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글로벌 불균형의 원인에 대한 분석: 중국과 미국의 경상수지 결정요인을 중심으로

        양아혜(Ya Hui Yang),유재원(Jai Won Ryou) 건국대학교 경제경영연구소 2015 商經硏究 Vol.40 No.1

        2000년대에 들어오면서 중국을 포함한 동아시아국가들은 지속적인 경상수지 흑자를 실현하는 한편, 미국은 상당폭의 경상수지 적자를 보여왔다. 이러한 글로벌 불균형 문제는 글로벌 금융위기이후 다소 완화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세계경기의 회복이 본격화되면 언제든지 다시 악화될 위험성을 간과할 수 없다. 미국의 경상수지 적자 누적에 따른 달러화의 과잉공급이 세계경제의 안정적 성장을 위협한다는 점에서도 글로벌 불균형의 원인을 명확하게 진단하여 해법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 본고는 중국의 경상수지 흑자와 미국의 경상수지 적자가 어떠한 요인에 의하여 결정되는지를 규명하고, 이를 바탕으로 글로벌 불균형 해소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1998~213년 기간중 분기별 자료를 이용하여 중국과 미국의 저축률, 투자율, 환율 및 경제성장률이 각기의 경상수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중국의 경상수지 결정에 있어서는 저축률이 가장 중요한 변수라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미국의 경우에는 저축률 대신 투자율이 경상수지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위안화의 대미 달러화 환율은 중국의 경상수지에 정(+)의 영향을 미치지만, 흥미롭게도 미국의 경상수지에 미치는 부(-)의 영향이 훨씬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환율효과의 비대칭성은 글로벌 불균형의 해소하기 위한 정책협조의 난항을 예상케 한다. 글로벌 불균형의 해소가 세계경제의 안정적 성장에 기여한다는 할 때, 중국과 미국은 과다한 경상수지 불균형을 줄이기 위하여 노력할 필요가 있다. 중국은 인프라건설에 투자 증대 및 금융부문의 구조조정을 가속화하여 내수를 진작시키는데 주력하여야 하며, 위안화 가치의 점진적 상승을 허용하여야 할 것이다. 한편 미국이 경상수지 적자를 개선하려면 달러화 가치의 고평가를 통하여 자본유입을 유도하는 정책을 재고하고, 국내저축 증대에 주력하여야 할 것이다. 동시에 동아시아 국가들이 경상수지 흑자를 통하여 축적한 외환보유고의 상당부분을 달러화 채권 매입에 사용하는 현행 국제통화체제의 개선책이 함께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Global imbalances, denoting the current account imbalances of the major countries, have drawn attention as a major cause of instability in the global economy. Many blamed the “global savings glut” in the East Asian emerging market economies, particularly China, to be the driving force of global imbalances. Undervaluation of local currencies with respect to the U.S. dollar has been pointed out as another important factor. However, it remains debatable to what extent national savings and exchange rates contributed to current account imbalances. This paper aims to analyze determinants of the current account of China and the U.S. in order to draw policy implications for rectifying global imbalances. Drawing on both elasticity approach and absorption approach, we analyze the roles of saving, investment, exchange rate, and income growth in current account balance. Our empirical analysis of the sample period between 1998 and 2013 reveals that determinants of current account balances of China and the U.S. are quite different. Saving appears to play a major role for China’s current account surplus, while investment in the case of the U.S. current account deficit. Interestingly, the exchange rate of the Chinese yuan against the U.S. dollar rate did not affect much the current account balance of China, but substantially that of the U.S. in the long-run. In order to achieve a more balanced current account balance, China needs to boost consumption and investment. Moreover, the Chinese monetary authorities should allow for gradual appreciation of the Chinese yuan. On the other hand, the U.S. should improve current account through depreciation of the dollar, and make efforts to reduce fiscal deficit. At the same time, two countries should promote policy coordination to reform the present international monetary order centered on the dollar.

      • KCI등재

        일반균형모형에서 경상수지목표제의 경제적 효과분석

        조상섭,김연정,박종찬 한국산업경제학회 2011 산업경제연구 Vol.24 No.1

        본 연구에서는 현재 국제적으로 논의 중인 경상수지목표제의 경제적인 효과를 파악하기 위하여 우리나라를 비롯한 주요 26개 국가의 무역구조를 반영하여 일반균형적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 경상수지목표제도입으로 각 국가에서는 경상수지적자 또는 경상수지흑자를 경상수지균형으로 조절할 경우에 경상수지흑자국가에서는 실질임금의 증대로 나타났으며, 경상수지적자국가에서는 실질임금의 감소로 나타났다. 둘째, 우리나라의 경우에 실질임금의 증대와 국민후생의 증가를 가져올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우리나라와 무역교류가 큰 일본과 중국에 대한 우리나라의 경상수지목표제도입으로 우리나라와 일본의 경우는 일본에 경상수지적자규모가 $632억으로 나타났으며, 중국에는 $1,088억불이 될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경상수지규모가 클수록 명목 임금의 증가가 크게 나타났으며, 경상수지목표제도입은 무역대외의존도와 경제적 효과관계는 비선형적으로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경상수지목표제도하에서 우리나라 무역정책기조는 대외지향적인 무역정책보다는 대내지향적인 무역정책추구가 한층 필요하다. This Paper applies trade model to a 26 countries trade structure to assess the current issues of current account targets system in general equilibrium model. Analysis results show that, first, introducing current account targets system results in the increase of real economic variable such as real wage in pursuit of rebalancing current accounts. Second, our country experience the increasing real wage and welfare under the current account targets system. Third, even though our country introduces current account targets system, the bilateral trade effects among three countries i. e. Korea, Japan and China will be persistent in nature. Finally, the economic effects of rebalancing current accounts depend on the size of trade volume so that our country effects may be a little big comparing to U. S. A' s effects . The implication of the paper suggests that our country trade policy need to change external oriented market development to internal market creation policy.

      • KCI등재

        유로존 역내불균형(Internal imbalance)의 시각에서 본 독일의 경상수지 흑자와 그 구조에 관한 연구

        강유덕 한국외국어대학교 EU연구소 2018 EU연구 Vol.- No.48

        This paper examines the current account surplus of Germany in the context of the internal imbalances in Euro Area at post-crisis period. Since the crisis, Southern European countries have completely reduced their deficit in current accounts, while German surplus reached at record level. This salient development of German surplus has been criticized, not only by US Government and IMF, but also by insiders in the EU, notably the European Commission. Focusing on the trade balance in goods, this paper examines three research topics. First, it reviews the development of Germany’s current account balance vis-à-vis its main partners over long period, regrouping them into several categories according to their status. Second, it investigates how the production cost, proxied by real effective exchange rate (REER) and the nominal exchange rate affect German trade balance. Third, the trade balance of Germany is decomposed into two parts, one explained by structural factors and the other by other cyclical factors. Germany’s trade balance has been mostly affected by the business cycles of its trade partners and the exchange rate of euro. First, German surplus has been increasing in trade with non Euro area countries, including US. Its surplus with Euro area has been considerably declined. Second, German REER has been relatively stable, while REERs of Southern European countries have considerably fallen. Third, weak euro has contributed to the increase in German surplus since the late 2014. During this period, German export to non EU countries, notably US considerably increased. Lastly, the cyclical factors have exerted a positive influence on german surplus vis-à-vis non-EU countries at post crisis period, while they affected negatively German surplus vis-à-vis EU countries. To sum up, it is hardly to conclude that increasing German surplus deepened the internal imbalance in Euro area at post-crisis period. Increasing the domestic demand in Germany is expected to make positive spillover effect into other neighbors in Euro area. The criticisms on German surplus are based on this anticipation, rather than concerns on the internal imbalance that Euro area experienced before the crisis. 이 연구는 독일의 경상수지 추이를 유로존 내 역내불균형의 시각에서 점검하였다.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남유럽의 경상수지가 개선되어 균형을 이룬데 반해, 독일의 흑자폭은 계속 증가했다. 이에 EU 집행위원회는 역내불균형의 관점에서 우려를 표출하였고, IMF와 미국 정부도 각기 다른 입장에서 비판적 입장을 보였다. 이 연구는 독일의 경상수지 중 가장 중요한 항목인 상품수지를 대상으로 무역상대국에 따른 상품수지 추이를 분석하였고, 생산비용과 환율이 상품수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또한 무역상대국에 따른 독일의 상품수지를 구조적 요인과 경기적 요인으로 분해하여 그 추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발생한 독일의 상품수지 흑자추이는 무역상대국의 경기상황과 유로화 환율에 큰 영향을 받았다. 첫째, 독일의 흑자는 주로 비유로존 국가들을 대상으로 증가하였고, 유로존 국가들을 대상으로 한 흑자폭은 크게 감소하였다. 둘째, 글로벌 금융위기 이전 독일의 생산비용 증가율이 남유럽 국가들에 비해 낮았던 점은 독일의 상품수지 흑자 증가에 크게 기여하였다. 그러나 위기 이후에는 남유럽 국가들의 생산비용 감소 정도가 독일에 비해 훨씬 컸으며, 이에 남유럽 국가들의 상품수지가 크게 개선되었다. 셋째, 2014년 후반부터 시작된 유로화 약세 현상은 독일의 상품수지 흑자증가에 크게 기여하였다. 이 기간 중 미국을 포함한 역외국에 대한 독일의 수출은 크게 증가하였다. 마지막으로 독일의 무역흑자가 구조적인 것은 사실이나, 경기가 양호한 역외국을 대상으로 크게 증가하였고, 역내국을 대상으로는 경기적 요인에 의한 무역수지 감소현상이 나타났다. 이를 종합하면, 경제위기 이후 독일의 무역수지 증가가 유로존 내 역내불균형을 심화시켰다고 보기는 어렵다. 독일의 내수활성화는 독일 경제의 비중을 감안할 때, 유럽의 경제성장률에 긍정적인 파급효과를 미칠 수 있다. 독일의 과도한 흑자에 대한 비판은 역내불균형에 대한 우려보다는 이러한 기대에 근거하고 있다고 보아야 한다.

      • KCI등재

        유로존의 역내 불균형과 조정과정에관한 연구: 유로존 위기 이후 남유럽의 경상수지추이와 구조분석

        강유덕 한국외국어대학교 EU연구소 2017 EU연구 Vol.- No.45

        This study pays attention to the fact that Southern European countries reduced their current account deficit in unprecedented manner during the period of 2011-2013 and examines these adjustment proces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reviews the changes of trade balance in both supply (export) and demand side (import). In particular, it investigates changes of unit labour costs and export price in order to decide whether the internal devaluation has been effective in reducing the current account deficit. In addition, this paper decomposes the trade balance into structural and cyclical components and illustrates the contribution of each factor in the adjustment process. The reduction of current account deficit in Greece, Spain and Portugal was driven in large part by a sharp fall in their import demand, which resulted from the deep economic recession. Their exports had been stagnating or increased slowly, forming J curve shape, during the first phase of the adjustment. The unit labour cost declined, but this fall in production cost was not necessarily reflected on the export price, which rose during the same period. It suggests that the mechanism of the internal devaluation does not fully explain the rise of export in second phase of the adjustment. The decomposition of trade balance shows that the cyclical component affected much the fall in trade deficit during the period of 2011-2013. This confirms once again the fact that the fall in current account deficit has been driven by the fall in import. The internal devaluation process is very slow, because the wage and price are generally sticky and it cause a large contraction of domestic demand and political instability. In this context, it is necessary to note that the massive current account surplus of Germany is the other side of the internal imbalance. This argument suggests that the discussion about the internal imbalance is not only economic issues, but also political issues, which require closer coordination of economic policies within the Euro Area. 이 연구는 2010-2013년의 기간 중 유로존 취약국의 경상수지 적자가대폭 감소하여 경상수지 균형을 이루었다는 점에 주목하고, 이 조정의 구조적 과정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무역수지를 공급측면과 수요측면의 변화로 구분하여 살펴보았으며, 공급측면의 변화에 있어서는 이변화가 내적절하에 의한 것인지 여부를 판단하고자 하였다. 또한 상품수지의 변화를 구조적 요인과 경기순환적 요인으로 분해하여 살펴봄으로써변화의 성격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그리스, 스페인, 포르투갈 등 남유럽 3국의 경상수지 적자축소는 수입수요의 급감을 통해 주도되었고, 같은 기간 수출은 정체되거나, 서서히 증가하였는데, 점차 증가세가 뚜렷해지는 J 효과 패턴을 보였다. 조정과정 중 단위노동비용은 하락하였으나, 이 하락이 반드시 수출가격에 반영되지는 않았는데, 이는 내적절하의 메커니즘이 전체 수출 증가를설명하지는 못함을 의미한다. 또한 상품수지를 구조적 요인과 경기적 요인으로 분해하여 살펴본 결과, 경상수지 적자가 축소되는 기간 중에는 경기적 요인에 의한 상품수지 개선효과가 컸던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내수위축으로 인한 수입수요의 감소가 무역수지 개선에 크게 작용했음을확인할 수 있었다. 내적절하는 그 과정이 느린 반면, 극심한 내수침체와 정치적 불안을동반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역내 불균형의 다른 한축인 독일의 경상수지적자를 축소해야한다는 견해에도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이는 역내불균형의 해소가 경제적 문제만은 아닌, 회원국 간 입장 조율과 같은 정치적 성격 또한 띠고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역내불균형에 대한 유로존의 인식변화와 해소방향에 관한 연구

        강유덕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연구센터 2014 국제지역연구 Vol.17 No.4

        Internal imbalance has been regarded as one of structural problems of the Eurozone. Divergingtrends of labor costs and inflation between member states led southern European countries to recordhigh level of current account deficit, while inflow of low-interest credits stimulated consumption andinvestment in these countries. The eurozone had not fully recognized how much this internalimbalance was serious and how far it would affect normal functioning of the monetary union. However, as sovereign yield rates started to diverge, the internal imbalance was regarded as a seriousthreat which forced deficit countries to the debt crisis. Since 2008, the gap in current account balance between countries has been narrowed. Thisre-balancing is due to difference in business cycles between northen and southern European countries,a dramatic fall in capital inflow to southern Europe and the latter's efforts for structural adjustment. Because currency devaluation is not possible option, Eurozone members, particularly southern oneshave to cut their production cost, particularly labor cost. To be successful in reducing internalimbalance, supports from the EU and favorable monetary policy will be also required. In addition, itwill be increasingly necessary to develop a close coordination mechanism of economic policies betweenmembers. 유럽재정위기의 전개과정에서 부각된 유로존의 근본적 문제점 중 하나는 역내불균형의 확대이다. 대표적인 역내불균형은 회원국 간의 경상수지 격차로 회원국 간의 물가및 임금상승률의 격차가 확대되면서 남부유럽 국가들은 대규모의 무역수지 적자를 기록하였다. 과거 역내불균형에 대한 유로존의 인식은 낮았으나, 글로벌 금융위기를 거치면서 역내불균형이 유로존의균열을 가져올 수 있다는 우려가 확산되었다. 이에 따라 EU/유로존은 역내불균형에 대한 모니터링 체제를 수립하였다. 2008년을 기점으로 경상수지 격차확대 폭은 둔화되었으며, 남부유럽 국가들의 경상수지 적자는 빠르게 감소하였다. 이러한 현상은 북부와 남부유럽 간의 경기격차와 남부유럽으로의 자금유입 감소, 적자국의 구조조정에서 비롯된 것이다. 유로화 체제에서 경상수지 적자를 줄이기 위해서는 생산비용 감소를 통해 내적절하를 실시할 수밖에 없다. 그러나 개별국가의 노력만으로는 달성이 어려우므로 EU 차원의 지원확대와 통화정책을 통한 지원, 유로존 차원의 정책조율 노력이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국제적 경상수지 불균형 문제와 동아시아 국가들의 환율정책

        정세은(Jeong Se Eun) 한국사회경제학회 2006 사회경제평론 Vol.- No.26

          As the problem of substantial U. S. current account deficits continues, critics against exchange rate policies of the China and East Asian countries have been heard increasingly. This paper examines the sustainability of current international external imbalances and draws policy implications for East Asian countries" exchange rate policies. We carry out econometrical analysis to determine to what degree current accounts are unbalanced in international framework. According to results, international imbalances are substantial as much as those in the middle of 1980s when exchange rates were adjusted drastically. Also we examine the evolution of total saving and investment of the China and East Asian countries under current account surplus situation. We find out the China experiences vigorous investment while other East Asian developing countries suffer from lack of investment. Consequently, exports contraction entailed by eventual exchange rate adjustment would do serious negative shock to East Asian countries except for the China. In order to alleviate eventual exchange rate adjustment"s shock, East Asian countries need to cooperate to do simultaneous and mild adjustment of exchange rates.   본 논문은 국제적 경상수지 불균형 문제의 원인과 지속가능성을 분석하여 동아시아 국가들의 환율정책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을 이끌어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지속가능성을 판단하기 위하여 1980년대 초부터 2000년대 초까지의 시기에 대해 균형 경상수지 수준을 추정하여 실제경상수지가 균형상태로부터 어느 정도 벗어나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이에 따르면 최근의 불균형 상황은 국제적 차원의 환율조정이 발생하였던 1980년대 중반만큼이나 심각하며 거의 대부분의 동아시아 국가들이 균형수준에 비해 흑자를 보고 있지만 특히 개도국들의 과다흑자가 문제가 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환율조정 압력이 특히 동아시아 개도국들에게 가해질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보이는데 중국을 제외한 동아시아 국가들의 경우 외환위기 이후 투자율의 급격한 하락을 경험하는 등 내수부문이 상당히 위축되어 있기 때문에 급격한 환율조정으로 순수출이 감소하게 될 경우 고통스러운 조정과정을 겪을 것으로 예측된다. 현재의 불균형 상태가 지속가능하지 않다는 점에서 완만한 환율하락을 용인해야 하겠으나 환율조정의 충격을 완화시키기 위해서는 동아시아 관련국이 동시에 소폭의 환율하락을 실행함으로써 거시 경제적 부담을 나누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경제위기 이후 유로존의 경제적 수렴 여부에 관한 연구: 거시경제불균형 지표를 통한 분석

        강유덕(Yoo-Duk Kang) 한국유럽학회 2019 유럽연구 Vol.37 No.3

        이 연구는 경제위기 전후 EU/유로존 내의 경제적 수렴여부와 불균형 정도를 판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거시경제불균형 지표를 활용하여 EU/유로존 차원에서의 경제적 수렴과 불균형 정도를 측정하였고, 이와 별도로 국가별 지표분석을 실시하였다. 유로존 위기는 역내불균형이 유로존의 정상적 운영을 저해하게 됨을 인식하는 계기가 되었고, 이에 EU는 거시경제불균형 지표를 개발, EU 회원국의 불균형 정도를 판단할 수 있는 평가 및 조기경보 체제를 구축하였다. 이 지표는 유럽예산회기제의 운영과정에서 정책판단의 근거로 활용된다. 유로존 내의 불균형 현상은 2007~13년의 기간 중 현저히 감소하였고, 회원국의 거시경제지표는 수렴화 현상을 보였다. 특히 역내불균형의 대표적 지표로 지적된 경상수지와 실질실효환율에 있어 회원국 간 수렴화 현상이 진행되었고, 특히 경제위기를 겪었던 남유럽 및 아일랜드의 지표는 크게 개선되었다. 이러한 불균형의 개선과 수렴화 현상은 일부 지표를 제외한 다수의 지표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반면에 이와 같은 조정 중 상당부분은 경기침체와 같은 경기적 요인에 의해 발생한 것으로 보이며, 거시지표의 구조적 안정화를 위해서는 아직 EU-회원국 차원의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examines the degree of economic convergence and imbalance within the Economic and Monetary Union (EMU) before and after the economic crisis. To this end, economic convergence and imbalances at the EU/EU level were measured by using macroeconomic imbalances indicators and country level analysis. The Euro crisis prompted the EU to develop macroeconomic imbalance indicators and set up an early warning system to determine the extent of imbalances among EU Member States. These indicators are used as a basis for policy recommendation in the course of the European Semester. Imbalance within the Euro area decreased significantly during the period 2007~13 and macroeconomic indicators in member countries showed trends of convergence. In particular, the member countries showed convergences in the current account balance and the real effective exchange rate, which were pointed out as representative indicators of internal imbalances, Indicators of southern Europe and Ireland, which experienced economic crises, have been greatly improved. The improvement and convergence of these imbalances can be seen by a number of indicators, except for some. On the other hand, much of this adjustment appears to have been caused by business cycle related factors such as a recession, and macroeconomic stabilization will still require efforts of the EU and its Member States.

      • KCI등재후보

        세계 경상수지 분포의 변화

        김선빈 ( Sun Bin Kim ) 연세대학교 경제연구소 2012 延世經濟硏究 Vol.19 No.1

        본 연구는 불완전한 자본시장을 상정하는 개방경제모형에 자본과 무역거래에서 관찰되는 몇 가지 중요한 마찰적 요소를 도입하여 과거 40년간의 세계경상수지 분포의 변화를 수량적으로 분석한다. 문헌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파라미터 값을 사용하여 모형을 캘리브레이션할 경우 차입제한이 존재하는 확률적 일반균형모형의 균제균형은 세계경상수지 분포의 약 2/3를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금융거래에서 발생하는 마찰적 요소의 감소가지난 40년간 세계경상수지 분포의 확대를 거의 대부분 설명할 수 있는 반면, 무역거래에서의 마찰적 요소의 감소는 경상수지 분포에 큰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난다. We undertake a quantitative analysis of the dispersion of current accounts in an open economy version of incomplete insurance model, incorporating important market frictions in trade and financial flows. Calibrated with conventional parameter values, the stochastic stationary equilibrium of the model with limited borrowing can account for about two-thirds of the global dispersion of current accounts. The easing of financial frictions can explain nearly all changes in the current account dispersion in the past four decades whereas the easing of trade frictions has almost no impact on the current account dispersion.

      • KCI등재

        경상수지 흑자 원인과 우리나라의 경기변동: 베이지안 동태확률모형을 중심으로

        이준희(Junhee Lee) 한국경제연구학회 2019 한국경제연구 Vol.37 No.1

        본 논문에서는 2000년 이후 우리나라의 경상수지 움직임을 파악하고 이에 따른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소규모 개방경제 DSGE 모형을 구축하고 이를 베이지안 방법으로 추정하였다. 추정 결과 수출입 및 환율 등 경상수지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변동 요인으로 인하여 향후 우리나라 경상수지 흑자가 확대될 가능성은 제한적인 것으로 보인다. 반면 국내 소비 침체 및 투자 감소로 인한 경상수지 흑자 가능성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나며, 특히 소비 침체를 통한 경상수지 흑자 증가 요인이 최근 중요해진 것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분석을 고려할 경우 적절한 소비와 투자 촉진 정책을 실시하여 경상수지 흑자 수준을 줄이는 것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A small open economy DSGE model is estimated by Bayesian methods to analyze the current account dynamics of Korea since 2000. The results show that the possibility of continued current account surplus caused by direct factors such as imports and exports shocks and exchange rate shocks is limited. On the other hand, there seems to be a possibility of current account surplus due to the decrease in domestic consumption and investment. Considering these, it can be an appropriate option to stimulate domestic consumption and investment and move toward current account balance.

      • KCI등재

        글로벌 불균형과 환율의 관계 : '제2차 브레튼 우즈(Bretton Woods II)'가설의 유효성

        조갑제 국제지역학회 2010 국제지역연구 Vol.14 No.1

        This paper investigates the effectiveness of the Bretton Woods II hypothesis, by analys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xchange rates and the U.S. current account against 9 Asian countries for the period of 1999-2008. According to the estimation results, It is found that the Asian currencies' real depreciation significantly have worsened the U.S. current account against the Asian countries. Also, the U.S. current account was significantly affected by GDP and investment of the U.S. and the Asian countries. Thus, It is hard to say that the main driver of the global imbalance is the exchange rates devaluation policies of Asian countries as the Bretton Woods II hypothesis argues. The global imbalance is more likely to be complementally affected by savings glut in the Asian region and the deficiency of net saving in the U.S. Therefore, the global imbalance is expected to adjust when economic conditions besides exchange rates change. 미국의 경상수지 적자규모는 여전히 높은 수준을 나타내고 있는 반면, 동아시아국가들은 꾸준히 높은 수준의 경상수지 흑자를 나타내는 이른 바 ‘글로벌 불균형(global imbalance)’현상이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은 1999년-2008년간 자료를 이용하여 미국과 아시아 10개 국가간 경상수지와 환율간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중국과 아시아 국가들의 수출증대를 위한 환율 저평가 정책이 글로벌 불균형의 핵심 원인이라고 주장하는 ‘제2차 브레튼 우즈(Bretton Woods II)' 가설의 유효성을 검정하였다. 실증 분석결과, 아시아 국가들의 실질환율 절하가 글로벌 불균형의 부분적인 원인으로 작용하였으나 아시아 지역의 투자위축에 따른 잉여저축과 미국의 순저축 부족 문제 등이 환율보다 더 큰 요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제2차 브레튼 우즈(Bretton Woods II)' 가설은 유효하지 않은 것으로 파악되며, 환율 이외에 국민소득 변화와 (저축 대비)투자의 변화와 같은 경제여건의 조정에 의해서도 글로벌 불균형은 완화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