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의례(儀禮) 기록의 방식: 『국조속오례의서례(國朝續五禮儀序例)』 읽기

        송지원 ( Ji Won Song ) 한국실학학회 2012 한국실학연구 Vol.0 No.23

        이 연구는 五禮書의 ``序例`` 讀法에 관한 연구이다. 오례서의 ``서례``는 국가의례에서 본 행사를 기록한 儀註를 실제 의례로 행할 때 알아야 할 각종 규정, 즉 제사의 성격, 제사 지내는 시기, 제사에 참여하는 齋官, 의례에서 연주하는 음악과 악대의 편성, 의례 참여자의 복식, 왕의 행차에 동원되는 각종 儀仗旗, 의례에 쓰이는 器物 등에 대해 기록한 것을 말한다. 의례의 시행절차를 기록한 ``의주``를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 ``서례``에 기록된 이들 규정을 함께 읽어야 하는 것은 本書와 서례를 별도로 작성했던 조선시대 국가전례서의 기록 방식 때문이다. 오례서의 ``서례``부분은 오례서를 이해하는 것 이상으로 치밀하게 읽고 이해해야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간 ``서례``에 대하여 집중한 연구는 잘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에서 오례 기록의 규범을 이룬 『국조오례서례』를 기준으로 하여 그 전후의 서례와 함께 살펴봄으로써 서례 기록의 일반성과 특수성을 찾아보고자 한다. 이 연구는 영조대에 편찬된 『국조속오례의서례』를 빌미로 오례서의 「서례」를 어떻게 읽어야 할 것인지 파악하는 데 초점이 있다. 따라서 영조대 의례의 내용에 대해 집중적으로 밝히기 보다는 「서례」 일반에 관한 논의에 비중이 더 두어질 것이다. 이 글이 오례서를 읽는 과정에서 올 수 있는 독법상의 오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목적이 있으며, 같은 사안을 다르게 읽는 경우가 허다한 현실을 인식하고 쓴 글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서례」만을 다룬 연구가 없는 현실에서 「서례」의 시스템을 어떻게 인식하고 「서례」를 어떻게 읽을 것인가 고민해 보는 기회로 삼고자 한다. This is a study on the reading of ``Seorye 序例`` of Oryeseo 五禮書. ``Seorye`` of Oryeseo is record of various rules which should be known when actually carrying out Euiju 儀註 of the main event in national ritual, including nature of memorial service, period of holding memorial service, holding offices who participate in each service, organization of music and band, clothing of the ritual participants, all sorts of ceremonial flags and articles used in ceremony. To properly understand ``Euiju,`` which documented procedures of ritual, we must read those rules recorded in ``Seorye`` because of recording methods of national liturgical book in Joseon Dynasty where the main book and ``Seorye`` were written separately. Therefore, the part of ``Seorye`` of Oryeseo must be closely read and understood much more than understanding of Orye. Nevertheless, the studies focusing on ``Seorye`` have been rare, this study attempts to discover generality and specialty of Seorye documents by examining the ones before and after Gukjooryeseorye 國朝五禮序例, which has made norms for Orye records. This study focuses on understanding how to read Seorye with Gukjo sogoryeui Seorye, which was published in the period of King Yeongjo. Thus, instead of intensively examining some things from ritual in the time of King Yeongjo, the study will give more weight to general discussion about Seorye. The current article has the purpose of minimizing misunderstanding in reading, which might happen in the course of interpreting Orye, and it`s written in the perception of the fact that there are many examples of reading the same case differently. Therefore, with reality in which studies dealing only with Seorye, this study should be an opportunity to concern about how to appreciate the system of Seorye and how to read it correctly.

      • KCI등재
      • KCI등재

        조선의 국가 전례서(典禮書)에 규정된 상복(喪服) 제도와 변천

        차서연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2023 泰東古典硏究 Vol.51 No.-

        This study examines the evolution and form of the mourning clothes system for men and women, as articulated in the “Gugjoolyeui (國朝五禮儀)” etc, the book on the national rituals of Joseon. The Joseon royal family, in contrast to China, pursued a three-year mourning period and established a mourning attire system akin to that of ordinary households. While Chinese national ritual texts vaguely address mourning rites due to the perception of codifying such rites as disloyalty, the Joseon royal family established a mourning attire system grounded in “Galye” (家禮; Family Rituals). The design and diagrams of men's mourning clothes largely adhere to “Galye.” However, in instances where the primary and supplementary annotations of “Galye” diverge, the practice tends to follow the supplementary annotations. The diagrams also draw from “Galyedo” (家禮圖; Illustrations of Family Rituals), but distinctive characteristics of Joseon are discernible. Women's mourning attire was later enhanced with its forms and diagrams, again using “Galye” as the benchmark. Subsequent national ritual texts were augmented with contents from Chinese ritual books such as “Lyegijibseol” (禮記集說; Collected Explanations of the Book of Rites) and “Galyeuijeol” (家禮儀節; Ritual Sections of Family Rituals), as well as Kim Jangsaeng's “Galyejiblam” (家禮輯覽; Collected Views on Family Rituals), “Sanglyebiyo” (喪禮備要; Essentials of Mourning Rites), and “Uilyemunhae” (疑禮問解; Questions and Answers on Doubtful Rituals). Therefore, mourning attire, being identical in system and form for both the royal family and ordinary households, was used as the only ceremonial dress that transcended class distinctions in Joseon. 본 논문은 『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 등 조선의 국가 전례서를 중심으로 남자와 부인의 상복(喪服) 제도의 연원과 형태 변화를 고찰한 것이다. 조선 왕실은 중국과 다르게 삼년상을 지향하여, 사가와 같은 상복 제도를 확립하였다. 중국의 국가 전례서는 상례를 명문화하는 것을 불충(不忠)으로 여겨 상복에 대한 규정도 명확하지 않지만, 조선 왕실은 『가례(家禮)』에 근거한 상복 제도를 수립한다. 남자 상복의 형태와 도설은 대체로 『가례』를 따르지만, 본주(本註)와 부주(附註)가 다를 경우 부주를 따르는 경향이 나타난다. 이는 부주가 근거한 『의례(儀禮)』와 『예기(禮記)』 등의 고례(古禮)로 『가례』의 부족한 부분을 보완하는 것이다. 도설도 대체로 「가례도(家禮圖)」에 근거하지만, 조선만의 특징이 나타나기도 한다. 부인의 상복은 『국조오례의』에 목록만 나열하다가 『국조속오례의⋅서례(國朝五禮儀⋅序例)』에서 형태와 도설이 추가되는데, 이때도 『가례』가 기준이다. 『가례』가 시속을 반영하여 부인 상복을 제정한 방식을 따라 조선의 국가 전례서도 부인의 상복을 제정하였다. 『국조속오례의(國朝續五禮儀)』 등 후기의 국가 전례서는 『예기집설(禮記集說)』과 『가례의절(家禮儀節)』 등의 중국 예서와 김장생(金長生)의 『가레집람(家禮輯覽)』, 『상례비요(喪禮備要)』, 『의례문해(疑禮問解)』 등의 내용이 추가되면서 보완된다. 조선의 국가 전례서에 기록된 상복 제도는 『가례』의 규정을 토대로 조선의 상황을 고려하면서 왕실과 사가가 서로 보완적으로 진전되어 신분의 차이가 없는 유일한 의례복으로 사용되었다.

      • KCI등재후보

        음악 문헌을 통해 본 조선 초기 종묘악장의 변화 탐색

        이정희 청계사학회 2024 청계사학 Vol.27 No.-

        본 고는 조선 초기 종묘 제례에서 가창했던 악장(樂章)의 변화 양상을 탐색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종묘악장은 조선 왕실의 조상들을 송축한 문학이자 음악이다. 제사를 지낼 때 악장을 노래해야만 조상신이 강림하여 복을 준다고 여겼기에, 악장은 신과 인간을 연결해 주는 매개체라는 상징성에서 중요했다. 그리고 왕실 사당이라는 종묘의 위상과 맞물려 조선 건국 후 종묘악장은 제례 악장 중 가장 먼저 개정되었다. 처음에는 악장 본연의 의미를 살려서 각 실에 모신 인물의 공덕을 노랫말로 제작하는 방식으로 운영하였다. 실마다 별도로 악장을 지어 가창했던 것이다. 즉, 1실 1악장 체제를 갖춤으로써 악장의 독립성을 유지하였다. 반주 악현의 형태도 옛 제도[古制]의 충실한 재현을 지향하였다. 그러나 세조가 종묘제례악을 보태평・정대업으로 정하면서 악장의 개별성이 사라졌다. 7인을 송축한 보태평・정대업을 종묘 제사에서 통용했기 때문이다. 또한 가창자를 등가뿐 아니라 헌가까지 삽입하고, 아, 당, 향악기로 확대 구성하였다. 그리하여 현가(絃歌) 중심으로 고즈넉한 분위기에서 가창했던 이전과 달리 공연의 성격이 강화되었다. 이는 종묘제례악의 역사에 변곡점이라고 규정할 만큼 후대에 큰 영향을 끼쳤다. 악인(樂人)들은 갑작스러운 변화에 부적응하여, 정전에서 향악을 연주하고 영녕전에서 아악을 주악하는 분열적인 상황을 배태하기도 하였다. 혼란은 지속되었고 이를 정비하기 위한 노력은 성종 말엽까지 이어졌다. 상론한 양상은 『세종실록악보 』, 『세종실록 』 「오례」, 『세조실록악보』, 『국조오례의 』, 『국조오례서례 』, 『악학궤범 』 등에 선명하게 남아 있다. 이렇듯 조선 초기 종묘악장은 ‘형성 – 변혁 – 혼란 – 정비’의 굴곡을 이루었지만, 결국 세조대의 것을 계승하는 방향으로 정리되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혼선을 빚었던 연주현장을 안정적으로 운영하기 위해 성종 말엽까지 힘썼음을 확인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악장 본연의 의미가 구현된 1실 1악장 제도가 퇴색했기 때문에 논란의 불씨는 여전히 남아 있었다. Jongmyo Akjang(宗廟樂章) is literature and music that praises the ancestors of Joseon’s royal family. They believed that only when the Akjang was sung during the ritual, the ancestral deity came to the fore and gave blessings. Therefore, the Akjang was important in its symbolicity as a medium connecting the deity and human beings. In the beginning, independent Akjang was composed and sung for each of the chambers, and the form of the accompanying band also conformed to the old system. However, the individuality of the Akjang disappeared as King Sejo designated Jongmyo Jeryeak as Botaepyeong・Jeongdaeeop. This is because Botaepyeong・Jeongdaeeop to praise seven persons was used in Jongmyo rituals. In addition, singers were placed in both Deungga and Heonga, and a band of various musical instrument players was formed, thereby deepen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performance. Failing to adjust to the sudden change, the musicians created a divisive situation in which they played Hyangak in Jeongjeon and performed Aak in Yeongnyeongjeon. The confusion continued, and efforts to reorganize it continued until the end of King Seongjong. The detailed aspects mentioned above remain clear in Sejong Silok Akbo, Sejong Silok Oryeo, Sejo Silok Akbo, Gukjo oryeui, Gukjo orye seorye, and Akhak Gwebeom. Like this, Jongmyo Akjang in early Joseon formed a curve of ‘formation – transformation – confusion - maintenance’ but was eventually organized in the direction of inheriting the things in King Sejo’s reign. Nevertheless, the spark of controversy still remained because the original meaning of the Akjang had fad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