has become important to develop global leadership that can adapt effectively to multicultural situations and achieve mutual goals through mutual cooperation. However, existing studies focused mainly on the achievements of multicultural activities, and were not interested in individual developmental outcomes. The results of the development were deemed to be insignificant. This paper integrates experiential learning theory and cultural intelligence research in order to find ways to turn multicultural activities into learning for global leadership development. Cultural intelligence facilitates concrete experiences, reflective reflection, abstract conceptualization, and active experimentation of experiential learning in multicultural activities. In a multicultural activity, it promotes conceptual concepts and active experiments. In multicultural activities, ‘specific experience’ develops self-efficacy towards global leadership. ‘Reflective reflection’ on the experience of other cultures develops the attitude of national relativism. The ‘abstract concept’ obtained from multicultural activities develops an intellectual model of leadership suitable for culture. The ‘active experiment’, which consciously plans and practices multicultural experiences, develops flexible leadership. Cultural intelligence and experience learning theory serve as the basis for learning models for global leadership development. Those with higher cultural intelligence can participate more actively in experiential learning, and active participation in experiential learning can gain more positive learning outcomes for global leadership. Individuals lacking cultural intelligence capabilities may not achieve developmental benefits in multicultural activities. Therefore, educational intervention is needed to encourage learning through cultural experiences. Teachers should encourage diverse educational activities so that individuals can participate actively in multicultural activities and gain specific experiences in various ways. 우리 사회가 다문화 사회로 급속히 진행되면서 타문화권 사람들과 상호협력을 통해 공동의 목표를 달성하는 글로벌 리더십의 발달이 더욱 중요해졌다. 그러나 기존의 글로벌 리더십 연구는 주로 다문화 활동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성과에 초점이 맞추면서 개인의 발달적 결과에 무심했다. 본논문은 다문화 활동을 글로벌 리더십 발달을 위한 학습으로 전환하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경험학습 이론과 문화지능 연구의 통합적 접근을 모색한다. 문화지능은 다문화 활동에서 구체적 경험, 반성적 성찰, 추상적 개념화, 적극적 실험 과정을 촉진한다. 다문화 활동의 ‘구체적 경험’은 글로벌 리더십에 대한 자기 효능감을 높이며, 타문화에 대한 ‘반성적 성찰’은 민족 상대주의 태도를 발달시킬 수 있다. 다문화 활동을 통해 얻은 ‘추상적 개념’은 문화에 적합한 리더십 지식을 형성하고, 다문화 활동을 의식적으로 계획하고 실천으로 옮기는 ‘적극적 실험’은 유연한 리더십 행동을 발달시킬 수 있다. 그러나 다문화 활동에서의 이러한 경험학습이 글로벌 리더십 발달로 전환되기 위해서는 문화지능과의 결합이 필요하다. 문화지능이 높은 사람은 다문화 활동에 더 적극적으로 참여함으로써 글로벌 리더십에 필요한 긍정적 학습 결과를 더 많이 얻는다. 한편, 문화지능이 부족한 사람은 다문화 활동에서 발달적 이익을 얻지 못할 수도 있다. 따라서 글로벌 리더십 발달을 위해서는 다문화 경험학습을 통해 문화지능을 높이는 교육적 개입이 필요하다. 교사는 학생들이 다문화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다양한 경로로 문화지능을 높일 수 있는 교육활동을 장려해야 한다.

      • CEO 리더십과 우수기업의 경영 : 한미글로벌의 사례

        노부호 한국인사ㆍ조직학회 2012 한국인사ㆍ조직학회 발표논문집 Vol.2012 No.3

        한 기업의 성공에는 리더의 역할이 전부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것은 리더가 기업의 성공에 중요한 비전과 문화를 설정하고 주요 의사결정에 책임을 지고 있기 때문이다. 본 논문은 한 기업의 리더인 CEO가 어떤 역할을 하여 기업을 성공으로 이끄는 지를 7요소 리더십 모형과 전략의 고리 모형에 기초를 두고 한미 글로벌의 사례를 통해서 설명하고자 한다. 한미글로벌은 창립 이래 우리나라에 CM(Construction Management)이라는 선진 건설 사업관리 기법의 씨앗을 뿌리고 가꾸어 왔으며, 한미글로벌이 걸어온 길이 곧 CM의 발전사라고 말해도 무방할 정도로 건설 산업에서 커다란 역할을 수행해 왔다. 그 동안 한미글로벌은 비약적인 성장을 거듭해 왔다. 2010년의 매출액은 96년 창업 당시의 14배를 넘어섰다. 또한, 지속적인 글로벌 경영의 추진 결과, 한미글로벌은 전 세계 36개국에서 114건의 해외 프로젝트 수행 실적을 보유하게 되었다. 7 요소 리더십 모형은 리더가 하는 역할(role)에 3가지가 있고 이러한 역할을 잘할 수 있도록 하는 성품(character)에 4가지 요소가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리더가 해야 하는 역할에는 비전을 제시하는 비전제공자(Visionary)로서의 역할, 그리고 전략을 성공적으로 실행 할 수 있어야 하는 전략실행자(Executor)로서의 역할, 그리고 사람들을 열성적으로 일하게 하는 동기 부여자(Motivator)로서의 역할이 있다. 성품의 4가지 요소는 가치, 열정, 애정, 지혜이다. 가치에는 문화적, 영성적, 도덕적, 사업적, 인간적 가치가 있다. 가치는 우리를 순수하게 하는 것이다. 리더십의 7 요소 중에서 가치가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가치가 확립되어 있을 때 성품이 개발되고 지혜를 갖출 수 있다. 지혜는 리더가 비전 제공자, 전략 실행자, 동기부여자의 3 가지 역할을 성공적으로 수행하는 기초가 된다. 또한 조직내에 이러한 가치가 심어져 있을 때 기업 경영은 단기적인 이익대신 전략의 고리 모형에서 강조하는 보다 장기적인 인재, 기술, 고객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기업을 성공으로 이끄는 것이다. 한미 글로벌의 CEO인 김종훈 회장은 가치가 비교적 높은 수준으로 확립 된 사람이다. 그는 사업을 시작하면서 건설 산업의 기수가 되겠다고 했고 구성원이 주인이 되는 회사를 만들겠다고 했다. 건설 산업의 기수가 되겠다는 것은 기업을 세계최고로 키워 내고 그 기초 위에 건설 산업을 이끌어가겠다는 그의 사업적 가치를 나타내는 것이다. 구성원이 주인이 되는 회사를 만들겠다고 한 것은 그의 인간애 즉, 인간적 가치를 알아볼 수 있는 말이다. 최고 경영자로서 이 이상 더 직원을 존중하는 말을 생각할 수 없을 것이다. 이것은 그가 사업적 가치와 인간적 가치를 가지고 사업을 시작했다는 것인데 이렇게 처음부터 확립된 사업적, 인간적 가치를 가지고 사업을 시작하는 기업가는 많지 않다. 이러한 사업적 가치와 인간적 가치로부터 사업성공의 기초가 되는 열정과 애정이 나온다. 그의 이러한 리더십이 건설 산업의 기수, 직장인이 주인인 회사, 노블레스 오블리제의 실천이라는 꿈을 지향하는 비전으로 구성원과 공감대를 형성하면서 우수 기업으로 가는 문화를 만들어 낼 수 있었다. 그는 항상 미래를 지향하고 꿈을 꾸는 비전 제공자인 것이다. 그는 또한 디테일에 강한 사람으로서 월드컵 경기장 수주와 그 뒤의 건설 관리에서 전략 실행자로서의 면모를 보여주었고 GWP 운동을 통해서 직장인의 천국을 만들고자 하는 것은 동기부여자로서 뚜렷하게 부각되고 있는 것이다. 김종훈 회장은 '건설 산업의 선진화'라는 사업적 가치와 '구성원이 주인인 회사'라는 인간적 가치를 가지고 사업을 시작한 경영자로서 인재, 기술, 품질, 고객을 중요시하였다. 그는 좋은 인재가 경쟁력을 높이고 고객을 만족시키고 좋은 회사를 만들어 다시 좋은 인재가 찾아온다는 선순환 구조를 잘 이해하고 있다. 이것이 바로 '전략의 고리 모형'에서 말하고자 하는 것이다. It is not an over exaggeration to say that the role of a leader is almost everything responsible for the success of a firm, It is because the leader establishes vision and culture which are important to the success of a firm and takes responsibility in major decision makings. This paper is trying to explain what role CEO, a leader of a firm plays and how he leads a firm to success through the case of Hanmi Global, Co., Ltd. based on the Seven Factor Leadership Model and the Strategic Chain Model The Seven Factor Leadership Model maintains that there are three roles to play i.e., visionary, executor, and motivator and four character elements i.e. values, passion, love and wisdom. When the values of a leader are established, the passion and love of a leader comes out and the wisdom is to be developed. The wisdom is the basis on which a leader exercises three roles of visionary, executor and motivator. Also when there are values planted in a firm, business management places importance on the long-term oriented people, technology, customer rather than on the short-term oriented profit which are the basics for a firm to be successful and excellent. Chairman Kim Chong-Hun, the CEO of Hanmi Global is a person with a relatively high level of values. He started the company with the purpose of becoming the pioneer of construction industry which denotes the business values and making people have the ownership spirit of the company which denotes the human values. From these values I believe he how shown passion for his work and love for others and has developed wisdom to become an excellent leader. He is a visionary as he always dreams about the future of the company. He is also an executor who has strength in detail developed from his field experience, which is evidenced by winning the order in the World Cup Main Stadium and finishing it earlier than the deadline. He is clearly perceived as a motivator as he tries to make the company a paradise of salarymen. With these business values and human values in mind, he has placed importance on people, technology, quality and customer. He understands the virtuous circle where good people satisfies customers, raises the competitiveness of a firm and thus makes good company which in turn attracts good people. This is what the Strategic Chain Model maintai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