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어 의식의 개념화와 교육적 해석

        고춘화 ( Chun Hwa Ko ) 국어교육학회 2013 國語敎育學硏究 Vol.47 No.-

        이 논문의 목적은 ``국어 의식``의 개념화 및 해석을 통해 교육적 실현 방향을 찾고자 하는 것이다. ``국어 의식``은 화자의 국어에 대한 다양한 생각과 태도라는 일반적 의미에 언어에 대한 인식적 사고 작용을 강조하는 언어 인식의 의미가 융합되어 개념화되었다. ``국어 의식``은 문법 교육에서 인지적 가치와 정의적 가치를 연계·통합하는 지점으로 작용한다. ``국어 의식``은 언어에 대한 호기심과 민감성 촉진, 언어에 대한 인식적 사고와 탐구, 화자 자신의 국어 의식에 대한 반성적 고찰과 메타적 인식, 국어에 대한 가치와 얼의 형성에 이어지는 교육적 의미를 지니고 이는 문법 교육의 이상적 학습자의 모습을 상정한다. 기존 연구와 문법 교육과정의 검토를 통해 ``국어 의식``에 대한 의미를 다음과 같이 개념화하였다. 1. 인간의 본질적 특성인 언어 자체, 즉 ``국어``에 대한 호기심과 탐구심 2. 개인의 국어사용에 대한 반성적 고찰 : 언어 메타 의식과 논리적 사고 3. ``국어``에 대한 태도와 가치관 : 얼의 형성 문법 교육과정에서 ``국어 의식``은 단어의 형성과 국어사 관련 내용 기준에서 명시되어 제시되었다. 단어의 형성 부분은 새로운 말의 형성 과정을 탐구하여 인지적 측면에서의 국어 의식의 형성을 강조하고 있다. 그리고 국어사 관련 내용에서는 국어의 역사, 특히 국어 수호의 역사와 선인들의 국어 연구 및 수호 활동을 통해 정의적 측면에서의 가치(얼)를 형성하는 데에 초점을 두고 있다. ``국어 의식``을 중층적 구조로 해석할 때 교육적 가치를 따져 기준을 세우고, 논리적으로 교육과정을 구성할 필요가 있다. 올바른 ``국어 의식``의 형성은 국어를 통한 민족의 ``얼``을 형성하고 국어 문화를 창조하는 바탕이 된다. 또한 이는 문법 교육의 한 지향점이 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a direction for educational realization through conceptualization of ``the consciousness of Korean Language`` and its educational interpretation. Through reviewing existing study and grammar education process, a meaning of ``the consciousness of Korean Language`` was conceptualized as follows. 1. Curiosity and inquiry spirit about language itself which is human essential characteristic, that is, ``national language`` 2. Reflective study about use of national language by individual : language meta consciousness and logical thinking 3. Attitude and view of value about ``national language`` : formation of spirit In the educational process of grammar, ``the consciousness of Korean Language`` was clearly shown and suggested on formation of words and criteria of content related to Korean language history. Part of formation of words emphasizes formation of the consciousness of Korean Language in the cognitive aspect through exploration of formation process of new words. The content related to Korean language history focuses on formation of spirit in the emotional aspect through history of Korean language, especially, history of guarding Korean language, study of Korean language and activity to guard Korean language by predecessors. When interpreting ``the consciousness of Korean Language`` as twofold structure, it would be necessary to establish criteria based on educational value and to logically organize educational process. For qualitative development of grammar education, it would be necessary to properly include value of the consciousness of Korean Language into existing educational content focusing on language unit. Formation of right ``the consciousness of Korean Language`` forms ``spirit`` of national people through Korean language and becomes basis of creating Korean language culture. And this could be a goal for grammar education.

      • KCI등재

        문법교육에서 ‘국어 의식’의 개념적 체계화와 교육 내용의 비판적 고찰

        김규훈 사단법인 한국민족연구원 2023 민족연구 Vol.- No.8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ceptualize Korean language consciousness and to consider Korean language consciousness related educational contents critically. To accomplish this purpose, the concept of Korean language consciou sness is biased to studies of the language awareness was identified by piecing the existing studies about Korean language consciousness together. To overcom e this bias phenomenon, this study recalls the multi-layered features of the “Kore an language”, and investigates conceptual roots of the “Consciousness” in Korea n language education. On a basis of this works, Korean language consciousness is categorized into three dimensions, “attitude of inquiry, attitude of awareness, attitude of value”, and the conceptual elements at each category are established. And then, this study critically analyzes Korean consciousness related educational contents in 2022 curriculum. As a result, Korean language consciousness is state d clearly in the key idea, the contents elements are leaned towards the language awareness in the contents system of 2022 curriculum. In achievement standards of 2022 curriculum, it is feared that Korean language consciousness education could be just declaring education because the educational contents of Korean language consciousness, which are related to the value・attitude in grammar domain, are mostly connected to knowledge・understanding category of those domain. Nevertheless, a possibility is found that the valuable attitude education of Korean language consciousness could be constructed by the contents related to language-culture of Korean language use. 이 연구는 문법교육에서 국어 의식을 체계적으로 개념화하고 국어 의식에 관한교육 내용을 비판적으로 고찰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먼저 국어 의식에 관한기존 연구를 종합하여, 국어 의식의 개념이 언어 인식과 관련하여 편중되어 있음을확인하였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국어교육에서 ‘국어’의 중층성을 상기하고 ‘의식’의개념적 근원을 탐색하였다. 이를 토대로 국어 의식을 탐구적 태도, 인식적 태도, 가치적 태도로 범주화하고 각 개념 요소를 설정하였다. 다음으로 2022 교육과정에서국어 의식에 관한 교육 내용을 비판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내용 체계에서는국어 의식이 핵심 아이디어에서 명시되었으나, 언어 인식 중심으로만 내용 요소가제시되어 있었다. 성취기준에서는 문법 영역의 가치・태도에 관한 국어 의식 교육내용이 지식・이해 범주와 주로 연계되어 선언적 교육에 그칠 우려가 있었다. 그럼에도국어 의식의 가치적 태도 교육이 국어 활동의 언어문화 관련 내용으로 구성될 가능성도 확인하였다.

      • KCI등재

        다문화 배경 국어 교육 공동체 구성원들의 언어 의식

        원진숙 ( Jin Sook Won ) 국어교육학회 2013 國語敎育學硏究 Vol.46 No.-

        본고에서는 우리 사회가 급속하게 다문화 사회로 진입하게 되면서 우리 국어교육의 이념이 기존의 ‘민족 의식을 함양하는 것’으로부터 ‘미래 지향적인 공동체 의식을 함양하는 것’으로 변화된 것에 주목하여 새롭게 형성되기 시작한 ‘다문화 배경 국어 교육 공동체’구성원들의 언어 의식을 다수자의 시선과 소수자의 시선에서 살펴보고 이에 기반하여 국어교육의 지향점을 도출하였다. 이를 위해 본고에서는 우선 ‘언어 의식’개념을 다문화 사회로 진입하여 새롭게 변화된 다문화 배경의 국어 교육 환경에 대해서 사람들이 국어에 대해 가지고 있는 다양한 심리적 태도나 가치관의 의미로 정의하였다. 연구 결과, 다수자 그룹의 언어 의식은 종래 민족 공동체 의식을 함양하는 국어교육 이념을 지양하고 다문화를 배경으로 하는 소수자 학생들을 적극 지원할 수 있는 국어교육으로 그 외연을 확장하고, 일반 학생들의 이해와 관용을 기반으로 하는 다문화적 인식 태도와 다문화적 문식력을 함께 함양할 수 있는 국어교육을 지향하는 것으로 요약될 수 있다. 소수자 그룹의 언어 의식은 한국어는 꼭 배워야 할 말이지만 서로 다른 언어적, 문화적 차이로 인해 어렵게 느껴지는 언어라는 것으로 귀결된다. 이들 언어 소수자들은 주류 사회 구성원들과 다른 언어를 사용하는 것으로 인해 소통의 부재와 단절은 물론 사회적 거리감과 위축감, 소외 의식과 낮은자존감 등으로 어려움을 겪게 된다. 언어는 자신이 누구인가 하는 자아 정체성의 문제와 직결되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다문화 배경 국어 공동체’구성원들의 언어 의식을 기반으로 다음과 같은 국어교육의 지향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국어교육은 사회적극 반영해야 한다. 셋째, 다문화를 배경으로 하는 언어적 소수자를 위한 국어교육의 외연을 적극적으로 확장하고, 보다 적극적인 학문적 연구와 실행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The number of culturally, linguistically diverse students has rapidly increased as Korea shifts towards a multicultural society. It is necessary that we will investigate the Korean language eduction`s future directions for strengthening Multicultrual background Korean Language Education Community Awareness. So, in this paper we examine the language awareness from the perspectives of language majorities and minorities group members within newly emerging multicultural background Korean language education community through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 of analyzing literacy activity data. In this study, the concept of ``language awareness`` was defined as a meaning of the various psychological attitude or values of people feel about the language. Based on the analyzing literacy activity data, the language awareness of the majority group member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Korean language education must be expanded its extension to include the culturally, linguistically diverse students and cultivate the language majorities students` multicultural sensitivity and multicultural literacy. On the other hand, the minority group members recognize that they have to learn Korean language for survival, but the mainstream language is hard to learn due to the linguistic and cultural differences. So they suffer dif- ficulties such as miscommunication, social distance, alienation and low self-esteem because they use different language with the majority group members. This is why the language is directly connected with the issue of identity. In short, we suggest the desirable direction of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with the basis of the above discussion as follows: First, We should strengthen the potential of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a tool for the social integration of the majorities and the minorities group members in this multicultural society. Second, we should include multicultural awareness and attitudes at the level of ideology and goal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inally, we should seek to expand the extension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the minority students with the multicultural background.

      • KCI등재

        문법교육에서 ‘국어 의식’의 교육 내용 체계화 방안 -‘언어인식(language awareness)’의 전이를 중심으로-

        김규훈 우리말글학회 2019 우리말 글 Vol.83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a way to systematize the educational contents for “Korean language awareness” as an attitudinal educational contents in the grammar education. To accomplish this purpose, this study considers discourses of the Korean subject curriculum and the studies about Korean language awareness and apprehends problems of them. It finds out the conceptualization of Korean language awareness is incompleteness and the educational contents are lack of practicality even though those are related to the “language awareness”. To get over these problems, this study confirms the educational contents in all domains of Korean subject about Korean language awareness and apprehends the language awareness needs to be spread. This study spreads the concept of functional, critical dimensions in the language awareness and the educational designing methods of the language awareness into an area of Korean language awareness. Especially it also checks a possibility to construct the contents of awareness about the power relations by spreading the “critical language awareness”. On a basis of these discussions, this study suggests categories of Korean language awareness educational contents, “the social dimension: Interest in Korean language phenomena, the personal dimension: Reflex and improve Korean language life”, and makes educational contents elements in each category. Furthermore, this study exemplifies an educational content and a practice for Korean language awareness, that is a task about the political power and ideology, which are not dealt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until now. 이 연구는 문법교육의 태도 교육 내용에 해당하는 ‘국어 의식’의 교육 내용을 체계화하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먼저 국어 의식에 관한 문법교육의 교육과정과 연구 담론을 살펴보고 문제점을 파악하였다. 국어 의식에 대한 개념화가 미흡하고 언어인식과 관련을 이루되 실천성이 결여된 교육 내용으로 설정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를 극복하고자 이 연구는 국어 의식과 관련된 국어과 범영역적 교육 내용을 확인하여 언어인식의 실천적 논의를 전이할 수 있음을 주목하였다. 이 연구는 언어인식에 대한 기능적, 비판적 차원의 개념과 교육적 설계 방안을 살펴보았다. 특히 비판적 언어인식을 통해 국어 의식의 교육에서 힘의 관계에 대한 인식의 내용을 구성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이 연구는 언어인식 기반의 국어 의식 교육 내용에 대한 범주를 ‘사회적 차원: 국어에 대한 관심’과 ‘개인적 차원: 국어생활의 성찰과 개선’으로 설정하고 각각의 내용 요소를 제안하였다. 더 나아가 그간 국어교육에서 다루지 못했던 권력과 이념의 문제에 대해 적극적으로 다룰 수 있는 국어 의식의 교육 내용과 실제를 예시해 보았다.

      • KCI등재

        북한 국어 교과서 계급주의 교양 교육의 ‘원쑤’의식화 교육 내용분석

        엄인영 ( Uem Inyoung ) 국어교육학회 2020 國語敎育學硏究 Vol.55 No.1

        북한 국어 교과서는 김일성 교시인 ‘사회주의 교육테제의 정치사상 교양 교육’을 중심으로 구성된다. 이중 계급주의 교양 교육은 정치사상 교양 교육의 네 가지 요소 중 하나로, ‘원쑤’에 대한 분노와 증오, 투쟁 정신을 갖도록 의식화하는 교육을 말한다. 이 연구는 북한 국어 교과서의 내용을 분석함으로써 계급주의 교양 교육을 위한 ‘원쑤’의식화 교육이 어떻게 적용되고 있는지 확인하고 통일 시대 국어교육을 위한 전환의 관점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소학교 교과서는 삽화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학령기 아동에게 부적절한 그림이나 사진이 많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중·고등학교 국어, 문학 교과서는 내용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북한 국어 교과서의 ‘원쑤’는 ‘미국, 일본, 남한, 제국주의, 지주자본가, 봉건지배자, 악독한 동물’로 표현되었다. 이들 ‘원쑤’는 당시 역사적 상황과 함께 다양한 갈래로 묘사된다. ‘원쑤’에게 고통당하는 민중은 ‘소녀, 소년, 아동단원, 인민군대, 누이동생, 어머니, 할아버지, 할머니’ 등의 사회적 약자로 인식되는 대상이다. 약자를 괴롭히는 ‘원쑤’는 더욱 잔인하게 묘사되며 오랜 기간 이와 관련한 교육을 받은 북한 주민의 마음 속에는 ‘원쑤’에 대한 아브젝시옹의 감정을 가지게 된다. ‘원쑤’와 관련한 계급주의 교양 교육은 ‘동요, 동화, 우화, 실화, 단·장편 소설, 일기, 감상문, 외국소설’ 등의 다양한 갈래와 기능영역인 ‘읽기, 말하기, 글짓기’ 등의 다양한 학습 상황에서 이루어진다. 북한 국어 교과서 계급주의 교양 교육의 ‘원쑤’의식화 교육 내용분석은 통일 시대 국어교육 기반 구축을 위한 전환의 관점을 찾기 위한 것이다. 계급주의 교양 교육은 모두 ‘원쑤’에 대한 적개심을 의식화하기 위한 계획적인 교육이지만 내용 중에서 전환의 관점이 될 만한 요소가 있다. ‘동정심, 자비심, 인간의 도덕적 완성, 민족도 하나, 조국도 하나, 화목, 조상의 피, 하나의 지맥, 평화, 량심’과 관련한 내용이 그것이다. 계획적으로 설계된 북한 국어 교과서 교육 내용에서 이와 같은 화두를 발견할 수 있다는 것은 통일 시대 국어교육 기반 구축을 위한 희망적 요소가 될 것이다. 전환의 관점을 통해 통일 시대 국어교육을 위한 다양한 측면의 교육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North Korea’s Korean language textbooks will be organized around Kim Il-sung’s teaching style (education in political thought and culture of the socialist educational system). Dual-class liberal education is one of the four elements of liberal education in political history, a ritual education that enmeshes “Wonsu.” By analyzing the contents of North Korean language textbooks, this study aimed to find out how the “Wonsu” awareness education for classist culture education was appli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transition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the era of unification. Elementary school textbooks have focused on illustrations and I have seen many inappropriate pictures and pictures of school-age children. The Korean language of middle and high schools and literature textbooks have focused on the content. The “Wonsu” in North Korean language textbooks was described as “the United States, Japan, South Korea, imperialism, landlord capitalists, feudal rulers, and vicious animals.” These “Wonsu” were described as various divisions due to the historical situation at that time. The people who suffer under “Wonsu” are considered “social underdogs”; for example, girls, boys, children, members of the People’s Army, sisters, mothers, grandfathers, and grandmothers. “Wensu” is described as being more cruel. Classical education related to “Wonsu” is being provided in various learning situations, such as fairy tales, fables, true stories, short and long novels, diaries, appreciation sentences, and foreign novels, as well as in reading, speaking, and writing. The analysis of North Korean language textbooks was aimed at finding a point of transition by carefully reviewing them to establish a foundation for the unification era. All classical liberal education is designed to realize hostility toward “Wensu,” but there were elements of the content that could be a turning point, such as “sympathy, mercy, morality, harmony, one vein, forgiveness.” It is a hopeful elemen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to usher in the era of unification that such topics can be found in the planned and designed educational content. Based on this, various aspect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the period of unification should be considered.

      • KCI등재

        국어 실태 조사의 성과와 향후 과제

        박지수 이화어문학회 2020 이화어문논집 Vol.51 No.-

        본고는 2005년 국어기본법 제정과 2007년 국어 발전 기본계획 수립 등 을 바탕으로 한 그간의 국어 실태 조사 시행 성과를 조사 시기・목적・방법 별로 살펴보고, 정기적이면서도 대규모 국어 실태 조사인 국립국어원 ‘국 민의 언어 의식 조사’에 대한 의의와 역할에 대해 재정립해 보았다. 특히 이번 논의는 현시점에서의 중장기 언어 실태 조사 계획의 부재, 또 금년 에 시행될 제4차 국민의 언어 의식 조사에 대한 보완책 등에 대해 검토하 며 정기적이고 장기적인 국어 실태 조사 시행과 국어 정책 관리 차원에의 관심을 촉구하는 데 연구 의의를 가진다. This paper examines, the Fundamental Law of Korean Language since it was enacted. We looked at the overall results of the survey on the Korean language and had the opportunity to identify the significance and role of the “investigation of the people's awareness of language” as a regular but overall survey of the Korean language. In particular, this discussion considers the lack of follow-up plans for a long-term language survey, the need for supplemental measures for the fourth survey of the people's awareness of language in the coming years, and continuous research activities and attention to the purpose of conducting the survey from a public perspective. As well as the expectation that the results of the survey will be reflected in an effective national language policy. It is self-evident that the results of the survey have been both quantitative and subjectively obvious. Based on the policy environment of the basic plan for the development of Korean language and the basic law of the Korean language, the people's language life as a result of the change is essential to policy change. Looking back on the results of the survey conducted so far, continued efforts will have to be made to ensure that state-managed policies can bring about efficacy in terms of applying the Korean language policy at a time when the next survey will be conducted again soon.

      • KCI등재

        어휘 의식을 키우기 위한 어휘 교육 내용 연구

        남택승(Nam Taek-seung) 한글학회 2016 한글 Vol.- No.312

        이 연구는 국어 의식을 키우기 위한 어휘 교육 내용을 탐색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국어교육에서 국어 의식과 문화에 대한 교육을 목표로 하고 있지만 그에 대한 구체적인 논의가 많지 않았다. 이에 현재 어휘 교육의 현황을 분석하여 문제점을 파악한 뒤, 국어의식을 어휘 분야로 좁혀 어휘 의식의 뜻넓이를 정하고, 그것을 키울 수 있는 방향으로 틀 의미론을 어떻게 이용할 수 있는지 따져 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어휘 의식을 키울 수 있는 어휘 교육 내용을 크게 ‘고유어-한자어-외래어에 담겨 있는 의식 파악하기’, ‘계열 관계에 있는 낱말의 숨은 의식 비교하기’, ‘같은 어휘를 바라보는 사람들의 의식 비교하기’의 3가지로 논의해 보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vocabulary and language training for raising awareness. Although the purpose of education of language awareness and culture in language education, did not have many specific argument against it. This study analyzes the current state of the vocabulary education, find out problems it has. and This paper focuses on how to use the frame semantics in the way to develop it, Defining the concept of language awareness on vocabulary field. Based on this, This study tries to discuss three vocabulary educational contents which can develop the vocabulary consciousness.

      • KCI등재

        국어 의식과 외래 학문의 영향

        정경일 ( Kyung Il Jung ) 민족어문학회 2010 어문논집 Vol.- No.61

        언어에 대한 의식이란 의사소통을 위한 도구 또는 자신의 사상과 감정을 표현하는 도구로서의 언어가 다른 수단들에 비해 갖는 구조와 기능 등의 특성에 대한 고찰을 의미한다. 비록 현대적인 의미의 학문적 체계를 갖추지는 못하였으나 우리 선인들도 국어에 대해 일정한 수준의 의식을 가지고 있었다. 음운에 대한 의식은 외국어와의 접촉에서 강화되며 구체적으로 국어 음운의 특성을 파악하게 된다. 이러한 인식의 내용은 한문을 받아들인 기원전 2~3세기 이후에야 가능해진다. 국어의 음운에 대한 의식을 보여주는 것으로 異字表記와 이두, 향찰 등의 借字表記의 방법을 들 수 있다. 음운 의식은 훈민정음의 창제로 집대성된다. 국어 문법에 대해서는 음운에 비해 구체적인 의식의 표출이 나타나지 않는다. 이는 당시 지식인들이 가지고 있던 학문적, 체계적 공백에 의한 것인데, 당시 조선에 영향을 끼치고 있던 중국 언어학계에 문법의식이 없었기 때문이다. 선인들이 어휘의 의미와 어원에 대해 단편적으로 언급하고 마는 경향 역시 중국 학문의 영향으로 보아야 한다. 결국 국어에 대한 의식의 표출은 미약하나마 지속적으로 이루어져 왔으나 이도 중국 학문의 영역 안에서만 이루어진 한계를 드러내 보이고 있다.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nsciousness of language and the influence of foreign science in Korea. In phonological aspect, The Korean predecessors had recognized the differences between Korean and Chinese and it was expressed by chinese letter which introduced in 2~3 century B.C. It was intensified by to compare with Chinese language. To express one Korean sound they used some Chinese letters the reason was some Chinese letters were distinguished in China but Korean couldn`t. For example 觸 頓 道 賭 讀 were used to express the same Korean sound /do/. Phonological consciousness was compiled through the creation of Hunminjeongeom. It was based on Chinese Phonology but was transformed for Korean phonological system. In grammatical and semantical aspect, there were seldom expressed consciousness of language because of there were no scientific influence for them from abroad especially China.

      • KCI등재

        언어관의 변화와 문법 교육의 정체성

        고춘화 한국국어교육학회 2013 새국어교육 Vol.0 No.95

        Grammar education has explored various answers on how to look at language and with what language to be looked at. In the process, unit of language dealt with in grammar expanded from sentence to unit of text. Accordingly, grammar education became interested in relationship between language and human society - in the past, grammar education dealt with language as autonomous system. Change in perspective about language led to expansion of content of grammar education, and improved possibility of integration between grammar education and other domains. In this writing, identity of grammar education is being sought in exploring natural meaning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the chapter 3, nature of grammar education was explored in grammar education as philosophy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t was identified that essential ques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what is Korean language?’ can be solved in content of grammar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preserve classical value by making content of existing grammar education firm in the core content while expanding and reproducing educational content where other areas can be integrated. This writing divided characteristics of Korean language as natural content, educational content related to the consciousness of the Korean language and formation of spirit. And this suggested that educational content in content aspect of Korean language be strengthened. And as educational content that can be integrated with other areas, functional grammar and expressional grammar were suggested. 문법에서 다루는 언어의 단위는 문장에서 텍스트 단위로 확장되었고, 문법 교육은 언어를 자율적인 체계로만 다루던 데에서 언어와 인간․사회의 관련성에 관심을 가지게 된다. 언어관의 변화는 문법 교육의 내용 확장으로 이어지고, 문법 교육과 다른 영역과의 통합 가능성을 높였다. 이러한 과정에서 문법 교육의 정체성을 밝히고자 하는 노력은 계속 되었다. 문법 교육의 정체성은 문법 교육이 국어교육철학으로서의 역할을 담당하는 데서 찾을 수 있다. 문법 교육은 국어란 무엇인가라는 본질적인 질문에 대한 답을 찾고자 한다는 점에서 국어교육철학의 근본적 토대를 이루는 영역이다. 문법 교육의 내용은 ‘국어의 보편성과 특수성, 국어 사용의 규범과 국어 사용의 바른 수행, 국어의식과 얼의 형성’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문법 교육의 본질적 내용으로서 국어의 특질, 국어의식과 얼의 형성과 관련된 교육 내용을 살필 수 있다. 그리고 국어의 내용 측면의 교육내용을 강화하고 다른 영역과 통합할 수 있는 교육 내용으로 기능 문법과 표현 문법과 관련된 내용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모국어교육으로서의 국어교육, 그 내부 기반으로서의 문법 교육은 재해석되어야 한다.

      • KCI등재

        시민의식의 발전과 국어교육의 방향에 대한 연구

        박재승 한국국어교육학회 2009 새국어교육 Vol.0 No.81

        Language plays an essential role in conducting everyday lives. Without language, it is virtually impossible to hand down and develop our civilization. The most fundamental purpose of language is to communicate our thoughts and feelings. So the ultimate goal of language education is to teach the most effective use of language to get across our thoughts and feelings. This paper is an attempt to examine the national language education policies of other countries and find out a desirable relation between democratic development and national language policies. We will also examine whether Korean language education today is indeed structured to promote an effective communicative use of the language. In so doing, we will review what kind of language education policy is being materialized by the 7th National Curriculum of Korea and the current textbooks. This review will then suggest some revisions that need to be made in the current National Curriculum. Through the investigation of the actual conditions of the national language education today, this study aims to identify a proper direction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accordance with the democratic development of the society. ‘영어 광풍’이라고 불릴 정도로 영어교육으로 온 나라가 시끄럽다. 국제화 시대에 영어가 강조될수록 나쁠 것은 없겠지만, 만약 불필요하게 많은 비용이 들고 효과가 적다면 문제가 아닐 수 없다. 또한, 영어교육에 대한 문제는 단순히 영어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우리나라 국민들의 언어생활과 직결되는 문제라서 국어교육과도 밀접하여 그렇게 단순하지만은 않다. 이럴 때일수록, 국어교육의 방향을 올바르게 설정하는 것이 더욱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국어교육의 방향을 점검하기 위해, 서양이나 우리나라에서 과거에 말과 글에 대한 정책의 변화가 어떻게 되어 왔는가를 살피는 것은 매우 유익하다고 생각한다. 또한, 그것을 살피는 것은 시민의식의 발전과 관련해 보는 것이 중요하다고 본다. 왜냐하면, 문자생활에서 시민의식은 여러 사람들이 쉽고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방향으로 발전하여 생활이 편리하게 되었기 때문이다. 그리고, 현재 국어교육의 방향은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지를 알기 위해 제7차 국어과 교육과정과 국어과 교과서 그리고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을 살피고자 한다. 그래서, 국어교육은 올바르게 되고 있는지, 부족한 점은 없는지, 있다면 어떻게 개선하는 것이 바람직한지 그 방향을 제시해보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