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근대 한국불교에서 ‘세계종교’ 및 ‘종교의 본질’ 담론 - 1910~1940년대 불교잡지에 나타난 틸레, 슐라이어마허,그리고 “지·정·의” 범주 -

        송현주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24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64

        이 글은 근대 한국불교계에 등장한 ‘종교의 본질’과 ‘세계종교’ 담론에 코르넬리우스 틸레의 종교이론, 일본을 통해 전해온 “지·정·의” 담론, 그리고 슐라이어마허의 종교론이 주요한 이론적 근거로 작동하고 있음을 밝히고자 한다. 틸레의 종교이론은 열등종교와 고등종교라는 진화론적 분류체계와 ‘세계종교(보편적 종교)’ 범주의 창안을 특징으로 한다. “지·정·의” 담론은 근대 일본에서 문학·과학·철학 등의 분과 형성과 더불어 종교의 영역을 정립하는 데 이론적 근거로 활용되던 것으로, 근대 한국불교계에서도 종교가 “지·정·의” 가운데 어디에 속하는지를 규명하는데 많은 기여를 하였다. 이 때 개신교 자유주의신학의 정립자로 불리는 슐라이어마허의 종교론이 종교가 지·정·의 범주 가운데 “정”의 영역에 귀속되는 데 큰 영향을 주었다. 이와 같은 종교담론들은, 한국 불교계가 근대문화의 유입으로 종교의 영역이 새롭게 설정되고 있음을 자각하고 불교를 그 영역 안에 배치하기 위한 여러 논리를 개발했음을 의미한다. 논의의 핵심에는 종교의 본질, 종교에서 불교의 위치, 불교와 종교 범주와의 관계가 필수적인 것으로 자리잡고 있다. 이 과정에서 서양의 불교학과 종교학이 중요한 역할을 한 것은 물론, 이 담론들의 준거점이 되고 있다. 불교학과 종교학이라는 비교적 역사가 길지 않고 그 역시 근대의 산물이기도 한 이들 학문에 따라 근대불교계는 전근대의 불교세계와 다른 풍경을 구성하게 되었다. 이들로 인해 한국불교에서도 근대적 사고가 가능해졌으며 모더니티를 부여받게 되었다. 1910년대부터 불교잡지에 등장한 근대적 의미의 학술적 종교담론들은 주로 일본에 유학했던 유학생들을 통해 빠르게 한국으로 유입된 것이었다. 그 결과 한국불교계는 근대 유럽의 ‘종교’ 담론의 자장 속에 포섭되었고, 근대 이전에는 볼 수 없었던 새로운 종교관의 형성에 동참하게 되었다. This paper examines three major theories of religion that provided foundational frameworks for discussions on ‘the essence of religion’ and ‘world religion’ in modern Korean Buddhism: first, Cornelius Tiele’s religious theory; second, the discourse on “knowing, feeling, and willing” transmitted through Japan; and lastly, Friedrich Schleiermacher’s theory of religion. Tiele’s theory is notable for its evolutionary classification of religions into inferior and higher types and its introduction of the concept of ‘world religion (universal religion).’ The “knowing, feeling, and willing” discourse, prominent in modern Japan, helped define the boundaries of religion alongside the development of literature, science, and philosophy. Korean Buddhists actively engaged with this framework to understand how religion fit within these categories. Schleiermacher’s theory, a significant influence in Protestant liberal theology,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religion within the realm of “feeling.” These discourses reflect how modern cultural influences reshaped the concept of religion, prompting the Korean Buddhist community to develop arguments that positioned Buddhism within this new framework. Central themes included defining the essence of religion, Buddhism’s place within the broader religious landscape, and its relationship to the wider category of religion. The influence of Western Buddhist studies and religious studies was crucial in this process, providing key reference points that helped distinguish the modern Korean Buddhist experience from its pre-modern past. As relatively new fields and products of the modern era, Western Buddhist studies and religious studies facilitated the adoption of contemporary perspectives within Korean Buddhism, enabling Korean Buddhists to embrace modernity. The academic religious discourses in the modern sense that appeared in Korean Buddhist magazines from the 1910s were quickly introduced to Korea, mainly through students who had studied abroad in Japan. As a result, modern Korean Buddhism was absorbed into the broader sphere of ‘religious’ discourses shaped by modern European thought, contributing to the emergence of a new religious perspective that had not existed before the modern era.

      • KCI등재

        한국 개벽종교와 토착적 근대

        허남진 한신대학교 종교와문화연구소 2018 종교문화연구 Vol.- No.30

        This article aims at investigating the way of indigenous modernity and indigenous modern religions pursued by Korean Gaebyeok religions through a counter discourse against the oppression of colonial power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Joseon government during the opening of ports. In particular, it aims to examing the ways of ‘indigenous modernity’ and ‘indigenous modern religion’ which the modern Korean religion sought. Also, the article did try to reveal how Korean Gaebyeok religions established identity as a indigenous modern religion in the process. The reason why I chose this view is that the Korean Gaebyeok religions is definitely a production of the modern age and searched for a quite different way from the western modernity. In this article, I examined the possibility of indigenous modernity or native modernity through discussions of ‘Alternative modernity’, ‘Multilayered modernities’ and ‘Indigenous modernity’ which are recently raised in critical discourse on western modernity. Based on this analysis, I examined ‘Gaebyeok’ as an idea for seeking a subjective modernization rather than the concept of the frequency of revolution. Also, the article did try to reveal how Korean Gaebyeok religions established identity as a Indigenous modern religions. The Korean Gaebyeok religions, which is not entirely accepted through acceptance and resistance of western modern civilization such as separation of religion and politics, has been transformed into ‘indigenous modern religions’ 본 연구는 개항기 조선 정부와 일제 강점기 식민권력의 탄압에 대한 한국 개벽종교의 대항 담론을 통해 한국 개벽종교가 추구했던 ‘토착적 근대’와 ‘토착적 근대종교’의 길을 살펴보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관점을 택하게 된 이유는 근대 한국 개벽종교는 분명 근대의 산물이며, 서구적 근대와 다른 길을 모색했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 서구적 근대에 대한 비판 담론에서 새롭게 제기되고 있는 ‘대안적 근대’, ‘중층적 근대’, ‘토착적 근대’의 논의를 통해 토착적 근대 혹은 자생적 근대의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분석을 토대로 ‘개벽’을 운도론적 대망사상이 아닌 주체적 근대의 모색을 위한 사상으로 위치시키고, 개항기 위정척사파, 개화파와 다른 한국 개벽종교가 지향했던 주체적 근대의 모습을 살펴보았다. 한국 개벽종교는 정교분리 등 서구 근대문명을 전적으로 수용하지 않고 주체적 수용을 통해 서구적 근대종교가 아닌 민중과 민족이 요구하는 당시의 시대적 과제까지 결집한 ‘토착적 근대종교’로서의 특징을 드러내고 있다.

      • KCI등재

        특집논문5 : 한국"근대종교"의 탄생 ; 한국의 근대 신종교, 근대적 종교로서의정착과 그 한계: 개벽사상을 중심으로

        윤승용 ( Seung Yong Yoon ) 한국종교문화연구소 2012 종교문화비평 Vol.22 No.22

        이 글은 신종교의 개벽사상이 어떤 모습으로 형성되었고, 이후 한국사회 문명화와 식민지화 과정에서 어떻게 전개되어 왔는가를 살펴보고자 한다. 그 과정에서 신종교는 근대종교로서의 정체성을 어떻게 확립해갔으며, 또 그것에 어떻게 저항했는가를 밝혀보려고 하였다. 개벽사상은 한국의 근대 신종교들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난 구원논리다. 이 사상은 전통적인 민중 신앙을 기반으로 형성되었기 때문에 서구 근대성과는 전혀 다른성향, 즉 성속융합, 영육쌍전, 정교일치, 정신과 물질의 조화 등의 성향을 담고 있다. 이개벽사상은 근대를 수용하기도 하고, 그에 저항하기도 하면서 시기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전개되었다. 동학의 다시개벽과 정역의 일월개벽에서부터, 동학혁명의 실패 이후 등장한 증산교의 천지공사, 러일전쟁 전후에 등장한 천도교의 문명개벽과 대종교의 개천개벽, 3.1운동 이후 등장한 이돈화의 사회개벽과 원불교의 정신개벽으로 이어진다. 개벽사상은 과거와의 단절과 새로움에 대한 의식이라는 면에서는 근대 문명화의 구조와 유사하지만 그 내용은 상당히 다르다. 그 때문에 근대 신종교는 서구적 근대종교와는 다른 근대화의 길을 갈 수밖에 없었다. 즉 근대사회가 인정을 하는 문명화된 근대종교로 가든지 아니면 더욱 종교적이 되는 이른바 신비종교로 가든지를 선택해야만 했다. 전자가 소위 근대가 만든 미신 극복과 정교 분리를 지향하는 종교화의 길이라면, 후자는 근대적이지만 세속과는 멀어진 종교화의 길이다. 그러나 근대 신종교의 개벽사상은 집단 구원의 논리인 민족주의적 성향을 띠고 있었기 때문에 이 두 가지 근대종교의 길에만 머무를 수는 없었다. 이후 신종교들은 일제가 인정하는 불교, 기독교, 신도에 기생하거나 근대 종교개념에서 파생된 미신이나 유사종교로 취급받아 해체당해 지하로 잠복하고 말았다. 그러나 불교나 유교와 같은 전통종교들의 근대화 길이나 기독교와 같은 근대 문명종교로서의 정착은 아니지만 제3의 근대적 종교로 정착하여 이 땅에 저항적 민족주의 형성에 원초적인 기틀을 제공하였다. 즉 서구에서 유입된 기독교나 근대 개혁을 추진한 전통종교들이 포괄해 낼 수없는 영역, 말하자면 민족의 정체성을 종교화하거나 문화적으로 담아내는 근대적 역할을 수행하였다. This article aims at examing Gaebyeok ideas of New-religion, focusing on how it was formed in the beginning and in the process of development of civilization and colonization of Korea. Also, the article did try to reveal how New-religion established identity as a Modern-religion in the process. Gaebyeok ideas is salvation logic, commonly coming from Modernreligions of Korea. Because this ideas was formed based on the traditional folk beliefs, it is quite different from Western modernity. So it holds fusion of sacred and secular, blend of body and mind, sophisticated match of spirit and matter. Gaebyeok ideas has been deployed in various forms while accepting modernity or resisting it, depending on the time. It appeared first in the the Re-Gaebyeok of Donghak and the Calendar Gaebyeok of Jungryeok(正易), In the second place, after the failure of Donghak Revolution, Cheonjigongsa(天地公事) of Jeungsangyo emerged. In the third place, after the Russo-Japanese War, the Civilizathion-Gaebyeok(文明開闢) of Chondogyo and the Sky-brook gaebyeok(開天開闢) of Daejonggyo emerged.. Lastly, after 3·1 movement the New social geabyeok of Yidonhwa(李敦化) and the Spiritual gaebyeok (精神開闢) of Wonbuddhism followed by. The structure of Gaebyeok ideas and modern civilization is similar in the sense of stopping past and new consciousness, but the content is quite different. And so, Modern Religions were forced to go down the road of modernization, which is different from the western Modern religion. They had to choose whether civilized modern religion which modern society has recognized or more religious, so-called mystery religions. If the former is the religious road, orienting to the modern superstition overcoming and the separation of church from politics, so the latter is religious road created by the modern but alienated from the secular. Gaebyeok ideas of New-religions, however, could not dwell only in the two ways of these Modern religions. Beacuse the logic of collective salvation takes form of nationalistic tendencies. New-religions fell dormant underground, after dismantling such recognized Japanese Buddhism, Christianity, Shindo concepts and superstition derived from Modern religion and treated as a religion received simlilar parasitic. The New-religion did go neither the way of traditional religions, such as Buddhism, Confucianism nor the way of christian religion as settled the civilized modernization. So it settled down the other way of modernization and finally the formation of primal resistance-nationalism in this land. They did perform the role of cultural or ethnic identity, which christianity coming from the west or traditional religion in promoting modernization are not able to cover.

      • KCI우수등재

        근대적 인간과 전근대적 종교의 심원

        이정연(Jungyeon Yi) 한국사회학회 2018 韓國社會學 Vol.52 No.4

        본 연구는 1970년대 한국 근대화의 핵심 정신을 ‘성장주의’로 명명하고 이것이 어떻게 대중의 일상적인 삶의 영역과 맞물렸는지를 규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1970년대에 급속히 팽창하여 한국을 대표하는 교회로 자리잡은 여의도순복음교회와 조용기 목사의 종교를 분석하면서 당시 한국의 성장주의와 일상의 종교가 결합되는 구체적 원리와 내용을 제시한다. 우선 조용기 목사는 그의 종교적 신념인 구원론과 축복론, 그리고 성령론을 통해 가난의 숙명을 끊어내는 근대적 인간으로의 변모를 제시한다. 그의 종교 교리는 성장을 세속적 차원에서 끌어내서 성스러운 종교적 경지로 이행시킨다. 전인적인 구원론과 축복론을 통해 성장은 좋고, 선하고, 신성하기까지 한 신의 뜻과 연결된다. 또한 그의 성령론은 근대적 인간의 자기긍정의 동력과 연결된다. 성령은 꿈꾸고 희망하는 긍정의 정신을 심어주고 그것을 실현하게 만드는 절대적 ‘능력’과 연결된다. 그런데 이를 위한 구체적인 종교적 실천행위는 전근대적 종교의 심원을 복원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 조목사는 원초적인 영성의 욕구를 충족시키는 열광적인 의례와 신비주의적 종교행위를 제약 없이 해방시키는 기도원을 적극 활용한다. 기도원에서의 열광적인 종교행위는 급속한 근대화가 낳은 일상의 불안과 고통의 해방구로서 기능한다. 여의도순복음교회의 팽창 과정은 1970년대의 성장주의를 단순히 옹호하거나 활용하는 차원을 넘어서서 성장주의를 내면화하고 추동하고 실현하는 종교적 주체의 구성 과정을 보여준다. 이러한 종교유형은 ‘쟁취적 기복형’으로 정의된다. 이는 성장주의 아래 근대적 인간상과 전근대적 종교 심원이 혼합되면서 만들어진 독특한 한국의 개신교 종교문화의 일면을 제시한다. This study defines the core of modernization spirit during 1970s as 'Growth' and examined how this is associated with the realm of everyday life of the masses. This investigation involved studying the religion of Pastor Yonggi Cho and Yoido Full Gospel Church that rapidly expanded in the 1970s and became representative of Korean churches. Through this case study, the relational aspects between Korea’s Growthism in modernization and the daily religion are uncovered. First, Pastor Yonggi Cho suggests transformation into a modern man who cut off the fate of poverty through his religious beliefs in the ‘Salvation’, ‘Blessing’, and ‘Holy Sprit.’ His religious doctrine draws ‘Growth’ from the secularized perspective then incorporates it into sacred religious realm. Through his Prosperity Theology on Salvation and Blessing, ‘Growth’ is connected with the will of God and is good and divine. Then his beliefs in ‘Holy Sprit’ relates to the power of modern self-affirmation. The Holy Spirit makes the believer a spirit of affirmation and the Holy Spirit is associated with the absolute ability to make dreams come true; however, the religious activity to achieve Growth is made by restoring the mind of the premodern religion. Pastor Cho actively utilizes an enthusiastic ritual that meets the primitive spiritual needs and a space of prayer house that liberalized mystical religious practices without restrictions. The expansion process of Yoido Full Gospel Church shows the process of forming a religious subject that internalizes, drives, and realizes the ideology of Growth, beyond simply advocating or exploiting the Growth ethos of the 1970s. This type of religion is defined as an 'acquisitive prosperity-seeking'. This type of religion has an affinity with the lower-middle class desiring upward mobility. This presents one aspect of Korean Protestant’s religious culture that is unique and yet made up of a mixture of modern man and premodern religious mind under Growthism.

      • KCI등재

        ‘근대성과 종교’ 연구에 대한 검토

        이정연(Yi, Jung-Yeon) 한국이론사회학회 2018 사회와 이론 Vol.33 No.-

        ‘근대성과 종교’는 사회학의 오래된 연구 주제다. 맑스, 베버, 뒤르케임 등의 고전 사회학자들은 종교 연구를 통해 새롭게 도래한 근대 사회의 특징을 규명해 냈다. 종교는 사회학의 고전적인 연구 대상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으로 발전하지 못하다가 1950년대에 들어서야 다시 활발히 연구되기 시작했다. 특히 사회과학자들의 일반적인 예측과 다르게 20세기에 들어 종교가 공적 영역과 사적 영역 모두에서 활성화되는 현상이 나타났고 이는 근대성과 종교의 관계를 재고하도록 만들었다. 근대성과 종교의 관계를 밝히고자 했던 시도는 1970년대 부터 시작된 세속화-탈세속화 논쟁으로 본격화되었다. 근대화 과정에서 종교가 쇠퇴하는가 아니면 활성화되는가를 놓고 격렬하게 대립했던 이 논쟁은 ‘근대성이란 무엇인가, 종교란 무엇인가’라는 근본적인 질문을 다시 제기했다. 오랜기간의 이 논쟁을 분석함으로써 우리가 얻을 수 있는 결론은 근대화와 종교에 대한 연구는 종교의 쇠퇴나 활성화가 아니라 종교의 ‘변모’를 분석하는 것이 되어야 한다는 사실이다. 이는 신성, 구원 등의 종교적 이념과 종교가 수행하는 사회적 기능의 변모를 모두 포함한다. ‘Modernity and religion’ is an old research theme in sociology. Classical sociologists such as Marx, Weber, and Durkheim have sharply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modern society through religious studies. Although religion was a classical research subject of sociology, it did not develop continuously, but it began to be actively studied again in the 1950s. In particular, unlike the general predictions of social scientists, in the twentieth century, religion became active in both the public and private spheres, which led to a rethinking of the relationship between modernity and religion. The attempt to reveal the relationship between modernity and religion has led to the debate of secularization and de-secularization that began in the 1970s. Through this controversy, which fiercely opposed the decline or activation of religion in the process of modernization, we come to rethink the fundamental question of what is modernity and what is religion. The conclusion we can gain from analyzing this long-standing debate is that the core of study on modernity and religion is not the decline or revitalization of religion, but the ‘transformation’ of religion in the process of modernization. This transformation occurs not only in religious ideas such as divinity and salvation, but also in the social functions of religion.

      • KCI등재

        중세와 근대의 교차로에서 : 종교개혁의 시대적 의미

        박준철 한국서양중세사학회 2018 西洋中世史硏究 Vol.0 No.41

        본 논문은 종교개혁 500주년을 맞이하여 종교개혁의 시대적 의미를 거시적으로 진단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종교개혁의 출범정신이자 으뜸원리인 이신칭의론은 신자 개인의 주체적 종교 감성을 고양시켰다는 점에서 독자적 주체로서의 개인을 표방한 근대의 도래를 재촉했지만, 구원은 피조물의 노력이 아닌 오로지 창조주의 은총의 결과라는 이 교리는 인간의 자율성을 철저히 부정함으로써 근대적 인간상에 역행하는 양면성을 띠고 있다. 종교개혁의 근대적 성격이 잘 드러나는 분야는 새로운 정치체제의 등장에 있다. 독일 종교개혁은 교회가 국가에 종속되는 현격한 변화의 주요기제로 작동하였을 뿐만 아니라 통치자에 순응하라는 정치적 부권주의를 강조하고 균질적 민중을 창출하기 위한 민중규율화 작업을 통해 국가권력의 강화에 크게 이바지하였다. 독일과 영국의 개혁운동이 절대주의 체제에 긍정적으로 작용했다면 칼뱅파는 불의한 군주에 대한 저항을 인정하면서 민주적 근대국가의 탄생을 도왔다. 한편 종교개혁은 사회·문화적 차원에서 근대적 사회에 부합하는 변화를 이끌어 냈다. 아동교육의 중요성을 부각시켜 교육의 확대를 가져왔고, 성직자의 결혼이 인정되면서 가정과 결혼의 의미를 제고하였으며, 부부간의 섹슈얼리티에 있어서도 중세사회와는 사뭇 다른 호의적 태도를 보였다. 종교개혁은 여성에게도 여러 긍정적 변화를 이끌어 냈지만, 여성의 정체성 고양의 한 공간이었던 수녀원을 철폐하고 무엇보다도 부정적인 여성관을 고착화함으로써 여성에게 악재로 작용하는 측면도 있었다. 전반적인 관점에서 볼 때, 종교개혁의 시대적 좌표는 근대 쪽으로 기울어진다고 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신 중심의 초월적 세계관이 그대로 유지되었다는 측면에서 종교개혁은 보수적 개혁에 해당한다. How can we understand the Reformation as a historical moment in terms of the periodization of the European world? Was it one of the forces contributing to the emergence of the early modern society or nothing more than a conservative reform that remained in essence within the medieval paradigm and world view? ‘Salvation by faith alone,’ the foremost principle of the Reformation surely opened door to the coming of early modern society by emphasizing the role of personal inner belief, independent of the enforced outward norms established by the medieval church, in one’s salvation. However, this doctrine contradicted to the image of modern men by regarding Protestant believers as beings totally passive and powerless relying desperately on God’s sole decision. The reform movement played a great part in the advent of early modern European political settings. In many areas such as England and Germany that embraced the new Christian religion, the state trod a path toward the centralized government and even absolutism, since the church became subordinate to the princes in the course of the Reformation. The flow to strong state was accelerated by the shared belief among reformers and their teaching that obedience to the ruling was a fundamental divine duty of ordinary people. Many changes drawing European society to new era occurred in social and cultural spheres. With the approval of clerical marriage the meaning and importance of family life including domestic sexuality received hailing social and religious response. Education of the young was remarkable improved with the founding of new primary schools and gymnasia. The influence of the reform movement to women was double-sided. Positive changes for women took place along with the consolidation of inferior image of women. As a whole, the Reformation played a great role in the emergence of early modern Europe with its new doctrines and the visible changes it instituted. Nonetheless, it was hardly a new epoch with regard to the fact that it maintained the traditional theocentric world view and supernatural value system.

      • KCI등재

        근대 한국종교의 공공성과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

        김봉곤(金?坤)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18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76 No.-

        근대 한국종교의 공공성은 국권이 피탈된 일제 치하에서, 민족운동을 전개하는 과정에서 잘 드러난다. 1900년대 일제의 침략이 가속화되자 근대 한국종교에서는 종교가 정치적으로 이용되거나 탄압되는 것을 막기 위해 정교분리를 선언하였다. 그리하여 교리가 심화되고 교단이 체계적으로 정비되는 등 근대종교로서의 모습을 띠게 되었다. 그러나 1910년대 일제의 정치적 탄압과 함께 삶의 구조가 왜곡되고 종교행위마저 자유롭지 않자, 근대 한국종교에서는 국권을 되찾으려는 운동에 적극 나서게 되었다. 더욱이 1917년 러시아혁명과 1918년 미국 윌슨 대통령에 의해 민족자결주의가 제창되자, 근대 한국종교에서는 민족운동의 사상적 기반으로 적극 수용하였다. 이에 근대 한국 종교에서는 1919년 일제의 식민지적 지배에서 벗어나기 위해, 천도교 측에서는 비폭력 만세시위 운동을 전개하였고., 대종교 측에서는 무장투쟁을 선언하였으며, 보천교는 천제와 같은 비밀스런 종교적 행위를 통해 독립을 쟁취하려고 하였다. 3.1운동을 전후하여 근대 한국종교는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을 위해 노력하였다. 대종교인들은 1911년 이래 상해에서 독립운동을 전개하고 있었기 때문에, 대한민국임시정부가 수립될 때 많은 인물이 참여하였다. 천도교도 한성정부와 노령정부가 통합된 1919년 9월 이후 본격적으로 대한민국임시정부에 참여하였다. 보천교도 일제의 지배에서 벗어나 새로운 개벽 세상을 연다는 포교론의 실현과 독립운동을 통한 외연의 확장을 위해 대한민국임시정부를 적극 지원하였다. 다만 1921년 이후 천도교가 이승만의 위임통치론 등에 반발하여 대한민국 임시정부를 불신하였고, 보천교도 일제의 회유공작에 넘어감으로써 임시정부와 이들 종교와의 관계가 점차 소원해지게 되었다. This research aimed at determining the efforts of modern Korean religion to build a new nation and investigating the desire or ideology for a new nation in modern Korean religion based on the activities of religious people who participated in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Korea or Manchuria military government. Publicness of modern Korean national religion strongly appeared in the process of active movement on the colonial condition where national sovereignty was robbed. As Japanese invasion was accelerated in 1900s, modern Korean religion proclaimed separation of church and state to prevent pro-Japanese or suppression of religion due to political activity. There, deepening and systematization of religious dogma was prepared and the religious body was organized, however as Japan intensified suppression in 1910s, modern Korean National religion actively participated in the movement to regain national sovereignty. However, with the political repression of Japan in the 1910s, when the structure of life was distorted and the religious activities were not free, the modern Korean religion became active in the movement to regain national rights. Furthermore, when the Russian Revolution of 1917 and the national self - determinationism of President Wilson of the United States were put forward in 1918, it was accepted as the ideological basis of the national movement in the modern Korean religion. In modern Korean religion, in order to escape from colonialism of Japanese imperialism in 1919, the Cheondogyo side developed nonviolent demonstration campaign, the Daejonggyo side declared armed struggle, and Bocheongyo tried to win independence through secret religious activities such as. After the March 1 Independence Movement, modern Korean religions sought to establish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Korea. Since Daejonggy have been carrying out independence movements in Shanghai since 1911, took the most important role in the establishment of provisional government of Korea. since there was no big difference in Cheondogyo in respect of building an independent nation, they actively participated in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Korea since September, 1919, when Hanseong government and Noryeong government were unified. Also, Bocheongyo, modern Korean religion, also supported provisional government of Korea, in order to expand its outreach through the independence movement and the propagand of new civilization outside Japan"s domination. However, after 1921, by Chondogyo rebeling against Rhee Syng-man"s mandate ruling and distrusting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Korea, and Bocheongyo moving on to a conciliatory measure of the Japanes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ovisional Government and these religions became increasingly deserted.

      • KCI등재

        근대 이후 한국 사회변동과 개신교 학교의 ‘종교교육’ : 종교의 자유와 정교분리 문제를 중심으로

        류성민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12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51 No.-

        이 글은 한국 근대의 사회변동과 개신교의 관계를 개신교 학교의 ‘종교교육’을 중심으로 살펴보면서 개신교의 선교 지상주의적 태도의 근원과 현실을 이해하고자 하는 의도로 쓴 것이다. 특히 근대에서부터 최근까지 개신교 학교의 ‘종교교육’에서 가장 중심적인 논란이 되어 온 종교의 자유와 정교분리 문제를 집중적으로 다룸으로써 선교중심의 개신교 ‘종교교육’에 대한 비판적 성찰을 하는 동시에 개신교의 선교 지향적 양태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고자 한다. 개화기의 근대 교육의 도입과 ‘종교교육’의 실시는 동시에 이루어졌다. 곧 ‘종교교육’을 실시하고자 하는 목적에서 근대 교육이 도입되었던 것이다. 당시 조선 조정의 이중적 태도, 곧 근대교육의 도입을 추진하면서 ‘종교교육’을 인정하지 않았지만, 실제로는 방관하는 태도로 인해 근대교육과 ‘종교교육’은 함께 이루어졌다. 선교사들은 정교의 분리를 강조하면서도 국가의 ‘종교교육’금지는 준수하지 않았다. 개화와 선교라는 각기 다른 목적을 지닌 두 주체가 종교의 자유와 정교분리를 자의적으로 적용한 것이었다. 일제 강점기에도 한반도의 강점이라는 일제의 목적과 선교라는 개신교의 목적이 상호 충돌하면서 종교의 자유와 정교분리를 모두 제대로 수용하지 못하는 양상으로 치닫게 만들었다. 결국 개신교 학교들은 일제의 강압에 의해 ‘종교교육’을 포기하는지 아니면 근대 교육 자체를 포기해야 하는 최악의 양자선택에 내몰리게 되었다. 해방 이후 미군정의 교육정책은 국가 주도적 공교육 확대라는 미국식 근대교육의 도입에 주안을 두었는데, 정교의 분리를 천명하기도 했으나 기독교 편향적 태도로 인해 ‘종교교육’의 문제를 방기했고, 개신교 학교에서의 ‘종교교육’은 다시 복원이 되었다. 정부수립 이후부터 ‘중학교 무시험제도’와 ‘고교평준화 시책’이 실시된 1970년대 전후까지 현존 개신교 학교의 절반 이상이 신설될 정도로 ‘종교교육’은 붐을 이루었으나, 그 두 제도로 인해 종교의 자유와 정교분리 문제가 다시 부각되었고, 마침내 ‘종교교육’은 법원의 판결에 의해 금지되는 상황으로 이어지고 있다. 2010년에 종결된 이른바 ‘대광고등학교 사건’은 그 전환점이 되었다고 평가할 수 있다. 요컨대 근대 이후부터 최근까지 우리나라 ‘종교교육’에서는 상보적 관계에 있어야 할 종교의 자유와 정교의 분리가 길항관계로 점철되었으며, 그 근원에는 개신교의 ‘선교’지상주의가 자리 잡고 있다. 다만 최근의 대법원 판례를 통해 학교교육에서의 ‘종교교육’이 학생들의 종교의 자유를 침해하고 있다는 것을 인정함에 따라, 기독교계 사립학교도 공교육 체제에 편입된 이상 학교에서 선교를 위한 ‘종교교육’은 불가능해졌고, 자율형 사립학교나 대안학교로 전환되고 있는 실정이다. 개신교에서는 여전히 ‘선교’중심적 ‘종교교육’을 포기하지 않고 있으며, 그 자체가 최근의 이른바 ‘공격적 선교’로 드러난 한국 개신교의 한 특징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근대 한국종교에서의 ‘민족’(民族)과 ‘민중’(民衆) ― Nation, Nation State, 그리고 Nationalism과 관련해서

        김석근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17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74 No.-

        This paper analyzes how new religions—Donghak, Jeungsangyo, Daejonggyo, and Won Buddhism—impacted Chosun, in the late nineteenth century. Particularly, this paper mainly focuses on the social status and political implications of each religion rather than the religion and its doctrine itself. This paper investigates how these religions define and view the concepts of “Nation[Minjok, 民族]”, “People[Minjung, 民衆]”, and nationalism. The urgent matter at the time was internal and external integration of the state. Externally, nations wanted liberation and internally, they were trying to break the existing social classes. In this context, national independence and social integration are connected. This could be labeled as the process of the formation of the modern state. Each religion had a different perspective on the modern state. They all shared the concept of “Anti-foreign-power” and “Anti-feudal” but differed in what concept they specifically focused on. Furthermore, due to the nature of the colonial period, new religions had various restrictions to the scope of activities that they could conduct. One notable case is the religion Daejonggyo, which rigorously engaged in independence movements abroad by invoking a national identity of the Korean people by using the concept “Dangun”. This paper reviews modern Korean religions in the perspective of modern nation state formation. Their beliefs provide a new philosophical perspective to investigate the concepts of “modern” and “postmodern.” 이 글에서는 19세기 후반 이후 한반도에서 등장한 대표적인 새로운 종교(신종교)들[구체적으로는 동학, 그 보다 조금 늦게 등장한 증산교(甑山敎), 대종교(大 倧敎), 그리고 원불교(圓佛敎)]에 대해서, 종교나 교리 내용 그 자체 보다는 그들이 지녔던 사회적, 정치적 함의와 위상에 초점을 맞추어 보고자 했다. 19세기 전환기에 등장한 그들 종교가 ‘민족’, ‘민중’, ‘민족주의’에 대해서 어떤 생각을 가지고 있었는가, 특히 근대적 의미의 Nation, Nation State, 그리고Nationalism이란 맥락에서 그들을 어떻게 평가해야 할 것인가 하는 것이다. 당시 국제사회에서 시급한 과제는 ‘국가적 독립’[대외적인 문제]과 대내적으로 계급(과 계층)을 넘어서는 ‘대내적 통합’을 이루어내는 것이었다. 이른바 근대적인Nation의 문제라 할 수 있겠다. 거기서 국가적 독립과 대내적인 통합은 서로이어지게 된다. 이른바 근대국가 형성 과정이라 해도 좋겠다. 근대적인 국민국가 형성이란 측면에서 그들을 바라볼 경우, 시대와 활동 무대 등과 맞물려서 다양한 편차가 있었다. 이들 종교에서는 ‘반외세’[대외]와 ‘반봉건’[대내] 요소가 동시적으로 그리고 종교에 따라 어느 한 쪽에 중점을 두면서 존재하고 있었다. 전체적으로 대외적으로 국가적 독립, 그리고 대내적으로국민적 통일이라는 Nation 개념의 두 가지 측면의 ‘가능성’을 읽어낼 수는 있었지만, 실제로 다다른 것은 아니었다. 특히 식민지 시대라는 특성상, 국내에서활동할 경우 많은 제약이 있었다. 해외에서 ‘독립’운동을 펼쳤던 대종교의 경우 ‘단군’을 내세움으로써 한민족의 정체성을 환기시켰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한 측면을 보여주었다. 이 글은 근대 한국종교에 대해서 주권을 가진 근대 국민국가 형성이라는 관점에서 논평해본 것일 뿐이며, 그들 종교의 모든 것은 아니다. 근대, 국민국가, 그리고 내셔널리즘을 넘어서고자 하는 탈근대적인 전망 하에서는, 그들이 보여준 다양한 종교적 상상력은 ‘근대’와 ‘탈근대’를 아울러 같이 생각해보는 데에 아주 유용한 사상적, 철학적 자원이 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 KCI등재

        근대 한국종교에서의 ‘민족’(民族)과 ‘민중’(民衆)

        김석근(金錫根)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17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74 No.-

        이 글에서는 19세기 후반 이후 한반도에서 등장한 대표적인 새로운 종교(신종교)들[구체적으로는 동학, 그 보다 조금 늦게 등장한 증산교(甑山敎), 대종교(大倧敎), 그리고 원불교(圓佛敎)]에 대해서, 종교나 교리 내용 그 자체 보다는 그들이 지녔던 사회적, 정치적 함의와 위상에 초점을 맞추어 보고자 했다. 19세기 전환기에 등장한 그들 종교가 ‘민족’, ‘민중’, ‘민족주의’에 대해서 어떤 생각을 가지고 있었는가, 특히 근대적 의미의 Nation, Nation State, 그리고 Nationalism이란 맥락에서 그들을 어떻게 평가해야 할 것인가 하는 것이다. 당시 국제사회에서 시급한 과제는 ‘국가적 독립’[대외적인 문제]과 대내적으로 계급(과 계층)을 넘어서는 ‘대내적 통합’을 이루어내는 것이었다. 이른바 근대적인 Nation의 문제라 할 수 있겠다. 거기서 국가적 독립과 대내적인 통합은 서로 이어지게 된다. 이른바 근대국가 형성 과정이라 해도 좋겠다. 근대적인 국민국가 형성이란 측면에서 그들을 바라볼 경우, 시대와 활동 무대 등과 맞물려서 다양한 편차가 있었다. 이들 종교에서는 ‘반외세’[대외]와 ‘반봉건’[대내] 요소가 동시적으로 그리고 종교에 따라 어느 한 쪽에 중점을 두면서 존재하고 있었다. 전체적으로 대외적으로 국가적 독립, 그리고 대내적으로 국민적 통일이라는 Nation 개념의 두 가지 측면의 ‘가능성’을 읽어낼 수는 있었지만, 실제로 다다른 것은 아니었다. 특히 식민지 시대라는 특성상, 국내에서 활동할 경우 많은 제약이 있었다. 해외에서 ‘독립’운동을 펼쳤던 대종교의 경우 ‘단군’을 내세움으로써 한민족의 정체성을 환기시켰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한 측면을 보여주었다. 이 글은 근대 한국종교에 대해서 주권을 가진 근대 국민국가 형성이라는 관점에서 논평해본 것일 뿐이며, 그들 종교의 모든 것은 아니다. 근대, 국민국가, 그리고 내셔널리즘을 넘어서고자 하는 탈근대적인 전망 하에서는, 그들이 보여준 다양한 종교적 상상력은 ‘근대’와 ‘탈근대’를 아울러 같이 생각해보는 데에 아주 유용한 사상적, 철학적 자원이 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This paper analyzes how new religions—Donghak, Jeungsangyo, Daejonggyo, and Won Buddhism—impacted Chosun, in the late nineteenth century. Particularly, this paper mainly focuses on the social status and political implications of each religion rather than the religion and its doctrine itself. This paper investigates how these religions define and view the concepts of “Nation[Minjok, 民族]”, “People[Minjung, 民衆]”, and nationalism. The urgent matter at the time was internal and external integration of the state. Externally, nations wanted liberation and internally, they were trying to break the existing social classes. In this context, national independence and social integration are connected. This could be labeled as the process of the formation of the modern state. Each religion had a different perspective on the modern state. They all shared the concept of “Anti-foreign-power” and “Anti-feudal” but differed in what concept they specifically focused on. Furthermore, due to the nature of the colonial period, new religions had various restrictions to the scope of activities that they could conduct. One notable case is the religion Daejonggyo, which rigorously engaged in independence movements abroad by invoking a national identity of the Korean people by using the concept “Dangun”. This paper reviews modern Korean religions in the perspective of modern nation state formation. Their beliefs provide a new philosophical perspective to investigate the concepts of “modern” and “postmoder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