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라져가는 군사도시의 장소기억 : 강원도 원주시를 중심으로

        김대범(Kim Daebeom) 한국문화융합학회 2020 문화와 융합 Vol.42 No.6

        이 연구는 군사문화를 기억할 수 있는 원주의 군사시설을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장소성을 확보하고 군사도시로서의 정체성을 확보하는 데 목적이 있다. 한국전쟁 이후 원주는 제1야전군 사령부가 이전해 오면서 우리나라를 대표할 만한 군 시설과 군 문화시설이 생겨났다. 전쟁으로 폐허가 된 도시에 군이 전쟁피해 복구사업을 실시하면서 군에 의해 도시가 형성되었다. 미국으로부터 군사원조를 받아 대민지원이 지속되어 꾸준히 발전할 수 있었던 것이다. 전쟁으로 폐허가 된 원주시가 불과 10여 년 만에 신흥도시로 발전할 수 있었던 이유이기도 했다. 또한 역대 대통령들의 원주시찰도 주목할 만하다. 국가적으로 중요성을 가진 장소를 시찰하는 대통령은 원주지역을 군사적 요충지이자 떠오르고 있는 신흥도시였기에 집권세력의 정치적 전략의 지역으로 생각했다. 원주는 제1야전군 사령부 및 예하부대는 물론 미군부대 캠프롱(Camp Long)이 주둔하면서 국가안보를 책임지고 있었기에 단순히 정치적 전략뿐 아니라 중요한 국가통치의 장소로 생각했던 것이다. 그렇게 1990년대까지 군인들을 위한 군사도시로 꾸준히 발전하였지만 2000년대 이후 원주에서 군 부대가 이전하게 되고, 새로운 도시개발정책이 시행됨에 따라 과거 원주를 있게 한 각종 군사시설은 사라지게 되었다. 과거 군사도시 원주의 사라져가는 장소를 기억하고 흔적을 발견하여 체계적으로 정리하는 일은 원주의 도시 정체성 확보는 물론 미래 유산의 보전에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ystematically organize military facilities in Wonju that remember the military culture, to secure the location, and secure the identity of Wonju as a military city. After the Korean War, the headquarters of the first Field Army moved to Wonju, and military facilities representing Korea were created. Afterwards, a city was formed in Wonju, which was ruined by the war, and a war damage restoration project was carried out by the military. Wonju has been able to develop steadily until today because support for Wonju continued through U.S. military aid. This is the background of Wonju City, which was devastated by the war but developed into a new emerging city in little over a decade. Former presidents of South Korea have always visited Wonju-a military hub and a rising emerging city. However, it has been judged as a strategic political area. Wonju is home to the security of South Korea with the presence of the First Field Army Command, subordinate units and the U.S. Army s Camp Long; it was considered not only a strategic political area but also an important city for national governance. Wonju continued to develop as a military city for soldiers until the 1990s. However, after the 2000s, military units moved from Wonju to other areas, and new urban development policies began to be implemented. As various military facilities were established during this period, Wonju began to disappear. It is important to remember the past of the disappearing military city of Wonju and recover traces and organize them systematically, as well as to secure the identity of the city of Wonju and preserve future heritage.

      • KCI등재

        군 유휴시설 문화재생의 특성 및 한계 - 캠프 그리브스, 평화문화진지, 탄약정비공장을 중심으로

        박미연,김선영 한국지역문화학회 2022 지역과 문화 Vol.9 No.1

        The number of cases of cultural regeneration using idle military facilities in Korea is expected to increase. In this regard, this study aims to draw the characteristics of the idle military facilities from the perspective of cultural regeneration, and to point out the limitations and development plans. For this purpose, various researches were conducted, including collecting related documents and records, direct observation and participatory observation through field participation, and one-on-one in-depth interview. From this study, in the idle military facilities to which cultural regeneration was applied, the historicity of the Korean War and division, and the historicity and spatiality of ideological conflicts and Cold War ideologies were revealed through the buildings and structures of military facilities. In addition, professionalism was emphasized through specialized art programs that revealed the keywords of war, division, and peace. On the other hand, the closed structures of military facilities and the locations isolated from the surrounding environment showed limitations in accessibility. In addition, the difficulties in the process of transferring ownership from the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to the local government, lack of professional publicity measures, and the need to strengthen the expertise of art programs were derived as limitations.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contribute academically and practically to increase the possibility of using idle military facilities from the perspective of cultural regeneration.

      • KCI등재

        군민(軍民) 협동과 영화 상영: 강원도 ‘군인극장’

        위경혜 대중서사학회 2014 대중서사연구 Vol.20 No.1

        이 글은 냉전시기 영화 상영문화의 지역성을 살피기 위해 강원도 비도시 군인극장의 역사적 성격을 살펴본 것이다. 군인극장은 1959년부터 1970년대 중반까지 강원도 군단(軍團) 소재 지역 일대에서 개관한 군인과 민간인 대상 극장을 일컫는다. 연구를 통해 구체적으로 살핀 내용은 군인극장 개관 및 운영 방식, 군인극장 기능 및 역할, 관객 구성, 군인극장과 극장 산업 그리고 군인극장의 지역성이다. 연구를 위해 문헌 자료를 포함한 군인극장 및 문화 단체 관련자 구술 증언을 재구성하고 분석했다. 구술 증언을 역사 기술(記述)의 방법으로 선정한 이유는 군인극장 관련 문헌 자료가 상대적으로 부족하다는 사실 이외에, 일상생활 경험으로서 군인극장의 성격을 파악하기 위함이다. 군인극장은 일반 상업극장과 운영 방식에 있어서 별반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특징적인 것은 군인극장 상영 작품 목록이 군단에서 최종적으로 결정되었으며, 성매매 관련 유흥업소 여성이 군인과 함께 관객 구성의 높은 비중을 차지한 점이었다. 군인극장은 대중매체 접근성이 낮은 비도시 지역에서 도시문화 대체 경험의 장소로 기능했다. 또한 군인극장 개관은 가설극장과 순업에 의한 영화 소비 관행을 소멸시키고 지역 극장 구도를 재편하였다. 무엇보다도, 군인극장은 지역 영화 상영 창구(窓口)를 일원화하면서 문화 전파 기구의 통일을 꾀하고 여론 형성의 주도권을 장악했다. 강원도 비도시 군인극장 연구는 그동안 역사 기술에서 누락 또는 삭제된 기록을 발굴하여 지역사와 한국영화사를 재구성하는 동시에 지역 영화 상영 문화의 독자성을 부각시킨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 통화 만발발자 제천유적 추보(追補) 연구: 『통화만발발자유지고고발굴보고』를 중심으로

        정경희(Jung, Kyung-Hee) 한국유라시아연구원 2020 유라시아문화 Vol.3 No.-

        본고는 통화 만발발자 제천유적에 대한 필자의 기존 연구에 근간 『통화만발발자유지고고발굴보고』를 추가, 만발발자 제천유적의 분기별 변천상을 새롭게 조명한 연구이다. 1기-조단(B.C.4000~B.C.3500년)의 시기, 선도사상의 요체인 삼원(천·지·인, 원·방·각)의 상징성을 요령 있게 담아낸 거대 규모의 적석단총, ‘3층원단(모자합장묘)·방대’가 조성되었다. 그 주인은 배달국 초 환웅족이 가져온 선진적 선도제천문화를 수용하여 토템족 웅족사회를 천손족 맥족(환웅족+웅족)사회로 바꾸어놓은 역량 있는 선인 지도자 웅녀군이었다. 1기(B.C.4000~B.C.3000년, 배달국 전·중기) 제천단의 거대 규모와 대비되는 간결하고 담백한 제천의 흔적은 선도제천문화의 태동기, 군더더기 없이 기본에 충실한 선도제천문화의 출발점을 보여주었다. 2기(B.C.13세기~8세기, 단군조선 후기) 만발발자의 드넓은 소도제천지에는 3층원단·방대의 국부에 주·부 제천사 2좌가 들어서 있었을 뿐이었다. 1기에 자리 잡힌 소도제천문화의 기본 틀이 유지되고 있었던 것으로 바라보게 된다. 3기(B.C.8세기~B.C.3세기, 단군조선 말기)가 되자 소도제천문화가 크게 형식화되고 번잡해졌으며, 이전에 보이지 않던 위계성까지 생겨났다. 단군조선 말기 맥족사회의 분열·와해 국면 속에서 선도제천문화도 세속화되고 있었던 것이다. 4기(B.C.3세기~3세기, 고구려 개창기)가 되자 종래 번속화 방향으로 흘렀던 소도제천문화는 재차 간결화되면서 새로운 안정 국면을 맞았다. 고구려의 개창으로 맥족사회가 안정을 찾아가는 시대분위기와 맞물린 변화였다. 5기(3세기~5세기, 고구려 중기)에는 제천시설의 중첩 및 소규모화 현상, 또 제천공간의 축소 현상이 두드러졌다. 고구려 중기 선도제천문화의 위상이 서서히 약화되어 가는 추세를 보여주었다. This paper is a supplementary study that sheds light on the changes of ‘Wanfabozi萬發撥子 relic’ according to the periods by adding 『Tonghua Wanfabozi Site Archaeological Excavation Report』 to my previous study on Wanfabozi relic. During the early 1st period of Wanfabozi(4000B.C.∼3500B.C., early Baedalkook倍達國), the huge scale stone mound altar·tomb, i.e., ‘the three-layered circular altar with attached square altar(3層圓壇·方臺)’ that captured the symbolism of Samwon三元(Cheon天·Ji地·In人, Won圓·Bang方·Gak角), a key element of Sundo仙道 ideas, was built. Its owner was King Ung-nyeo熊女君, a competent good leader who transformed ‘Totem Ung熊 people’ society into ‘Heavenly Maek貊 people(Hwanung桓雄 people + Ung people)’ society by accepting the advanced Sundo culture brought by Hwanung people in early Baedalkook. During the 1st period of Wanfabozi(4000B.C.∼3000 B.C., early and middle Baedalkook), in contrast to the huge scale of ‘the three-layered circular altar with attached square altar’, the traces of concise and plain ritual procedure showed the starting point of the Sundo Heaven Ritual culture, which is faithful to the basics and the essence of the Sundo without any unnecessity. In the 2nd period of Wanfabozi(the 13th century B.C.∼the 8th century B.C., late Dangun Josun檀君朝鮮), there were only two main and secondary temples for Heaven Ritual on a part of ‘the three-layered circular altar with attached square altar’. The framework of the Sundo Heaven Ritual culture, which was established in the 1st period, was maintained. In the 3rd period of Wanfabozi(the 8rd century B.C.∼the 3rd century B.C., late Dangun Josun), the Sundo Heaven Ritual culture was formalized and complicated, and even the hierarchical tendency that had never existed before was formed. In the midst of the division and disintegration of the Maek貊 society in late Dangun Josun, the Sundo Heaven Ritual culture was also being secularized. In the 4th period of Wanfabozi(the 3rd century B.C.∼the 3rd century, early Goguryeo高句麗), the Sundo Heaven Ritual culture, which had been flowing in the direction of secularization, had been arranged in order again and had taken a new phase of stability. These changes were coincided with the mood of the times that the founding of Goguryeo brought a new stability to the Maek society. During the 5th period of Wanfabozi(the 3rd century∼the 5th century, middle Goguryeo), the noticeable point of change in Wanfabozi were just the miniaturization of the Heaven Ritual facilities and the reduction of ritual space. These points show that the status of the Sundo Heaven Ritual culture in the Maek society was gradually weakening from this time 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