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비례대표 국회의원의 당적변경과 국회의원직 유지 여부

        전학선(JEON, Hak Seon) 유럽헌법학회 2020 유럽헌법연구 Vol.0 No.32

        Les députés sont le membre d’organe législatif et le représentant du peuple. Les parlementaires sont membres d un parti politique et peuvent travailler pour un parti politique sur la base de principes politiques. La Corée du Sud a adopté un système de représentation proportionnelle pour sélectionner les membres du parlement ainsi que les Membres élus de l Assemblée nationale des circonscriptions locales Les partis politiques ont créé des partis satellites et envoyé des parlementaires dans des partis satellites pour créer des partis avec des sièges parlementaires. Les Membres élus de l Assemblée nationale des circonscriptions locales peuvent quitter le parti politique et transférer leur adhésion à un nouveau parti tout en créant un parti satellite, mais les membres proportionnels du Parlement ne peuvent pas quitter le parti polirique à cause de l article 192, paragraphe 4, de la loi sur les élections aux fonctions publiques. Si les membres proportionnels du Parlement font la sécessin au parti politique, ils doivent relever de ses fonctions. Pour le changement d’adhésion à un parti politique de représentants proportionnelles membre de l Assemblée nationale, le parti politique expulse les eprésentants proportionnelles. Mais si un membre du parlement proportionnel est expulsé d un parti existant, l adhésion à un nouveau parti n’est pas autorisée. L article 192, paragraphe 4, de la loi sur les élections à la fonction publique dispose que un membre de l Assemblée nationale représentant proportionnel, lorsqu il se sépare de son parti ou change de membre du parti pour des raisons autres que la fusion, la dissolution ou l expulsion, est relevé de ses fonctions. On dit également que l adhésion au nouveau parti change le parti politique, il faut voir que l expulsion de membres proportionnels et leur envoi à d autres partis ne sont pas autorisés par la loi actuelle sur les élections à la fonction publique. Il faut voir que l envoi de représentants proportionnel à d autres partis politiques par l expulsion, également connus sous le nom d auto-exclusion, n est pas conforme à l’esprit du système des parti politique et n est pas autorisé par la loi actuelle sur sur les élections à la fonction publique. 국회의원은 국민의 대표기관으로 입법기관인 국회의 구성원이기도 하다. 국회의원은 정당의 당원으로 정치적 이념에 따라 정당 소속으로 활동하기도 한다. 우리나라에서는 비례대표제를 채택하여 지역구 국회의원과 더불어 비례대표 국회의원을 선출하고 있다. 비례대표 국회의원은 정당의 공천을 받아 정당별 고정명부식 선거제도를 통하여 당선자를 결정하고 있다. 2020년 1월 공직선거법을 개정하여 일명 ‘준연동형’ 비례대표제를 채택하였는데, 이에 따라 2020년 4월 총선거를 대비하여 위성정당이 생겨났다. 정당들이 위성정당을 만들어서 기존의 당원인 국회의원들을 위성정당으로 보내서 국회 의석이 있는 정당을 만들었다. 위성정당을 만들면서 지역구 국회의원은 기존 정당을 탈당하여 새로운 정당으로 당적을 옮기는 것이 가능하나, 비례대표 국회의원은 공직선거법 제192조 제4항으로 인하여 소속 정당으로부터 탈당을 하여 위성정당으로 당적을 변경하는 것이 불가능하므로 기존 정당으로부터 제명을 당하고 새로운 정당으로 당적을 변경하고 있다. 그러나 비례대표 국회의원이 소속 정당으로부터 제명을 당하면 무소속 국회의원으로 남는 것이 되고 새로운 정당에 가입하는 것은 입당이 된다고 보아야 한다. 공직선거법 제192조 제4항은 비례대표 국회의원이 합당이나 해산 또는 제명 이외의 사유로 당적을 이탈ㆍ변경하는 경우에는 국회의원직을 퇴직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새로운 정당에 입당하는 것도 당적이 변경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렇다면 비례대표 국회의원을 제명하여 다른 정당에 보내는 경우, 제명을 당한 비례대표 국회의원은 무소속 국회의원이 되는 것이다. 그러나 비례대표 국회의원이 다른 정당에 당원이 되는 것은 입당에 해당하는 것이고 입당은 공직선거법 제192조 제4항에서 규정하고 있는 합당이나 해산 또는 제명에 해당하지 않으므로 국회의원직을 퇴직하여야 한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공직선거법 제192조 제4항이 위헌인지 여부라든가 타당한지 여부는 별론으로 한다면 정당들이 일명 셀프제명을 통하여 비례대표 국회의원을 다른 정당으로 보내는 것은 정당제도의 취지에도 부합하지 않을뿐더러 공직선거법 제192조 제4항에 의하더라도 허용되지 않는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우리나라 국회의원 선거제도의 개선방향

        김광수(Kwangsoo Kim) 유럽헌법학회 2010 유럽헌법연구 Vol.7 No.-

        국회의 구성원인 국회의원을 선거하는 일은 국민생활의 안정과 삶의 질 향상을 위하여 큰 의미를 가진다. 이 글은 국회의원 선거제도의 현황을 소개하고, 국회의원의 활동을 평가하는 몇 가지 준거점에 의하여 국회의원 선거제도에 대한 개선안을 제시함을 목적으로 한다. 우리 국민은 정치적 관심 및 의식수준이 매우 높은 편이다. 시민 누구나 정치제도의 발전에 대하여 나름대로의 진단과 대안을 내놓을 정도이다. 어떻게 보면 이 글도 필자의 정치인식에 근거한 정치발전을 위한 하나의 제언에 불과하다. 종래의 여러 글들과 다른 점이 있다면 민주주의뿐만이 아니라 법치주의의 관점에서 국회의원 선거제도가 어떻게 변화되어야 할 것인지 모색하고 있는 점일 것이다. 주권자인 국민의 자유로운 의사에 의해 국회의원을 선출함으로써 민주주의는 완성된다. 그러나 헌법이 정하는 국회의원 직무의 효율적인 수행을 위해서는 실질적으로 누가 당선될 것인지에 대한 관심으로 방향전환이 필요하다. 이는 이제까지의 권력배분 위주의 선거제도에서 국회의원의 직무능력 향상을 위한 선거방법으로의 질적인 변화를 의미한다. 고귀한 국민의 의사에 의하여 당선된 것만으로 국회의원은 정당성을 가진다. 그렇지만 헌법이 규정하는 국회의원의 직무수행에 보다 적합한 후보가 선택되도록 하는 제도의 모색이 필요한 시점이 아닌가 생각한다. 이 글에서는 헌법의 규정에 의한 국회의원의 활동을 입법활동, 의결활동 그리고 국정감시활동으로 나누고 이를 충실하게 수행하는 일이 필요하다는 전제 아래에 논의를 전개하였다. 어떻게 보면 법률전문가 위주의 발상이라고 할 수 있으나 반드시 그렇지는 않다. 왜냐하면 국회의원의 입법활동이나 국정감시는 혼자서 연구한 결과가 아닌 많은 지역구 주민들과의 대화 속에서 방향을 찾음으로서 더 좋은 결론에 도달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글은 결국 국민들의 의견을 겸허히 수용하고 이를 합리적으로 정책에 반영시킬 수 있는 대표자를 선출해야 한다는 논의에 기초하여 있다. 선거구제는 소선거구 제도를 유지하여야 한다는 입장을 취하였다. 유권자의 입장에서 복잡한 제도는 우리 정서에 맞지 않는다고 생각한다. 자신이 가장 선호하는 후보에게 투표를 하고 그 결과를 수용하는 방법이 간명하다. 비례대표제와 관련해서 후보자 추천에 있어서 각 산업별, 지역별 그리고 미래세대 등을 대표할 수 있는 다양한 후보를 추천하여야 한다는 제언을 하였다. 그리고 정당마다 후보를 선정한 기준을 명확하게 제시해야 한다는 전제도 달았다. 이 경우에 비례대표 정수의 증가가 있을 수 있다. 후보선정에 있어서 투명성만 보장된다면 이는 허용될 수 있는 일이 아닌가 생각한다. To elect members of Congress has great meaning for job stability as well as quality of life for people. This article introduces the status of the election institution in Korea. Through this, I am going to give a few suggestions on the election system. The level of political interest and awareness of our people is very high indeed. Every citizen has her own view of political system and an alternative policy. This thesis also bases on my point of view on political situation in Korea. But in this paper, I wanted to explore how to change our electoral system for the rule of law as well as for democracy. We may think that democracy is consumated by free election of representatives. However, election is only the starting point of democracy. To fulfil the duties as prescribed by the Constitution, persons qualified for Assemblymen should be elected. So far election functioned as means to allocate powers between political parties. We thought it is the essence of democracy. But it is time to consider the quality of congressmen, too. In this article, duties of members of the National Assembly under the provisions of the Constitution and legislation are divided into legislation, decision making and checking other agencies. Among these, legislation activities are most important. We can say that we should elect more legislation specialists. But this does not mean that legal experts or lawyers are more qualified than others. My opinion is that persons whose ears are open to the voices of people should be elected as representatives. I preferred small election districts to medium or major election districts. Voters don`t like a complicated system. In a small election district, people know who is who and vote for the most favorable candidate. With regard to proportional presentation, candidates representing various callings should be included. Parties must show criteria of the list making clearly. Thinking the importance of proportional representation, an increase of numbers is recommended. Before this, more transparency is needed.

      • KCI등재

        지역구 국회의원의 선출과정과 역할에 관한 연구

        정영석 연세법학회 2024 연세법학 Vol.44 No.-

        There has been a lot of research on the problems of our country's electoral system and ways to improve it. Most of them were about proportional representation. However, the majority of the total number of seats in our country's National Assembly are constituencym member of the National Assembly. Most of the problems that arise in reality regarding the electoral system and political party candidate recommendations are related to the political party's recommendation of candidates for constituencym member of the National Assembly. The phenomena that appear in reality and their causes in relation to constituency members of the National Assembly can b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First, in relation to a political party's recommendation of candidates for constituency members of the National Assembly, there is a need to review the party constitution and rules regarding the recommendation of political party candidates. Second, with regard to the method of electing local lawmakers,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pros and cons of the current system, the single-member district majority representation system, and how it is implemented in reality. Third, there is a need to discuss whether local representatives will recognize regional representation when carrying out their duties. A characteristic of local constituency member of the National Assembly is that candidates and electors have the opportunity to meet face-to-face. For this feature to be an advantage, it must be possible for voters to evaluate candidates closely. However, the current election system does not provide sufficient time to make this possible. There are two ways to think about solving this problem. First, in relation to a political party's recommendation of a candidate for the local National Assembly, the Public Official Election Act stipulates residency requirements that require a candidate to reside in that region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in order to become a candidate in that region. Second, The election campaign period is extended to allow voters to verify candidates. In matters related to the single-member district majority representation system, which is an election method, a multi-party system will be more effective for political stability than a two-party system. For this purpose, it is necessary to relax restrictions on the establishment of political parties. The election campaign period must be extended to allow voters to verify candidates. Electoral district demarcation must be improved to ensure a human composition that is free from the influence of political parties and the National Assembly. Regarding the role of local assembly members, it can be said that because the local autonomy system has been activated, the meaning of recognizing regional representation has been lost. In order for the above alternatives to become reality, they must be legislated. However, since it is difficult to expect changes from the National Assembly itself, it is also necessary for the Constitutional Court to play an active role. 우리나라의 선거제도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에 대한 많은 연구가 있었는데, 대부분 비례대표에 관한 것이었다. 그런데 우리나라 국회 전체 의석수에서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개별 선거구에서 선출하는 지역구 국회의원이다. 선거제도와 정당의 후보자 추천에 관하여 현실에서 제기되는 문제들도 정당의 지역구 국회의원 후보자 추천과 관련된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는 모두 정당들이 개별 선거구 유권자의 의사와는 무관하게 하향식으로 지역구 후보자를 공천하면서 나오게 된 것이다. 지역구 국회의원과 관련하여 현실에서 나타나는 현상들과 그 원인에 대한 논점을 정리하자면 크게 세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첫째, 정당의 지역구 국회의원 후보자 추천과 관련하여 정당의 후보자 추천에 관한 당헌과 당규를 검토할 필요가 있다. 둘째, 지역구 국회의원 선출방식과 관련해서는 현행 제도인 소선거구 다수대표제의 장단점은 무엇이고 현실에서 어떻게 발현되고 있는지를 살펴보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지역구 국회의원이 그 직무를 이행함에 있어서 지역대표성을 인정할 것인지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앞의 두 가지는 지역구 국회의원의 선출과정에 관한 문제이고, 마지막 논점은 지역구 국회의원의 역할에 관한 문제이다. 후보자와 선거인이 직접 대면할 기회가 있다는 것이 지역구 국회의원의 특징인 바, 이것이 장점이 되려면 선거인이 후보자를 면밀하게 평가하는 것이 가능해야 한다. 그런데 현행 선거제도는 그것이 가능할만한 시간적 여유를 확보해주지 못하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예컨대 정당의 지역구 국회의원 후보자 추천과 관련하여 어느 지역의 후보자가 되려면 그 지역에 일정 기간 이상 거주할 것을 요하는 거주요건을 공직선거법에서 정하고, 선거인의 후보자 검증을 위해 선거운동기간을 늘리는 방법을 생각해 볼 수 있다. 선출방식인 소선거구 다수대표제의 장단점과 관련된 문제에서는 정국안정을 위해서는 양당제보다는 다당제가 오히려 더 효과적일 수도 있다. 단독 과반을 이루기 어려운 상황에서는 타협과 협력을 할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하여 정당설립에 대한 요건을 완화할 필요가 있다. 또한 선거구획정위원회는 정당과 국회의 영향력에서 벗어난 인적 구성이 이루어지도록 개선해야 한다. 지역구 국회의원의 역할과 관련해서는 국민 전체의 대표자라는 국회의원의 본질과 지방자치제도가 실시되고 있는 현재 상황을 고려하면 굳이 국회의원의 지역대표성을 인정할 필요는 없다고 할 수 있다. 이상의 내용을 포함한 여러 대안들이 현실화되려면 입법이 되어야 하는데, 국회 스스로의 변화를 기대하기 어렵다는 점에서 헌법재판소가 적극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것도 필요하다.

      • KCI등재

        연령에 따른 국회의원 피선거권 제한의 법적 성격과 그에 따른 위헌심사

        허완중(Heo Wan Jung) 韓國憲法學會 2015 憲法學硏究 Vol.21 No.1

        그동안 19세 이상인 국민에게 대통령과 국회의원의 선거권을 부여하는 공직선거법 제15조 제1항의 위헌 여부에 관해서는 헌법재판소가 여러 차례 결정을 내렸고, 학계에서도 활발한 논의가 있었다. 그런데 공직선거법 제16조 제1항을 따르면 대통령 피선거권은 40세 이상인 국민에게, 같은 조 제2항을 따르면 국회의원 피선거권은 25세 이상인 국민에게, 같은 조 제3항을 따르면 지방의회의원과 지방자치단체 장의 피선거권은 25세 이상인 주민에게 있다. 하지만 연령에 따른 선거권 부여와는 달리 연령에 따른 피선거권 부여는 헌법재판소 결정이 있었는데도, 그다지 큰 문제가 되지 않았다. 특히 선거권 부여 연령보다 더 높은 피선거권 부여 연령과 관련하여서는 피선거권에 선거권보다 더 엄격한 자격과 능력이 요구된다는 추상적 근거 이외에 다른 설명을 찾기 어렵다. 이러한 피선거권 부여 연령의 위헌성 판단과 관련하여 일반적으로 연령에 따른 피선거권 부여를 기본권행사능력 제한이라고 한다. 그리고 헌법재판소는 피선거권이 헌법 제25조 공무담임권에 속한다고 하면서 헌법 제25조의 "법률이 정하는 바에 의하여"를 근거로 입법자에게 폭넓은 입법재량을 부여한다고 하면서 엄격한 심사를 하지 않는다. 그러나 피선거권은 참정권(국가의사 결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기본적 권리)으로서 이를 다루는 입법행위는 헌법이 추상적으로 규정한 기본권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확정하는 기본권형성이 아니라 확정된 기본권의 내용을 행사할 조건을 마련하는 기본권실현적 구체화이다. 따라서 입법자는 제한된 재량이 있을 뿐이다. 그리고 논의의 편의상 국회의원의 피선거권에 국한하여 보면, 국회의원에게는 특별한 전문성이 아니라 국민의 의사를 제대로 파악하고 이를 수용하여 대변할 것이 요구된다는 점에 비추어 보면, 능력이 부족하다고 인정되는 미성년자가 아닌 일반적인 판단력과 결정능력이 있는 성년에게 추가적인 능력을 요구하는 것은 타당하지 않다고 생각한다. 특히 후보자가 해당 직에 적합한 능력이 있는지는 유권자가 판단할 문제라는 점에서 더욱 그렇다. 이러한 점에서 비추어 일반적인 판단력과 결정능력이 있다고 인정되는 성인에게 특정 연령에 도달하여야 피선거권을 부여하는 것은 기본권제한이고, 일반적인 판단력과 결정능력이 없다고 인정되는 미성년자에게 피선거권을 부여하지 않는 것은 기본권행사능력 제한이라고 나누어 보는 것이 타당하다고 생각한다. 그에 따라 연령에 따른 피선거권 부여도 성년인지 미성년자인지에 따라 다른 심사기준으로 위헌심사를 하여야 할 것이다. The constitutional court made decisions several times and there were active discussion in academy also so far about whether the Public Official Election Act Article 15 section 1 violates the Constitution, which endows people over 19 with right to vote on election for the President and National Assembly. But according to the Public Official Election Act Article 16 section 1, the eligibility for the Presidential Election is on people over 40, according to same Article Section 2, the eligibility for National Assembly Member Election is on people over 25, according to same Article Section 3, the eligibility of election for member of local assembly and head of local autonomous entity is on residents over 25. But the endowment of the eligibility for elections according to age, different from the endowment of right to vote according to age, caused no big issues though there was decision of the Constitutional Court. Particularly regarding to the higher age for eligibility to run for election than the age to vote, there is no other explanation except abstract reason that the eligibility requires stricter qualification and ability than that of right to vote. Regarding to the judgement on constitutionality of age to give eligibility for election, this endowment of eligibility for election according to age is generally called as limitation on the capacity to exercise basic right. And the Constitutional Court doesn't apply the strict scrutiny about it saying that the eligibility for election belongs to right of taking a public office at Constitution Article 25 and adding that it endows wide legislative discretion based on Constitution Article 25 "by what the law regulates". But the eligibility for election is suffrage(the basic right to actively participate the decision of staatswille), and the legislation dealing with it is fulfilling actualization which is preparation of condition to exercise the contents of confirmed basic right, not the formation of the basic right which concretely confirms the contents of abstractly defined basic right by the Constitution. So the legislator has only limited discretion. And if we focus on the eligibility for National Assembly Member Election for the discussion's convenience, considering that the members of National Assembly are required the ability to correctly recognize, accept and represent the will of public rather than the special expertise, it is not valid to ask adults additional ability, who has general judgement and determination and are not minors with low ability. Particularly it is so in the point whether a candidate has suitable ability for that office is an issue for voters to judge. In this view point, it is valid to divide it as below; - it is the limitation of basic right to grant the eligibility for election to adults only when they reaches sudden age, who are recognized as having general judgement and determination, and; - it is the issue of capacity to exercise basic right not to grant the eligibility for election to minors who generally acknowledged with no general judgement and determination. Due to this, regarding the eligibility for election according to age, the criteria applied to the constitutional review must be different depending on adult or minor.

      • KCI등재

        국회의원선거구와 평등선거의 원칙

        정연주(Yonju Jung) 한국헌법학회 2016 憲法學硏究 Vol.22 No.1

        이 글은 국회의원선거구획정의 기준인 인구편차의 헌법적 문제를 다룬 것이다. 최근 20대 국회의원선거구가 선거를 목전에 두고 뒤늦게 확정되었는데, 이는 헌법재판소 결정으로 인해 과거와는 달리 선거구간의 인구편차의 상한선이 2:1로 강화되었기 때문이었다. 주지 바와 같이 헌법상의 기본원리인 민주주의원리의 실 현과 참정권의 효율적 보장을 위해서는 헌법정신에 부합하는 합리적인 선거제도 가 필수적이다. 따라서 선거의 헌법상 기본원칙인 보통ㆍ평등ㆍ직접ㆍ비밀ㆍ자유 선거의 원칙이 선거법과 그 운영과정에 철저하게 실현되어야 하며, 특히 평등선 거의 원칙이 국회의원선거구 분할에 있어서 엄격히 적용되어야 한다. 이러한 문제제기의 단초를 제공한 것이 헌법재판소의 2014. 10. 30. 2012헌마 192 등 공직선거법 제25조 제2항 별표1 위헌확인 사건이다. 이 결정에서 헌재는 인구편차 상하 50%를 기준으로 국회의원지역선거구를 정하고 있는 공직선거법 제25조 제2항 별표1 국회의원지역선거구구역표는 그 전체가 투표가치의 평등을 내용으로 하는 평등선거의 원칙에 위반하여 헌법에 합치되지 아니한다는 결정을 선고하였다. 이에 대하여는 국회의원지역선거구를 획정함에 있어 헌법상 허용되 는 기준은 인구편차 상하 50%이므로, 공직선거법 제25조 제2항 별표1 국회의원 지역선거구구역표는 청구인들의 선거권 및 평등권을 침해하지 아니한다는 반대 의견이 있다. 결론적으로 평등선거의 원칙상 최대선거구와 최소선거구간 인구편차는 2:1 미 만이 되어야 하며, 법치주의원리상 인구편차의 허용기준을 법률로 정해야 한다. 또한 이에 대한 예외가 특단의 불가피한 사유가 있을 경우에는 인정될 수 있겠 지만, 이 경우에도 그 정당화사유와 인구편차의 기준을 구체적으로 법률로 정해야 할 것이다. 결국 2:1 미만의 범위안에서 입법자가 구체적인 인구편차의 상한선을 정하고, 그 상한선내에서 행정구역, 교통사정, 사회적ㆍ지리적ㆍ역사적ㆍ경제적ㆍ문화적 연관성 및 생활권과 전통적 일체감, 도농 간의 인구격차, 불균형한 개발, 국회의 원의 지역대표성 등 다양한 사안을 고려하여, 하나의 선거구가 가능한 한 선거구 민의 공통의 이해를 반영시킬 수 있고 통합을 지향할 수 있는 동질성의 바탕위에서 획정되어야 할 것이다. This article addresses the constitutional problems of the criterion for national electoral boundary delimitation, namely the range of discrepancy of population among the electoral districts. Recently, the districts of the 20th National Assembly members election have been demarcated after long political complications. The decision of the Constitutional Court, 2014. 10. 30. 2014Hunma192, triggered the difficulties of the demarcation of the election districts. The reason is caused by the decision that the Court restricted the criterion for national electoral boundary delimitation concerning the range of discrepancy of population from 3:1 into 2:1. According to the equal ballot principle of the Art. 41(1) of the Constitution, the criterion should stay under 2:1 discrepancy of population. In the aspect of this policy, the Court reasoning shows the defects concerning the constitutional justification of the decision. The dissenting opinion of the Court reveals also the misunderstanding regarding the equal ballot principle of the Constitution by asserting that the criterion of 3:1 discrepancy of population can be admitted. In short, the criterion should stay under 2:1 discrepancy of population. According to the Article 25(1) to provide that the election district for a National Assembly member shall be demarcated in the area under jurisdiction of the City/Do, in consideration of the population, administrative districts, geographical features, traffic, and other conditions, the various conditions including the constituencies representativeness of National Assembly Members, the big discrepancy of population between the cities and rural areas, economic imbalance, etc. should be considerated under 2:1 discrepancy of population.

      • KCI등재

        연구논문 : 지방선거와 국회의원선거에서 유권자들은다른 이유로 투표하는가?: 동원과 시민성의 선거 간 차별적 효과에 대한 연구

        김석호 ( Seokho Kim ),한수진 ( Soo Jin Han ) 한국조사연구학회 2015 조사연구 Vol.16 No.3

        본 연구는 한국 유권자의 선거참여 과정에 대한 설명이 전국단위 선거와 지방선거에서 다른 방식으로 이루어져야 한다는 입장을 바탕으로 한다. 그 차이를 드러내는 요인으로서의 동원(mobilization)과 시민성(civic duty)이 투표참여에 미치는 영향력을 지방선거와 전국단위 선거인 국회의원 선거조사 자료를 분석하여 검증하는 데에 목적을 두고 있다. 먼저 지방선거와 국회의원선거에 대하여 동원의 영향력이 차별적으로 존재하는지 살펴보고 두 선거에서 드러난 동원의 영향력이 시민성에 의해 어느 정도 조절되는지를 파악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대학교 한국정치연구소가 수집한 2014년 지방선거 유권자 조사자료와 2012 국회의원선거 유권자 조사자료를 동일한 모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방선거와 국회의원선거 모두에서 유권자가 다양한 사람 또는 집단으로부터 특정후보에 대한 지지요청을 받을수록 선거에 참여할 확률이 높아진다. 둘째, 지방선거에서는 ‘후보자 및 선거운동원’으로부터의 후보지지요청을 받은 유권자가 선거에 참여할 확률이 높아지는 반면, 국회의원선거에서는 ‘가족과 친척’으로부터 요청을 받은 유권자가 선거에 참여할 확률이 높아진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동원의 선거참여에 대한 효과가 두 선거에서 다르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동원과 시민성이 선거참여에 대해 갖는 상호작용 효과를 분석한 결과, 지방선거의 경우 시민성의 수준이 높은 집단에 비해 낮은 집단에서 동원이 미치는 영향력이 강하게 나타났다. 그러나 국회의원선거의 경우 동원이 선거참여에 미치는 영향력은 시민성에 의해 조절되지 않았다. 본 연구 결과는 한국선거에서의 동원은 지방선거와 국회의원선거 모두에서 선거참여를 높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를 가지지만 지방선거에서는 그 효과가 시민성의 수준에 따라 변하는 반면, 국회의원선거에서는 이러한 효과가 존재하지 않음을 보여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유권자의 선거참여 과정이 선거유형에 관계없이 일정할 것이라는 설명에 의문을 제기하는 출발점이 될 수 있으며, 지방선거와 국회의원선거의 투표를 설명함에 있어서 다른 이론적 자원을 가지고 접근해야 한다는 점을 제한적으로나마 밝혔다는 데에서 그 의의를 갖는다. Since data on voting behavior firstly were collected in the early 1990s, there has been enormous increase in the number of empirical studies on this issue in social science, especially in political science in Korea. After local elections were adopted to elect governors, mayors, and local council members in 1995, furthermore, the empirical approach became more important to understand political attitudes and behaviors in Korean elections. However, the existing studies tend to employ the same theoretical framework for understanding national and local elections. Unfortunately, social scientists in Korea have few explanations for how people differently vote between national and local elections. Despite the same voter responds differently to presidential election and local election, for instance, little is known about how local elections are different from national elections. This study attempts to reveal the systematic differences in voting turnout and vote choice between the national election for national assembly and local election in Korea, focusing on the effects of mobilization, civic duty, and their interaction. Whether mobilization has differential impact on vote turnout between the 2014 local election and the 2012 election for national assembly, and how this effects varies according to the level of civility are examined in this study. This study also verifies how the mobilization effect is moderated by civic duty depending on the different types of elect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voters who are exposed to mobilization are more likely to vote in both elections. Second, the mobilization by candidates or political activists is most influential to vote turnout in the local election, while the mobilization by family members or relatives is most salient in the national election. Third, the effect of mobilization is significantly varied by the level of civic duty in local election, whereas it is not in the national election. No interaction effect between mobilization and civic duty on vote turnout is found in the 2012 election for national assembly. This study confirms that the determinants of vote turnout in the national election differ from the ones in the local election, thereby emphasizing the necessity to establish the differential framework to explain political attitudes and behaviors between different types of elections in general.

      • KCI등재

        정치적 영역에서 여성참여를 높이기 위한 정당공천 여성할당제와 남녀평등

        전학선(JEON Hakseon) 세계헌법학회 한국학회 2010 세계헌법연구(世界憲法硏究) Vol.16 No.2

        정치 영역에서 여성들의 참여를 높이기 위하여 여러 국가에서 여성할당제를 채택하고 있다. 즉 공직 선거에 있어서 일정비율을 반드시 여성들을 추천하도록 하는 제도를 채택하고 있는 것이다. 우리나라도 현재 공직선거법 제47조 제3항에서 ‘정당이 비례대표국회의원선거 및 비례대표지방의회의원선거에 후보자를 추천하는 때에 는 그 후보자 중 100분의 50 이상을 여성으로 추천하되, 그 후보자명부의 순위의 매 홀수에는 여성을 추천하여야 한다.’고 하고 있고, 제4항에서 ‘정당이 임기만료에 따른 지역구국회의원선거 및 지역구지방의회의원선거에 후보자를 추천하는 때에는 각각 전국지역구총수의 100분의 30 이상을 여성으로 추천하도록 노력하여야 한다.’ 하고, 제5항에서 ‘정당이 임기만료에 따른 지역구지방의회의원선거에 후보자를 추천하는 때에는 지역구시·도의원선거 또는 지역구자치구·시·군의원선거 중 어느 하나의 선거에 국회의원지역구(군지역을 제외하며, 자치구의 일부지역이 다른 자치구 또는 군지역과 합하여 하나의 국회의원지역구로 된 경우에는 그 자치구의 일부지역도 제외한다)마다 1명 이상을 여성으로 추천하여야 한다’ 하여 국회의원 선거와 지방의회 의원 선거에서 여성들을 위한 여성할당제를 채택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여성할당제는 여성들에 대한 적극적 우대조치라 할 수 있는데, 적극적 우대조치도 남성들에 대한 역차별로 작용될 수 있다. 또한 후보자를 공천하는 정당에게는 정당의 자유를 제한하는 효과로 나타난다. 따라서 이러한 점들에 대한 헌법적 고찰을 하여 본다. La loi relative l'élections politiques dispose les quatas par sexe. Quand un parti politique a l'intention de recommander à ses membres comme candidats à se présenter aux élections à représentation proportionnelle nationale membre de l'Assemblée et les candidats à courir dans la représentation proportionnelle locales élection membre du conseil, ce parti politique recommande pas moins de 50/100 des candidats parmi les femmes candidates et de recommander relevant de chaque nombre impair dans l'ordre de la course candidat parmi les femmes. Quand un parti politique a l'intention de recommander à ses membres comme candidats à se présenter aux élections pour les membres de l'Assemblée nationale de la circonscription locale et à l'élection des membres du conseil local de la circonscription locale après leur mandat arrive à expiration, comme parti politique est le travail de recommander au moins que 30/100 du nombre total des candidats à se présenter aux élections pour les circonscriptions à l'échelle nationale parmi les femmes. L'article 11 de la Constitution dispose l'égalité de sexe. A mon avis, les quatas par sexe sont contraire à la Constitution en Corée. Les quatas par sexe sont contraire à l'égalité et à la liberté des partis pilitiques.

      • KCI등재

        의회민주주의와 국회의원선거체계의 개혁― 민주적 대표성의 관점에서 ―

        음선필 한국공법학회 2013 공법연구 Vol.42 No.1

        This paper searches for any changes in the electoral system of the National Assembly(hereafter, “electoral system”) for the development of a parliamentary democracy. It is desirable to establish the conditions necessary for the successful operation of a parliamentary democracy under the changes in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the modern state. One of the conditions is reinforcing ‘democratic representation’. Democratic representation in a parliamentary democracy includes the democratic legitimacy of representation in the parliament, the representation of the will and interests of the whole people, and the responsibility of the National Assembly. Korean parliamentary democracy is greatly influenced by the electoral system. The system is basically a majoritarian one with the national constituency proportional representation as an additional member system for political parties. The systems has such constitutional functions as the election of MP’s, the organization of the National Assembly, the change of the relations between executive and legislative branches, and the political control of the people. From the point of view of democratic representation and the constitutional functions of parliamentary elections, there are many problems in the current electoral system; political culture of struggle and even confrontation between political powers rather than compromise, severe disparity between political forces and social forces, political regional monopolies due to regionalism combined with a simple majority rule of local district, restricted political competition through barring entrance of new political forces with only a small portion(mere 18%) of the proportional representation seats, strong party discipline due to imperfections of democracy within the party, and the possibilities of a divided government as well as the atrophy of the National Assembly because of non-concurrent electoral cycle. In order to improve the electoral system for the development of parliamentary democracy, two aims are to be pursued; the one is the substantial political control of voters, the other the genuine political competition between political forces. The former means reinforcing voter’s influence on political parties and candidates, the latter includes the intraparty competition(increased proportionality) as well as the interparty competition(diversity and autonomy of the MP’s). These two aims can be achieved by the following changes; mixed cycle of concurrent/non-concurrent elections of the President and of the National Assembly, allocation of district seats and proportional representation seats in the ratio 2:1, rejection of a proportional representation system by which the best losers could be elected in a district constituency, a proportional representation system with a regional party list and the distribution of seats at national level, election of candidates at least until 35 days prior to the day of vote for voters’ right to know and for the faithful verification of the parties’ policies, and open list(lose gebundene Liste) and preferential vote for the aggrandizement of political control over parties. 이 글은 의회민주주의의 발전을 위하여 국회의원선거체계에 어떠한 변화가 필요한가를 고민하고 있다. 현대국가의 구조와 기능의 변화를 所與로 인정하고 이러한 여건 하에서 의회민주주의의 성공적 운영을 위해 필요한 대의제도의 성공조건을 정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본다. 의회민주주의는 본질적으로 대의제도를 전제로 하기 때문이다. 그러한 것의 하나로 ‘민주적 대표성’의 강화를 들 수 있다. 의회민주주의에서 민주적 대표성은 의회 구성의 측면에서는 대표관계의 민주적 정당성, 의회 운영의 측면에서는 전체 국민의 의사ㆍ이익의 대표, 의회 성과의 측면에서는 책임의회를 의미한다. 민주적 대표성의 관점과 국회의원선거의 기능을 통하여 현행 선거체계를 살펴보면, 안정된 다수의 형성이라는 대표원칙에 의하여 정치권력간에 타협보다는 대립 내지 투쟁을 중시하는 문화가 배양되며, 지역선거구의 단순다수결 의사결정규칙에 의하여 원내 정치세력과 사회세력의 괴리가 크게 나타나고 또한 정당은 지역주의와 결합한 가운데 지역적 독과점체제를 구축하고 있으며, 겨우 18%에 불과한 비례대표의석수는 새로운 정치세력의 진입을 사실상 제한함으로써 정당간 건강한 경쟁을 제약하고 있으며, 당내 민주주의의 불완전함으로 의원의 정당기속이 강하게 나타나고 있다. 또한 대통령선거와 국회의원선거의 선거주기가 일치하지 아니함으로 말미암아 분점정부의 가능성이 커지는 동시에 대통령에 대한 국회의 위축 현상이 아울러 나타나고 있다. 한국 의회민주주의의 발전을 위해 국회의원선거체계를 개선함에 있어서 지향점은 ‘선거권자의 실질적인 정치적 통제’와 ‘정치세력간의 진정한 정치적 경쟁’이라고 본다. 정치적 통제는 정당과 후보자에 대한 선거권자의 영향력 확대를 의미한다. 정치적 경쟁은 정당간 경쟁과 정당내 경쟁으로 나뉘는바, 정당간 경쟁은 비례성 증대를, 정당내 경쟁은 의원의 다양성과 자율성을 일차적 목표로 한다. 이러한 정치적 통제와 정치적 경쟁을 최대한 구현할 수 있는 선거체계의 개선방안으로는 첫째, 대통령선거과 국회의원선거의 선거주기를 혼합주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본다. 이를 위하여 대통령선거와 지역구의원을 동시에 선출하고, 대통령 임기 중간에 비례대표의원을 선출하는 방식이 효과적이라고 본다. 둘째, 현행 병립제를 전제로 하여 지역구의석수:비례대표의석수를 2:1로 하는 것이 현실적이라고 본다. 이는 비례대표의원의 전문성과 비례성을 최대한 확보하기 위함이다. 셋째, 지역구결합비례대표의원제는 그 취지와 달리 비례대표의원을 선출하는 것이 아니라 사실은 ‘지역구의원 추가선출제’ 또는 ‘소수대표 지역구의원제’로서의 성격을 지니고 있다는 점에서 비판의 대상이 되고 있다. 지역주의의 극복을 위해서는 비례대표의석수를 증가하면서 정당간 경쟁을 확보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본다. 넷째, 비례대표의석수의 증가와 함께 비례대표의원선거제의 변화가 필요한데, 보통 주장되는 권역비례대표제는 지역주의의 溫存, 비례성의 저하에 따른 비례대표선거제의 본질에의 위배, 인위적 상한선의 설정에 따른 위헌성이라는 제도적 결함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정당에 대한 전국적 평가와 통제를 가능케 하고 명부작성의 실효성과 선거권자의 정치적 통제 구현을 위하여 ‘권역명부식 전국비례대표제’가 바 ...

      • KCI등재

        역사적 제도주의를 통한 이승만 정부의 국회의원 선거제도 분석

        김연회(Kim, Yean-Hoy),정태일(Chung, Tae-Il) 한국정치사회연구소 2021 한국과 국제사회 Vol.5 No.3

        본 연구는 이승만 정부의 국회의원선거제도가 한국 국회의원선거제도의 토대가 되고 있다는 인식에 근거하여 역사적 제도주의를 활용해 이승만 정부의 국회의원선거제도를 생성과정, 지속과정, 조정과정, 변화과정으로 검토하였다. 첫째, 생성과정은 국회의원선거법에 직접 영향을 줄 수 있는 정치세력의 부재로 정당에 대한 인식의 부족하여 선거결과도 정당보다는 무소속의 당선이 많았다. 둘째, 지속과정은 국회의원선거법에 미세한 변화가 있었지만 선거결과에는 아무런 영향을 주지 못하였다. 셋째. 조정과정은 국회의원선거법의 변화보다는 이승만 대통령의 정당창당과 정당추천제의 도입으로 집권당인 자유당의 절대우위체제가 구축되었다. 넷째, 변화과정은 입후보자의 등록기간 단축과 기탁금제의 도입으로 무소속의 입후보자가 급감하였을 뿐만 아니라 당선자도 정당소속이 대부분 이었으며, 집권당을 견제할 수 있는 양당체제가 구축되었다. 이승만 정부의 국회의원선거제도는 한국의 국회의원선거제도의 근간을 마련하였다는 긍정적 효과가 있는 반면에 대통령이 집권안정과 집권연장을 위해 국회의원선거제도를 왜곡하였다는 부정적 효과도 나타났다. This study is based on the recognition that the Rhee Syngman administration’s national assembly election system is the foundation of the korean national assembly election system. This study examined the Rhee Syngman administration’s national assembly election system as the process of creation, continuation, adjustment, and change through historical institutionalism. First, the creation process lacked awareness of political parties due to the absence of political forces that could directly affect the national assembly election act, resulting in more independent elections than political parties. Second, the continuation process had minor changes in the national assembly election act, but it did not have any effect on the election results. Third, the adjustment process established an absolute advantage of the liberal party with the founding of a political party and the introduction of party recommendation system by President Rhee Syngman rather than a change in the national assembly election act. Fourth, the change process not only the number of independent candidates decreased sharply due to the shorter registration period of candidates and the introduction of the deposit system, but the elected were mostly affiliated with political parties, and a two-party system was established to check the ruling party. The Rhee Syngman administration’s national assembly election system has a positive effect that it laid the foundation for the korean national assembly election system, it also had a negative effect of distorting the national assembly election system for stabilizing and extending the political power.

      • KCI등재후보

        국회의원 미디어 노출과 당선 결정변인의 영향력에 관한 연구

        김성태(Sung-Tae Kim),김선미(Sun-Mi Kim),방은주(Eun-Joo Bang) 고려대학교 평화연구소 2008 평화연구 Vol.16 No.2

        본 연구는 국회의원들의 개인적(연령, 학력, 몇선인가 여부), 제도적(정당, 지역구, 득표율) 변인들과 신문과 텔레비전 등의 미디어의 보도 량이 선거에서 유권자들의 정치적 선택에 영향을 미친다는 전제하에서 출발한다. 이를 위해 지난 제14대에서 제16대 국회의원들의 개인적, 제도적 변인들이 미디어 보도량을 결정하는데 어느 정도 영향을 미쳤는지, 궁극적으로 차기 선거에서 당선자와 낙선자 그룹들의 비교에서 변인들의 차이가 어느 정도인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심층인터뷰를 통해 얻어진 다양한 변인들을 이용하여, 지난 각 회기(14대~16대) 국회의원들에 대한 미디어 보도의 일반적인 특징은 무엇인가, 국회의원들의 개인적, 제도적 그리고 미디어 관련 변인들이 차기 국회의원 선거에서의 낭선여부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를 살펴보았다. 국회의원의 미디어 보도에 관한 기술적 분석 및 선거 당선자와 낙선자의 제요인들을 비교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첫째, 국회의원들의 미디어 보도량에 있어서 정당에서 주요 직책을 맡고 있는 국회의원들이나 대통령 선거 출마 후보군들이 군소정당(群小政?) 국회의원 후보자나 신인정치인 보다 미디어 보도량이 많은 경향이 나타났다. 둘째, 국회의원들의 다양한 개인적, 제도적 변인들 가운데 개인적 변인인 연령, 학력, 선수 등과 제도적 변인인 득표율이 미디어 보도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국회의원 당락의 제요인을 비교 분석해 본 결과 당선과 낙선에는 개인적 요인보다 제도적 변인들이 유의미한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This paper assumes that personal variables of (age, education, etc.), institutional variables of lawmakers (party, local constituency, etc.) and media exposure in television and newspapers bave influence on voters’ political choice. From the 14th to the 16th national elections of the National Assemblymen, this research attempts to understand bow much personal and institutional variables of lawmakers influence media exposure and result in elections.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in their exposure to the media, important role-players in parties or potential candidates for presidential elections are inclined to bave more media exposure than minor-party or new politicians. Second, personal variables (age, academic background) bave an effect on more media exposure than institutional ones (party, local constituency) do. Last, by comparing the causes of successful and unsuccessful candidates during election, personal variables play more important roles in being elected than institutional variables do.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