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화행 통사론의 전개와 한국어의 근문 현상

        김용하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2 인문학연구 Vol.- No.51

        This study reviews the process of the development of the syntax of speech act, which provides a theoretical tool for speech act analysis in the framework of generative grammar. It also examines the possibility that the syntax of speech act can be used to account for some main-clause phenomena in Korean syntax. The syntax of speech act generally refers to the methodology suggested by Speas and Tenny (2003), but its origin is traced back to the performative analysis a la Ross (1970), and even further back to Austin’s (1962) seminal work for performative sentences. The current study also takes a look at the background of the performative analysis and some previous works by Korean linguists who tried to apply the theory to Korean main-clause phenomena like hearer honorifics. What the current study ultimately tries to show is the possibility that the insight provided by the early performative analysis can be carried out for the study of Korean in the framework of the syntax of speech act. 본 연구는 생성문법의 틀 안에서 화행 분석을 행할 수 있는 이론적 방안인 화행 통사론의 발전 과정을 고찰하고 이 이론으로 한국어의 근문 현상을 어떻게 분석할 수 있을지, 그 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화행 통사론은 Speas·Tenny(2003)이 제안한 화행 분석의 방법론을 일반적으로 가리키지만 그 근원은 Ross(1970) 또는 Austin(1962)의 수행문에까지 거슬러 올라갈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수 행문 분석이 등장하게 된 배경에 대해서도 살펴보고 한국어 통사론 연구에서 수행문 분 석을 통해 상대높임법과 같은 근문 현상들을 설명하려 했던 선행 연구도 비판적으로 검 토한다. 그리고 이런 연구가 제공하는 통찰력이 Speas·Tenny(2003)의 화행 통사론 분석 에도 원용될 수 있다는 것을 최근 한국어에 대한 여러 화행 통사론 연구 업적들에 대한 비판적 논의를 통해 보여주고자 한다.

      • KCI등재

        근대전환기 국내 사료 분석을 통한 서양자기 사용실태 연구

        엄승희(Eom, Seunghui) 한국미술사교육학회 2017 美術史學 Vol.- No.33

        본 논고는 근대전환기에 수입된 서양자기 가운데 식기사용의 실태를 사료기록 및 유물을 바탕으로 추론하여, 전반적인 흐름과 동 시기 조선요업에 미친 영향을 파악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근대전환기에는 1876년 강화도조약 체결 이후 서구열강과의 통상조약을 계기로 서양문물이 본격적으로 수용되었다. 특히 국가 간의 수교 체결 이후 문호개방은 더욱 확대되면서 새로운 대외교류가 이루어졌다. 서양자기들 역시 이 무렵 대부분 수교국들을 중심으로 조선에 들여와서 사용되었다. 서양자기 가운데서도 양식기들은 자주적인 근대국가를 천명하고 세계화에 합류하려던 대한제국기에 가장 활용도가 높았다. 조선 왕실은 외교인사들을 수시 궁에 초청하여 서양식 연회를 베풀었고, 때문에 연회의 성격은 다분히 국가의례적이었다. 그 외 양식기는 왕실의 일상생활용품으로 쓰이면서 상당량이 공급되었다. 따라서 근대전환기의 양식기는 외교인사와 고위관료들을 접대하기 위한 국가 필수품이었지만 왕실의 상차림과 식문화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쳐 사용범위가 비교적 다각적이었다. 특히 조선 왕실과 특권층을 중심으로 양식기 사용이 보편화되면서, 근대 서구의 음식문화 토대가 자연스럽게 형성되고 도자에 대한 인식이 일부 전환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그밖의 사료 기록에 따르면, 왕실 이외 각국 공사관(公使館), 대중시설 등의 서양식 연회 및 접대성격 등을 어느 정도 파악할 수 있다. 서양자기의 사용이 점진적으로 확대되던 근대전환기는 이로 인해 형성된 도자문화가 조선말기 요업에 어느 정도 파급되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실제로는 이 시기의 국가정세와 재정은 날로 위태로웠고 분원의 민영 이후 조선요업은 최대 위기를 맞이하면서 서구 제도술(製陶術) 도입은 실효를 거두지 못했다. 따라서 서양자기가 세계 각국에서 수입되어 일부 특권층에 신선한 자극이 되었지만 그 기술력과 문화가 조선요업과 사회에 직접적으로 미친 영향은 거의 없었다. 근대전환기의 서양자기는 일부를 제외하면 대부분 국가의례용으로서 사용되어 외교정책 수립을 위해 반드시 구비해야만 했다. 따라서 양식기의 사용은 이 시기 외교와 서구문명이 수용되는 가운데 유입된 특별한 문화적 소산이라고 할 수 있겠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fer the state of the use of the imports of Western ceramic crockery in the period of transition to modern era from studies of the remaining relics and historical material, and give a general overview of the historical development, and examine the influence of the imports of Western ceramic crockery on the Chosun ceramic industry. Western culture began to be introduced on a large scale into Chosun in the period of transition to modern era through the commercial treaties that were signed between Chosun and Western Powers after Ganghwa Treaty of 1876. Especially the establishment of the diplomatic relations with other countries made the door of Chosun open more, and enabled Chosun to have contact with foreign countries in a new way. Mostly from the countries that Chosun had diplomatic relations with, the Western ceramics were imported and used in Chosun. In the period of Daehan Jeguk (Great Korean Empire) that declared herself independent and tried to become a globalized country, the ceramic crockery was most useful among the Western ceramics. The royal household of Chosun often invited diplomatic officials into the royal palace and hold Western style banquets, therefore, the banquets had characteristics of national ceremony. And the ceramic crockery was used not only for ceremonial purpose but also for the purpose of daily use in the royal household and the royal household was supplied with a great deal of crockery. The ceramic crockery that was imported in the period of transition to modern era was necessary articles for receiving diplomatic dignitaries as guests, but it also affected the way of setting table and the culinary culture in the royal household to a certain degree. Especially, it seems that as the Western ceramics got used widely among Chosun"s royal family and privileged class, this trend became naturally the foundation for Chosun"s Western style culinary culture in the modern era, and people"s understanding of ceramics was changed to some degree. Also these documents inform us, to a certain degree, about the trends in the Western style banquets and the ways of entertaining guests of each nation"s legations and public facilities as well as the royal household. It can be inferred that the newly formed trend in the use of Western ceramics in the period of transition to modern era when the use of Western ceramics was gradually increasing affected the Chosun"s ceramic industry, to a certain degree, in the late period of Chosun dynasty. However, Chosun"s political and financial situation was becoming endangered at that time, and Bunwon came under private management, with the result that the ceramic industry of Chosun fell into its biggest crisis and the effort of introducing the skills of making Western ceramics to Chosun had no effect. Even though the ceramics imported from various countries around the world provided fresh stimulus to some people from privileged class, the newly formed ceramic-related culture and the skills of making Western ceramics had little effect on the ceramic industry and society of Chosun. The Western ceramics in Chosun in the period of transition to modern era were mostly used for national ceremonial purpose, so they were inevitably necessary for making diplomatic policies. Therefore, the trend in the use of the Western ceramics was a special cultural product resulting from the diplomacy in the period of transition to modern era and the introduction of Western civilization.

      • KCI등재

        한국어 근문과 내포문 불화의 한 종류

        김용하(Yong-Ha Kim) 현대문법학회 2021 현대문법연구 Vol.112 No.-

        In this paper, we try to deal with the mismatch between root and non-root clauses due the evidentiality marker –te- in Korean. As Kim (1981) claims, -te- plays the role of allowing the sentient to avoid his or her responsibility for the reported proposition. Whereas, as has been claimed by previous researchers, -te- is not the sentience head of the SenP. Rather, we assume that –te- is a modal affix selected by the sentience head with the retrospective feature. Thus, -te- does not directly interfere with the problematic mismatch between root and non-root clauses with respect to the person restrictions witnessed in –te- sentences. After all, our conclusion in this paper is that the mismatch between root and non-root clauses with respect to –te- is a phenomenon in which the sentient as an anaphor has different antecedent or controller in various syntactic contexts.

      • KCI등재

        『능엄경』의 이근원통과 염불원통의 특성에 대한 비교 고찰

        임병정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불교문예연구소 2019 불교문예연구 Vol.0 No.14

        본 논문은 『능엄경』의 이근원통(耳根圓通)과 염불원통(念佛圓通)이 갖는 특수성에 기인하여 두 원통법에 대한 경문 내용을 분석하고, 『능엄경』의 내용에 담긴 수행체계와 사상적 논리구조를 통해서 두 원통법의 의미와 적합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관세음보살의 이근원통은 이근(耳根)을 통하여 문성(聞性)을 관조(觀 照)함으로써 망심(妄心)을 유발하는 모든 경계를 해제하는 반문자성(反 聞自性)의 방법이다. 대세지보살의 염불원통은 육근(六根)을 모두 포섭(包攝)하여 오로지 아미타불에 대한 정념(淨念)을 통한 견불(見佛)을 지향한다. 양자는 둘 다 적극적인 대승의지를 선양하고 선정에 들기 위해 각자 가장 수승한 공덕을 지닌 근(根)을 선택하였다는 점에서 공통 점을 갖는다. 『능엄경』에서 최종적으로 선택되는 원통은 이근원통이다. 관세음보살의 이근원통이 수승한 이유는 처음부터 문성(聞性)을 관(觀)하여 생멸심(生滅心)에 의지하지 않으며, 육결(六結)의 단계를 거쳐 생사와 번뇌의 근본을 풀어가는 등의 수행의 내용이 『능엄경에서 제시 하는 수행차제를 가장 충실히 따르고 있기 때문이다 대세지보살의 염불원통은 인지(因地)에서 아미타불에 대한 일념(一念) 을 들고 있고, 아미타불에 대한 절대적 믿음을 강조한다. 그러나 『능엄경』의 기준으로는 문수보살이 지적했듯이 여래에 대한 일념조차 망상이고 생멸심에 의지 한 것이다. 『능엄경』에서 요구하는 수행의 원칙은 수행의 시작과 목적을 명확하게 인식하고 두 가지 결정의(決定義) 즉 인지(因地)와 과지(果地)를 일치시키되 문제의 근본에서 해탈의 열쇠를 찾는 것이다. This thesis intends to analyze the contents of the Buddhist scriptures regarding the two wontong laws that came from the specialness that is possessed by the Igeunwontong and the Yeombulwontong of the Shurangama Sutra (The Sutra of the Heroic One), and it intends to take a look at the meanings and the suitabilities of the two wontong laws through the performance system and the ideological logic structure that are contained in the content of the Shurangama Sutra. The Igeunwontong of the Avalokitesvara Guan Yin (the (Buddhist) Goddess of Mercy) is a method that counter-questions the self-examination that lifts all of the boundary lines that induces the spiritual distinguishing by contemplating the munseong through the igeun. By winning over all of the yukgeun, the Yeombulwontong of the Daesejibosal aims at the gyeonbul through only the jeongnyeom regarding the Amitabha. The two have the commonality with regard to the point that both of them enhance the aggressive will for the great victory and that each of them selected the geun that possesses the most extraordinary charity in order to make the selection. The wontong that is finally selected in the Shurangama Sutra is the Igeunwontong. The reason why the Igeunwontong of the Avalokitesvara Guan Yin is very extraordinary is because, from the beginning, it does not rely on the mind of the birth and the death in relation to the munseong and because the content of the performance that solves the fundamentals of the life and death and the anguish by going through the phase of the yukgyeol and the others of the like has been most faithfully following the performance system that is presented in the Shurangama Sutra. The Yeombulwontong of the Daesejibosal mentions the determination regarding the Amitabha in the Inji, and it emphasizes the absolute belief regarding the Amitabha. However, with the standard of the Shurangama Sutra, just as pointed out by the Bodhisattva of wisdom, even the determination regarding the Buddha is a delusion, and it had relied on the mind of the birth and the death. The principle of the performance that is demanded by the Shurangama Sutra is that the beginning and the purpose of the performance are clearly and definitely recognized and that the two kinds of the determinations or, in other words, the inji and the gwaji, are made to coincide. Except, it is to find the key for the nirvana from the fundamental of the problem.

      • KCI등재

        대책문을 통해 본 조선초기 군주성학론

        도현철(Do, Hyeon-Chul)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18 동방학지 Vol.183 No.-

        This paper focuses on the historical fact that the name Geunjeongjeon(勤政殿), created by Chung Do-Jeon(鄭道傳), means “diligence helps governance”, and he set a theme about monarchies’ diligent governance for the civil service examination in the 5th Year of Taejo, and then aims to examine the political ideas of the Joseon Dynasty through analyzing the answer sheets written by Kim Ik-Jung(金益精) who was the top examination passer that year. Chung Do-Jeon established the goal for political systems and ideas of the Joseon Dynasty and suggested the ideal monarchy which was essential in managing the monarchy-state. His viewpoint of monarchy was found out while Hangyang City Wall was constructing at the time of the founding of the country. The construction of Gyeonbokgung was completed in the 4th year of Taejo(1395) and the name of Geunjeongjeon, which means “diligence helps governance” indicated the Neo-Confucian ideal for monarchy. Chung Do-Jeon asked what the ways of practice for monarchies’ diligent governance are as a theme for the civil service examinations. Kim Ik-Jung, the top examination passer, suggested in his answer sheets that monarchies should practise the diligent governance on the basis of the Neo-Confucianism, and they should possess sagacious judgements of the right policy to be conducted diligently, and that they should open the offices to the wise men in order to be helpful to monarchies’ sagacity, and that they should strive to figure out people’s actual circumstances, and that they should not be contrary to the most pressing agenda and the late King’s precedents. This is what Kim Ik-Jung organized diligent governance by appealing to Neo-Confucian Sung-Hak(聖學, Learning of the Sage) according to Chung Do-Jeon’s ideal for monarchy. 본고는 정도전이 태종 4년에 근정전의 의미를 설명하면서 군주의 근면 정치를 제시하고, 태조 5년에 과거시험 문제로 군주의 근면 정치를 제시했다는 점에 착안하여, 태조 5년 과거 시험의 장원 급제자인 김익정의 답안지를 분석하여 조선의 정치이념을 살펴본 글이다. 조선왕조의 정치체제와 정치이념의 방향을 설정하였고, 왕조국가의 정치운영의 핵심인 이상군주론을 제시하였다. 정도전의 군주관은 조선왕조 건국기에 한양 도성 건설 사업의 과정에서 나타났다. 1395년(태조 4) 9월 경복궁이 완성되고, 근정전이라는 명칭을 통해 군주의 근면 정치라는 성리학적 군주상이 제시되었다. 다음 해인 1396년(태조 5) 5월 과거 시험 문제에서 정도전은 시험 문제로 군주의 근면한 정치의 구체적인 실천방법을 질문하는 것이었다. 이 시험의 장원급제자인 김익정은 성리학적 사유를 바탕으로 군주가 근면한 정치를 행하되, 근면하게 시행해야 할 올바른 정책에 대한 명철한 인식을 가질 것, 현자를 등용하여 군주의 명철함을 돕도록 할 것, 백성들의 실정을 파악하는 데 힘쓸 것, 당대의 급선무와 선왕의 전례에 어긋나지 않도록 할 것 등의 구체적인 방법을 제시하였다. 이는 정도전의 이상군주론에 부응해서, 김익정이 군주의 근면한 정치를 성리학의 성학론으로 풀어 정리한 것이다.

      • KCI등재

        심리술어와 증거성, 그리고 주어 인칭 제약 및 완화의 통사론

        박소영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2 인문학연구 Vol.- No.51

        This paper presents a syntactic account of subject person restrictions in Korean. Korean psyche-predicates and the evidential marker ‘-te-’ require their subjects to have certain person features in root and semi-root contexts, while these restrictions disappear in non-root contexts. This paper holds that such subject person restrictions correlate to the projection of Evidential phrase; a subject person is restricted when the phrase projects, namely in root and semi-root contexts in Korean, whereas the restriction disappears without the projection of EvidP, such as in non-root context. A psyche-predicate projects an EvidP, whose head has a person feature valued as identical to that of a Sentient, and the Evid of ‘-te-’ is valued as non-identical to a Sentient person feature. Such person features are inherited to T heads, subsequently constraining their subject person features via agreement relations. Such an analysis, furthermore, can naturally account for the contrasting patterns between causal connective endings such as ‘-ese’ and ‘-nikka’ with regard to person restrictions. The discussions in this paper support the approach of the discourse syntax, which argues for the representations of pragmatics roles in a configurational syntactic structure. 이 논문은 한국어의 주어 인칭 제약과 완화 현상에 대한 통사 원리 를 제시한다. 한국어의 심리술어, ‘-더-’는 근문, 반근문의 환경에서는 각각 동일, 비동일 주어 인칭 제약을 보이지만, 비근문 환경에서는 그 제약이 일관적 으로 완화되는 현상을 보인다. 이 논문은 근문, 반근문에서는 지각구가 투사되므로 주어 제약이 발생하지만, 그렇지 않은 비근문에서는 해당 제약이 완화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심리술어는 지각자 동일, ‘-더-’는 지각자 비동일의 명세된 인칭 자질을 가지는데, 이는 주격을 인가하는 시제구 핵과의 일치 관계를 통하여 주어 인칭을 일정한 방식으로 제약한다. 이러한 분석은 접속문, 가령 ‘-어서’와 ‘-니까’에 따른 주어 제약 대조에 대해서도 자 연스러운 설명을 제공한다. 이러한 논의는 화자나 청자, 지각자와 같은 화용론적 정보를 통사구조 내에 통합시켜 설명하려는 화행통사론적 연구 노선을 지지한다.

      • KCI우수등재

        한국어 독립성분과 화용 정보의 통사구조 표상

        박소영 국어학회 2019 국어학 Vol.0 No.89

        이 논문은 최근 활발하게 논의되고 있는 통사-화용 접면 이론을 기반으로, 그동안 한국어 통사론 논의에서는 다소 배제되어 왔던 독립성분에 대한 통사론적 검토를 통하여 한국어 문장의 대략적인 외곽 구조(periphery)의 모습을 제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감탄어, 호격어, 제시어 등의 한국어 독립성분은 근문(root sentence) 상당의 구조에서만 허용되는 근문 제약을 보이는데, 이러한 현상은 기존의 명제를 중심으로 하는 문장 구조로는 포착될 수 없다. 이 논문은 독립성분과 높임법 어미와의 일치 현상, 그리고 독립성분 간에 보이는 어순 제약을 기반으로, 독립성분이 후행하는 문장 구조에 통합되어야 함을 주장한다. 구체적으로 감탄어는 상위 화행구, 호격어는 하위 화행구, 제시어는 화행구 밑 CP 위에 투사되는 화제구와 연관되는 것으로 분석한다. 이러한 논의는 종결어미 중첩 현상 등 한국어 문법 전반에 새로운 통찰력을 제공해 줄 수 있다.

      • KCI등재

        근대중국어의 S`O`(야(也))사(似) 비교구문 연구

        문성재 한국중국어문학회 2009 中國文學 Vol.60 No.-

        漢語中之所謂比擬句式, 自春秋時代以來一成不變, 一向保持`S`似O``型, 其語法功能也僅止於充當述語. 但一至蒙元時期, 其句型始呈`S`O`似`型, 其功能也擴至充當定語或狀語. 其地理特點更爲顯著, 例數上華北壓倒江南, 作者活動時期也華北遠早江南. 諸如此類說明其句式來自北方, 隨諸宮調·雜劇·散曲等白話藝術之南下, 傳播各地, 影響漢語. 該比擬句之`似`, 從其句型語序·語法功能·地理特點及其語言特色上看, 正與蒙語中常用之後置詞sig(щиг)有同緣關係, 譬如其`似(的)`音與蒙語sig相類等等. 由此可見, `S`O`(也)似`比擬句式無疑是, 漢語在一定時點(元代)一定地點(華北)與阿爾泰語(蒙語)進行接觸·交涉後借用過來的外來語言現象, 絶非在漢語發展過程中土生土長的語言現象.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