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근대산업유산 기반 복합문화공간 사례 연구 - 홍콩 프린지클럽을 중심으로 -

        김인택,장혜원 한국연기예술학회 2023 연기예술연구 Vol.32 No.4

        산업 패러다임의 변화로 제조업에서 서비스와 정보 중심의 사회가 도래하면서 다수의 공업 도시가 지역경제 쇠퇴의 길을 걸었다. 이와 맞물려 대량의 폐산업 시설물들이 버려지거나 방치되는 양상을 보였다. 이러한 도시의 유휴공간은 방범 불안과 도시미관 저해 등의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데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근대의 산업유산을 연구하고 보전하여 문화예술공간으로 활용하는 사례가 점차 늘어나고 있다. 대표적인 국내 사례로는 인천 아트플랫폼이, 해외 사례로는 영국 테이트 모던 갤러리와 미국 하이라인 공원이 있다. 본 연구는 근대산업유산을 기반으로 복합문화공간을 형성한 홍콩 프린지클럽에 주목하고자 하였다. 이들의 시·공간적 맥락을 통해 프린지클럽이 어떤 사회·문화적 가치를 만들어 냈는지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연구자의 프린지클럽 업무 경험을 바탕으로 프린지클럽 내부 문서 및 근대산업유산과 복합문화공간 선행 연구를 활용한 문헌연구를 시행하였다. 문헌연구를 바탕으로 프린지클럽의 전(前) 행정감독과 프로그램 매니저와의 면담 조사를 병행하여 자료의 사실관계를 재확인하였으며 이를 정리하고 분석 및 종합하였다. 비영리 민간 문화예술단체인 프린지클럽이 주도한 근대산업유산의 보전 노력은 산업유산의 사회적 가치 위에 독립적이고 실험적인 비주류 예술의 활성화와 동시대 예술이 공존하는 문화적 가치를 생산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프린지클럽은 근대산업유산 건물을 최대한 보전하고 활용하고자 하는 노력을 통해 근대산업유산의 유·무형의 가치를 보전함과 동시에 유산의 가치를 지역 사회에 연결하여 문화적 교류를 제공하였다. 둘째, 프린지클럽은 지역 예술가에게 창작환경을 무료로 제공하며 창작자 친화적인 수익 배분을 통해 지속 가능한 운영체계를 마련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들은 문화공간을 적극 활용하여 동아시아 권 문화예술 국제교류 형성에 초석을 다졌고 국내외 현업 종사자들의 재교육을 통한 역량 강화에 기여하였다. 본 연구는 홍콩 프린지클럽을 근대산업유산 기반의 복합문화공간 사례로서 제시함과 동시에 시·공간적 맥락을 통해 프린지클럽이 어떤 사회·문화적 가치를 도출한 데에 의의가 있다. As the paradigm of industries shifted towards a society centered around services and information, industrial cities faced economic decline, leading to the abandonment and neglect of numerous industrial facilities. The resulting vacant spaces in urban areas had negative impacts such as public safety concerns and compromising the city’s aesthetics. To address these issues, an increasing number of cases have emerged where modern industrial heritage is studied preserved, and repurposed into cultural and artistic spaces. Prominent domestic examples include the Incheon Art Platform, while international counterparts are the Tate Modern Gallery in the UK and the High Line Park in the US. The gathered data were cross-referenced for factual accuracy, then organized, analyzed, and integrated. The conservation efforts for modern industrial heritage spearheaded by the Fringe Club, a non-profit private cultural arts organization, culminated in creating cultural value, fostering an environment where independent, experimental non-mainstream arts and contemporary arts thrive alongside the social significance of the industrial heritag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by endeavoring to preserve and make the most of the buildings representative of modern industrial heritage, the Fringe Club not only safeguarded both the tangible and intangible values of such heritage but also bridged its value to the community, promoting cultural interactions. Secondly, the Fringe Club offered local artists a free creative environment and instituted a sustainable operational model through an artist-centric revenue distribution system. Finally, the establishment of cultural spaces at the Fringe Club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fostering the flow of international artistic exchanges in East Asia and contributed to enhancing the skills of professionals in the field through retraining programs both domestically and abroad. This study presents the Hong Kong Fringe Club as an exemplar of a complex cultural space rooted in modern industrial heritage, noting the significance of the socio-cultural values that the Fringe Club has derived through its temporal and spatial contexts.

      • KCI등재

        산업유산은 탈산업화 시대의 새로운 “열린” 공간이 될 수 있을까? ― 국내 산업유산 연구의 현황과 과제

        박진한(Park Jinhan) 도시사학회 2022 도시연구 Vol.- No.29

        본고에서는 2000년대 이후 한국 사회에 산업유산이라는 용어와 개념이 새롭게 도입되는 과정과 지난 20여 년 동안의 대략적인 연구 경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첫째 한국의 산업유산 연구는 탈산업화로 인한 사회구조의 변화 속에 폐산업시설을 유산으로 인식하며 시민사회를 중심으로 보존 및 활용에 관한 움직임이 시작된 구미, 일본과 달리 문화재의 고유한 가치보다 도구적 활용을 중시하는 정부 정책의 변화에 조응하는 가운데 쇠퇴 지역의 도시재생 방안을 마련하려는 연구자의 실천적인 관심에서부터 시작되었다고 말할 수 있다. 둘째 애초부터 산업유산을 공간기획의 시선으로 바라보다 보니 정작 그 개념이나 정의, 그리고 그곳에 담긴 다층적인 기억의 발굴, 다양한 개인 체험의 재구성 등에 주목하기보다 유산관광, 문화공간 등의 활용방안에 초점을 맞춘 연구가 주를 이루었다. 셋째 일제의 식민 통치와 식민지 근대에 대한 역사적인 평가와 맞물려 유산의 가치에 대해 활발한 논쟁이 이루어진 근대문화유산과 달리 산업유산의 ‘불편한’ 기억에 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못했다. 산업화의 부정적인 측면이 경제성장이라는 지상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필요악 정도로 인식되다 보니 ‘영광스러운’ 특정 시기나 국가주의에 수렴되는 기억만을 선택적으로 부각하는 유산관광의 현실은 앞으로 산업유산 연구가 주목해야 할 과제라고 생각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examine the process in which the term and concept of industrial heritage which was introduced into Korean society in the 2000s and the approximate research trends over the past 20 years. Through this, first, it can be said that the study of industrial heritage in Korea started from the practical interest of researchers to develop a plan for urban regeneration in a declining area in response to a change in government policy that emphasizes the use of tools rather than the intrinsic value of cultural properties, unlike Western countries and Japan, wherein the movement on conservation and use of abandoned industrial facilities centered on civil society where they began to recognize them as their heritage amid changes in the social structure caused by de-industrialization. Second, looking at the industrial heritage from the perspective of spatial planning from the beginning, the studies focused mainly on the ways to use heritage tourism and cultural space rather than focusing on its concept, definition, discovery of multi-layered memories, and reconstruction of various personal experiences. Third, unlike the modern cultural heritage, of which the value has been actively debated in conjunction with the historical evaluation of colonial rule and colonial modernity by the Japanese Empire, few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the ‘uncomfortable’ memory of industrial heritage. It is thought that considering the negative aspects of industrialization as a necessary evil to achieve the supreme goal of economic growth, the reality of heritage tourism, which selectively highlights only the memories that converge on a certain "glorious" period or nationalism, is a task that industrial heritage research should devote attention to in the future.

      • KCI등재

        근대 산업유산의 활용과 지역활성화

        염미경(YEUM Mi-Gyeung) 지역사회학회 2010 지역사회학 Vol.12 No.1

        이 글은 일본에서 근대 산업유산의 보존과 활용을 기반으로 해 지역활성화를 시도하는 방식의 등장 배경과 특성을 살펴봄으로써 일본 사례가 우리 사회에 주는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구체적인 분석 대상은 일본 키타큐슈 지역이다. 일본의 경우 산업유산의 보존과 활용에서 법령의 정비를 통하여 등록제도의 도입과 다양한 세제혜택을 마련해왔으며, 산업유산을 개개 단위의 문화 유산으로서뿐만 아니라 지역과 연계를 통해 지역활성화 자원으로 확장시켜나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역의 산업유산의 보존과 활용에서 중앙정부의 정책이나 지원에 의존하는 경향이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지역의 산업유산을 있는 그대로가 아니라 상징적으로 중요한 부분을 선택하고 보존해 지역민들이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지역 산업유산의 매력을 살리면서 산업유산을 보전할 수 있는 방법이라는 것을 이 글의 사례는 보여준다. 이러한 측면에서 산업유산의 보전과 다양한 재활용 방법을 둘러싼 지역차원의 사회적 동의를 도출하는 논의구조의 형성이 중요하고, 지역민의 지지를 받는 지방자치단체, 민간기업 그리고 다양한 지역단체들 간의 협력체제가 구축될 필요가 있다. This paper is aimed to review the background and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al regeneration plan for which utilized an industrial heritage centering on a case of Wakamatsu area, Kitakyushu in Japan. And, this study shows some applications which give to Korea. A case of Wakamatsu, Kitakyushu shows something as the way which can preserve an industrial Heritage. Area regeneration has direct something to do with residents' movement of the local community for preservation of an industrial heritage and various recycling. At that time, the social agreement to an industrial heritage is important for succeeding preservation and utilization of an industrial heritage which has direct something to do with area people at the same time is necessary. The industrial heritage has potential energy to increase a city's competitiveness with reusing local culture and historic resources, commercializing the city's improved image and revitalizing urban faculty. After all, coalition building between the local self-governing body, the private enterprise and the various area groups which get backing of area people is necessary for preservation and utilization of industrial heritage.

      • KCI등재
      • KCI등재

        한국 근대유산의 인식 및 활용을 둘러싼 입장과 쟁점

        전종한(Jong Han Jeon) 경인교육대학교 기전문화연구소 2022 기전문화연구 Vol.43 No.2

        일반적으로 탈식민국가에서는 근대유산의 인식이나 활용을 둘러싸고 불협화음이 상존한다. 일제강점기에 건설된 인천육군조병창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일제의 인천육군조병창은 전쟁용 무기 고안과 제작, 보관 등을 위해 건설된 일제의 8대 조병창의 하나이자 본토 밖에 조성된 두 곳의 조병창 중 하나로 1941년에 개창하였다. 인천육군조병창은 경인철도 부평역과의 접근성이좋은 산곡리 일대 광활한 평지에 입지하였다. 1940년대 인천육군조병창은 서로 전후방 연계로 결합된 다수의 업체들과 함께 대규모 군수산업단지를 형성하였으며, 국가 스케일에서 보면 경인시가지계획의 일환으로 조성된 부평 지역에 계획된 근대 도시계획 지구의 하나였다. 오늘날 인천광역시 부평구 일대에는 인천육군조병창의 잔존 경관이 남아 있다. 최근에는 인천육군조병창잔존 경관의 가치 평가와 보존 문제를 놓고 정부와 지자체, 시민단체 등의 입장차와 갈등이 존재한다. 이 같은 입장차와 갈등을 해소하기 위한 중요한 선결 과제 중 하나는 관련 개념과 이론의 동원이다. 인천육군조병창의 잔존 경관은 식민지배 유산이자 근대산업유산이고 동시에 전쟁유산이므로 복수의 유산 범주로 조망되어야 한다. 그리고 한편으로는 전통도시경관과의 대비 및국토 공간의 재구조화를 야기한 근대도시경관의 형성과 진화라는 관점에서다양한 용도 지구와 경관 요소를 통시적이고도 포괄적으로 인식해야 한다. 이러한 개념과 이론에 입각한 접근은 향후 유산의 가치 인식, 활용 방향의 재설정, 그리고 세계유산 등재 추진 등에서 중요하다. 탈식민국가에서 식민지 근대유산, 그 중에서도 산업유산에 접근하는 관점은 구(舊)제국주의 국가였던서양 여러 나라나 일본의 그것을 단순 차용하지 않도록 경계할 필요가 있다. In general, in post-colonial countries, discord exists over the evaluation and recognition of the value of early-modern heritage, and the same is true of the Japanese Incheon Army Arsenal(JIAA) under the Japanese colonialism in Korea. The JIAA was established in 1941 as one of the 8 largest arsenals of the Japanese imperialist and one of the two arsenals built outside the mainland, which were built for the design, production, and storage of weapon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JIAA was located on a vast flat area around Sangok-ri[山谷 里] with good access to Bupyeong Station of the Gyeongin Railway. The JIAA formed a large-scale munitions industrial complex with a number of companies connected in forward-and-backward linkage, and on a national scale, it was one of the modern urban zoning planned in the Bupyeong area as part of the Gyeongin Regional City Plan[京仁市街計劃]. Today, the remnants of the JIAA remain in the Bupyeong-gu area of Incheon Metropolitan City, and recently there are often conflicts with the difference in position between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civic groups, etc. over the value evaluation and preservation of the landscape elements of the remains of the JIAA. One of the important prerequisites to resolve this difference in position and conflict is the mobilization of concepts and theories. Since the relic landscape of the JIAA is a colonial heritage, a modern industrial heritage, and a war heritage at the same time, they should be viewed in multiple heritage categories. And on the one hand,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the various zoning and landscape elements diachronically and comprehensively from the viewpoint of the formation and evolution of the early-modern urban landscape that caused the contrast with the traditional urban landscape and the restructuring of national land space. An approach based on these concepts and theories is critical in recognition of values, orientation of utilization, and application as a world heritage. From the point of view of approaching colonial early-modern heritage, especially industrial heritage, in post-colonial countries, it is necessary to be vigilant not to simply borrow from Western countries or Japan, which were former imperialists.

      • KCI등재

        부산 영도 봉래 창고군의 창조적 재활용을 위한 근대 역사문화 경관색채 계획

        주희진(Ju HeeJin),박연선(Park YunSun) 한국색채학회 2011 한국색채학회 논문집 Vol.25 No.4

        창조적 재활용은 인위적인 것이 아닌 그 지역의 자산과 함께 발굴, 활용하여 특화된 환경을 조성해 나가는 과정이며 본 연구에서는 근대산업유산을 물리적, 기능적, 경관적인 요소로 재활용하는 개념으로 접근한다. 근대산업유산의 창조적 재활용이 도시적 측면에서는 원도심의 경관 형성, 지역의 아이덴티티를 고려하는 컨텐츠의 요소로, 역사 문화적 측면에서는 배경과 특수성을 고려한 복합 문화 공간 재활용의 방법적 수단으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조건과 상황, 방식에 따라 그 범위가 다양하며 지역의 원도시와 신도시간의 통합적인 균형을 이루기 위해 구체적인 대상에 대한 재활용 유형의 분석과 가치 평가에 있어서 논리적 근거가 필요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역사?문화적 측면에서 그 유형의 범위를 근대 산업의 기초가 되고 재활용면에서 효과가 높은 창고군의 가치 평가 기준을 색채의 조화 요소로 분석하여 시각적으로 지역 이미지 창출과 아이덴티티를 강화하는, 향후 지역 자산을 연계한 창조적 재활용의 근대 역사문화 경관 이미지 개선의 토대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1단계에서의 소재성, 관계성, 연속성에 의한 정량적 데이터와 2단계에서 NCS 색체계를 통해 분석된 색채 개선 범위에 상징성, 기능성, 경관성의 근대 역사문화 경관 색채 평가 기준 조화요소를 적용하였다. 그리고 지역의 연계 자산에서 나타나는 색채 분포 범위를 고려하여 영도 봉래 창고군의 창조적 재활용을 위한 색채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 대상지의 색채 계획을 하였다. 2단계의 본 연구는 하코다테 가네모리 창고군의 외벽의 주조색이 YR계열의 근대 시기의 상징물인 적벽돌로 대부분 나타났고 국내 대상지도 지금은 훼손되거나 철거되어 있으나 적벽돌조였다는 근거를 확보할 수 있다는데 의의가 있었다. Creative reuse is not artificial modification but the process of creating specialized environments with discovering and utilizing the remaining regional assets. And in this study the modern industrial heritage will be approached to a concept of reuse as physical, functional, and environmental elements. Creative reuse of modern industrial heritage is actively being reviewed as contents elements containing existing downtown landscape and its regional identity in the urban aspect, and as a means for reuse to be an multiplex cultural facility containing backgrounds and characteristics in the historic-cultural aspect. In these aspects, the scope for creative reuse of modern industrial heritage varies by conditions, situations, and ways. So it needs reusing types analysis and logical basis of value assessment on targeted sites to have integrated regional balances between old town and new one. In this study, the scope of reusing types is discussed in the historic-cultural aspect, and the study target is the warehouse facilities which were a part of modern industry basis and is very effective in terms of reuse. Value assessment criteria of the warehouse facilities will be analyzed in color-coordinating elements and methods of creative reuse to create city image and enhance it visually will be shown in this study. On the first step of the study, color improvement range analyzed by quantitative data and NCS based on material, relationship, and continuity and coordinating elements of modern historic-cultural landscape color evaluation criteria in terms of symbol, function, and landscape are applied. Color guideline for creative reuse at Youngdo Bongrae warehouse facilities is proposed including regional associated assets, and also the color planning at the site is shown on this study. On the second step of the study, main color ranges on the exterior walls at Kanemori Red Brick Warehouse facility in Hakodate are YR shades on redbricks which were the symbol on modern times. And it is significant to find the basis of the redbrick buildings at the local targeted site, in spite of damaged or demolished ones. This study would like to lay out the foundation for creative reuse of modern historic-cultural landscape improvement with associated regional assets in the future.

      • KCI등재

        일본의 산업유산 담론 변화와 국가 공인화 과정에 관한 연구 - ‘산업기념물’에서 ‘근대화유산’ 그리고 ‘메이지 일본의 산업혁명 유산’으로

        박진한 도시사학회 2024 도시연구 Vol.0 No.35

        David Lowenthal, a well-known scholar of heritage studies, has pointed out that while history can be subject to criticism because it is based on the verification of facts and evidence, heritage can pose a risk of mythologizing certain past utopias and granting them an unwarranted sense of authority. Lowenthal expressed his concerns about the potential danger of using the legacy of the Meiji Industrial Revolution to promote a specific view of history and to foster a sense of solidarity among the Japanese people while ignoring the dark memories and negative consequences of industrialization. This approach could lead to conflicts with neighboring countries and parties with different historical perspectives. If the nation-state does not make significant changes in how it registers its World Heritage Sites, conflicts over heritage can recur at any time. Japan has successfully registered several sites, such as Tomioka Silk Mill (2014), Meiji Industrial Revolution Heritage (2015), and Iwami Ginzan (2007), by altering its strategy for registering sites as World Heritage Sites. Japan will likely continue to apply for the Sado mine, which was the site of forced labor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and other places associated with memories of war and colonial rule. To avoid conflicts and promote understanding, the Japanese government should fully acknowledge both the positive and negative aspects of industrialization, recognize forced labor, and display them openly. If the current position remains unchanged, UNESCO, which is responsible for the preservation and cooperation of heritage sites, may become a forum for non-violent memory wars between nation-states with different historical perspectives and an international stage for fierce heritage diplomacy, as has happened in other countries.

      • KCI등재

        근대 산업도시 장항의 형성과 변천 그리고 산업유산

        박성신 한국지리학회 2020 한국지리학회지 Vol.9 No.1

        Janghang is a city that was built with large-scaled land reclamation in order to seize rice and gold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Janghang’s modernization took place in the 1930s with the construction of major urban infrastructure such as smelter, railway and port. Over the past 90 years, Janghang has undergone a life cycle of the formation, development, decline and leap of modern industrial cities. As a result, Janghang has become a symbol of Korea’s compact economic development, urban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The three urban infrastructures formed local identity and left industrial heritages reflecting locality and local life. This study is based on the field survey conducted from September 2018 to December 2019 and the list presented in the preceding study. The list of 30 industrial heritages was derived by evaluating the following factors: ① existence of the building, ② current space program, ③ extension of period, ④ original value of place, and ⑤ local identity. The list of industrial heritages was provided by identifying their characteristics and relationship to the three infrastructures and assigning the serial numbers. Currently, various regeneration projects are underway in Janghang under the local government’s control. Local regeneration has to start from understanding of the local heritage and recognizing as an asset based on the survey, archiving and research. Janghang has still the industrial heritages with potential such as abandoned railways, warehouses and residential houses. Therefore, it is possible to realize the ideal local regeneration when all concentrate on remodeling remaining spaces and developing contents, the residents has to be the final beneficiaries. 장항은 일제강점기 미곡과 금 수탈을 목적으로 대규모 토지 매립 후, 1930년대 주요 도시기반시설인 제련소, 철도와 항만이 연이어 자리를 잡으며 조성된 도시이다. 지난 90여 년 동안 장항은 근대산업도시의 형성→발전→쇠퇴→재도약에 이르는 생애주기를 겪으며, 한국의 압축적 경제개발과 도시화 및 산업화를 고스란히 보여주는 상징이 되었다. 3대 도시기반시설은 지역정체성을 형성하고, 그에 따른 산업유산을 남겼다. 본 연구는 2018년 9월부터 2019년 12월까지 진행한 현장조사와 선행연구에서 제시한 목록을 토대로 ① 건축물의 현존 여부, ② 현재 용도 및 공간 사용 현황, ③ 일제강점기 근대로부터 시기적 확장, ④ 장소의 원가치 및 ⑤ 지역정체성과 부합 정도를 평가해 30개의 산업유산 목록을 도출했다. 목록은 산업유산의 성격에 따라 산업시설-지원시설-일반지원시설로, 3대 도시기반시설과의 관계에 따라 제련-철도-항만으로 구분하고 일련번호를 부여해 작성되었다. 현재 장항에는 각종 재생사업이 진행 중이지만, 지자체 주도로 사업성과 지향적으로 운영 중이다. 재생사업은 지역에 대한 조사와 기록, 연구를 바탕으로 지역의 정체성을 지닌 유산에 대한 이해와 자산으로서의 인식이 우선시 되어야 한다. 폐철도, 미곡창고, 사택군 등 장항은 잠재력을 지닌 산업유산이 산재해있다. 따라서, 이를 활용한 공간의 리모델링과 콘텐츠의 개발이 주민을 최종 수혜자로 이루어질 때, 바람직한 지역재생이 가능하다.

      • KCI등재

        근대산업유산 재생을 위한 건축공간계획에 관한 연구 - 레이어 개념을 적용한 인천 정미산업단지 재생 계획안

        장가영,최동혁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8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8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n alternative of architectural space planning which can form a new space through regeneration of modern industrial heritage. For this purpose, this study examines the modern industrial heritage regeneration methods, and proposes the architectural space plan that embodies the history and physical changes of overlapping time of existing buildings based on the concept of the layer. The contents of the proposed design plan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expressed the time layer inherent in the building by preserving the architectural elements that symbolize the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site. Second, formed the functional layer so that the four separate buildings in the site could be recognized as a cultural complex. Third, revealed the physical layer and the material layer by preserving the form and the material of the existing building and making the added space visually distinct. The proposal in this study has a meaning as a new alternative of the reconstruction plan of the building which can embody the history of time superimposed on the building as physical entities. 본 연구는 근대산업유산의 재생을 통하여 새로운 개념의 공간을 형성할 수 있는 건축공간계획의 대안을 찾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근대산업유산 재생의 방법을 고찰하고, 기존의 건축물이 가지고 있는 중첩된 시간의 역사와 물리적 변화를 레이어의 개념으로 구체화한 건축공간 계획안을 제안한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계획안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근대산업유산 고유의 기능적 특성을 상징하는 건축요소들을 그대로 보존하여 건축물에 내재되어 있는 시간의 레이어를 표현한다. 둘째, 대지에 분산되어 있는 건축물이 하나의 문화산업단지로 인식될 수 있도록 기능적 레이어를 형성한다. 셋째, 기존 건축물의 형태와 재료를 최대한 존중하고 부가되는 공간이 시각적으로 확연한 차이를 갖도록 하여 건축공간의 물리적 레이어와 재료의 레이어를 드러낼 수 있도록 한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인천 정미산업단지의 재생 계획안은 건축물에 중첩된 시간의 역사를 물리적 공간으로 구체화시킬 수 있는 건축물 재생계획의 새로운 대안으로서의 의미를 갖는다.

      • KCI등재

        근대문화유산의 관광산업적 활용 사례연구-인천 대불호텔을 중심으로-

        심홍보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22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8 No.1

        본 연구는 근대문화유산관련 호텔을 연구하기 위하여 첫째, 문헌분석을 통한 역사적 접근을 시도하여 근대호텔발전사를 정립하였다. 둘째, 대불호텔 복원관련 자료와 관계자의 인터뷰를 통해 관광산업적 활용사례를 조사하여 관광산업적 활용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근대호텔 복원을 위한 관광산업적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면 첫째, 각 지역의 근대문화유산의 근대호텔 복원계획은 철저한 당위성 검토와 콘텐츠 개발계획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각 지역의 근대호텔 복원은 지자체의 행정적 관리체계 구축과 의지가 있어야 한다. 셋째, 근대호텔 복원은 역사적 의미와 가치가 있는 것으로 각 지역의 관광활성화 기여 및 경제적 효과, 고용촉진 등에 기여할 수 있는 사업으로 추진되어야 한다. 넷째, 근대호텔 복원에 대한 지속적ㆍ적극적 홍보 수단 마련이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