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정당의 여성국회의원 후보자 공천과 한국의 여성정치

        오미연(Miyeon Oh),김기정(Kijung Kim),김민정(Minjeoung Kim) 한국정치학회 2005 한국정치학회보 Vol.39 No.2

        본 연구에서는 여성국회의원 공천후보자들에 대한 분석을 통해 각 주요 정당이 어떤 여성들을 정치에 받아들였는지를 보고 한국 여성정치의 현주소를 보고자 한다. 특히 정당이 어떤 여성을 충원하려는가를 통해 한국의 여성정치 현실을 보려는 것이 이 연구의 핵심이다. 본 연구에서는 정당이 여성국회의원을 공천하기 위한 변수들 - 지역적 안배, 재정적 기여, 주요 정당의 역학관계, 정당성을 위한 여성의 활용 - 중 주요 정당의 역학관계와 정당성을 위한 여성의 활용 측면이 주요 변수임을 설명하고, 이를 제15ㆍ16ㆍ17대 국회의 주요 정당의 구조적 역학관계와 여성공천을 통해 살펴보고자 한다. ‘정당의 여성 활용 변수’라는 분석틀을 정하고 이를 직업적 전문성, 15ㆍ16ㆍ17대 여성 국회의원 공천 후보자 분석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사실은 15대와 16대에 주요 정당들이 직업적 전문성의 여성을 중심으로 하려 했던 데에 비해, 17대에는 여성후보를 공천하는데 있어 정치적 경험성과 여성단체의 대표성에 보다 무게를 실었다는 점이다. 이러한 배경에는 정치영역에서의 여성 충원 필요성에 대한 사회의 전반적 인식과 비례대표제에서 50%의 여성 할당제 적용을 들 수 있다. 또한 주요 정당은 각 당의 이데올로기에 맞추어 정당 내부 출신의 여성이나 여성단체나 시민단체에서 활동한 여성들을 공천하려는 노력을 대외적으로 보여주었다. 이를 바탕으로 17대 총선에서 여성후보를 공천하고 충원하는 과정에서 한국의 여성정치의 새로운 기점으로 보고 서구화 내지는 선진화되기 시작했다는 평가가 있다. 또한 여성단체의 역할 증대에 대해서도 긍정적인 평가가 있다. 그러나 여전히 현실적인 한계가 많다. 남성정치의 영역을 포괄한 한국정당의 구조와 제도의 현주소가 아직도 불안정하고 민주주의 공고화 단계로 접어드는 과도기에 있기 때문이다. 다만 여성의 정치참여가 사회의 다른 영역에 비해 극히 제한되어 있는 현실에서 제15대에서 제17대 총선에 후보로 공천받은 여성들을 분석해 볼 때 여성정치의 제도와 구조의 변화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자리잡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정당의 구조와 선거제도가 여성의 참여를 보다 활성화하는 방향으로 전환되어야만 한국의 여성정치는 보다 발전된 방향을 나아갈 수 있을 것이고 이는 아직도 많은 문제를 내포하고 있는 한국정당정치에 대한 고찰로부터 시작되어야 할 것이다. This paper will analyze the process of political recruitment and the overall female political structure of South Korea by taking a look at how women are selected to candidates for the National Assembly by the main political parties. Female aspirants to the Korean National Assembly should pass successive phases in the recruitment process, and the candidate nomination by the parties is the most crucial one in that process. Since the nomination is directly proceeded within the political parties, it reflects the structure of the main parties, their relations and therefore the overall political structure including the parties. Above all, this study explains the dominating influences of political party's mechanics as well as female application concerning party's legitimacy among the 4 variables - regional arrangement, financial commitment, mechanics of political parties, and application in terms of party's legitimacy. And then, it analyzes these two in the 15<SUP>th</SUP>, 16<SUP>th</SUP>, and 17<SUP>th</SUP> National Assemblies. For the analytical frame, this study provides 4 variables - professionalism, political experience, representation by NGOs, politician parentage - in order to show political party's selection process of female candidates within its structure. Based on these variables, this paper classifies female candidates in the 15<SUP>th</SUP>, 16<SUP>th</SUP>, 17<SUP>th</SUP> National Assemblies according to their backgrounds and interviews. Also, this study analyzes the Korean electoral system regarding legislative recruitment; 1) proportional representation and 2) majority representation by a single-member electorate.

      • KCI등재

        제17대 국회와 제21대 국회 여당 초선의원 특징 비교: 제17대 열린우리당 초선의원들의 정치적 영향력을 중심으로

        가상준(Ka, Sangjoon) 서강대학교 현대정치연구소 2021 현대정치연구 Vol.14 No.2

        본 연구는 제17대 국회와 제21대 국회 여당 초선의원의 특징과 정치 환경 비교를 통해 두 의원들이 보여주고 있는 정당 및 국회 내 역할에 있어 유사점과 차이점은 무엇인지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제17대 국회 여당 초선의원들의 정치적 활동을 통해 여기에 영향을 미친 요인에 대해 알아보고, 제21대 국회 여당 초선의원들에게 던지는 의미가 무엇인지 고찰해 보았다. 두 국회 여당 초선의원들의 국회 입성 배경과 정치경험을 보았을 때 유사한 특징이 있다. 그러나 이들이 맞이한 정치 환경, 무엇보다 정당 리더십, 청와대와의 관계 등에서 차이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한편, 제17대 국회 열린우리당 초선의원들이 미치고 있는 중요한 정치적 영향력을 알 수 있었다. 제17대 국회 열린우리당 초선의원들의 진정한 영향력은 제17대 국회가 아닌 이후 특히, 제21대 국회 그리고 문재인정부에서 나타나고 있다. 앞으로도 국회의 초선의원의 비율은 항상 높을 것이다. 국회와 정당에 대한 불신 해소 위해 새로운 인물을 영입하는 물갈이 전략을 각 정당들은 구사할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제17대 국회에서와 같이 특정 정당 소속 108명의 초선의원들이 국회에 진출하는 일을 찾아보기는 힘들 것이다. 제17대 국회 열린우리당 초선의원들에 대한 관심이 지금도 이어지듯이 오랜 세월이 지난 후에도 제21대 국회 더불어민주당 초선의원들에 대한 관심은 지속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Freshmen of the Ruling Party of the 17th and 21st National Assembly. Also, it examined the role of first-term members of the 21st National Assembly in the National Assembly and within the party. Similar characteristics were found when looking at the backgrounds and political experiences of the two Freshmen of the ruling party. Also, it found that the Freshmen of the Uri Party in the 17th National Assembly were still active not only in the National Assembly but also in the Blue House and the Cabinet. They played an influential role in current politics. The proportion of Freshmen in the National Assembly have been always high. This is because each political party implements the typical strategy of recruiting new members to relieve distrust on the National Assembly and political parties. However, it would be hard to find 108 Freshmen from a particular political party to enter the National Assembly, as it did in the 17th National Assembly. As interest in the Freshmen of the Uri Party of the 17th National Assembly continues, interest in the Democratic Party"s Freshmen of the 21th National Assembly will continue even after a long period of time.

      • KCI등재

        입법성과가 재공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제19대 국회의원을 대상으로

        김기동 ( Kim Gidong ),차보경 ( Cha Bokyoung ),이재묵 ( Lee Jaemook ) 한국의회발전연구회 2018 의정연구 Vol.24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의원들의 입법성과가 재공천 여부에 어떤 영향력을 미치는 가를 밝혀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제19대 국회의원들을 분석대상으로 하여, 법안발의수/법안가결수/법안가결률로 표현된 입법성과가 차기 총선에서의 재공천에 미친 영향을 분석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전체 322명의 의원들에 대한 분석과, 실제 공천경쟁에 뛰어든 270명의 의원들에 대한 분석을 각각 실시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첫째, 전체 의원들 사이에서는 법안발의수가 많을수록, 그리고 법안가결수가 적을수록 재공천에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는 입법성과보다 선출유형에서 비롯된 결과라고 볼 수 있다. 둘째, 공천신청의원만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에서는 입법성과 변수들이 모두 재공천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발휘하지 못했다. 이에, 본 연구는 유권자에 대한 반응성 제고와 대의민주주의의 강화를 위해 첫째, 공천심사 기준 및 방식의 명문화와 둘째, ‘상향식(bottom-up)’ 공천방식으로의 전환을 주장한다.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members’ legislative performance on their renominations in the 19<sup>th</sup> Korean National Assembly. We measure how many bills each member has proposed and passed in the Assembly. In addition, we also include rate of passing bills as an indicator of legislative performance. Particularly, we analyze 320 members in total, and 270 members who got in on the competition for nomination separately. The empirical findings of our study show that, firstly, among the total members in the Assembly, as they propose bills more and pass bills fewer, they are more likely to be renominated in the very next election. However, this is a result of different types of members rather than legislative performance. Secondly, among the members who actually competed for renomination, the legislative performance of members can not affect their renomination. Therefore, we argue that it is necessary to stipulate nominations criteria and transform top-down nomination method to bottom-up one in order to raise responsiveness and enhance representative democracy.

      • KCI등재

        정당공천의 제도화: 19대 국회에서의 법제화 논의를 중심으로

        이정진 한국의정연구회 2019 의정논총 Vol.14 No.1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find a desirable method of candidate selection. There are many discussions and debates on the legislation of the candidate selection in the 19th National Assembly. The candidate selection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functions of the political party. Since the party nomination was introduced in the election of the third parliament in 1954, the process of candidate selection for each party was an important issue at each election. However, due to the controversy in the process of candidate selection, criticism about the lack of fairness and transparency, some law makers and scholars argue to introduce open primaries. But the open primary may reduce the autonomy of political parties and weaken the role of political parties. In this paper, I would like to suggest the preferred direction of candidate selection. Party nomination has been changed from a top-down approach unilaterally determined by party leadership to a bottom-up approach involving party members, delegates or ordinary voters in South Korea. This shows that as the party management system has become democratic, the nomination method has been shifted to the direction of increasing the openness. However, it is necessary to discuss whether it is desirable to maximize openness, such as the introduction of a full national election system. This is because the openness and democracy of the candidate selection process conflict with the responsibility and autonomy of the party. 이 논문은 제19대 국회에서 논의되었던 정당경선 법제화 논의를 중심으로 바람직한 공천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공천은 정당의 가장 중요한 기능 가운데 하나이며, 1954년 제3대 국회의원선거에서 정당공천이 도입된 이후 선거 때마다 각 정당의 후보자 추천 과정은 중요한 이슈였다. 하지만 공천과정에서 나타나는 공천헌금 논란이나 공정성과 투명성 부족에 대한 비판으로 인해 완전국민경선제 등 공천권을 유권자에게 돌려주는 방식이 대안으로 제시되고 있다. 본문에서는 국회의원선거를 중심으로 정당공천의 제도화 과정을 역사적으로 살펴본 뒤 제19대 국회에서 논의된 정당경선 법제화 방안을 검토하여 시사점을 모색한다. 한국의 정당공천은 정당 지도부에서 일방적으로 결정하던 하향식 방식에서 당원, 대의원 혹은 일반 유권자를 참여시키는 상향식 방식으로 변화되어왔다. 이는 정당 운영방식이 민주화되면서 공천방식도 개방성이 확대되는 방향으로 전환되었음을 보여준다. 하지만 완전국민경선제의 도입과 같이 개방성을 극대화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인지에 대해서는 좀 더 깊은 논의가 필요하다. 공천과정의 개방성과 민주성이 정당의 책임성이나 자율성과 충돌하는 측면이 있기 때문이다.

      • KCI등재

        한국 정당의 후보공천과 본선 경쟁력: 제21대 국회의원 선거를 중심으로

        이가림(Lee, Ga-Lim),조원빈(Cho, Won-Bin) 한국동북아학회 2022 한국동북아논총 Vol.27 No.1

        정당의 공천은 후보자의 본선경쟁력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 이 연구는 제2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더불어민주당과 미래통합당이 253개 지역구 대상으로 추천한 후보자 488명과 개별 지역구에 대한 데이터를 이용해 공천 방식이 후보자의 본선득표율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발견했다. 통계분석 결과, 국회의원 선거에서 상향식 공천 방식은 비현직 후보들의 본선득표율 향상에 기여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대의민주주의를 구성하는 정당의 핵심 기능 중 하나는 공천이다. 공천은 치열한 당권 경쟁의 산물이며 당의 이미지와 정책을 둘러싼 갈등의 결과물이기도 하다. 정당이 공천한 후보는 유권자들의 지지를 획득하고 선거에 승리해 당선자가 된다. 선거를 앞둔 정당의 공천 결과는 이 정당이 승리하면 앞으로 어떻게 정당의 리더십을 구성하고 어떠한 정책을 중점적으로 추진할지에 대한 정보를 유권자에게 미리 제공하게 된다. 정당 공천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는 정당의 제도화와 더불어 민주주의의 심화에도 중요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How does a party’s candidate selection method affect a candidate’s electoral competitiveness? In the 21<SUP>st</SUP> National Assembly elections, both the Democratic Party and the United Future Party selected 488 candidates for 253 constituencies. Using data set on the 488 candidates, this study argues that the candidate selection methods should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a candidate’s vote share in the election. The statistical results show that the bottom-up method actually increases the vote share for a non-incumbent candidate in the constituency. Candidate selection is one of the key functions of political party in the representative democracy. The final results of candidate selection are the product of power struggle among factions within a party and debates over party policies. Candidate selection of a party can provide voters with information about how the party’s leadership will be formed and what policies it will focus on if the party wins the elections. A study on a party’s candidate selection methods will have an important impact on the institutionalization of political party as well as the deepening of democracy.

      • KCI등재후보

        제19대 국회의원선거와 부산지역 정당지지도 분석

        이동윤(Dong Yoon Lee) 경희대학교 인류사회재건연구원 2012 OUGHTOPIA Vol.27 No.1

        이 연구는 제19대 국회의원선거에서 부산 지역을 중심으로 펼쳐진 각 정당의 후보공천과 선거과정을 고찰하고, 그 선거 결과를 정당지지도 차원에서 분석하였다. 전통적으로 새누리당의 강력한 지지기반이었던 부산 지역은 이번 선거에서 유권자 투표행태의 점진적 변화 가능성이 표출되었다. 전체 18개 의석을 놓고 경쟁한 부산 지역은 이번 선거에서 새누리당이 16석, 민주통합당이 2석을 획득하였다. 현실적으로 다양한 정치 ?사회적 균열에도 불구하고, 과거 역대 선거에서 지역주의 구도를 통해 새누리당에 대해 비교적 강력한 정당지지도와 정체성을 보여 왔던 부산 유권자들은 이번 선거 결과를 통해 단순히 지역주의 차원이 아닌 또 다른 정치적 균열과 권력관계로의 변화 가능성을 표출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즉, 이번 선거에서 부산 유권자들은 민주당에 대한 높은 지지를 통해 새누리당과 그 후보들을 대신할 수 있는 새로운 인물과 대체정당의 기대심리를 표출했다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제19대 국회의원선거를 통해 나타난 부산 지역의 선거 결과는 향후 8개월 앞으로 다가온 제18대 대통령선거나 차기 국회의원선거에서도 부산 지역의 정당지지도 변화에 따라 선거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또 다른 변수로 작용할 가능성이 커지고 있으며, 이에 따른 지속적인 관찰과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process of candidate nomination and electoral campaign of each party in Busan in the 19th National Assembly Election, and to analyze the electoral result in dimension of party support and politics. Busan voters, who were strong supporters for Saenuri Party traditionally, expressed change possibility of their voting behavior in this election. In Busan, was allocated 18 seats in this election, Sanuri Party gained 16 seats, and Democratic United Party (DUP) got 2 seats. actually, in spite of various social-political cleavages, Busan voters displayed strong party support and identity toward Saenuri party through regionalism structure in the last elections. But, in this election, Busan voters expressed change possibility of regional structure as well as toward another political cleavage and new power relations. That is, Busan voters represented the expectation psychology for new figure and alternative party instead of Saenuri Party through the high support for DUP. In conclusion, the result of this election is making more higher possibility, that change of party support from Saenuri Party to other parties in Busan will effect the 18th presidential election and next national assembly election, so that it needs continuous observation and research.

      • KCI등재

        한국의 정당공천제도: 정당의 국회의원 후보는 누가 결정하는가?

        이동윤 한국정치정보학회 2020 정치정보연구 Vol.23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candidate nomination process of political parties in each Korean national assembly election, and to suggest the developmental direction for improving problems of party politics. In Korean politics, candidate nomination in the process of election is very important for democratic development of party politics. In spite of this, candidate nomination of political parties made many problems in Korean national assembly election. In dimension of political party’s democracy, candidate nomination process was improved in a some degree, but it was not institutionalized in political party’s nomination process. In according to this,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andidate nomination process of political parties in dimension of party’s democracy and fairness, and to seek developmental direction for promotion of political party’s representation in the process of election. 이 연구는 한국의 국회의원 선거과정에서 나타나는 정당의 후보공천과 관련된 제반 문제점을 고찰하고, 후보공천의 대표성 증진을 위한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기본 목적으로 한다. 한국의 선거과정에서 정당의 공직후보 공천과정은 정당정치와 민주주의 발전을 위해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매 선거 시기마다 정당의 공직후보 공천은 많은 혼란과 잡음이 지속되어 다양한 문제점을 양산하고 있다. 연구 결과, 한국 정당의 후보공천제도는 후보공천의 민주성 차원에서 민주화 이후 경선제도의 도입 등 많은 부분 개선이 이루어졌으나, 아직도 각 정당들마다 후보공천의 규정이 제도적으로 정착되지 못하는 등 후보공천의 공정성 차원에서 개선되어야 할 점이 많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정당정치가 안정적으로기반을 마련하지 못한 상태에서 매 선거 시기마다 나타나는 후보공천의 각종 잡음과 혼란은 정당정치는 물론 한국의 민주주의를 안정적으로 공고화시키지 못하는 주요한 원인임에 틀림이 없다. 이에 따라 이 연구는 민주화 이후 한국 정당의 국회의원선거 후보공천 과정에서 나타나는 제반 문제점을 후보공천의 민주성과 공정성 차원에서 분석하고, 이를 통해 정당의 후보공천이 지니는 대표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정당정치의 발전 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 제18대 국회의원선거와 부산지역 정당지지도 분석

        이동윤 한국시민윤리학회 2008 한국시민윤리학회보 Vol.21 No.2

        본 연구는 2008년 4월 실시된 제18대 국회의원선거를 통해 부산지역에서 표출된 선거 결과를 중심으로 각 정당별 후보공천과 정당지지도에 따른 제반 문제점을 고찰하는데 주요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제18대 국회의원선거를 중심으로 최근의 선거 결과를 통해 나타난 부산지역의 각 정당별 지지도와 후보 득표율의 변화 양상을 비교하였으며, 이를 통해 이번 선거에서 부산지역에 대한 중앙당 중심의 후보공천과 한나라당의 내부 분열이 초래한 제반 문제점을 파악하였다. 연구 결과, 제18대 국회의원선거에서 부산지역은 그 동안 다양한 정치․사회적 균열에도 불구하고 한나라당에 대해 비교적 강력한 정당지지도를 보여 왔으나, 이번 선거과정에서 부산지역의 민심을 무시한 후보공천이 정당지지도의 분열이라는 파행적 선거결과를 초래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이와 더불어 제18대 국회의원선거를 통해 표출된 한나라당의 공천 잡음과 분열, 그리고 부산지역 정당지지도의 변화는 비록 일시적인 현상이기는 하지만, 또 다른 정치적 변화와 균열구조를 양산해 낼 가능성이 있다는 사실을 인식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problems of candidate nomination and electoral result in the 18th National Assembly Election with focus on the party support of Busan voters. For this research, this study compared the party support and the number of votes of each party in this election with the results of the recent other elections. And also this study explored various problems, which was caused by wrong candidate nomination in Busan and segmentation of the Grand National Party (GNP) in this election.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GNP has been firmly supported by Busan citizens in the old elections, in spite of various socio-political cleavages, but the candidate nomination in disregard of citizen's opinion in this election induced the division of party support in Busan. In addition, the noise and segmentation of the GNP's candidate nomination and the change of party support in Busan mean a new possibility of another political change and cleavage though this was temporary situation.

      • KCI등재

        국회의원 선거 당내 경선 당선자 결정 요인에 대한 경험적 분석: 19대, 20대, 21대 국회의원 선거 경선 분석

        황남주,신정섭 한국정당학회 2023 한국정당학회보 Vol.22 No.3

        본 연구는 한국의 국회의원 선거 경선 과정을 분석하여 당내 경선에서 어떤 요인들이 후보자의 당선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경험적으로 분석한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19대, 20대, 21대 국회의원 선거를 대상으로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힘의 당내 경선에 출마하였던 후보자들의 정보를 수집하였다. 분석한 결과,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힘 당내 경선에서 당선에 공통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 변수들은 현역 의원(지역위원장) 여부, 국회의원 경력, 청와대 근무 경력, 출마한 지역구가 포함된 지역의 지방자치단체장 경력인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출마 지역 고등학교 졸업 여부는 민주통합당과 더불어민주당 경선에서만 당내 경선에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성별은 새누리당과 미래통합당 경선에서만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18대 총선의 공천과 정당조직

        박경미(Kyungmee Park) 한국정당학회 2008 한국정당학회보 Vol.7 No.2

        이 글은 국민경선제 없이 진행된 18대 총선 공천과정을 한나라당과 통합민주당을 중심으로 분석하고 그것이 이전 정당의 공천과정과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정당 민주주의에 대한 비판에서 도입된 국민경선제는 몇 차례의 선거에서 실시, 지자체 선거로까지 확대되면서 일정 정도 제도화되는 것처럼 보였다. 이번 18대 총선의 후보선출은 이러한 흐름에서 벗어나 중앙당 중심으로 후보공천이 마감되었다. 이 글이 이에 대해서 던지는 질문은 다음과 같다. 국민경선제 실시 없이 치러진 18대 총선의 후보선출과정의 특징은 무엇인가? 주요정당이 국민경선제를 실시하지 않았던 것은 어떤 기반 위에서 가능하였으며 그리고 이는 이전의 선출방식과 단절적 형태인가? 분석결과에 따르면, 두 정당의 18대 공천과정에서 후보선출권과 후보자격 부여는 포괄성과 배타성이 혼재된 형태였다. ‘배타성-포괄성’이라는 연속선 상에서 두 정당은‘당원-시민’사이의 지점에서 후보선출권과 후보자격을 부여하였다. 이러한 특징은 카르텔정당적 선거전략으로 볼 수 있으며, 강한 지도부의 영향력하의 후보선출의 과정을 공천심사위원회 구성을 통해 일정 정도 개방하는 경향을 보였다. 후보공천을 둘러싼 증폭된 당내 갈등은 두 정당의 당내 지도부의 영향력을 확대하기 위한 전략의 산물이었다. 이러한 공천과정은 민주화 이후 후보공천과정과 그 흐름과 유사한 것으로, 18대 공천과정은 민주화 이후 변화와 연속선상에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This study analyzes the nomination process of the 18th General Election in the Grand National Party and the Democratic Party, and explores which differences between the 18th and other elections there are. Open primary was introduced from the critics toward the previous party democracy, which looked like the institutionalization through several times’enforcements. However, this nomination process was broken away from the these waves and ended in the resolutions of central parties. At this point questions that can arise are as below: which characteristics can be founded in the nomination processes? which conditions led two parties to choose nomination resolutions without open primary? Is it discontinuation of the previous nomination process? According to analytic results, two parties’nomination processes were the mixtures of exclusiveness and inclusiveness in candidacies and selectorates. Among the continuity between partisans and citizen, two parties vested candidacies and selectorates. This kinds of characteristics can be regarded as cartel party’electoral strategy. The amplified division around the nomination was creature of leadership enhancement strategies. The 18th nomination processes were similar to ones and waves of trends after democratiz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