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연구논문 : 스포츠 동기와 상황 해석에 대한 귀인이론의 고찰

        한정선 ( Jeong Seon Han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5 인문사회 21 Vol.6 No.2

        본 연구는 스포츠 동기 및 상황 해석에 대한 귀인이론의 적실성과 한계를 고찰하였다. 분석의 초점은 인간행동의 성/패, 정서, 기대 귀인에 두었다. 먼저 이론적 배경으로써, 동기이론을 고찰한 후 귀인이론의 주요 내용을 정리하였다. 다음으로, 인간행동의 성/패, 정서, 기대 귀인을 스포츠 동기 및 상황과 관련하여 그 적실성을 검증해 보았다. 결론 및 제언으로, 귀인이론의 한계를 정리함과 동시에 스포츠 동기 및 상황분석에 대한향후 연구과제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 따르면, 귀인이론은 인간의 행동을 원인적 측면에서 해석한다. 이러한 해석은 인간행동에 대한 반응을 결정짓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귀인이론은 이러한 이론적장점 때문에 스포츠 동기 및 상황 해석에 유용한 측면이 있다. 그러나 스포츠 선수들을 위한 동기증진 조절 방안 수립에는 큰 영향력을 주지 못한다. 특히, 이 이론은 인과차원의 분석이 경험적으로 수행되고 입증되기 어렵다는 점을 간과하였으며, 변수의 다양성을 고려하지 않았다. 또한 기대와 정서의 문제를 다루는데 있어서도 한계를 드러냈다. 귀인이론이 스포츠 동기 및 상황 해석에 대한 이론으로 적실성을 갖기 위해서는 첫째,스포츠 동기 및 현상에 대한 귀인뿐만 아니라 선수들을 위한 동기증진 조절방안 효과를 경험적으로 입증하려는 노력을 해야 한다. 둘째, 다양한 귀인 변수를 선행변수와 귀결변수로 구체화 할 필요가 있다. 셋째, 스포츠 동기 및 상황과 관련된 경험적 분석에 있어서 인과차원의 문제는 측정의 문제보다 분석방법의 문제로 접근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넷째, 귀인이론을 근간으로 한 스포츠 동기 및 상황분석은 심리적 결과와 관련된 다양한 정서와 기대 내용을 가정할 필요가 있다. 무엇보다도 기대와 정서 간에 시간적 순서를 정하여 분석하는 것이 타당하다. 다섯째, 인과 귀인 측정에 있어서 신뢰도가 높은 측정 방법을 고안해 내야 한다. This study analyzed the attribution theory``s adaptability to the analysis of sport motivations and situations, and its limitations. The study focused on success-failure, emotion and expectation attributions. First, the motivation theory was considered, followed by the attribution theory. Second, an investigation was made of the adaptability of success-failure, emotion and expectation attributions to sport motivations and situations. Lastly, a presentation was made of the limitations of the attribution theory and the future tasks to analyze sport motivations and situations. The attribution theory analyzes human behaviors in causal terms. This approach plays an important role in determining the responses to human behaviors. This makes the attribution theory useful for the analysis of sport motivations and situations. However, the theory does not have any great influence on how to promote and control the sport motivations of athletes. The theory overlooks that causal analysis is not easily performed and verified, and does not take the diversity of variables into consideration. Besides, it also has limitations in dealing with expectations and emotions. Following efforts are needed for the adaptability of the attribution theory to sport motivations and situations. First, it is necessary to try to empirically show not only the attributions for sport motivations and phenomena, but also the effective measures to promote and control motivations for sport players. Second, it is required to classify attribution variables into preceding and concluding variables. Third, it is desirable to approach cause-effect problems in terms of analysis method. Forth, it is demanded to hypothesize various emotions and expectations related to psychological results for the analysis of sport motivations and situations based on the attribution theory. Above all, it is reasonable to analyze expectations and emotions in a fixed order. Fifth, a more reliable measurement method should be worked out to measure causal attributions.

      • KCI등재

        사회적 귀인 검사: 적용가능성 및 예비 타당화 연구

        송명주,최기홍 한국심리학회 2013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Vol.32 No.4

        마음이론(Theory of Mind)은 타인의 믿음과 의도, 욕구, 지식에 대해 가정하고 이를 통해 타인의 행동을 예측하고 설명하는 주요한 사회인지 능력이다. 마음이론을 측정하는 다양한 도구가 소개되었으나, 외현적인 언어 단서들이 동시에 제시되거나 혹은 언어기억능력에 의존한다는 비판을 받아왔다. 사회적 귀인 검사-선다형(Social Attribution Test-Multiple Choice, SAT-MC, Bell 등, 2010)은 즉각적인 도형의 움직임을 통해 의도를 이해하는 과제로 기존의 사회인지 도구들과 차별점이 있다고 보고되었다. 본 연구의 일차적 목적은 한국형 사회적 귀인검사-선다형이, 서양에서 실시된 기존 연구와 동일하게, 한국인에게도 즉각적인 마음이론을 측정하는지를 검토하여, 도구를 한국인 샘플에 적용가능한지를 검증하는 것이다. 또한 기존에 보고된 사회적 귀인검사-선다형의 요인구조와 구성개념을 한국인 샘플에서 반복 검증하여, 추후 다양한 한국인 샘플에 적용할 수 있는 기초를 마련하기 위함이다. 연구 결과, 98%의 참여자가 제시된 영상에 즉각적으로 사회적인 귀인을 하였고, 이후 측정한 사지 선다형 문항들이 서양에서 보고한 것과 동일하게 단일요인으로 구성된 것으로 보이며, 적절한 내적 일치도를 보였다. 사회적 귀인검사-선다형은 기존의 마음이론 과제와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였고, 사회인지 영역 중 마음이론에 포함되지 않는 얼굴표정지각 과제와는 상관이 유의하지 않았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추후연구에서는 사회적 귀인검사-선다형이 임상군의 마음이론을 평가하는 도구로 활용될 수 있을지 검증하는 절차가 요구된다. Theory of Mind (ToM) is the ability to predict and explain others’ behavior based on the mental representations of their intentions, desire and knowledge. ToM measures have been introduced, however, some concerns such as high dependence on verbal memory or external cues have been raised. Social Attribution Test-Multiple Choice (SAT-MC, Bell et al., 2010) is known to be less reliant on verbal ability or external cues as the SAT-MC assesses participants’ ability to detect and understand the intent of the movement. In the current study, we aimed to translate the SAT-MC into Korean and to evaluate its feasibility and preliminary validity in a Korean sample of college students. The results showed that 98% of participants made immediate social attributions to the animations of two triangles and a circle, even without external cues. The SAT-MC appeared to have a singe factor structure and acceptable internal consistency, as reported in Western samples. The SAT-MC scores ha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ith those on other ToM measures but non-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those on facial affect perception tasks. It is concluded that the SAT-MC would be feasibly applicable to measure ToM of Korean samples. Thus, in future studies, it should be examined whether the SAT-MC measures ToM with good reliability and validity in specific samples with various clinical conditions such as autism spectrum disorders and schizophrenia.

      • KCI등재

        생명보험소비자의 불평행동 결정요인 및 불평유형별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귀인이론을 바탕으로 -

        조혜진,나혜림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2018 소비자정책교육연구 Vol.14 No.3

        본 연구는 귀인이론을 기반으로 하여 생명보험소비자의 불평행동 여부 결정요인은 무엇인지, 나아가 불평행동 유형별 영향요인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는지를 분석하고자 한 탐색적 연구이다. 분석을 위해 최근 3년 이내 생명 보험에 가입한 경험이 있는 보험소비자 1,225명의 조사자료를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생명보험 관련 소비 자불만을 경험할 확률은 객관적 보험이해력 수준이 낮고, 주관적 보험이해력이 높을수록, 보험소비 관련 걱정 및 후회를 많이 할수록, 내적귀인성향을 가진 사람이, 그리고 보험회사에 대한 인식이 부정적일수록 더 높아지는 것 으로 나타났다. 한편 남성에 비해 여성이, 최종학력 수준이 낮을수록, 불만 발생의 원인을 대리인에서 찾는 사람 에 비해 그렇지 않은 사람이, 정보탐색행동을 적극적으로 할수록 불평행동을 할 확률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 다. 둘째, 귀인이론에 바탕을 두고 불만과 불평행동 여부 결정요인 및 유형별 영향요인을 분석한 결과, 외적 귀 인성향 중 대리인에의 귀인은 불평행동 여부 및 불평행동 유형 중 직접불평과 부정적 구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 로 나타났다. 셋째, 생명보험소비자의 불평행동 영향요인은 유형별로 차이가 있었다. 직접 불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사회․인구학적 특성, 귀인성향 특성, 보험가입 및 탐색관련 특성인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제3자 개 입 불평행동의 결정요인은 사회․인구학적 특성, 지식관련 특성, 불만 발생 원인에 대한 인식 특성, 보험가입 및 탐색관련 특성인 것으로 밝혀졌으며, 마지막으로 부정적 구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외적 귀인성향이 유일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생명보험소비자가 왜 불평행동을 하는지를 불만족에 대한 귀인을 중심으로 분석하고, 보험소비자의 만족 및 불만족 여부를 살펴보는 것에서 나아가, 이들의 불평행동을 심층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금융소 비자 및 금융 교육적ㆍ실무적 측면에서 함의를 도출했다는 데에 의의가 있으며 향후 보험정책 수립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을 기대한다. This study analyzes factors affecting dissatisfaction and complaint behavior of insurance consumers and further investigates determinants of complaint behavior, through the attribution theory. For this study, utilized research data of 1,225 insurance consumers who have experience of buying a life insurance within the most recent three year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less consumers objective understand in insurance, the higher consumers subjective understand in insurance, the more consumers worry and regret about insurance consumption, the more consumers search internal attribution patterns to find the cause of dissatisfaction, and the more consumers get negative awareness of insurance company are more likely to experience consumer dissatisfaction related to insurance. Meanwhile, male as compared to female, the lower the highest leveling of schooling, those who do not lay the blame the cause of occurrence of complaint on the insurance agent than those who are not, the more they show information seeking behavior, there is a higher change of showing complaint behavior. Second, as a result of analysis on the complaint, complaint behavior and determinants of complaint types based on the attribution theory, this study revealed that internal attribution patterns affect occurrence of complaint, whereas among the external attribution patterns, attribution to insurance agent affect occurrence of complaint behavior and types. In other words, consumers searching the cause of complaint occurrence inside one’s own self have a higher probability to experience complaint, whereas it does not affect complaint behavior, which can be interpreted that in case consumers aware that the cause of insurance-related complaint is in one’s own self, they judge they should solve the problem themselves, so such consumers do not take active complaint behavior. Next, among the external attribution patterns, those who search for the cause of complaint in insurance agent have lower change of showing complaint behavior than those who are not, and more concretely, such consumers have lower probability to take complaint behavior and negative word of mouth(WOM) behavior directly as compared to the ones who deal it by not dealing with it. The cause can be found in our country’s special environment of insurance contract that buying insurance through acquaintances take the majority. In case of buying insurance by the introduction of an acquaintance, the consumer worry about aggravation in relation with or damaging the acquaintance if he or she takes a complaint behavior or proceeds with direct complaint and negative WOM behavior, so it is judged that most consumers do not file complaints despite they actually have ones. Accordingly, objective and transparent institutional complement is considered necessary in the course of insured consumers’ raising of complaint and settlement of it. Lastly, determinants of the types of insurance consumers‘ complaint behavior differed by types. First, among the factors affecting complaints directly ar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characteristics of attribution patterns and characteristics related to insurance contract and search. Next, determinants of third-party intervening complaint behaviors includ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knowledge-related characteristics, recognition characteristics about the cause of occurrence of complaint and characteristics related to insurance contract and search, and lastly, external attribution patterns are one and only among the factors that affect negative word of mouth.

      • KCI등재

        페이스북(Facebook)에서 뉴스 댓글이 이용자들의 여론 인식, 책임귀인 및 정책 의견에 미치는 영향

        최수정(Soojung Choi),정세훈(Se-Hoon Jeong)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2017 사이버 커뮤니케이션 학보 Vol.34 No.3

        본 연구는 페이스북에서 뉴스의 댓글을 통해 전달되는 댓글 귀인(내적귀인/외적귀인)과 사회적 승인단서(있음/없음)가 이용자들의 여론 지각, 책임 귀인 및 정책 의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59세 성인 남녀 369명을 대상으로 실험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여론 인식에 대한 댓글 귀인(내적귀인/외적귀인)의 효과가 발견되었다. 구체적으로, 외적 귀인 댓글(중독의 원인이 상황이나 환경 및 외부적 요인에 있다고 보는 댓글)에 노출된 뉴스 이용자들은 타인들이 외적 귀인을 할 것(스마트폰 중독의 원인으로 외부 환경을 탓할 것)으로 여론을 인식하는 경향이 나타났으며, 이러한 여론 인식은 자신의 귀인 방식 (외적 귀인)을 통해 궁극적으로 사회적 해결을 지지하는 정책 의견(스마트폰 이용습관 관련 미디어 교육 강화, 스마트폰 이용문화 개선 캠페인 실시 등)으로 이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과정에서 사회적 승인단서의 상호작용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스마트폰 중독처럼 내적 귀인 (이용자 개인)과 외적 귀인 (미디어 산업)으로 논쟁이 되고 있는 이슈를 선정하여, 이에 대한 이용자들의 책임귀인 및 정책의견을 알아보고자 했다는 점에서 뉴미디어 효과, 헬스커뮤니케이션 및 PR 연구 등에 중요한 함의를 가진다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news comments on users’ perceived public opinion, attribution, and policy opinion, particularly in Facebook. In this process, the influence of comments on perceived public opinion is examined based on exemplification theory, and the influence of perceived public opinion on attribution and policy opinion is explained by attribution theory. 369 adults were randomly assigned to messages with news comments that made internal vs. external attribution for smartphone addiction. Results showed that the main effect of attribution in news comments on percieved public opinion was found. Perceived public opinion influenced one’s policy opinions mediated by individual attribution. Social endorsement cues did not moderate the effects. By examining the public’s attribuions and policy opinions regarding smartphone addiction, this research has important implications for health communication and PR research.

      • KCI등재

        Abusive Supervision and Supervisor Indifference Attribution: The Role of Subordinates’ Horizontal Collectivism Orientation

        박희만(Hee Man Park),문형구(Hyoung Koo Moon),전영민(Young Min Jeon) 한국인사조직학회 2020 인사조직연구 Vol.28 No.1

        비인격적 감독 행위의 희생양이 된 부하직원들은 그 행동에 대한 상사의 의도에 대해 다양한 귀인과정을 거친다. 이전 연구들은 직원들에게 해를 끼치기 위한 의도(부정적 의도) 혹은 과업성과를 향상시키기 위한 의도(긍정적 의도) 두 가지에 초점을 맞춘 까닭에 그밖에 존재할 수 있는 귀인 가능성을 간과해왔다. 본 연구에서는 귀인이론, 비인격적 감독 문헌, 관계의 사회기능 감정적 관점(a social-functional emotions view of workplace relationships)에 근거하여 부하직원들의 ‘상사 무관심 귀인’을 연구하였다. 상사 무관심 귀인은 비인격적 감독 행위가 상사의 무관심에서 비롯한다고 믿는 것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부하직원들의 상사 무관심 귀인이 비인격적 감독 행위와 부하의 직무만족 및 LMX간의 관계를 매개할 것으로 가설을 수립하였다. 추가적으로 본 연구는 부하들의 문화적 성향을 이 매개효과에 대한 조절변수로 검증하였다. 비인격적 감독 문헌에서는 소수의 연구만이 개인의 문화적 성향의 영향에 대해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는데, 그 소수의 연구는 대부분 권력거리 성향에 초점을 맞추었다. 본 연구는 좀 더 다양한 문화적 성향의 역할을 조사하기 위해 정직, 정의, 조화로운 관계를 중시하는 수평적 집단주의가 비인격적 감독에 대한 부하들의 귀인 과정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 지 조사했다. 국내 다양한 산업에 종사하는 178명의 직원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비인격적 감독 행위는 부하들의 상사 무관심 귀인과 유의미한 정(+)의 관계를 보였다. 둘째, 상사의 비인격적 감독 행위는 부하들의 직무 만족도 및 LMX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이는 상사 무관심 귀인에 의해 매개되었다. 마지막으로 부하들의 수평적 집단주의 성향은 상사의 비인격적 감독과 상사 무관심 귀인 관계를 조절했으며 상사 무관심 귀인의 매개효과들을 유의미하게 조절하였다. 구체적으로 수평적 집단주의가 높은 부하들에게 상사무관심 귀인의 부정적 매개 효과들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우리는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논하고 한계점과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Despite the seemingly destructive nature of abusive supervision, abused subordinates make various attributions regarding abusive supervision. Previous research has focused on the negative and positive intentions of supervisors’ abusive behaviors (i.e. to cause injury or to improve performance). Drawing on attribution theory and the literature on abusive supervision and adopting a socio-emotional functional view of workplace relationships, we argue that victims of abusive supervision may attribute abusive supervision to supervisor indifference. Specifically, the current paper examined the mediating role of supervisor indifference attribution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abusive supervision and subordinates’ job satisfaction and leader-member exchange (LMX). We also examined horizontal collectivism orientation as a boundary condition that influences the indirect effects of abusive supervision on subordinates’ outcomes through the attribution of supervisory indifference. Taking into account the discounting and augmentation principles of attribution theory, we hypothesized that subordinates who displayed horizontal collectivism orientation were more likely to attribute abusive supervision to supervisor indifference. Analyzing survey data collected from 178 South Korean employees, we found abusive supervision to be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 attribution of supervisory indifference, which in turn mediated the association between abusive supervision and subordinates’ job satisfaction and LMX. We further found that horizontal collectivism orientation strengthened these mediation effects.

      • KCI등재

        연구논문 : 한국인의 빈곤귀인과 복지태도: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

        오현주 ( Hyunjoo Oh ),이상신 ( Sang Sin Lee ) 한국의회발전연구회 2015 의정연구 Vol.21 No.2

        이 논문은 가난에 대한 귀인(歸因, attribution)에 따라 복지 일반에 대한 태도가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분석한다. 한국에서는 2000년대 후반부터 무상급식과 경제민주화 등의 복지 이슈가 선거 결과를 좌우하고 정치 전반에 심대한 영향을 미치는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복지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한 분석이 요구되고 있다. 기존 연구에 따르면, 복지수혜자로서 가난한 사람들에 대해 가지는 대중의 인식이 복지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고 있다. 그러나 한국에서는 가난을 개인의 문제로 보는지, 혹은 사회 환경이나 구조에 의한 것으로 인식하는지, 그리고 이것이 복지에 대한 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가 부재하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구조방정식모형을 통해 가난에 대한 한국인의 인식과 복지 태도 간의 관계를 분석했다. 그 결과, 사회적 귀인은 복지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개인적 귀인은 부정적인 영향을 끼친다는 점을 발견했다. 개인의 무능이나 빈곤층 특유의 어떤 행동방식이나 가치관 때문에 가난이 발생한다고 귀인을 하는 사람은 복지에 대해 부정적인 태도를 보이는 반면, 가난이 외부적, 환경적 요인으로 인해 발생한다고 보는 사람은 이 같은 부당한 결과를 시정하는 도구로서 복지를 긍정적으로 받아들였을 것으로 해석된다. 또한 기존 연구와 달리, 이념은 간접적으로만 복지태도에 영향을 미쳤으며, 소득, 교육수준, 연령, 지역 등의 변수는 빈곤귀인과 복지태도에 영향을 끼치지 못하거나 이념을 매개로 하여 간접적인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how attributions for poverty influence the public attitudes toward welfare. Since the late 2000s, the electoral politics in South Korea has been dominated by welfare issues such as the universal free school meals and economic democratization. However, we lack sufficient understanding of what comprises and affects welfare attitudes. In particular,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ptions of poverty and welfare attitudes in South Korea has not yet attracted significant scholarly attention. Previous studies have suggested that the public perceptions of the poor who are the major beneficiaries of state subsidies might influence welfare attitudes. Therefore, in order to show the effects of perceptions of poverty on shaping welfare attitudes in South Korea, we analyze South Korean survey data by apply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or SEM). As a result, it is found that societal attributions for poverty strongly correlate with positive attitudes toward welfare while individualistic attributions correlate with negative attitudes. If people attribute poverty to individualistic factors like dishonesty or incompetence, they are likely to show negative attitudes toward welfare. On the other hand, if they blame societal factors for poverty, they tend to express favorable attitudes toward welfare. Interestingly, the effects of income, education, age, and region are statistically insignificant and ideology has only indirect influences on welfare attitudes.

      • KCI등재

        한국인의 빈곤귀인과 복지태도 :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

        오현주,이상신 한국의회발전연구회 2015 의정연구 Vol.21 No.2

        This study aims to analyze how attributions for poverty influence the public attitudes toward welfare. Since the late 2000s, the electoral politics in South Korea has been dominated by welfare issues such as the universal free school meals and economic democratization. However, we lack sufficient understanding of what comprises and affects welfare attitudes. In particular,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ptions of poverty and welfare attitudes in South Korea has not yet attracted significant scholarly attention. Previous studies have suggested that the public perceptions of the poor who are the major beneficiaries of state subsidies might influence welfare attitudes. Therefore, in order to show the effects of perceptions of poverty on shaping welfare attitudes in South Korea, we analyze South Korean survey data by apply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or SEM). As a result, it is found that societal attributions for poverty strongly correlate with positive attitudes toward welfare while individualistic attributions correlate with negative attitudes. If people attribute poverty to individualistic factors like dishonesty or incompetence, they are likely to show negative attitudes toward welfare. On the other hand, if they blame societal factors for poverty, they tend to express favorable attitudes toward welfare. Interestingly, the effects of income, education, age, and region are statistically insignificant and ideology has only indirect influences on welfare attitudes. 이 논문은 가난에 대한 귀인(歸因, attribution)에 따라 복지 일반에 대한 태도가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분석한다. 한국에서는 2000년대 후반부터 무상급식과 경제민주화 등의 복지 이슈가 선거 결과를 좌우하고 정치 전반에 심대한영향을 미치는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복지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요인들에 대한 분석이 요구되고 있다. 기존 연구에 따르면, 복지수혜자로서 가난한 사람들에 대해 가지는 대중의 인식이 복지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것으로 조사되고 있다. 그러나 한국에서는 가난을 개인의 문제로 보는지, 혹은사회 환경이나 구조에 의한 것으로 인식하는지, 그리고 이것이 복지에 대한 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가 부재하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구조방정식모형을 통해 가난에 대한 한국인의 인식과 복지 태도 간의 관계를 분석했다. 그 결과, 사회적 귀인은 복지 태도에 긍정적인영향을, 개인적 귀인은 부정적인 영향을 끼친다는 점을 발견했다. 개인의 무능이나 빈곤층 특유의 어떤 행동방식이나 가치관 때문에 가난이 발생한다고 귀인을 하는 사람은 복지에 대해 부정적인 태도를 보이는 반면, 가난이 외부적, 환경적 요인으로 인해 발생한다고 보는 사람은 이 같은 부당한 결과를 시정하는 도구로서 복지를 긍정적으로 받아들였을 것으로 해석된다. 또한 기존 연구와 달리, 이념은 간접적으로만 복지태도에 영향을 미쳤으며, 소득, 교육수준, 연령, 지역 등의 변수는 빈곤귀인과 복지태도에 영향을 끼치지 못하거나 이념을 매개로 하여 간접적인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요약

      • KCI우수등재

        중/고 태권도 선수의 인과차원이 심리적 결과에 미치는 영향: Weiner의 최종귀인모형을 중심으로

        신명진(ShinMyoungjin),송주란(SongJooran),박승하(ParkSeungha) 한국체육학회 2017 한국체육학회지 Vol.56 No.6

        본 연구의 목적은 Weiner(2010)가 제시한 최종귀인모형을 근거로 인과차원이 심리적 결과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살펴보기 위해서 중/고 태권도 겨루기 선수 399명을 대상으로 <그림 1>에 제시된 최종귀인모형의 순차적 과정(결과 → 결과의존감정 → 인과선행요인 →인과원인 →인과차원 →심리적 결과)을 반영하여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귀인측정은 차원중심(인과소재, 안정성, 통제성) 귀인측정질문지인 CDS-T를 사용하였고, 심리적 결과물인 감정(자부심, 수치심, 기대감)은 전문가 회의를 통해 9문항을 제작하여 사용하였고 구성타당도는 충족되었다.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인과차원이 심리적 결과물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태권도 선수들은 승리했을 때 외적, 안정적, 외적통제로 귀인하였고, 패배했을 경우에는 내적, 불안정적, 외적통제불가능으로 귀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패배 시 내적귀인(예-자신의 능력 부족, 노력 부족 등)을 할 경우에는 자부심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나 승리했을 경우에는 안정적 차원에 귀인(예-자신의 타고난 능력, 쉬운 과제난이도)하여 결과기대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서 인과차원이 심리적 결과에 미치는 영향력 관계가 존재하였으므로 스포츠 영역에서 최종귀인모형의 적절성이 검증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at the causal dimensions effect on the psychological consequences based on Weiner’s final attribution model(2010). In order to investigate the purpose of this study, 399 middle and high school Taekwondo players were surveyed based on the sequential process of the final attribution model such as outcome → outcome dependent affect → causal antecedents → causal ascriptions → causal dimensions → psychological consequences. We had used CDS-T to measure causal ascription and self-reporting items that were conducted from the expert meeting to estimate psychological affect including pride, expectation and shame. The construct validity of the measurement was satisfied. When we examine the effect of causal dimensions on psychological consequences throug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y attributed to external, stability and external control ascriptions having won the game. After defeating the competition, they attributed to internal, unstability and external uncontrol ascriptions. When they attributed to internal ascriptions after loosing game, it has been a negative influence on pride. However, in the case of victory, it was shown that stability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expectation. Since it was verified that the causal dimensions effect on psychological outcomes, the validity of Final Attribution Model in sport field was ensured.

      • KCI등재

        판매 성공 상황에서 판매원의 판매 참여 행위가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조재희,신건철 한국생산성학회 2023 生産性論集 Vol.37 No.6

        본 연구는 판매사원을 대상으로 판매성공의 원인을 능력 또는 노력에 귀인하느냐에 따라 각각 진정자부심과 오만자부심, 표면행위와 내면행위와의 관계를 살펴보고 이들의 관계가 고객지향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았다. 더 나아가 자기효능감이 판매참여, 귀인, 자부심, 감정노동, 고객지향성 간의 관계의 조절적 역할에 대해 살펴보았다. 최근 1주일 이내에 판매를 성공적으로 한 경험이 있는 판매사원 488명을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가설을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판매참여는 능력귀인과 노력귀인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능력귀인은 오만자부심을 통해 표면행위에는 정(+)의 영향을 미쳤지만, 고객지향성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노력귀인은 진정자부심, 내면행위을 매개하여 고객지향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 나아가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판매참여가 능력귀인에 미치는 영향, 판매참여가 노력귀인에미치는 영향, 능력귀인이 오만자부심에 미치는 영향, 노력귀인이 진정자부심에 미치는 영향에 더 크게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판매사원이 판매성공 상황에서 결과에 대한 원인을 어디에 두느냐에 따라 판매사원의 고객지향적 행동을 강화시키거나 약화시킬 수 있는 요인을 구조적으로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학술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genuine pride and arrogance pride, superficial behavior and inner behavior, respectively, depending on whether the cause of sales success was attributed to ability or effort attribution, and examined how their relationship affects customer orientation. Furthermore, the controlling role of early 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ales participation, attribution, pride, emotional labor, and customer orientation was examined. An empirical analysis was conducted on 488 salespeople who have successfully sold within the last week, and the hypothesis was verified through a structural equation model.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participation in sales had a positive (+) effect on ability attribution and effort attribution. It was found that ability attribution had a positive (+) effect on surface behavior through arrogance pride, but did not affect customer orientation. On the other hand, it was found that effort attribution had a positive (+) effect on customer orientation by mediating genuine pride and inner behavior. Furthermore, the higher the self-efficacy, the greater the impact of sales participation on ability attribution, the greater the impact of sales participation on effort attribution, the impact of ability attribution on arrogance pride, and the impact of effort attribution on genuine pride. This study provides academic and practical implications in that it structurally examined factors that could strengthen or weaken the customer-oriented behavior of salespeople depending on where they place the cause of the outcome in a successful purchase situation.

      • KCI등재

        능력 및 노력 귀인이 성공 기대와 자긍심 및 실망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학업효능감의 매개효과 검증

        한미라,김광수 대한사고개발학회 2016 사고개발 Vol.12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effects of the causal attribution on expectancies and pride ․ disappointment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the academic efficacy. To do this, we set up a research model that divided into success and failure situations. And we analyzed them empirically. We surveyed 543 high school students to test our research model.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applied for model analysis. We used bootstrapping to analyze the mediating effect of academic efficacy. Ability attribution and effort attribution had positive effects on academic efficacy in success situations and negative effects in failure situations. Success effort attribution has increased the expectancy for future success and failure ability attribution has decreased the expectancy for future success. Success effort attribution has increased academic efficacy and academic efficacy has increased expectancy and self-esteem. Failure effort attribution has decreased academic efficacy, which has decreased expectancy. And we proposed some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본 연구는 인과 귀인이 기대와 정서에 미치는 영향과 이 과정에서 학업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했다. 이를 위해 학업수행 결과를 성공 상황과 실패 상황으로 구분하여 연구모형을 설정하고 경험적 분석을 했다. 첫째, 성공 판단에 따른 능력 및 노력 귀인이 성공 기대와 자긍심에 대한 영향에서 학업효능감의 매개효과를 분석했다. 둘째, 실패 판단에 따른 능력 및 노력 귀인이 성공 기대와 실망감에 대한 영향에서 학업효능감의 매개효과를 분석했다. 고등학생 54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했으며, 연구모형 분석을 위해 구조방정식 모델링을 적용했다. 학업효능감의 매개효과 분석을 위해 부트스트레핑 방법을 사용했다. 연구결과, 능력 및 노력 귀인은 성공 상황에서 학업효능감에 긍정적 영향을, 실패 상황에서 부정적 영향을 주었다. 성공을 노력으로 귀인할수록 성공 기대는 증가했고, 실패를 능력으로 귀인할수록 성공 기대는 감소했다. 성공의 노력 귀인은 학업효능감을 통해 성공 기대와 자긍심에 간접효과를 나타냈다. 실패의 능력 귀인은 성공 기대에 직접효과가 있었고, 노력 귀인은 학업효능감을 통해 성공 기대에 간접효과를 나타냈다. 그리고 후속 연구를 위한 몇 가지 제언을 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