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양질의 일자리 요인이 근로자의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일・성장 균형의 매개효과 중심으로

        박준규,허철무 한국경영컨설팅학회 2022 경영컨설팅연구 Vol.22 No.6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quality job factors on innovation behavior by using work-growth balance as a mediator for workers. Sub-variables of quality job factors were classified into job characteristics, compensat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The collected 285 copie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SPSS v22.0 and PROCESS macro v4.0 were used to analyze the model based on the simple mediation model. First, the effect of job characteristics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on work-growth balance was significant but the effect of compensation was not significant. Job characteristics were found to have the greatest effect on work-growth balance. Second, the effect of work-growth balance on innovation behavior was significant. Third, job characteristics, compensat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had a significant effect on innovation behavior, interpersonal relationship had the greatest effect on innovation behavior, and compensation had the smallest effect. Fourth, the work-growth balance was found to mediate between job characteristics,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innovation behavior, but not between compensation and innovation behavior. As a follow-up study, first, it is necessary to find other variables that can explain innovation behavior, second, it is necessary to follow-up studies such as finding new mediators other than work-growth balance. Third, it is expected that the follow-up study for the controlled mediating effect analysis through the conditional process model in which the moderating variable is introduced will be meaningful. 본 연구는 근로자를 대상으로 양질의 일자리 요인이 일·성장 균형을 매개변수로 하여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분석하였다. 양질의 일자리 요인의 하위변수를 직무특성, 보상 및 대인관계로 구분하였다. 자료분석에는 설문조사로 수집된 285부를 사용하였으며, 분석을 수행하기 위하여 SPSS v22.0과 PROCESS macro v4.0을 통하여 단순매개모형을 기반으로 분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로 첫째, 직무특성, 대인관계가 일·성장 균형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적이나 보상이 미치는 영향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직무특성이 일·성장 균형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둘째, 일·성장 균형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직무특성, 보상 및 대인관계는 혁신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대인관계, 직무특성, 보상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하였다. 넷째, 일·성장 균형은 양질의 일자리 요인으로 직무특성, 대인관계와 혁신행동 간에서 매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보상과 혁신행동 간에는 매개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하여 근로자의 혁신행동에 영향을 주는 양질의 일자리 요인의 체계적 연구와 함께 일과 삶의 균형(WLB)의 중요성을 강조하고자 한다. 후속 연구로는 혁신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양질의 일자리 요인의 추가적 구성요소 발굴과 조절변수가 도입된 조건부과정 모형의 조절된 매개효과 분석도 의미가 있을 것이다.

      • KCI등재

        기혼남녀근로자의 일ㆍ가족 균형과 관련요인

        한경혜(Han Gyoung-Hae)ㆍ장미나(Chang Mi-Na) 한국가족학회 2009 가족과 문화 Vol.21 No.1

        본 연구는 기혼근로자들이 지각하는 일ㆍ가족 균형수준 및 관련요인에 있어서의 성별차이를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16개의 일터에서 정규직으로 종사하는 총 688명의 기혼남녀 근로자들을 대상으로 주관적으로 인식하는 일ㆍ가족 균형수준과, 가족 및 작업환경 특성별 균형인식의 남녀차이를 위계회귀분석을 통하여 탐색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여성이 남성에 비하여 두 역할간의 균형감을 높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가족과 작업환경 특성으로 구성된 본 연구모형 중 균형수준에 대한 대개의 설명력은 직업특성에 집중되어 있으며, 그 중 업무량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남녀에게 공통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근무시간과 업무량, 그리고 배우자로부터의 지원정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4) 남녀 간 차별적인 기제도 관찰되었는데, 직무융통성은 남성에게 그리고 직무통제감은 여성에게 유의한 정적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주요결과에 기초하여 기혼남녀근로자가 주관적으로 인식하는 일ㆍ가족 균형의 의미와 인식과정에서의 젠더차이를 논의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the level of perceived work-family balance reported by married employees, and how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work and family are related to their perceptions of balancing the two, both in regards of gender differences. Data were gathered from 688 employees (male: 485, female: 203) working in sixteen major firms in Korea. Hierarchical regressions were conducted on perceived work-family balance using categorical independent variables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family and work, respectively) including gender interaction terms, and OLS regression was conducted on two separate models for men and women. The results were: (1) women reported to have more balanced life than men. (2) Work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contributed the most in explaining the variance of the model. (3) There were similarities as well as differences in perceived work-family balance between men and women. Among family characteristics, higher level of spouse support was associated with feeling more balanced in both groups. (4) Among work characteristics, time pattern variables such as weekly working hours and overtime work were negatively associated with feeling balanced in both genders. However, job flexibility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men's sense of balance, and job controls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women's. Gender differences both in the meaning of perceived balance and process of perception were discussed based on these findings.

      • KCI등재

        직장인 성인학습자의 학습특성이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과 일-삶의 균형의 매개효과

        이강은,홍아정 한국평생교육학회 2015 평생교육학연구 Vol.21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orrelations between adult learners’ characteristics, their work-life balance, and with their learning outcomes, an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work-life balance between the variables. 302 adult learners who are currently working and participating educational institutions were selected as questionnaire survey participants. The result of the study shows that the characteristics of working adult learners had a positive effect on learning outcomes such as learner satisfaction,social networks and improvement in expertise, indicating that learner characteristics and learning outcomes are closely correlated. The study also confirmed that work-life balance had a mediating effect between characteristics of an adult learner and their learning outcomes . Academic bonding and academic efficacy had a positive effect on work-leisure balance and work-growth balance, while work-leisure balance and work-growth balance had a positive effect on learning outcomes. Result from the study indicates that it is important to develop a social atmosphere where work-life balance is encouraged so that adult learners with jobs can consistently participate in life-long learning. 본 연구는 직장인 성인학습자의 학습특성과 학습성과와의 영향관계를 규명하고, 일-삶의균형이 이들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갖는지 검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남녀구분 없이 평생교육프로그램 참여 경험이 있는 25세 이상의 직장인 성인학습자 30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직장인 성인학습자의 학습특성인 학습가치, 학습애착, 학습효 능감은 학습성과인 삶의 질, 학습 만족도, 사회적 네트워크, 전문능력, 자기주도학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일-삶의 균형의 하위변인인 일-가족 균형을 제외한 일-여가 균형과 일-성장 균형이 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검증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직장인의 일-삶의 균형이 조직과 개인의 성과 향상에 기여함은 물론 학습성과까지 창출할 수 있는 요인임을 밝혔다는 데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즉 학습에 대한 관심과 자신감, 애착을 보이는 직장인 성인학습자들은 일, 여가, 자기개발의 균형을 이룸으로써 이는 자신이 성장한다는 의식을 갖게 하고 직장인으로서의 삶의 만족과 원만한 대인관계형성은 물론 사회생활에 필수적인 전문능력을 높인다는 점을 알 수 있다. 평생학습 참여자의 주요 대상인 직장인 성인학습자의 학습특성을 파 악하고 학습성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일환으로 일과 삶의 균형을 연계할 수 있는 평생교육 관점에서의 함의와 방안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기혼남녀근로자의 일ㆍ가족 균형과 관련요인: 남녀차이를 중심으로

        한경혜,장미나 한국가족학회 2009 가족과 문화 Vol.21 No.1

        This study examines the level of perceived work-family balance reported by married employees, and how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work and family are related to their perceptions of balancing the two, both in regards of gender differences. Data were gathered from 688 employees (male: 485, female: 203) working in sixteen major firms in Korea. Hierarchical regressions were conducted on perceived work-family balance using categorical independent variables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family and work, respectively) including gender interaction terms, and OLS regression was conducted on two separate models for men and women. The results were: (1) women reported to have more balanced life than men. (2) Work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contributed the most in explaining the variance of the model. (3) There were similarities as well as differences in perceived work-family balance between men and women. Among family characteristics, higher level of spouse support was associated with feeling more balanced in both groups. (4) Among work characteristics, time pattern variables such as weekly working hours and overtime work were negatively associated with feeling balanced in both genders. However, job flexibility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men's sense of balance, and job controls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women's. Gender differences both in the meaning of perceived balance and process of perception were discussed based on these findings. 본 연구는 기혼근로자들이 지각하는 일ㆍ가족 균형수준 및 관련요인에 있어서의 성별차이를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16개의 일터에서 정규직으로 종사하는 총 688명의 기혼남녀 근로자들을 대상으로 주관적으로 인식하는 일ㆍ가족 균형수준과, 가족 및 작업환경 특성별 균형인식의 남녀차이를 위계회귀분석을 통하여 탐색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여성이 남성에 비하여 두 역할간의 균형감을 높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가족과 작업환경 특성으로 구성된 본 연구모형 중 균형수준에 대한 대개의 설명력은 직업특성에 집중되어 있으며, 그 중 업무량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남녀에게 공통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근무시간과 업무량, 그리고 배우자로부터의 지원정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4) 남녀 간 차별적인 기제도 관찰되었는데, 직무융통성은 남성에게 그리고 직무통제감은 여성에게 유의한 정적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주요결과에 기초하여 기혼남녀근로자가 주관적으로 인식하는 일ㆍ가족 균형의 의미와 인식과정에서의 젠더차이를 논의하였다.

      • KCI등재

        직무 특성이 근로 청소년들의 일과 생활 균형에 미치는 영향: 심리적 안녕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현우,민현주 세명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2 人文 社會科學硏究 Vol.30 No.3

        · 연구 주제: 직무 특성이 근로청소년들의 일과 생활 균형에 미치는 영향에서 심리적 안녕의 매개효과를 검증한다. 특히, 심리적 안녕의 매개효과에 초점을 두어 실증분석을 수행한다. · 연구 배경: 젊은 세대의 가치관은 고연봉이나 직장에 충성하는 삶을 사는 것보다 일과 균형이 조화된 삶을 토대로 스스로 수행한 일에서 느끼는 기쁨과 즐거움, 자기 발전과 같은 요소를 더욱 중요시 하고 있다. 특히, 환경 변화에 민감한 근로 청소년들은 변화하고 있는 직무 특성으로 인해 일과 생활의 균형이 영향을 받고 있다. · 선행연구와의 차이점: 공공데이터를 바탕으로 직무 특성과 일과 생활의 균형 간 매개효과를 분석, 근로 청소년들의 직무 특성으로 인한 심리적 과정을 설명한다. · 연구 방법: 제 5차 근로환경조사 응답자 중 1,620명의 근로청소년을 선별. 요인 간 영향관계 파악을 위한 상관분석과 회귀분석을 시행하고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 연구결과: 직무 특성은 일과 생활에 균형에 영향을 미치는 반면 직무 특성이 심리적 안녕에 미치는 영향 중 수면 부족의 조절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 공헌점 및 기대효과: 직무 특성과 일과 생활의 균형 간 심리적 프로세스에 대한 통합적 과정을 고찰하고, 긍정적인 심리적 과정을 촉진시킬 수 있는 방안을 탐색한다.

      • KCI등재

        컨테이너터미널의 균형성과 결정요인 및 항만특성과 고객서비스의 조절효과 분석

        김점희,이충섭 한국회계정책학회 2011 회계와 정책연구 Vol.16 No.2

        This paper analyzes the effect of competition factors on balanced performance and moderating effect of both port characteristics and customer service of container terminal. Competition factors of container terminal are classified as equipment, operational efficiency, cost competence, and sub operating system. Port characteristics are sorted as geographical location, facility and service, and supporting system. According to results, the equipment factor of container terminal gives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financial, internal process, and learning & growth performance. The operational efficiency factor gives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internal process and learning & growth performance of container terminal. Both cost competence, and sub operating system factors give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ly on internal process performance. Geographical location characteristic of a port shows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on relationships of the equipment factor and financial performance, the equipment factor and internal process performance, the cost competence factor and internal process performance, the sub operating system factor and internal process performance respectively. The facility and service characteristic of port shows no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s. Supporting system characteristic shows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on both the relationship of the equipment factor and financial performance and the relationship of the equipment factor and internal process performance. Customer service characteristic of container terminal shows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on both the relationship of the equipment factor and financial performance and the relationship of the operational efficiency factor and learning & growth performance. 본 연구에서는 컨테이너터미널의 경쟁요인이 균형성과에 미치는 영향과 함께, 항만과 고객서비스 특성의 조절효과를 분석하였다. 컨테이너터미널의 경쟁요인은 설비, 업무효율성, 비용우위 및 하부운영시스템으로 파악되었으며, 항만특성은 항만의 지정학적 위치와 시설․서비스 및 지원체계로 구분되었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컨테이너터미널의 설비는 재무성과와 내부프로세스성과 및 학습성장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업무효율성 요인은 내부프로세스성과와 학습성장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비용우위와 하부운영시스템 요인은 내부프로세스성과에 대해서만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항만의 지정학적 위치 특성은 컨테이너터미널의 설비와 재무성과 및 내부프로세스성과, 비용우위와 내부프로세스성과, 하위운영시스템과 내부프로세스성과의 관계에 대하여 각각 유의한 조절효과를 나타내었다. 항만의 시설․서비스 특성은 조절효과를 나타내지 않는 것으로 분석된다. 항만의 지원체계는 컨테이너터미널의 설비와 재무성과 및 내부프로세스성과의 관계에 대하여 각각 유의한 조절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컨테이너터미널의 고객서비스 특성은 컨테이너터미널의 설비와 재무성과의 관계 및 업무효율성과 학습성장성과의 관계에 대하여 유의한 조절효과를 나타내고 있다.

      • KCI등재

        컨테이너터미널의 경쟁요인과 고객서비스 및 항만특성이 균형성과에 미치는 영향

        이충섭,김점희 한국산업경제학회 2011 산업경제연구 Vol.24 No.4

        본 연구는 컨테이너터미널의 경쟁요인과 고객서비스 및 항만특성이 균형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컨테이너터미널의 경쟁요인은 설비, 업무효율성, 비용우위 및 하부운영시스템으로 파악되었으며, 항만특성은 항만의 지정학적 위치와 시설 서비스 및 지원체계로 구분되었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컨테이너터미널의 경쟁요인은 재무성과와 고객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컨테이너터미널의 경쟁요인은 컨테이너터미널의 궁극적인 수익성을 나타내는 지표로서는 한계가 있는 것으로 본다. 컨테이너터미널의 고객서비스특성은 내부프로세스 및 학습과 성장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반면, 재무성과와 고객성과에 직접적인 영향은 미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항만특성의 경우는 지원체계와 학습과 성장성과의 관계를 제외하고 전반적으로 균형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This paper analyzes empirically the effect of competition factors, customer service and port characteristics on balanced performance of container terminals. Competition factors of container terminal are classified as equipment, operational efficiency, cost competence, and sub operating system. Port characteristics are sorted as geographical location, facility and service, and supporting system. According to results, competition factors of container terminal gives no significant effect on financial and customer performance. Therefore, competition factors are limited to be used for ultimate profitability index of container terminals. Customer service property gives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internal process and learning & growth performance of container terminal. However on financial and customer performance, customer service property gives no significant effect. Except for the relationship of supporting system characteristic of port and learning & growth performance of container terminals, port characteristics gives no significant effect on balanced performance of container terminals overall.

      • KCI등재

        국가균형발전 지표에 의한 지역유형 분류 및 특성 분석

        김성록 한국주거환경학회 2022 주거환경(한국주거환경학회논문집) Vol.20 No.2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rovides basic data for enforcing relevant policy by classifying basic local governments across the country into types according to the Balanced National Development Index. The analysis results reveal that, out of the 229 analysis target areas, 62 centering on Si(city) were classified as cluster 1, 73 centering on GU(borough) were classified as cluster 2, and 94 areas centering on GUN(county) were classified as cluster 3. A look into characteristics depending on regional type shows how cluster 1 demonstrated relatively more positive outcomes than clusters 2 and 3 in terms of ‘changing trends within the period’ such as rate of change in population and rate of change in the number of businesses. Next, cluster 2 indicated more positive outcomes than clusters 1 and 3 in terms of ‘facility access’, such as the percentage of infants and young children within daycare center service areas, the percentage of school-aged children within elementary school service areas, and the population percentage within library service areas. Cluster 3 exhibited a high level of outcomes in indices based on population numbers, such as the number of schools per 1,000 students and the number of cultural infrastructure facilities per 10,000 population. As cluster 3 centers on gun areas, these outcomes paradoxically assume the realities of local extinction as a result of population decreases in gun areas. 이 연구는 전국 기초자치단체를 국가균형발전지표에 의한 유형을 분류하여 관련 정책 추진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분석결과, 전체 229개 분석대상 지역 중 군집 1은 시 지역을 중심으로 하는 62개 지역, 군집 2는 구 지역 중심의 73개 지역, 군집 3은 군 지역 중심의 94개 지역으로 분류되었다. 지역유형에 따른 특성을 살펴보면, 군집1은 인구증감율, 사업체수 증감율과 같은 ‘기간내 변화추세’측면에서 다른 군집2, 군집3보다 상대적으로 긍정적인 결과를 보였다. 다음으로, 군집2는 어린이집 서비스권역 내 영유아 비율, 초등학교 서비스권역 내 학령인구 비율, 도서관 서비스권역 내 인구비율과 같이 ‘시설 접근성’측면에 있어 군집1, 군집3보다 긍정적임을 알 수 있다. 군집3의 특징으로는 학생인구 1000명당 학교 수, 인구10만명당 문화기반시설 수와 같이 인구수에 기반한 지표에서 높은 결과를 보였다. 군집3은 군지역이 중심으로, 이러한 결과는 역설적으로 군지역의 인구감소에 따른 지역소멸문제의 현실을 추정하게 한다.

      • 통근특성을 통해 본 서울시 공공임대주택 거주자의 주거만족도: 매입임대와 영구임대 비교를 중심으로

        성진욱,천현숙 주택도시보증공사 2020 주택도시금융연구 Vol.5 No.2

        This study explored the problem of uneven location of public housing due to supply-oriented housing policies. In particular, the study focused on exploring the factors affecting residential satisfaction through commuting characteristics. The analysis data were derived from the panel survey (2-wave) on public housing provided by SH Corporation. An ordere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applied as a research model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pendent variabl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commuting time and distance increase, residential satisfaction tends to decrease regardless of the public housing type and region. Second, residential satisfaction is higher in places with an easy access to public transportation. Third, in terms of the job-housing balance, when housing and jobs matched the area of residence, the purchased public housing lease indicated a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 Therefore, it is meaningful to derive policy bases and implications for purchase-type public housing, the supply of which is expected to increase in the future by replacing construction-type public housing. 이 연구의 목적은 공공임대주택의 입지문제를 통근특성을 통해 주거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살펴보는 것에서 착안하였다. 다소 유연한 공급이 가능한 매입임대주택과 그렇지 않은 영구임대주택을 상호 비교하여 임대유형별, 지역별 차이에 따른 결정요인을 도출하는 것이 주요 목적이다. 분석자료는 서울시 공공임대주택 입주자 패널조사 2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종속변수의 특성을 고려하여 순서형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연구모형으로 적용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통근시간 및 거리가 증가할수록 주거만족도는 임대유형 및 지역과 관계없이 주거만족도가 낮아지는 경향을 보인다. 둘째, 대중교통 접근이 용이한 곳에서 주거만족도가 높다. 셋째, 직주일치 차원에서 동일 권역 생활권에서 주거와 일자리가 일치하는 매입임대의 경우 상당한긍정적인 영향력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를 통해 향후 건설형 공공임대주택을 대체하여 증가가 예상되는 매입형 공공임대주택에 대한 정책적 근거와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에 의의가 있다.

      • KCI등재

        국가균형발전 지표에 의한 지역유형 분류 및 특성 분석

        김성록(Kim, Sung Rok) 한국주거환경학회 2022 주거환경(한국주거환경학회논문집) Vol.20 No.2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rovides basic data for enforcing relevant policy by classifying basic local governments across the country into types according to the Balanced National Development Index. The analysis results reveal that, out of the 229 analysis target areas, 62 centering on Si(city) were classified as cluster 1, 73 centering on GU(borough) were classified as cluster 2, and 94 areas centering on GUN(county) were classified as cluster 3. A look into characteristics depending on regional type shows how cluster 1 demonstrated relatively more positive outcomes than clusters 2 and 3 in terms of ‘changing trends within the period’ such as rate of change in population and rate of change in the number of businesses. Next, cluster 2 indicated more positive outcomes than clusters 1 and 3 in terms of ‘facility access’, such as the percentage of infants and young children within daycare center service areas, the percentage of school-aged children within elementary school service areas, and the population percentage within library service areas. Cluster 3 exhibited a high level of outcomes in indices based on population numbers, such as the number of schools per 1,000 students and the number of cultural infrastructure facilities per 10,000 population. As cluster 3 centers on gun areas, these outcomes paradoxically assume the realities of local extinction as a result of population decreases in gun area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