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권위주의적 리더십이 과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 전반적 조직공정성의 조절효과와 내재적 동기부여의 매개효과 -

        강승민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2024 인적자원관리연구 Vol.31 No.1

        최근 ‘꼰대’라는 은어가 한국의 기업조직 내에서 부각되고 있는 가운데 권위주의적 리더와 구성원간 충돌과 갈등이 고조되고 있으며, 권위주의적 리더에 대한 사회적 관심도 점점 높아지고 있는 추세이다. 절대적 권위와 통제력을 앞세워 조직을 독단적으로 이끌어 나가는 권위주의적 리더는 한국 기업조직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는 매우 보편적인 리더십 스타일의 전형이지만, 권위주의적 리더십이 실제 조직에서 구성원들의 과업성과에 구체적으로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실증한 연구는 매우 드물다. 이에 본 연구는 권위주의적 리더십과 과업성과의 영향력 관계를 보다 실증적이고 구체적으로 검증하고자 다음 세 가지 목적을 가지고 연구를 수행하였다. 첫째 권위주의적 리더십과 과업성과의 영향력 관계를 검증하고, 과업성과 하락요인으로서 권위주의적 리더행동이 내포한 위험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둘째, 권위주의적 리더십과 과업성과의 관계에서 내재적 동기부여의 매개역할을 실증하여 권위주의적 리더십이 과업성과를 하락시키는 과정에 대한 설명력을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셋째, 전반적 조직공정성이라는 구성원 개인의 인식 수준 차이에 따라 권위주의적 리더십이 내재적 동기부여에 미치는 효과가 차별화될 수 있음을 확인하여, 권위주의적 리더십이 내재적 동기부여를 통해 과업성과 하락으로 이어지는 메커니즘을 보다 심층적으로 이해하는 데 기여하고자 하였다. 연구가설을 확인하기 위해 위해 육군 간부(직속 상사-구성원) 196쌍을 대상으로 1개월의 시차를 두고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 SPSS Process Macro를 활용하여 가설을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조직 내 구성원들과 갈등을 빚으며 꼰대라는 은어로 대표되고 있는 권위주의적 리더십은 실제 구성원들의 과업성과에 부정적인 영향력을 미치고 있었으며, 이 과정에서 내재적 동기부여는 매개역할을 그리고 전반적 조직공정성은 조절기능을 수행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가설에서 예측했던 바와 달리 권위주의적 리더십과 내재적 동기부여의 부적 관계는 전반적 조직공정성 인식이 높을수록 더욱 강하게 나타났는데, 이는 높은 전반적 조직공정성(이상)과 권위주의적 리더행동(현실)의 괴리감에서 오는 인지부조화로 인해 내재적 동기부여가 더욱 급격히 하락하게 된 것이라 해석하였다. 본 연구는 권위주의적 리더십, 과업성과, 내재적 동기부여, 전반적 조직공정성에 대한 역학관계를 보다 심층적으로 연구하여 한국 조직에서 매우 보편적인 권위주의적 리더십에 대해 이론적 함의와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였으며, 연구의 말미에는 한계점과 향후 연구방향을 논의하였다. While the renowned Korean slang 'kondae' has emerged within Korean organizations, social interest in authoritarian leadership is also increasing as conflicts between authoritarian leaders and members are upsurging. Authoritarian leaders, a very common and typical leadership style that can be easily found in Korean organizations, lead organizations with absolute control and authority. However, few studies have demonstrated how authoritarian leadership specifically affects the task performance of members in actual practices. Therefore, the study was set to test the relationship between authoritarian leadership and task performance, and also verify the following three questions. First, the study intended to confirm the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authoritarian leadership and task performance to find out the risks that authoritarian leadership poses. Second, it intended to improve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process that authoritarian leadership deteriorates task performance with the mediating role of intrinsic motivation. Third, the study also intended to verify if the relationship between authoritarian leadership on intrinsic motivation can be differentiated by the overall justice perception of the organization. To test the hypotheses, 196 leader-member pairs of army executives were surveyed within a month lag, and th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nd SPSS Process Macro were conducted. As a result, I found authoritarian leadership harms task performance, and intrinsic motivation mediates the relationship. In addition, the negative relationship was significant only when the overall justice perception was high, and the controlled mediating effect was also significant only when the overall justice perception was high. However, the analysis presented the interesting result that when the overall justice perception is high, the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authoritarian leadership and intrinsic motivation gets stronger, which can be interpreted as a sharp decline in intrinsic motivation due to cognitive dissonance that caused from the difference between high overall justice perception(ideal) and authoritarian leaders' unfair behaviors(reality). The study demonstrated the dynamic relationship between authoritarian leadership, task performance, intrinsic motivation, and overall justice perception, and also provided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authoritarian leadership. The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were also discussed at the end of the study.

      • KCI등재

        헝가리 권위주의 체제의 가속화에 관한 연구: Covid-19 전후 오르반 정권을 중심으로

        정채윤(Chaeyoon Jeong),김면회(Myeon Hoei Kim) 한국유럽학회 2021 유럽연구 Vol.39 No.3

        헝가리는 체제전환 이후 성공적으로 민주주의 공고화를 이뤄낸 대표적인 구(舊)공산권 국가로 분류되어 왔다. 하지만 비교정치학계에서는 2010년 빅토르 오르반의 총리 취임 이후부터 지금까지 급격한 민주주의 후퇴를 겪으며 권위주의 정권으로 변모한 대표사례로 헝가리가 지목되고 있다. 냉전 해체와 함께 시작된 소위 ‘제3의 민주화 물결’을 겪은 이후 근래 들어 권위주의로 역행하고 있는 동유럽 구(舊)사회주의권 국가들에 대한 다양한 연구들이 있다. 그중 본 연구는 레비츠키와 웨이의 ‘신(新) 경쟁적 권위주의’ 개념을 중심으로 논의를 전개한다. 체제전환 이후 최근까지 진행되고 있는 헝가리 정치의 현실을 가장 적확하게 설명하고 있는 이론적 틀로 인정받고 있다고 판단하기 때문이다. 신 경쟁적 권위주의의 이론적 틀에 따라 본 연구는 우선 2010년 이후 약 10여 년간에 걸쳐 진행된 헝가리 정치체제의 권위주의화(化)를 세부적으로 추적 정리하고, 이후 가속화된 헝가리 권위주의의 실상을 코로나 팬데믹이라는 특수 상황과 관련하여 논의한다. 연구 결과, 경쟁적 권위주의가 여전히 형식상 민주주의 제도 내에서 존재하는 것처럼, 신 경쟁적 권위주의에 해당하는 헝가리가 겪고 있는 권위주의의 가속화도 코로나를 전후 로 여전히 민주주의라는 형식적 틀 내에서 권력 확대와 부침의 과정을 겪고 있음을 확인했다. 오르반 정권의 거대 권력 소유가 지속적이지만, 형식적으로나마 존재하는 민주주의가 여전히 ‘완전한’ 경쟁적 권위주의로 역행하려는 시도들을 일정 정도 막아내고 있다고 판단한다. 하지만 이후 야당과 언론 및 시민사회의 대응 강도가 약화될 경우, 헝가리 정치의 미래는 권위주의 체제의 ‘공고화’ 단계로 진입할 것으로 전망한다. After its transition of the regime, Hungary has been classified as the leading former Communist country that successfully accomplished democratic consolidation. However, since the inauguration of Prime Minister Viktor Orbán in 2010, in the field of Comparative Politics, Hungary has been categorized as a typical case that rapidly retrogressed in the aspect of democracy, consequently having been transitioned into the authoritarian regime. There are multiple studies on the former Communist countries that recently retrogressed to authoritarianism after undergoing the so-called “Third Democratic Wave” which coincided with the breakup of the Cold War. This research develops its discussion by particularly focusing on the concept of Levitsky and Way’s “New Competitive Authoritarianism.” The reason for such a selection is its recognition as a theoretical framework that most accurately explains the reality of Hungarian politics from its transition of the regime to now. According to the theoretical framework of “New Competitive Authoritarianism,” this research tracks and organizes the transition of the Hungarian political system into authoritarianism with details. It also discusses the actuality of the accelerated Hungarian authoritarianism during the 10 years of the Orbán administration since 2010 in relation to theunusual circumstance - COVID-19. The results of the research have found that as the competitive authoritarianism still exists in a formally democratic system, the acceleration of authoritarianism in Hungary, which corresponds to the new competitive authoritarianism, is also still experiencing power expansion and the process of ups and downs within the formal framework of democracy before and after the outbreak of COVID-19. The possession of great power by the Orbán administration continues, yet formally existing democracy prevents the attempts to retrogress to the “complete” competitive authoritarianism to a certain extent. Nonetheless, if the responses of the opposition party and the civil society weaken afterward, it is overlooked that Hungarian politics will enter the stage of consolidation of the authoritarian regime.

      • KCI등재

        한국 중앙행정기관 공무원의 권위주의행태에 관한 연구: 1971년과 2006년 비교를 중심으로

        고현경,박현신,김근세 한국행정학회 2007 韓國行政學報 Vol.41 No.3

        The present administrational organization is different from that of the past in terms of institutions and actors from the frame of an organism that ceaselessly posits organizational changes along the social environment. This paper empirically analyzes the change of authoritarian personality and behavior of central government officials in 1971 versus 2006 based on the seminal study by Yoon (1982) of the authoritarianism and personality of Korean bureaucrats. It reports that authoritarian personality and authoritarian behavior decreased from high to moderate levels.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ity and behavior factors (which make up authoritarian behavior) weakened. Research findings imply that public officials have become weak authoritarians in the way of behavior brought about by the changes of social and political environment and successive administrative reforms. At the conclusion this research shows that it is necessary for organization management to take a more participative approach adjusting to these changes of personality and behavior. 〔 행정조직을 사회환경에 따라 끊임없이 변화하는 유기체로 볼 때, 현재의 행정조직은 그 제도와 행위자가 과거와 다르고, 따라서 조직문화가 지속적으로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본 연구는 우리나라 공무원의 권위주의성격 및 행태의 변화를 경험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1971년 윤우곤의 연구를 준거로 하여, 중앙행정기관 공무원의 권위주의성격과 행태에 대해 과거와 현재를 비교하였다. 분석결과, 권위주의성격은 강한 권위주의성격에서 중간 권위주의성격으로 이동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권위주의행태 역시 대체로 감소하였다. 그리고 권위주의성격과 권위주의행태 구성요인간의 관계는 대체로 약화된 것으로 나타나, 외부의 사회문화적 환경변화와 내부의 정부관료제 개혁으로 공무원들의 권위주의행태의 약화, 나아가 권위주의행태의 요인구조 자체의 변화 가능성을 시사한다. 또한 통제변수와 권위주의성격 간의 일원배치분석을 통해 연령과 재직기간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관료들의 권위주의행태가 더 이상 사회구조 속에서 형성된 특질인 개인의 성격에 의해 좌우되기 어려움을 보여주며, 권위주의행태의 원인을 관료들의 내재적 원인으로 돌려서는 안 됨을 의미한다. 나아가 권위주의행태를 치유하기 위해서는 개인들의 안정적인 특질인 성격이 아닌 태도를 바꾸는 노력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권위주의행태를 관리하기 위한 권위주의태도 연구의 필요성과 향후 권위주의행태와 조직문화의 변화 추이를 파악하기 위한 주기적인 조직행태 진단과 지속적인 공무원의 의식 및 제도 개혁, 그리고 참여적 조직관리가 필요함을 제안한다.

      • KCI등재

        권위주의의 특성과 재생산과정의 성 차이

        이수인(Soo-In Lee) 한국사회학회 2005 韓國社會學 Vol.39 No.3

        본 연구는 한국사회의 권위주의에 대한 실증연구의 필요성과 기존의 국내연구들이 가지는 제한점에 주목하여 권위주의의 특성과 재생산과정에서의 성 차이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권위주의의 핵심적 특징으로서 서열의식, 권위의존적 사고, 성 고정관념을 추출하고 권위주의를 생산하는 중요한 과정으로서 가족경험과 학교경험을 선별하였다.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며 다음과 같은 사실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권위주의의 특성뿐만 아니라 가족경험과 학교경험에서도 성 차이가 존재하고 여학생들보다 남학생들이 권위주의적 특성이 강했다. 둘째, 가족경험에서 모-자녀관계, 성 고정적 성역할훈련, 부모의 가부장성이 권위주의의 각 요인에 효과를 나타냈다. 모-자녀관계와 성역할 훈련은 뚜렷한 성 차이를 보였고 이는 권위주의적 특성의 성 차이에 영향을 미쳤다. 셋째, 권위주의에 대해 가족경험보다 학교경험의 영향력이 더 크게 나타났으나 독립변인인 성, 가족경험, 학교경험 사이에 분명한 인과연쇄는 규명할 수 없었다. 그러나 이들이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며 권위주의적 특성을 주조한다는 것은 확인할 수 있었다. 넷째, 성차별적 경험이 성 고정관념뿐 아니라 서열의식과 권위의존적 사고에도 영향을 준다는 사실을 확인함으로써 권위주의를 형성하는 직접적인 기제 중의 하나가 됨을 규명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gender differences in authoritarian characteristics and the gender differences in the processes which create authoritarianism. Presuming that the important processes of creating authoritarian characteristics are family experiences and school experiences, this paper study with college student samples presupposed grading thought, reliance on authority, gender stereotypes as the components of authoritarianism.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are the gender differences not only in authoritarian personality but also in the experiences of family and school. Second, there is the mother-children relationship, discipline according to gender stereotypes, patriarchal tendency of parents that affect each factor of authoritarianism. Especially, gender distinction in mother-children relationship and the discipline of dichotomizing of sex-roles affect the gender differences of authoritarianism. Third, though school experiences have more influence on authoritarianism than family experiences, it is not obvious that the priority of causal relations among gender, family experiences and school experiences, but it is clear that they interact one another and influence authoritarianism. Fourth, the experiences of the gender discrimination affected grading thought and dependence on authority as well as gender stereotypes. This means that the gender discrimination is one of the mechanisms that causes authoritarianism.

      • KCI등재

        푸틴시대 권위주의체제의 지속요인: 푸틴의 퍼스낼리티와 리더십을 중심으로

        정희석 한국동북아학회 2017 한국동북아논총 Vol.22 No.3

        The political system in the era of Putin can be defined as an authoritarian system, considering the fraudulent elections, weak system of political party, press censorship, spiritless legislature, politically-subordinated judicature, widespread corruption, etc. Among many factors constituting such an authoritarian system, perhaps the most important and constant one is that of the individual level, that is, Putin’s own personality and leadership. An analysis on the result of the MBTI and MIDC for Putin shows that he is categorized as the INTJ type, which is general amongst authoritarian leaders, and as ‘ambitious or expansionist hostile enforcer.’ In addition, the analysis also shows that Putin has an authoritarian personality including an inclination to conventionalism, authoritarian aggression, excessive interests in sex, and an obsession with power and toughness. Such a personality of Putin has had a great influence upon his authoritarian and charismatic leadership, as a leader’s personality has a close relation with the leadership he or she projects. Exerting an authoritarian leadership by which any policies made arbitrarily is implemented by means of ‘control’ and ‘manipulation’, coupled with a charismatic leadership represented by the almighty ‘macho-man’, Putin has been able to effectively govern Russia in the face of internal and external crises while sustaining the authoritarian system. Foreseeing on the basis of the individual level such as Putin’s personality and leadership, it is much likely that, unless any serious matter happens to him, he will continue with the authoritarian system until 2024. However, if the negative aspects of his personality and leadership such as narcissism, rejection of democratic processes in decision-making, and machine politics are faced with corruption scandals of the absolute power and a resultant people’s resistance, the authoritarian system in Putin’s era will fade away in history. 푸틴시대의 정치체제는 그동안 노정된 불공정 선거, 허약한 정당체제, 언론검열, 나약한 입법부, 정치적으로 종속된 사법부, 국가경제력 남용, 광범위한 부패 등의 현상을 종합해 볼 때, 권위주의체제로 규정할 수 있다. 이러한 권위주의체제가 아직까지 지속되고 있는 배경에는 여러 요인이 존재하지만 그 가운데 중요한 요인으로는 쉽게 변화되지 않은 요인인 푸틴 개인적 수준의 요인, 즉 푸틴의 퍼스낼리티와 리더십을 들 수 있다. 푸틴의 퍼스낼리티 진단검사 분석 결과, 권위주의적 지도자들에게 보편적인 INTJ형과 ‘팽창주의적 적대적 집행자형’으로 나타난다. 게다가 푸틴은 전통주의 성향, 권위주의적 공격성, 성에 대한 지나친 관심, 권력과 강인함에 대한 집착이라고 하는 권위주의적 개성 또한 보유하고 있다. 퍼스낼리티는 통치자가 되어서 보여줄 리더십과 밀접한 상관관계를 갖는 만큼 푸틴의 퍼스낼리티 역시 그의 권위주의적 리더십과 카리스마 리더십에 상당한 영향을 미쳤다. 푸틴은 자신이 독단적으로 결정한 정책을 ‘통제’와 ‘조작’이라는 수단을 통해 실행하는 권위주의적 리더십과 함께 마초맨으로 상징되는 카리스마 리더십을 구사함으로써 대내외 위기상황에 처해 있는 러시아를 효율적으로 통치해 왔으며, 권위주의체제를 지속시킬 수 있었다. 푸틴의 퍼스낼리티와 리더십이라는 개인 수준에서 전망해 볼 때, 개인의 신변에 큰 이상이 발생하지 않는 한, 푸틴의 권위주의체제는 2024년까지 지속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 하지만 푸틴의 퍼스낼리티와 리더십 구사과정에서 드러난 부정적 현상, 즉 자신에 대한 과대평가, 의사결정에서의 민주적 절차배격, 측근정치, 여기에 절대권력의 부패현상이 더해져 국민의 저항이 거세지게 되면 푸틴시대 권위주의체제는 러시아 역사 속으로 사라지게 될 것이다.

      • KCI등재

        한국 시민의 좌파 권위주의 성향과 우파 권위주의 성향 비교: 얼마나 강하고 어떻게 다른가?

        정동준 한국정당학회 2023 한국정당학회보 Vol.22 No.1

        Authoritarian attitudes have been examined largely in relation to ideological conservatism, namely, right-wing authoritarianism (RWA), but recent studies have found evidence of left-wing authoritarianism (LWA) both theoretically and empirically. This study explores how LWA and RWA are found among South Koreans and how they differ in related political attitudes and behaviors. From the survey data based on randomly-divided LWA and RWA samples, the size for LWA is found comparable to that for RWA, and they share similar levels of extremism on issue positions. As to democratic values, it is found that LWA is positively correlated to pluralism and the support of democratic system whereas RWA is negatively correlated to pluralism. However, LWA is also correlated to high levels of populist attitudes and low levels of trust on political institutions meaning that LWA might be related to anti-establishment and people-centric populism. Also, both LWA and RWA are found to have impacts on voters’ choice on the 20th South Korean presidential election. These results give a warning to today’s South Korean democracy amid the present crisis of political polarization. 개인 수준의 권위주의 성향은 주로 보수 이념의 입장에서 연구되어 왔다. 하지만 최근 좌파에서도 권위주의 성향이 나타날 수 있음이 이론적으로뿐 아니라 실증적으로도 입증되고 있다. 그렇다면 한국 시민 사이에서 좌우 권위주의 성향은 얼마나 강하게 나타나며, 또 서로 어떻게 다른 정치적 특성을 보이는가? 무작위로 나눈 두 개의 표본에서 각각 좌우 권위주의 성향을 측정한 설문 결과, 한국인에게도 좌파 권위주의 성향이 우파 권위주의 성향에 못지않게 관찰될 뿐 아니라 주요 쟁점에 대해 비슷한 수준의 극단 입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민주적 가치와의 관계에서는 좌파 권위주의 성향이 높을수록 민주주의 체제 지지와 다원주의 성향이 높아진 반면, 우파에서는 다원주의 성향이 낮아졌다. 하지만 좌파 권위주의는 포퓰리즘 성향과 양의 상관관계를, 정치 신뢰와 음의 상관관계를 보여, 이들이 지지하는 민주주의가 기성 정치를 반대하는 인민 중심의 포퓰리즘에 빠질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좌우 권위주의 성향 모두 유권자의 지난 20대 대선 투표 선택에 독립적인 영향력을 미쳤다. 아래로부터 좌우 권위주의 성향의 대두는 최근 심화하는 정치 양극화와 민주주의의 위기를 가속할 수 있다는 점에서 주의를 요한다.

      • 한국의 성직주의와 시노드교회

        유해원(You, Hae Won) 한국그리스도사상연구소 2024 한국그리스도사상 Vol.- No.31

        성직주의는 왜곡된 권위주의의 발로로 시노드교회를 만들어 가는데 가장 큰 걸림돌로 지적된다. 분명 사제에게 ‘권위’는 필요하지만 ‘권위주의’는 지양해야 할 요소이다. 시노드교회를 만들기 위해 사제는 권위주의로 말미암은 성직주의에서 벗어나 참 권위를 보여주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현재 한국 성직자들의 권위주의 성향 정도를 알아보고, 가톨릭사제의 권위주의 성향이 신자들에 대한 편견에 영향을 주는지 밝히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더불어 가톨릭 사제의 공감이 가톨릭 사제의 권위주의 성향과 신자들에 대한 편견을 감소시킬 수 있는지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권위주의 성향척도, 공감척도, 편견척도로 설문을 구성하여 한국교회 내에서 활동하는 본당 사목 사제 180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진행하였으며, 최종 180명의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그 결과 가톨릭 사제에게는 권위주의 성향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가톨릭 사제의 권위주의 성향이 신자들에 대한 편견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가톨릭 사제의 공감은 권위주의 성향과 신자들에 대한 편견을 감소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공감하는 정도가 높아지면 권위주의 성향과 편견 수준은 낮아질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왜곡된 권위주의의 발로인 성직주의를 극복하여 시노드교회로 나갈 수 있는 계획을 수립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Clericalism arises from distorted authoritarianism, pointed out as the biggest obstacle to the synodal church. ‘Authority’ is undoubtedly necessary for priests, but ‘authoritarianism’ should be avoided. For the synodal church, priests must move away from clericalism rooted in authoritarianism and demonstrate true authority.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degree of authoritarianism among priests in Korea and to examine whether the authoritarian tendencies of Catholic priests influence biases against believers. Additionally, it examined whether the empathy of Catholic priests could reduce authoritarian tendencies and biases against believers. A survey was conducted with 180 parish priests in the Korean Church, using authoritarianism scales, empathy scales, and bias scales. The data of all 180 participants were analyzed. The results confirmed the presence of authoritarian tendencies among Catholic priests, and it was found that the authoritarian tendencies of Catholic priests influence biases against believers. Furthermore, the empathy of Catholic priests was shown to reduce authoritarian tendencies and biases against believers. Therefore, it can be predicted that as the level of empathy increases, authoritarian tendencies and bias will decrease. Through this research, I try to provide pastoral information that could help formulate plans to overcome the distorted authoritarianism of clericalism and move towards a synodal church.

      • KCI등재

        유교문화가 한국교회 리더십 형성에 미친 영향 - 유교의 권위주의 영향을 중심으로 -

        계재광 한국실천신학회 2010 신학과 실천 Vol.0 No.22

        조직체가 속해 있는 사회의 문화가 그 조직 문화의 다방면에 가장 중요하고 강력한 영향을 끼친다. 이미 사회 속에 지속적으로 스며들어 있는 문화적 가치가 결국에는 조직의 구성원들이 공유하는 효과적인 리더십에 관한 공감대에 까지 영향을 끼치게 된다. 한국사람은 어떤 종교를 가지고 있든지 상관없이, 실질적으로 그들의 삶과 사상에 있어서 유교적 가치관을 따라 생활하고 있다. 따라서 한국교회의 리더십은 유교에 뿌리를 둔 사회문화의 영향을 받을 수 밖에 없었다. 본 연구는 유교의 권위주의가 한국교회 리더십 형성에 미친 영향을 객관적으로 진단하고자 한다. 유교적 권위주의의 특징은 권위에 대한 강한 복종을 요구하고, 중앙집권적인 계층적 성향이 강하며, 사람들로 하여금 성별과 연령, 지위에 따른 불평등과 차별을 받아들이도록 한다. 한국문화에 유교문화는 그 발자취를 남겼고, 유교적 권위주의는 한국교회의 리더십에 영향을 끼쳤다. 유교적 권위주의는 한국교회 내에서 카리스마적인 리더십, 계층적 리더십, 지위에 따른 리더십의 모습으로 나타난다. 따라서 우리는 유교적 권위주의가 한국교회 리더십에 끼친 영향을 분석함으로 다음 세대를 위한 알맞은 리더십 개발을 도모해야할 것이다. 이 논문은 첫째, 한국 사회에 나타나고 있는 수직적 집단주의의 모습을 살펴볼 것이다. 둘째, 한국사회에 가장 큰 영향을 끼쳐왔던 유교 문화의 모습 가운데 권위주의의 영향을 살펴 볼 것이다. 셋째, 유교의 권위주의 영향으로 한국교회 안에 나타나고 있는 여러 리더십의 형태들을 살펴볼 것이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포스트모던사회 흐름에 익숙한 세대와 리더십의 모습을 살펴봄으로 권위주의 리더십의 변혁의 필요성을 고찰할 것이다. Societal culture has the most significant and strongest effects on all organizational culture. Pervasive cultural values can also influence shared conceptions of members of nations concerning effective leadership. Culture influences whether followers accept and follow leader behaviors or behavioral patterns. No matter what religious affiliation one may have, all Koreans are practically Confucianists in the sense that they all follow Confucian norms of behavior and share Confucian moral values in their way of life and thinking. The leadership patterns of the Korean church seem to be influenced by the Korean social and cultural leadership patterns which have their roots in Confucianism. Present-day Korean society is in the process of discarding Confucianism. In the process, Christianity may also have been discarded. This study specifically examined the influence of Confucian culture on the Korean church leadership in regard to authoritarianism of Confucianism. Authoritarianism of Confucianism emphasizes an absolute obedience to authority, hierarchical tendency, and distinction between gender, age, and statuses. As Confucianism left their footprints on Korean culture, Confucian authoritarianism has an influence on leadership in Korean church. These authoritarian leadership patterns can be explained by charismatic, hierarchical, and positional leadership styles. The Korean church leadership did not escape this influence. Thus we need to critically examine confucian authoritarianism and their influence on Korean church leadership to develop appropriate leadership for new generations. Examining such a influence is a primary aim of this article. To this end, I will first consider characteristics of authoritarianism of Confucianism and present some limitations of authoritarian leadership approaches, before describing the characteristics of new generations and present leadership environments, considering perspectives from charismatic, hierarchical, positional leadership within Korean churches. Finally, I will present some theoretical implications and horizons for future research on a Christian understanding of leadership.

      • KCI등재

        군 조직에서 리더의 권위주의와 능력이 구성원의 과업성과와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박준서 ( Jun Seo Park ),손승연 ( Seung Yeon Son ) 국방대학교 안보문제연구소 2021 국방연구 Vol.64 No.3

        많은 조직들은 복잡하고 변화를 예측할 수 없는 환경 속에서 조직의 지속적인 생존과 발전을 위해 다각도로 노력하고 있다. 그 중에서도 조직의 효과적 기능에 기초가 되는 구성원의 과업성과 및 창의성을 창출해 낼 수 있도록 하는 리더의 능력과 자질이 더욱 요구되는 시점이다. 하지만 실제 조직에 보편적인 권위주의적 리더십이 과업성과와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핀 연구는 많지 않으며, 특히 과업성과 및 창의성에 미치는 권위주의적 리더십의 효과의 역동성에도 불구하고 이를 실증한 연구는 더욱 제한적이다. 따라서 권위주의적 리더십과 과업성과 및 창의성 간의 관계의 복잡성에 대한 실증적인 증거를 추가로 확보하는 것은 의의가 있는 일일 것이다. 그에 따라 본 연구는 권위주의적 리더십이 과업성과 및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리더능력을 경계조건으로 보고 이를 실증하였다. 가설검증을 위해 군 조직에 종사하는 간부 163쌍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위계적 다중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실증분석을 하였다. 분석결과 리더능력이 높을 때 권위주의적 리더십-과업성과간의 관계는 유의한 정적관계가 나타났지만, 권위주의적 리더십-창의성 간의 관계에서는 유의하지 않았다. 반면, 리더능력이 낮을 경우 권위주의적 리더십과 과업성과, 권위주의적 리더십과 창의성 간의 부적관계는 유의하였다. 본 연구는 능력있는 리더의 위계적인 관리가 구성원의 과업성과는 높일 수 있지만 창의성에서는 그렇지 못함을 밝혔다. 반면 능력없는 리더의 위계적인 관리는 구성원의 과업성과와 창의성을 감소시킨다는 것을 밝혔다. 이를 통해 권위주의적 리더십의 영향력이 보다 역동적이고 다양하다는 것을 알아냈으며, 어떤 경계조건이 권위주의적 리더십의 효과를 결정하는데 중요한지에 대한 증거를 제시하였다. 연구의 말미에는 본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Many organizations are trying to survive and develop in a complex and unpredictable environment. Among them, it is time to require more leader ability and qualities to create the task performance and creativity of the members based on the effective function of the organization. However, there are not many studies that examine the effects of universal authoritarian leadership on task performance and creativity in actual organizations. In particular, despite the dynamics of authoritarian leadership effect on task performance and creativity, the empirical study is more limited. Therefore, it is meaningful to secure additional empirical evidence of the complexit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authoritarian leadership and task performance and creativity. Accordingly, this study demonstrated the effect of authoritarian leadership on task performance and creativity by considering leader ability as a boundary condition. To confirm this, We collected data from military members (supervisor-subordinate dyad) in the Army, Republic of Korea. A total of 163 matched dyadic data was used for analysis and empirical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that when leader ability was high, the relationship between authoritarian leadership and task performance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authoritarian leadership and creativity. On the other hand, when leadership ability is low, authoritarian leadership and task performance, authoritarian leadership and creativity are negatively related. This study revealed that hierarchical management of competent leaders can increase the performance of the members' tasks, but not in creativity. On the other hand, hierarchical management of incompetent leaders reduces the performance and creativity of members. This study found that authoritarian leadership influences are more dynamic and diverse, and presented evidence on which boundary conditions are important in determining the effects of authoritarian leadership. At the end of the study,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were discussed.

      • KCI등재후보

        유권자의 권위주의 성향과 투표 선택: 제20대 대통령 선거 설문조사 결과를 중심으로

        정동준 부경대학교 지방분권발전연구소 2022 지역과 정치 Vol.5 No.1

        Amid the rise of authoritarianism all over the globe in recent years, authoritarian attitudes from below that give support to authoritarian leaders draw scholarly attentions. South Korea as well has recently held the 20th presidential election where the two leading candidates, Yoon and Lee, are marked as their authoritarian leadership styles. The present survey analyses show that authoritarian attitudes among South Koreans are quite pervasive from comparative perspectives, especially for those in males, younger generations, conservatives and partisans for People Power Party. It is also found that authoritarian attitudes are driven by voters’ negative evaluations of economic situations and the government’s COVID-19 responses. Also, authoritarian attitudes are found to have an independent and significant role in increasing the likelihood of voting for Yoon over Lee. These results suggest that South Koreans’ authoritarian attitudes are strongly related to right conservatism and call for a close attention as they are likely to cause the crisis of their democratic system. 최근 전 세계적으로 나타나는 권위주의의 대두 속에 권위주의적 지도자에 지지를 보내는 아래로부터 유권자의 권위주의 성향이 주목을 받고 있다. ‘역대급 비호감’ 선거란 오명을 쓴 채 양대 후보의 극단적이고 권위주의적인 면모가 부각된 이번 20대 대통령 선거에서 한국 유권자들의 선택은 어떻게 나타났는가? 본 연구는 개인 차원의 권위주의 성향에 초점을 두고 유권자의 투표 선택을 분석하였다. 설문조사 분석 결과, 비교적 관점에서 적지 않은 수준의 권위주의 성향이 관찰되었고 이러한 성향은 남성, 2030의 젊은 세대, 이념적 보수와 국민의힘 지지 집단에서 높게 나타났다. 또한 권위주의 성향은 경제 상황과 정부의 코로나 대응에 부정적일수록 높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권위주의 성향은 윤석열 후보에 대한 투표 확률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고, 그 영향력의 크기 또한 당파성과 이념 변수 다음으로 컸다. 본 연구 결과는 한국인의 권위주의 성향이 보수 이념과 밀접히 연관되어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이렇게 높은 수준의 권위주의 성향은 다수의 지지와 민주적 가치를 기반으로 하는 민주주의에 위기를 가져올 수 있다는 점에서 주의를 요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