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한장애인궁도협회 발전방안: 경기와 협회 운영에 대한 시론(試論)적 접근

        주동진 ( Dong Jin Joo ),심태영 ( Tae Young Sim ),박기용 ( Ki Yong Park ) 한국특수체육학회 2015 한국특수체육학회지 Vol.23 No.3

        본 연구는 ‘대한장애인궁도협회’의 발전방안으로 ‘경기와 협회’운영에 대한 것이다. 연구결과는 다음과같다. 장애인궁도협회의 발전을 위해서 첫째, 재정지원 ‘0’에서 벗어나야 한다. 둘째, 상시든 임시든 행정직원이 있어야 한다. 셋째, 협회를 홍보하고 관리하기 위한 홈페이지(웹 사이트)가 구축되어야 한다. 넷째,수준 높은 장애인 궁사들이 출전해야 한다. 다섯째, 자원봉사(인적 자원)를 많이 확보해야 한다. 다음으로 ‘장애인 궁도경기’의 발전방안이다. 우선,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대회규정이 달라야 한다. 또한 장애인 궁도경기 역시 ‘장애 종류’에 따라 달라야 한다. 그러므로 장애인궁도의 발전을 위해서 다음과 같은 제안들이 이루어져야 한다. 첫째, 활(장비)의 문제이다. 장애인들이 쉽게 접근하기 위해 약한 활을 사용해야 한다. 이것은 안전과도 관련된다. 둘째, 과녁의 거리와 크기를 조절해야 한다. 현재 과녁은 145m이며 이것은 너무 멀다. 이는 다양한 장애인의 접근을 제한한다. 셋째, 경기운영(장애인 궁도교육 전문지도자와 경기심판양성)의 문제이다. 현재, ‘장애인전문 궁도교육자’도 없을 뿐만 아니라 ‘장애인경기 전문심판’도 없다. 이상의 제안들이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대한장애인궁도협회’의 미래는 불투명하다. As a way to develop ‘Korea National Archery Association for the Disabled’, this study examines the operation of ‘the games and the associat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o develop Archery Association for the Disable, first, it is needed to escape from financial support ‘0’. Second, it is necessary to secure either permanent or temporary administrative staff. Third, it is required to create a homepage (website) to publicize and manage the association. Fourth, it is needed to enter competent disabled archers into the games. Fifth, it is necessary to secure more volunteers (human resources). Next, to develop ‘archery games for the disabled’, game rules for the disabled and the non-disabled should differ. Also, archery games for the disabled should be differentiated according to the ‘types of disabilities’. Thus, to develop archery for the disabled, this author suggests the followings: the first one regards the equipment (bow) issue. Weaker bows should be used so that they can be more accessible to the disabled. This is also associated with the safety issue. Second, the distance between the target and the player and the target size should be changed. The presently used target is 145 meters far, and it is, in fact, too far. This lowers the accessibility of the disabled with different types of disabilities. The third one regards the operation of the games, that is cultivating coaches specialized in instructing disabled archers and the referees. Presently, there are neither ‘the coaches specialized in instructing disabled archers’ nor ‘the referees specialized in games for the disabled’. Unless these suggestions are fulfilled, there is no hope for ‘Korea National Archery Association for the Disabled’.

      • KCI등재

        1960년대 양궁(洋弓)대회 참가를 둘러싼일본 궁도(弓道)계의 양상 ‒잡지 『弓道』와 참가자들의 대담 내용을 중심으로‒

        이헌정 한국일본근대학회 2019 일본근대학연구 Vol.0 No.63

        In this study, focus on 1967, Junji Miyata, a Kyudo player that participated in the Amersfoort International Archery Competition as a traditional Japanese bow. And analyzed talking that the player by Junji Miyata and supervisor by Hosoi Hidehiko. First, Hosoi and Miyata did not readily accept that archery was going to the archery competition. Because that Kyudo and archery were thought to have different developmental rules and competition rules. However, in Miyata, a considerable sense of challenge was demonstrated and actively engaged. As a result of the report prepared by Miyata after the contest and the newspaper articles published at the time, Miyata did not think that the participation of the archery competition was simply a one-time event, and ordered development through scientific analysis. However, in 1968, the All Nippon Kyudo Federation withdrew completely from the archery and concentrated on archery as a tradition. No longer kyudo will go to the archery competition. Ultimately, the transformation of archery as an international game ended in a single attempt, but this series of events means that, at least at the stage of 1967, the archery is not merely an image of tradition. It also implies the possibilities of modern sports. When we look at this, it can be said that the flow of postwar Kyudo was not simply a process of restoring, maintaining and inheriting the tradition. It is determining the direction of archery’s identity and development. 본 연구에서는 1967년 일본의 궁도 선수인 미야타 준지가 아메르스포르트 국제양궁대회에 일본의 전통 활로 참가한 것에 착목하여 당시 대회에 참가했던 선수인 미야타 준지(宮田純治)와 감독을 맡았던 호소이 히데히코(細井英彦)의 대담을 분석하였다. 호소이와 미야타는 모두 궁도가 양궁시합에 나간다는 것에 대해서는 쉽게 받아들이지 않았다. 이는 궁도와 양궁은 도구의 발달 방식과 경기규칙이 서로 다르다고 생각했기 때문이었다. 그러나 미야타가 대회 후에 작성한 보고서와 당시에 발간된 신문 기사들 또한 함께 본 결과, 호소이와 미야타는 궁도의 양궁대회에 참가에 대한 입장이 바뀌었음을 알 수 있었다.미야타는 양궁대회의 참가가 단순히 일회성 이벤트로 끝나는 것으로 생각한 것이 아닌, 양궁과의 대등한 경기를 위해 궁구와 사법의 과학적인 분석을 통한 개발을 주문하기도 하였으며 호소이 또한 참가 자체에 대해서는 회의적이었으나 이후의 발전 가능성을 생각하고 있었다. 이는 양궁 종목이 나왔을 때의 전궁련의 반응과 무관하지 않았다. 전궁련은 궁도의 양궁대회 참가를 생각하고 있었으며, 세계적으로 활약하는 일본 궁도에 대한 열망이 있었다. 그러나 이듬해인 1968년, 전일본궁도연맹은 양궁으로부터 완전히 철수하여 전통으로서의 궁도에 집중하게 되었다. 더 이상 궁도가 양궁대회에 나가는 일은 없게 된 것이다. 이를 보았을 때 전후 일본궁도의 흐름은 단순히 전통을 복원・유지하고 계승해가는 과정이 아닌, 궁도의 정체성과 발전의 방향을 정하는 과정이었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1960년대 양궁(洋弓)대회 참가를 둘러싼 일본 궁도(弓道)계의 양상 -잡지 『弓道』와 참가자들의 대담 내용을 중심으로-

        이헌정 ( Lee Heon-jung ) 한국일본근대학회 2019 일본근대학연구 Vol.0 No.63

        본 연구에서는 1967년 일본의 궁도 선수인 미야타 준지가 아메르스포르트 국제양궁대회에 일본의 전통 활로 참가한 것에 착목하여 당시 대회에 참가했던 선수인 미야타 준지(宮田純治)와 감독을 맡았던 호소이 히데히코(細井英彦)의 대담을 분석하였다. 호소이와 미야타는 모두 궁도가 양궁시합에 나간다는 것에 대해서는 쉽게 받아들이지 않았다. 이는 궁도와 양궁은 도구의 발달 방식과 경기규칙이 서로 다르다고 생각했기 때문이었다. 그러나 미야타가 대회 후에 작성한 보고서와 당시에 발간된 신문 기사들 또한 함께 본 결과, 호소이와 미야타는 궁도의 양궁대회에 참가에 대한 입장이 바뀌었음을 알 수 있었다.미야타는 양궁대회의 참가가 단순히 일회성 이벤트로 끝나는 것으로 생각한 것이 아닌, 양궁과의 대등한 경기를 위해 궁구와 사법의 과학적인 분석을 통한 개발을 주문하기도 하였으며 호소이 또한 참가 자체에 대해서는 회의적이었으나 이후의 발전 가능성을 생각하고 있었다. 이는 양궁 종목이 나왔을 때의 전궁련의 반응과 무관하지 않았다. 전궁련은 궁도의 양궁대회 참가를 생각하고 있었으며, 세계적으로 활약하는 일본 궁도에 대한 열망이 있었다. 그러나 이듬해인 1968년, 전일본궁도연맹은 양궁으로부터 완전히 철수하여 전통으로서의 궁도에 집중하게 되었다. 더 이상 궁도가 양궁대회에 나가는 일은 없게 된 것이다. 이를 보았을 때 전후 일본궁도의 흐름은 단순히 전통을 복원·유지하고 계승해가는 과정이 아닌, 궁도의 정체성과 발전의 방향을 정하는 과정이었다고 할 수 있다. In this study, focus on 1967, Junji Miyata, a Kyudo player that participated in the Amersfoort International Archery Competition as a traditional Japanese bow. And analyzed talking that the player by Junji Miyata and supervisor by Hosoi Hidehiko. First, Hosoi and Miyata did not readily accept that archery was going to the archery competition. Because that Kyudo and archery were thought to have different developmental rules and competition rules. However, in Miyata, a considerable sense of challenge was demonstrated and actively engaged. As a result of the report prepared by Miyata after the contest and the newspaper articles published at the time, Miyata did not think that the participation of the archery competition was simply a one-time event, and ordered development through scientific analysis. However, in 1968, the All Nippon Kyudo Federation withdrew completely from the archery and concentrated on archery as a tradition. No longer kyudo will go to the archery competition. Ultimately, the transformation of archery as an international game ended in a single attempt, but this series of events means that, at least at the stage of 1967, the archery is not merely an image of tradition. It also implies the possibilities of modern sports. When we look at this, it can be said that the flow of postwar Kyudo was not simply a process of restoring, maintaining and inheriting the tradition. It is determining the direction of archery’s identity and development.

      • KCI등재

        궁도 참여 노인의 정신건강, 여가 유능감이 궁도 참여도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구조모형 분석

        김홍남(Kim, Hong Nam) 한국노년학회 2012 한국노년학 Vol.32 No.4

        본 연구는 궁도참여 노인의 정신건강, 여가유능감이 궁도활동 참여를 통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2011년 6월부터 10월까지 전라도지역 궁도생활체육동호회 소속의 궁도장 및 궁도대회에 참여하는 노인들을 모집단으로 선정하여 연구목적을 설명한 후 편의표본추출법(convenience sampling)을 이용하여 총350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여 총328을 통계처리에 사용하였다. 측정도구는 여가유능감, 우울감, 자아존중감, 생활만족도 관련 문항은 선행연구에 사용한 설문지를 본 연구에 맞게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통계기법으로는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상관관계분석, 구조모형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노인의 자아존중감이 커질수록 궁도활동 참여도가 높아지며 이어 생활만족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노인의 우울감이 낮을수록 궁도활동 참여도에 영향을 미치게 되며, 궁도활동 참여를 통해 생활만족도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셋째, 노인의 여가유능감은 궁도활동으로 끌어내는 주요 요인으로 작용하지 않아 가설이 기각됐다. 노인의 자아존중감과 우울감은 정신건강에 따라 궁도활동 참여도를 끌어내는 요인이 되며 궁도참여를 통해 생활만족도가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effect of the mental health and leisure competence of senior citizen through participation in archery activity on satisfaction in their life. To achieve the purpose, the study interviewed members of the Archery and Sports Association living in Gwangju, Jeonnam and Jeonbuk using a questionnaire and collected 328 valid responses. The questions as measuring instruments such as leisure competence, depression, self-esteem, and satisfaction level which were developed by previous studies were revised for this study. For a statistics, a frequency analysis, a descriptive analysis, a correlation analysis, and a structural model analysis were conducted. As a result, first, the higher self-esteem of the subjects, the more they participated in archery and were satisfied with their life. Second, the lower depression they had, the more they participated in archery and were satisfied with their life. Third, as leisure competence of the subjects was not a main factor of archery participation, the related assumption was rejected. The mental health of the senior citizen such as self-esteem and depression was a factor of participation in archery and their satisfaction with their life grew higher through participation in archery.

      • KCI등재

        漢字成語에서 찾아본 弓道의 體育敎育的 意味

        김성일,주동진 한국스포츠학회 2018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6 No.1

        현대사회는 급변하고 있다. 그리고 오늘날 스포츠는 거대한 산업주의, 흥미위주, 결과위주로 변해있다. 이러한 시대에 고대 동양스포츠인 활쏘기를 통해 동양의 교육과 문화를 이해하는 것은 逆說的일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시점에 서 우리의 전통 스포츠인 활쏘기 문화를 되돌아보면서 정리하는 것도 의미가 있다고 생각한다. 특히, 漢字成語를 통해 활쏘기의 體育的 의미를 살펴보는 것은 동양교육적인 입장에서 의미가 있다. 孔子는 활쏘기를 ‘君子의 스포츠’라고 하 였다. 또 많은 古典들은 활쏘기를 心身修養과 自己省察에 중요하다고 하였다. 따라서 활쏘기는 동양에서 상당한 매력적 인 주요한 교과목이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맹자의 ‘仁者如射(어진 것은 활쏘기와 같다)’는 문구(漢字成語)는 孔孟 思想(儒學=東洋哲學)의 體育敎育으로서 黃金律(仁=敎育=弓道)이라고 볼 수 있다. Modern society is changing rapidly. And today, sport is transformed into massive industrialism, centered on interest and results. In this age, it may be paradoxical to understand the oriental education and culture through archery, an ancient oriental sport. But I think this is meaningful. Especially, to see the meaning of archery through Chinese idioms is meaningful from the point of view of physical education and oriental philosophy. Confucius said that archery was the sport of GunJa(君子). Many Classic books said that archery was important for physical and mental discipline and self–reflectio. Therefore, archery was a considerable important education in the Orient. In particular, Mencius ‘IN(仁) is like archery(仁者如射)' is also famous for Chinese idioms(漢字成語). This is the golden rule from the standpoint of physical education.

      • KCI우수등재

        노자의『도덕경(道德經)』에 근거한 ‘궁도(弓道)의 도(道)’에 대한 이해와 체육 교육적 의의 탐색

        이민규(LeeMingyu),김원정(KimWonjung) 한국체육학회 2017 한국체육학회지 Vol.56 No.5

        본 연구는 궁도의 도(道)가 노자의 도(道)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는 점을 밝힌 후, 노자의 입장에서 궁도의 도(道)에 대한 의미와 체육 교육적 의의를 논하였다. 노자사상과 궁도 간의 핵심적인 연결고리인 ‘검(檢)’, ‘겸(謙)’, ‘중(中)’, ‘유(柔)’의 4가지 개념을 통해 노자의 교육관을 이해함으로써 체육에서 궁도의 도(道)에 대한 의미를 탐색하였다. 이를 위한 연구방법으로 『도덕경(道德經)』을 비롯한 다양한 문헌들을 통해 유가와 다른 도가의 특성, 노자의 교육관 및 도의 이해, 궁도의 도와 의의에 대하여 분석하고 해석의 과정을 거쳤다. 그 결과, 노자의 교육관에서는 ‘검’을 통한 창의적 전인, ‘겸’을 갖춘 교육자, ‘중’과 지식에 대한 무소유, ‘유’한 사고가 중요하게 드러났으며, 궁도의 도는 ‘마음의 검’을 위하고 ‘자연에 겸’하며 ‘중’을 지키고 ‘참 되게 약’해지는 특성을 가진 것으로 논의되었다. 궁극적으로, 도가 사상은 세계사적 패러다임이 이동하고 있는 현 시대에서 체육학에서도 기존의 유가 사상의 한계를 보완할 수 있을 것이며, 궁도뿐 아니라 다양한 신체활동에 대한 교육철학적 의의와 체육 교육의 선진화 방향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한다. This paper has clarified that ‘Tao of Lao-Tzu’ and ‘Tao of the archery’ are intimately linked each other, and then discussed the meaning of ‘Tao of the archery’ from ‘Lao-Tzu’s point of view and the pedagogical importance in physical education. For this purpose, this study has explored four core connecting concepts between Taoism and archery, that is to say, simplicity(儉), humility(謙), moderation(中) and flexibility/weakness(柔/弱). The method of the study was conducted through the analysis and interpreted by reviewing many literatures including Tao te ching. In the Lao-Tzu’s educational view, the creative whole person through simplicity(儉), educator possessing the quality of humility(謙), moderation(中) and nonpossession of the knowledge and flexible(柔) thinking had been researched. In addition, the ‘Tao of the archery’ has been explored on the characteristics of ‘simplicity(儉) in mind’, ‘humility(謙) toward the nature’, ‘holding moderation(中)’ and ‘truthfully being weakness(弱)’. Ultimately, ideology of Taoism can overcome limitations of Confucian ideology in the latest world historical paradigm conversion. Besides, ‘Tao of Lao-Tzu’ would suggest direction of advanced improvement of the educational philosophical meanings and sport pedagogical implications in the various physical activities as well as an archery.

      • KCI등재

        고대 일본 宮都에 있어 葬地의 성립과 전개

        橋本義則,김은정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2017 百濟硏究 Vol.66 No.-

        Fujiwara-kyo, established at the end of the 7th century, was the first imperial capital in ancient Japan. An enormous number of officials, who served the Emperor, were assembled there to live, causing a host of new problems, among them the major problem of the treatment of their dead bodies. The officials were treated as residents of the imperial capital even after their death, and burial grounds were thus created for them in the imperial capital. In the 8th century, the imperial capital was relocated from Fujiwara-kyo to (in order) Heijo-kyo, Kuni-kyo, Koka-no-miya, Heijo-kyo, Nagaoka-kyo, and Heian-kyo; and not only the officials (residents of the imperial capital), but also their burial grounds (understood as their residences after death) were moved with the capital’s repeated relocation. After the imperial capital was relocated and fixed permanently in Heian-kyo at the end of the 8th century, a change occurred in the imperial capital burial grounds. In traditional aristocratic burial rituals, the husband and wife were buried separately in different counties far apart. However, after Emperor Kanmu moved the grave of Fujiwara no Momokawa to the place where his wife had been buried, married couples were buried in the same township in the same county (in graves in the same region, even in the same grave), in adjacent townships in the same county, or in adjacent townships in different counties. This change was brought about by Emperor Kanmu’s acceptance of Chinese thought, specifically the li of Confucianism. The emperor embraced the concept of li seriously and deeply, instead of perfunctorily and superficially, in order to revolutionize the aristocratic society of Japan, and this had a great influence on the character of Japanese burial grounds. 고대 일본에서 宮都는 7세기 말 ‘藤原’京에서 시작되었다. ‘藤原’京에 천황에게 봉사하기 위해 수많은 관인들이 거주함에 따라 다양하고 새로운 문제가 야기되었다. 특히 관인들의 사후 이들의 시신을 어떻게 처리할지가 가장 큰 문제로 부각되자 관인들은 宮都의 주민으로 취급되어 이들을 매장하기 위한 새로운 葬地가 궁도에 설치되었다. 8세기에 들어와 宮都는 ‘藤原’京에서 平城京, 恭仁京, 甲賀宮으로 바뀌었고, 다시 平城京으로 환도한 이후에 長岡京, 平安京으로 천도했다. 이렇게 宮都가 그 소재지를 달리할 때마다 宮都에 거주했던 관인들은 당연히 거처를 옮겨야 했고, 이로 인해 이들이 사후 매장될 葬地도 함께 이동되었다. 그런데 8세기 말 平安京으로 천도를 단행한 이후 더 이상 宮都를 옮기지 않게 되자 宮都에 설치된 葬地에도 변화가 일어났다. 즉, 종래 귀족 부부의 묘는 멀리 떨어진 다른 郡에 조성되었으나, 환무천황(桓武天皇)이 藤原百川의 묘를 아내의 묘가 있는 곳으로 이장시킨 이후에는 同郡 同鄕(공역묘, 同穴墓 등)인 곳, 同郡 隣鄕인 곳, 異郡 隣鄕인 곳에 조성되었다. 이러한 변화의 배경으로 환무천황이 중국적인 사상, 유교의 예제를 수용한 사실을 생각할 수 있다. 그리고 그 의도는 종래 형식적이고 표면적으로 유교와 예제를 수용했던 것과는 달리 본격적이고 내면적으로 수용하여 사회를 변혁하려는 데 있었다. 이러한 사실이 葬地의 형태에 커다란 영향을 주었던 것이다.

      • 선비정신과 활쏘기 - 궁도9계훈과 집궁제원칙을 중심으로

        박상원 한국스포츠인류학회 2017 한국스포츠인류학회 학술대회 Vol.2017 No.12

        이 논문은 활쏘기의 중심철학을 선비정신을 통해 고찰해 보고자 한다. 선비가 갖춰야 할 덕 목을 육예(六藝)라 하고 이것을 지덕체의 입장으로 나눠보면, 지혜는 글쓰기와 수학이고, 덕 행은 예절과 음악이며, 체육은 활쏘기와 승마다. 선비는 활쏘기를 통해 심신을 수련하고 호 연지기를 키워나갔다. 현재 이 전통은 전국 380여개 활터에서 궁도9계훈(弓道九戒訓)과 집궁 제원칙(執弓諸原則)을 통해 이어지고 있다. 한국전통 활쏘기를 시작할 때 활을 배우는 마음 가짐과 활쏘기의 기본자세는 궁도9계훈과 집궁제원칙을 중심으로 이뤄진다. 궁도9계훈이 궁 사의 정신적 자세를 설명하고 있다면, 집궁제원칙은 궁사의 궁체와 연결된다. 궁도9계훈이 본체라면, 집궁제원칙은 그 적용이라 볼 수 있다. 그래서 한국의 활쏘기는 궁도9계훈과 집궁 제원칙을 중심으로 사법이 정립되고 활의 정신이 전승돼야 균형을 맞춰 발전할 수 있을 것 이다. 그러나 교육현장에서 궁도9계훈의 의미와 집궁제원칙의 동작이 정확히 규정되지 않아 해석이 다른 경우가 많다. 또한 국궁의 오랜 역사에도 불구하고 인문학적 연구가 다양한 시 각에서 이뤄지지 못하고 있다. 이에 이 논문은 동양철학과 선비정신에서 궁도9계훈의 뿌리 를 고찰해 보고자 한다. 그리고 집궁제원칙의 철학적 원리를 궁체에 적용해 봄으로써 더 안 정된 자세와 건강한 활쏘기에 한걸음 더 다가가고자 한다. 궁체의 근간이 되는 집궁제원칙 은 현장에서 활을 가르치는 선생들의 인터뷰를 바탕으로 접근했고, 궁도9계훈은 그간의 연 구내용들을 묶어 보았다. 결론하여 본다면 활쏘기는 선비정신의 구현이다. 한국인의 정체성 은 선비정신과 맞물려 있고, 그 정신의 혈맥은 면면히 활쏘기를 통해 계승됐다. 오늘날 국궁 은 건강을 지켜주는 스포츠로써 기능과 한국인의 정체성을 간직한 전통문화의 기능을 함께 공유하고 있다. 경계선에 있는 활쏘기는 전통과 현대의 갈등도 내제하고 있지만 서로가 화 합하여 민족혼을 되살리는 발전의 힘도 내포하고 있다. 전통과 현대가 만나는 접점에서 갈 등을 조율하고, 문화를 창달할 큰 방향이 모색돼야 한다. 국궁이 전통을 계승하고 있는 측면 에서는 그 정신적 가치를 잘 보존하는 일이 필요하고, 스포츠의 측면에서는 건강, 재미, 대 중화가 필요한 대목이다. 선비정신과 활쏘기가 이런 두 접점에 있어 교량이 됐으면 한다.

      • KCI등재

        飛鳥時代 宮都와 百濟 泗沘期 都城의 構成要素에 관한 比較試論

        鈴木一議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2012 百濟硏究 Vol.56 No.-

        飛鳥시대에는 일본과 백제의 관계가 밀접했으며, 백제가 일본의 국가형성에 끼친 영향은 컸다. 본고에서는 정치적ㆍ문화적 영향이 직접적으로 반영된 것으로 생각되는 宮都를 飛鳥시대의 궁도와 백제 사비기 도성의 구성요소 가운데 나성의존재ㆍ일정한 토지구획의 유무ㆍ궁전건물(대형건물)ㆍ苑池(池狀유구) 등 4개 항목에 입각해서 비교ㆍ검토하였다. 그 결과 나성은 사비기 도성에는 존재하지만 飛鳥에는 존재하지 않았는데 그 요인을 대외관계라는 사회적 배경의 차이로 보았다. 일정한 토지구획은 양자 모두 불명확했다. 이는 중국에서 성립한 條坊制 도성을 도입하기 이전 상황을 나타내는 것으로 평가하였다. 正殿으로 추정되는 궁정건물(대형건물)에는 설계 사상에서 공통점이 있었는데 이는 백제의 영향이었을 가능성을 지적했다. 또한 飛鳥의 원지(지상유구)는 백제의 영향을 받아 방형 기조였음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이 대국적으로 각 요소에 대해 비교ㆍ검토한 결과 飛鳥의 궁도 조영에는 백제로부터의 영향이 적지 않았다. 앞으로는 각 요소에 대한 자세한 검토가 필요할 것이며 이를 통해 일본 궁도 조영의 독자성을 더욱 명확히 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It is thought that the Asuka period of Japan has a close relation with Baekje,and Baekje had a great influence on national formation of Japan. Therefore, in this report, I paid my attention to kyuto(宮都), where it is thought that political and cultural influence are reflected directly. And four points Existence of outer walls (羅城) and a certain. 41)piece of land, Palace building (large-sized building, enchi(苑池) 苑池(pond-like remains)), which made up kyuto of Asuka and Baekje Sabi-period capital(都城), are compared and examined arechaeologically. As a result, outer walls was not in Asuka while it existed in Baekje Sabi-period capital. I think the reason why they are different in the social backgraound of foreingn relations. In kyuto of Asuka and Baekje Sabi-period capital, I can't find the existence of a certain piece of land. This shows the former situation of jobo(條坊) system capital in China. There is a common feature on a design concept in the royal palace building (large-sized building) considered to be a 正殿, and it pointed out a possibility that Asuka was influenced by Baekje. The design of enchi (pond-like remains) in Asuka is estimated to be rectangular, and the shape was taken over that of Baekje's. Generally speaking, when each element is compared and examined, there can be much influence of Baekje so far as constructing kyuto of Asuka. As a future subject, there is the necessity to examine each element in detail, and we can develop the originality of the erection of kyuto in Japan through careful research.

      • KCI등재

        일본 궁도(弓道)의 전개과정에 관한 고찰

        김태영 ( Tae-young Kim ),황의룡 ( Euil-yong Hwang ) 대한무도학회 2021 대한무도학회지 Vol.23 No.4

        이 연구의 목적은 고대부터 현재까지 일본 궁도의 전개 과정을 고찰했으며, 이를 통해서 시기별 일본 궁도의 특징 및 그 무도사적 가치를 밝히는데 두었다. 일본 궁도는 고대 죠몬(Zyomon)시대부터 야요이(Yayoi)시대를 거쳐는 동안에 일상적인 수렵 도구에서 전쟁을 수행하는 투쟁의 도구로 발전했다. 이후 국가 형태가 조성되어 나라를 다스리는 지배계층에서 활과 화살을 신비로운 기기로 숭상하며 자리이(射礼, Jarai)라는 의례 행사로 받아들여 매년 개최되었다. 근세시대인 에도(Eto)시대에 들어와 무사들의 심신 수양과 기예의 탐구를 통해서 예도의 세계를 더욱 다듬고 발전시키는 수단으로 이용되었다. 궁도의 실천을 무사가 갖추어야 할 덕목으로 삼고, 궁사와 양생을 연결한 새로운 건강관리를 추구하기도 했다. 현대에 들어와서는 실용적인 궁도를 지향해 성별이나 체격, 체력, 연령 등에 좌우되지 않고 많은 사람이 심신단련을 위해 참여하는 무도스포츠로 주목받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evelopment process of Japanese archery from ancient times to the present, and to clarify the characteristics and historical value of Japanese archery according to the period. Japanese archery From the Zyomon period to the Yayoi period, it developed from a routine hunting tool to a tool of struggle to wage war. Since then, a national form has been established and bows and arrows are revered as mystical instruments by the ruling class who governed the country, and accepted as a ritual event called Jarai (射礼, Jarai) and held annually. In the Eto period, it was used as a means to further refine and develop Yedo through the samurai’s mental and physical training and exploration of skills. He made the practice of archery a virtue that a warrior should have, and pursued a new health care that linked the archer and his health. In modern society, aiming for practical archery, it is attracting attention as a lifestyle sports that many people participate in for mental and physical training regardless of gender, physique, physical strength, or a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