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규제혁신을 위한 입법평가제도의 개선방안 - EU와 우리나라를 중심으로 -

        송인옥,송동수 법조협회 2023 法曹 Vol.72 No.2

        Today, when regulatory innovation is discussed beyond deregulation, legislative evaluation is undoubtedly a necessary system to prepare high-quality regulations. Korea has been implementing Regulatory Impact Analysis since 1998, and introduced Legislative Impact Analysis in 2021. As a result, Korea has had both ex-ante and ex-post Legislative Analysis Systems in operation for about 24 years since the first Regulatory Impact Analysis was introduced. However, Korea's Regulatory Impact Analysis is still limited to government legislation, leaving a significant number of parliamentary bills out of the scope. Recently, Legislative Impact Analysis was introduced, but it has the limitation of operating as a separate system independent of Regulatory Impact Analysis. On the other hand, the EU is also introducing Impact Analysis and Evaluation into the legislative process with the aim of streamlining and improving the quality of regulations. Furthermore, 'Better Law-Making', which emphasizes clarity, transparency, and proportionality in the legislative process, is the goal of EU legislation, and Impact Analysis and Evaluation are implemented as a means to achieve this. Unlike Korea, these EU legislative evaluations are conducted for both legislative norms and non-legislative acts. In addition, in the process of Impact Analysis, criteria for Evaluation are prepared, Evaluation is carried out based on the contents of Impact Analysis, and Evaluation is carried out based on the results of Evaluation. Korea and the EU have different systems and socio-economic and cultural backgrounds, so it is not necessarily right or good to adopt the EU legislative evaluation system as it is. However, as the demand for regulatory quality control is constantly raised and the uniform Korean legal system requires changes, it is necessary to fundamentally change the legislative evaluation system in order to prepare reasonable regulations. To overcome these problems,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linkage between Regulatory Impact Analysis and Legislative Impact Analysis, and to implement Regulatory Impact Analysis for all new and strengthened regulations, including government legislation and parliamentary legislation. 규제 완화를 넘어 규제혁신이 논의되는 오늘날 입법평가는 높은 품질의 규제 마련을 위하여 많은 국가에서 실시 중인 제도이다. 우리나라 역시 2022년부터 사전적 영향평가제도인 규제영향분석과 사후적 영향평가제도인 입법영향분석이 함께 운영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규제영향분석은 정부입법을 통한 규제에 대해서만 실시되고 있고, 의원입법안은 그 대상에서 제외되고 있어 규제영향분석의 실효성을 확보하지 못하고 있다. 또한, 입법영향분석과 규제영향분석이 독립된 별도의 제도로써 운용되고 있어 양 제도 간의 상호작용이 부족한 실정이다. 한편, EU는 입법과정의 명확성과 투명성, 비례성을 강조하는 이른바‘선진 입법(Better Law-Making)’을 EU 입법의 목표로 정하고, 이를 위한 수단으로 입법평가제도인 영향분석과 사후평가를 실시하고 있다. EU 입법평가제도인 영향분석과 사후평가는 입법과정 전반에 걸쳐 상호 밀접한 관련성을 가지고 운영된다. 또한, 영향분석과 사후평가 모두 입법적 규범과 비입법적 행위 등 EU의 모든 규범을 그 대상으로 하면서도 영향분석의 실시와 사후평가의 범위 및 강도에 재량을 부여하여 제도운영에 유연성을 높이고 있다. 우리나라와 EU는 서로 다른 입법체계와 사회·경제·문화적 배경으로 인하여 유사하면서도 상이한 입법평가를 운영하고 있으므로 EU 입법평가의 긍정적인 부분을 우리나라에 그대로 반영하는 것이 반드시 옳은 것은 아니다. 하지만 규제혁신을 위하여 규제 품질관리에 대한 요구가 거세지고, 획일적인 법규정 방식에 대한 비판이 거세짐에 따라 입법평가제도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입법평가제도의 변화를 모색하기 위하여 규제영향분석과 입법영향분석의 연계가 강화되어야 한다고 보았다. 나아가 규제영향분석의 대상을 정부입법과 의원입법을 포함한 모든 규제로 확대하면서도 규제영향분석 실시에 예외를 두어 경직적인 규제영향분석에서 탈피하여야 한다고 제시하였다.

      • 지방자치단체 규제영향분석 모형 구축 연구

        박진아,정민경,조진현 경기연구원 2021 경기개발연구원 기본연구 Vol.- No.-

        지방자치단체의 자치법규 규제는 지역 주민들의 규제개혁 체감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소임에도, 지방자치단체에서는 규제를 신설하거나 강화할 때 규제영향분석을 수행하는 등의 규제관리가 체계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지역 주민들의 규제개혁 체감도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중앙정부와 차별화되는 지방자치단체만의 규제개혁이 요구되며, 자치법규에 대한 규제영향분석을 통해 규제의 질을 제고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지방자치단체의 규제영향분석 적용 활성화를 위해 자치법규 규제에 적합한 규제영향분석 모형을 구축하였다. 현재 우리나라 지방자치단체에서는 규제영향분석에 대한 제도적 기반은 갖추고 있으나 실질적으로 규제영향분석이 활발히 이루어지지는 않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에 대해 자치법규 규제의 특성을 중심으로 규제의 위임 범위, 유형과 중요도 등의 쟁점을 검토하여 지방자치단체에서 활용될 수 있는 규제영향분석 모형 구축의 기초자료로 활용하였다. 문헌연구 및 지방자치단체 규제업무 담당 공무원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수행한 내용을 참고하여 지방자치단체에서 활용할 수 있는 별도의 규제영향분석 모형을 기본형과 심화형으로 구분하여 수립, 제시하였다. 지방자치단체에서 수행하는 규제영향분석의 목적은 규제로 인하여 지역 주민의 일상생활과 사회·경제·행정 등에 미치는 여러 가지 영향을 사전에 예측·분석하여 규제 도입 및 강화의 타당성을 판단하는 기준을 제시하는 것으로 정의하였다. 규제 영향분석을 통해 정책순응과 자치법규 규제의 질을 제고하고, 규제개선의 효과 및 규제체감도 개선을 목적으로 정의하였다. 신설 혹은 강화되는 자치법규 중 중요규제를 대상으로 규제영향분석을 실시할 것을 제안하며, 분석서의 유형은 위임사무를 대상으로 하는 기본형과 자치사무 혹은 위임사무 중에서도 지역에 미칠 영향력이 클 것으로 예상되는 규제를 대상으로 하는 심화형으로 구분하였다. 기본형 규제영향 분석서는 규제사무명, 규제구분, 규제유형, 근거법령, 자치법규 조문, 규제내용을 포함하는 규제개요와, 분석서 본문은 규제 신설 및 강화의 필요성, 규제 내용의 적정성 검토, 피규제집단 및 이해관계자 식별, 의견수렴 계획으로 구성하였다. 한편 심화형 규제영향분석서의 경우 기본형의 규제개요 항목에 더하여 규제사무의 유형을 구분하는 항목을 추가하였으며, 본문에서는 규제 신설 및 강화의 필요성, 규제대안 검토, 규제 내용의 적정성 검토, 규제의 경제·사회적 영향력, 비용편익분석, 의견 수렴 계획의 여섯 가지 항목을 제시하였다. 심화형의 경우 기본형과 달리 규제대안 검토와 비용편익분석 항목을 추가하여 기본형에 비해 보다 심도 깊은 분석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 아울러 규제영향분석의 활발한 활용을 위해 지방자치단체 규제영향분석 활성화를 위한 제언도 함께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무분별한 규제의 신설을 미연에 방지하고 규제 도입시 지역의 경제사회에 미칠 영향력을 사전에 충분히 검토하여 자치법규 규제의 질을 제고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In this study, a Regulatory Impact Analysis (RIA) model suitable for local governments was established to revitalize the application of regulatory impact analysis by local governments. The purpose of regulatory impact analysis conducted by local governments was to predict and analyze various effects on local residents daily lives, society, economy, and administration in advance, to present criteria for judging the validity of introduction, and reinforcement of regulations. Among the new or strengthened self-government laws, it is proposed to conduct regulatory impact analysis for important regulations, and the type of analysis was divided into a basic model and an in-depth model for regulations expected to have a great influence on the region. The basic model of regulatory impact analysis required the regulatory office name, regulatory classification, regulatory type, grounded laws, autonomous laws and regulations, the necessity of establishing and strengthening regulations, adequacy reviews of regulatory content, identification of regulatees and stakeholders, and a plan to collect opinions. In the case of an in-depth regulatory impact analysis model, the types of regulatory affairs were classified in addition to the basic model, and six items were presented in the text: the need to establish and strengthen regulations, review regulatory alternatives, and the adequacy of regulatory content. In the case of the in-depth model, a regulatory alternatives review and qualitative cost-benefit analysis were added so that a more in-depth analysis could be performed compared to the basic model. In addition, suggestions for the regulatory management systems of local governments were also presented for the active use of regulatory impact analysis. Through this, it is expected that the quality of local autonomous regulations can be improved by sufficiently reviewing the impact on the local economic society when regulations are introduced.

      • KCI등재

        입법에서의 성별영향평가와 규제영향분석의 통합

        김유환 이화여자대학교 법학연구소 2017 法學論集 Vol.22 No.2

        The Government of Republic of Korea introduced the Gender Impact Assessment in 2005. Since 2012, the Gender Impact Assessment is being applied to legislative bills at the local and national levels. The Gender Impact Assessment for legislative bills is designed as a special legislative impact assessment tool apart from the pre-existing Regulatory Impact Assessment. However, it may not be appropriate for the Gender Impact Assessment to be implemented separately from the Regulatory Impact Assessment for the following three reasons. First, lawmaking must be a deliberative process. Separating methods from decision-making maybe be inefficient and may result in insufficient reflection of perspectives that are essential to lawmaking. An example is the separation of the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from the Regulatory Impact Assessment that led to insufficient reflection of environmental concerns in legislative bills. Second, the Gender Impact Assessment is not originally designed as a policy assessment method for legislation, and hence may not be an appropriate method for assessing legislative impact. In order to enhance the role of the Gender Impact Assessment in lawmaking, we need a better method. Third, many countries these days put their priority on promoting Inclusive Growth. In this era, more inclusive methods for assessing legislative impact are required as lawmakers evaluate and adjust a wider variety of values and perspectives of legislations. For the aforementioned reasons, OECD countries are increasingly integrating the Gender Impact Assessment and the Regulatory Impact Assessment. I would like to argue that the Republic of Korea also needs to integrate the Gender Impact Assessment and the Regulatory Impact Assessment in the field of legislation. In doing so, I recommend the following strategies for a more efficient and effective integration. First, we need to sustain the educative, evaluative and feedback function of the MOGEF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even after the integration. Second, we need legislative adjustments so that the Gender Impact Assessment continues to be applied to legislative bills that are excluded from the Regulatory Impact Assessment. Third, we need to strengthen the evaluative and feedback functions concerning the Regulatory Impact Assessment. Fourth, we need to develop the required tools for cost-benefit analysis, cost-effective analysis, and public consultation for an effective integrated analysis. 우리나라에서 성별영향평가제도는 2005년부터 도입되었다. 그런데 2011년 「성별영향분석평가법」이 제정되어 성별영향평가의 범위가 확장되어 2012년부터는 법령이나 조례, 규칙 등에 대해서도 성별영향평가를 실시하게 되었다. 일반적인 입법에 대한 영향분석은 「행정규제기본법」에 의한 규제영향분석제도로 이미 존재하고 있었으므로 입법에서의 성별영향평가는 입법에 대한 특수한 영향분석제도에 해당한다. 그러나 이렇게 입법에서의 성별영향평가제도와 일반적인 입법영향분석제도로서의 규제영향분석제도가 별개의 제도로 운영되는 것은 다음과 같은 이유로 반드시 바람직하다고 할 수 없다. 첫째로, 입법은 하나의 종합적인 국가적 숙고의 과정이므로 그 수단과 결정과정이 분리될 경우, 효율적이지 못하고 궁극적인 입법분석과정에서 유리된 분석은 입법과정에서 소외될 가능성이 크다. 여러 연구는 규제영향분석과 분리된 환경영향평가제도가 결국 입법에서의 환경영향의 반영을 소외시키는 결과를 가져왔다는 점을 지적하고 있다. 둘째로, 성별영향평가제도는 원래 입법을 대상으로 만들어진 정책분석수단이 아니었으므로 입법영향을 분석하는 방법론의 차원에서 반드시 적절하다고 할 수 없다. 입법에서의 성별영향평가의 발전을 위하여서는 규제영향분석 등에서 사용하는 별도의 방법론과 연계될 수밖에 없다. 셋째로, 오늘날의 세계적인 동향은 포용적 성장(Inclusive Growth)을 지향한다. 이와 같이 포용적 성장이 강조되는 시대에서는 입법분석에서 다양한 가치를 포괄하는 통합적 수단의 발전과 그에 의한 입법분석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이유로 유럽과 EU를 중심으로 하는 OECD 국가에서 주류적 흐름은 성별영향평가를 규제영향분석에 통합하는 것이며, 이러한 통합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결국 성별영향평가의 대상이 법령과 조례, 규칙 등 입법영역에 까지 확대된 이상 입법에서의 성별영향평가와 규제영향분석의 통합은 방법론의 측면에서나 입법에서의 전문성의 관점에서도 수용될 필요가 있다. 그렇다 하더라도 제도의 통합은 보다 구체적이고 세밀한 검토를 필요로 한다. 입법에서의 성별영향평가와 규제영향분석의 통합이 타당하다는 전제 하에 양 제도의 통합이 양성평등의 실현과 수준 높은 입법이라는 좋은 결과를 산출하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점들이 통합에 있어서 깊이 고려되어야 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첫째, 양 제도가 통합되더라도 여성가족부의 교육, 평가, 환류기능은 유지되어야 한다. 둘째, 통합분석의 대상에서 제외되는 사항, 즉 규제에 해당되지 않는 입법, 행정규제기본법의 적용대상에서 제외되는 입법, 완화되는 규제 등에 대해서는 여전히 기존의 성별영향평가를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법적 근거를 남겨둘 필요가 있다. 셋째, 규제영향분석에서 분석이 정당하게 이루어졌는지에 대한 환류, 평가기능이 강화되어야 한다. 넷째, 성별영향평가에 있어서도 분석에 있어서의 공중참여, 비용-효과분석 등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공공협의(Public Consultation)와 경제분석 등의 분석방법론이 통합분석에서 강화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한국 정부의 규제영향분석의 수준

        김태윤(Kim, Tae-Yun),정재희(Jung, Jae Hee),허가형(Hur, Gahyeong) 한국경제연구원 2008 규제연구 Vol.17 No.2

        본 연구는 정부의 규제영향분석 역량 강화에 도움이 되고자 하는 목적으로, 한국 행정 부처의 규제영향분석서의 수준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였다. 규제영향분석에 대한 기존 연 구들은 분석기법이나 제도적 측면을 강조한 연구가 대부분을 이루고 있으며, 일부 규제 영향분석 수준의 평가를 시도한 연구의 경우에는 평가항목 및 평가틀의 도출에 있어서 포괄적이고 체계적이지 못하였다는 것이 본 연구의 문제의식이었다. 따라서 규제영향분석 수준에 대한 더 객관적이고 신뢰성 있는 평가를 위하여, 본 연구는 우선 주요 국가들의 규제영향분석 지침을 포괄적으로 고려하여 보편적인 평가의 틀을 도출하였다. 이 평가틀을 토대로 2001년 4월부터 2006년 12월까지 16개 부처에서 작성한 239개 법률 심사(안) 중 현재 규제개혁위원회에 중요규제로 등록된 287건의 신설 및 강화규제에 대한 규제영향분석서 전수를 대상으로 그 수준을 체계적으로 평가하고자 시도하였다. 분석결과, 한국 정부의 규제영향분석의 수준은 전반적으로 매우 낮으며, 개선의 여지도 미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평가항목별로 볼 때, 규제의 필요성과 외부 자문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잘 분석된 것으로 나타난 반면, 정부개입의 정당성, 할인율의 활용, 집행 및 점검과 같은 주요 핵심 항목에 있어서는 그 수준이 오히려 낮아지는 경향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규제영향분석의 핵이라고 할 수 있는 비용편익분석 부분 역시 그 수준이 매우 낮으며 특별한 개선의 경향도 보이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tries to assess the actual quality of the RIA in Korea The literature is limited to largely analytic methodology or institutional perspective of RIA but lacks the comprehensive and systemic perspective for the evaluation of actual RIA statements. By integrating the RIA guidelines of major RIA-advanced countries, such as UK, USA, and Canada and of OECD, this paper develops a logical framework for the evaluation of actual RIA statements. Based on such evaluation frameworks, available all RIA statements written by almost all ministries of the Korean government from April, 2001 to December, 2006 are analyzed. Main results are as follows. The general quality of the Korean RIA is too low and it has shown little room for improvement. In particular, “the necessity of government intervention” and “consultation” are relatively well described, while the core factors of RIA such as “justification for government involvement”, “applying the appropriate discount rate” and “compliance & enforcement” have not properly described nor analyzed. And “the identification and measurement of cost and benefit” has shown no progress in its analytic quality.

      • KCI등재

        미국의 규제영향분석제도에 관한 연구

        한귀현(Han, Kwi-Hyeon) 한국비교공법학회 2016 공법학연구 Vol.17 No.2

        규제영향분석이란 규제가 경제․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 정성적으로 분석하는것을 말한다. 규제영향분석의 실시는 실체적․절차적 의의를 가짐과 동시에 행정의 재량통제의 수단으로서 중요한 역할이 기대된다. 규제영향분석제도는 이미 모든 선진국에서 규제개혁의 중요한 수단으로서 채용되어 있다. 특히 미국은 중요한 신규의 규제의 영향에 관하여 체계적인 분석․평가를 발전시킨 최초의 국가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미국에 있어서 규제영향분석제도의 발전 경위 및 규제영향분석의 근거가 되고 있는 최근의 행정명령의 주요내용에 관하여 살펴보았다. 첫째, 미국에 있어서 규제영향분석제도는 규제개혁에 있어서 결할 수 없는 수단으로서 중시되어 왔을 뿐만 아니라, 규제영향분석의 법적 근거와 관련하여 주로 법률이 아니라 대통령의 행정명령에 근거하여 실시되고 있다는 것이 특징으로 지적될 수 있다. 둘째, 행정명령 제13563호(규제개선 및 규제심사)는 행정명령 제12866호에서 설정된 모든 원칙을 재확인함과 동시에 모든 규제입안과정에서 공중의 참여를 최대한 보장․촉진하는 한편, 각 행정기관에 대해 기존의 규칙에 대한 소급적 분석을 의무지우고 있다. 셋째, 행정명령 제13579호(규제 및 독립규제행정기관)는 행정명령 제13563호와 관련하여 특히 독립규제행정기관의 기존 규칙들에 대한 소급적 분석에 관하여 규정하고 있다. 이와 같이 미국에서는 규제영향분석 절차의 합리화와 효율성을 제고함은 물론 규제영향분석제도의 의의에 비추어 그 확대를 도모하고 있다. 요컨대 우리나라에서도 규제완화와 규제개혁이 사회적 화두가 됨에 따라 규제영향분석제도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그러나 규제영향분석제도 자체는 객관적인 정보에 기초한 평가의 수법․절차로서 중립적인 것이며, 규제영향분석제도가 본래적으로 규제완화의 수법인 것은 아니라는 점을 간과해서는 안 될 것이다. 이러한 전제 위에서 규제영향분석에 있어서 공중참여의 확대 및 행정기관간 협력의 증대를 도모함과 동시에 특히 기존의 규제에 대한 소급적 분석을 촉진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Regulatory impact analysis system means a system that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analyzes the impact that regulation exerts on economy and society. Conducting the regulatory impact analysis not only has substantive and procedural significance but is expected to perform an important role as means of controlling administrative discretion. Regulatory impact analysis system has already been employed by all advanced countries as important means of regulatory reform. Especially, the United States can be counted as the first country that has developed systematic analysis and evaluation of the impact of important new regulation. This paper examines the details of development of regulatory impact analysis system of the U.S. and the main contents of the recent executive orders that provide grounds for regulatory impact analysis. Firstly, regulatory impact analysis system has been regarded as paramount in the U.S. as indispensable means for conducting any regulatory reform, and the legal ground of the regulatory impact analysis can be characterized by the fact that most analyses are executed not on the basis of the law but on the basis of executive orders issued by the President. Secondly, the Executive Order 13563 (on Improving Regulation and Regulatory Review) reconfirms all principles set forth in the Executive Order 12866, and at the same time, it guarantees and promotes public participation to the maximum extent possible throughout the regulatory planning process and imposes each executive branch a duty to analyze existing rules retrospectively. Thirdly, the Executive Order 13579 (on Regulation and Independent Regulatory Agencies) prescribes particularly concerning the retrospective analysis of existing rules of independent regulatory agencies in connection with the Executive Order 13563. As seen from above, not only the rationalization and efficiency of the procedures for regulatory impact analysis are improved in the U.S. but the expansion thereof is also promoted in the light of the importance of the regulatory impact analysis system. In short, the importance of regulatory impact analysis system is increasing in our country, too, as deregulation and regulatory reform have become social issues. However, it should not be overlooked that regulatory impact analysis system is neutral in itself as means and procedures for evaluation based on objective information and it is not inherently means of deregulation. On such premise, it seems to be necessary to promote the expansion of public participation and the coordination across agencies in analyzing regulatory impact, and at the same time, to facilitate retrospective analysis of existing regulation in particular.

      • KCI우수등재

        규제영향분석에서의 비용-편익분석의 개선방안과 법적 문제

        김유환 한국공법학회 2019 공법연구 Vol.48 No.2

        Since the Office for Government Policy Coordination of the Republic of Korea(OPC) introduced the Korean regulatory cost management system called ‘Cost-In, Cost-Out’ in 2016, cost-benefit analysis (CBA) has been widely used in regulatory decision-making. Although there are concerns that the use of CBA in regulatory decision-making is currently perfunctory, it is expected that the use and importance of CBA will expand over time. Accordingly, in order to successfully implement and utilize CBA in regulatory decision-making, we need to establish adequate steps for conducting CBA and create a system to monitor and evaluate the use of CBA in regulatory decision-making. I would like to present the following five ideas for improving the use of CBA in regulatory decision making in the Republic of Korea. First, it is essential for all stakeholders to have a clear understanding of the underlying assumptions and limitations of each CBA, including how costs and benefits are measured and what causal mechanisms are used. This understanding should help stakeholders to correctly assess the usefulness and the limits of CBA in regulatory decision-making. Second, the procedures and guidelines for conducting CBA for regulatory decision-making need to be reconstructed to include the assessment of and the response to potential limitations of CBA in regulatory decision-making. Third, information disclosure, public participation, and monitoring by domain experts should be enabled and encouraged by establishing relevant procedures and guidelines. Fourth, the role of lawmaking is crucial in achieving the aforementioned ideas. For example, the Framework Act on Administrative Regulations must be revised. Relevant statutes should include clauses to specify the scope and use of CBA in their ruling areas. Fifth, the standards and methods of judicial review on CBA practices should be designed, refined, and transformed according to the above ideas as the Korean Courts increasingly review CBA in legal arguments for their decisions. 2016년 국무조정실이 규제비용관리제를 도입한 이후 행정규제기본법이 정하고 있는 규제영향분석은 외형상 크게 변모하는 듯이 보인다. 2016년 이전에도 규제영향분석의 일환으로 비용-편익분석이 행정규제기본법에 규정되어 있었고 또 형식적으로 나마 시행되고 있었으나 규제비용관리제 하에서 비용-편익분석은 더 중요한 규제영향분석 방법론으로 자리잡았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 현재 시행되고 있는 비용-편익분석은 여전히 여러 가지 측면에서 개선될 필요가 있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실시되는 비용-편익분석은 다분히 요식행위적 성격이 있으나 일단 비용-편익분석이 규제정책결정의 수단으로 정착한 이상 향후 비용-편익분석의 쓰임새는 점차 확대될 것이다. 따라서 비용-편익분석이 제대로 정착되도록 하기 위하여 제도의 구성과 감시에 대한 법적 제도적 각성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이 논문에서는 우리나라의 규제영향분석 방법론으로서의 비용-편익분석을 개선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점을 검토하고 대안을 제시하였다. 첫째로 비용-편익분석이 가지는 방법론적 한계에 대한 철저한 인식이 필요하다. 그리하여 이 논문에서는 이러한 한계가 무엇인지 그리고 비용-편익분석이 무엇 때문에 규제심사와 규제개혁에 유용한 의미를 가지며 그 한계는 어디까지인가 하는데 대하여 살펴보았다. 둘째로, 이러한 새로운 인식 하에 비용편익분석의 절차와 가이드라인이 재구성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이러한 절차적 규율과 가이드라인의 내용에는 비용-편익분석의 한계상황에 대해 어떻게 대응할 것인지에 대한 규율이 포함되어야 한다. 이 논문에서 논구한 비용-편익분석의 한계가 절차적 규율과 가이드라인의 구체화 방향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셋째로, 그러한 절차나 가이드라인 중에서 정보공개와 국민참여 그리고 전문가 집단의 감시가 가능한 구조를 창출하여야 하는 점에 대하여 언급하였다. 넷째로 이상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행정규제기본법과 각 행정영역의 개별법 차원에서 입법적 대응에 대하여 논구하였다. 다섯째로, 이미 비용-편익분석이 우리 법원의 사법심사의 대상으로 다루어지고 있는 만큼, 또한 비용-편익분석이 규제정책의 수단으로 활용되기 시작한 이상 사법심사의 쟁점과 방식을 활성화하여야 한다. 이러한 점에서 이 연구에서는 비용-편익분석에 대한 사법심사가 어떠한 논리의 바탕 위에 이루어져야 할 것인지 논구하였다.

      • 물환경 분야 규제 완화에 의한 영향 분석 및 제도개선 방안

        이병국 ( Byung-kook Lee ),박창석 ( Chang-seok Park ),김익재 ( Ik-jae Kim ) 한국환경연구원 2019 수시연구보고서 Vol.2019 No.-

        본 연구는 2008년 이후 물환경 분야의 규제 완화 조치와 그에 따른 환경영향을 조사하고 분석하여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규제 완화 사례를 분석하고, 해당 규제의 완화에 의한 오염원 변화와 그것이 물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이번 연구를 통해 파악된 과거 10년간의 물환경 분야 규제 완화의 영향과 문제점, 개선할 사항들은 다음과 같다. 물환경 규제완화 분석 대상 과제 36개 중 중복 과제와 미이행 과제를 제외한 25개 과제에서 입지 규제 관련 과제가 68%를 차지했으며, 규제 유형과 오염원 유형을 함께 보면 산업계 오염원의 입지 규제에 관한 과제가 56%였다. 물환경 규제 완화 과제 목록에서 볼 수 있듯이 규제 완화 요구는 상수원보호구역, 특별대책지역과 같이 상대적으로 규제가 강한 특정 지역에서 규제 완화 요구가 강하게 제기되었다. 물환경 규제 완화가 실제로 물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은 여러 가지 공식 DB 등을 활용하면 매우 상세한 수준까지 규제완화 대상의 변화를 측정할 수 있었으나, 규제의 크기가 실제 물환경에 주는 영향을 유의미하게 분석하기는 어려웠다. 분석 결과 사회적 논란에 비해 규제 완화에 의한 영향이 수치상 미미한 경우도 있으며 주민편의시설 등에 대한 규제 완화는 문제가 없는 것으로 보인다. 한편 규제완화 이후 주요 대상 지역이었던 대규모 상수도 취수원 영향 지역에서 공장의 증가 수와 증가율이 높게 나타나고 있으므로 향후 누적영향을 지속적으로 관찰해야 한다. 오염총량관리, 하수처리 등 오염원 증가에 대한 관리 능력 확보를 전제로 규제가 완화된 경우에는 오염원 증가에 의한 문제점이 공공시설의 관리 등으로 이전되므로 이들에 대한 점검, 감시, 감독을 강화하는 조치가 병행되어야 한다. 앞으로 규제 완화에 의한 영향 분석과 이에 대한 평가 등을 실시하기 위해서는 분석 틀과 도구의 개발, 그리고 이를 뒷받침하기 위한 제도적 근거가 필요하다. 이번 연구의 경험을 바탕으로 정보기술을 활용하여 규제영향을 분석하는 시스템을 구축하면 규제개혁 업무의 영향을 신속하게 파악하는 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eregulation measures and analyze their environmental impacts in the water environment sector since 2008. We analyzed the deregulation cases and investigated the effects of the deregulation on the changes of pollution sources and the water environment. The impacts, problems, and improvements of deregulation in the water environment over the past decade, as identified through this study, are as follows. Among the 25 tasks out of the 36 tasks that were analyzed, 68% of the tasks were related to the location restrictions. 56% of deregulation was related to the industrial sector. As can be seen in the list of water environmental deregulation projects, the deregulation request was strongly demanded in a specific region with relatively high regulation, such as a water source protection zone and a special measures area. In order to analyze the effect of water environment deregulation on the water environment, it was possible to measure changes in deregulation targets at a very detailed level by using various official databases in some cases but the impacts on water quality seems to be insignificant. The deregulation for residents’ facilities seems to be no problem. The increase rate of factories in the special measure area was high, so the cumulative impacts should be observed continuously. In the case of deregulation on the assumption of the ability to manage pollution sources such as total water pollution load system and the construction of sewage treatment plants, problems due to the increase in pollution sources will be transferred to the management of public facilities. So it is important to monitor not only the pollution sources but also the treatment facilities and pollution management system. In the future, the impact and evaluation of deregulation tasks need institutional grounds to support the development of analytical frameworks and tools. The experience of this study suggests that building a system for analyzing regulatory impacts using information technology will be useful for making regulatory reform work more viable.

      • KCI등재

        건설폐기물 재활용 규제 강화의 규제영향분석

        최무현(Choi Moo Hyun) 한국국정관리학회 2005 현대사회와 행정 Vol.15 No.1

          사회적 규제는 확대ㆍ강화되어야 한다는 당위론에 따라 우리나라는 물론이고 선진국에서도 사회규제가 양산되고 있다. 하지만 사회적 규제라 할지라도 적정한 규제수준과 합리적인 규제수단을 설정하는 문제를 간과할 수는 없는데, 이를 위해 반드시 필요한 것이 규제영향분석(regulatory impact analysis)이다. 본 연구는 실제 규제안을 가지고 규제영향분석을 실행한 연구가 적은 점에서 착안해서 비용편익분석을 중심으로 한 규제영향분석을 구체적인 사례에 실제로 적용하여 규제영향분석의 이론적 이해를 심화시키고 실무적 합의를 얻고자하였다. 본 연구가 선정한 규제사례는 환경부에서 준비하고 건설폐기물 재활용 촉진 종합대책(안)으로 이것의 규제편익과 규제비용을 비교하였다.<BR>  규제안으로 초래되는 사회적 편익과 사회적 비용을 측정가능한 항목별로 예측하는 미시적 비용편익분석 방법에 따라 규제영향분석을 한 결가 건설폐기물 재활용규제강화안은 전반적으로 사회적 비용보다 사회적 편익이 큰 것이 밝혀졌다. 2003년부터 2020년까지 18년간 건설폐기물 재활용에 따른 사회적 규제편익과 사회적 규제비용을 비교하여 사회적 순규제편익의 총현재가치를 구해보면(사회적 할인율 7.5%) 적게는 6,757억 655만 9,436원에서 많게는 2조 3,516억 903만 299원이고, 기타 무형적인 환경 편익과 기타 편익까지 고려한다면 더 큰 사회적 순편익을 예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우수등재

        규제영향분석과 규제사후영향평가 - 대체적 혹은 보완적 관계? -

        이민호 한국정책학회 2018 韓國政策學會報 Vol.27 No.4

        In recent years, ex-post regulatory impact analysis has been actively emphasized in the process of regulatory reform. This study intends to discuss what kind of conceptual understanding of the ex-post regulatory impact analysis should be pursued in Korea. For this, considering the current regulatory impact analysis system, I made an empirical approach by identifying the substitutional or complementary relationship between the ex-ante and the ex-post regulatory impact analysis based on the level of awareness of public official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complementary approach between them is dominant emphasizing the necessity of the ex-post impact analysis based on the recognition of positive effects of the ex-ante impact analysis. Though there is a little negative recognition on the current ex-ante impact analysis system, it is possible to confirm that most public officials support adopting the ex-post impact analysis because of the confidence rather than the disappointment in the effectiveness of the ex-ante impact analysis. 최근 각국의 규제개혁과정에서 규제사후영향평가제도가 적극적으로 강조되고 있다. 본 연구는 향후 우리나라의 규제사후영향평가 도입 과정에서 어떠한 개념적 이해를 바탕으로 제도설계를 추진할 것인지를 논의하고자 한다. 현재 사전적 규제영향분석제도를 운영하고 있는 상황에서 제도 참여자인 공무원의 인식수준을 바탕으로 두 제도 간에 대체적 혹은 보완적 관계를 실증적으로 확인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사전적 규제영향분석제도의 효과성에 대한 긍정적 인식을 바탕으로 규제사후영향평가제도의 필요성을 강조하는 보완적 차원에서의 접근이 주요하게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물론 현행 사전적 규제영향분석제도의 운영이 규제개혁에 긍정적이라기보다는 부정적이라는 인식도 일부 확인할 수 있어 대체적 관계의 가능성도 제기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반적인 분석결과에서는 사전적 규제영향분석의 한계점으로 인해 규제사후영향평가를 지지하기 보다는 규제영향분석의 효과성에 대한 신뢰가 규제사후영향평가의 필요성과 연계되고 있다는 점에서 두 제도 간의 보완적 관계를 확인할 수 있다.

      • KCI등재

        AI-aided-RIA(AI를 활용한 규제영향분석)의 가능성 탐색: 산업안전보건규제사례를 중심으로

        양수임(Suim Yang),이수아(Su-Ah Lee),허신회(Shinhoi Heo),김태윤(Tae-Yun Kim) 한국규제학회 2021 규제연구 Vol.30 No.1

        본 연구에서는 규제영향분석과정에 AI를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지에 대하여 이론적으로 확인하고, 산업안전보건규제 규제영향분석 사례를 들어 분석하였다. 먼저, 규제영향 분석의 일반적 난점을 분석·통제·참여의 세 가지 이론으로 분석하고, AI가 도입될 경우 각 규제영향분석의 난점이 어떻게 극복 가능할지를 제시하였다. 이후 산업안전보건규제 RIA사례를 바탕으로, 규제영향분석 수행과정에서의 본질적인 난점을 규제영향집단 식별, 시나리오의 도출, 규제영향 비용 및 편익의 평가와 도출 4분야로 나누고, 분야별로 구체적으로 사용가능한 AI기법 및 작업(Task)을 예시하면서 AI의 기여 가능성을 논하였다. 분석결과, 분석적 측면에서 AI는 데이터 수집 및 정리, 강력한 연산, 최적화 연산의 강점을 보유하여 ①시간 및 예산의 절감 ②분석기법 향상 및 주관적 가치의 객관화 ③대량 데이터 handling ④적시성 확보 ⑤대안의 비교분석 수행이 가능하였다. 통제 측면에서는 지속적 모니터링을 통해 ①주인의 선호파악 ②포획방지 및 정치 논리로부터의 독립 ③전문성 제고 및 정보획득이 가능하였다. 마지막으로 참여적 측면에서는 자체적인 데이터의 확장 및 관리를 통해 실시간 여론수집과 반영이 가능하였다. 따라서 AI를 구체적 행정영역(규제영향분석)에 도입함으로써 객관적인 데이터를 중심으로 한 증거기반의 행정이 가능하며, 참여와 양방향소통을 통해 AI가 제도 결정 과정 전반을 보조할 수 있다는 함의를 드러내었다. In this study, problems occurring in the regulatory impact analysis process were theoretically confirmed. It was suggested that the use of AI can overcome these problems. Furthermore, it exemplified that AI can overcome problems in the implementation process through the case of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regulation regulatory impact analysis. First, the general difficulties of regulatory impact analysis were analyzed with three theories of Rational decision-making theory(analysis), Principal-agent theory(control), and Governance theory(participation). It presented how the difficulties of each regulatory impact analysis could be overcome if AI was introduced. Afterwards, based on the case of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Regulatory RIA, the essential difficulties in the process of conducting the regulatory impact analysis were divided into four areas: identification of regulatory impact groups, deriving scenarios, and evaluation and deduction of costs and benefits of regulatory impacts. AI techniques and tasks that can be specifically used in each of the four fields are exemplified. As a result, in the analytical aspect, AI possesses the strengths of data collection and organization, powerful computation, and optimization computation, so it is possible to ① time and budget saving, ② analysis technique improvement and objectification of subjective value, ③ mass data handling, ④ securing timeliness, and ⑤ Conduct comparative analysis of alternatives. In terms of control, continuous monitoring made it possible to ① identify the owner"s preferences, ② prevent capture and become independent from political logic, and ③ enhance expertise and acquire information. Lastly, in the participatory aspect, it was possible to collect and reflect real-time public opinion through the expansion and management of its own data. Therefore, by introducing AI into specific administrative areas (regulatory impact analysis), evidence-based administration centered on objective data is possible. In addition, through participation and two-way communication, AI can assist in the overall institutional decision-making proc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