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글로벌 혁신 네트워크에서 중국의 부상과 대응 전략

        김석관,홍성범,허다혜,전찬미,박정호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11 정책연구 Vol.- No.-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1세기의 첫 10년을 보낸 현 시점에서 글로벌 경쟁 지형에서 일어나고 있는 가장 중요한 변화 중 하나는 과거 생산 단계의 국제적 분업 구조에 참여하면서 선진국과 글로벌 생산 네트워크로 연결되었던 개도국들이 이제 혁신 역량을 축적하고 가치사슬의 상위 부분으로 이동하여 R&D 단계에 참여함으로써 글로벌 혁신 네트워크의 주역으로 부상하고 있다는 것이다. 그 중 대표적인 나라가 중국이다. 최근의 현상을 간단한 말로 압축하면 중국이 세계의 공장에서 세계의 연구소로 탈바꿈하고 있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변화는 1960년대에 생산 설비가 개도국으로 이전되던 것과는 다른 차원의 파급 효과와 함의를 지닌다. 그것이 기본적으로 선진국의 고급 일자리 감소와 R&D 기반의 공동화를 촉발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그 보다 더 중요하게는, 선진국과 개도국 사이에 전통적으로 유지되어 왔던 비대칭적 경쟁 구도의 근간이 흔들릴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글로벌 혁신 네트워크에서 중국의 부상은 인접한 우리나라에게도 중요한 이슈가 된다. 본 연구는 중국이 국제적 분업 구조상에서 가치사슬을 거슬러 올라 R&D 영역으로까지 그 역할을 확대하고 있는 현상, 즉, 글로벌 혁신 네트워크에서 중국의 역할이 강화되고 있는 현상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우리나라의 대응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주요 연구내용· 글로벌 혁신 네트워크의 개념과 유형: 글로벌 생산 네트워크를 기업의 제품 생산 과정을 분담하는 국제적 네트워크로 정의한다면, 글로벌 혁신 네트워크는 기업의 R&D 과정을 분담하는 국제적 네트워크로 정의할 수 있다. 글로벌 혁신 네트워크는 크게 기업들이 해외에 R&D 센터를 세우는 R&D offshoring과 기업들이 해외 기업이나 연구기관에게 R&D 과정의 일부를 위탁하거나 기술을 구매하는 R&D outsourcing으로 나눌 수 있다. · R&D 오프쇼어링 현황: OECD, UNCTAD, NSF의 통계에서는 선진국 민간 R&D 비용의 10~20% 정도가 해외에서 지출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Booz & Company의 조사에서는 민간 R&D 비용의 40~55% 정도가 해외에 투자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차이는 아마도 전자가 해외 지사를 통한 지출만을 집계한 반면 후자는 기술 라이선싱이나 위탁 용역과 같은 아웃소싱까지 포함했기 때문에 나타난 것으로 추정된다. 종합하면, 세계의 기업들은 R&D 자금의 16%~50% 이상을 해외 R&D에 투자하고 있고, 그 총 금액은 800억달러~1,700억달러 이상이며, 이 추세는 전체 민간 R&D 증가율을 크게 상회하면서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는 기업 내 글로벌 혁신 네트워크가 빠르게 확산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그리고 기업들이 꼽는 R&D 오프쇼어링 최적 입지는 중국, 미국, 인도 순으로 나타났다. · 글로벌 혁신 네트워크의 확산 동인과 영향: 글로벌 혁신 네트워크의 확산 동인은 크게 시장 요인과 기술 요인으로 나눌 수 있다. 전자는 R&D 센터가 시장 개척과 생산 설비 이전을 지원하기 위해 설립되는 경우이고, 후자는 해외의 인재와 혁신 클러스터를 활용해서 신기술을 개발하기 위해 설립되는 경우이다. 글로벌 혁신 네트워크의 확산은 본국(선진국)의 R&D 효율성을 제고하고 해외 시장 개척에 도움을 주지만, 본국의 R&D 기반 공동화와 R&D 일자리 감소를 가져올 수 있으며, 기술 유출의 위험도 있다. 장기적으로는 혁신 역량의 유출을 통해 경쟁 우위를 상실할 수도 있다. 선진국의 R&D 센터를 유치하는 현지국가(개도국)들은 R&D 관련 일자리 확충, 인적 자원 개발, 지식 확산, NIS 구조 개선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으나, 외국 기업에게 우수 인재를 빼앗기고 국내의 자생적 R&D 기반이 약화될 수 있는 위험도 있다. · 중국 내 외국 기업 R&D 센터의 현황: 중국 정부의 자료에 따르면 2009년 현재 중국 내 외국 기업의 R&D 센터는 6,000여개이며, 여기에 근무하는 R&D 인력은 11만명이고, 외국 기업의 총 R&D 투자는 996억위안(한화 약 18조원)이다. 외국 학자의 추산에 따르면 실제 연구개발을 하는 센터는 최소 500개 이상이며, 70개 이상의 외국계 R&D 센터에서 글로벌 시장을 겨냥한 전략적 R&D를 수행하고 있다. 외국계 R&D 센터는 주로 베이징과 상하이에 집중되어 있으며, 업종별로는 IT가 대다수를 차지하고, 그 외 제약, 화학, 식품 등으로 분포되어 있다. 외국계 R&D 센터의 기능은 크게 전술적/단기적/내수용/제품개발 중심과 전략적/중장기적/글로벌시장용/원천기술연구 중심으로 구분될 수 있는데, 보통 전자에서 시작해서 점차 후자로 확대되는 경향이 있다. · 중국 내 외국 기업 R&D의 동인과 장애 요인: 외국 기업들이 중국에 R&D 센터를 설립하는 이유는 크게 중국 시장을 개척하는 것과 중국의 저렴한 고급 과학기술인력을 활용하기 위한 것으로 구분된다. 외국계 R&D 센터가 중국에서 겪는 애로사항으로는 언어/문화적 장벽, R&D 인력의 다양성, 현지 R&D 인력의 동기/창의성 부족, 높은 이직률, 중국 정부의 관료주의와 꽌시 문화, 정책적 변화의 불확실성과 낮은 예측가능성, 지적재산권의 보호 문제 등이다. · 중국 내 외국 기업 R&D의 영향과 전망: 외국 기업의 R&D 센터가 투자 및 고용 증가를 통해 중국 경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인적자원 개발, 지식 확산 등을 통해 중국의 국가혁신체제 발전에 기여할 것이라는 기대가 일반적이다. 그러나 외국 기업 R&D 센터의 역효과에 대한 비판적 견해도 만만치 않은데, 그것은 국내 기업에 대한 역차별, 첨단기술 제품의 생산과 수출에서 외국 기업 의존도 심화, 외국 기업으로의 인재 유출과 미미한 지식 확산 효과 등이다. 특히 지식 확산과 관련해서는 외국 기업에서 국내 기업으로의 인력 이동이 적고 중국 기업들의 흡수 역량 저하로 인해 실질적인 지식 확산 효과가 미미하다는 비판도 있다. 결론 및 정책제언· 중국이 지닌 중층적 의미: 중국은 선진국과 우리 기업들에게 엄청난 규모의 신흥 시장이자, (자국에서는 점차 줄고 있는) 양질의 이공계 인력의 보고이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언젠가는 자신들의 우월적 지위를 위협할 수 있는 잠재적 경쟁자이기도 하다. 중국이 지닌 이러한 중층적 의미 때문에 우리 기업과 정부의 대응 방안도 중층적이어야 한다. 즉, 한편으로는 중국을 활용하면서도 다른 한편으로는 경쟁 우위를 잃지 않기 위해 이들을 경계하는 전략을 적절히 구사해야 한다. · 기업의 대응 과제: 첫째, 거대한 신흥 시장으로서의 중국에 대응하기 위한 전략이 필요하다. 세계 최대의 시장으로 성장하고 있는 중국에서 다국적 기업들과 경쟁하고 시장 지배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다른 다국적 기업들과 마찬가지로 현지에 R&D 센터를 설치해서 중국 시장용 제품 개발에 주력해야 한다. 둘째, 고급 과학기술 인력의 보고인 중국에 대응하기 위한 전략이 필요하다. 중국의 고급 연구개발 인력을 더 잘 활용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인력관리 전략이 필요하다. 중국의 고급 인재를 잘 활용하기 위해서는 조직 충성도를 높이고 이직률을 억제하기 위한 인력 관리 전략이 필요하다. 셋째, 잠재적 경쟁자인 중국에 대응하기 위한 전략이 필요하다. 중국과의 기술 경쟁력에서 우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한국 기업은 고유의 혁신 모델을 빨리 찾고 구축해야 한다. · 정책적 대응 과제: 첫째, R&D offshoring과 관련해서 외국계 연구소 유치 정책의 재검토가 필요하다. 외국 기업들이 중국에 비해 한국을 R&D 입지로 선호하지 않고, 또 외국계 연구소가 들어오더라도 지식 확산 효과는 미미하다고 볼 때, 외국계 연구소의 유치 정책은 필요성도 부족하고 실효성도 기대하기 힘든 정책이라고 할 수 있다. 둘째, R&D outsourcing과 관련해서는 한국 기업들이 글로벌 아웃소싱 네트워크에 편입하여 부가가치의 일정 부분을 확보하는 전략을 정부가 지원할 필요가 있다. 셋째, 기술 수요자 측면에서는 다른 선진국 기업들처럼 중국을 R&D offshoring 기지로 활용하는 것을 지원하는 정책이 필요하다. 구체적으로는 우리 기업들이 중국에 R&D 센터를 설립

      • 해외 전문 인력을 활용한 한국 바이오 및 제약 산업의 글로벌 지식 네트워크 구축 방안

        김형주,김석현,김석관,이정협,박소현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10 정책연구 Vol.- No.-

        혁신 창출의 새로운 돌파구로서 글로벌 지식 네트워크- 지식기반 경제에서 혁신 창출을 위한 지식이 중요해지고 새로운 지식의 공급을 위하여 글로벌 네트워크의 중요성이 증가하는 추세임 - 특히 바이오 및 제약 산업의 경우 세계적인 글로벌 분업 구조의 형성으로 연구개발 기능이 확산됨에 따라 각국에서 바이오 및 제약 산업을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글로벌 지식 네트워크에 전략적인 연계가 중요해짐 - 한편 최근 국제이주자들이 모국과 거주국간 지식 네트워크의 형성을 촉진하고 이로 인해 모국의 산업발전과 경제성장에 기여하는 두뇌순환(brain circulation) 모델이 이론적 논의와 정책 측면에서 주목을 받고 있음 - 국내에서는 고급인력, 특히 고급과학기술인력의 두뇌유출(brain drain)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으며 이에 유출을 방지하고 귀국을 장려하는 방안에 정책적 관심이 모아지고 있으나, 단순히 귀국을 장려하는 방안에서 벗어나 타이완이나 인도와 같이 해외 인력을 활용하여 효과적으로 글로벌 지식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두뇌 순환 방안의 가능성이 논의되고 있음 - 본 보고서에서는 글로벌 지식 네트워크의 구축을 위한 두뇌순환 전략을 국내 거점 구축(In), 해외 거점 구축(Out), 교량 확보(Bridge)의 세 가지 측면에서 파악하고, 이를 한국 바이오 및 제약 분야에 적용하여 그 필요성과 형성 가능성 및 한계를 진단하고 정책점 및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함 한국 바이오 및 제약 산업의 글로벌 지식 네트워크· 글로벌 지식 네트워크의 필요성- 한국 바이오 및 제약 산업은 협소한 국내 시장과 연구개발 자원의 한계로 선진국과 격차는 계속 유지되고 있으며 중국, 인도 등 신흥국 제약기업들이 세계 시장에서 약진하고 있는데 비해 뒤처지고 있음. 이에 따라 글로벌 지식 네트워크의 구축이 시급한 실정임 · 글로벌 지식 네트워크의 형성 가능성 및 한계- 해외 선진 시스템의 국내 유치 및 해외 제약회사와의 기술제휴와 투자 유치가 일부 이루어지고 있으나 아직 시작 단계이며 그 효과는 제한적임- 국내 기업이나 연구기관이 글로벌 지식 네트워크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개별적으로 해외에 진출한 시도가 있었으나 아직은 소수이며 해외 거점의 기능 역시 제한적임- 최근 해외에서 바이오 및 제약 분야 전문가 협회들이 자생적으로 형성되고 일부 한인 전문가들이 귀국하여 글로벌 지식 네트워크 구축에 기여하고 있으나 중국이나 인도에 비해 해외 인력풀이 상대적으로 작은 편이며 귀국한 전문가들도 개별적인 유치에 그침- 기업과 공공부문에서 제한적으로 전개되는 지식 네트워크 구축은 속도와 임계치 형성에서 한계가 분명하므로 공공부문의 선도가 필요함 정책 과제· 정부 주도의 집중적인 국내 거점 구축(In) 전략- 해외 유수의 연구소를 유치- 공공부문의 신약개발지원조직의 구성원을 글로벌 인재에서 선정- 선진국의 벤처자금과 공동으로 바이오벤처 투자하는 펀드의 조성 · 해외 거점 구축(Out) 전략- 연구와 컨설팅 기능의 선진국 거점(outpost) 구축 · 전면적이고 체계적인 교량(Bridge) 확보 전략- 한국의 벤처기업과 선진국의 바이오 및 제약 회사가 공동 투자하는 연구개발 사업- 자생적인 해외 한인 협회와의 체계적인 네트워킹

      • KCI등재

        글로벌 생산 분업과 한국의 경제성장: 동아시아 생산 네트워크와 한반도 네트워크 경제

        이일영 한국사회과학연구회 2015 동향과 전망 Vol.- No.93

        In this paper, I try to explore the features of South Korea's economic growthand global sharing of production in East Asia since the 1990s, and then demonstratethe vision of growth for the Korean Peninsula network economy. The result of my work may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vertical-network’type growth pattern in South Korea has been formed since 1990sbased on the production network in East Asia. Second, the production networksin East Asia have an asymmetrical and incomplete structure. Third,forming the Korean Peninsula network economy may make up for the structuralholes in East Asia and promote to build the ‘horizontal -network’ typegrowth pattern. 본 논문에서는 1990년대 이후 한국의 경제성장, 글로벌 분업구조의 변동, 동아시아 생산 네트워크의 진전을 고찰하고, 한반도 네트워크 경제의 성장 · 발전 비전을 구상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 단계 한국경제의 ‘수직 · 위계-네트워크’형 성장구조는 1990년대 초 이후 새롭게 확립된 글로벌 분업과 동아시아 생산 네트워크에 기반을 두고 형성되었다. 둘째, 동아시아 생산 네트워크는글로벌 분업구조의 결정적 변화를 가져왔으나, 그 생산 네트워크는 비대칭적이고 비완결적인 형태로 전개되었다. 셋째, 동아시아 생산 네트워크를 개선·보완하는 한반도 네트워크 경제를 형성하는 지점에서 ‘수평·분권-네트워크’형 성장·발전의 동력이 마련될 수 있다.

      • KCI등재
      • KCI등재

        지역통상정보 : 한국진출 글로벌 기업의 신속한 글로벌 성과에 관한 영향연구

        한상설 ( Sang Seol Han ) 한국통상정보학회 2014 통상정보연구 Vol.16 No.5

        세계 경제가 글로벌화가 가속화되고 국내 기업도 해외 시장에 진출하는 한편, 해외 글로벌 기업 또한 한국시장에 진출하여 성과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한국 진출 기업이 한국시장에서 신속하게 성과를 보이는데 있어서 기술적 역량 요인, 마케팅 역량 요인, 그리고 해외 네트워크 요인이 신속한 글로벌 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또한 기업 유형에 따라 영향 관계가 있는지를 규명하는데 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가설을 설정하고 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구조방정식과 회귀분석을 활용하였으며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술적 요인 중 기술적 혁신성과 제품 차별성은 신속한 글로벌화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어, 신속한 글로벌화에 매우 중요한 선행요인으로 해석된다. 둘째, 마케팅 요인 중 마케팅 지식획득과 브랜드 명성 또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어, 또한 신속한 글로벌 성과에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셋째, 한국 시장 내 네트워크 범위와 해외 네트워크 강도 또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고 있어, 해외 네트워크 요인은 신속하게 글로벌 성과에 매우 중요한 요인임을 밝히고 있다. 한편, 해외 자회사 기업 유형(B2C, B2B) 조절변수 효과에 대한 가설 검증으로 회귀분석을 통한 분석 결과, B2C 해외 자회사 기업이 B2B 해외 자회사 기업보다 본 연구모형에서는 설명력이 31.9% 증가를 보였다. 또한 B2C 해외 자회사의 경우 마케팅 역량이, B2B 해외 자회사의 경우 상대적으로 기술적 역량 요인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차이가 보였다. 따라서 기업유형이 기술적, 마케팅 역량 요인 그리고 네트워크 요인이 신속한 글로벌화에 영향을 주는데 조절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결론적으로 본 연구를 통하여 실무적 측면에서는 우선 기업의 신속한 글로벌 성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선행 요인 중 마케팅 요인과 기술적 요인, 한국 시장 네트워크 등은 중요한 선행 요인임을 확인하였으며, 한편 학문적으로 본 연구 결과는 기업이 신속하게 해외로 진출하는 영향요인을 체계적으로 심층 연구에 기여하였다라고 여긴다. In this paper, we aim to advance our knowledge about factors influencing rapid globalization of firms in Korea. Through analysing empirically, this study focuses on the effect of technology competencies and marketing competencies and network in Korea rapid globalization.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foreign subsidiaries that entered in korea to expand their business overseas. This study are examined by the sample of 186 foreign subsidiaries operating in Korea. The empirical results from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regression analysis. Our findings show that marketing competencies, technological competencies and network are key drivers of rapid globalization in Korea market. Meanwhile, we also find that marketing competencies related to overseas market development in B2C foreign subsidiaries and technology competencies related to overseas market development in B2B foreign subsidiaries. And it was revealed in the path analysis using AMOS model that the relevancy of the study model was higher for B2C foreign subsidiaries than B2B foreign subsidiaries and the explanatory power(statistic index) revealed to be 31.9% higher for B2C foreign subsidiaries than B2B foreign subsidiaries in the effect relation on the rapid globalization in Korea market. Company type (B2C/B2B) was revealed moderating factor on the rapid globalization. Our study confirmed that marketing, technological competencies and network of firms effects on the rapid globalization in Korea.

      • KCI등재
      • KCI등재

        통일과 글로벌 코리안 네트워크의 구축

        이진영(Lee, Jeanyoung) 한양대학교 평화연구소 2014 문화와 정치 Vol.1 No.1

        이 글은 통일방안인 한반도 신뢰프로세스에 재외동포들이 포함되어야 하고, 어떻게 기여할 수 있는가를 글로벌 코리안 네트워크의 구축이라는 관점에서 이론적 정리를 시도한 것이다. 신뢰프로세스의 외연을 재외동포들까지 넓히고, 이들을 네트워크화 하여 통일 준비 과정에서 일정한 역할을 부여하는 적극적인 방안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2장에서는 한반도 신뢰프로세스에 대해 살펴보고, 왜 이것이 글로벌 코리안 네트워크와 연관되는가를 설명한다. 3장에서는 통일을 위한 글로벌 코리안 네트워크 체계를 검토, 제시한다. 기존의 통일방안과 구별되는 글로벌 코리안 네트워크에 기초한 새로운 통일 방안을 살펴본다. 4장에서는 구체적인 추진체계에 대한 검토와 추진방향을 제시해본다. 이를 통해 재외동포가 통일논의에 포함되어야 하고, 민족, 국민에 대한 개념도 새롭게 조망되어야한다는 점을 제시한다. This paper is to analyze overseas Korean roles in the Trust-building Process(TBP) of the Park Geun-hye government, from the perspectives of global Korean network(GKN). For this, Trust-building Process and the role of GKN will be discussed in Chapter 2. In Chapter 3, GKN system for unification will be illustrated. Here, GKN will be differentiated from ‘ethnic community-base unification,’ and ‘North-South polity-base unification.’ In Chapter 4, policy application as a road map will be proposed. Final step for the unification should be an institutionalization of GKN. In GKN, an econo-cultural community in the global level should be materialized. This can be a real unification for global Koreans including North and South Koreans as well as overseas Koreans. It does not mean the unification of national territories but the unification across national borders for a sustainable peace in Korean peninsular and in Northeast Asia. Therefore, roles of the overseas Koreans should be included in the Trust-building Process.

      • KCI등재

        도시 네트워크와 글로벌평화도시연대: 제주 도시외교의 함의

        고경민(Ko, Kyungmin),이환준(Lee, Hwanjun) 한국동북아학회 2024 한국동북아논총 Vol.29 No.2

        도시간 협력은 전통적인 양자간 자매·우호도시 협력을 넘어 도시 네트워크에 기반한 다자적 도시외교 활성화로 발전하고 있다. 이 글의 목적은 도시 네워크의 부상이라는 국제적 흐름 속에서 제주가 시도하고 있는 ‘글로벌평화도시연대’라는 도시 네트워크 구축 과정을 검토하고 글로벌 트렌드를 참고하여 그 구축 방안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이글의 초점은 도시 네트워크가 한 도시가 추구하는 도시외교의 목표와 전략을 수행하는 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 맞춘다. 이를 위해 최근의 글로벌 도시 네트워크 현황 분석결과를 기초로 사실상의 도시 네트워크를 구축해 가는 단계에 있는 제주의 ‘글로벌평화도시연대’를 한 단계 더 업그레이드된 ‘협의체’로 확대, 발전시켜야 할 필요성을 검토한다. 그리고 제주의 도시외교 플랫폼으로 ‘글로벌평화도시연대’와 같은 도시 네트워크를 활용하기 위한 몇 가지 함의를 제시한다. City-to-city cooperation is evolving beyond traditional bilateral sister and friendship cities cooperation to multilateral city diplomacy based on city networks.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process of building a city network called the Global Peace Cities Solidarity, which Jeju is attempting to do in the context of the international trend of the rise of city networks, and to suggest ways to build it with reference to global trends. The focus of this article is on how city networks can be utilized as a means to fulfill the goals and strategies of city diplomacy pursued by a city. To this end, it examines the need to expand and develop Jeju’s Global Peace Cities Solidarity, which is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a de facto city network, into an upgraded ‘association’ based on the recent analysis of the current status of global city networks. It also suggests some implications for utilizing city networks such as the Global Peace Cities Solidarity as a platform for Jejus city diplomacy.

      • KCI등재

        상품 및 서비스 혁신 : 관광관련기업의 국제화를 위한 글로벌 코리안 네트워킹 전략

        김민숙 ( Min Sook Kim ),방호열 ( Ho Yeol Bang ) 한국통상정보학회 2012 통상정보연구 Vol.14 No.2

        이 논문은 관계적 관점(a relational view)과 네트워크 관점에서 소유특유우위가 부족한 관광관련기업이 국제화 역량을 어떻게 보완하고 축적할 것인가 하는 의문에 답을 하고자 한다. 즉, 현재 국제화를 추진하는 과정에서 부족한 자원과 역량을 효과적인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활용함으로써 보완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설명하였다. 특히, 가칭 글로벌 코리안 관광네트워크(Global Korean Tourism Network)를 구축하고 발전시킴으로써 인바운드 국제화를 촉진시키는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이 네트워크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이점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글로벌 코리안 관광네트워크는 (1) 글로벌 시장 진출에 도움이 되는 지식과 역량의 공유 기회 제공 (2) 지식과 정보의 교환에서 거래비용을 절감 (3) 전 세계에 분산된 기업과의 연계를 통해 새로운 아이디어를 획득하고, 상호보완적 자원의 결합을 통한 창의적인 지식 창출 (4) 인적자원의 국제적 교류를 촉진시켜 국제전문인력의 양성에 도움이 된다. 이러한 이점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글로벌 코리안 관광네트워크를 성공적으로 구축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이 네트워크의 중심조직이 수행해야 할 핵심기능을 세 가지(참여유도와 지식공유 동기유발, 무임승차 제재와 규범 정립, 지식이전채널과 이전과정 관리)로 제시하였다. 다음으로 상호보완적이고 효과적인 네트워크의 성공요건을 제시한 후에 글로벌 코리안 관광네트워크가 이러한 요건을 얼마나 충족할 수 있는지에 대해 평가하였다. 마지막으로 글로벌 코리안 관관네트워크가 목표로 하는 성과를 달성하기 위한 효과적인 성공전략을 세 단계로 제시하였다. 첫 번째 단계는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강한 연계를 가진 밀집된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것이며, 두 번째 단계는 관광네트워크의 관계적 렌트를 창출하는 단계이다. 세 번째 단계는 네트워크 참여기업이 관계적 렌트를 누림으로써 개별 기업의 성과를 높이는 단계로 (1) 새로운 관광서비스의 개발 (2) 인바운드 국제화역량의 축적 (3) 아웃바운드 국제화 역량의 개발이 이루어지는 단계이다. The previous studies based on a resource-based view of firm highlighted the role of resources within a firm in creating and sustaining competitive advantage. Recent research, however, the relational view points to the importance of inter-firm sources (or relational capital) in creating firm competitiveness. In international business field, the studies on born-global firms also states that when firms are lack of ownership-specific advantages in their internationalization process, they resort to the external partners and social networks to complement their resource scarcity. By adopting the relational view and born-global firms concept, a network-based approach needs to be applied to explain the international strategy of Korean service firms, This is because most of Korean service firms own less ownership-specific advantages than global competitors. This study proposes Korean firms` global network building and exploiting strategy to enhance their international stages of development. The network, for example, Global Korean Tourism Network, enables network members access to the valuable resources and capabilities they are lack of when undergoing internationalization process, This study`s contribution is along two dimension, First, even global Korean network is emerging as a major issue in recent years, we could not figure out how to build global Korean network for service firms, This studies gives an answer. Second, we derived what benefits can be gained from the network if Global Korean Tourism Network is developed for hotel, tourism, convention firms` internationalization.

      • KCI등재

        재외도민과 지방의 글로벌 네트워크 : ‘제상대회’ 사례와 제주의 글로벌 네트워크 구축 방향

        고경민,장성호 한국동북아학회 2010 한국동북아논총 Vol.15 No.4

        The home friends' association and the provincial inhabitants' association should become the organization to establish the pubic reasonable objective, not the means for blind political support or mobilization for the purpose of their regions and make efforts for it, If so, it may become the social support equal to the voluntary association which become the basis of western democracy. Jeju is the representative region which has continued to have solidarity and ties through the formation of the network with figures from it.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possibility of building up the 'Global Jejuian Network' with a focus on the holding of the first Global Jeju Business Convention. For this purpose, it attempted to present the interaction of 'identity', 'network' and 'interest' as the conceptual framework to build the 'global network' of Jeju through the ties and linkage between Jeju and its provincial inhabitants living overseas regardless of Korean and foreign countries. And it presented the task and direction for buildup of the 'global Jejuian Network' based on the case analysis of the Global Jeju Business Convention. 향우회나 도민회가 자신의 지역에 대한 맹목적인 정치적 지지나 동원의 수단이 아니라 공적인 합리적 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위해 노력해 나가는 조직이 된다면, 서구 민주주의의 기초라고 하는 자발적 결사체(voluntary associations)에 못지않는 사회적 자원이 될 수 있다. 제주는 지역 차원에서 출향인사들과의 네트워크 형성을 통해 연대의식과 유대관계를 꾸준히 지속하고 있는 대표적인 지역이다. 이 글은 2009년 제주에서 개최된 제1회 글로벌제주상공인대회(Global Jeju Business Convention)에 주목하면서 ‘글로벌 제주인 네트워크’(Global Jejuian Network) 구축의 가능성을 타진해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이 글은 국내외를 막론한 재외도민과 제주의 유대 및 연계를 통해 제주의 ‘글로벌 네트워크’의 구축을 위한 개념적 틀로서 ‘정체성’, ‘네트워크’, ‘이익’의 상호작용을 제시했다. 그리고 글로벌제주상공인대회에 대한 사례 분석을 바탕으로, 이들 각각의 개념을 통해 ‘글로벌 제주인 네트워크’의 구축을 위한 과제와 방향을 제시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