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냉전의 시청각 미디어와 저개발 세계의 교육 -국제협조처(ICA)의 저개발국 기술협조와 한국의 시청각교육을 중심으로-

        공영민 국제한국문학문화학회 2022 사이 Vol.32 No.-

        This paper revealed that audio-visual education in the underdeveloped world is part of the Cold War culture for the “Technical Cooperation” project conducted by the International Cooperation Agency (ICA) as part of the Korean aid project from 1957 to 1961, and audio-visual aids, including educational films, are the result of the Cold War structure. Audio-visual media, which had been used as propaganda through the two World Wars, immediately began to respond to the Cold War as it was absorbed into a major branch of international aid organizations shortly after World War II. The educational aspect of audio-visual media was highlighted as both camps, centered on the United States and the Soviet Union, utilized audio-visual education as a means of public enlightenment and education in order to embrace and lead the underdeveloped world into their respective camps. The part that ICA particularly focused on in technical cooperation was basic education aimed at achieving economic independence in underdeveloped countries. The audio-visual package programs, including educational films, were used as main teaching aids in Fundamental Education focusing on improving living conditions such as health, hygiene, diet, and agriculture. The audio-visual package programs included a variety of audio-visual aids, including films, radio, magazines, books, leaflets, photos, and posters. ICA’s audio-visual education technical cooperation had provided to disseminate audio-visual aids needed for the duties of community leaders, Home Economist or Home Agent, while using them as the main contents of educational films to spread the purpose and goals of aid to the region. As a result, audio-visual media went through the process of popularization, routinization, and localization, functioning as an educational medium, and had an impact on local residents without literacy. 이 글은 국제협조처(ICA)가 1957년부터 1961년까지 한국 원조 사업의 일환으로 진행한 ‘기술협조’ 프로젝트를 대상으로 저개발 세계의 시청각교육이 냉전 문화의 일부이며, 그 과정에서 생산된 교육영화를 비롯한 시청각 교재들이 냉전적 구조의 결과물임을 밝힌다. 양차 대전을 거치며 선전의 도구로 자리했던 시청각 미디어는 제2차 세계대전 직후 국제적인 원조기구들의 주요 분과로 흡수되며 빠르게 냉전에 대응하기 시작했다. 미국과 소련을 중심으로 한 양 진영이 저개발 세계를 각자의 진영으로 포섭하고 견인하기 위해 시청각교육을 대중 계몽과 교육의 수단으로 활용하면서 시청각 미디어의 교육적 측면이 부각되었다. ICA가 기술협조에서 특히 집중한 부분은 저개발국의 경제적 자립을 목적으로 하는 기초교육이었다. 보건위생, 식생활, 농업 등의 생활개선에 집중하는 기초교육에서 교육영화를 비롯한 시청각 패키지 프로그램이 주요 교재로 활용되었다. 시청각 패키지 프로그램에는 영화, 라디오, 잡지, 도서, 리플릿, 사진, 포스터 등 다양한 교재들이 포함되었다. ICA의 시청각교육 기술협조는 지역사회의 리더들인 농촌교도원, 가정교도원들의 임무에 필요한 시청각 교재를 보급하는 동시에 그들을 교육영화의 주요한 콘텐츠로 활용함으로써 원조의 목적과 목표를 지역 곳곳까지 전파하는 역할을 했다. 이에 따라 시청각 미디어는 대중화․일상화․현지화의 과정을 거치며 교육 매체로 기능하며 문해력이 없는 지역민들에게까지 영향을 미쳤다.

      • KCI등재

        전후복구 이후(1957∼1958)중소기업개발계획의 운영과 성격

        朴光明(PARK Kwang-myeong) 한국근현대사학회 2021 한국 근현대사 연구 Vol.98 No.-

        The ‘Industrial Projects(中小企業開發計劃)’ is a planning aid project by the International Cooperation Agency for Korea’s ‘Small and Medium Manufacturing and Processing Industry’. Considering that most of Korea’s manufacturing industries were small and medium-sized companies in the 1950s. Nevertheless, there have been few full-scale studies on Industrial Projects in academia. Therefore, this paper analyzed the detailed development process and nature of the Industrial Projects after the post-war recovery(1957-58 fiscal year). From 1956 to 57, when the post-war recovery was partially carried out, discussions on changes in the U.S. economic aid policy and accounting audits were conducted. This served as the background for the application of improved regulations and operating methods for Industrial Projects. The Industrial Projects after the fiscal year 1957 was additionally allocated aid funds to projects that supplement or expand the existing plan, and was operated according to a relatively reasonable plan establishment and operation method compared to the previous period. The Industrial Projects after post-war restoration was aimed at replacing imports, but it was also operated in consideration of export possibilities. Aid funds were also allocated to projects that reflected social needs and atmosphere after post-war restoration. In particular, the Industrial Projects in fiscal 1958 supplemented the existing shortcomings from selection to management compared to the previous four-year projects, so beneficiary companies achieved results such as overseas exports in the 1960s. ‘중소기업개발계획’은 한국의 ‘중소규모 제조가공업’에 대한 국제협조처의 계획원조 사업으로, 1950년대 한국의 제조업 대부분이 중소규모 형태의 기업체들이었음을 감안하면, 해당 원조 프로그램의 한국의 제조업 발전에 큰 영향을 주었다. 그럼에도 그간 학계에서는 중소기업개발계획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가 거의 시도되지 못하였다. 이에 본고에서는 전후복구 이후(1957~1958회계연도)의 중소기업개발계획의 세부 전개 과정과 성격에 대해 분석하였다. 전후복구가 일정 부분 진행된 시점인 1956~1957년도를 기점으로, 미국의 대한경제원조정책 변화 논의와 회계감사가 진행되었다. 이는 중소기업개발계획에 대한 개선된 규정과 운영 방식이 적용되는 배경이 되었다. 이러한 1957회계연도 이후의 중소기업개발계획은 기존의 계획을 보완하거나 확장하는 사업들에 원조자금이 추가로 배정되기도 하였으며, 기존 시기에 비하면 상대적으로 합리적인 계획의 수립과 운영 방식에 따라 운영되었다. 전후복구 이후의 중소기업개발계획은 수입대체를 기본 목적으로 하였으나, 수출 가능성 역시 고려하여 운영되었다. 전후복구 이후의 사회적 필요와 분위기가 반영된 사업에 원조자금이 배정되기도 하였다. 특히 1958회계연도의 중소기업개발계획은 이전 4개 연도 사업들에 비해 선정에서부터 관리까지 기존의 단점이 보완되었기에, 수혜기업들이 1960년대에 이르러 해외 수출 등의 성과를 내기도 하였다.

      • KCI등재

        어시장의 사적변천과 발전과정에 관한 연구

        김청열(Cheong-Yeoul Kim),조대훈(Dae-Hoon Cho) 韓國經營史學會 2013 經營史學 Vol.65 No.-

        본 연구는 다양한 고고학 자료와 문헌자료를 통해 우리나라 어시장의 사적변천과 발전과정을 경제 · 경영사적 측면에서 종합적으로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먼저 어시장의 사적변천 과정을 시대별로 개괄하여 고찰하였다. 그리고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어시장이라고 할 수 있는 부산공동어시장(釜山共同魚市場)의 개설과 발전과정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우리나라에서 어업과 어시장이 본격적으로 발전하게 된 것은 개항과 함께 일본의 어업 및 상업자본이 우리나라에 진출하면서부터라고 할 것이다. 특히, 조일통상장정(朝日 通商章程)과 조일통어장정(朝日通漁章程)이 체결되면서 일본어민들의 어업활동과 어획고가 증가하게 되자 일부 일본인들이 자국어민이 획득한 어획물의 판매를 위해 어시장을 설립하기 시작했는데, 이 가운데 가장 대표적인 어시장은 부산수산회사(1889.8.5)가 운영한 부산어시장이다. 그런데 부산수산회사가 부산수산주식회사로 흡수 합병(1907.5.1) 되면서 부산어시장은 부산수산주식회사 어시장으로 변경되었다. 그러다가 해방으로 우리나라에서 일본인이 철수하면서 부산수산주식회사에서 운영하던 부산수산주식회사 어 시장은 부산어업조합이 운영하는 중앙어시장으로 전환되었다가, 1956년 9월 10일부터는 어시장의 운영주체가 부산어업조합 등 5개 수산단체로 변경되었다. 부산에 현대적인 어시장의 설립이 추진된 계기는 미국의 대외 원조기구인 국제협조처 (ICA)의 원조사업 중 어시장 설립을 위한 미화 25만 달러가 배정되면서부터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1957년 3월 13일 부산종합어시장 설립계획이 확정되고 1958년 6월 5일 부산지역 수산단체를 중심으로 부산수산센터 추진위원회가 구성되었으며, 1960년 10월 8일 부산항 제1부두가 어시장 부지로 확정되고 1961년 6월 15일 기공식을 거쳐 1963년 11월 1일 드디어 부산항 제1부두에 대지 1만 4천m², 900톤의 냉동 위판장과 기타 시설을 갖춘 부산종합어시장이 개장되었다. 그러나 1966년 부산항종합개발계획에 따라 부산종합어시장을 현재의 남항으로 이전하는 계획이 수립된 이후 1971년 10월 이 전공사가 시작되어 1972년 12월 29일 준공식이 거행됨으로써 어시장의 남항시대가 본격화 되었다. 한편, 부산종합어시장은 수산업협동조합법의 개정(1970.10)에 따라 1971년 1월 20일에 부산공동어시장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종전에는 수산업협동조합법 시행령 제27조 제1항의 단서조항에 의하여 예외적으로 위 사업을 할 수 있게 되어 있었으나 1970년 10월 13일 동시행령 개정에서 단서조항이 삭제되면서 신설된 수산업협동조합법 제65조 제 6항의 ‘공동’으로 사업을 한다는 규정에 따라 이 자구(字句)를 삽입하여 어시장 명칭이 부산종합어시장에서 부산공동어시장으로 변경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2012년 말 현재 부산공동어시장은 총부지 면적 64,274m², 연건평 66,195m², 위판장의 총면적 43,134m², 위판능력 최대 3,200톤/일, 접안선 1,016m, 그리고 냉동공장 6,629m², 기타시설 등으로 확대되어 운영되고 있으며, 주요 사업은 위탁판매사업, 보관수송사업, 냉동·냉장·제빙, 급유·급수, 수산물가공처리 및 기타 공동시설 이용사업, 수산업자 및 종사원의 후생복리사업, 정부업무의 대행 및 보조에 의한 사업, 기타 부대사업 등을 수행하고 있으며, 현재 운영주체는 대형기선저인망수산업협동조합, 대형 선망수산업협동조합, 부산시수산업협동조합, 경상남도정치망수산업협동조합, 서남구수산 업협동조합 등 5개 수산업협동조합이 맡고 있다. It is presumed that in Korea, fishing began earnestly in the New Stone Age. In some remains of the New Stone Age in the country, dead bodies of many different marine creatures, most of which were shells, were found. In the Dongsam-dong shell mound, which is one of the most famous New Stone Age remains in this country, fish spears and harpoons made of stone were excavated. Other similar relics were discovered in most regions whose geographic conditions are good for fishing. Presumedly, it is the New Stone Age when fish and shells began to be exchanged in earnest in this nation. There was the stage of food gathering economics before ancient farming started. It is not possible to presume that in that stage, fish and shells were transacted. But it is highly possible that in the stage, some people began to take farming their main job and others, fishing as agriculture developed and, accordingly, the two groups of people who respectively needed grain and fish and shells made exchanges by barter, though might be just a little. And the fact that obsidian from Kyushu, Japan was found in some remains of the New Stone Age in Korea makes it very probable that there were already international trades at that time. This country has numerous ancient records about local markets. A number of ancient literature such as 「Samgukji」, 「Samguksagi」,「Gyerimyusa」, 「Koryo Dogyeong」,「Koryosa」and many different true records of the Joseon period support that it is a long time ago in this country when people of this nation began fishing and formed markets for exchanging various kinds of fish and marine products for the first time. This study tried to comprehensively discuss the opening and development of the Busan Cooperative Fish Market from perspectives of the history of economy and business administration on the basis of review on the historic changes and developments of local fish markets with reference to a variety of archeological materials and literature.

      • AHCISCOPUSKCI등재
      • KCI등재

        1957년 미국 회계감사원의 대한경제원조 감사와 한국 국회의 대응

        박광명(Park, Kwang-myeong) 한국사학회 2021 史學硏究 Vol.- No.141

        본고는 전후복구 이후 미국 회계감사원이 발표한 대한경제원조정책에 대한 ‘감사보고서’의 내용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한국 국회의 대응을 분석하였다. 미국의 대한경제원조정책은 아이젠하원 행정부 2기인 1957년부터 점진적으로 변화하기 시작하였다. 한국 현지에서 근무하는 주한미대사나 경제조정관, 그리고 한국에 파견되었던 미국 중앙정부 관료에 의해 대한경제원조정책의 변화에 대한 요청이 지속적으로 제기되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미 하원의원에서도 회계감사원을 통한 대한경제원조정책에 대한 감사에 착수하였다. 감사보고서는 원조사업 관리의 ‘비효율성’과 한국정부의 ‘비협조’를 지적하고 있었다. 한편으로, ‘현실적 장기 경제개발계획의 수립’과 ‘기술원조의 적극 도입’이라는 방향성도 제시하였다. 감사보고서 발표가 알려지자, 미국의 경제원조정책 변화에 촉각을 세우고 있던 한국 내부에서는 큰 반향을 일으켰다. 특히 한국 국회 내부에서는 이에 대한 조사위원회 구성과 관련된 논의가 진행되면서 여야의 대립각이 세워지기도 하였다. 하지만 국회 내부의 논쟁은 정확한 문제의 원인을 밝히는 방향으로 나아가지 못했다. 감사보고서의 원본 입수부터 분석까지, 국회는 제대로 된 심의 기구로서의 역할을 하지 못 하였다. 당시 한국 국회는 미 의회에 원조액 감축에 대한 우려 표명과 이에 대한 재고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보내는 정도의 대응을 보였다. 물론 감사보고서의 지적사항은 이후 합동경제위원회의 논의를 거쳐 원조사업 운영 및 관리 방안의 개선으로 이어졌다. 그렇지만 이는 한국 정부와 국회의 적극적인 방안 마련이 아닌, 원조공여국의 의견에 따른 것이었다. This study analyzed the contents of the ‘audit report’ on the U.S. economic assistance policy for korea, announced by the U.S. General Accounting Office after the post-war reconstruction, and the response of the Korean National Assembly to the report. U.S. economic assistance policy for Korea began to change gradually from 1957, the second term of the Eisenhower administration. Requests for changes in U.S. economic assistance policy was continuously raised by the US ambassador to Korea, Economic Coordinator, and US central government officials dispatched to Korea. In this situation, the U.S. House of Representatives also initiated an audit of U.S. economic assistance policy through the General Accounting Office(GAO). On June 25, 1957, The Campbell, Comptroller General of The United States, submitted the audit results to the U.S. House of Representatives. The audit report pointed out the ‘inefficiency’ of assistance project administration and the ‘non-cooperation’ of the Korean government. On the one hand, the audit report also suggested the direction of ‘establishing a realistic long-term economic development plan’ and ‘active introduction of technical assistance’. When the release of the audit report became known, it caused a great repercussion inside Korea, which was keen to change the U.S. economic assistance policy. In particular, confrontation between the ruling and the opposition parties was established as discussions related to the formation of an investigation committee proceeded within the Korean National Assembly. However, the controversy within the National Assembly did not go in the direction of revealing the exact cause of the problem. From the acquisition of the audit report to the analysis, the National Assembly failed to serve as a deliberative body. At the time, the National Assembly responded to the extent of sending a message to the U.S. Congress to express concern about the reduction of aid and to request reconsideration. Of course, the matters pointed out in the audit report later led to improvements in the operation and management of aid projects through discussions with the Combined Economic Board(CEB). However, this was based on the opinions of the aid donor countries, not the Korean government and the National Assembly.

      • KCI등재

        1950년대 원조와 부산 기업

        류상윤 부경역사연구소 2019 지역과 역사 Vol.- No.45

        In the 1950s, Korean economy received huge amount of foreign aid mainly from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This study analyzes firm-level allocation data covering nineteen weeks of the peak aid year 1957, which were found in the National Archives and Records Administration, USA. My main focus is the geographical allocation of aid, because the concentration of industrialization in Seoul-Busan line is one of the main issues in the study of Korean economic development. The result shows firms in Seoul received more than half of the aids, and those in Busan and Daegu received thirteen and seven per cent. It implies that U.S. foreign aid strengthened the Seoul-Busan industrialization axis on the one hand, but helped the rise of Seoul area as the main industrial region compaired to Busan area on the other hand. The main industry of aid-recipient firms in Busan was Chemical industry which reflected the industrial structure and dynamics at that time. 1950년대 한국은 막대한 양의 미국 원조를 제공받았고 1957년은 그 중 원조액이 가장 많았던 해였다. 본고는 한국은행에서 작성한 1957년 19주분의 기업 레벨 원조자금 배분 자료를 미국 국립문서기록관리청에서 발굴하여 분석하였다. 특히 해방 후 한국 공업화의 특징이라고 할 수 있는 경부축의 성장에 원조가 미친 영향을 분석하는 데 참고가 될 수 있도록 원조자금의 지역별 배분에 초점을 맞추었다. 분석 결과 서울에 소재한 기업이 압도적으로 많은 자금을 배분받았고 그 다음이 경부축의 다른쪽 끝인 부산과 대구였다. 서울 소재 기업의 비중은 당시 제조업 분포와 비교해도 두드러진 것이었다. 원조가 경부성장축을 강화하는 동시에 그 무게 중심을 부산에서 서울로 옮기는 데도 기여했을 것임을 시사한다. 원조자금을 많이 배분받은 상위기업을 비교해보면 부산 소재 기업은 화학 등 제조업체와 무역업체였던 반면에 대구 소재 기업은 대부분 섬유 관련 제조업체였다. 원조자금이 지역의 산업 발전에 미친 영향은 개별 산업이나 기업 연구와 결합된 분석을 통해 향후 이해가 진전될 것으로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