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기 청소년의 정서지능과 이야기 그림검사(DAS) 반응특성의 관계

        김은선,오종은 한국예술치료학회 2018 한국예술치료학회지 Vol.18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초기청소년의 정서지능과 이야기 그림검사(DAS)에 나타나는 반응특성의 관계를 알아보고, 정서지능의 세부적 특징을 분석하는데 기초 자료가 되는 이야기 그림검사(DAS)의 활용가치 및 효용성을 높이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서울시 소재 I 초등학교 6학년 191명이며, 자기보고식 검사인 정서지능 검사와 이야기 그림검사(DAS)를 실시한 후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2.0으로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이야기 그림검사(DAS)에 나타난 반응특성을 살폈다. 연구결과는 첫째, 정서지능의 하위요인 중 감정이입은 이야기 그림검사(DAS)의 정서내용과 유의한 정적 관계를 보였다. 둘째, 이야기 그림검사(DAS)의 자극그림카드 중 ʻ남자아이ʼ, ʻ공주ʼ, ʻ뱀ʼ, ʻ병아리ʼ, ʻ화산ʼ은 정서지능의 하위요인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이야기 그림검사(DAS)가 초기청소년의 정서지능의 세부 수준에 대하여 특징을 분석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유용한 그림검사로써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motional intelligence of early adolescence and the reaction characteristics of DAS test, and to improve the use value and the efficiency of DAS test, which is the basic data for analyzing the detailed characteristics of emotional intelligenc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91 elementary 6th graders in an elementary school in Seoul, and self‐reporting test, emotional intelligence test and DAS test were conducted for the analysis. For the data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with SPSS 22.0 to examine the reaction characteristics shown in the DAS test. In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of sub‐factors of emotional intelligence, the empathy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ly positive relation with the emotional content of DAS test. Second, of stimulation drawing cards of the DAS test, the 'Boy,' 'Princess', 'Snake', 'Chick', and 'Volcano'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with sub‐factors of emotional intelligence. The above results suggest that the DAS test can be used as a useful drawing test for characterizing the detailed level of emotional intelligence of early adolescence.

      • KCI등재

        이야기 그림검사(Draw-A-Story)에 나타난 아동의 특성-상태 불안에 대한 연구

        김미영,이숙민 한국예술치료학회 2014 한국예술치료학회지 Vol.14 No.1

        본 연구에서는 아동의 특성-상태 불안척도(Trait-State Anxiety Inventory for Children, STAI-C,1989)와 이야기그림검사(Draw-A-Story, DAS, 2005)의 정서내용점수, 자기상점 수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DAS가 아동의 불안을 평가할 수 있는 도구로서 활용가 능성이 있는지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경기도 **시, **시에 거주하는 3개 초등학교의 4,5,6학년 아동 350명을 대상 으로 설문 검사하여 불성실한 답변, 미기재 등의 부적당한 것으로 판단되는 43부를 제외하고, 307부를 본 연구의 결과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연구도구로는 아동의 불안 을 측정하기 위하여 한국형 소아 상태-특성 불안척도와 이야기 그림검사를 사용하였 다. 연구를 위해 수집된 설문자료는 SPSS 20.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아동의 불안수준은 개인 변인인 성별, 지각된 행복수준, 정신건강수준과 부적상관관계 를 나타냈고, 학년, 가족 수, 출생순위와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성을 보이지 않았 다. 특성-상태불안수준에 따른 DAS의 정서내용점수와 자기상점수는 부적상관관계가 있었고, 선택한 자극그림 중 불안집단은 통계적으로 칼과 뱀을 많이 선택했으며, 비불 안집단은 면사포 쓴 여인과 성을 많이 선택하였다. 그림표현의 특징의 차이에는 불안 이 높은 상(上)집단이 중(中), 하(下)인 집단보다 용지를 적게 사용하였다. 이상의 연구는 DAS가 소아⋅청소년의 불안을 측정하는 도구로서 변별력이 있음을 시 사하며, DAS가 소아⋅청소년들의 불안을 진단하는 도구로서의 활용가능성을 제시했 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whether Draw-A-Story (DAS) could be a tool to evaluate a level of child anxiety through a correlation analysis of the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for Children (STAI-C) and the scores of DAS including emotional content (DAS-E), self-images (DAS-S).This study is based on the survey of 350 children in their 4th to 6th residing in (address), Kyounggi Province. 307 responses of those surveyed were measured and analyzed for the research while 43 incomplete responses were excluded. STAI-C and DAS were used as main tools to measure a level of anxiety of targeted children. Collected data was inputted into the SPSS statistical program and various analys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SAIC and TAIC both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gender, school, realized level of happiness and realized condition of mental health, yet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school year, number of family members and birth order. There was a significant gap between the scores of DAS-E on TAIC and SAIC. There was a significant gap between the scores of DAS-S on TAIC and SAIC. The difference analysis on frequency of selection of stimulus pictures as per level of TAIC and SAIC was conducted to find out a significant result that a group with higher TAIC tends to select the picture of a snake (x2=6.60, p<.05) and a knife (x2=6.73, p<.05) and that another group with lower SAIC tends to select the picture of a woman in veil (x2=7.15, p<.01) and a castle (x2=8.96, p<.01). Frequency and cross-table analysis on the utilization of a drawing paper as per the level of anxiety showed that children with high anxiety are likely to utilize less part of a paper when drawing. Frequency and cross-table analysis of linguistic expressions of emotions as per level of TAIC showed that the expression, ‘I am very well’, was more frequently selected in a group with low TAIC than in a group with middle and high TAIC. The study described above is important as it implies that DAS can a tool with a discrimination capacity to measure and evaluate a level of child anxiety.

      • KCI등재

        이야기 만들기의 치유적 가능성 – 대학생 우울과 DAS 이야기의 상관성을 중심으로 –

        김기호 한국사상문화학회 2011 韓國思想과 文化 Vol.58 No.-

        This study is to inquire into the therapeutic possibility of story-making by analyzing the correlationship between the depression of university students and DAS story. To do this, the three procedures are carried out. Firstly, how is the depression level according to the narrative structure aspects of DAS picture story? Secondly, how is the depression level according to the mark of sentiment contents in DAS picture story? Thirdly, how is the depression level according to the self-image mark of DAS picture story?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the DAS story's structure shows a difference between the nondepression group and the depression group. A lot of stories made by the nondepression group are framed into 'deficiency-process of solving problem-sufficiency'. On the other hand, a lot of stories made by the depression group are framed into 'deficiency-process of solving problem-deficiency'. It means that there is a significant correlationship between the depression index of university students and the structure of the story. Secondly, the sentiment contents in DAS story shows a difference between the nondepression group and the depression group. The sentiment contents of the story made by the nondepression group has a high mark, that they are positive. On the other hand, the sentiment contents of the story made by the depression group has a low mark, that they are negative. It means that there is a significant correlationship between the depression index of university students and the sentiment contents. Thirdly, the self-image in DAD story shows a difference between the nondepression group and the depression group. The self-image in the stories by the nondepression group has a high mark. It is a pleasant fantasy or image of satisfying his own desire. On the other hand, the self-image in the stories by the depression group has a low mark, that the image is an unhappy and abnormal one. It means that there is a significant correlationship between the depression index of university students and the self-image. The characteristics of university students with high depression index and low depression index are cleared out by way of analyzing the DAS stories. As part of effort to make the depression degree better for the university students with high depression degree, it is necessary to carry out a task to make the abnormal DAS stories into a new, positive ones. To do this task, it helpful to use the techniques of narrative therapy. It enables students, especially students with high depression index or level, to separate the matters or problems in the DAS stories, to seek an experience of new possibilities, and then to make an alternative story by way of the newly-chosen experience. If the narrative therapy, the sphere of the clinical therapy, is unified into the sphere of DAS in which literature and art are combined with 'an intermediate therapy', the story-making, at least, a multilayering therapeutic process for the betterment of the depression is possible. 본고에서는 이야기 만들기(story-making)의 치유적 가능성을 모색하기 위한 작업의 일환으로 명제, ‘대학생이 만든 이야기는 그들의 우울 지수를 반영한다.’를 입증하고자 하였다.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첫째, DAS 그림 이야기의 서사 구조 양상에 따라 우울 수준은 어떠한가? 둘째, DAS 그림 이야기의 정서내용 점수에 따라 우울 수준은 어떠한가? 셋째, DAS 그림 이야기의 자기상 점수에 따라 우울 수준은 어떠한가? 라는 세부 문제를 설정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DAS 이야기 구조는 비우울집단과 우울집단 간에 차이를 보인다. 비우울집단에서 만든 이야기의 상당량은 ‘결핍-문제해결과정-충족’으로 구조화 된다. 반면 우울집단에서 만든 많은 수의 이야기는 ‘결핍-문제해결과정-결핍’으로 구조화 된다. 이것은 대학생의 우울 지수와 이야기 구조 사이의 유의미한 상관성을 의미한다. 둘째 DAS 이야기에 반영된 정서 내용에서도 비우울집단과 우울집단 간에 차이를 보인다. 비우울집단에서 만든 이야기의 정서 내용은 높은 점수로 표시될 만큼 긍정적이다. 반면 우울집단에서 만든 이야기의 정서 내용은 낮은 점수로 표시될 만큼 부정적이다. 이것은 대학생의 우울 지수와 정서 내용 사이의 유의미한 상관성을 의미한다. 셋째 DAS 이야기에 투영된 자기상에서도 비우울집단과 우울집단 간에 차이를 보인다. 비우울집단에서 만든 이야기의 자기상은 높은 점수로 표시될 만큼 유쾌하고도 자기 욕망 충족적인 이미지이다. 반면 우울집단에서 만든 이야기의 자기상은 대부분 낮은 점수로 표시될 만큼 병적이고 불행한 이미지이다. 이것은 대학생의 우울 지수와 자기상 사이의 유의미한 상관성을 의미한다. DAS 이야기 분석을 통해 이야기 만들기의 치유적 가능성 모색의 가설로서 제시한 ‘대학생이 만든 이야기는 그들의 우울 지수를 반영한다.’를 입증하였다. 이 가설을 토대로 우울 지수가 높은 학생을 위해 DAS 이야기를 새롭게 긍정적으로 만드는 작업을 할 것을 제안했다. 더하여 새롭고 긍정적인 이야기 만들기 작업을 위해서 이야기 치료의 기법을 도입하는 것은 유익하다고 보았다. 이야기 치료의 기법을 도입한다는 것은 DAS 이야기 내 문제를 분리하고, 새로운 가능성의 경험을 찾고, 새롭게 선택된 경험을 통해 대안의 이야기(alternative story)를 만드는 일련의 과정을 도입한다는 것이다. 만약 임상치료영역인 서사치료가 문학과 미술이 결합되어 있는 DAS 영역에 ‘매개적 치료요법’인 이야기 만들기를 가지고 통합이 되면 최소한 우울 개선을 위한 다층위적인 치유 과정이 가능할 것이다.

      • KCI등재

        한국사상(韓國思想)(문학(文學)) : 이야기 만들기의 치유적 가능성 -대학생 우울과 DAS 이야기의 상관성을 중심으로

        김기호 ( Ki Ho Kim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1 韓國思想과 文化 Vol.58 No.-

        본고에서는 이야기 만들기(story-making)의 치유적 가능성을 모색하기 위한 작업의 일환으로 명제, ``대학생이 만든 이야기는 그들의 우울 지수를 반영한다.``를 입증하고자 하였다.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첫째, DAS 그림 이야기의 서사 구조 양상에 따라 우울 수준은 어떠한가? 둘째, DAS 그림 이야기의 정서내용 점수에 따라 우울 수준은 어떠한가? 셋째, DAS 그림 이야기의 자기상 점수에 따라 우울 수준은 어떠한가? 라는 세부 문제를 설정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DAS 이야기 구조는 비우울집단과 우울집단 간에 차이를 보인다. 비우울집단에서 만든 이야기의 상당량은 ``결핍-문제해결과정-충족``으로 구조화 된다. 반면 우울집단에서 만든 많은 수의 이야기는 ``결핍-문제해결과정-결핍``으로 구조화 된다. 이것은 대학생의 우울 지수와 이야기 구조 사이의 유의미한 상관성을 의미한다. 둘째 DAS 이야기에 반영된 정서 내용에서도 비우울집단과 우울집단 간에 차이를 보인다. 비우울집단에서 만든 이야기의 정서 내용은 높은 점수로 표시될 만큼 긍정적이다. 반면 우울집단에서 만든 이야기의 정서 내용은 낮은 점수로 표시될 만큼 부정적이다. 이것은 대학생의 우울 지수와 정서 내용 사이의 유의미한 상관성을 의미한다. 셋째 DAS 이야기에 투영된 자기상에서도 비우울집단과 우울집단 간에 차이를 보인다. 비우울집단에서 만든 이야기의 자기상은 높은 점수로 표시될 만큼 유쾌하고도 자기 욕망 충족적인 이미지이다. 반면 우울집단에서 만든 이야기의 자기상은 대부분 낮은 점수로 표시될 만큼 병적이고 불행한 이미지이다. 이것은 대학생의 우울 지수와 자기상 사이의 유의미한 상관성을 의미한다. DAS 이야기 분석을 통해 이야기 만들기의 치유적 가능성 모색의 가설로서 제시한 ``대학생이 만든 이야기는 그들의 우울 지수를 반영한다.``를 입증하였다. 이 가설을 토대로 우울 지수가 높은 학생을 위해 DAS 이야기를 새롭게 긍정적으로 만드는 작업을 할 것을 제안했다. 더하여 새롭고 긍정적인 이야기 만들기 작업을 위해서 이야기 치료의 기법을 도입하는 것은 유익하다고 보았다. 이야기 치료의 기법을 도입한다는 것은 DAS 이야기 내 문제를 분리하고, 새로운 가능성의 경험을 찾고, 새롭게 선택된 경험을 통해 대안의 이야기(alternative story)를 만드는 일련의 과정을 도입한다는 것이다. 만약 임상치료영역인 서사치료가 문학과 미술이 결합되어 있는 DAS 영역에 ``매개적 치료요법``인 이야기 만들기를 가지고 통합이 되면 최소한 우울 개선을 위한 다층위적인 치유 과정이 가능할 것이다. This study is to inquire into the therapeutic possibility of story-making by analyzing the correlationship between the depression of university students and DAS story. To do this, the three procedures are carried out. Firstly, how is the depression level according to the narrative structure aspects of DAS picture story? Secondly, how is the depression level according to the mark of sentiment contents in DAS picture story? Thirdly, how is the depression level according to the self-image mark of DAS picture story?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the DAS story`s structure shows a difference between the nondepression group and the depression group. A lot of stories made by the nondepression group are framed into ``deficiency-process of solving problem-sufficiency``. On the other hand, a lot of stories made by the depression group are framed into ``deficiency-process of solving problem-deficiency``. It means that there is a significant correlationship between the depression index of university students and the structure of the story. Secondly, the sentiment contents in DAS story shows a difference between the nondepression group and the depression group. The sentiment contents of the story made by the nondepression group has a high mark, that they are positive. On the other hand, the sentiment contents of the story made by the depression group has a low mark, that they are negative. It means that there is a significant correlationship between the depression index of university students and the sentiment contents. Thirdly, the self-image in DAD story shows a difference between the nondepression group and the depression group. The self-image in the stories by the nondepression group has a high mark. It is a pleasant fantasy or image of satisfying his own desire. On the other hand, the self-image in the stories by the depression group has a low mark, that the image is an unhappy and abnormal one. It means that there is a significant correlationship between the depression index of university students and the self-image. The characteristics of university students with high depression index and low depression index are cleared out by way of analyzing the DAS stories. As part of effort to make the depression degree better for the university students with high depression degree, it is necessary to carry out a task to make the abnormal DAS stories into a new, positive ones. To do this task, it helpful to use the techniques of narrative therapy. It enables students, especially students with high depression index or level, to separate the matters or problems in the DAS stories, to seek an experience of new possibilities, and then to make an alternative story by way of the newly-chosen experience. If the narrative therapy, the sphere of the clinical therapy, is unified into the sphere of DAS in which literature and art are combined with ``an intermediate therapy``, the story-making, at least, a multilayering therapeutic process for the betterment of the depression is possible.

      • KCI등재

        초등학생의 정서행동문제와 이야기 그림검사(DAS) 반응특성에 관한 연구

        정수미,고정연 한국미술치료학회 2017 美術治療硏究 Vol.24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usefulness of a DAS test as a projection test to diagnose emotional behavior problems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406 students in grades 3, 4, 5, and 6 in five elementary schools (D, G, N, S, Y). During research, parents answered the CPSQ at home, and the researchers conducted the DAS test in the classroom. Data analysis was conducted with t-test, crossover analysis, and one-way ANOVA to examine emotional behavior problems and DAS response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sex and grad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emotional behavior problems were the most frequent psychosomatic problems, externalization problems were the least, and DAS reaction characteristics were more obvious for negative than positive in emotions and self-imaging. Second, the problem of emotional behavior for male students was more problematic than that of female students in externalization and abuse problem. Third, problems with emotional behavior were connected to the problems of sub-domain internalization, externalization, abuse and cognition. The problematic group showed more negative emotions and negative self-imaging than the non-problematic group.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suggests the possibility of using DAS as a tool for primary evaluation of emotional behavior problems. 본 연구의 목적은 이야기 그림검사(DAS)가 초등학생의 정서행동문제를 진단할 수 있는 투사검사로서의 유용성을 알아보는 데 있다. 연구대상은 B시에 소재한 5개 초등학교(D, G, N, S, Y)에 재학 중인 3, 4, 5, 6학년406명(남학생 216명, 여학생 190명)이다. 연구도구에서 정서행동발달 선별검사(CPSQ)는 각 학교에서 사전 가정통신문을 통하여 안내를 하고 가정으로 보내어 보호자가 응답하였고, DAS 검사는 연구자가 수업시간에 집단으로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성별과 학년에 따른 정서행동문제와 DAS 반응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t-검증과 교차분석,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초등학생의 정서행동문제는 정신신체화 문제가 가장 많고, 외현화 문제가 가장 적은 것으로 나타났고, DAS 반응특성은 부정적 정서가 긍정적 정서보다 더 많았고, 부정적 자아상이 긍정적 자아상보다 더 많았다. 둘째, 초등학생의 정서행동문제는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외현화 문제와 오남용문제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학년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정서행동문제와 하위영역인 내재화 문제, 외현화 문제, 인지적 문제, 오남용 문제, 정신신체화 문제에 있어서 문제가 있는집단이 문제가 없는 집단보다 부정적인 정서와 부정적인 자아상을 많이 나타냈다. 본 연구는 DAS가 정서행동문제에 대한 1차적 평가를 할 수 있는 도구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제시한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후보

        소방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에 따른 그림이야기검사(DAS) 반응특성

        이선혜,조용태 사)한국아동발달지원연구소 2018 임상미술심리연구 Vol.8 No.2

        This study was aimed to verify response characteristics from DAS test according to fire-fighting officer’s job stress. This study was targeted to 103 Fire-fighting officers in 10 fire stations and DAS and job stress test were conducted. We used upper and lower groups for final data analysis according to job stress level, and performed independent sample t-test using SPSS 18.00 to analyze.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responses in the formal analysis (space use, details) of DAS according to the job stress level and lower level of the firefighting officers. Second, there was no difference in response to the content analysis (emotional content, self - image, self - report) of DAS according to the upper and lower levels of firefighting officers. On the other hand, the characteristic part of the DAS inspection reaction is that although the instructor did not have the instruction to draw the hope at the inspection, more than half of the fire-fighting officers expressed the picture in the form of hope, and according to the aspect of the relationship depicted in the picture, One group showed a lower level of job stress than a group that did not describe the relationship. This can be attributed to the stress coping method, which plays an intermediate role before stress leads directly to depression or aggression.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use DAS as a direct measurement tool in the evaluation of job stress of firefighting public servants, and it is possible to use it as an auxiliary tool to evaluate stress related matters. 본 연구는 소방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에 따른 그림이야기검사(Draw-A-Story : DAS) 반응특성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군집표집하였으며 경기북부 10개 소방서에 재직 중인 소방공무원 103명에게 DAS와 직무스트레스 검사를 실시하였다. 직무스트레스 수준에 따라 상·하위 집단을 나눠 최종 자료 분석에 사용하였고 두 집단 간의 DAS점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SPSS 18.00을 사용하여 독립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방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 상·하위 수준에 따라 DAS 내 형식적 분석(공간사용, 세부사항)에서 반응의 차이가 없었다. 둘째, 소방공무원의 상·하위 수준에 따라 DAS 내 내용적 분석(정서내용, 자기상, 자기보고)에서 반응의 차이가 없었다. 한편, DAS 검사 반응의 특징적인 부분은 검사 시 소망을 그리라는 지시가 없었음에도 절반이상의 소방공무원이 그림을 소망의 형태로 표현했고, 그림 내 대상의 관계성 묘사 양상에 따라 볼 때, 관계를 묘사한 집단이 관계를 묘사하지 않은 집단에 비해 직무스트레스 정도가 낮게 나타났다는 것이다. 이는 스트레스가 직접적 우울이나 공격성으로 이어지기 전 중간역할을 하는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연결 지어 볼 수 있었다. 따라서, 소방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 평가에 있어 DAS는 직접적 측정도구로써 활용하기 어려우며, 스트레스와 관련한 사항들을 평가하는 보조적 도구로써의 활용 가능성이 있다.

      • KCI등재

        중년여성의 우울과 회복탄력성에 따른 이야기그림검사 반응특성 연구

        최기쁨,진성희 한국미술치료학회 2021 美術治療硏究 Vol.2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usefulness of a DAS test as a projection test to diagnose the level of depression and resilience in middle-aged women. The study subjects were 132 middle-aged women between 40 and 60 years of age, conveniently sampled from located in the Seoul, Gyeonggi, and Jeonnam regions. The study conducted a survey using the depression scale, the resilience scale, and the Draw-A-Story (DAS) test.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the SPSS 25.0 program, correlation analysis, and cross-tabulatio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among the middle-aged women's depression, resilience, emotional content, and self-image of middle-aged women, while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among their resilience, emotional content, and self-image. Second, the higher the level of the depression of the middle-aged participants, the more negative the emotional content was, and the higher the resilience, the more positive the emotional content was. Third, an analysis of stimuli plots based on levels of depression and resilience showed differences in the story. 본 연구의 목적은 이야기그림검사(Draw-A-Story: DAS)를 통해 중년여성의 우울과 회복탄력성 정도를 파악하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서울과 경기 및 전남 지역에 거주하는 40세 이상 60세 이하 중년여성 132명이며, 연구 도구로 우울척도, 회복탄력성 척도, DAS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상관분석, 교차분석을 실시하였고 본 연구에서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우울과 DAS 간에는 유의한 부적 상관이 나타났고 회복탄력성과 DAS 간에는 유의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우울이 높은 집단이 낮은집단 보다 부정적인 정서내용과 자기상을 많이 표현하였고, 회복탄력성이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보다 긍정적 정서내용과 자기상을 많이 표현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우울과 회복탄력성 수준에 따른 자극그림을 분석한 결과 자극그림 선택에서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이야기 내용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본 연구는 DAS가 중년여성의 우울과 회복탄력성을 평가할 수 있는 도구로서 활용가능성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학교폭력 가해청소년과 일반청소년의 이야기그림검사(DAS) 반응특성 비교연구

        오종은,김세영 한국미술치료학회 2014 美術治療硏究 Vol.21 No.5

        본 연구의 목적은 일반청소년과 구별되는 학교폭력 가해청소년의 이야기그림검사(DAS) 반응특성을 알아보고, 효과적인 학교폭력 예방 선별도구로서 이야기그림검사의 유용성을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실제 학교폭력 가해처분을 받은 청소년 104명과 수도권 소재의 일반청소년 104명이며. Silver의 이야기그림검사에 반영된 정서내용점수와 자기상, 선택그림, 표현특징, 감정반응을 비교 탐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학교폭력 가해 청소년이 일반 청소년에 비해 부정적 정서가 높고, 자기상에 대한 병적인 환상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그림 선택에 있어서 가해 청소년이 일반 청소년에 비해 칼을 선택하는 경우가 많은 반면, 화산을 선택하는 경우는 적었다. 셋째, 그림검사 실시 과정에서 가해 청소년이 일반 청소년에 비해 그림을 삭제하는 경우가 많았다. 넷째, 그림에 대한 감정반응에서 가해 청소년이 일반 청소년에 비해 ‘슬퍼요’라는 표현을 더 많이 선택하였으며, ‘매우 좋아요’라는 표현의 선택은 적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효과적인 학교폭력 예방 선별도구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이야기그림검사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adolescent school violence offenders’ responses to the Draw A‐Story test (DAS) distinguished from general adolescents’ and to verify the usefulness of DAS as a screening tool for preventing school violence effectivel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04 adolescents who were convicted of school violence and 104 general adolescents sampled from the capital area, and the two groups were compared in terms of emotional content score, self‐image score, picture choice, and expression characteristic.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school violence adolescent offenders showed a higher frequency of negative emotion and pathological illusion for self image than general adolescents. Second, in picture choice, adolescent offenders chose a sword more frequently and a volcano less frequently than general adolescents. Third, in the course of drawing test, adolescent offenders deleted pictures more frequently than general adolescents. Fourth, in verbal expressions about pictures, adolescent offenders used the expression ‘Sad’ more frequently and ‘Very good’ less frequently than general adolescents. These results suggested the potential of DAS as a useful screening tool for preventing school violence effectively.

      • KCI등재

        이야기 그림 검사의 반응특성에 대한 메타분석 : 한국 아동·청소년 자료를 중심으로

        한경아,문리학 한국심리치료학회 2022 한국심리치료학회지 Vol.14 No.2

        In Korea, the Draw-a-Story (DAS) assessment is conducted to distinguish between depression and aggression and screen for the variables of emotion, self-concept, and relationship through response characteristics. Given that each study has different population characteristics and variables in their research design, resulting in consistent or contradictory results, it is of the utmost importance to use statistical validation to generalize individual results effectively.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power of the DAS assessment to differentiate therapeutic variables such as emotion, self, and relationship of children and adolescents in Korea. To this end, we employed the PRISMA flowchart to sift through research papers published in Korea by June 2020 and selected the final 15 studies for meta-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first, both emotional contents and self-image scales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sizes. The second, the emotional contents scale shows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children and adolescents regarding effect sizes by research subjects. However, the self-image scale exhibits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types of study participants. The third, in terms of effect sizes by research variables, the emotional contents scale shows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research variables, whereas the self-image scale presents significant differences. This study demonstrated the validity of the DAS assessment in differentiating multiple variables, including emotions, self, and relationships of Korean children and adolescents. 국내에서는 이야기 그림 검사가 우울과 공격성의 변별뿐만 아니라, 정서, 자아개념, 관계 등의 변인들을 선별할 수 있는지에 대한 반응특성 연구들이 수행되고 있다. 각각의 연구들은 연구설계에 있어서 모집단의 특징과 변인이 다르고 또 일관적이거나 상반되는 결과를 지닐 수 있기 때문에 이를 통계적인 검증을 통해 하나의 결과로 일반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에서 아동과 청소년의 정서내용, 자기상, 관계 등 치료적 변인을 식별할 수 있는 능력을 갖고 있는지 입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2020년 6월까지 한국에서 발행된 연구를 대상으로 PRISMA 4단계를 거쳐 최종 선정된 15편을 메타분석하였고,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서내용 및 자기상 척도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효과크기를 갖고 있었다. 둘째, 연구대상에 따른 효과크기에서 정서내용 척도는 아동과 청소년 간의 유의한 차이가 없지만, 자기상 척도는 대상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연구 변인에 따른 효과크기에서 정서내용 척도는 연구 변인 간 유의한 차이가 없고, 자기상 척도는 연구 변인 간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한국의 아동 및 청소년 대상에게 이야기 그림 검사가 정서, 자아개념, 관계를 포함한 변인에 대해 변별력을 갖고 있음을 입증하였다.

      • KCI등재

        상호작용 중심의 집단표현예술치료가 여성 독거노인의 우울감과 대인관계에 미치는 효과

        최희진,안명현,한유진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2020 예술심리치료연구 Vol.16 No.1

        본 연구는 상호작용 중심의 집단표현예술치료가 여성 독거노인의 우울감과 대인관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은 서울시에 위치한 OO종합복 지관을 이용하는 여성 독거노인으로 사회복지사의 안내에 의하여 선착순으로 모집되었다. 연구기간은 주 1회 80분씩 총 18회기의 프로그램을 진행하였으며, 상호작용 중심의 집단표 현예술치료를 통해 여성 독거노인의 우울감과 대인관계의 변화를 비교하였다. 연구도구는 한국형 노인우울 척도(KGDS), 대인관계변화 척도(RCS)와 이야기 그림검사(Draw a Story) 를 실시하였다. 한국형 노인우울 척도(KGDS)와 대인관계변화 척도(RCS)는 SPSS WIN 25.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 목적에 따라 결과를 도출하였다. 또한 이야기 그림검사 (Draw a Story)의 내용변화를 통해 우울감 변화에 대해 알아보았으며, 단계별 변화를 통해 매 회기 상호작용 변화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사전·사후로 실시한 한국형 노인우울 척도 (KGDS)와 대인관계변화 척도(RCS)에서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으며, 이야기 그림검사(Draw a Story)와 상호작용 변화를 통해서도 우울감 감소와 대인관계 향상 등의 긍정적인 변화가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상호작용 중심의 집단표현예술치료 프로그램이 여성 독거노 인의 우울감을 감소시키고, 대인관계 변화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음을 보여주었으며, 본 프로그램이 정서적 지원체계로써 유용한 방안으로 적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interactionbased group expression art therapy on the depression and human relationship of elderly women living alone. The subject of this research is female senior citizens living alone, who use OO general welfare center located in Seoul and it was collected by order of arrival according to the guidance of social workers. The period of this research is a total of 18 sessions were conducted every 80 minutes once a week. And, group expressive arts therapy was applied to the experimental group, Through the group expressive arts therapy, changes of depression and the human relationships of the experimental group were compared. The tools of this research were KGDS, RCS, and DAS. KGDS and RCS were derived using the SPSS WIN 25.0 statistical program according to the purpose of analysis. In addition, through the changes of DAS contents, changes of depression were examined and through the changes by stage, compared the interaction changes in each session. As a result, there were significant changes in tests of depression and human relationships conducted by pre and post-tests. Changes in DAS and interaction changes have also identified positive changes, such as reduced depression and improve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Therefore, this study shows that the effects of interaction-based group expression art therapy program has reduced the depression of elderly women living alone, has had a positive effect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changes, and suggests that this program can be applied as a useful method as an emotional support syst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